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521B1 -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521B1
KR101738521B1 KR1020150110704A KR20150110704A KR101738521B1 KR 101738521 B1 KR101738521 B1 KR 101738521B1 KR 1020150110704 A KR1020150110704 A KR 1020150110704A KR 20150110704 A KR20150110704 A KR 20150110704A KR 101738521 B1 KR101738521 B1 KR 101738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rame
unit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149A (ko
Inventor
박성범
Original Assignee
박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범 filed Critical 박성범
Priority to KR102015011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5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16Uprights receiving panels and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41Horizontal str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주하는 양측 벽체 사이에 설치되며, 벽체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출몰식(出沒式)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관(pipe) 형상 수평프레임;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관 형상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의 출몰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조임부재; 대상물을 거치하도록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설치되는 선반유닛;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방과 하방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유닛; 및 수직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선반유닛의 전면방향에 위치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되, 덮개유닛은, 수직프레임과 연결부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연결부재는, 일단에 경첩이 구비되어 덮개유닛의 후면에 체결되고, 연결부재의 타단은 조임방식 가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이 구비되어 수직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초기 배치 및 재배치가 간편하여 다른 가구와의 공간 배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Simple built-in cabine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이용 붙박이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유지 대상물을 수용하는 케이스부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냉매 패널의 장착이 용이하고, 보관 및 이송도 용이한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빌라 등의 공동주택은 물론 일반주택 등에서 가구를 마련함에 있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거주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벽에 붙이거나 벽의 안쪽에 형합적으로 설치하는 붙박이장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붙박이장은 내부에 보관된 의류나 침구류 등은 환기가 원활하지 않은 밀폐된 공간에 보관되므로 외부의 습한 날씨에 따라 습기가 내부로 유입된 경우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하여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습기제거제를 내부에 비치하여 수분을 흡수하도록 하지만, 이는 주거자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교환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목재로 제조된 붙박이장의 경우 자연적으로 습기를 흡수하므로 장기간 동안 흡수와 건조를 반복하게 되면 붙박이장 자체가 뒤틀리거나 갈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붙박이장의 특성상 한번 배치된 후에는 다시 재배치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며, 그 부피가 큰 경우에는 다른 가구들과의 공간 배치를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빈번하게 이사해야 하거나, 내부 인테리어를 자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재배치가 매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이 가정에서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한정되어 있어 가정 외의 매장 등에서는 그 활용이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붙박이장의 간편한 설치와 효과적인 활용이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한국등록특허 제 20-0450415 호
본 발명은, 초기 배치 후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재배치가 간편하여 다른 가구들과의 공간 배치가 용이한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보관된 의류나 침구류 등이, 환기가 원활하지 않은 밀폐된 공간상에서 습기 유입에 의하여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하여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기간 동안 습기의 흡수와 건조를 반복하게 되어 붙박이장 자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붙박이장을 가정용이외에 제품의 진열 및 거치를 위한 매장용 붙박이장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주하는 양측 벽체 사이에 설치되며, 벽체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출몰식(出沒式)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관(pipe) 형상 수평프레임;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관 형상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의 출몰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조임부재; 대상물을 거치하도록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설치되는 선반유닛;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방과 하방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유닛; 및 수직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선반유닛의 전면방향에 위치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되, 덮개유닛은, 수직프레임과 연결부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연결부재는, 일단에 경첩이 구비되어 덮개유닛의 후면에 체결되고, 연결부재의 타단은 조임방식 가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이 구비되어 수직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양측 벽체 사이에, 이격 거리에 따라 출몰식(出沒式)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관(pipe) 형상 수평프레임을 설치하는 수평프레임 설치단계; 하나 이상의 관 형상의 수직프레임을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설치하는 수직프레임 설치단계;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선반유닛을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설치하는 선반유닛 설치단계; 상방과 하방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유닛을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하는 받침유닛 설치단계; 및 수직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덮개유닛을 선반유닛의 전면방향에 설치하는 덮개유닛 설치단계를 포함하되, 수평프레임은 제1조임부재를 통해 수평프레임을 출몰된 상태로 고정하며, 덮개유닛은, 수직프레임과 연결부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연결부재는, 일단에 경첩이 구비되어 덮개유닛의 후면에 체결되고, 연결부재의 타단은 조임방식 가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이 구비되어 수직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초기 배치 및 재배치가 간편하여 다른 가구와의 공간 배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붙박이장을 가정용 이외에 제품의 진열 및 거치를 위한 매장용 붙박이장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보관된 의류나 침구류 등이, 환기가 원활하지 않은 밀폐된 공간상에서 습기 유입에 의하여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하여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동안 습기의 흡수와 건조를 반복하게 되어 붙박이장 자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의 구성들 중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 및 연결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조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10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100)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100)은 수평프레임(110), 수직프레임(120), 제1조임부재(131), 제2조임부재(미도시), 선반유닛(140), 받침유닛(150), 덮개유닛(160), 연결부재(180), 연결구(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프레임(110)은 제1수평프레임(111), 제2수평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10)은 마주하는 양측 벽체(B1, B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10)은 설치전 벽체(B1, B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에 알맞도록 제작할 수도 있으나, 출몰식(出沒式)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관(pipe) 형상으로 형성하여 벽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제1수평프레임(111)은 중공으로서 외곽에 위치되며, 제2수평프레임(112)은 제1수평프레임(111)에 내삽되어 제1수평프레임(111)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벽체(B1, B2)사이의 이격 간격을 고려하여 제1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태로 제2수평프레임(112)에도 소정의 제3수평프레임(미도시)이 내삽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프레임(110)으로서 아연관 파이프나 알루미늄 재질의 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부재(130)는 수평프레임(110)의 출몰 동작을 고정하도록 수평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수평프레임(112)은, 제1수평프레임(111)으로부터 출몰된 상태에서, 조임부재(130)가 제1수평프레임(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수평프레임(111)의 내삽된 제2수평프레임(112)의 외주면을 나사 회전 방식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수평프레임(112)의 출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120)은 수평프레임(110)의 길이방향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120)은 제1수평프레임(111)의 길이방향 하부 일영역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100)의 구성들 중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 및 연결구(C)의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구(C)는 3족의 연결구(C)로서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상방을 향하는 2족(足)과 하방을 향하는 1족으로서 대략적으로 종단면이 Y자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수평프레임(111)의 모서리들 중 제1모서리(111a)가 하방을 향하고, 이웃하는 제2모서리(111b)와 제3모서리(111c)는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때, 2족으로는 제1모서리(111a), 제2모서리(111b) 및 제3모서리(111c) 상호간을 잇는 제1수평프레임(111) 외주면의 적어도 일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평프레임(111)은 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C)의 나머지 1족으로는 수직프레임(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구(C)의 하방 1족은 수직프레임(120)과 내삽 또는 외삽 되는 형태로 결합되거나,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구(C)의 2족은, 조임부재(130)가 2족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수평프레임(111)의 외주면 적어도 일영역을 나사 회전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2족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수평프레임(111)의 외주면 적어도 일영역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1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반유닛(140)은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서 의류, 물품 등의 대상물을 거치하도록 수직프레임(120)들 사이에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반유닛(140)의 일단은 수평프레임(110) 사이에서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 벽체(B3)에 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직프레임(120)사이에는 선반유닛(140)의 일단을 소정의 앵글(a)을 설치하여 선반유닛(140)의 일단을 거치하며, 후면 벽체(B3)에는 브라켓(190)을 설치하여 선반유닛(140)의 타단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면벽체(B3)와 무관하게 수직프레임(120)사이에서 선반유닛(140) 단독으로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선반유닛(140)의 설치방식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받침유닛(150)은 수직프레임(120)의 하단에서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방과 하방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수직프레임(120)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수직프레임(120)과 지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메우기 위하여 수직프레임(120)의 하단에서 출몰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덮개유닛(160)은 수직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선반유닛(140)의 전면방향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유닛(160)은 받침유닛(150)에 안착되어 수직프레임(120)과 연결부재(180)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 1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100)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따른 연결부재(18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연결부재(180)는 일단에 경첩(181)이 구비되어 덮개유닛(160)의 후면에 체결되고, 연결부재(180)의 타단은 조임방식 가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182)이 구비될 수 있다. 때문에, 덮개유닛(160)은 수직프레임(120)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구성상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100‘)는 보조덮개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덮개유닛(170)은 양측 벽체(B1, B2)와 덮개유닛(160) 사이에 각각 구비되되, 제2수평프레임(112)의 길이방향 하부 일영역으로부터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덮개유닛(170)은 덮개유닛(160)과 힌지 결합되거나, 양측벽체와 덮개유닛(160) 사이에서 강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덮개유닛(160)과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부재(180)를 사용하여 수직프레임(12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조립방법(S1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수평프레임 설치단계(S110)에서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양측 벽체(B1, B2) 사이에, 이격 거리에 따라 출몰식(出沒式)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관(pipe) 형상 수평프레임(1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조임부재(130)를 통해 수평프레임(110)을 출몰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프레임(110)은, 외곽에 위치하는 제1수평프레임(111)과 제1수평프레임(111)의 내부에 내삽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하는 제2수평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수평프레임(112)은, 제1수평프레임(111)으로부터 출몰된 상태에서, 나사 회전 방식으로 제1수평프레임(111) 외주면으로부터 제1수평프레임(111)의 내삽된 제2수평프레임(112)의 외주면을 향하는 제1조임부재(13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다음, 수직프레임 설치단계(S120)에서는, 하나 이상의 관 형상의 수직프레임(120)을 수평프레임(110)의 길이방향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프레임(120)은 제1수평프레임(111)의 길이방향 하부 일영역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프레임 설치단계(S120)에 있어서,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상방을 향하는 2족(足)과 하방을 향하는 1족으로 형성된 Y자 형상의 3족 연결구(C)로 상호간에 결합되되, 제1수평프레임(111)은 모서리들 중 제1모서리(111a)가 하방을 향하고, 이웃하는 제2모서리(111b)와 제3모서리(111c)는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2족은 제1모서리(111a), 제2모서리(111b) 및 제3모서리(111c) 상호간을 잇는 제1수평프레임(111) 외주면의 적어도 일영역과 결합되며, 1족은 수직프레임(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C)와 제1수평프레임(111)은, 나사 회전 방식으로 연결구(C)의 2족 각각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수평프레임(111)의 외주면 적어도 일영역을 향하는 제2조임부재(13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선반유닛 설치단계(S130)에서는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선반유닛(140)을 수직프레임(120) 사이에서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반유닛 설치단계(S130)는, 선반유닛(140)과 대향하는 후면 벽체에는 소정의 브라켓(190)을 설치하는 브라켓(190) 설치단계(S131)와, 선반유닛(140)의 일단을 수평프레임(110) 사이에 위치시키고 타단은 브라켓(190)에 위치시키는 선반유닛 배치단계(S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반유닛(140)은 후면 벽체를 향하여 출몰 가능한 복수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받침유닛 설치단계(S140)에서는, 상방과 하방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유닛(150)을 수직프레임(120)의 하단에서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다음, 덮개유닛 설치단계(S150)에서는 수직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덮개유닛(160)을 선반유닛(140)의 전면방향에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유닛(160)은, 수직프레임(120)과 연결부재(180)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연결부재(180)는, 일단에 경첩(181)이 구비되어 덮개유닛(160)의 후면에 체결되고, 연결부재(180)의 타단은 조임방식 가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182)이 구비되어 수직프레임(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음, 보조덮개 설치단계(160)에서는 보조덮개유닛(170)을 양측 벽체와 덮개유닛(160) 사이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보조덮개유닛(170)은 제2수평프레임(112)의 길이방향 하부 일영역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덮개유닛(170)은 수직프레임(160)과 힌지 결합되거나, 양측벽체와 덮개유닛(160) 사이에서 강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보조덮개 설치단계(160)는 덮개유닛 설치단계(S150) 이후가 아니더라도, 수평프레임 설치단계(S110) 이후라면 어느 시점에서 수행되어도 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수평프레임 111 : 제1수평프레임
112 : 제2수평프레임 120 : 수직프레임
130 : 조임부재 140 : 선반유닛
150 : 받침유닛 160 : 덮개유닛
170 : 보조덮개유닛 180 : 연결부재
181 : 경첩 182 : 클램핑 수단
190 : 브라켓 C : 연결구

Claims (10)

  1. 마주하는 양측 벽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벽체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출몰식(出沒式)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관(pipe) 형상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관 형상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출몰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조임부재;
    대상물을 거치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설치되는 선반유닛;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방과 하방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유닛; 및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유닛의 전면방향에 위치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부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에 경첩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유닛의 후면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은 조임방식 가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선반유닛과 대향하는 후면 벽체에는 소정의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선반유닛은 후면 벽체를 향하여 출몰 가능한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벽체와 상기 덮개유닛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보조덮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외곽에 위치하는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내부에 내삽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하는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하부 일영역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수평프레임이 상기 제1수평프레임으로부터 출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내삽된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외주면은, 상기 제1수평프레임 외주면을 관통하는 상기 제1조임부재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보조덮개유닛은 상기 덮개유닛과 힌지 결합되거나, 상기 양측벽체와 상기 덮개유닛 사이에서 강제 끼움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호간을 결합하도록 상방을 향하는 2족(足)과 하방을 향하는 1족으로 형성된 Y자 형상의 3족 연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모서리들 중 제1모서리가 하방을 향하고, 이웃하는 제2모서리와 제3모서리는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2족이 상기 제1모서리, 상기 제2모서리 및 상기 제3모서리 상호간을 잇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 외주면의 적어도 일영역과 결합되며, 상기 1족은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와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나사 회전 방식으로 상기 연결구의 상기 2족 각각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외주면 적어도 일영역을 향하는 제2조임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5. 삭제
  6.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양측 벽체 사이에, 상기 이격 거리에 따라 출몰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관(pipe) 형상 수평프레임을 설치하는 수평프레임 설치단계;
    하나 이상의 관 형상의 수직프레임을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설치하는 수직프레임 설치단계;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선반유닛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설치하는 선반유닛 설치단계;
    상방과 하방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유닛을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지면과 접하도록 설치하는 받침유닛 설치단계; 및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덮개유닛을 상기 선반유닛의 전면방향에 설치하는 덮개유닛 설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프레임은 제1조임부재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을 출몰된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부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에 경첩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유닛의 후면에 체결되 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은 조임방식 가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선반유닛 설치단계는,
    상기 선반유닛과 대향하는 후면 벽체에 소정의 브라켓을 설치하는 브라켓 설치단계와,
    상기 선반유닛의 일단을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설치하는 선반유닛 배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반유닛은 후면 벽체를 향하여 출몰 가능한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조립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보조덮개유닛을 상기 양측 벽체와 상기 덮개유닛 사이에 각각 설치하는 보조덮개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프레임은, 외곽에 위치하는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내부에 내삽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하는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하부 일영역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수평프레임이 상기 제1수평프레임으로부터 출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내삽된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외주면은, 상기 제1수평프레임 외주면을 관통하는 상기 제1조임부재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보조덮개유닛은 상기 덮개유닛과 힌지 결합되거나, 상기 양측벽체와 상기 덮개유닛 사이에서 강제 끼움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조립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 설치단계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상방을 향하는 2족(足)과 하방을 향하는 1족으로 형성된 Y자 형상의 3족 연결구로 상호간에 결합되되,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모서리들 중 제1모서리가 하방을 향하고, 이웃하는 제2모서리와 제3모서리는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2족은 상기 제1모서리, 상기 제2모서리 및 상기 제3모서리 상호간을 잇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 외주면의 적어도 일영역과 결합되며, 상기 1족은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조립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와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나사 회전 방식으로 상기 연결구의 상기 2족 각각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외주면 적어도 일영역을 향하는 제2조임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조립방법.
  10. 삭제
KR1020150110704A 2015-08-05 2015-08-05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738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704A KR101738521B1 (ko) 2015-08-05 2015-08-05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704A KR101738521B1 (ko) 2015-08-05 2015-08-05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49A KR20170018149A (ko) 2017-02-16
KR101738521B1 true KR101738521B1 (ko) 2017-05-23

Family

ID=5826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704A KR101738521B1 (ko) 2015-08-05 2015-08-05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93Y1 (ko) * 2005-03-31 2005-08-22 주식회사 동성사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JP2005349071A (ja) * 2004-06-14 2005-12-22 Sekisui Jushi Co Ltd 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15Y1 (ko) 2008-07-09 2010-10-01 주식회사 동성사 붙박이장 선반용 프레임의 설치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071A (ja) * 2004-06-14 2005-12-22 Sekisui Jushi Co Ltd 収納装置
KR200393393Y1 (ko) * 2005-03-31 2005-08-22 주식회사 동성사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49A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7976B1 (en) Framework for electronic or network cabinets
KR101310684B1 (ko) 창틀 건조대
US20200407956A1 (en) Integrally Assembled Sink
WO2005081815A3 (en) Multi-piece wall bathing enclosure
US20070182293A1 (en) Universal bracket used to fix doors to cabinet pull-out elements
US20080067303A1 (en) Universal Bracket Used to Fix Doors to Cabinet Pull-Out Baskets
KR101738521B1 (ko) 간이용 붙박이장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459450Y1 (ko) 도어 걸이형 다용도 선반
KR200489013Y1 (ko) 가구용 수납용기
US8752914B1 (en) Dish rack mounted in kitchen cabinet
CN206449400U (zh) 一种型材及使用该型材制作的框体
KR20160044182A (ko) 주방용 다용도 서랍
JP528860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EP1804614A1 (en) Universal bracket used to fix doors to cabinet pull-out elements
KR200482080Y1 (ko) 온실효과 빨래건조대
CN204069544U (zh) 一种增强机柜刚性的设备固定装置
CN211559352U (zh) 拉篮
KR101615710B1 (ko) 여닫이 붙박이장 구조물
CN211673183U (zh) 新型橱柜框架
KR200495702Y1 (ko) 빌트인 오븐 시스템
CN214906266U (zh) 一种多段分体组合式淋浴房
CN216061426U (zh) 一种平网拉篮安装结构
KR102302530B1 (ko) 창틀용 식기선반
KR20140076868A (ko) 실외기의 전도방지 장치
CN212437861U (zh) 一种台面伸缩置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