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447B1 -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447B1
KR101738447B1 KR1020120025585A KR20120025585A KR101738447B1 KR 101738447 B1 KR101738447 B1 KR 101738447B1 KR 1020120025585 A KR1020120025585 A KR 1020120025585A KR 20120025585 A KR20120025585 A KR 20120025585A KR 101738447 B1 KR101738447 B1 KR 10173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communication module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4236A (en
Inventor
김일영
김명훈
경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2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447B1/en
Publication of KR2013010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2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4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하고, 휴대형 연결 장치를 통해 충전 설비와 근거리 통신으로 인증하여 휴대형 연결 장치를 활성화하며 중앙 관리시스템과 3G, WiBro, LTE 등 이동통신으로 재인증을 통해 전력의 도난 등 염려 없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to have only a minimum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shutdown configuration, activates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by authenticating with the charging facility and lo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 WiBro, LTE and the like through re-authentication by means of mobile communication.

Description

간소화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를 통한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rough a simplified b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하고, 휴대형 연결 장치를 통해 충전 설비와 근거리 통신으로 인증하여 휴대형 연결 장치를 활성화하며 중앙 관리시스템과 3G, WiBro, LTE 등 이동통신으로 재인증을 통해 전력의 도난 등 염려 없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 which a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is simplified as much as possible so as to have only a configuration for minimum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interruption, and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is used, And to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re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and carrying out settlement without worrying about theft or the like by re-authentication with a central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WiBro, and LTE.

기존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벤딩 머신형 충전설비에 전력 제어, 전력량 계산, 결제, 유지 보수 등을 위한 각종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결제, 인증 등을 통해 허용되면, 충전설비에 고정된 충전용 케이블을 전기자동차에 연결하고 허용된 전력량만큼 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charge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various control devices for power control, calculation of electric energy, settlement, maintenance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a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The charging cable wa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allowed to charge the battery for an allowed amount of power.

이와 같이 기존의 벤딩 머신형 충전설비에는 결제 시스템 등이 결합되어 복잡하고 설비 비용이 높아 도심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 운영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누구나 전기 자동차용 충전사업을 영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제어 시스템과 충전용 케이블 등을 설치 및 유지하는 비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 보급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As such, the existing bending machine type charging equipment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billing system, so that it is not suitable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a limited space of the city center.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anyone to charge the electric car charging business , And various control systems, charging cables, and the like are relatively expensive due to the cos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한국특허공개번호 10-1999-50678(명칭 : 전기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충전 장치, 공개일:199.7.5)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9-50678 (name: auxiliary battery charging device of electric vehicle, published on 199.7.5)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하고, 휴대형 연결 장치를 통해 전력 도난의 염려 없이 인증을 통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which is as simple as possible so as to have only a minimum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And to provide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re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hich can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authentication and can perform settlement without worrying about the problem.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충전전력 공급기의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에 있어서, 충전전력 공급기에 연결을 위한 제1충전케이블과 전기 자동차에 연결을 위한 제2충전케이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과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의 활성화 응답을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해당 인증에 따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을 요청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가 공급하는 전력을 상기 제1충전케이블과 상기 제2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 device comprising: a first charging cable for connection to a charging power supply and a second charging cable for connection to an electric vehicle;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central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the network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 unique identifier to the charging power supplier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n activation response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ier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To request electric power through the wireless LAN modul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and to suppl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y unit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first charging cable and the second charging cable And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응답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를 질의하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선불 결제의 완료 또는 상기 후불 결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인증을 위해 입력한다.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screen for inquiring a prepayment or a postpay settlement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response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o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mpletion of the prepayment or the postpayment,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input for the authentication.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은 직접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이 상기 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directly to the control unit or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상기 선불 결제는, 네트워크로 연동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의 승인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자의 계좌 정보, 신용카드정보,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의 SIM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는 질 수 있다.The prepaid payment may be made through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the credit card information, or the SIM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which is settled by the approval of the electronic payment system linked to the network.

상기 제어부는,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고객과 상기 연결 장치를 관리하는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이 해당 후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end of charging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to the registered customer and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can process the postpay settlement.

상기 제어부가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에 따른 충전 요구 전력량,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충전된 전력량,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된 전체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되는 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the charging electric power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ier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charging start time to the charging end time,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requir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y, And transmits information provided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to a mobile terminal of a user link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1충전케이블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1통신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충전케이블이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2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선 및 상기 제2통신선은 표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통신선일 수 있다.The first charging cable may include a separate first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or the second charging cable may include a separate second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may be communication lines for standard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상기 제1충전케이블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1통신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충전케이블이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2통신선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통신선을 통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수신하는 공급 전압과 공급 전류를 포함하는 공급 가능 정보, 또는 상기 제2통신선을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로도 전송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harging cable includes a separate first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or wherein the second charging cable includes a separate second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supply avail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supply voltage and supply current receiv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via the communication line or battery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from the electric vehicle, It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에 따르면,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하였으며, 충전 설비와 근거리 통신으로 인증하여 휴대형 연결 장치를 활성화하며 중앙 관리시스템과 3G, WiBro, LTE 등 이동통신으로 재인증을 통해 전력의 도난 등 염려 없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고비용, 대형 충전설비 대신 저비용, 소형 충전설비를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하여 충전 서비스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충전소를 많은 곳에 확산시켜 전기 자동차 보급의 걸림돌인 충전설비의 보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According to the portable connection apparatus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achine type charging apparatus, that is, the charging power supply unit is simplified to have only a configuration for minimum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By activating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and re-authenticating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WiBro, LTE, etc., electric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ay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worrying about theft of electric power. Instead of charging facilities, low-cost and small-sized charging facilities can be safely used,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charging service and spreading charging stations in many places, thereby improving the speed of charging facilities, which are obstacles to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또한, 이에 따라, 충전설비를 설치 보유하는 사업자(SOHO/건물주 등)는 기존의 고가의 대형 충전설비 대신 일반 자동판매기를 설치하는 것과 유사하게 저가 소형의 충전설비를 설치, 무인화하여 운영함으로써 수익성을 높일 수 있으며, 통신사가 각 충전설비의 과금 및 회수를 대행하며, 일정분의 수수료를 충전설비 운영자로부터 지급받게 되므로 운영자는 불필요한 관리비를 지출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자동차 이용자는 충전 연결장치를 자가 보유함으로써 충전설비의 부족 및 관리부실 등으로 인한 대기시간 낭비 및 차량운행 위험을 회피할 수 있고, 동시에 카쉐어링(Car sharing) 사업 등과 연계하여 각종 전기 자동차 사업의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As a result, operators (SOHO / building owners, etc.) who install and maintain charging facilities can install profitable facilities by installing and unattended charging facilities that are similar to installing conventional vending machines instead of existing high-priced large-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charges and collects each charging facility, and a certain amount of commission is paid from the charging facility operator, so that the operator can avoid unnecessary administrative expenses. In addition, electric vehicle users can avoid the waste of standby time and the risk of vehicle operation due to the lack of charging facilities and maintenance failure by having self-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at the same time, in connection with car sharing business, It can contribute to expansion of business base.

도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충전 전력 공급기, 연결장치, 및 전기 자동차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결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디스플레이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a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of FIG. 1 in more detail.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a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isplay interlocking between the connection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of FIG.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특히,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기 자동차는 차량의 크기와 무관하게 승용차뿐만 아니라, 승합차, 버스, 트럭, 트레일러, 기타 특수차 등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 휘발유, 경유 등 화석 연료와 함께,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운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카일 수도 있다. Particularly, the electric vehicle described below can be a passenger car, a van, a bus, a truck, a trailer, a special vehicle, etc.,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vehicle. In some cases, the electric vehicle, together with fossil fuel such as gas, The hybrid vehicle can be operated using the power of the hybrid vehicle.

도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및 도 1b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도 2의 120 참조)는,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도 2의 110 참조)와 전기 자동차(도 2의 130 참조)에 각각 연결될 충전 케이블을 구비한다. 충전 전력 공급기(도 2의 110 참조)와 전기 자동차(도 2의 130 참조)의 각 소켓에 결합될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는, 도 1a와 같이 단순히 각각의 AC 또는 DC 전력선에 연결될 2개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1b와 같이 각각의 AC 또는 DC 전력선에 연결될 2개의 단자 이외에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단자에 접속될 다른 단자들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1A and 1B,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refer to reference numeral 120 in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nding machine as simplified as possible for only a minimum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Type charging installation, that is, a charging cable to be connected to a charging power supply (see 110 in FIG. 2) and an electric car (see 130 in FIG. 2), respectively. The plug of the charging cable to be coupled to each socket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see 110 in FIG. 2) and the electric vehicle (see 130 of FIG. 2) consists of two terminals simply to be connected to each AC or DC power line,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a terminal for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wo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respective AC or DC power lines as shown in FIG. 1B.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기 편리하게 구성되며,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도 2의 110 참조)가 설치 운영되는 곳이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자가 자신의 전기 자동차와 충전 전력 공급기(도 2의 110 참조)를 연결하고 소정 정책에 따른 결제를 통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around, and a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that is, a charging power supply (see 110 in FIG. 2) The user can connect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e power supply (refer to 110 in FIG. 2)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paym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lic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120)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including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120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0)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110), 연결 장치(120), 전기 자동차(130),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 네트워크 상의 중앙관리시스템(150), 및 네트워크 상의 결제 서버(1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mplified simplified bending machine type charging facility, that is, a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y A mobile terminal 140 of the user on the network, a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on the network and a payment server 160 on the network.

여기서, 네트워크는 3G(WCDMA, GSM, WiFi 포함), WiBro, LTE 등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유선 인터넷 등을 포함하며, 충전 전력 공급기(110) 또는 연결 장치(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140), 중앙관리시스템(150), 결제 서버(160) 등 충전 시스템(100)의 운영에 필요한 장치, 서버, 단말, 시스템 등과 통신할 수 있다. Here, the network includes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including WCDMA, GSM, WiFi), WiBro, and LTE, and a wired Internet.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or the connection device 120 includes a mobile terminal 140 Server, terminal, system, etc.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ystem 100 such as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he payment server 160, and the like.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120)는, 충전 전력 공급기(110)와 무선랜(WiFi 등),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40), 중앙관리시스템(150), 결제 서버(160) 등과는 위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device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hrough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LAN (WiFi, etc.), ZigBee, Bluetooth, or NFC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140,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he payment server 160, and the like through the above-described network.

중앙관리시스템(150)은 본 발명의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등록된 고객(사용자)과 연결 장치(12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며, 통신사의 서버일 수 있고, 후불 결제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관리시스템(150)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연결 장치(120)에 대한 정보로서, 사용자 이름, 주소, 이동 단말(140)의 전화번호 등 단말 식별자, 연결 장치(120)의 고유 식별자 등에 대한 정보를 각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연결 장치(120)의 고유 식별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일 수 있고, 충전 전력 공급기(110)의 전력 제어부(도 3의 111)에 업데이트하여 활성화 시에 이용되도록 운영할 수 있다. 충전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선불 결제 처리는 네트워크 상의 결제 서버(160)와 같은 전자지불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계좌 정보, 신용카드정보,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140)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에 따라 해당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manages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customer (user) and the connection device 120 in the database in order to use the charging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 server of a communication company and performs post-payment processing can do. For example,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may include a user name, an address, a terminal identifier such as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140, a connection device (e.g., 120 can be managed in a database for each user.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may be a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r the like, and may be updated to a power control section (111 in FIG. 3) Can operate. The prepaid payment process for using the charging service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credit card information, or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40 in cooperation with the electronic payment system such as the payment server 160 on the network So that the payment can be made.

여기서,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중앙관리시스템(150)과 네트워크를 통해 반드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전력 공급기(110)를 간소화하고 경제적인 운영을 위하여, 중앙관리시스템(15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충전 전력 공급기(110)는 전력 제어부(도 3의 111)의 활성화를 위한 인증을 위해, 전력 제어부(도 3의 111)에 자체적으로 연결 장치(120)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소정 저장 수단에 관리할 수 있다. Here,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is not necessarily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via a network, bu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and the network in order to simplify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and economical operation. It may not be connected through. At this time,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itself sends a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f the connecting device 120, an IP address of the connecting device 120 to the power controller (111 of FIG. 3)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the like can be managed by the predetermined storage means.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은 위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스마트폰,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기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또는 이동 단말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이나 기타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가정용 또는 기업용 사회 전반의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s mobile terminal 140 may be a smart phone,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PCS phone), a synchronous / asynchronous IMT-2000 A portable or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WAP phone), a mobile game-station, And may includ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or devices throughout the home or business community that can communicate with a notebook PC, a desktop PC, a Palm Personal Computer (PC), or other electronic device, as the case may be.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하기하는 바와 같이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되며,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연결 장치(120)와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고유 식별자를 인증하여 활성화되고, 연결 장치(120)는 중앙 관리시스템(150)과 3G, WiBro, LTE 등 이동통신으로 재인증을 통해 전력의 도난 등 염려 없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충전 서비스는 해당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고비용, 대형 충전설비 대신 저비용, 소형 충전설비인 충전 전력 공급기(110)를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하여 충전 서비스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충전 전력 공급기(110)의 설치 장소를 많은 곳에 확산시켜 전기 자동차(130) 보급의 걸림돌인 충전설비의 보급에 여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achine type charging apparatus, that is,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is simplified as much as possible so as to have only a configuration for minimum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The connection device 120 is activated by authenticating the unique identifier in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LAN 120 and the connection device 120 is re-authenticated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and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WiBro, and LTE, And the charging service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prepayment or postpayment. Accordingly,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which is a low-cost and small-sized charging facility, can be safely used instead of the existing high-cost and large-sized charging facility,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charging service and spreading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in many places, So that there is no fear of spreading the charging equipment, which is an obstacle to the spread of the automobile (130).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충전 전력 공급기(110), 연결장치(120), 및 전기 자동차(130)의 동작 관계를 간략히 설명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he connecting device 120, and the electric vehicle 130 will be briefly described.

충전 전력 공급기(110)는 전력 제어부(111) 및 통신 모듈(112)을 포함하며, 전력 제어부(111)는 연결장치(120)의 요청에 따라 AC 또는 DC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며, 중앙 관리시스템(150)에 등록된 사용자의 연결 장치(120)에 대한 고유 식별자(MAC 주소, IP 주소 등)를 소정 저장 수단에 저장하여 연결장치(120)의 활성 요청 시에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은 네트워크 상의 중앙 관리시스템(150)과 통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장치(120)와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includes a power control unit 111 and a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power control unit 111 controls supply or cutoff of AC or DC power at the request of the connection unit 120, The unique identifier (MAC address, IP address, etc.) of the user's connection device 120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ystem 150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ans and used for activation request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on the network, a connection device 120, and a module for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전기 자동차(130)는 충전 대상인 배터리(132)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배터리(132)의 충전 상태 등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1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충전 전력 공급기(110)로부터 공급되는 AC 또는 DC 전력을 적절히 변환하여 배터리(132)로 공급을 위한 충전 회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131)는 AC 전력의 DC 전력으로의 변환, 또는 충전 속도(완급)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130 includes a battery 132 to be charged and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133 for managing a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132 and the like.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harging circuit 131 for appropriately converting the AC or DC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o supply it to the battery 132 as required. The charging circuit 131 may include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nversion of the AC power to the DC power or the charge speed (charge).

연결장치(120)는 충전전력 공급기(110)에 연결을 위한 충전케이블(제1충전케이블)과 전기 자동차(130)에 연결을 위한 충전케이블(제2충전케이블) 이외에, 제어부(121), 디스플레이부(122), 통신부(123), 및 각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요청이나 데이터 전송, 확인 등을 위한 버튼(들)(124)의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22)의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장치(120)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특성 상 실외에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비가 오거나 하는 경우에 손상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LCD 모듈과 같은 디스플레이부(122)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장치(120)에 소정의 커넥터를 구비하여 놓고, 디스플레이부(122)를 해당 커넥터에 장착 또는 분리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2)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되는 모든 기능이 하기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에도 표시될 수 있고, 이동 단말(140)에서 필요한 원격 제어를 통해 연결장치(120)가 해당 필요한 기능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device 12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21, a display unit 130, a display unit 130, a display unit 130, a display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23, and a button (s) 124 for inputting various data. The function of the button (s) 124 for power request, data transmission, confirmation, etc. may be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2. [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120 is often used outdoor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n order to prevent a malfunction due to damage in the case of rain, the display unit 122 such as an LCD module is separate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possible. For example, the connector 12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nnector, and the display unit 122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corresponding connector. All the func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2 can be displayed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140 as well as when the display unit 122 is disconnected, Thereby allowing the device 120 to perform an operation for the required function.

통신부(123)는 충전 전력 공급기(110)와 무선 근거리 통신(무선랜(WiFi 등),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NFC 방식 등)을 위한 모듈(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과, 네트워크 상의 이동 단말(140), 중앙관리시스템(150), 또는 결제 서버(160)와 3G(WCDMA, GSM, WiFi 포함), WiBro, LTE 등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충전전력 공급기(110)에 연결을 위한 충전케이블(제1충전케이블)과 전기 자동차(130)에 연결을 위한 충전케이블(제2충전케이블)은, 전력 공급을 위한 2가닥의 전력선과 그 끝단에 해당 플러그를 가질 수 있으며(도 1a 참조), 또는, 전력선과 표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통신선 및 그 끝단에는 충전전력 공급기(110)와 전기 자동차(130)의 해당 접속 소켓의 단자들에 접속될 플러그를 가질 수 있다(도 1b 참조).The communication unit 123 includes a modul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and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ireless LAN (WiFi, etc.), ZigBee, Bluetooth, A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or a payment server 160 and a modul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including WCDMA, GSM, WiFi), WiBro and LTE.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cable (first charging cable) for connection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and the charging cable (second charging cable) for connection to the electric vehicle 130 are connected to two strands Or a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a power line in a standard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and at the end thereof, a corresponding one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and the electric vehicle 130 And a plug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connection socket (see Fig. 1B).

제어부(121)는 위와 같은 연결장치(120)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부(121)는 통신부(123)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충전 전력 공급기(110)와 통신으로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여 충전 전력 공급기(110)를 활성화시키고 해당 활성화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123)의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해당 인증에 따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충전전력 공급기(110)가 공급하는 전력을 상기 제1충전케이블과 상기 제2충전케이블을 통해 전기 자동차(13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1 is responsible for overall control of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21 can transmit the unique identifier by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23 to activate the charging power supply unit 110 and receive the corresponding activation response, 123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requests power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30 through the first charging cable and the second charging cable.

제어부(121)는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처리로 위와 같은 충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되는 전력량, 배터리(132)의 잔량 정보 등 충전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2)의 LCD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2)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에도 전송되어 이동 단말(140)의 화면에 연동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22)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이동 단말(140)에도 표시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140)에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140)에서도 원격 제어로 연결장치(120)의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124)의 기능이나 터치 스크린의 기능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정보를 연결장치(120)의 제어부(12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하는 바와 같이, 인증 코드의 입력이나, 충전 시작 등의 명령 등이 이동 단말(140)에서 원격으로 연결장치(120)에 전송됨으로써 해당 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1 may perform the charging service as described above by prepayment or postpayment processing and may transmit status information during the progress of the charging service such as the amount of power to be charged and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f the battery 132 to the display unit 122 A part or all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2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4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40 5). Not only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2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40 but also the information on the mobile terminal 14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2. In addition, 120 to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so as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of the button (s) 124 for inputting various data or the function of the touch screen . For example, as described below, an input of an authentication code, a command for starting charging,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120 remotely from the mobile terminal 140, thereby enabl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operate.

이하,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120)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130)를 운행하면서 연결 장치(120)를 가지고 다니며, 전기 자동차(130) 계기판의 배터리 잔량 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132)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도처에 설치 운영되는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있는 곳에서, 연결장치(120)의 한쪽 제1충전케이블의 플러그를 충전전력 공급기(110)의 해당 소켓에 연결하고, 다른쪽 제2충전케이블의 플러그를 전기 자동차(130)의 해당 소켓에 연결한다(S10, S11).The user carries the connecting device 120 while operating the electric vehicle 130 and checks the state of remaining battery power of the instrument panel of the electric vehicle 130. When the battery 132 is required to be charged, The plug of the first charging cable of the connecting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and the plug of the other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electric vehicle 130 And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socket (S10, S11).

이와 같이 연결 장치(120)의 충전 케이블이 충전전력 공급기(110)와 전기 자동차(130)에 연결되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통신부(123)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예, 무선랜(WiFi 등),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NFC 방식 등)을 통해 충전 전력 공급기(110)로 고유 식별자(MAC 주소, IP 주소 등)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통신 모듈(112)을 통해 고유 식별자(MAC 주소, IP 주소 등)를 수신하며, 전력 제어부(111)가 유지하고 있는 고객(사용자)이나 연결 장치(120)의 등록정보(고유 식별자 등)과 수신된 고유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 시에 전력 제어부(111)는 활성화되어 충전을 준비한다(S20). 전력 제어부(111)의 활성화 시에는 인증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통신 모듈(112)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로 활성화 응답을 전송한다(S21).When the charging cable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y 110 and the electric vehicle 130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23 (MAC address, IP address, etc.)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hrough a wireless LAN (WiFi, etc.), Zigbee, Bluetooth or NFC scheme, (Unique identifier, etc.) of the customer (user) or the connection device 120 held by the power control unit 111 and the received unique identifier (MAC address, IP address, etc.)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dentifiers match,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power control unit 111 is activated and prepares for charging (S20). At the activation of the power control unit 111, an activation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via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in order to notify that the authentication has been performed (S21).

이에 따라 통신부(123)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2)에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를 질의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S30), 상기 선불 결제의 완료 또는 상기 후불 결제의 선택에 따라 중앙 관리시스템(150)에서 제공되는 인증코드를 통신부(123)의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입력함으로써 중앙 관리시스템(150)의 인증을 재차 진행한다(S31~S35).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receiving the activation response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23 provides a screen for inquiring the prepayment or postpayment to the display unit 122 accordingly (S30). Upon receipt and input of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23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repayment or the selection of the postpayment,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S31 to S35).

제어부(121)는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처리로 충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되는 전력량, 배터리(132)의 잔량 정보 등 충전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의 위와 같은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2)의 LCD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에서 구동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22)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에도 전송되어, 연결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되는 정보가 이동 단말(140)의 화면에 연동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The control unit 121 may perform the charging service by prepayment or postpayment processing and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power to be charged and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f the battery 132 during the charging service to the display unit 122 A part or all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2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40 while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140 is being executed So tha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2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may be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40 (refer to FIG. 5).

위와 같이 연동되는 연결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부(122) 화면, 또는 이동 단말(140) 화면 상의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의 선택화면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불 결제를 선택하면, 선불 결제 처리 화면에서 선불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S31). 충전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선불 결제 처리는, 선불 결제 처리 화면에서 사용자가 충전에 필요한 선불 결제 금액과 함께, 사용자의 계좌 정보, 신용카드정보,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140)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 등을 입력하여, 네트워크 상의 결제 서버(160)와 같은 전자지불 시스템과 연동을 통하여 해당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선불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결제 서버(160)는 해당 승인 또는 결제 완료 정보를 연결 장치(120) 또는 이동 단말(140)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 또는 이동 단말(140)은 이와 같은 결제 완료와 관련된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여 인증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S32). 여기서, 중앙 관리시스템(150)에 관리되고 있는 입금 계좌로 계좌 이체되어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는 연결 장치(120) 또는 이동 단말(140)에서 결제 완료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for example, prepaymen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2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or the selection screen of postpay settlemen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40, Prepayment can be made on the screen (S31). The prepaid payment process for use of the charging service is performed by the user on the prepaid payment processing screen, together with the prepaid payment amount required for charging,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the credit card information, or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40 And the like so that the pay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electronic payment system such as the payment server 160 on the network. When the prepaid payment process is completed, the payment server 160 transmits the approval or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device 120 or the mobile terminal 140, Alternatively, the mobile terminal 140 may send a message related to the completion of the settlement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via the network to request the authentication code (S32). Here, when the payment is completed by transferring the money to the deposit account managed in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he connection device 120 or the mobile terminal 140 transmits a message related to payment comple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he process may be omitted.

또한, 위와 같이 연동되는 연결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부(122) 화면, 또는 이동 단말(140) 화면 상의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의 선택화면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후불 결제를 선택하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 또는 이동 단말(140)은 바로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리시스템(150)에 인증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S33). If the user selects the postpay settlemen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2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or the selection screen of the postpay settlemen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40, The control unit 121 or the mobile terminal 140 of the device 120 can directly request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via the network at step S33.

이와 같이 선불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완료와 관련된 메시지 또는 후불 결제의 선택에 따른 인증코드의 요청을 수신하는, 중앙 관리시스템(150)은 직접 해당 인증코드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 또는 이동 단말(140)로 전송하며(S34),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연결 장치(120) 또는 이동 단말(140)은 수신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는 수신한 인증코드를 인증을 위한 화면에 입력하고 이에 따라 입력된 인증코드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 또는 이동 단말(140)에서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여 중앙 관리시스템(150)에서 발급된 인증코드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S35). 이에 따라 중앙 관리시스템(150)은 해당 인증 코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완료 메시지를 연결 장치(120) 또는 이동 단말(140)로 전송한다(S35). 이동 단말(140)로 인증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로 전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S34 단계에서 중앙 관리시스템(150)은 인증코드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중앙 관리시스템(150)이 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로 전송하면 이동 단말(140)에서 연결 장치(120)로 전송하여 연결 장치(120)의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제어부(121)가 수신하여 S35 단계의 인증 요청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which receives a message relating to the completion of settle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payment processing or a request for the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postpayment, directly transmits the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 unit 121 or The connection device 120 or the mobile terminal 140 receiv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displays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screen and the user transmits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to the mobile terminal 140 for authentication And transmits the input authentication code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from the control unit 121 or the mobile terminal 140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to determine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issu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S35). Accordingl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performs authentication for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mpletion message to the connection device 120 or the mobile terminal 140 (S35). And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message to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when the mobile terminal 14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message. In step S34,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If necessar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40 The control unit 121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connection device 12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and may perform the authentication request in step S35.

이와 같은 충전전력 공급기(110)의 활성화를 인증과 중앙 관리시스템(150)의 재차 인증 과정에 따른 중앙 관리시스템(150)의 인증을 마친 후, 사용자가 버튼(124) 등을 누르거나 해당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터치함으로써,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통신부(123)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을 요청할 수 있다(S40). 이에 따라 충전전력 공급기(110)에서 통신 모듈(112)의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이를 수신하고 전력 제어부(111)가 전력 공급을 개시하도록 함으로써(S41), 연결 장치(120)는 충전케이블을 통해 전기 자동차(130)로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132)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S42).After the authentication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and authentication of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b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are completed,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4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can request power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23 at step S40. Accordingly,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receives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the power control unit 111 starts power supply (S41)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automobile 130 to charge the battery 132 (S42).

이와 같이 충전이 시작되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충전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전기 자동차(13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고(S44),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22)를 통해 표시하며(S45), 충전 완료후(S46) 충전전력 공급기(110)의 전력 제어부(111)로 충전 완료를 통보하여(S47) 전력을 차단하도록 한다(S48). 또한, 충전 완료 후(S46)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해당 충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고객과 연결 장치(120)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여 중앙 관리시스템(150)이 해당 후불 결제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S50). 고유 식별자(MAC 주소, IP 주소 등)와 함께 충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연결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중앙 관리시스템(150)은 해당 고객에 대한 전화번호에 대응된 과금 청구서(예, 중앙 관리시스템이 통신사에서 운영되는 경우)나 기타 전용 과금 청구서 등의 발급을 통해 후불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o the electric vehicle 130 from the start of charge to the end of charging in step S44, (S45). After completion of the charging (S46), the power control unit 111 of the charging power supplier 110 notifies the completion of the charging (S47) and the power is interrupted (S48).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harging (S46),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power amount from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end of charging through a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o allow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o process the postpay settlement (S50).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power amount together with the unique identifier (MAC address, IP address, etc.) from the connection device 120 receives the billing bill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for the customer (If operated by the carrier) or other special billing invoices.

도 5와 같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의 처리에 의해서, 위와 같이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에 따른 충전 요구 전력량, 충전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전기 자동차(130)로 충전된 전력량,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충전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전기 자동차(130)로 공급된 전체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에 제공하며, 연결 장치(120)의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로도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에 제공되는 되는 정보를 전송하여 이동 단말(140)에서도 충전 서비스 과정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5,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determines whether the amount of the prepaid payment, the amount of charge required for the prepaid payment,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required to be supplied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y 110 to the electric vehicle 130 The total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o the electric vehicle 130 from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end of charging is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2, The mobile terminal 140 may also transmit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2 to the mobile terminal 140 to display the charging service process.

이외에도, 도 1b와 같이, 충전전력 공급기(110), 연결 장치(120), 전기 자동차(130)가 전력선 이외에 충전케이블에 포함된 별도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통신선으로 상호 연결된 경우에는, 충전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수신하는 공급 전압과 공급 전류를 포함하는 공급 가능 정보 등을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가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40)로도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전기 자동차(130)의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133)으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 등도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가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40)로도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S43).1B, when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he connection device 120, and the electric vehicle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of a separate CAN (Controller Area Network) included in the charging cable in addition to the power line, Supply information including the supply voltage and the supply current receiv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2 by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140) so tha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133 of the electric vehicle 130 may als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2 by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onnection device 120 And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40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4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충전 전력 공급기(110)
연결장치(120)
전기자동차(130)
사용자 단말(140)
중앙 관리 시스템(150)
결제 서버(160)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he connecting device 120,
Electric cars (130)
The user terminal 140,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The payment server 160,

Claims (9)

충전전력 공급기의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에 있어서,
충전전력 공급기에 연결을 위한 제1충전케이블과 전기 자동차에 연결을 위한 제2충전케이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과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의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의 활성화 응답을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해당 인증에 따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을 요청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가 공급하는 전력을 상기 제1충전케이블과 상기 제2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1.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of a charging power supply to charge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 first charging cable for connection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and a second charging cable for connection to the electric vehicle;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 unique identifier of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an activation response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requests power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and transmits the power supplied by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first charging cable and the second charging cable To the electric vehicle
And a second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or to the second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응답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를 질의하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선불 결제의 완료 또는 상기 후불 결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인증을 위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screen for inquiring a prepayment or postpayment paymen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activation respons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repayment or the selection of the postpayment, and inputs the authentication code for the authent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은 직접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이 상기 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directly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 unit or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 결제는, 네트워크로 연동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의 승인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자의 계좌 정보, 신용카드정보,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의 SIM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paid payment is made through account information of a user who makes payment by approval of an electronic payment system linked to a network, credit card information, or SIM information of a user mobile terminal,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고객과 상기 연결 장치를 관리하는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이 해당 후불 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 amount of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end of charging,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to the registered customer and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managing the connection device, and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processes the post-pay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에 따른 충전 요구 전력량,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충전된 전력량,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된 전체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되는 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the charging electric power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ier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charging start time to the charging end time,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requir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y,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to a mobile terminal of a user interlock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케이블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1통신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충전케이블이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2통신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harging cable comprises a separate first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or the second charging cable comprises a separate second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Portable rechargeable connect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선 및 상기 제2통신선은 표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통신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are communication lines for standard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케이블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1통신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충전케이블이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2통신선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통신선을 통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수신하는 공급 전압과 공급 전류를 포함하는 공급 가능 정보, 또는 상기 제2통신선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하며, 이동 단말로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harging cable comprises a separate first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or the second charging cable comprises a separate second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operable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a supply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ic vehicle via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supplyable information including a supply voltage and a supply current received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y,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KR1020120025585A 2012-03-13 2012-03-13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KR1017384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85A KR101738447B1 (en) 2012-03-13 2012-03-13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85A KR101738447B1 (en) 2012-03-13 2012-03-13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36A KR20130104236A (en) 2013-09-25
KR101738447B1 true KR101738447B1 (en) 2017-06-09

Family

ID=4945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585A KR101738447B1 (en) 2012-03-13 2012-03-13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4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5387A (en) * 2020-07-13 2020-10-30 徐州久胜电子科技有限公司 Anti-theft lock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5236B1 (en) * 2014-06-25 2016-10-06 Fundación Cartif System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KR101594792B1 (en) * 2014-11-12 2016-02-17 주식회사 코디에스 Charging device,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for charging
KR101713067B1 (en) * 2015-10-13 2017-03-07 주식회사 글로쿼드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charging apparatus,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KR102432038B1 (en) * 2016-07-01 2022-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cable control box mounted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KR102343194B1 (en) * 2016-07-05 2021-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ha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nd billing system using the apparatus and method
CN106410911A (en) * 2016-11-07 2017-02-15 扬州亮点网络技术有限公司 Mobile phone and electric vehicle dual-purpose networking intelligent charging integrated machine
KR102005142B1 (en) * 2017-02-07 2019-07-29 한찬희 Electric connecting device between different kind of electric device capable of user certif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 and control system thereof
KR102134826B1 (en) * 2018-09-05 2020-07-16 주식회사 경신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KR102123370B1 (en) * 2018-09-05 2020-06-16 주식회사 경신 Movable char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68933B1 (en) * 2018-12-18 2019-04-15 유영길 Charge cable controlled by external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9849721A (en) * 2019-01-10 2019-06-07 上海钛昕电气科技有限公司 Charging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or fault diagnosis
KR102183605B1 (en) * 2019-01-31 2020-11-27 주식회사 오토스원 Portable charger and charging method for module-type battery pack, and charging station for module-type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2029818B1 (en) * 2019-04-08 2019-10-08 유영길 Charge cab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29822B1 (en) * 2019-04-08 2019-10-08 유영길 Charge cable capable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charge speed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5387A (en) * 2020-07-13 2020-10-30 徐州久胜电子科技有限公司 Anti-theft lock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CN111845387B (en) * 2020-07-13 2021-09-28 徐州久胜电子科技有限公司 Anti-theft lock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36A (en)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447B1 (en)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CN109849726B (en)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authoriz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from a charging station
CN105574998A (en) Charging pile expense settlement method based on cloud platform
CN102738848B (en) The charging system of motor vehicle and the charging method of motor vehicle
EP3662560B1 (en) A mobile charging unit, particularly for electric vehicles, and a management system thereof for the delivery of charges on request
KR101245540B1 (en)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harging and Billing Service for Discharged Electric Vehicle using Other Electric Vehicle
CN103294045B (en) Based o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for Bluetooth technology
KR101654714B1 (en) Electric vehicle bi-direction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phone
EP3684084B1 (en) Device and method for varying communication path of electric vehicle charger
CN103094946A (en) Charging system, kiosk, and method of supplying current to a power storage device
CN103123732A (en) Public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charging method
CN111222867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based on video recognition license plate and non-inductive payment system
KR20130006949A (en)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apparatus thereof
JP2012098798A (en) Charging system
KR20180007765A (en) Charging method of settlement costs differentiated charging according to Charging Service Mode and Rapid Charging System
CN109377326A (en) A kind of community share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20140123622A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N104240397A (en) Intelligent wireless charging vehicle-mounted terminal, intelligent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intelligent wireless charging method
KR20180003996A (en) In-cable control box mounted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EP2685585A1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CN104333080A (en) Linkage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WO2020045128A1 (en) Service coordination system
CN112706641B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lternating-current charging pile and storage medium
KR20120031809A (en) Apparatus for charging power of electric viechle and method therefor
KR101881138B1 (en) Me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of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public telephon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