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909B1 - 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909B1
KR101738909B1 KR1020100045602A KR20100045602A KR101738909B1 KR 101738909 B1 KR101738909 B1 KR 101738909B1 KR 1020100045602 A KR1020100045602 A KR 1020100045602A KR 20100045602 A KR20100045602 A KR 20100045602A KR 101738909 B1 KR101738909 B1 KR 10173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unit
housing
condensed water
exhaust gas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5949A (en
Inventor
지상준
이동훈
김봉석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909B1/en
Publication of KR2011012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9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용 버퍼 유닛은 중공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순환응축방식으로 구동되는 음식물 처리기에서 버퍼 유닛의 내부에 한쌍으로 이루어진 감지핀을 설치하여 버퍼 유닛 내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A buffer unit for a food processor capable of detecting a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housing and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housing for measuring a level of condensed water in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sensing p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ensing pins are provided in a buffer unit in a food processor driven by a circulating condensation system to effectively control the level of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buffer unit.

Description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용 버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unit for a food processor capable of detecting a water level and a food waste disposer having the buffer unit.

본 발명은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버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핀이 부설된 수위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정확하게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버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unit capable of detecting a water level and a food waste disposer having the buffer uni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unit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water level by mounting a water level sensor provided with a sensing pin, Processor.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고온고습의 악취유발 배기가스를 단시간 내에 배출하며 특히 최근 프리스탠딩 타입의 음식물처리기가 대두되면서 고온고습 및 대량의 배기가스 처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Food waste disposer discharges odor - induced exhaust ga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n food waste in a short period of time. Especially recently, free standing type food waste disposal machine is emerging and interest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large amount of exhaust gas treatment is increasing.

고온고습 및 단시간 내 대량 수분 배출이라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순환응축방식 음식물처리방식이 최근에 여러가지 형태로 고안되고 있다. 상기의 순환응축방식은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열교환을 이용하여 수분을 응축하여 제거한 후 상기 저온저습화된 배기가스를 건조로 내부로 재순환하는 방식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food waste disposal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l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 in a short time, circulating condensation type food waste treatment method has been recently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 circulation condensation system is a system in which exhaust gas is condensed and removed by heat exchange, and then the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exhaust gas is recirculated into the drying furnace.

건조로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일반적으로 응축수 저장용 버퍼 유닛과 열교환기 등을 거치면서 냉각이 이루어져 응축수가 생성되는데, 상기 응축수는 별도의 배출 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버퍼 유닛에 저장된 응축수의 배출시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작업을 통해 직접 응축수를 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버퍼 유닛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확인한 후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drying furnace generally flows through a buffer unit for storing condensed water and a heat exchanger to generate condensed water. The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separate discharge pump. Conventionally, when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buffer unit, the condensed water is directly discharged through manual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is method, the user has to check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n the buffer unit, do.

한편, 최근에는 버퍼 유닛 내에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버퍼 유닛 내에 상존하는 습한 배기가스가 상기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발생하게 하여 정확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하는데에 어려움을 가져오게 한다.
In recent years, a method has been introduced in which a sensing sensor is mounted in a buffer unit to sense the level of condensed water. Even in this case, the wet exhaust gas existing in the buffer unit causes a malfun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making it difficult to detect the level of accurate condensed wat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감지핀을 적정거리로 이격배치함으로써 정확하게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버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ffer unit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the level of condensed water by disposing a plurality of sensing pins at appropriate distances so as to stably detect the level of stored condensed water, and a food processor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용 버퍼 유닛은 중공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ffer unit for a food processor, the buffer unit including a hollow housing, and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measuring a level of condensed water in the housing, The level detecting sensor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sensing p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감지핀은 7mm 이상 15mm 이하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한 쌍의 감지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pin may include a pair of sensing pins that maintain a distance of 7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센서 거치부에 체결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fastened to a sensor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housing.

상기 감지핀 사이에는 비통전 물질로 이루어진 차단막이 배치될 수 있다.A blocking layer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nsing pi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버퍼 유닛, 상기 버퍼 유닛과 연결되는 건조로, 및 배기가스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로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상기 버퍼 유닛 및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건조로에 재투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buffer unit, a drying furnace connected to the buffer unit, and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exhaust gas, The gas may be reintroduced into the drying furnace through the buffer unit and the heat exchanger.

상기 감지핀에 상기 하우징 내의 응축수가 접촉하여 통전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When the condensed water in the housing contacts the sensing pin to energize the condensed water, the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o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housing.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필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필터 모듈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의 배기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The food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odul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the exhaust gas in the housing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modul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순환응축방식으로 구동되는 음식물 처리기에서 버퍼 유닛의 내부에 한쌍으로 이루어진 감지핀을 설치하여 버퍼 유닛 내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감지핀이 응축수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통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지핀의 이격거리를 설정하고 감지핀 사이에 차단막을 설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불필요한 통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air of sensing pins are installed in the buffer unit in the food processor driven by the circulating condensation system, so that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buffer unit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In addition, unnecessary power supply can be prevented by setting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sensing pin and setting a shielding film between the sensing pins so that the current does not occur in a state where the sensing pin is not immersed in the condensed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퍼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감지센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5는 도 4의 B의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leve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and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4B.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버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buffer unit capable of detecting a water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ood processor having the buffer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퍼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감지센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5는 도 4의 B의 확대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4B.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음식물처리기(1000)의 전체적인 구조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ood processor 1000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버퍼 유닛을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1000)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음식물처리기(1000)는 건조로(100), 건조로(100) 상부에 배치되는 흡배기 모듈(200), 흡배기 모듈(200)과 가스배출유로(310)를 통해 연결되는 버퍼 유닛(400), 가스배출유로(310) 상에 배치되는 순환팬(300), 및 상기 건조로(100)와 가스흡입유로(510)를 통해 연결되는 열교환기(500)를 포함한다.A general structure of a food processor 1000 having a buffer unit capable of detecting a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food processor 1000 includes a drying furnace 100, an inlet and outlet module 200 disposed on the drying furnace 100, a buffer unit 400 connected to the inlet and outlet modules 200 through the gas discharge channel 310, A circulation fan 300 disposed on the discharge passage 310 and a heat exchanger 500 connected to the drying passage 100 through the gas suction passage 510. [

건조로(100)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 중공의 수용 부재이며, 바람직하게 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건조로(100)는 주조 과정으로 견고하게 제작되어질 수 있고, 분쇄 스크류(미도시)가 그 내부에 배치되어 분쇄 및 교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상기 건조로(100)에는 히터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분쇄 및 교반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건조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The drying furnace 100 is a hollow receiving member hav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charged food waste can be filled in a predetermined amount, and can be preferably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The drying furnace 100 can be firmly manufactured by a casting process, and a pulverizing screw (not shown) is disposed therein to enable pulverizing and stirring operations. In addition, a heater membe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drying furnace 100 so that the dry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during the grinding and stirring operation.

흡배기 모듈(200)은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배기 모듈(200)의 중앙부에는 건조로(100) 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덮개(250)가 구비된다. 건조로(100)에서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흡배기 모듈(200)에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흡배기 모듈(200) 내부에는 분리판(미도시)이 구비되어 그 내부를 상하부로 나누게 한다. 유입 배기가스와 배출 배기가스는 상기 분리판을 기준으로 각각 상하로 나누어 유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분리판을 통하여 열교환이 행해진다.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has a hollow tube shape. A lid 25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so that the lid 250 can be opened and closed to allow food waste to be introduced into the drying furnace 100. The exhaust gas discharged or introduced from the drying furnace 100 is subjected to mutual heat exchange in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A separate plate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to divide the inside thereof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flow of the inflow exhaust gas and the discharge exhaust gas is performed through the partition plate during the process of dividing up and down the partition plate.

버퍼 유닛(400)은 음식물처리기(10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서 형성되는 응축수를 하단부에 장착된 응축수 배출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버퍼 유닛(400)에는 내부의 응축수 양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센서(440)가 배치된다. 수위조절센서(440)에서 저장된 응축수량이 기 설정된 기준 수위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는 응축수 배출펌프(미도시)를 가동하도록 하여 응축수를 배출하게 한다.The buffer unit 400 is disposed below the food processor 1000 and discharges the condensed water formed from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buffer unit 400 to the outside using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ump (not shown) installed at the lower end. The buffer unit 40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44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densate water inside. When it is sensed that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water level sensor 440 reaches a preset reference level, the controller (not shown) activates a condensate drain pump (not shown)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한편, 버퍼 유닛(400)에 유입된 배기가스의 압력이 기 설정된 버퍼 유닛(400) 내부의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터 모듈(430)을 통해 배기가스의 일부가 배출됨으로써 압력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기준압력은 버퍼 유닛(400) 내에서 허용가능한 배기가스 압력값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Meanwhile, when the pressur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buffer unit 400 exceeds the reference pressure inside the predetermined buffer unit 400, a part of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module 430 to control the pressure. The reference pressure is defined as indica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allowable exhaust gas pressure value in the buffer unit 400.

열교환기(500)는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각팬(550)을 구비한다. 열교환기(500)에서 냉각이 이루어진 배기가스는 가스흡입유로(510)를 통해 건조로(100) 내부에 공급된다. 상기 열교환기(500)는 복수개의 컬럼(미도시)으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대한 다단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The heat exchanger (500) has a cooling fan (550)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o be introduced. The exhaust gas cooled in the heat exchanger 500 is supplied into the drying furnace 100 through the gas suction passage 510. The heat exchanger 500 includes a plurality of columns (not shown) to enable multi-stage cooling of the exhaust gas.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컬럼 사이에 각각 별개의 냉각핀(미도시)이 배치되고 상기 컬럼들 사이에는 완충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열교환기(500)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1차컬럼을 통해 유동하면서 1차냉각이 행해지고 완충공간을 거치면서 그 속도가 조절된 후에 2차컬럼에 유입되어 2차냉각이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기(500)는 다단으로 구성된 냉각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한 효율적인 열교환을 행하게 한다.
Specifically, separate cooling fins (not shown)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respectively, and a buffer space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columns.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heat exchanger 500 flows through the primary column while being subjected to the primary cooling and the speed thereof is adjus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buffer space,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ary column to perform the secondary cooling. As described above, the heat exchanger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efficient heat exchange with respect to the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multi-stage cooling system.

음식물 처리기(1000)에서의 배기가스의 흐름The flow of the exhaust gas in the food processor 1000

음식물 처리기(1000)에서의 배기가스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로(100)의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한 고온다습한 배기가스는 흡배기 모듈(200)을 거치고 순환팬(300)의 작동에 의해서 버퍼 유닛(400)으로 유동한다. 버퍼 유닛(400)에 유입된 배기가스 중의 수분은 버퍼 유닛(400) 내에서 자연냉각되어 응축수로 변환되거나 열교환기(500)에서 냉각되어 액체화된 상태로 다시 버퍼 유닛(400)에 유입된다. 버퍼 유닛(400)에 저장된 응축수는 버퍼 유닛(400) 하부에 장착된 응축수 배출펌프에 의해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The flow of the exhaust gas in the food processor 1000 will now be described.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food waste of the drying furnace 100 flows into the buffer unit 400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and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300. The moisture in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buffer unit 400 is naturally cooled in the buffer unit 400 to be converted into condensed water or cooled in the heat exchanger 500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buffer unit 400 in a liquid state.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buffer unit 400 is period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ump installed under the buffer unit 400.

열교환기(500)에서 냉각되어 수분이 저감된 저온저습의 배기가스는 흡배기 모듈(200)을 거쳐 건조로(100) 내로 재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로(100)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흡배기 모듈(200), 순환팬(300), 버퍼 유닛(400), 및 열교환기(500)을 거쳐 다시 건조로(100)로 재유입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순환응축되는 시스템을 이룬다.The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exhaust gas cooled by the heat exchanger 500 and reduced in moisture is re-introduced into the drying furnace 100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drying furnace 100 passes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the circulating fan 300, the buffer unit 400, and the heat exchanger 500, And the system is circulated and condensed through the process of re-entering.

한편, 본 발명은 버퍼 유닛(400) 내에 유입된 배기가스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터모듈(430)을 통해 일부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조절함에 의해서 버퍼 유닛(400)의 압력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한다.
Meanwhile, when the pressur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buffer unit 400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the pressure of the buffer unit 400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some exhaust gas through the filter module 430 Keep the state stable.

버퍼 유닛(400)의 구조 The structure of the buffer unit 40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버퍼 유닛(4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버퍼 유닛(400)은 상부 하우징(410), 하부 하우징(420), 상부 하우징(410)에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440), 및 상기 상부 하우징(410)에 연결되는 필터 모듈(430)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410)과 하부 하우징(420)은 결합되어 하우징으로 통칭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buffer unit 400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The buffer unit 400 includes an upper housing 410, a lower housing 420, a water level sensor 440 disposed on the upper housing 410, and a filter module 430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410 do.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may be combined to be referred to as a housing.

상부 하우징(410)은 그 상단에 건조로(100)에서의 배기가스가 인입되는 유입구(412) 및 열교환기(500) 측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유출구(416)를 구비하고, 필터 모듈(430)이 체결된다. 상부 하우징(410) 상에는 수위감지센서(440)가 부착되는 센서 거치부(415)가 형성된다.The upper housing 410 has an inlet 412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from the drying oven 100 is drawn and an outlet 416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ward the heat exchanger 500. The filter module 430, Respectively. On the upper housing 410, a sensor mounting portion 415 to which the level sensor 440 is attached is formed.

하부 하우징(420)은 상부 하우징(4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응축수의 저장 공간 기능을 하며, 하단에는 배수구(425)가 구비되어(도 4 참조) 응축수의 외부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하부 하우징(420) 내에는 격막(미도시)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요동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상부 하우징(410)과 하부 하우징(420)의 중간 결합부위에는 수밀부재(미도시)가 개재되어 응축수 내지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420 is located below the upper housing 410 and serves as a storage space for the condensed water and a drain port 42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o allow the condensed water to be discharged outside. Diaphragms (not shown)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wer housing 420 to prevent swinging of the condensed water stored therein. A watertight member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ed water or exhaust gas.

필터 모듈(430)은 그 내부의 탈취공간(미도시)에 배기가스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탈취제가 수용된다. 상기 탈취제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 종래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필터 모듈(430)의 일측에는 배기구(436)가 구비되어 탈취공간(미도시)에서 반응이 이루어진 배기가스는 내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배기구(436)를 통해 배기된다.
The filter module 430 receives a deodorant capable of removing the odor of the exhaust gas in a deodorizing space (not shown) therein. Conventional materials such as zeolite and activated carbon can be used as the deodorizer. An exhaust port 43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lter module 430 so that the exhaust gas reacted in the deodorization space (not shown)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436 naturally by the internal pressure.

수위감지센서(440)의 세부 구조Detailed structure of the water level sensor 4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수위감지센서(440)는 중공 용기 형상의 지지부(441), 지지부(441)의 상단에 결합되는 체결부(443), 상기 지지부(441) 내에 고정되는 접속단자(444), 및 상기 접속단자(4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감지핀(442)을 포함한다.The water level sensor 4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441 in the form of a hollow container, a coupling portion 443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441, a connection terminal 444 fixed in the support portion 441, And a plurality of sensing pins 44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444.

지지부(441)는 내부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형성된 수직바(447) 및 내부 측벽에 형성된 언더컷(448)을 구비한다. 접속단자(444)에는 그 측벽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된 단자돌기(445)가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441 has a vertical bar 447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and an undercut 448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The connection terminal 444 is formed with a terminal projection 445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wall thereof.

상기 단자돌기(445)는 수직바(447)와 언더컷(448)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접속단자(444)를 지지부(441)에 고정하게 한다. 체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피면, 단자돌기(445)의 하단은 수직바(447)의 상단에 얹혀지고, 단자돌기(445)의 상부 끝단이 언더컷(448)에 걸리게 됨으로써 요동없이 고정된다.The terminal protrusion 445 is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bar 447 and the undercut 448 to fix the connection terminal 444 to the support portion 441.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protrusion 445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447 and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protrusion 445 is caught by the undercut 448 to be fixed without swinging.

감지핀(442)은 접속단자(444)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지지부(441) 및 센서 거치부(415)를 차례로 관통하여 버퍼 유닛(400) 내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지지부(441)의 하단으로부터 노출된 감지핀(442)의 길이(L)는 감지 성능 및 버퍼 유닛(400) 내의 용적 등을 고려해서 결정이 가능할 것이다.The sensing pin 442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444.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exposed in the buffer unit (400) through the support portion (441) and the sensor mounting portion (415) in order. The length L of the sensing pin 442 expo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441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ensing performance and the volume in the buffer unit 400. [

상기 감지핀(442)은 바람직하게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든 감지핀(442)이 버퍼 유닛(400) 내에 저장된 응축수에 침지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감지핀(442) 및 응축수를 통해 전류가 흐름으로써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한다.The sensing pin 442 may be formed of a pair of conductors preferably parallel to each other. When all of the sensing pins 442 are immers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buffer unit 400, current flows through the pair of sensing pins 442 and the condensed water to sense the condensed water level.

감지핀(442)은 응축수에 침전되지 않은 경우에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지핀(442) 사이의 간격(d)을 소정거리로 이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감지핀(442)의 간격(d)만을 다르게 하고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측정을 한 바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distance d between the sensing pins 4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rder to prevent the sensing pin 442 from being energized when it is not settled in the condensed w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ment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interval d between the sensing pins 442 is different and all the conditions are the same.

감지핀(442) 간의
간격
Between the sensing pins 442
interval
7mm 미만Less than 7mm 7mm이상 15mm이하7mm or more and 15mm or less 15mm 초과Greater than 15mm
감지핀 간의
통전여부
Between sensing pins
Whether or not energized
통전됨Energized 통전 안됨No power 통전 안됨No power
저항 값Resistance value 1.4㏁1.4 MΩ 13㏁13 MΩ 17㏁17 M 발생 현상Occurrence 버퍼 유닛(400) 내에 수증기 발생 초기부터 감지핀에 물방울이 부착되어 계속 통전됨Water droplets are attached to the sensing pins from the beginning of steam generation in the buffer unit 400 and are continuously energized 감지핀에 물방울이 다소 형성되지만 감지핀의 전도에는 영향 없음A few drops of water are formed on the sensing pin, but it does not affect the sensing pin's conduction. 감지핀에 물방울이 거의 형성되지 않지만 응축수에 대한 감지성능이 저하됨 Water droplets are hardly formed on the sensing pins, but the sensing performance of the condensate is degraded.

상기의 표 1에서와 같이 감지핀(442) 사이의 이격거리가 7mm 미만인 경우는 항상 통전되는 상태를 보임으로써 버퍼 유닛(400)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 감지핀(442)의 이격거리가 7mm 이상 15mm 이하인 경우는 저항값이 13㏁으로서 이격거리가 7mm 미만인 경우의 1.4㏁에 비해 9배 이상 커짐으로써 응축수에 의해 침지되지 않는 한 통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감지핀(442) 사이의 이격거리가 15mm 초과인 경우는 감지핀(442)에 물방울이 맺힐 확률이 거의 없지만, 버퍼 유닛(400) 내에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 그 감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감지핀(442) 간의 이격거리를 7mm 이상 15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able 1,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pins 442 is less than 7 mm, it always becomes energized, making it impossible to sense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n the buffer unit 4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ensing pin 442 is 7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the resistance value is 13 M OMEGA, which is nine times larger than 1.4 M OMEGA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is less than 7 mm, Can be confi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pins 442 is more than 15 mm, there is almost no probability of water droplets forming on the sensing pin 442, but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sensed in the buffer unit 400, There is a tendenc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pins 442 within a range of 7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핀(442)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막(417)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막(417)은 비통전 물질로 이루어진 격벽으로서 감지핀(44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차단막(417)은 감지핀(442)에 맺힌 수분으로 인한 통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그 하부 끝단이 감지핀(442)의 끝단보다는 더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4 to 5, a blocking layer 417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sensing pin 442 from being energized. The blocking film 417 is disposed between the sensing pins 442 as a partition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Since the blocking film 417 is provided to prevent current flow due to moisture formed in the sensing pin 442,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sensing film 442 extends further downward than the end of the sensing pin 442.

음식물 처리기(1000)의 작동Operation of the food processor 1000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0)의 전체적인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ood processo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건조로(100)에서 교반, 분쇄, 및 건조 과정이 이루어지는 중에 발생한 배기가스는 흡배기 모듈(200) 및 가스배출유로(310)를 통해 버퍼 유닛(400)에 유입된다. 버퍼 유닛(400)에 유입된 고온다습한 배기가스는 응축수로 전환되어 저장된다. 버퍼 유닛(400) 내에서 응축수의 수위가 점점 상승하여 수위감지센서(440)의 감지핀(442)이 응축수에 침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감지핀(442)을 통해 통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the stirring, pulverizing, and drying processes in the drying furnace 100 flows into the buffer unit 400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and the gas exhaust passage 310.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buffer unit 400 is converted into condensed water and stored.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gradually increases in the buffer unit 400 and the sensing pin 442 of the level sensor 440 is immersed in the condensed water, the sensing pin 442 is energized.

감지핀(442) 및 접속단자(444)를 거친 도전신호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응축수 배출펌프(미도시)를 구동하여 배수구(425)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의 응축수 전환 과정은 버퍼 유닛(400) 내부를 순환하는 중에도 가능하지만, 버퍼 유닛(400)을 거친 배기가스가 듀얼 냉각 방식으로 운용되는 열교환기(500)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발생 가능하다.The conduction signal passing through the sensing pin 442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44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can drive a condensate drain pump (not shown)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to the drain hole 425. The condensation water conversion process may be performed while circulating the buffer unit 400, but may also occur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heat exchanger 500 in which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buffer unit 400 is operated in the dual cooling mode.

버퍼 유닛(400) 내로의 배기가스의 유입과정에서 갑작스러운 압력 상승이 발생할 경우에 필터모듈(430) 내의 탈취공간(미도시)에서 악취가 제거된 후 배기구(436)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When sudden pressure rise occurs in the inflow of the exhaust gas into the buffer unit 400, the odor is removed from the deodorization space (not shown) in the filter module 43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exhaust port 436 .

버퍼 유닛(400)과 열교환기(500)를 경유한 배기가스는 건조로(100)에 재투입되는 순환과정을 이루게 된다. 저온저습화된 배기가스는 흡배기 모듈(200)을 통해 건조로(100)에 유입되는 과정 중 상기 흡배기 모듈(200)을 통해 건조로(100)에서 나오는 고온다습한 배기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건조로(100)에서 배출되는 고온다습한 배기가스는 1차적으로 열교환기(500)을 통하면서 온도가 저하되는 열적 교환이 이루어지고, 2차적으로 흡배기 모듈(200)을 통하면서 온도가 상승하는 열적 교환이 이루어진 상태로 건조로(100)에 투입된다. 상기의 1,2차에 걸친 다단 열교환 방식으로 인해 열적 효율의 상승을 기할 수 있다.The exhaust gas passed through the buffer unit 400 and the heat exchanger 500 is recycled to the drying furnace 100 to perform the circulation process. The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exhaust gas is subjected to heat exchange with hot and humid exhaust gas emitted from the drying furnace 100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during the process of entering the drying furnace 100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module 200.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drying furnace 100 is subjected to thermal exchang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first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500 and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take / And is put into the drying furnace 100 in a state where the thermal exchange is performed. The therm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the multistage heat exchanging method over the first and second stages.

본 발명은 순환응축방식으로 구동되는 음식물 처리기에서 버퍼 유닛의 내부에 한쌍으로 이루어진 감지핀을 설치하여 버퍼 유닛 내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감지핀이 응축수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통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지핀의 이격거리를 설정하고 감지핀 사이에 차단막을 설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불필요한 통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ensing pins are provided in a buffer unit in a food processor driven by a circulating condensation system to effectively control the level of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buffer unit. In addition, unnecessary power supply can be prevented by setting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sensing pin and setting a shielding film between the sensing pins so that the current does not occur in a state where the sensing pin is not immersed in the condensed wat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건조로
200 : 흡배기 모듈 250 : 덮개
300 : 순환팬 310 : 가스 배출유로
400 : 버퍼 유닛
410 : 상부 하우징 412 : 유입구
415 : 센서 거치부 416 : 유출구
417 : 차단막
420 : 하부 하우징 425 : 배수구
430 : 필터 모듈 436 : 배기구
440 : 수위감지센서 441 : 지지부
442 : 감지핀 443 : 체결부
444 : 접속단자 445 : 단자돌기
447 : 수직바 448 : 언더컷
500 : 열교환기 510 : 가스 흡입유로
550 : 냉각팬 1000 : 음식물 처리기
d : 감지핀(442) 사이의 간격
L : 지지부(441)의 하단으로부터 노출된 감지핀(442)의 길이
100: drying furnace
200: intake and exhaust module 250: cover
300: circulation fan 310: gas discharge channel
400: buffer unit
410: upper housing 412: inlet
415: Sensor mounting part 416: Outlet
417:
420: lower housing 425: drain hole
430: filter module 436: exhaust port
440: Water level sensor 441:
442: Detection pin 443:
444: connection terminal 445: terminal projection
447: vertical bar 448: undercut
500: heat exchanger 510: gas suction channel
550: Cooling fan 1000: Food processor
d: interval between sensing pins 442
L: length of the sensing pin 442 expo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ortion 441

Claims (7)

중공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하며,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핀을 구비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버퍼 유닛;
상기 버퍼 유닛과 연결되는 건조로;
배기가스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로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상기 버퍼 유닛 및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건조로에 재투입되며, 상기 감지핀에 상기 하우징 내의 응축수가 접촉하여 통전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필터 모듈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의 배기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measuring a level of condensed water in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nd having a plurality of sensing pi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uffer unit including the buffer unit;
A drying furnace connected to the buffer unit;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exhaust gas; And
And a filter module disposed in the housing,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drying furnace is reintroduced into the drying furnace through the buffer unit and the heat exchanger, and when the condensed water in the housing contacts the sensing pin,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the exhaust gas in the housing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modul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핀은 7mm 이상 15mm 이하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한 쌍의 감지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pin comprises a pair of sensing pins that maintain a separation distance of 7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센서 거치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An upper housing; And
And a low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Wherein the water level sensor is fastened to a sensor mounting part formed in the upper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핀 사이에는 비통전 물질로 이루어진 차단막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locking film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sensing pi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45602A 2010-05-14 2010-05-14 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KR101738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02A KR101738909B1 (en) 2010-05-14 2010-05-14 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02A KR101738909B1 (en) 2010-05-14 2010-05-14 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49A KR20110125949A (en) 2011-11-22
KR101738909B1 true KR101738909B1 (en) 2017-05-24

Family

ID=4539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602A KR101738909B1 (en) 2010-05-14 2010-05-14 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9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190B1 (en) 2017-12-26 2022-09-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l sen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11B1 (en) * 2006-06-15 2007-11-15 이주용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KR100942453B1 (en) * 2007-12-18 2010-02-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11B1 (en) * 2006-06-15 2007-11-15 이주용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KR100942453B1 (en) * 2007-12-18 2010-02-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49A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930B1 (e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ing apparatus of dryer
CN107149452B (en) Dish washer with drying system
KR102095090B1 (en) Small sized smart dehumidifier
KR101730001B1 (en)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buffer unit for preventing pressure rise
KR101738909B1 (en) 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CN106758077B (en) Condensing device for washing and drying integrated machine and washing and drying integrated machine with condensing device
CN110594716A (en) Steam generator and steam box
RU2738917C1 (en) Electric water heater of accumulating type with function of hot air generation
CN108325333B (en) Condensation recovery unit and steam stove
SE526792C2 (en) Apparatus for evaporative cooling of a liquid product
KR20110125951A (en) Buffer unit used for food garbage disposer available for water-level sensing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KR100655145B1 (en) Steam boiler
CN215863698U (en) Air compressor heat recovery heating equipment
KR20210041386A (en) Heat pump structure for water heater appliance
JP6649736B2 (en) Gas collection plant
JP2010249438A (en) Latent heat recovery type water heater
CN210717468U (en) Steam generator and steam box
KR20110131775A (en) Buffer unit having multiple chamber and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the same
KR200179637Y1 (en) hot water heating & cycling system
CN205648204U (en) A convulsions condensing equipment for PCB equipment of drying
CN114250610B (en) Heat exchange assembly for dehumidifying device and clothes dryer
CN220084450U (en) Three-stage gas cooling device
CN109041546A (en) A kind of radiating type machine cabinet
CN218763494U (en) Smoke white-eliminating heat exchanger
CN216714468U (en) Automatic water drainage device for gas drain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