KR101739666B1 -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의 인터셉팅 - Google Patents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의 인터셉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666B1
KR101739666B1 KR1020157010514A KR20157010514A KR101739666B1 KR 101739666 B1 KR101739666 B1 KR 101739666B1 KR 1020157010514 A KR1020157010514 A KR 1020157010514A KR 20157010514 A KR20157010514 A KR 20157010514A KR 101739666 B1 KR101739666 B1 KR 10173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base station
communication channel
communication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865A (ko
Inventor
프랑크 프란센
안토니우스 노프
엘줍코 조거세스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네덜란제 오르가니자티에 포오르 토에게파스트-나투우르베텐샤펠리즈크 온데르조에크 테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네덜란제 오르가니자티에 포오르 토에게파스트-나투우르베텐샤펠리즈크 온데르조에크 테엔오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6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tercepting circuit switched data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80Arrangements enabling lawful interception [LI]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선택에 의해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되고, 모바일 네트워크는 기지국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컨트롤러(010)는: i)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020)로부터 수신하는 것; ii)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D2D)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및 iii)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D2D)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통신 채널(D2D)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고 기지국(ENB1)에 요청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배치되고, 기지국(ENB1)은 컨트롤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의 인터셉팅{INTERCEP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선택에 의해(by selection)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모바일 네트워크의 장비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라고 지칭되기도 하고, 줄여서 모바일 네트워크라고도 지칭되는데, 모바일 통신에 대한 필요의 증가를 처리하기 위하여 지난 수 십년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왔다. 이러한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은 전형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즉 모바일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base station) 코어 노드(core node)를 통하여 일어난다.
모바일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normally) 연결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특정 타입들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통신을 통하여 서로 직접 통신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D2D 통신은, 적어도 몇몇 순간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 즉, 모바일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통한 또는 기지국과의 적어도 시그널링 커넥션(signaling connection)을 유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같은 두 개의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들 간에 존재하는 다이렉트 무선 통신 경로(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path)로 특징지어진다. 모바일 단말기들 간의 다이렉트 무선 통신 경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들),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및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가 모바일 단말기들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의 대부분으로부터의 부하부담을 더는 것(offloading)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와의 시그널링 커넥션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하여금 단말기들 간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할당되는 리소스들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시그널링 커넥션은 전형적으로 제어 데이터가 교환되는 제어 채널로 이루어진다는 점, 즉 제어 데이터가 교환되는 제어 채널에 상응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모바일 네트워크 및 상술한 D2D 통신 둘 다를 통해서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모바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통신 표준의 예는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이다.
모바일 네트워크 및 상술한 D2D 통신 둘 다를 통해서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모바일 통신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여겨지는 모바일 통신 표준의 예는 LTE(Long Term Evolution)이다. 3 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내에서, D2D 통신을 LTE 모바일 통신 표준에 포함시키기 위한 표준화 활동이 시작되었다. 3GPP에서 이러한 D2D 통신은 ProSe(Proximity-based Service)라고도 지칭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국가의 법률(national legislation)은 모바일 네트워크와 같은 공중(public) 통신 네트워크에서 소위 합법적 인터셉션(Lawful Interception: LI)이 가능할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합법적 인터셉션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통신을 스크리닝(screening)할 목적으로 법 집행 기관(law enforcement agency)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공중 통신 네트워크 상의 통신을 인터셉팅(intercepting)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컨대, Aqsacom Document No. 100458, "LAWFUL INTERCEPTION FOR 3G AND 4G NETWORKS", White paper, March 20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기 위한 몇몇 접근법들이 알려져 있다.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의 합법적 인터셉션 또한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및/또는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S(Evolved Packet System)를 위한 3GPP TS 22.278 서비스 요구조건들에서는 EPS가 합법적 인터셉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적절한 메커니즘(mechanism)을 제공할 것이라고 언급되어 있다. EPS는 LTE의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architecture)를 구성한다.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의 합법적 인터셉션을 가능하게 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이러한 D2D 통신이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에 직접적으로, 즉 모바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network element)를 통한 통신 데이터의 전송 없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그래서, MNO(Mobile Network Operator)가 이러한 통신 데이터의 합법적 인터셉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가능한 솔루션으로서,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와 연관된 가입자(subscriber)가 합법적 인터셉션의 대상자인 경우에 MNO가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D2D 통신의 수립(establishment)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MNO가 사용자로부터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D2D 통신 채널에서의 참가자(participant)들 중의 하나가 합법적 인터셉션의 대상자인 경우에, MNO는 대신, 합법적 인터셉션 능력을 구비한 모바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통하여, 예컨대, eNodeB와 같은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을 라우팅할(route) 수 있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의 인터셉팅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의 장비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합법적 인터셉션의 대상자를 포함하는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막음으로써 합법적 인터셉션을 제공하는 문제점은 예컨대 상기 대상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합법적 인터셉션이 상기 대상자에 의해서 쉽게 감지될 수 있다(detectable)는 점이다.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의 덜 쉽게 감지되는 인터셉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우려를 더 잘 처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하의 관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이용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및 컨트롤러,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네트워크의 장비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이것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라우팅할(route) 필요 없이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의 인터셉션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를 제공하고,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선택에 의해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To-Device)[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되고,
모바일 네트워크는:
- 모바일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 사이에서 제어 채널(control channel)을 수립하기 위한 기지국(base station); 및
-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하여, i)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further mobile device)와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ii)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제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i) 가입자(subscriber)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interception request)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lawful intercept controller)로부터 수신하는 것;
ii) 상기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상기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target device)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및
iii)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통신 채널(D2D)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고(intercept) 기지국에 요청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배치되고,
기지국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인터셉팅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관점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및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관점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선택에 의해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되고,
모바일 네트워크는:
- 모바일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 사이에서 제어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기지국; 및
-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하여, i)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ii)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제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i)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20);
ii) 상기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상기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40); 및
iii)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을 인터셉팅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을 이용하는 단계(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의 장비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control software)를 제공하고,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선택에 의해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되고,
모바일 네트워크는:
- 모바일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 사이에서 제어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기지국; 및
-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하여, i)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ii)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제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i)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20);
ii) 상기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상기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40); 및
iii)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을 인터셉팅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을 이용하는 단계(160);를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데이터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예컨대, 모바일 네트워크의 기지국들 및 코어 노드들을 통하여 교환된다는 점에서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가능하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또한 상기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도록 배치된다. D2D 통신 채널은 두 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수립될 수 있다. 하지만, D2D 통신 채널은 세 개 이상의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동등하게(equally)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는 모바일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제어 채널을 수립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제어 채널은 제어 데이터가 모바일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서 교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서, 시그널링 커넥션을 수립한다. 모바일 네트워크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에 대한 이유는, 오퍼레이터가 단지 특정한 사용자들, 예컨대, D2D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들, 응급 구조원(emergency worker)들 등에게만 D2D 통신에 대한 접근권(access)을 수여하길 원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제어에 대한 다른 이유는, 예컨대, 오퍼레이터에게 허가되어 오퍼레이터에 의해 관리될 필요가 있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D2D 통신 채널이 점유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D2D 통신 채널의 제어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컨트롤러는 제어 채널을 통하여, 그리고 기지국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제어 데이터를 교환한다.
컨트롤러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인터셉션 요청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배치된다. 인터셉션 요청에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다. 인터셉션 요청에는, 다양한 알려진 방식으로, 예컨대,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은 가입자 식별자, MSISDN(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번호와 같은 전화 번호, 및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번호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특정해서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컨트롤러는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체로, 컨트롤러는 가입자가 D2D 통신에서 이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컨트롤러는 D2D 제어 데이터를 이용한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입자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는지는 모바일 통신 분야에서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3GPP에서, HSS(Home Subscriber Server)는 IMEI와 연관된 IMSI 및 그 반대의 경우를 룩업(lookup)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만일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면, 컨트롤러는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고 기지국에 요청한다. 그래서, 만일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면,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가 타겟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가입자가 참여하고 있는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하기 위하여 D2D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무선 신호가 획득되며, 이것은 예컨대 디코더(decoder)로 하여금 무선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통신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방법들은 합법적 인터셉션의 대상자인 가입자를 포함하는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가 모바일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인터셉팅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래서,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재설정해서(redirect) D2D 통신을 사실상 디세이블시킬(disabling) 필요가 없다.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데에 사용되는 D2D 제어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가입자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이유는, D2D 제어 데이터가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는 데에 이용되고 있을 때 D2D 제어 데이터에는 D2D 통신에 관여된 가입자들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유로 인하여, D2D 제어 데이터는 가입자 및 타겟 디바이스가 식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가 특별히 인터셉팅될 수 있다.
유익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의 분석이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고 있는 통신 데이터를 여전히 보이기 때문에, 합법적 인터셉션의 대상자가 자신이 실제로 합법적 인터셉션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기는 더 어렵다. 유익하게는, 인터셉션은 별개의 (모바일) 인터셉션 유닛(unit)에 대한 필요 없이 모바일 네트워크 자체에 의해서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의 전송 범위(transmission range)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어 채널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장치(radio)를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장치는 D2D 통신 채널에서 이용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의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무선통신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더욱 신뢰할만한 인터셉션이 획득된다. 유익하게는, 기지국이 좋지 못한 수신 품질(poor reception quality)을 갖는 것을 초래할 수 있는, D2D 통신을 위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장치가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오히려, 무선통신장치는 또한 기지국에 의한 충분한 수신 품질을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 파라미터(radio resource parameter)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장치를 구성하도록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 파라미터는: 신호 강도 및 주파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정의한다. 상기 무선 자원 파라미터는 기지국에 의한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당히 적절하다. 예를 들어, 신호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및/또는 무선 신호가 감쇠에 최소로 영향을 받는 주파수가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장치를 구성할 때, 상기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D2D 통신에 관여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무선통신장치들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장치를 구성할 때, 상기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타겟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D2D 통신에 관여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무선통신장치들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합법적 인터셉션의 목적상,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검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어렵지만, 예컨대, 신호 강도 및/또는 주파수를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대상자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비교에서의 차이점들은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이 합법적 인터셉션의 대상자라고 결론을 내리거나 의심하게 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에 관여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무선통신장치들 또는 타겟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D2D 통신에 관여된 것들을 재구성함으로써, 이러한 감지가 회피되거나 더욱 어렵게 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D2D 통신 채널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지리적 거리(geographical distance)의 추정을 기초로 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선택하도록 배치된다. 유익하게는,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상황에 맞춰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 근처에 있는 것들만이 상황에 맞춰 구성된다. 유익하게는, 예컨대, 전력 소모의 증가를 초래하는 신호 강도의 증가로 인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불리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들의 구성(configuration)과 합법적 인터셉션의 감지도(detectability) 간의 절충이 얻어진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D2D 통신에 관여된 실질적으로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무선통신장치들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기지국은 상황에 따른 제어 하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무선통신장치들을 구성한다. 그래서, 합법적 인터셉션의 감지도(detectability)는 가능한 한 많이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는: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지국(further base station); 및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와 추가적인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재구성하기 위한 컴바이너(combiner);를 더 포함한다.
그래서, D2D 통신 채널의 인터셉션은 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의 인터셉션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기지국들로부터 인터셉팅되는 무선 신호는 컴바이너에 의해 결합되어, 결합물(combination)이 획득되며, 이 결합물로부터 통신 데이터가 디코딩될 수 있다. 유익하게는, 더 나은 전체 수신 품질이 획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에 의한 무선 신호의 수신 품질이 불충분한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추가적인 기지국이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추가적인 기지국은 인터셉션에서 선택적으로 채용된다.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기지국은 추가적인 기지국에 의한 무선 신호의 수신 품질의 추정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선택된다. 유익하게는, 추가적인 기지국은 무선 신호의 최적 수신 품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선택된다.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기지국에 의한 무선 신호의 수신 품질의 추정은 D2D 통신 채널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지리적 거리의 추정을 기초로 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하라고 추가적인 기지국에 요청하도록 배치된다. 유익하게는, 예컨대, 대상자가 하나의 기지국의 범위로부터 다른 것으로 물리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합법적 인터셉션이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것으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는 기지국과 추가적인 기지국 사이에서 제공되는 신호 인터페이스(signal interface)를 더 포함하고, 신호 인터페이스는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하라고 기지국이 추가적인 기지국에 요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된다. 유익하게는, 신호 인터페이스는 eNodeB들 간의 합법적 인터셉션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3GPP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eNodeB들 간의 X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신호 인터페이스를 확장함으로써 제공된다.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술한 변경들 및 변형들에 상응하는 상기 방법 및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변경들 및 변형들은 본 설명을 기초로 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유익한 선택적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고 모바일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요청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기 위하여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통신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LTE 맥락에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은 D2D 통신 채널의 수립 및 통신 데이터의 인터셉션을 나타내는 메시지 교환을 도시한다;
도 6은 추가적인 기지국의 이용을 수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추가적인 기지국의 이용을 수반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상의 관점들 및 다른 관점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로부터 명확하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아이템(item)들은 동일한 구조적 특징들 및 동일한 기능들을 가지거나 동일한 신호들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아이템의 기능 및/또는 구조가 설명된 경우에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그것의 반복된 설명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를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은 흔히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라고도 지칭되는데, 모바일 네트워크(MN)를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의 정상적인 동작(normal operation)일 수 있는데, 즉, 이러한 통신 데이터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은 선택에 의해(by selection)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추가로 배치된다. D2D 통신 채널은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도 1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D2D 통신 채널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UEl, UE2 간에 교환되는 무선 신호로 구성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모바일 네트워크(MN)는 기지국(ENB1)을 포함한다. 기지국(ENB1)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UEl)와 모바일 네트워크 간의 제어 채널(CC1)을 수립하도록 배치된다. 제어 채널(CC1)은 도 1에서 추가적인 파선으로 도시된다. 제어 채널(CC1)은 모바일 디바이스(UEl)와 모바일 네트워크(MN) 간의 제어 데이터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모바일 네트워크(MN)는 컨트롤러(010)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010)는, 제어 채널(CC1)을 통하여,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UE2)와의 D2D 통신 채널(D2D)을 수립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컨트롤러(010)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제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배치된다. 도 1은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nternal network interface)(S1)를 통하여 기지국(ENB1)에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010)를 도시한다. 결과적으로, D2D 제어 데이터는 컨트롤러(010)와 기지국(ENB1) 간의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SI) 및 기지국(ENB1)과 모바일 디바이스(UEl) 간의 제어 채널(CC1)을 이용함으로써 컨트롤러(010)와 모바일 디바이스(UEl)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컨트롤러(010)는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010)는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수락(allow)하거나 거절(deny)할 수 있다. 컨트롤러(010)는 이하의 동작(operation)들을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하게(operatively) 배치된다. 컨트롤러(010)는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인터셉션 요청을 수신한다. 인터셉션 요청에는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다. 컨트롤러(010)는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면, 컨트롤러(010)는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고 기지국(ENB1)에 요청한다. 게다가, 기지국(ENB1)은 컨트롤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도록 배치된다.
합법적 인터셉션 요청의 대상자인 가입자가 모바일 디바이스(UEl) 또는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UE2)에 의해서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고, 모바일 디바이스(UEl)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l)라고도 지칭되며,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UE2)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라고도 지칭된다. 그래서, 타겟 디바이스는 제1 모바일(UEl) 또는 제2 모바일(UE2)일 수 있다. 기지국(ENB1)에 의해 인터셉팅되는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로부터의 무선 신호(RS)일 수 있다. 가입자가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에 의해서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중이고 기지국(ENB1)이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1)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고 있는 중이라도, 무선 신호(RS)로부터 디코딩될(decoded) 수 있는 통신 데이터는 이러한 통신 데이터가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1)로부터 직접 유래된 것이 아니라도 합법적 인터셉션에 있어서 여전히 그리고 전형적으로 가치가 크다.
도 1은 추가적인 기지국(ENB2) 및 도 3을 참조하여 논의될 D2D 통신에 관여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UE3-UE6)을 더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모바일 네트워크(MN)에서 이용되는 방법(100)을 도시한다. 방법(100)은, "인터셉션 요청을 수신함(RECEIVING INTERCEPTION REQUEST)"이라고 명칭이 붙은 제1 단계에서,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것(120)을 포함한다. 방법(100)은, "타겟 디바이스의 참여를 판단함(DETERMINING PARTICIPATION OF TARGET DEVICE)"이라고 명칭이 붙은 제2 단계에서,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140)을 더 포함한다. 방법(100)은, "D2D 통신을 인터셉팅함(INTERCEPTING D2D COMMUNICATION)"이라고 명칭이 붙은 제3 단계에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을 인터셉팅하기 위하여 기지국을 이용하는 것(160)을 더 포함한다. 제3 단계의 실행은 가입자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지 여부를 조건으로 한다는 점이 주목되고, 이것은 도 2에서 조건판단 단계(conditional step)(S)를 포함함으로써 도시된다.
제어 소프트웨어는 모바일 네트워크(MN)의 장비 상에서의 실행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소프트웨어는 방법(100)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한(operative)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즉,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20);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가입자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40); 및 가입자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을 인터셉팅하기 위하여 기지국을 이용하는 단계(160);를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UE1)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특히, 도 3은 무선통신장치(RDl)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UE1)를 도시한다. 무선통신장치(RDl)는 D2D 통신 채널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인데, 즉,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UE2)에 무선 신호(RS)를 송신하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UE2)로부터 무선 신호(RS)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무선 신호(RS)가 함께 D2D 통신 채널을 구성한다. 용어 무선통신장치(radio)는 무선 주파수 회로(radio frequency circuit)를 지칭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무선통신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UE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무선 안테나(radio antenna)(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RDl)는 제어 채널(CCl)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네트워크(MN)와의 다른 통신을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하지만, 이것은 제한이 아닌데, 대신 모바일 디바이스(UE1)가 모바일 네트워크(MN)와의 통신을 위한 별개의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선통신장치(RDl)는 모바일 네트워크(MN)에 의해 원격으로 구성가능할(configurable) 수 있다. 특히, 기지국(ENBl)은 무선통신장치(RDl)에 의해 이용되는 무선 자원(들)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어 채널(CCl)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통신장치(RDl)를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자원의 예는 통신이 이루어지는 주파수(frequency)이다. 다른 예는 신호 강도(signal strength)이다.
기지국(ENBl)은 구체적으로 D2D 통신에서 이용되는 무선 자원(들)을 제어할 목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통신장치(RDl)를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기지국(ENBl)은 D2D 통신 채널에서 이용되는 무선 신호(RS)의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무선 자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 신호(RS)의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되거나 조정된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무선 신호(RS)가 모바일 디바이스(UE1)에 대해 더 먼 거리에서 수신가능한(receivable) 것, 및/또는 예컨대 무선 신호(RS)가 이전에 더 좋지 않게 수신가능했었던 모바일 디바이스(UE1)에 대한 거리에서 무선 신호(RS)의 수신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을 초래한다. 특히, 기지국(ENBl)은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 파라미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통신장치(RDl)를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 파라미터는: 신호 강도 및 주파수의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을 정의한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 신호(RS)의 신호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및/또는 전송 범위가 증가되도록 무선 신호(RS)의 주파수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낮은 주파수가 선택될 수 있다. 유사하게, D2D 통신을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큰 신호 강도가 선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무선 신호(RS)가 기지국(ENBl)에 의해 더 잘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ENBl)은 컨트롤러(010)의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도록 무선통신장치(RDl)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기지국(ENBl)은, 예컨대, 무선 신호(RS)의 수신이 불충분하다면, 무선통신장치(RDl)를 독자적으로(autonomously)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기지국(ENBl)은 또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가 기지국(ENBl)에 연결되어 있다면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 신호(RS)의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통신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도 1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는 대신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결과적으로,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와 모바일 네트워크(MN) 간의 제어 채널(CC2)은 추가적인 기지국(ENB2)을 통하여 수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지국(ENB2)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 신호(RS)의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통신장치를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 신호(RS)는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의해 더 잘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추가적인 기지국(ENB2)은 기지국(ENB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즉, 이것은 또한 컨트롤러(01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추가적인 기지국(ENB2)은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는 요청에 응답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통신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추가적인 기지국(ENB2)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통신장치를 독자적으로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복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UE3-UE6)을 더 도시하는데, 이들 또한 D2D 통신에 관여되어 있다. 그 결과, 제3 모바일 디바이스(UE3)와 제4 모바일 디바이스(UE4) 간에 별개의 D2D 통신 채널이 존재하고, 제5 모바일 디바이스(UE5)와 제6 모바일 디바이스(UE6) 간에 다른 별개의 D2D 통신 채널이 존재한다. 한편으로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 신호(RS)와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UE3-UE6) 중의 하나의 무선 신호와의 차이들을 측정함으로써 자신이 합법적 인터셉션의 대상자라는 것을 그 대상자가 감지하는 것을 막거나 더욱 어렵게 하기 위해서, 기지국(ENB1)은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통신장치(RDl)를 구성할 때,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D2D 통신에 관여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UE3-UE6)의 무선통신장치들도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이것은 D2D 통신에 관여된 실질적으로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무선통신장치들, 예컨대, 제3 모바일 디바이스(UE3), 제4 모바일 디바이스(UE4), 제5 모바일 디바이스(UE5), 및 제6 모바일 디바이스(UE6)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통신장치는 또한 이것이 예컨대 기지국(ENB1)에 의해서 그렇게 수행되지 않았다면 상황에 맞춰(accordingly)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ENB1)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선택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들의 무선통신장치들은 D2D 통신 채널의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1) 및/또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에 대한 지리적 거리의 추정(estimate)을 기초로 하여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1) 및/또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에 상대적으로 근접(close proximity)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만이 상황에 맞춰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이것은 제3 모바일 디바이스(UE3)와 제4 모바일 디바이스(UE4)가 상황에 맞춰 구성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는 반면에, 제5 모바일 디바이스(UE5)와 제6 모바일 디바이스(UE6)가 상기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특별히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MN)로 하여금 모바일 네트워크(MN)에 연결된 두 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지리적 거리를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원격통신(telecommunication)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추정은,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handover)가 일어나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해 기지국들에 주기적으로 보내지는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추정은 상이한 기지국들에 의한 삼변 측량(trilateration) 또는 삼각 측량(triangulation), GPS-기반 위치 정보 등을 기초로 할 수 있다.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예컨대, 합법적 인터셉트의 대상자가 D2D 통신에 관여되어 있는 동안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무선통신장치들이 무선 신호의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도 4 내지 도 7은 LTE 맥락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LTE라는 맥락은 제한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된다. 특히, 모바일 네트워크(MN), 컨트롤러(010), 기지국(ENBl) 및/또는 추가적인 기지국(ENB2)이 특정한 기능 또는 목적을 위해 배치된다는 것에 대한 언급은 일반적으로, 즉, LTE 맥락 밖에서도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의 내용은 합법적 인터셉션에 관한 ETSI 기술 위원회(Technical Committee)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합법적 인터셉션(Lawful Interception)에 관한 개념 및 용어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법 집행 기관(Law Enforcement Agency(LEA)): 인터셉션 조치(interception measures)를 요청하고 원격통신 인터셉션의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국가의 법률을 기초로 하여 합법적 인증(lawful authorization)에 의해 공인된 조직(organization);
- 법 집행 모니터링 시설(Law Enforcement Monitoring Facility(LEMF)): 인터셉션의 결과에 대한 전송 목적지로서 지정된 시설(facility);
- 중재 기능(Mediation Function(MF)): i) 네트워크 오퍼레이터(network operator), 액세스 제공자(access provider), 또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와 ii) HI(Handover Interface)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메커니즘(mechanism), 및/또는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nternal Network Interface)와 핸드오버 인터페이스(Handover Interface)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메커니즘;
- 인터셉션 관련 정보(Intercept Related Information(IRI)): 인터셉션의 대상자를 포함하는 원격통신 서비스들과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 통신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성공적이지 않은 통신 시도들(unsuccessful communication attempts)을 포함함), 서비스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가입자에 의한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service profile management)) 및 위치 정보의 집합(collection);
- 통신의 내용(Content of Communication(CC)): 인터셉션 관련 정보(Intercept Related Information)를 제외한, 원격통신 서비스의 둘 이상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
- 인터셉션의 대상자(Subject of Interception): IRI만을 인터셉팅하거나 IRI 및 CC의 조합을 인터셉팅하도록 MNO가 영장(warrant)을 받은 가입자.
인터셉션 요청에 의해 지적된 가입자는 상술한 인터셉션의 대상자에 상응하고,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는 상기 통신의 내용에 상응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도 4는 LTE 맥락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기지국(ENB1)은 eNodeB의 형태로 도시된다. 게다가, 제어 채널(CC1, CC2)을 통하여 eNodeB(ENB1)에 연결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UE1)와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가 도시된다. 게다가, LEMF가 도시된다. LEMF는 모바일 네트워크(MN)의 일부가 아니라 외부 시설(external facility)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도 4는 모바일 네트워크(MN)와 LEMF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그리고 특히 인터셉팅된(intercepted) 통신 데이터의 LEMF로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핸드오버 인터페이스들(HI1-HI3)을 추가로 도시한다. 제1 핸드오버 인터페이스(HI1)는 소위 관리 인터페이스(administrative interface)이고, LEMF를 통하여 모바일 네트워크(MN)와 LEA 간의 다양한 종류의 관리 정보(administrative information)를 전송하는 데에 이용된다. 제2 핸드오버 인터페이스(HI2)는 모바일 네트워크(MN)로부터 LEMF에 IRI를 전송하는 데에 이용된다. 제3 핸드오버 인터페이스(HI3)는 CC를 LEMF에 전송하는 데에 이용된다. 도 4는 복수의 기능들, 특히, 관리 기능(administration function)(ADMF), 전송 기능(delivery function)(DF2), 및 추가적인 전송 기능(further delivery function)(DF3)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 기능들은 모바일 네트워크(MN) 내에서 기능적인 개체들(functional entities)을 구성하고, 이것은 모바일 네트워크(MN)의 다양한 장비 상에서, 예컨대 상이한 서버들, 또는 동일한 서버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관리 기능(ADMF)은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020)의 가능한 실시예를 구성한다. ADMF는 LI의 실행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DMF는 모바일 네트워크(MN) 내의 다른 개체들에게 특정한 가입자의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특히, ADMF는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X1)를 통하여 인터셉션 요청을 컨트롤러(010)에 발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3GPP 사양(specification) TS 33.107에 있어서, LI를 위한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은 X 및 핸드오버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숫자를 가지고 라벨링된다(labeled)는 점이 주목된다. 결과적으로, ADMF를 위한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X1이라고 라벨링되고 지칭된다. 나아가, 제1의 X1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Xl_l라고 지칭되고, 제2의 것은 X1_2라고 지칭되는 식이다.
인터셉팅된 통신 데이터는 전송 기능(delivery function)에 전송될(delivered) 수 있다. 전송 기능은 인터셉팅된 통신의 LEMF로의 전송에 대한 책임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제2 핸드오버 인터페이스(HI2)를 위한 전송 기능(DF2) 및 제3 핸드오버 인터페이스(HI3)를 위한 추가적인 전송 기능(DF3)을 도시한다. 도 4는 전송 기능들(DF2, DF3) 및 ADMF의 일부인 중재 기능(MF)을 더 도시한다. 중재 기능(MF)은 3GPP 사양 TS 33.107에 의해 정의되고, 국가의 요구조건들 및 프로토콜에 따라서 IRI 및 CC를 LEMF에 전송한다.
도 4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형태로 구현되는 컨트롤러(010)를 도시한다. 하지만, 이것은 제한이 아닌데, 컨트롤러(010)는 모바일 네트워크(MN) 내에서 다른 개체에 의해 동등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MME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LTE D2D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들을 수신한다. 가입자들이 인증되는지(authorized) 여부를 기초로 하여, MME는 상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LTE D2D 통신의 수립을 제어한다. MME는 또한 LTE D2D 통신의 LI의 활성화(activation) 및 비활성화(deactivation)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LI를 제공하기 위한 도 4의 모바일 네트워크(MN) 내에서의 메시지 교환을 예로 보인다. 여기서, ADMF는 특정한 가입자의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고 MME에 요청한다. 따라서, MME가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와의 LTE D2D 통신을 수립하기 위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l)로부터 요청 "REQ LTE D2D[U2E]"를 수신하는 경우에, MME는 요청 "ACC LTE D2D"의 수신확인(acknowledge)을 제공하고, "CHCK"라고 명칭이 붙은 단계에서, 요청의 개시인(initiator), 즉,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l), 및/또는 수신인(recipient), 즉,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가 인터셉션의 대상자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MME는 메시지 "STRT D2D UE"를 가지고 전송 기능(DF2)을 통하여 D2D 통신의 시작을 시그널링한다(signal). 게다가, MME는 메시지 "ACT LI[UE]"를 통하여 eNodeB(ENB1) 상에서 LI를 요청하고 활성화한다. 응답으로, eNodeB(ENB1)는 LTE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의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l)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무선통신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eNodeB(ENB1)는 LTE D2D 제어 채널(들)(CC1)을 통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l)와 교환되는 제어 데이터를 인터셉팅한다.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eNodeB(ENB1)는 IRI 이벤트(event) 및 정보를 생성하고, 메시지 "DELVR D2D CTRL UEl"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 기능(DF2)에 전송한다. 게다가, eNodeB(ENB1)는 LTE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함으로써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l)와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 사이에서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한다. eNodeB(ENB1) 또는 다른 디코딩 개체(decoding entity)는 무선 신호(RS)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메시지 "DELVR D2D COMM UE"를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CC로서 추가적인 전송 기능(DF3)에 전송한다.
모바일 네트워크(MN)가 두 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 간의 LTE D2D 통신을 위한 기밀 보호를 제공하는 경우에, 모바일 네트워크(MN)는 전형적으로 두 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에 하나 이상의 암호화 키(cryptographic key)를 제공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암호화 키들은 LTE 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MN)가 이러한 암호화된 LTE D2D 통신을 위한 LI를 제공하기 위하여, 모바일 네트워크(MN)는 암호화 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모바일 네트워크(MN)는 CC로서 LEMF에 전송하기 전에 암호화된 통신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LTE의 맥락에서 이하를 처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두 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 간의 LTE D2D 통신이 eNodeB(ENBl)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일어나는 경우에, eNodeB(ENBl)가 LTE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를 정확하게 수신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eNodeB(ENBl)가 이러한 무선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에는 LTE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의 신호 강도가 너무 낮을 수 있다는 점 때문일 수 있다. 도 6 및 7의 실시예는 무선 신호(RS)의 LI에 참여하는 복수의, 즉, 둘 이상의 eNodeB들을 제공한다. 특히, eNodeB(ENBl) 외에도, 추가적인 eNodeB(ENB2)가 제공된다. 도 6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와 모바일 네트워크(MN) 간의 제어 채널(CC2)을 수립한 추가적인 eNodeB(ENB2)를 도시한다. 하지만,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 즉, 제어 채널(CC2)을 통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제어 없이도 추가적인 eNodeB(ENB2)가 무선 신호(RS)의 LI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6 및 도 7의 모바일 네트워크(MN)는 eNodeB(ENBl)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RS) 및 추가적인 eNodeB(ENB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LTE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를 재구성하기(reconstructing) 위한 컴바이너(D2D-LISF)를 더 포함한다. 컴바이너는 특정한 LI 기능, 예컨대, D2D LI 지원 기능(support function)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컴바이너(D2D-LISF)는 X3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추가적인 전송 기능(DF3)에 대한 재구성의 결과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모바일 네트워크(MN) 내의 별개의 개체인 컴바이너(D2D-LISF)를 도시하는 반면에, 도 7은 eNodeB(ENBl)의 일부인, 즉 eNodeB(ENBl)에 포함된 컴바이너(D2D-LISF)를 도시한다는 점에서,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들이 상이하다는 점이 주목된다. 명확성을 위해서, 도 7은 ADMF 및 LEMF을 추가로 도시하는 것을 생략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복수의 eNodeB들을 이용하는 LI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eNodeB(ENBl)가 특정한 대상자의 LTE D2D 통신을 인터셉팅하라고 컨트롤러(010)에 의해서 지시를 받는 때에, eNodeB(ENBl)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해 eNodeB들에 주기적으로 보내지는 측정 리포트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UE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UE2)의 추정된 위치를 기초로 하여, eNodeB(ENBl)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 간의 LTE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는 데에 어떠한 추가적인 eNodeB(들)가 이용될 수 있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eNodeB(ENBl)는 LI를 지원하라고 X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신호 인터페이스(radio access network signal interface)를 통하여 추가적인 eNodeB(들)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X2 인터페이스는 전송 기능(DF2)에 대한 X2 인터페이스와는 다르다는 점에서 주목되며, 전자는 eNodeB들 간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신호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후자는 IRI의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eNodeB(ENBl)는 예컨대, D2D 제어 데이터 및/또는 인터셉션 요청의 형태로, 특정한 LTE D2D 통신 채널을 식별시키는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eNodeB들(ENBl, ENB2) 각각은 수신된 무선 신호를 컴바이너(D2D-LISF)에 제공할 수 있고, 컴바이너(D2D-LISF)는 수신된 무선 신호들을 결합시킬 수 있고, 이후, 결합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디코딩해서, 통신 데이터를 획득하고 X3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CC로서 추가적인 전송 기능(DF3)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eNodeB들을 이용하는 LI는 원격통신 분야 및 특히 LTE 분야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은 CoMP(Coordinated Multipoint) 수신 기술을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LI를 수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eNodeB들을 동시에 이용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eNodeB(ENBl), 즉, 출발지(originating) eNodeB의 셀(cell)로부터 추가적인 eNodeB, 즉, 목적지(destination) eNodeB의 셀로 이동할 때, LI를 수행하는 작업은 eNodeB(ENBl)로부터 추가적인 eNodeB로 핸드오버될(handed over) 수 있다. LI를 수행하는 작업은 컨트롤러(010)에 의해 및/또는 출발지 eNodeB에 의해 핸드오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출발지 eNodeB는 예컨대, 인터셉션 요청, D2D 제어 데이터 및/또는 무선 자원 파라미터를 목적지 eNodeB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출발지 eNodeB가 LI 작업을 목적지 eNodeB에 핸드오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3 GPP에 의해 정의된 X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신호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확장된, 양쪽 eNodeB들 간의 X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신호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ENBl)이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라고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요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출발지 eNodeB는 모바일 네트워크(MN) 내의 컨트롤러(010) 또는 다른 개체에게 LI 작업의 핸드오버를 리포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ENB1)에 의한 무선 신호의 수신 품질이 불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면 추가적인 기지국(ENB2)이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인 기지국(ENB2)은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의한 무선 신호(RS)의 수신 품질의 추정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의한 무선 신호(RS)의 수신 품질의 추정은 D2D 통신 채널의 모바일 디바이스(UEl) 및/또는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UE2)에 대한 지리적 거리의 추정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리적 거리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기지국 간의 위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수립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제한이 아니라 예시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하고, 통상의 기술자들은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청구항들에 있어서, 괄호 안에 배치된 임의의 참조 부호들이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동사 "포함하다" 및 그 활용형들의 사용은 청구항에서 언급된 것들 이외의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시키지 않는다. 엘리먼트의 단수 표현은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복수의 존재를 배제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구별되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고, 적절하게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수단들을 나열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이러한 여러 개의 수단들은 하나 및 동일한 하드웨어 아이템(item)에 의해서 구체화될 수 있다. 특정 방법들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서 언급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 방법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Claims (16)

  1.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MN)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선택에 의해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To-Device)[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되고,
    모바일 네트워크는:
    - 모바일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UE1) 사이에서 제어 채널(control channel)(CC1)을 수립하기 위한 기지국(base station)(ENB1); 및
    -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하여, i)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further mobile device)(UE2)와 D2D 통신 채널(D2D)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ii)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제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010);
    를 포함하고,
    컨트롤러(010)는:
    i) 가입자(subscriber)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interception request)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lawful intercept controller)(020)로부터 수신하는 것;
    ii) 상기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상기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target device)가 D2D 통신 채널(D2D)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및
    iii)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D2D)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통신 채널(D2D)을 통하여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셉팅하라고(intercept) 기지국(ENB1)에 요청하는 것;
    을 수행하도록 배치되고,
    기지국(ENB1)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adio signal)(RS)를 인터셉팅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지국(ENB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RS)의 전송 범위(transmission range)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어 채널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통신장치(radio)(RDl)를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3.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지국(ENB1)은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 파라미터(radio resource parameter)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통신장치(RDl)를 구성하도록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 파라미터는: 신호 강도 및 주파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4.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지국(ENB1)은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통신장치(RDl)를 구성할 때, 상기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D2D 통신에 관여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UE3, UE4)의 무선통신장치들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5.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지국(ENB1)은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UE1)의 무선통신장치(RDl)를 구성할 때, 상기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타겟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D2D 통신에 관여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UE3, UE4)의 무선통신장치들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6. 청구항 4에 있어서,
    기지국(ENB1)은 D2D 통신 채널(D2D)의 모바일 디바이스(UEl) 및/또는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UE2)에 대한 지리적 거리(geographical distance)의 추정을 기초로 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UE3, UE4)을 선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7. 청구항 1에 있어서,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지국(further base station)(ENB2); 및
    기지국(ENB1)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와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D2D)의 무선 신호(RS)를 재구성하기 위한 컴바이너(combiner)(D2D-LISF);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8. 청구항 7에 있어서,
    기지국(ENB1)에 의한 무선 신호의 수신 품질(reception quality)이 불충분하다고 여겨지는 경우에 추가적인 기지국(ENB2)이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9. 청구항 7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지국(ENB2)은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의한 무선 신호(RS)의 수신 품질의 추정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의한 무선 신호(RS)의 수신 품질의 추정은 D2D 통신 채널(D2D)의 모바일 디바이스(UEl) 및/또는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UE2)에 대한 지리적 거리의 추정을 기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11. 청구항 7에 있어서,
    기지국(ENBl)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D2D 통신 채널(D2D)의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라고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요청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기지국(ENBl)과 추가적인 기지국(ENB2) 사이에서 제공되는 신호 인터페이스(signal interface)(X2)를 더 포함하고, 신호 인터페이스(X2)는 D2D 통신 채널(D2D)의 무선 신호(RS)를 인터셉팅하라고 기지국(ENBl)이 추가적인 기지국(ENB2)에 요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UE1, UE2)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MN).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라서 모바일 네트워크(MN)에서 이용하도록 구성된 기지국(ENBl).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라서 모바일 네트워크(MN)에서 이용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010).
  15.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100)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선택에 의해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되고,
    모바일 네트워크는:
    - 모바일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 사이에서 제어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기지국; 및
    -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하여, i)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ii)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제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i)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20);
    ii) 상기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상기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40); 및
    iii)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을 인터셉팅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을 이용하는 단계(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100).
  16.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의 장비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200)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선택에 의해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배치되고,
    모바일 네트워크는:
    - 모바일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 사이에서 제어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기지국; 및
    -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하여, i)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통신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ii)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제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의 수립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i) 가입자가 표시되어 있는 인터셉션 요청을 합법적 인터셉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20);
    ii) 상기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상기 가입자와 연관된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40); 및
    iii)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D2D 통신 채널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 D2D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D2D 통신 채널의 무선 신호를 인터셉팅함으로써 D2D 통신 채널을 인터셉팅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을 이용하는 단계(160);
    를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의 장비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200)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7010514A 2012-10-29 2013-10-25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의 인터셉팅 KR101739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0362.9 2012-10-29
EP12190362 2012-10-29
PCT/EP2013/072414 WO2014067875A1 (en) 2012-10-29 2013-10-25 Intercep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865A KR20150060865A (ko) 2015-06-03
KR101739666B1 true KR101739666B1 (ko) 2017-05-24

Family

ID=4714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514A KR101739666B1 (ko) 2012-10-29 2013-10-25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의 인터셉팅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4851B2 (ko)
EP (1) EP2912866B1 (ko)
KR (1) KR101739666B1 (ko)
CN (1) CN104885492B (ko)
WO (1) WO2014067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3734B1 (en) 2012-09-06 2016-04-27 Koninklijke KPN N.V. Establishing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ession
WO2014107208A1 (en) 2013-01-03 2014-07-1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lawful interception (li) in a cellular network
US9532213B2 (en) 2013-01-17 2016-12-27 Intel IP Corporation Lawful interception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US9350662B2 (en) * 2014-07-18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Server medi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offloading from network infrastructure
US9883426B2 (en) * 2014-07-31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reporting for handover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EP3101931B1 (en) 2015-06-04 2018-03-14 BlackBerry Limited Capturing data from a mobile device in an off-network environment
EP3101930B1 (en) * 2015-06-04 2018-11-07 BlackBerry Limited Capturing data from a mobile device through group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4638A1 (en) 2011-10-17 2013-04-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recognitive Lawful Intercept In Group Call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397A (ja) 2001-03-23 2002-10-04 Iryo Joho Syst Kaihatsu Center セキュア通信方法
CN1549612A (zh) * 2003-05-19 2004-11-2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点到点对等通信的上行链路同步保持的方法和装置
JP2005244534A (ja) 2004-02-26 2005-09-08 Hitachi Ltd 暗号通信装置および暗号通信方法
JP4714482B2 (ja) 2005-02-28 2011-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暗号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525392B2 (ja) 2005-03-08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移動通信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60248337A1 (en) 2005-04-29 2006-11-02 Nokia Corporation Establishment of a secure communication
US8576846B2 (en) 2005-10-05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d hoc wireless network
US8122240B2 (en) 2005-10-13 2012-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security association
US7817986B2 (en) 2006-04-28 2010-10-1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ellular assisted secure communications of a plurality of ad hoc devices
JP5242683B2 (ja) * 2007-08-10 2013-07-2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ip)ドメインでの監視における又はこれに関連する改良
US8578450B2 (en) 2008-06-20 2013-1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s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using secure peer-to-peer communications
US8862872B2 (en) 2008-09-12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Ticket-based spectrum authorization and access control
US8548467B2 (en) 2008-09-12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Ticket-based configuration parameters validation
WO2010150813A1 (ja) 2009-06-23 2010-12-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暗号鍵配布システム
WO2011117677A1 (en) 2010-03-24 2011-09-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key management
US8819244B2 (en) 2010-04-07 2014-08-26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utilizing backup communication channels
US9344248B2 (en) * 2010-11-12 2016-05-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assistance data signaling for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S2713081T3 (es) * 2011-08-01 2019-05-17 Intel Corp Comunicación oportunista dispositivo a dispositivo
US8713314B2 (en) 2011-08-30 2014-04-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occuring keying system
US9351196B2 (en) * 2012-08-31 2016-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yte ca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2893734B1 (en) 2012-09-06 2016-04-27 Koninklijke KPN N.V. Establishing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e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4638A1 (en) 2011-10-17 2013-04-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recognitive Lawful Intercept In Group Cal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SA WG1 Meeting #57, 'Proximity Aware Service Consideration on Lawful Interce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7875A1 (en) 2014-05-08
CN104885492B (zh) 2020-03-17
EP2912866B1 (en) 2019-04-17
US9444851B2 (en) 2016-09-13
CN104885492A (zh) 2015-09-02
KR20150060865A (ko) 2015-06-03
US20150288724A1 (en) 2015-10-08
EP2912866A1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666B1 (ko)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의 인터셉팅
CN110351777B (zh) 指示业务分流的方法和装置
JP5998220B2 (ja) ローカライズドアプリケーション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863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improving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25550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448286B2 (en) Mobility i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N106455060B (zh) 一种呼叫方法、装置、终端及核心网系统
CA2655603A1 (en) Network selection
US113370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authentication techniques using network-implemented location determination
US20140134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rging information of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51568A (ko) 이동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프락시미티 기반 서비스 단말 간 발견 및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보안 방안 및 시스템
KR102116488B1 (ko) 키를 설정하고 전송하는 방법
US10004029B2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restriction control method, and broadcast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KR102094674B1 (ko)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핸드오버 성능들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핸드오버 성능들을 발견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자 장비,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JP5883544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方法、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ユーザ機器、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基地送受信局、及びプログラム
US10492056B2 (en) Enhanced mobile subscriber privacy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Perez LTE and LTE advanced: 4G network radio interface
US20230337262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CN113557699A (zh) 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核心网络设备和方法
US97499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rog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50281438A1 (en) Selective call blocking and call re-direction
CN118301634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