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566B1 - 스트립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스트립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566B1
KR101738566B1 KR1020150149034A KR20150149034A KR101738566B1 KR 101738566 B1 KR101738566 B1 KR 101738566B1 KR 1020150149034 A KR1020150149034 A KR 1020150149034A KR 20150149034 A KR20150149034 A KR 20150149034A KR 101738566 B1 KR101738566 B1 KR 101738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opening
draw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098A (ko
Inventor
최인상
Original Assignee
최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상 filed Critical 최인상
Priority to KR102015014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5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스트립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트립 카트리지는, 2 이상의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보관되고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립 카트리지에 있어서, 스트립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적층공간, 격벽에 의하여 적층공간과 구획되되 적층공간과 연통되고 제습제가 수용되는 제습공간, 스트립이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개구된 인출개구 및 인출개구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유입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 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출개구를 밀폐하는 인출커버 및 유입개구를 밀폐하는 유입커버를 포함하는 승강커버체;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인출커버가 인출개구를 밀폐하고 유입커버가 유입개구를 밀폐하도록, 승강커버체를 상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커버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승강커버체가 이동하면서 인출개구 및 유입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인출개구 및 유입개구가 승강커버체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하우징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습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커버체가 이동하면서 인출개구 및 유입개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용이한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트립 카트리지{BIOSENSOR STRIP CARTRIDGE}
본 발명은 스트립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을 포함한 생체 시료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저장하고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립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센서(Biosensor)는 어떤 생물학적인 물체를 신호변환기와 밀접하게 결합시켜 소형화한 센서로서, 여러 가지 혼합물들 중에서 관심 있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생물학적인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해내는 장치를 말한다.
바이오센서는 임의의 분석대상물질이나 그와 관련된 물질군의 양과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당뇨병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혈당치를 검출하기 위한 혈액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센서는 작은 소형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바이오센서 중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는 여러 가지 초기 신호변환 원리들 중 생물학적 물질량을 곧바로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바꾼 뒤 다시 디지털 신호로 바꿀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갈락토스 산화효소(galactose oxidase)를 백금 전극 위에 고정시키고 갈락토스(galactose)가 녹아있는 시료 용액 속에 담근 다음 전압을 걸어주면 전극 표면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그 결과물로 발생하는 과산화수소는 백금 전극에서 산화되고 산화량에 비례하는 전하량이 발생된다.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전하량은 효소에 의해 생겨난 백금 전극 주위의 과산화수소의 농도에 비례하므로, 이러한 전류를 측정하면 galactose의 농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 이외에 pH 변화를 측정하거나 산소 농도 감소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는 이처럼 전류값으로부터 원하는 물질의 농도에 관한 정보를 얻어내는 것과 전위차, 저항값으로부터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타입도 포함한다.
바이오센서를 통한 측정을 위하여는 측정장치의 사용이 필요한데, 이러한 측정장치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2461호는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장치"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바이오센서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측정장치에 있어서, 바이오센서와 측정장치의 수용부가 접촉되는 각각의 접촉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전용체결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전용체결부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에만 바이오센서가 수용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서로 매칭되는 바이오센서와 측정장치만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신뢰할 수 있는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한편, 바이오센서(스트립)의 저장 및 제공을 위한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348410호는 "혈당 측정용 스트립 수납 장치 및 스트립 보관 장치"가 개시되며, 구체적으로,일렬로 정렬되어 체액을 수집하는 다수의 스트립이 저장되는 하우징; 스트립을 배출하기 위해, 내부에 하우징을 삽입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조작부재; 스트립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의 회전 운동을 상측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스트립을 상측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부재;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하지 아니한 스트립을 배출구 영역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 부재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8410호에 따른 스트립 수납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스트립(바이오센서) 중 하나를 배출구를 통해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하여 스트립의 배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품의 휴대성 및 조작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2461호에서 게시되는 측정장치를 포함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측정장치는,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측정장치에 삽입한 후 측정값을 확인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측정장치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데, 바이오센서 스트립과 측정장치를 각각 보관하여야 하고 측정시마다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사용시 큰 불편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084707호 "바이오센서 스트립 인출장치" 및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084708호 "스트립 카트리지"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에 의하여 스트립의 용이한 인출 및 사용(혈당 측정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바이오센서가 대기 중에 노출시 수증기 등의 작용으로 바이오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측정값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습기로부터 바이오센서를 보호(일정 수준 이하의 습도를 유지하도록 보관)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이오센서를 개별적으로 밀봉하여 필요시에만 각 바이오센서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경우 습도에 의한 오류 발생은 방지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다수의 바이오센서가 순차적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현재 습도에 대한 대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측정값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32461호(공개일: 2013.04.02)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48410호(등록일: 2013.12.30)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센서, 특히 혈액을 포함한 생체 시료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저장하고 인출되도록 하며, 저장되는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제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커버체의 반복적인 이동에도 하우징의 기밀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바아오센서 스트립 인출장치에 의한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립 카트리지 내부 습도의 감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되는 스트립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2 이상의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보관되고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립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적층공간,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적층공간과 구획되되 상기 적층공간과 연통되고 제습제가 수용되는 제습공간, 상기 스트립이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개구된 인출개구 및 상기 인출개구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유입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출개구를 밀폐하는 인출커버 및 상기 유입개구를 밀폐하는 유입커버를 포함하는 승강커버체;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인출커버가 상기 인출개구를 밀폐하고 상기 유입커버가 상기 유입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승강커버체를 상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커버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커버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인출개구 및 상기 유입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2 이상의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보관되고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립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적층공간,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적층공간과 구획되되 상기 적층공간과 연통되고 제습제가 수용되는 제습공간, 상기 스트립이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개구된 인출개구 및 상기 인출개구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유입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출개구를 차폐하는 인출커버, 상기 인출커버보다 탄성변형률이 크고 상기 인출커버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개구를 밀폐하는 제1 기밀패드, 상기 유입개구를 차폐하는 유입커버 및 상기 유입커버보다 탄성변형률이 크고 상기 유입커버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개구를 밀폐하는 제2 기밀패드를 포함하는 승강커버체;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기밀패드가 상기 인출개구를 밀폐하고 상기 제2 기밀패드가 상기 유입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승강커버체를 상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커버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커버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인출개구 및 상기 유입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체는, 상기 인출커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인출연장벽; 상기 유입커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입연장벽; 및 상기 인출연장벽과 상기 유입연장벽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커버는 상기 인출연장벽을 상대로 탄성변형하고, 상기 유입커버는 상기 유입연장벽을 상대로 탄성변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출개구가 형성된 부분이 그 아래쪽 부분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거나, 상기 유입개구가 형성된 부분이 그 아래쪽 부분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하단에는 안착단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탄성유닛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커버체와 상기 안착단턱 사이에 개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탄성유닛은, 코일 형태로 감겨진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1 아암부; 상기 코일부의 타측 단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 아암부와 벌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코일부가 끼워지는 코일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커버체에는, 상기 제1 아암부 및 상기 제2 아암부 각각과 체결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적층공간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적층공간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스트립의 하측을 지지하는 승강체;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체를 상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승강탄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체와 마찰하는 마찰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탄성유닛은, 상기 승강체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할 때 큰 탄성력을 저장하도록 변형량이 크고, 상기 승강체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할 때 작은 탄성력을 저장하도록 변형량이 적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탄성유닛은, 하단연결구간; 상기 하단연결구간의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체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저장구간; 상기 탄성저장구간의 상측에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승강체와 마찰하고, 상단이 자유단이며, 상기 승강체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변형구간; 및 상기 탄성저장구간과 상기 변형구간을 연결하는 중간연결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인출개구 및 유입개구가 승강커버체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하우징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습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커버체가 이동하면서 인출개구 및 유입개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용이한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변형률이 우수한 제1 기밀패드 및 제2 기밀패드를 포함하고, 나아가 인출커버 및 유입커버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강커버체의 반복적인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더라도, 하우징의 기밀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출개구 및 유입개구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바아오센서 스트립 인출장치에 의한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습도센서가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립 카트리지 내부 습도를 용이하게 감지하고, 습도 변화에 따른 대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트립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탄성유닛에 의하여 스트립이 상측으로 가압되도록 하면서 마찰탄성유닛에 의하여 상측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최상단에 위치한 스트립과 하우징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변화량을 줄여 스트립의 용이한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립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립 카트리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트립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트립 카트리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를 앞쪽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마찰탄성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하우징 내부에서 승강체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탄성유닛 및 마찰탄성유닛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립 카트리지(100)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립 카트리지(1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트립 카트리지(100)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트립 카트리지(1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100)를 앞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마찰탄성유닛(140)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승강체(150)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탄성유닛(160) 및 마찰탄성유닛(140)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스트립 카트리지(100)와 분리하여 도시하였고, 도 7에서는 승강커버체(120)가 배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100)는 다수의 바이오센서 스트립(이하, '스트립'이라고 함)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저장된 스트립(2)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스트립(2)이 인출되는 쪽을 앞쪽, 그 반대쪽을 뒤쪽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적층된 스트립(2)을 기준으로 승강체(150)와 먼 쪽을 위쪽, 승강체(150)와 가까운 쪽을 아래쪽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라고 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승강커버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하우징(110)과 승강커버체(120)는 서로 고정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승강커버체(120)가 하우징(110)을 상대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커버체(120)는 상대적으로 하우징(110)의 위쪽에 위치하고, 외력(하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승강커버체(120)는 하우징(110)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밀폐상태'(도 3(a) 참조), 후자의 경우를 '개방상태'(도 3(b) 참조)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는, 그 자체로 내부의 스트립(2)이 외부의 공기(특히, 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고, 아울러 제습제에 의하여 카트리지(100) 내부가 일정 수준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며, 필요시에만 스트립(2)이 카트리지(100)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평상시 카트리지(100)는 밀폐상태가 유지되고, 스트립(2)의 인출이 필요할 경우 개방상태로 변경된다.
밀폐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전환을 위하여, 사용자는 직접 하우징(110)을 파지하고 승강커버체(12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후 스트립(2)이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는 별도의 인출장치(10)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 내부에 저장된 스트립(2)의 인출을 위하여 바이오센서 스트립 인출장치(이하, '인출장치'라고 함)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출장치(10)는, 혈당측정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혈당측정장치는 스트립(2)을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혈액으로부터의 생물학적 물질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바탕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혈당 측정의 직접적인 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트립(2)은 종래의 바이오센서와 같은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트립(2)은 기판(2a), 센서(2b) 및 전극(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종래의 1자형의 스트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립(2)은 평면도상(위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기판(2a)은 절연성으로 이루어지고 편평한 판 형태로 형성된다.
센서(2b)는 기판(2a)상에 형성되어 생체 시료(혈액)와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며 산화환원 반응을 위한 효소가 포함된다.
전극(2c)은 도전성으로 이루어지고 센서(2b)와 연결되어 센서(2b)에서 발생된 신호를 측정장치 쪽으로 전달한다. 스트립(2)에서 전극(2c)은 뒤쪽 부분에 형성되며, 전극(2c)이 형성된 부분이 센서(2b)가 형성된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이루어진다.
스트립(2)에서 센서(2b)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앞쪽 단부에 혈액을 묻힌 후 뒤쪽 부분의 전극(2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혈당측정장치를 통하여 혈액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스트립(2)에서 센서(2b)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다른 기능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콜레스테롤 또는 알콜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립(2)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카트리지(100) 내부에서 서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된다.
카트리지(1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인출장치(10)는 그 하측에 카트리지(100)가 꼭 맞게 삽입되는 유입구(11)가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카트리지(100)는 인출장치(10)의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만, 카트리지(100)가 인출장치(10)와 결합됨에 있어서, 승강커버체(120)는 인출장치(10) 내부 일측에 걸려 하우징(110)을 상대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카트리지(100)가 인출장치(10)와 결합되면서 밀폐상태가 개방상태로 전환되게 된다.(카트리지(100)가 인출장치(10)에서 분리되면 다시 밀폐상태로 전환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카트리지(100)가 인출장치(10)의 유입구(11) 내부로 삽입될 때, 하우징(110)은 걸림 없이 삽입되되 승강커버체(120)의 상단이 인출장치(10)의 일측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하우징(110)을 상대로 한 승강커버체(120)의 용이한 하강을 위하여, 승강커버체(120)에는, 인출장치(10) 일측에 걸리도록, 하강돌기(125a)가 돌출형성될 수 있고, 이때 하강돌기(125a)는 승강커버체(12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때 하우징(110)의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가 개방되며(개방상태로의 전환), 인출장치(10)의 인출플레이트(12)가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유입개구(115) 내부로 진입하고, 인출플레이트(12)에 의해 최상단의 스트립(2)이 앞쪽으로 가압되면서 인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는, 하우징(110), 승강커버체(120) 및 커버탄성유닛(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는 승강체(150) 및 승강탄성유닛(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는 마찰탄성유닛(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기본적으로 스트립(2)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적층공간(111)이 구비되고,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제습제가 수용되는 제습공간(11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10)은, 사용되는 스트립(2)의 형태, 또한 결합되는 인출장치(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앞쪽면(특히, 앞쪽면의 위쪽)에 인출개구(114)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뒤쪽면(특히, 뒤쪽면의 위쪽)에 유입개구(115)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은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가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가 하우징(110)의 유일한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폐상태에서 하우징(110) 내부는 외부와 차단된다.
적층공간(111)은 스트립(2)의 모양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며, 평면도상 스트립(2)의 크기와 같거나 약간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립(2)이 평면도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적층공간(111)은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에는, 적층공간(111)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70)가 결합되는데, 습도센서(170)는 단순히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습도 및 온도를 함께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습도센서(170)는 적층공간(111) 내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층공간(111) 상에서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다만 감지된 습도 정보(및 온도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습도센서(170)의 단자(171)는 하우징(110)의 외부(특히, 상부커버(110a) 위쪽)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습도센서(170)의 단자(171)는 인출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습도센서(170)에 의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이루어지는 장치는 인출장치(10) 또는 혈당측정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적층공간(111) 이외에 제습공간(113)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습공간(113)은 격벽(112)에 의하여 적층공간(111)과 구분된다. 그리고 격벽(112)의 상단을 통하여 적층공간(111)과 제습공간(113)이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공간(113)에는 제습제가 채워지며, 이러한 제습제는 적층공간(111)에 적층된 스트립(2)을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승강커버체(120)에 의해 평상시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습제에 의한 스트립(2) 보호효과는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출개구(114)는 하우징(110)의 앞쪽에 관통된 구멍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스트립(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인출개구(114)는 스트립(2)의 횡단면과 같거나 약간 크게(바람직하게는 약간 크게)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개구(115)는 하우징(110)의 뒤쪽에서 관통된 구멍 형태로 이루어지고, 인출개구(114)와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즉, 하우징(110) 내부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스트립(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유입개구(115)는 인출개구(114)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유입개구(115)는 인출장치(10)의 인출플레이트(12)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대체로 인출개구(114)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상부는 상부커버(110a)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적층된 스트립(2)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스트립(2)은 하우징(110)의 상부커버(110a) 저면 일측에 밀착되게 된다. 즉, 승강탄성유닛(160) 및 승강체(150)에 의하여 위쪽으로 가압되는 스트립(2)은 상부커버(110a)에 의해 더 이상의 위쪽으로 이동이 저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인출플레이트(12)가 최상단의 스트립(2)을 앞쪽으로 가압하게 되며, 최상단 스트립(2)이 인출개구(114)를 통하여 앞쪽으로 이동하여 카트리지(100)로부터 인출되거나 분리되게 된다.
승강체(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며, (평면도상 바라보았을 때) 대체로 사각판 또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승강체(150)는 하우징(110)의 적층공간(111) 내부에 삽입되며, 적층된 스트립(2)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승강체(150)는 적층공간(111) 내부에서 승강함에 있어서 이격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승강체(150)의 좌우폭은 하우징(110)의 측벽 간의 거리에 상응(동일)하도록 이루어지고, 승강체(150)의 전후폭은 적층공간(111)의 전후폭과 상응(동일)하도록 이루어진다.
승강체(150)의 저면은 승강탄성유닛(160)과의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승강탄성유닛(160)이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승강탄성유닛(160) 내부로 삽입되는 원형돌기(원형관 포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탄성유닛(160)은 탄성체, 예컨대 탄성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승강탄성유닛(160)의 작용에 의하여 승강체(150)는 하우징(110)의 적층공간(111) 내부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승강탄성유닛(160)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반드시 원형의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의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는 승강탄성유닛(160)이 상하방향으로 최대한 압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탄성회복되면서 그 높이가 증가하게 됨은 물론이다.
승강커버체(120)는 하우징(110) 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출커버(121) 및 유입커버(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체(120)는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체(120)는 인출연장벽(123), 유입연장벽(124) 및 연결벽(1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커버체(120)가 인출커버(121), 유입커버(122), 인출연장벽(123), 유입연장벽(124) 및 연결벽(1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은 모두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승강커버체(120)는 합성수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체로 사출되어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커버체(120)는, 테프론(PTFE), 폴리크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MC 나일론, 폴리아세탈(POM), 폴리아미드(polyam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일의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의 소재가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100)에서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가 배제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인출커버(121)는 하우징(110)의 앞쪽면에 직접 밀착되면서 인출개구(114)를 밀폐하고, 유입커버(122)는 하우징(110)의 뒤쪽면에 직접 밀착되면서 유입개구(115)를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100)에서 승강커버체(120)가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는 인출커버(121) 및 유입커버(122) 등과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는 인출커버(121) 및 유입커버(122)보다 탄성변형률이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는, 외력의 작용시 승강커버체(120)의 다른 부분보다 변형률이 크게 이루어지며, 즉, 동일한 조건에서 외력이 작용할 때,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의 단위 길이당 변형량(압축량 포함)은 인출커버(121) 및 유입커버(122)의 단위 길이당 변형량보다 크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는, EVA 발포패드, 폴리우레탄 발포패드, 고무패드, 실리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100)는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가 배제되어 인출커버(121)가 직접 인출개구(114)를 밀폐하고 유입커버(122)가 직접 유입개구(115)를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출커버(121)는 대체로 편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앞쪽면 부분에 위치한다.
인출커버(121)에는 제1 기밀패드(126)가 결합되고, 제1 기밀패드(126)는 인출커버(121)와 하우징(110)의 앞쪽면 사이에 밀착된 형태로 개재된다. 특히, 제1 기밀패드(126)가 인출개구(114)를 밀폐한 상태에서는, 제1 기밀패드(126)는 약간 압축된 형태로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밀패드(126)는 인출커버(121)에 고정결합된다.
제1 기밀패드(126)와 인출커버(121)의 결합을 위하여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제1 기밀패드(126)와 인출커버(121) 중 어느 하나에는 홈(121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러한 홈(121a)에 꼭 맞게 삽입되는 돌기(126a)가 형성되어 양자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인출연장벽(123)은 인출커버(121) 하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우징(110)의 앞쪽면에 위치한다. 하우징(110)과 승강커버체(120) 간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출연장벽(123)은 하우징(110)의 앞쪽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커버(122)는 대체로 편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뒤쪽면 부분에 위치한다.
유입커버(122)에는 제2 기밀패드(127)가 결합되고, 제2 기밀패드(127)는 유입커버(122)와 하우징(110)의 뒤쪽면 사이에 밀착된 형태로 개재된다. 특히, 제2 기밀패드(127)가 유입개구(115)를 밀폐한 상태에서는, 제2 기밀패드(127)는 약간 압축된 형태로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기밀패드(127)는 유입커버(122)에 고정결합된다.
제2 기밀패드(127)와 유입커버(122)의 결합을 위하여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제2 기밀패드(127)와 유입커버(122) 중 어느 하나에는 홈(122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러한 홈(122a)에 꼭 맞게 삽입되는 돌기(127a)가 형성되어 양자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유입연장벽(124)은 유입커버(122) 하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우징(110)의 뒤쪽면에 위치한다. 하우징(110)과 승강커버체(120) 간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연장벽(124)은 하우징(110)의 뒤쪽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벽(125)은 대체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우징(11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한다. 연결벽(125)은 인출연장벽(123)과 유입연장벽(124)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인출연장벽(123) 및 유입연장벽(124)과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연결벽(125)은 인출연장벽(123)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루고, 아울러 연결벽(125)은 유입연장벽(124)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커버체(120)는 대체로 사각 틀 모양을 이루며, 그 중앙에 하우징(110)이 끼워지는 형태로 하우징(110)과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승강커버체(120)는 하우징(110)을 상대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하우징(110)을 상대로 한 승강커버체(120)의 위치에 따라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가 개방되거나 밀폐되게 된다. 즉, 밀폐상태와 개방상태가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연결벽(125)은 인출연장벽(123) 및 유입연장벽(124)과 연결되면서 인출커버(121) 및 유입커버(122)와는 연결되지 않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인출커버(121)는 인출연장벽(123)을 상대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고, 유입커버(122)는 유입연장벽(124)을 상대로 탄성변형가능하게 된다.
즉, 인출연장벽(123)과 달리 인출커버(121)는 하우징(110)의 앞쪽면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고, 유입연장벽(124)과 달리 유입커버(122)는 하우징(110)의 뒤쪽면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가 더욱 효과적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를 긴밀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밀폐상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를 비교적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인출커버(121)와 유입커버(122)의 탄성변형으로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는 일정부분 압축되면서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를 밀폐할 수 있고, 카트리지(100)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가 압축되는 형태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더라도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의 우수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카트리지(100)에서 상술한 하우징(110)은, 인출개구(114)가 형성된 부분이 그 아래쪽 부분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유입개구(115)가 형성된 부분이 그 아래쪽 부분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및 도 6 참조, L1>L2)
이를 위하여 하우징(110)은 상측을 향할수록 전후방향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가 개방되도록 승강커버체(120)가 하우징(110)을 상대로 하측으로 이동한 경우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는 압축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약하게 압축되고,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가 밀폐되도록 승강커버체(120)가 하우징(110)을 상대로 상측으로 이동한 경우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는 상대적으로 강하게 압축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가 더욱 효과적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를 긴밀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카트리지(100)가 인출장치(10)와 결합하여 인출개구(114) 및 유입개구(115)가 개방된 개방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의 불필요한 압축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압축에 따른 제1 기밀패드(126) 및 제2 기밀패드(127)의 소성변형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커버탄성유닛(130)은 탄성체, 예컨대 통상의 탄성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커버탄성유닛(130)의 작용에 의하여 승강커버체(120)는 하우징(110)을 상대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커버탄성유닛(130)에 의해 승강커버체(120)가 상측으로 최대한 가압된 상태에서, 커버탄성유닛(130)과 하우징(110)은 서로 걸리게 되며(커버탄성유닛(130)과 하우징(110) 간의 걸림을 위하여는, 걸림턱과 이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거나, 돌기 및 홈(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장공 형태의 홈)이 각각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을 상대로 한 커버탄성유닛(130)의 상측방향 이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 기밀패드(126)는 인출개구(114)를 정확히 밀폐하고, 제2 기밀패드(127)는 유입개구(115)를 정확히 밀폐하게 된다.
커버탄성유닛(130)은 단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서로 반대되는 양쪽에 각각 위치한다.
커버탄성유닛(130)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하우징(110) 하단에는 안착단턱(117)이 돌출형성되고, 승강커버체(120)와 안착단턱(117) 사이에 커버탄성유닛(130)이 개재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커버탄성유닛(130)은, 코일부(131), 제1 아암부(132) 및 제2 아암부(133)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부(131)는 코일 형태로 감겨지며 커버탄성유닛(130)의 중심을 이룬다.
제1 아암부(132)는 코일부(131)의 일측 단부에서 길게 연장되고, 제2 아암부(133)는 코일부(131)의 타측 단부에서 길게 연장되되, 제1 아암부(132)와 벌어지는 형태로 연장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에는 코일부(131)가 끼워지는 코일결합돌기(118)가 형성되고, 승강커버체(120)에는 제1 아암부(132) 및 제2 아암부(133) 각각과 체결되는 제1 체결부(128) 및 제2 체결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에서, 승강체(150)의 높이에 따라 승강탄성유닛(160)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력이 변화하게 되며, 특히 승강체(150)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탄성유닛(160)은 강하게 압축되어 승강체(150)에 작용하는 탄성력(위쪽 방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승강체(150)가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탄성유닛(160)의 압축이 약해지면서 승강체(150)에 작용하는 탄성력(위쪽 방향)이 감소하게 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찰탄성유닛(140)에 의한 작용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승강체(150)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최상단에 위치하는 스트립(2)과 하우징(110)의 상부커버(110a) 저면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고, 승강체(150)가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최상단에 위치하는 스트립(2)과 하우징(110)의 상부커버(110a) 저면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감소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찰탄성유닛(14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적층된 스트립(2)의 개수에 따라 스트립(2)과 하우징(110)의 상부커버(110a)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상이하게 되므로, 스트립(2)이 순차적으로 인출됨에 있어서 인출장치(10)의 인출플레이트(12)가 발휘하여야 하는 힘이 상이하게 되며, 이는 결국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마찰탄성유닛(140)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마찰탄성유닛(140)은 탄성체, 예컨대 탄성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탄성유닛(140)은 승강체(150)와 마찰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승강탄성유닛(160)에 의하여 작용하는 힘(f1)과 반대방향으로 승강체(150)에 힘(f2, 마찰력)을 가하게 된다. 특히 마찰탄성유닛(140)은 승강체(150)의 위치에 따라 작용하는 마찰력이 상이하도록 이루어지며, 승강체(150)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저장하도록 변형량이 크고, 승강체(150)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저장하도록 변형량이 적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찰탄성유닛(140)은 탄성체(금속, 합성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 등)가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탄성유닛(140)은 절곡된 와이어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절곡된 판형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탄성유닛(140)이 판형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마찰탄성유닛(140)의 각 부분은 스트립 카트리지(100)의 전후방향을 따라 편평한 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마찰탄성유닛(140)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구별된 별개의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하우징(11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우징(110)과 일체로 이루어지되 탄성변형되도록 분기되어 이루어진 탄성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마찰탄성유닛(14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마찰탄성유닛(140)은 하단연결구간(141), 탄성저장구간(142), 변형구간(143) 및 중간연결구간(144)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단연결구간(141)은 마찰탄성유닛(140)의 가장 아래쪽을 이루며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탄성저장구간(142)은 하단연결구간(141)의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각각 연장된 부분이며, 좌우 대칭된 구조를 이루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도 8 참조)에서 그 폭(d1) 이 승강체(150)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변형구간(143)은 탄성저장구간(142)의 상측에 위치하며, 좌측 및 우측의 탄성저장구간(142)의 각각에서 연장되어 좌우 대칭된 구조를 이루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도 8 참조)에서 적어도 일부가 승강체(150)의 폭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져 승강체(150)와 마찰(접촉)한다. 그리고 변형구간(143)의 상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형구간(143)은 하부변형구간(143a)과 상부변형구간(143b)으로 구분된다.
하부변형구간(143a)은 변형구간(143)의 아래쪽 부분으로서 상측을 향할수록 폭(d2)이 감소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하부변형구간(143a)에서 폭(d2)은 승강체(150)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변형구간(143b)은 변형구간(143)의 위쪽 부분으로서 상측을 향할수록 폭(d3)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상측을 향할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폭(d3)이 감소하더라도 그 감소의 정도는 하부변형구간(143a)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변형구간(143b)에서 폭(d3)은 승강체(150)의 폭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진다.
중간연결구간(144)은 탄성저장구간(142)과 변형구간(143)을 연결하는 부분이며, 이에 따라 중간연결구간(144)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마찰탄성유닛(140) 중간에 승강체(150)가 끼이는 경우 마찰탄성유닛(140)과 승강체(150)는 서로 접촉하면서 마찰력이 발생한다.
특히 승강체(150)가 마찰탄성유닛(140)의 하부변형구간(143a)과 접촉하는 경우, 변형구간(143)은 좌우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벌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저장구간(142) 및 중간연결구간(144)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탄성력이 저장되게 된다. 또한 강한 탄성력의 저장에 의하여 승강체(150)와 마찰탄성유닛(140) 간의 마찰력 또한 증가하게 된다.
승강체(150)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부변형구간(143b)과 접촉하는 경우, 변형구간(143)이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는 정도는 감소하며 탄성저장구간(142) 및 중간연결구간(144)에서 발생하는 탄성력 또한 다소 감소하게 된다. 아울러 탄성력의 감소에 의하여 승강체(150)와 마찰탄성유닛(140) 간의 마찰력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에서는, 승강체(150)의 높이에 따라 승강체(150)와 마찰탄성유닛(140)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f2)이 변화하게 되며, 특히 승강체(150)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체(150)에 작용하는 마찰력(아래쪽 방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승강체(150)가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체(150)에 작용하는 마찰력(아래쪽 방향)이 감소하게 된다.
결국, 적층된 스트립(2)이 하우징(1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됨에 있어서, 마찰탄성유닛(140)의 작용에 따른 마찰력(f2)은 승강탄성유닛(160)의 작용에 의한 탄성력(f1)과 그 크기가 비례하나 방향이 반대이므로, 승강체(150)에 대체로 일정한 힘(f3)이 가해지게 되며, 최상단에 위치하는 스트립(2)과 하우징(110)의 상부커버(110a) 간에도 일정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도 9 참조)
따라서 카트리지(100)에서 스트립(2)이 순차적으로 인출될 때 인출플레이트(12)에 일정한 힘이 작용할 수 있으며,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 : 바이오센서 스트립 2a : 기판
2b : 센서 2c : 전극
10 : 바이오센서 스트립 인출장치 11 : 유입구
12 : 인출플레이트
100 : 스트립 카트리지 110 : 하우징
110a : 상부커버
111 : 적층공간 112 : 격벽
113 : 제습공간 114 : 인출개구
115 : 유입개구 117 : 안착단턱
118 : 코일결합돌기
120 : 승강커버체 121 : 인출커버
122 : 유입커버 123 : 인출연장벽
124 : 유입연장벽 125 : 연결벽
126 : 제1 기밀패드 127 : 제2 기밀패드
128 : 제1 체결부 129 : 제2 체결부
130 : 커버탄성유닛 131 : 코일부
132 : 제1 아암부 133 : 제2 아암부
140 : 마찰탄성유닛 141 : 하단연결구간
142 : 탄성저장구간 143 : 변형구간
143a : 하부변형구간 143b : 상부변형구간
144 : 중간연결구간
150 : 승강체 160 : 승강탄성유닛

Claims (10)

  1. 2 이상의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보관되고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립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적층공간,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적층공간과 구획되되 상기 적층공간과 연통되고 제습제가 수용되는 제습공간, 상기 스트립이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개구된 인출개구 및 상기 인출개구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유입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출개구를 밀폐하는 인출커버 및 상기 유입개구를 밀폐하는 유입커버를 포함하는 승강커버체;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인출커버가 상기 인출개구를 밀폐하고 상기 유입커버가 상기 유입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승강커버체를 상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커버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커버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인출개구 및 상기 유입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2. 2 이상의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보관되고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립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적층공간,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적층공간과 구획되되 상기 적층공간과 연통되고 제습제가 수용되는 제습공간, 상기 스트립이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개구된 인출개구 및 상기 인출개구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유입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출개구를 차폐하는 인출커버, 상기 인출커버보다 탄성변형률이 크고 상기 인출커버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개구를 밀폐하는 제1 기밀패드, 상기 유입개구를 차폐하는 유입커버 및 상기 유입커버보다 탄성변형률이 크고 상기 유입커버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개구를 밀폐하는 제2 기밀패드를 포함하는 승강커버체;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기밀패드가 상기 인출개구를 밀폐하고 상기 제2 기밀패드가 상기 유입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승강커버체를 상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커버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커버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인출개구 및 상기 유입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커버체는,
    상기 인출커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인출연장벽;
    상기 유입커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입연장벽; 및
    상기 인출연장벽과 상기 유입연장벽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커버는 상기 인출연장벽을 상대로 탄성변형하고, 상기 유입커버는 상기 유입연장벽을 상대로 탄성변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출개구가 형성된 부분이 그 아래쪽 부분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거나,
    상기 유입개구가 형성된 부분이 그 아래쪽 부분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하단에는 안착단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탄성유닛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커버체와 상기 안착단턱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탄성유닛은,
    코일 형태로 감겨진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1 아암부;
    상기 코일부의 타측 단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 아암부와 벌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코일부가 끼워지는 코일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커버체에는, 상기 제1 아암부 및 상기 제2 아암부 각각과 체결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적층공간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층공간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스트립의 하측을 지지하는 승강체;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체를 상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승강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체와 마찰하는 마찰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탄성유닛은, 상기 승강체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할 때 큰 탄성력을 저장하도록 변형량이 크고, 상기 승강체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할 때 작은 탄성력을 저장하도록 변형량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탄성유닛은,
    하단연결구간;
    상기 하단연결구간의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체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저장구간;
    상기 탄성저장구간의 상측에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승강체와 마찰하고, 상단이 자유단이며, 상기 승강체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변형구간; 및
    상기 탄성저장구간과 상기 변형구간을 연결하는 중간연결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카트리지.
KR1020150149034A 2015-10-26 2015-10-26 스트립 카트리지 KR101738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34A KR101738566B1 (ko) 2015-10-26 2015-10-26 스트립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34A KR101738566B1 (ko) 2015-10-26 2015-10-26 스트립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98A KR20170048098A (ko) 2017-05-08
KR101738566B1 true KR101738566B1 (ko) 2017-05-22

Family

ID=5905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034A KR101738566B1 (ko) 2015-10-26 2015-10-26 스트립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5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383A (ja) 2005-01-14 2008-07-24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 検査センサカートリッジおよびセンサ分注器
US20120330119A1 (en) 2011-06-21 2012-12-27 Gadlight, Inc. Analyte Testing Device with Lancet Cartridge and Test Strip Cart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383A (ja) 2005-01-14 2008-07-24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 検査センサカートリッジおよびセンサ分注器
US20120330119A1 (en) 2011-06-21 2012-12-27 Gadlight, Inc. Analyte Testing Device with Lancet Cartridge and Test Strip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98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7296B1 (en) Storage cartridge for biosensors
EP1413249B1 (en) Installation body for body fluid sampl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US20030089730A1 (en) Sensor dispensing device
CA2829856A1 (en) Test strip vial
WO2003042691A1 (en) Sensor dispensing device
WO2001063272A1 (fr) Cartouche de capteur, dispositif d'alimentation de capteur, et instrument de mesure
US9081000B2 (en) Cartridge for body fluid measuring strips and a body fluid measurement device
TW201443437A (zh) 用於電化學感測器的分配器
CN102053110B (zh) 传感器盒及测量装置
US9575051B2 (en) Test strip connector contact protection
US20170158415A1 (en) Biosensor strip dispensing apparatus and strip cartridge used by being coupled thereto
KR101738566B1 (ko) 스트립 카트리지
EP2264450B1 (en) Holding device for medical test strip
JP3954393B2 (ja)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US11000646B2 (en) Infusion device for acting onto a tube set
JP4095105B2 (ja)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US20200300837A1 (en) Sensor clip for stacked sensor dispensing system, an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582222B1 (ko) 스트립 카트리지
KR101582219B1 (ko) 바이오센서 스트립 인출장치
JP4566231B2 (ja) 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CN219030182U (zh) 卡盒和样本分析仪
CN216309858U (zh) 一种电化学传感器的封装结构及电化学传感器
KR20150002884U (ko) 혈당측정기
CN105651980A (zh) 具有一体成型顶盖的生化数值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