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689B1 - A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A networ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689B1
KR101738689B1 KR1020110001545A KR20110001545A KR101738689B1 KR 101738689 B1 KR101738689 B1 KR 101738689B1 KR 1020110001545 A KR1020110001545 A KR 1020110001545A KR 20110001545 A KR20110001545 A KR 20110001545A KR 101738689 B1 KR101738689 B1 KR 10173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mmunication
electrical product
product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0089A (en
Inventor
이훈봉
김양환
박형준
강성환
전찬성
김무승
최종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689B1/en
Priority to PCT/KR2012/000129 priority patent/WO2012093874A2/en
Priority to EP19177804.2A priority patent/EP3554003B1/en
Priority to US13/978,472 priority patent/US9219763B2/en
Priority to EP12732327.7A priority patent/EP2663020B1/en
Publication of KR2012008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0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며, 제 1 고유코드를 가지는 전기제품; 및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정보를 교환하며, 제 2 고유코드를 가지는 외부 컴포넌트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 또는 외부 컴퍼넌트에 통신 연결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이 입력된 컴포넌트로부터 연결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연결신호를 발생한 일 컴포넌트와 상기 연결신호를 수신한 타 컴포넌트간에, 통신 주소 및 각 컴포넌트의 고유코드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전기제품 내의 인터페이스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터 컴포넌트; 및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수신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슬레이브 컴포넌트가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al product having a first unique code and performing a preset function; And an external component having a second unique code,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electrical product to be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electrical product, wherein when a command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is input to the electrical product or the external component, And the communication address and a unique code of each component are exchanged between a component generating the connection signal and another component receiving the connection signal, A master component for generating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interface in the interface is in a communicable state; And a slave component for transmitting at least an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of the master component.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A network system}A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가 포함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기제품에 접근하여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home appliances include a washing machine, a refrigerator, a cooking appliance, or a vacuum cleaner.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that a user has to approach and directly operate an electric produc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such an electric product.

그러나, 최근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제품을 원격으로, 즉 가정 내 또는 가정 외에서 제어할 수 있기를 바라는 소비자의 요구가 있어 왔다.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has been a demand from consumers who wish to be able to control electric products remotely, that is, at home or outside the home.

본 발명은,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전기제품의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twork system for implementing an internal communication interface of an electrical product communicable with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며, 제 1 고유코드를 가지는 전기제품; 및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정보를 교환하며, 제 2 고유코드를 가지는 외부 컴포넌트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 또는 외부 컴퍼넌트에 통신 연결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이 입력된 컴포넌트로부터 연결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연결신호를 발생한 일 컴포넌트와 상기 연결신호를 수신한 타 컴포넌트간에, 통신 주소 및 각 컴포넌트의 고유코드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기제품에는, 상기 전기제품 내의 인터페이스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터 컴포넌트; 및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수신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슬레이브 컴포넌트가 포함된다.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al product having a first unique code and performing a preset function; And an external component having a second unique code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electrical product to be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electrical product, wherein when a command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is input to the electrical product or the external component, And the communication address and a unique code of each component are exchanged between a component generating the connection signal and another component receiving the connection signal, A master component for generating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interface in the interface is in a communicable state; And a slave component for transmitting at least an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of the master component.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using the control devi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또한, 전기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연결 과정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or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product can be implemented simp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s accessi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전기제품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통신부간 인터페이스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 자체 또는 전기제품과 제어장치간에 통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electrical product can be implemented simply, the relia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al product itself or the electrical product and the control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통신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between a plurality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inside 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in 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inside 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in 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제품(100) 및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타 컴포넌트로서 상기 전기제품(1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어장치(200)가 포함된다.1 and 2, the network system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al product 100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as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10, And a control device 200 provided to control the electric product 100 as anoth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10.

도면에는, 상기 전기제품(100)과 제어장치(200)가 통신연결 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전기제품(100)은 전기제품(10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200)와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의 일 컴포넌트로서 상기 전기제품(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점에서, "외부 컴퍼넌트"라 이름할 수 있다.Although the figure shows that the electrical product 100 and the control device 20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lectrical product 100 includes a "server"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It may be connected. The controller 200 and the server may be referred to as "external components" in that they are provided outside the electrical product 100 as one component of the network system 10. [

상기 제어장치(2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전기제품(100)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장치(Remote controller)가 포함된다.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electric product 10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lectric product 100.

도면에는, 전기제품의 일례로서 세탁기가 도시된다. 그러나, 전기제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세탁기외에 냉장고, 조리기기, 건조기, 에어컨, 청소기 또는 정수기등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drawing, a washing machine is shown as an example of an electric appliance. However,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electric appliance, and in addition to the washing machine, a refrigerator, a cooking device, a dryer, an air conditioner, a vacuum cleaner, or a water purifier can be applied.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상기 제어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1 통신부(11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위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입력부(13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품 제어부(150)가 포함된다.The electrical product 1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for allowing the electrical product 100 to b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200 and a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 A first input unit 130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a memory unit 140 for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And a product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product.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장치(200)와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전달하거나, 전기제품(100)의 내부 정보를 외부(일례로, 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understood as a gatewa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exter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and transmits the external information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or transmits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to the external (for example, Control device 200).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품 제어부(150) 사이에는,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170)가 규정될 수 있다.A second interface 17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data) may be defin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상기 제어장치(200)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210)와, 상기 제어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상기 제어장치(200)에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 2 입력부(230)와, 상기 제어장치(200) 또는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4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포함된다.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 display unit 220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f the control device 200, A second input unit 230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apparatus 200, a memory unit 240 for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200 or the electrical product 100, A control unit 250 is included.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로부터 전기제품(100)의 작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200)의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1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제 2 통신부(210)의 사이에는, 통신을 위한 제 1 인터페이스(300)가 규정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device 200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s shown in FIG. A first interface 300 for communication may be defin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제어장치(200) 또는 전기제품(10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력부(23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2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or the electrical product 100. A predetermined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may be input to the second input unit 230.

상기 메모리부(240)에는, 상기 제어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보에는, 상기 제어장치(200) 자체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 1 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기능 수행 또는 작동을 위한 제 2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240 may store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200.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itself or second information for performing functions or operations of the electric product 100.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컴포넌트간 통신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between a plurality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일례로, 제 1 컴포넌트와 제 2 컴포넌트간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3, a process of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one example,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be initiated.

여기서, 상기 제 1 컴포넌트는 제어장치일 수 있으며, 제 2 컴포넌트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제어 대상, 일례로 전기제품일 수 있다.Here, the first component may be a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be a controlled object, e.g., an electrical product,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에는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자체 고유코드(device code, 제 1 고유코드)가 인식되고,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IP(통신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When the power of the first component is turned on, a self-specific code (first unique code) of the first component is recognized in the first component, and an IP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Can be assigned.

상기 자체 코드는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제조 당시, 설치 또는 판매시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번호(문자)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자체 코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lf-code may be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character) assigne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r sal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first component. When the power of the first component is turn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f-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

상기 IP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와의 통신을 위하여 고정 IP 또는 변동(유동) IP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P는 통신 방법에 따라, 별도의 AP(Access point)를 통하여 할당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자체 설정에 의하여 할당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 방법에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가 포함될 수 있다.The IP may be set to a fixed IP or a variable (floating) IP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ponent. The IP may be allocated through a separate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r may be allocated by the self-configuration of the first component.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WiFi, bluetooth, or Zigbee.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제 2 컴포넌트에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자체 고유코드(device code, 제 2 고유코드)가 인식되고, 상기 제 2 통신부(210)의 IP가 할당될 수 있다(S1,S2).Similarly, when the power of the second component is turned on, a self-specific code (second unique code) of the second component is recognized in the second component, and an IP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is allocated (S1, S2).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제 2 컴포넌트간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에는 소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장치로서 규정되는 제 1 컴포넌트에 소정 명령이 입력된다. 상기 소정 명령은,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정보를 실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 predetermined command may be input to the first component or the second component. In one example,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to a first component defined as a control device. The predetermined command may be understood as execu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econd component.

그리고, 상기 소정 정보는 특정 프로그램(일례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다.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컴포넌트 즉, 상기 제어장치(200)의 메모리부(24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컴포넌트는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S3).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a specific program (for example, an application). The specific program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first component, that is, the memory unit 240 of the control device 200. The specific program may be downloaded from a web server. To this end, the first component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S3).

상기 소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에는 제 2 컴포넌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신호(Connection Sequence)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연결신호는 상기 제 2 컴포넌트에 수신될 수 있다(S4).When the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a connection sequence for connection with the second component is generated in the first component.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ceived at the second component (S4).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정보와 제 2 컴포넌트의 정보는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제 2 컴포넌트의 상호 교환되는 정보에는, 각 컴포넌트의 상기 IP 주소 및 자체 코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ponent may be interchanged. The interchanged information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include the IP address and the self-code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 정보들은,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가 상대 컴포넌트(장치)를 인식 또는 검색하여 직접 교환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컴포넌트 또는 제 2 컴포넌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특정 서버(Server)를 경유하여 교환될 수도 있을 것이다(S5).The information may be directly exchanged by the first component or the second component recognizing or searching for the partner component (device), or may be exchanged via a specific server (Server)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mponent or the second component (S5).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제 2 컴포넌트의 정보가 상호 교환됨으로써, 상기 제 1,2 컴포넌트는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컴포넌트가 통신 연결되면, 그들간에 정보(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S6).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exchang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When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m is enabled (S6).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inside 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100)에는, 외부 특히 제 2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110) 및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대하여 소정 정보(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품 제어부(15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4, the electrical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And a product control unit 150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data) or signals to the devic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마스터 컴포넌트(Master Component)이며,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슬레이브 컴포넌트(Slave Component)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is a master componen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a slave component.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의 사이에서 규정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product control unit 150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170 defin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170 is maintained in a communicable state.

일례로,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지 여부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장착여부 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통신 가능상태(Live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 있다.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170 is maintained in a communicable state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mounted or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in a communication enabled state As shown in FIG.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의 통신 가능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다.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170 can communicate.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관한 유용한 정보(일례로, 작동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비유용 신호(Dummy fram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례로, 1초를 주기로 하여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may be a Dummy frame that does not include useful information (for example, operation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al product 100. [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periodicall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at intervals of one second.

상기 제품 제어부(150)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수신 확인신호 또는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보유 또는 저장하고 있는 외부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or an external data signal held or stor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of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 As shown in Fig.

상기 수신 확인신호는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신호이며,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전달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I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does not hav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전기제품(100)외의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일례로, 제어장치(200), 상기 전기제품(100)과 제어장치(200)에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전기제품(100) 또는 제어장치(200)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등)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external data signal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a component (for example, a control device 200, the electric product 100 and the control device 200)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10 other than the electric product 100, (E.g., a server that stores information of the control device 100 or the control device 200).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The external data signal may be a signal for reques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부터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the external data signal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when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만약,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외부 데이터 신호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다음 번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송신할 수 있다.If an external dat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fter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fter receiving the next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외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품 데이터(내부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한다. 상기 제품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기능, 상태값 또는 작동정보에 관한 유용한 데이터일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external data in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product data (internal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ata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he product data signal may be useful data relating to the function, status value o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in 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마스터 컴포넌트이고,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슬레이브 컴포넌트인 경우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a control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is a master componen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a slave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원이 인가되면(S11), 마스터 컴포넌트(150)에서는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발생되며, 발생된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슬레이브 컴포넌트(110)에 전달된다(S12).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S11),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master component 150, and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lave component 110 (S12).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전송되어 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13), 전송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로부터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로 상기 외부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한다(S14).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er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slave component 110 in step S13. If the external data is transmitted, the slave component 110 attempts to transmit the external data to the master component 150 in step S14 ).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15), 수신된 경우 상기 외부 데이터에 응답하는 제품 데이터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로 전송된다(S16).In step S1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ernal data is received in the master component 150. If received, product data in response to the exter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slave component 110 in step S16.

반면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지 않았으면, 통신불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미수신 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외부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external data has not been received by the master component 150, it can be recognized as incommunicable. Whether or not the external data is not received in the master component 15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external data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master component 150 transmits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통신불능으로 인식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A specific process recognized as communication inability will be described.

일 시시예로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외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0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외부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통신 가능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As an example, if no external data is received in the master component 150, the slave component 1100 can repeatedly transmit the external data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transmitting the external data, When the master component 150 receives external data, it can be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enabled state.

다만,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했음에도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 불능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에 "통신불능 상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However, if the master component 150 does not receive the external data even though the external data is repeatedly transmitte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recognizes that the communication is disabled and sets the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Can be displayed.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로부터 마스터 컴포넌트(150)로 외부 데이터 전송을 시도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불능 상태가 상기 전기제품(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master component 150 fails to receive external data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attempting to transmit external data from the slave component 110 to the master component 150, . Then, the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can be displayed on the electrical product 100. [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전달되는 외부 데이터 신호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지 않으면,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되며, 상기 통신불능 상태가 상기 전기제품(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S17,S18).In another embodiment, if the intensity of the external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master component 150 is no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ntensity, it is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and the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is displayed on the electrical product 100 (S17, S18).

한편, S13 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10)는 수신확인 신호를 발생시킨다(S19).If external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slave component 110 in step S13, the slave component 110 generates an acknowledgment signal (step S19).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20), 수신되지 않았으면 통신불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에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미수신 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50)가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수신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t is recognized whether the reception acknowledgment signal is received by the master component 150 (S20). If not, it can be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is disabled. Whether or not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master component 15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master component 150 transmits the communication status acknowledgment signal.

통신불능으로 인식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원용한다.The specific process that is perceived as incapable of communicating uses the above description.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마스터 컴포넌트와 슬레이브 컴포넌트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aster component and the slave component, the differences are mainly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and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used for the same parts.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inside 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100)에는, 상기 제 2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110) 및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대하여 소정 정보(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품 제어부(150)가 포함된다.6, the electrical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product control unit 150 that can transmit /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data) or signals to / from the devic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마스터 컴포넌트(Master Component)이며,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슬레이브 컴포넌트(Slave Component)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a master component, and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is a slave component.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 1 통신부(110)와의 사이에서 규정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170 defin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maintained in a communicable state.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70)의 통신 가능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o check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170 can communicate.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외부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필요에 따라 송신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or may be transmitted as need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has exter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 1 통신부(110)의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수신 확인신호 또는 제품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할 수 있다.The product control unit 150 may transmit an acknowledgment signal or a product data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state confirmation signal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 상기 외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the external data signal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110)는 바로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제품 제어부(150)로부터 수신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전송할 수도 있다.When exter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directly transmit the external data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and after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And may transmit the acknowledgment signal when it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50. [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품 제어부(150)는 상기 외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품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한다. When the external data is received in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product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ata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Other embodiments are suggested.

위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에 외부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제품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external data is received in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product data signal.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전기제품(100)이 외부 컴포넌트로 먼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품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if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receives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to transmit data to the external component first, the product dat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ransmit it.

그리고, 상기 제품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외부 컴포넌트는 상기 제품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The external component receiving the product data signal may transmit the external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data signal.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 내부에서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in 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부(110)가 마스터 컴포넌트이고, 상기 제품 제어부(150)가 슬레이브 컴포넌트인 경우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a control metho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a master component and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is a slave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원이 인가되면(S31), 마스터 컴포넌트(110)에서는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발생되며, 발생된 통신상태 확인신호는 슬레이브 컴포넌트(150)에 전달된다(S32). 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S31),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master component 110, and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lave component 150 (S32).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에서,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에 대한 수신확인 신호가 발생된다(S33).Then, in the slave component 150, an acknowledgment signal for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is generated (S33).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34), 수신되지 않았으면 통신불능으로 인식될 수 있다(S40). 그리고, 통신불능 상태는 상기 전기제품(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S41).It is recognized whether the reception acknowledgment signal is received by the master component 110 (S34), and if it is not received, it can be recognized as communication disabled (S40). Then, the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can be displayed on the electrical product 100 (S41).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수신되었으면, 통신가능 상태로 인식된다(S35).If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received by the master component 110, it is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enabled state (S35).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36), 상기 외부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로 외부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한다(S37).It is determined whether external data has been transmitted to the master component 110 in operation S36 and if the external data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mponent 110 to the slave component 150 in operation S37 ).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되며(S38), 수신된 경우 상기 외부 데이터에 응답하는 제품 데이터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로 전송된다(S39).If the external data is received in the slave component 150 (S38), product data responding to the exter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component 110 in operation S39.

반면에,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에 수신되지 않았으면, 통신불능으로 인식되며, 통신불능 상태가 전기제품(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external data is not received by the slave component 150, it is recognized as incommunicable and a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ance 100. [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Other embodiments are suggested.

도 7에서는,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외부 데이터가 바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로부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로 전송시도 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In FIG. 7, when exter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component 110, the external data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mponent 110 to the slave component 150.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에 외부 데이터가 전송되었으면, 우선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110)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로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전송한다.However, if exter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component 110, the master component 110 first transmits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to the slave component 150. [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가 수신확인 신호를 응답한 경우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150)로 전송시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slave component 150 responds to the acknowledgment signal, the slave component 150 may attempt to transmit the external data to the slave component 150.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110)에는, 복수의 통신모듈(113,115)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포트(111,115)가 포함된다.8 and 9,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11 and 115 in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113 and 115 are detachably coupled.

상기 복수의 통신모듈(113,115)에는, 제 1 통신모듈(113) 및 제 2 통신모듈(117)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통신포트(111,115)에는, 상기 제 1 통신모듈(113) 및 제 2 통신모듈(117)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통신포트(111) 및 제 2 통신포트(115)가 포함된다.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113 and 115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17.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1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15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11 and 115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17 are detachably coupled, do.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3)은 Zigbee Modem이고,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은 와이파이 모뎀(또는 USB)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3 may be a Zigbee Modem,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17 may be a Wi-Fi modem (or USB).

여기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3)은 외부 전력정보를 수신하며, 전기제품(100)의 전력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Her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3 is configured to receive external power information and to transmit power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여기서, 상기 외부 전력정보에는, 공급되는 에너지(전기,가스, 물) 요금, 에너지량 또는 에너지 품질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의 전력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사용 에너지량 또는 사용 에너지 요금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external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energy (electricity, gas, water) charges, energy amount, energy quality, and the like to be supplied. The electric power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may include an amount of energy used by the electric product, a used energy charge, and the like.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컴포넌트, 예를 들어 제어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17 can be understood as a gateway for communicating with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10, for example, a control device or a server.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이 USB 일 경우, 상기 USB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외부 컴포넌트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I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17 is USB, the USB can be easily used in a situation where the electrical product 100 is restricted in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ponent.

그리고, 상기 USB는 소정 서버(일례로, 웹 서버)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기제품(100)에 결합되어 소프트웨어를 상기 전기제품(1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USB는 통신 속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The USB can download software from a predetermined server (for example, a web server), and can be installed in the electrical product 100 by being coupl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The USB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peed.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3)은 와이파이 모뎀이고,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은 USB 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3 may be a Wi-Fi modem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17 may be a USB.

여기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3)은 상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모듈(117)은 상기 제 1 통신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및 설치등을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3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network 10.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17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download and install softwar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100)에는, 복수의 통신 제어부(182,184)를 구비하는 제 1 통신부(110) 및 상기 제 1 통신부(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품 제어부(150)가 포함된다.10, the electrical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control units 182 and 184,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3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product control unit 150 connected thereto.

상기 복수의 통신 제어부(182,184)에는, 상기 제품 제어부(15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 제어부(182) 및 외부 컴포넌트(일례로, 제 2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 제어부(184)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통신 제어부(182,184) 각각에는, Host CPU가 내장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control units 182 and 184 are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182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product control unit 150 and a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unit 182 communicably connected to an external component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2 communication control unit 184 are include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controllers 182 and 184 may include a host CPU.

정리하면, 상기 제 1 통신 제어부(182)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70)에서 규정되는 통신 제어부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제 2 통신 제어부(184)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00)에서 규정되는 통신 제어부로 이해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182 can be understood a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defined in the second interface 17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unit 184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fined in the first interface 300. [ Can be understood as a control unit.

이러한 복수의 통신 제어부(182,184)를 가지는 제 1 통신부(110)는, 듀어 코어(Dual Core) 타입의 모뎀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hav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control units 182 and 184 may be called a dual core type modem.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통신부(110) 내에 복수의 코어(즉, 통신 제어부)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게 되므로, 통신 속도가 빠르고 통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a plurality of cores (i.e., communication control units) are provided in one communication unit 110 to control different interfaces, the communication speed is high and the communication reliability can be improved.

10 : 네트워크 시스템 100 : 전기제품
110 : 제 1 통신부 120,2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제 1 입력부 140, 240 : 메모리부
150 : 제품 제어부 170 : 제 2 인터페이스
182 : 제 1 통신 제어부 184 : 제 2 통신 제어부
200 : 제어장치 230 : 제 2 입력부
250 : 제어부 300 : 제 1 인터페이스
10: Network system 100: Electrical products
110: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220:
130: first input unit 140, 240: memory unit
150: product control unit 170: second interface
182: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184: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0: control device 230: second input section
250: control unit 300: first interface

Claims (18)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며, 제 1 고유코드를 가지는 전기제품; 및
상기 전기제품과 통신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정보를 교환하며, 제 2 고유코드를 가지는 외부 컴포넌트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 또는 외부 컴포넌트에 통신 연결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이 입력된 컴포넌트로부터 연결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연결신호를 발생한 일 컴포넌트와 상기 연결신호를 수신한 타 컴포넌트간에, 통신 주소 및 각 컴포넌트의 고유코드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기제품에는,
마스터 컴포넌트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와 통신 가능한 슬레이브 컴포넌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기제품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 통신상태 확인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 전송된 외부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로 상기 외부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 전송된 외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로 상기 통신상태 확인 신호에 대한 수신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확인 신호가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An electrical product performing a preset function and having a first unique code; And
An external component that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electrical product to be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electrical product, the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second unique code,
When a command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is input to the electrical product or the external component, a connec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component to which the command is input,
The communication address and the unique code of each component are exchanged between a component generating the connection signal and another component receiving the connection signal,
In the electrical product,
A master component,
A slave component communicable with the master componen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a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mponent to the slave component,
Wherein if the exter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component to the slave component exists, the external component attempts to transmit the external data from the slave component to the master component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data is received by the master component,
If there is no exter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component to the slave component, transmits a receipt acknowledgment signal for the communication status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lave component to the master componen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network system is a network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는 제품 제어부이며,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ster component is a product control unit, and the slave component is a communica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는,
상기 통신상태 확인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ster component comprising:
And periodically generates the communication status confirmation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수신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if the master component does not receive the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lave component, it is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컴포넌트가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불능 상태로 인식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if the master component does not receive the external data from the slave component, it is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삭제delete 제 10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불능 상태는, 상기 전기제품에 디스플레이 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and 11,
Wherein the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is displayed on the electrical pro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는,
복수의 통신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통신포트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electrical product,
A network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to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re detachably mount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모듈에는,
Zigbee Modem이 포함되며, 와이파이 모뎀 및 USB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Zigbee Modem,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Fi modem and USB.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통신부이며,
상기 통신부에는,
전기제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 제어부; 및
상기 외부 컴포넌트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 제어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ave component is a communication unit,
In the communication unit,
A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And
And a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external componen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componen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는,
듀어 코어 모뎀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In the communication unit,
A network system that includes a dual core modem.
KR1020110001545A 2011-01-06 2011-01-06 A network system KR101738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45A KR101738689B1 (en) 2011-01-06 2011-01-06 A network system
PCT/KR2012/000129 WO2012093874A2 (en) 2011-01-06 2012-01-05 Network system
EP19177804.2A EP3554003B1 (en) 2011-01-06 2012-01-05 Network system
US13/978,472 US9219763B2 (en) 2011-01-06 2012-01-05 Network system
EP12732327.7A EP2663020B1 (en) 2011-01-06 2012-01-05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45A KR101738689B1 (en) 2011-01-06 2011-01-06 A networ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089A KR20120080089A (en) 2012-07-16
KR101738689B1 true KR101738689B1 (en) 2017-05-22

Family

ID=4671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545A KR101738689B1 (en) 2011-01-06 2011-01-06 A networ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6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307B1 (en) * 2013-08-14 2015-05-21 어니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ppl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719A1 (en) * 2004-08-30 2006-03-02 Holtschneider David J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nnec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US20080114828A1 (en) * 2006-11-14 2008-05-15 Funai Electric Co., Ltd. Network System
US20100268973A1 (en) * 2006-08-03 201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ard,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719A1 (en) * 2004-08-30 2006-03-02 Holtschneider David J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nnec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US20100268973A1 (en) * 2006-08-03 201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ard,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14828A1 (en) * 2006-11-14 2008-05-15 Funai Electric Co., Ltd. Net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089A (en)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2138A1 (en) Integrated gatew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smart home
KR101795025B1 (en)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CN103188824A (en) Network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same
KR10044228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Home Network System
JP2015076822A (en) Electrical apparatus control system
KR101738689B1 (en) A network system
KR101242054B1 (en) M2M Module for Supporting Serial Communication Emulation through WiBro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554003B1 (en) Network system
CN111107507B (en) LoRa equipment networking method suitable for geological disaster monitoring application
US20150005909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KR101751068B1 (en) A network system
KR101452692B1 (en) Iot-based termination apparatus of assembly type
KR101667027B1 (en) One-stop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s
EP3427444B1 (en) A household appliance
KR100712922B1 (en) Home Network Unification System
KR101892757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877989B1 (en) Network system and network binding method
KR102107063B1 (en) Home appliance and communication connecting method thereof
CN212132637U (en) Extensible intelligence hot-water heating system
KR20040045658A (en) Home network system
KR102076273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1007187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 system of a wireless device using a infrared communication
CN105228097A (en) A kind of indoor wireless remote controlling method being applied to signal source
KR102137415B1 (en) Electr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51067B1 (en) A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