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207B1 - Cross-linkable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polymers for enzymatic biofuel cell and biosensor applications - Google Patents

Cross-linkable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polymers for enzymatic biofuel cell and biosensor applic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207B1
KR101738207B1 KR1020130161558A KR20130161558A KR101738207B1 KR 101738207 B1 KR101738207 B1 KR 101738207B1 KR 1020130161558 A KR1020130161558 A KR 1020130161558A KR 20130161558 A KR20130161558 A KR 20130161558A KR 101738207 B1 KR101738207 B1 KR 10173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lock copolymer
enzyme
self
pfd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8168A (en
Inventor
박문정
이정필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207B1/en
Publication of KR2014001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1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 가능한 유기 금속 고분자를 포함하는 바이오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 연료 전지 및 바이오 센서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유기 금속 고분자의 나노 구조가 제어된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유기 금속을 포함하고 자기 조립성 블록 공중합체와 효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이며, 이중 연속 구조는 같은 포도당 농도에서 제작된 전극의 전류밀도에 최대 전류값을 나타내었으며, 낮은 포도당 농도에서도 좋은 민감도를 보여 주어, 바이오 연료전지와 바이오 센서로의 용도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electrode containing a crosslinkable organometallic poly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having nanostructure of an organometallic polymer controlled for use in a biofuel cell, a biosensor, .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ganic metal and includes a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and an enzyme. The double continuous structure shows the maximum current value at the current density of the electrode manufactured at the same glucose concentration , Exhibits good sensitivity even at low glucose concentrations and provides applications for biofuel cells and biosensors.

Description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조립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극 및 그 제조 방법{Cross-linkable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polymers for enzymatic biofuel cell and biosensor application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including a self-assembling polymer containing an organic metal,

본 발명은 가교 가능한 유기 금속 고분자를 포함하는 바이오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 연료 전지 및 바이오 센서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유기 금속 고분자의 나노 구조가 제어된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electrode containing a crosslinkable organometallic poly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having nanostructure of an organometallic polymer controlled for use in a biofuel cell, a biosensor, .

효과적인 효소 바이오 연료전지의 발전은 생의학기기, 마이크로 칩 시스템, 그리고 휴대전자기기의 에너지 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과거 수십 년에 걸쳐 중요한 연구과제로 주목 받아왔다. Effective Enzymes The development of biofuel cells has been an important research topic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as an energy source for biomedical devices, microchip system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알코올류(alcohols), 당(glucose)과 같은 바이오매스(biomass)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 연료전지는 그 친환경성과 영구지속 가능한 성질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바이오 연료전지는 기타 다른 에너지 원에 비해 작은 전력밀도(power density)를 가진다는 단점을 보인다. BACKGROUND ART Biofuel cells that produce electricity using biomass such as alcohols and glucose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due to their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permanent sustainability. However, such a biofuel cell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a smaller power density than other energy sources.

이러한 요인의 가장 큰 이유는 효소의 구조 안에 존재하는 산화-환원 활성 부위(redox active site)가 효소의 안정성을 이유로 구조 내부로 숨겨짐에 기인하며 이는 산화-환원 반응과 전자전달 속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낮은 전자 전달과 느린 산화-환원 반응은 생의학적 디바이스(device)의 소형화를 위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at the redox active site in the structure of the enzyme is hidden inside the structure due to the stability of the enzyme, which causes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the electron transfer rate to decrease do. Low electron transfer and slow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are impeding the building of energy systems for the miniaturization of biomedical devices.

따라서 바이오 연료전지의 전력밀도를 높이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직접 전자 전달(direct electron transfer)이라 불리는 방법은 이러한 전력밀도를 높여주는 연구 중에서 가장 널리 연구되고 있는 방법으로 효소의 촉매적 활성부위를 전극 표면의 전자 터널링 거리(electron tunneling distance)내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 중개재 역시 효소의 촉매 활성부위에서 전류 수집기로의 수송에 있어 전자 전달을 도와주는 역할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전자 중개의 능력을 가진 다양한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최근 몇 년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보고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물질들로는 나노-탄소기반 물질과 산화-환원 활성 고분자, 조인자 계전기(cofactor relay), 금속나노입자 등이 있다. Therefore,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power density of the biofuel cell. A method called direct electron transfer is one of the most widely studied methods to increase the power density, and is to control the catalytic active site of the enzyme within the electron tunneling distance of the electrode surface. For this reason, electronic intermediates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as a role in assisting electron transfer in the transport of the enzyme from the catalytically active site to the current collector. Therefore, studies on various materials with the capability of electronic intermedi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recent years and many reports have been made. These materials include nano-carbon based materials, oxidation-reduction active polymers, cofactor relays, and metal nanoparticles.

또한 전극의 안정성과 전자 중개재 존재하의 전류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극에서의 효소고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 중개재 연구의 상당수가 전자 중개재가 결합하고 있는 전극 표면에서 효소의 전기적인 결합과 관련해 이루어져 왔다.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lectrode and the current density in the presence of the electron mediator, enzyme fixation at the electrode is essential. For this reason,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on electronic mediators have been conducted in relation to the electrical coupling of enzymes on the electrode surfaces to which electronic mediators are bound.

이러한 ‘제작’의 관점에서 탄소나노튜브 (carbon nanotube)는 넓은 비표면적과 훌륭한 전기화학적 성질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하지만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는 큰 면적의 전극을 제작함에 있어 각각의 탄소나노튜브를 배열하기 위한 화학적인 수정과정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집합(aggregation)을 막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From this 'production' perspective, carbon nanotube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due to their wide specific surface area and good electrochemical properties. However, such a carbon nanotub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aggregation of carbon nanotubes when a chemical modification process for arranging each carbon nanotube is not performed in manufacturing a large-area electrode.

또한, 산화-환원 활성 고분자에 관한 연구 역시 많이 진행되어 왔다. 많은 종류의 유기금속 고분자들은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자를 전달하는데 효과적인 물질로 알려져 왔다. 이 경우 산화-환원 부분의 농도와 산화-환원 전위, 많은 화학적 링커(linker)와 산화-환원 고분자의 기능화(functionalization)의 조절이 전자 전달 속도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요소를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Studies on oxidation-reduction active polymers have also been carried out. Many types of organometallic polymers have been known to be effective for transferring electrons through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In this case, it is know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oxidation-reduction moiety,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and the control of many chemical linkers and functionalization of the oxidation-reduction polymer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electron transfer rate.

한편, 소니에서 출원한 PCT/JP2003/009480에서는 다양한 효소 또는 복합효소를 이용하여 최적의 연료전지를 제조하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PCT / JP2003 / 009480 filed by Sony discloses methods for producing an optimal fuel cell using various enzymes or complex enzymes.

그러나 이러한 산화-환원 고분자들의 형태를 조절하여 전자 전달의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가 부족하였으며, 이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새로운 구조의 산화-환원 고분자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lectron transfer by controlling the shape of the oxidation-reduction polymer.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more efficient and stable new structure of the oxidation-reduction polymer.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전류 밀도와 안정성을 가지는 새로운 구조의 산화-환원 고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dox polymer of a novel structure having high current density and stability.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효소와 산화-환원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높은 전류 밀도와 안정성을 가지는 새로운 구조의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electrode having a high current density and stability, which is composed of an enzyme and an oxidation-reduction polymer.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산화-환원 고분자의 형상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hape of an oxidation-reduction polymer.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biofuel cell.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 공중합체와 효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ode comprising a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containing an organic metal and an enzyme.

본 발명은 또한,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 공중합체와 효소를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연료전지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a fuel cell comprising a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comprising an organometallic and an electrode comprising an enzy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바이오 매스를 이용하여 전자를 생산하고, 생산된전자는 유기 금속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효소는 전자를 생산하는 메커니즘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효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효소는 연료에 따라 최적의 효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디히드로게나아제, 전자전달계의 일련의 효소, ATP합성효소, 당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예를 들면 헥소키나아제, 글루코오스인산이소메라아제, 포스포오룩토키아나제, 오룩토오스2인산알도라아제,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zyme produces electrons using biomass, and the produced electrons can produce electrons transferred through the organic metal. The enzyme can be produced by a variety of known enzymes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producing electrons Can be us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zyme is selected by using the optimum enzyme according to the fuel. For example, glucose dehydrogenase, a series of enzymes of the electron transport system, ATP synthase, enzymes involved in glucose metabolism (e.g., hexokinase, glucose phosphate isomerase, phosphooroktiana, orthoose 2 Phosphoric acid aldorase,

트리오스인산이소메라아제,글리세르알데히드인산디히드로게나아제,포스포글리세로무타아제, 포스포피르빈산하이드라타아제, 피르빈산키나아제, L -젖산디히드로게나아제, D-젖산디히드로게나아제, 피르빈산디히드로게나아제, 구연산신타아제, 아코니타아제, 이소구연산디히드로게나아제, 2-옥소글루타르산디히드로게나아제,숙시닐-CoA신테타아제,호박산디히드로게나아제, 오말라아제, 말론산디히드로게나아제 등) 등의 공지의 효소를 들 수가 있으며, 글루코스의 경우 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를 조합할 수 있다. L-lactic acid dihydrogenase, D-lactic acid dihydrogenase, glyceraldehyde dehydrogenase, glyceraldehyde dehydrogenase, phosphoglyceromutase, phosphopyrimidine dehydratase, pyruvate kinase, Acyltransferase, azine, pyruvic acid dihydrogenase, citric acid synthase, aconitase, isocitrate dihydrogenase, 2-oxoglutarate dihydrogenase, succinyl-CoA synthetase, zucaric acid dihydrogenase, Azelaic acid, malonic acid dihydrogenase, etc.), and glucose can be combined with glucose oxidase.

본 발명의 연료전지로서는 글루코오스 등의 당류 이외에도, 에탄올 등의 알콜, 지방류, 단백질, 당 대사의 중간 생성물 등의 유기산(글루코오스-6-인산, 오룩토오스-6-인산, 오룩토오스-1,6-비스인산, 트리오스인산이소메라아제, 1,3-비스포스포글리세린산, 3-포스포글리세린산, 2-포스포글리세린산, 포스포에놀피르빈산, 피르빈산, 아세틸-CoA, 구연산, cis-아코닛트산, 이소구연산, 옥살로호박산, 2-옥소글루타르산, 숙시닐-CoA, 호박산, 오말산, L-사과산, 옥살로초산 등),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글루코오스, 에탄올, 당 대사의 중간 생성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글루코스는 취급이 극히 용이한 재료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연료이다.Examples of the fue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 addition to saccharides such as glucose, organic acids such as ethanol and the like, alcohols such as alcohols, fatty acids, proteins, and intermediate products of glucose metabolism (glucose-6-phosphate, 3-phosphoglycerinic acid, 2-phosphoglycerinic acid, phosphoenolpyruvic acid, pyruvic acid, acetyl-CoA, pyruvic acid, isoamylase, Citric acid, cis-aconitic acid, iso-citric acid, oxalo succinic acid, 2-oxoglutaric acid, succinyl-CoA, succinic acid, malic acid, L-malic acid and oxaloacetic acid) . Among them, glucose, ethanol, an intermediate product of glucose metabolism and the like can be used. In particular, glucose is a preferable fuel because it is extremely easy to hand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은 상기 효소에 의해서 생성된 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도성 금속일 경우, 특별한 제한은 없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met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hen it is a conductive metal capable of transferring electrons generated by the enzy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적어도 일부가 가교된 블록공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가교성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가교성 블록은 이중 결합과 같은 불포화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블록일 수 있으며, 오스늄(Os)와 같은 금속에 의해서 상호 가교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copolymer is a block copolymer at least partially crosslinked, and preferably includes a crosslinkable block. The crosslinkable block may be a block containing at least one unsaturated group such as a double bond, and may be cross-linked by a metal such as Os (O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자기 조립과정을 통해서 금속 원자들이 무정형의 이중 연속 구조, 결정 형태의 나노선, 나노 입자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교되는 블록 공중합체과 혼합된 효소와의 접촉을 높일 수 있도록 무정형의 이중 연속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정형의 이중 연속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의미하며, 몇 개의 금속 도메인이 띠에 의해 상호 연결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copolymer may have an amorphous double continuous structure, a crystalline form of nanowire, or a nanoparticle form through metal self-assembly process, preferably an enzyme mixed with a crosslinked block copolymer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morphous double continuous structure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 amorphous double continuous structure means a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several metal domains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interconnected by a ba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 용매의 종류, 용매와의 친화력에 의해서 조립형태가 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 of the block copolymer may vary depending on the molecular weight, the kind of the solvent, and the affinity with the solv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현될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로세닐디메틸실란-b-이소프렌)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copolymer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preferably poly (ferrocenyldimethylsilane-b-isoprene).

Figure 112013117790575-pat00001
Figure 112013117790575-pat00001

여기서, x와 y는 중합도이며, R1과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30의 알킬, 아실, 알콕시이며, 각 블록의 분자량은 0.1-500 kg/mol이며, 바람직하게는 1-100 kg/mol이다.Wherein x and y are degrees of polymerization and R1 and R2 are independently hydrogen or alkyl, acyl, or alkoxy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nd the molecular weight of each block is 0.1-500 kg / mol, preferably 1-100 kg / mo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자기 조립성 블록 공중합체와 함께 용액 형태로 제조된 후 코팅되어 코팅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코팅막은 1-5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효소는 전체 코팅막의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4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를 이루는 것이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zyme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solution together with the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and then coated to form a coating film. The coating layer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50 micrometers, and the enzyme is preferably 1-50 wt%, preferably about 5-45 wt%, and most preferably 30 wt% of the entire coating film .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전도성 유기 금속 블럭을 포함하는 무정형의 이중 연속 구조 또는 나노 입자 형태로 자기 조립된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lock copolymers that are self assembled in the form of an amorphous binary continuous structure or nanoparticles comprising a conductive organometallic block.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서,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 공중합체와 효소를 포함하는 전극을 이용하여 전류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바이오 연료전지는 당, 일예로 포도당이나 알코올류를 효소로 반응시켜 전류를 얻는 연료 전지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ic current is produced using an electrode comprising a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containing an organic metal and an enzyme. The biofuel cell is a fuel cell that reacts glucose or an alcohol with an enzyme to obtain an electric current.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서,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 공중합체와 효소를 포함하는 전극을 이용하여 전류를 생산하는 것을 전극을 포함하며, 포도당과 같은 당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 current using a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comprising an organic metal and an electrode comprising an enzyme, Lt; / RTI >

본 발명에서, 나노미터 크기로 자가조립된 산화-환원 고분자와 통합된(integrated) 효소의 전기화학적 특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enzymes integrated with nanometer-sized self-assembled oxidation-reduction polymers.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사용되는 효소는 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 GOx)이며 poly(ferrocenyldimethylsilane)을 포함한 유기금속 블록 공중합체를 전자 중개재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페로센(Fc)을 함유한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과 이 고분자의 자연적인 자가 조립 부분은 효소의 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 조인자와 전극 표면 사이의 전자 전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poly(ferrocenyldimethylsilane-b-isoprene) (PFDMS-b-PI) 블록 공중합체와 PFDMS-b-PI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과 용매 분율을 조절하여 이중연속구조(bicontinuous structure), 나노선, 나노입자 같은 다른 형태의 구조를 합성하여, PFDMS-b-PI 나노구조의 변화를 통해 큰 촉매적 전류 특성이 변화된다. 이중연속 구조의 PFDMS-b-PI를 전자 중개재로 사용할 경우 다른 형태를 사용할 경우보다 2~50배 향상된 전류밀도를 얻어진다. 또한 오스뮴(Os) 결합을 이용한 PI 사슬을 가교 결합할 경우, 생리학적 조건에서 제작된 전극의 안정성이 증가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nzyme u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s glucose oxidase (GOx) and an organic metal block copolymer including poly (ferrocenyldimethylsilane) is used as an electron medi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sis of a block copolymer containing a ferrocene (Fc) and the natural self-assembling portion of the polymer were used to increase the electron transfer rate between the 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solvent fraction of the ferrocenyldimethylsilane-b-isoprene (PFDMS-b-PI) block copolymer and the PFDMS-b-PI block copolymer to form bicontinuous structures, nanowires, And the large catalytic current characteristics are changed by the change of the PFDMS-b-PI nanostructure. When PFDMS-b-PI of double continuous structure is used as an electron mediator, current density is improved by 2 ~ 50 times than that of other forms. In addition, when the PI chain using osmium (Os) bond is cross-linked, the stability of the electrode manufactured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is increased.

본 발명은 일 실시예서, 전극을 이용한 포도당 바이오 센서로 사용이 가능하며, 체내 삽입형 바이오 마이크로 디바이스(bio-micro devices)에 적용이 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glucose biosensor using an electrode, and can be applied to bio-micro devices inserted into the body.

본 발명에서는 효소와 가교결합이 가능한 나노구조의 유기금속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된 기능성 전극을 제작하여, 효소의 전자 전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가교결합을 통해 전극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서 산화-환원 고분자 기반의 전자 중개재의 형태를 조절함으로서, 효소 바이오 연료전지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중 연속 구조는 같은 포도당 농도에서 제작된 전극의 전류밀도에 최대 전류값을 나타내었으며, 낮은 포도당 농도에서도 좋은 민감도를 보여 주어, 바이오 연료전지와 바이오 센서로의 용도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al electrode composed of a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block copolymer capable of cross-linking with an enzyme was prepared, and the electron transfer rate of the enzyme was improved, and the stability of the electrode was improved through cross-linking. In additio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enzyme biofuel cell by controlling the shape of the oxidation-reduction polymer-based electronic mediator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he double continuous structure shows the maximum current value at the current density of the electrode made at the same glucose concentration and shows good sensitivity even at low glucose concentration and provides the application to the biofuel cell and the biosensor.

도 1은 서로 다른 혼합용매에서 PFDMS-b-PI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를 TEM 이미지를 통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나노선 구조를 가지는 PFDMS-b-PIOS와 GOx로 이루어진 전극을 FIB-TEM을 이용해 측정한 것이다.
도 3은 이중 연속구조의 PFDMS-b-PIOS를 포함한 전극의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 실험을 이용하여 관측한 것이다.
도 4는 전극에서 전자 중개의 효과가 고분자 구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포도당 농도를 이용하여 순환전압전류를 측정한 것이다.
도 5는 생리학적 환경에서 포도당을 첨가 해주면서 전류를 측정한 것이다.
도 6은 고분자의 나노선 구조를 기반으로 GOx와 PFDMS-b-PI 중개재로 구성된 기능성 전극을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TEM image showing the structure of a PFDMS-b-PI block copolymer in different mixed solvents.
FIG. 2 is a graph showing an electrode made of PFDMS-b-PI OS and GOx having a nanowire structure using FIB-TEM.
FIG.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including the PFDMS-b-PI OS having a double continuous structure, which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IG. 4 is a graph showing a measurement of cyclic voltammetry using the glucose concentration in order to confirm how the effect of the electron mediator varies depending on the polymer structure in the electrode.
5 is a graph showing the current measured while adding glucose in a physiological environment.
Figure 6 shows the process of making a functional electrode composed of GOx and PFDMS-b-PI intermediates based on the nanowire structure of the polymer.

실시예Example

1,1’-dimethylsilylferrocenophane monomer의 합성Synthesis of 1,1'-dimethylsilylferrocenophane monomer

페로센을 함유하고 있는 단량체 1,1’-dimethylsilylferrocenophane monomer는 실레인(silane)과 리튬화된 페로센(lithiatedferrocene)의 커플링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이 방법은 본 발명에서 참고문헌으로 도입된 Manner 연구팀에 의해 소개되었다. 합성된 단량체는 진공하에서 승화와 재결정과정을 거쳐 정제하였다.
The 1,1'-dimethylsilylferrocenophane monomer containing ferrocene was synthesized by coupling silane with lithiated ferrocene. This method was introduced by the Manner team, which was introduced as a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sized monomers were purified by sublimation and recrystallization under vacuum.

PFDMS-b-PI의 합성Synthesis of PFDMS-b-PI

서로 다른 분자량을 가지는 PFDMS-b-PI 블록 공중합체는 순차적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PI의 선구물질 합성은 정제된 벤젠을 용매로 s-butyllithium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원하는 분자량의 PI 사슬이 합성된 후, 미리 측정된 질량의 정제한 1,1’-dimethylsilylferrocenophane 단량체를 글로브박스 안의 반응기에 첨가한다. 그 후 반응기를 다시 진공라인으로 만들고 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해준다. 소량의 정제된 THF용매를 반응기에서 증류하면서 1,1’-dimethylsilylferrocenophane 단량체의 중합속도를 높여준다. 중합이 완료되고 나면 반응용액의 색은 붉은색에서 갈색으로 변화하게 된다. 중합반응은 최소 6시간이상 진행되었으며 그 뒤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에 의해 종결된다. 종결반응에서 용액의 색은 다시 갈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화하게 된다. PFDMS-b-PI 블록 공중합체는 헥산(hexane)을 이용해 침전시키며 합성한 블록 공중합체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ices)는 1.08로 측정되었다.
PFDMS-b-PI block copolymer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were synthesized through sequential anionic polymerization. PI precursor synthesis was carried out using purified benzene as solvent and s-butyllithium as initiator. After the PI chain of the desired molecular weight is synthesized, the previously measured mass of 1,1'-dimethylsilylferrocenophane monomer is added to the reactor in the glove box. The reactor is then turned back into a vacuum line and the gas is completely removed. A small amount of purified THF solvent is distilled in the reactor to increase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1,1'-dimethylsilylferrocenophane monomer. After the polymerization is completed, the color of the reaction solution changes from red to brown. Polymerization proceeds for a minimum of 6 hours and is then terminated by isopropanol. In the final reaction, the color of the solution changes from brown to red. The PFDMS-b-PI block copolymer was precipitated with hexane. The polydispersity indices of the synthesized block copolymers were measured to be 1.08.

전극 제작Electrode production

Aspergillus niger를 통해 얻은 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 효소는(~200U/mg) Sigma-Aldrich로부터 구매하였다. GOx와 블록공중합체로 구성된 기능성 전극을 만들기 위하여 60μM의 GOx 수용액과 여러 용매를 혼합한 1wt%의 PFDMS-b-PI용액을 준비하였다. 그 뒤 각각의 용매를 균일하게 섞어 바로 드랍코팅(drop coating)방법을 통해 다공성 탄소 전극 위에 뿌려준다. 진공오븐을 이용해 용매들을 모두 제거한 후 전극은 OsO4 증기에 3시간 정도 노출시켜준다. 그 뒤 전극을 증류수(Milli-Q Water)를 이용하여 세척한 뒤 사용하기 전 PBS 완충용액에 보관한다.
Glucose oxidase enzyme (~ 200 U / mg) obtained from Aspergillus niger was purchased from Sigma-Aldrich. To prepare a functional electrode composed of GOx and a block copolymer, a 1 wt% PFDMS-b-PI solution containing 60 μM of GOx aqueous solution and various solvents was prepared. Then, each solvent is uniformly mixed and directly sprayed onto the porous carbon electrode through a drop coating method. After removing all solvents with a vacuum oven, the electrode is exposed to OsO4 vapor for 3 hours. The electrode is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Milli-Q Water) and stored in PBS buffer before use.

전기화학적 실험Electrochemical experiment

순환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 실험은 EG&G PAR 273 장치를 통해 기록하였으며 백금거즈를 상대전극으로, 은/염화은 전극을 기준전극으로 사용하는 3전극 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에 나온 모든 전위는 은/염화은 기준전극을 기준으로 얻어졌다. 작업전극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탄소 전극이다. 모든 실험은 PBS 완충용액(pH 7.4)을 이용해 상온, 상압, 공기중에서 수행되었다. PBS완충용액 만을 가지고 측정한 대조실험을 통하여 특징 없는 평평한 CV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모든 전기화학적 실험은 20개 이상의 전극을 이용해 반복 수행하였고 가장 대표적인 20 mV/s의 스캔 속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의 안정성을 위하여 제일 처음사이클로부터 측정된 결과는 삭제하고 그 다음 사이클의 결과부터 기록하였다.
Cyclic voltammetry (CV) experiments were recorded on an EG & G PAR 273 instrument and measured with a three electrode system using platinum gauze as a counter electrode and a silver / silver chloride electrode as a reference electrode. All potentials given here were obtained on the basis of silver / chloride reference electrodes. The working electrode is a porous carbon electrod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PBS buffer (pH 7.4) at room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and air. The control experiment with only the PBS buffer solution yielded a characteristic flat CV result. All electrochemical experiments were repeated with more than 20 electrodes and results were shown for the most typical scan rate of 20 mV / s. For stability of the results, the results measured from the first cycle were deleted and recorded from the results of the next cycle.

형태 특징분석Morphological feature analysis

제작된 전극의 표면 구조는 태핑모드(tapping mode)의 원자간력 현미경(AF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모든 측정은 10도의 위상차 안에서 측정하였다. 투과 전자 현미경(TEM) 측정 시료는 혼합 용매하의 1wt% 농도를 가지는 PFDMS-b-PI 블록 공중합체를 드랍코팅(drop coating)방법을 통해 준비하였다. 또한 측정 전에 OsO4 증기를 이용해 블록 공중합체를 염색(staining)하여 Fc 부분과 PI 사슬 부분의 전자 콘트레스트(electron contrast)를 높여주었다. 현미경은 Zeiss LIBRA 200FE 현미경을 사용하였으며 -160 ℃ 조건에서 200 kV의 에너지로 Omega energy filter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철 원소 매핑은 three-window 방법을 이용하여 철의 L 에너지 준위인 709eV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집속이온 빔으로 에칭된 TEM 시료는(cross-sectional FIB-TEM) FEI Strata 235 Dual beam FIB을 이용해 제작하였으며 30 kV 에너지를 사용하였고 표면보호를 위해 RuO4증기에 10시간동안 노출시켰다. 에칭된 샘플의 이미징(imaging)은 JEOL 3010현미경을 이용하여 200kV의 에너지로 측정하였다.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fabricated electrode was observed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 (AFM) in a tapping mode.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within a phase difference of 10 degree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amples were prepared by drop coating method using a PFDMS-b-PI block copolymer having a concentration of 1 wt% in a mixed solvent. Before the measurement, the block copolymer was stained with OsO4 vapor to increase the electron contrast of the Fc portion and the PI chain portion. The microscope used was a Zeiss LIBRA 200 FE microscope and measured with an Omega energy filter at an energy of 200 kV at -160 ° C. The iron element mapping was measured using the three-window method using the iron energy level of 709 eV. A TEM sample etched with a focused ion beam was fabricated using a cross-sectional FIB-TEM FEI Strata 235 Dual-beam FIB and 30 kV energy was used and exposed to RuO4 vapor for 10 hours for surface protection. Imaging of the etched samples was measured with an energy of 200 kV using a JEOL 3010 microscope.

전도도 측정Conductivity measurement

PFDMS-b-PI 블록 공중합체의 전도도는 글로브박스 안에서 교류 임피던스 분광법(AC impedance spectroscopy)을 통해 측정하였다. 수평방향(through-plane) 전도도는 1.15cm X 2cm크기의 직접 제작한 백금 전극을 작업전극과 상대전극으로 사용하였다. 결과수집은 1260 Solatron 임피던스 분석기를 통해 진동수 10 ~ 100,000Hz 범위에서 수집하였다.
The conductivity of the PFDMS-b-PI block copolymer was measured by AC impedance spectroscopy in a glove box. A through-plane conductivity of 1.15 cm x 2 cm was used as a working electrode and a counter electrode. The resulting collection was collected over a frequency range of 10-100,000 Hz using a 1260 Solatron impedance analyzer.

PFDMS-b-PI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분석Characterization of PFDMS-b-PI block copolymer

오스뮴과 반응성을 가지는 다이엔 사슬과 페로센(Fc)을 함유한 블록 공중합체 PFDMS-b-PI는 순차적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해 합성되었다. 두 가지의 다른 PFDMS-b-PI가 얻어졌으며 그 분자량은 10.4-8.0 kg/mol, 69.0-92.0 kg/mol이다. 화학식 1에서 PFDMS-b-PI 블록 공중합체의 화학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의 x와 y는 각 사슬의 중합도를 나타낸다. 블록 공중합체 안에서 Fc를 함유하고 있는 PFDMS 사슬은 산화-환원 반응의 능력을 가지게 되며 고분자 내에서의 Fc의 전기화학적 성질은 작은 Fc 분자와 같은 성질을 보인다.The block copolymers PFDMS-b-PI containing diene chains and ferrocene (Fc), which are reactive with osmium, were synthesized through sequential anionic polymerization. Two different PFDMS-b-PIs were obtained and their molecular weights were 10.4-8.0 kg / mol and 69.0-92.0 kg / mol.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PFDMS-b-PI block copolymer in Formula (1) is shown, wherein x and y each represent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each chain. The PFDMS chain containing Fc in the block copolymer has the capability of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Fc in the polymer are similar to those of small Fc molecules.

도 1b-e는 서로 다른 혼합용매에서 PFDMS-b-PI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를 TEM 이미지를 통하여 나타낸 것이다. PFDMS-b-PI 블록공중합체는 분자량과 혼합용매의 분율에 따라 다른 나노구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분자량의 PFDMS-b-PI (10.4-8.0 kg/mol)의 경우 톨루엔과 헥산의(20/80부피%) 혼합 용액에서 200nm 크기의 이중연속구조를 가지며(도 1b-c), 도 1c의 경우 철 원소 매핑을 이용하여 도 1b에서 어둡게 나타난 부분이 철이 풍부한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THF와 헥산의(20/80부피%) 혼합용액에서는 수 마이크로 길이의 나노선 형태의 다른 구조가 나타났으며, 이 나노선의 직경은 20nm로 관측되었다. 이론적으로 한정되는 않지만, 이는 용해파라미터(solubility parameter)로 설명될 수 있는데 PFDMS의 용해파라미터(18.6 MPa½) 가 톨루엔(18.3 MPa½) 과 THF(18.5 MPa½)의 용해파라미터 값과 비슷한 값을 가지며 PI(16.2 MPa½) 의 용해파라미터가 헥산(14.9 MPa½) 과 가까운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용매를 선택함에 있어(톨루엔과 THF) PFDMS의 결정질 성질이 다르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1B-e shows TEM images of the structure of PFDMS-b-PI block copolymer in different mixed solven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FDMS-b-PI block copolymer has different nanostructures depending on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fraction of the mixed solv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mall molecular weight PFDMS-b-PI (10.4-8.0 kg / mol), it has a double continuous structure with a size of 200 nm in a mixed solution of toluene and hexane (20/80 vol% In FIG. 1C, it can be seen that the portion darkened in FIG. 1B is rich in iron using iron element mapping. On the other hand, in the mixed solution of THF and hexane (20/80 vol.%), Another structure of several micron-length nanowires was observed, and the diameter of the nanowires was observed to be 20 nm. Though not to be bound by theory,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solubility parameter, in which the dissolution parameter of PFDMS (18.6 MPa < 1/2 >) has a value similar to the solubility parameter values of toluene (18.3 MPa & MPa < 1/2 >) has a value close to that of hexane (14.9 MPa < 1/2 >).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rystalline nature of (toluene and THF) PFDMS behaves differently in selecting the solvent.

반면에 THF와 헥산의(20/80부피%) 혼합용액에 큰 분자량의 PFDMS-b-PI (69.0-92.0 kg/mol) 이용해 용액을 만들 경우 60nm크기의 균일한 나노입자가 얻어졌다. 또한 우리는 용액 내의 THF와 헥산의 비율이 달라지게 되면 (25/75부피%) 균일하지 않고 짧은 직경 40nm크기의 나노선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는 나노입자 구조의 경우 아주 좁은 범위의 THF/헥산 분율에서만 안정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solution was prepared by using a large molecular weight PFDMS-b-PI (69.0-92.0 kg / mol) in a mixed solution of THF and hexane (20/80 vol%), uniform nanoparticles of 60 nm in size were obtained. We also confirmed the structure of nano-wires with a short diameter of 40 nm when the ratio of THF to hexane in the solution (25/75 vol%) was not uniform. This means that the nanoparticle structure is stable only in a very narrow THF / hexane fraction.

이렇게 나노구조를 가지는 PFDMS-b-PI 유기금속 블록공중합체는 GOx/포도당의 산화-환원 반응에서부터 전극까지 전자를 전달하는데 활용되게 된다 도 6은 GOx와 PFDMS-b-PI 중개재로 구성된 기능성 전극을 만드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쉬운 설명을 위하여 도6은 고분자의 나노선 구조를 기반으로 표시하였다. 균일한 GOx 용액과 PFDMS-b-PI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만들어 다공성의 탄소전극 위에 드랍코팅한다. 코팅된 필름의 두께는 1에서 50 마이크로미터로 다양했으며 우리는 최대 전류밀도를 측정하여 최적화된 두께를 찾아내었다. 최대 촉매전류의 경우 30wt%의 GOx 농도일 때 측정되었으며 효소의 농도가 50wt%가 넘어갈 경우 침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This nanostructured PFDMS-b-PI organometallic block copolymer is used to transfer electrons from the GOx / glucos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the electrode. Figure 6 shows a functional electrode composed of GOx and PFDMS-b-PI intermediates. . For ease of illustration, FIG. 6 is based on the nanowire structure of the polymer. A homogeneous GOx solution and a PFDMS-b-PI block copolymer solution were prepared and dropped on a porous carbon electrode. The thickness of the coated film varied from 1 to 50 micrometers and we measured the maximum current density to find the optimal thickness. The maximum catalytic current was measured at a GOx concentration of 30 wt%, and precipitation occurred when the enzyme concentration exceeded 50 wt%.

본 발명에서, 보조 고분자로 사용된 PI 사슬은 다이엔 그룹이 가교결합의 위치를 제공해주며, 화학적 가교결합을 위해 OsO4 증기에 3시간 이상 노출시켜주면 OsO4의 Os가 탄화수소와 공유결합을 이루며 가교결합을 만들어준다. 이하, 제조된 중개재 고분자를 PFDMS-b-PIOS로 부르겠다. Os 착색(staining)이 끝난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고정되지 않은 GOx를 제거해준다. Os으로 코팅되지 않는 전극의 경우 생리학적 환경하에서 매우 불안정하게 존재하게 된다. 마지막 과정으로는 Fc부분의 활성을 위해 산화 전위를 걸어주었다. 활성 후에 Fc부분이 양전하를 띔으로써 GOx의 음전하와 더 강하게 결합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 chain used as the auxiliary polymer provides a cross-linking position of the diene group. When the OsO4 vapor is exposed to the OsO4 vapor for more than 3 hours for chemical cross-linking, Os of OsO4 forms a covalent bond with the hydrocarbon, . Hereinafter, the prepared intermediate material polymer will be referred to as PFDMS-b-PI OS . Os After staining, wash with distilled water to remove unfixed GOx. Electrodes not coated with Os are very unstable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In the final step, an oxidation potential was applied to activate the Fc portion. After activation, the Fc moiety becomes more strongly bound to the negative charge of GOx by positively charging.

제작된 기능성 전극의 구조 분석Structural Analysis of Fabricated Electrode

제작된 전극의 구조는 FIB, TEM, SEM을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도 2는 나노선 구조를 가지는 PFDMS-b-PIOS와 GOx로 이루어진 전극을 FIB-TEM을 이용해 측정한 것이다. FIB-TEM 실험은 실험 도중 전자빔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전극표면에 루세늄(Ru) 처리를 한 후에 관측하였다. 도 2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전극 위에서 PFDMS-b-PIOS중개재와 GOx 효소가 내부섞임(intermixing) 구조와 내부관통(interpenetration)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층의 두께는 100~200나노미터로 이는 기판의 아래쪽 부분에 해당한다. 내부 삽화의 확대한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20nm의 직경을 가지는 나노선 구조가 보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내부섞임구조에서는 40~80나노미터 크기로 뭉쳐있는 GOx 효소가 관측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험의 조건이 극저온(-160 oC) 상태와 낮은 선량율(dose rate, 9.6 e-/Å2) 임에도 불구하고 전자 빔에 대하여 매우 불안정함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예는 다른 콘트레스트로 나타낸 하얀색 내부 삽화에 표시되어있다.The structures of the fabricated electrodes were observed using FIB, TEM, and SEM. FIG. 2 is a graph showing an electrode made of PFDMS-b-PI OS and GOx having a nanowire structure using FIB-TEM. The FIB-TEM experiment was performed after ruthenium (Ru) treatment on the electrode surface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electron beam during the experiment. 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PFDMS-b-PI OS mediator and the GOx enzyme on the electrode have an intermixing structure and an interpenetration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is layer is 100 to 200 nanometers, which correspo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As shown in the enlarged drawing of the inside figu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anowire structure having a diameter of 20 nm is seen,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GOx enzyme which has a size of 40 to 80 nanometers is observed in the internal mixing structure. This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re very unstable with respect to the electron beam despite the cryogenic temperature (-160 ° C) and the low dose rate (9.6 e- / Å 2 ). A representative example is shown in a white inner illustration, represented by another context.

이중 연속구조의 PFDMS-b-PIOS를 포함한 전극의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 실험을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도 3a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작된 전극의 윗부분에서 도 1b에서 보았던 이중연속구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전극의 횡단면을 살펴보면 GOx를 고정시키는 보호막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포도당과 효소가 만날 수 있도록 다공성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집전체와 GOx/PFDMS-b-PIOS사이의 접촉면을 액체질소 안에서 절단하여 전극의 아래쪽의 형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도 3b를 보면 알 수 있는 것처럼 이중연속 구조가 계속해서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PFDMS-b-PIOS고분자가 전극 표면과 전극 내부에 전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전극물질의 두께(80-120nm)보다 이중연속 구조를 가진 고분자의 크기가 크므로(200nm) 횡단면의 FIB-TEM에서 그 구조를 명확이 확인 하는 데는 어려움을 보였다.
The structures of the electrodes including the PFDMS-b-PI OS with the double continuous structure were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shown in FIG. 3A, the upper part of the manufactured electrode shows a state of the double continuous structure shown in FIG. 1B.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electrode shows that it is porous enough to allow glucose and enzyme to meet even though there is a protective film that fixes GOx. In additi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GOx / PFDMS-b-PI OS was cut in liquid nitrogen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electrode. As can be seen from FIG. 3B, it can be seen that the double continuous structure is continuously observed, indicating that the PFDMS-b-PI OS polymer is completely present on the electrode surface and the electrode. However, since the size of a polymer having a double continuous structure is larger than that of a general electrode material (80-120 nm), it has been difficult to confirm the structure clearly in the FIB-TEM at a cross section (200 nm).

GOx/ PFDMS-b-PIOS중개재로 구성된 기능성 전극으로의 포도당 산화Glucose oxidation to a functional electrode composed of GOx / PFDMS-b-PI OS mediator

PFDMS-b-PIOS의 네트워크에 의해 고정되고 배열된 GOx의 효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순환전압전류법(CV)을 이용해 전극의 특징을 측정하였다. 전극 내에서 Fc부분의 농도는 2mM로 고정하고 20mV/s의 낮은 스캔속도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도 4a에서 보는 것과 같이 GOx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Ag/AgCl 전극 기준 Fc의 전기화학적 potential인 420mV와 550mV에서 뚜렷한 전류변화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c의 잘 알려진 표준환원전위가 Eo = 400 mV 임을 미루어 볼 때 이러한 변화는 타당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GOx가 섞인 전극은 다른 산화-환원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산화와 환원 피크의 위치가 390, -80mV로 이전에 존재하였던 420mV의 환원 피크가 사라지는 것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산화 피크의 550에서 390mV로의 변화 역시 GOx가 제공하는 극성 환경으로 인해 Fc의 용매화에 변화를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420mV의 환원피크의 소멸은 Fc+상태에서 전자가 아래와 같은 형태로 GO(FAD) 물질로 이동되기 때문으로 여겨지며 Fc는 다시 산화되어 Fc+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반복한다.PFDMS-b-PI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he GOx fixed and arranged by the network of the O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 were measured by the cyclic voltammetry (CV). The concentration of Fc in the electrode was fixed at 2mM and measured at a low scan rate of 20mV / s. As shown in FIG. 4a, when GOx was not present, the electrochemical potentials of Ag / AgCl electrode based Fc were 420mV and 550mV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shows a clear current change. This change is valid considering that the well known standard reduction potential of Fc is E o = 400 mV. However, the electrode mixed with GOx was able to detect other oxidation-reduction changes. It can be clearly seen that the reduction peak of 420 mV, which was previously located at 390, -80 mV, disappears at the positions of the oxidation and reduction peaks. The change in the oxidation peak from 550 to 390 mV is also thought to be due to the change in solvation of Fc due to the polar environment provided by GOx. The disappearance of the 420mV reduction peak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transfer of electrons to the GO (FAD) material in the Fc + state and the Fc is reoxidized and converted to the Fc + state.

GO(FADH2) + 2Fc+->GO(FAD) + 2Fco + 2H+ GO (FADH 2 ) + 2Fc + -> GO (FAD) + 2Fc 0 + 2H +

FAD의 표준환원전위는 -180mV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전극의 전기화학적 변화는 GOx가 성공적으로 PFDMS-b-PIOS고분자 네트워크 안에 결합하여 Fc 부분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해 효소적 활성을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우리는 여기서 오스뮴의 산화-환원에 대한 반응은 보지 못했는데(Os(III)/Os(II)) 이는 Os 부분이 국소적인 농도에 민감하게 작용한다고 생각된다.The standard reduction potential of FAD is well known to be -180 mV, and the electrochemical change of these electrodes is believed that GOx successfully binds to the PFDMS-b-PI OS polymer network and effectively interacts with the Fc region to obtain enzymatic activity. Also, we have not seen any reaction to the oxidation-reduction of osmium here (Os (III) / Os (II)), suggesting that the Os moiety is sensitive to local concentration.

전극에서 전자 중개의 효과가 고분자 구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포도당 농도를 이용하여 순환전압전류를 측정하였다. 나노선 구조를 보이는 PFDMS-b-PIOS고분자를 전자 중개재로 사용할 경우가 도 4b에 나타나 있으며 PBS완충용액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1.3mM의 포도당만을 첨가하여도 산화-환원 전류 피크의 크기가 40%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당의 농도가 점점 높아질수록 산화, 환원 전류 피크의 크기 역시 꾸준하게 증가하였고 포도당의 농도가 60mM이 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내부 삽화는 포도당의 농도에 따른 -80mV의 환원 전류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AFM 이미지는 제작된 전극의 표면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ctron mediation on the polymer structure, the cyclic voltammetry was measured using glucose concentration. The PFDMS-b-PI OS polymer having a nanowire structure is used as an electron mediator, as shown in FIG. 4B, and glucose was added to the PBS buffer solution. As can be seen, the addition of only 1.3mM glucose increased the peak of the oxidation-reduction current by 40%. As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creased, the peak of oxidation and reduction current also steadily increased and the glucose concentration continued to be 60 mM. The internal figure is a graph showing the reduction current value of -80 mV according to the glucose concentration, and the AFM image shows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manufactured electrode.

PFDMS-b-PIOS중개재의 구조에 따라 전극의 산화-환원 과정은 큰 변화를 보인다. PFDMS-b-PIOS고분자의 구조가 도 4c와 같이 이중연속구조로 변화하게 되면 나노선과 유사한 형태의 산화-환원 그래프가 얻어지게 된다. 하지만 약 두 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피크 전류가 흐르게 되며 60mM 포도당 농도에서 -150mV의 위치에서 550 ㎂/cm2로 나타내어 진다. 이러한 현상은 이중연속 구조를 가지는 PFDMS가 갇혀 있는 GOx와 넓은 표면적을 통해 접촉하고 있어 전자 전달 속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75회 이상의 산화-환원 사이클 하에서도 피크 전류가 고분자의 구조에 관계없이 2%내의 감소를 보임으로써 매우 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PFDMS-b-PI OS Oxidation-reduction process of electrode shows big change depending on structure of intermediates. When the structure of the PFDMS-b-PI OS polymer is changed into a double continuous structure as shown in FIG. 4c, a redox graph similar to that of a nanowire can be obtained. However, a peak current of about twice the magnitude of the peak current flows and is expressed as 550 μA / cm 2 at a position of -150 mV at 60 mM glucose concentration. This phenomenon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PFDMS with double continuous structure is in contact with GOx trapped with large surface area to increase the electron transfer rate.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peak current is in a very stable state due to the reduction of 2% in the peak structure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polymer even under the oxidation-reduction cycle of 75 times or more.

도 4d는 GOx와 PFDMS-b-PIOS고분자가 혼합된 전극의 전류 밀도를 고분자의 형태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8mM의 포도당 농도를 가지는 특정한 CV 결과를 가지고 나타내었으며 이 농도는 우리 혈액중의 포도당 농도와 비슷한 농도이다. 나노선, 나노입자, 그리고 이중연속 구조를 비교해 보면 이중연속구조를 이루고 있는 PFDMS가 GOx와 가장 좋은 산화-환원 반응을 보임을 보여주며 이는 이중연속구조의 환원 피크가 나노선 구조일 때 관측되는 환원 피크보다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제공한다. 흥미롭게도 도 3d와 같이 나노입자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의 경우 산화-환원 반응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값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PFDMS 고분자가 고립된 원형으로 존재하게 되어 GOx 또는 포도당과 접촉이 어렵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시스템의 전자밀도를 결정하는 기능성 전극의 능력이 산화-환원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에 따라 크게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4d shows the current density of the electrode mixed with GOx and PFDMS-b-PI OS polym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lymer. Specific CV results with 8mM glucose concentration are shown, which is similar to glucose concentration in our blood. Comparing the nanowires, nanoparticles, and the double continuous structure, PFDMS, which has a double continuous structure, shows the best oxidation-reduction reaction with GOx, which shows that the reduction peak of double- Providing a sufficient basis for moving to the left of the peak. Interestingly, in the case of a polymer having a nanoparticle structure as shown in FIG. 3D,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s negligibly small because the PFDMS polymer is in an isolated circular form and is difficult to contact with GOx or glucose Can be explain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bility of the functional electrode to determine the electron density of the system is greatly determined by the structure of the redox block copolymer through these experiments.

이중연속 구조를 가지는 PFDMS-b-PIOS블록 공중합체만을 이용하여 제작한 전극을 이용하여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해 전극의 전류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같은 분자량을 이용해 같은 두께로 만든 나노선 구조의 PFDMS-b-PIOS블록 공중합체와 비교하였을 때 이중연속 구조의 경우 두 배 높은 크기의 전류를 얻을 수 있었다. (도 4S) 이는 이중연속 구조를 가지는 PFDMS-b-PIOS블록 공중합체가 넓은 접촉면적으로 인해 나노선 구조를 가지는 PFDMS-b-PIOS블록 공중합체보다 두 배 효과적으로 산화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철의 산화의 효율에 따라 전혀 다른 전도도 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효과를 조금 더 명확히 알아보기 위하여 상온에서 수평면의 전도도를 측정하여 GOx과 기질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전자전달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이중연속구조를 가지는 PFDMS-b-PIOS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1.34x 10-5 S/cm 의 전도도 값을 얻을 수 있었고 나노선 구조의 PFDMS-b-PIOS블록 공중합체에서는 4.03x 10-6 S/cm이라는 전도도 값을 얻을 수 있었다.The electrode current was measured by cyclic voltammetry using an electrode fabricated using only a PFDMS-b-PI OS block copolymer having a double continuous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when compared with the PFDMS-b-PI OS block copolymer having the nanowire structure made of the same thickness by using the same molecular weight, the double continuous structure was able to obtain a current twice as large. (Fig. 4S) This shows that the PFDMS-b-PI OS block copolymer having a double continuous structure is oxidized twice more effectively than the PFDMS-b-PI OS block copolymer having a nanowire structure due to its wide contact area.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the oxidation of iron, a completely different conductivity value can be obtained.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this structure more clearly, we measured the conductivity of the horizontal plane at room temperature and confirmed how the electron transfer occurred in GOx and substrate. Interestingly, the conductivity of the PFDMS-b-PI OS block copolymer with double continuous structure was 1.34 x 10 -5 S / cm, and the conductivity value of PFDMS-b-PI OS block copolymer was 4.03 x 10 Conductivity values of -6 S / cm wer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전극의 바이오 센싱 효과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전극의 생 촉매 활성도를 알아보고자 3전극 시스템에 다양한 농도의 포도당을 주입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액 속의 생리학적 포도당의 농도가 5에서 10mM사이이므로 10mM주변의 낮은 포도당 농도에서도 큰 전기적인 신호를 보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중연속 구조의 PFDMS-b-PIOS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작한 전극은 매우 낮은 양의 GOx(10㎕)에서도 민감하게 작동하였다. 전류의 측정은 은/염화은 기준전극을 기준으로 -0.2V의 환원 전류 피크 값을 측정하였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생리학적 환경에서 포도당을 첨가 해주는 것으로 계단식의 그래프 변화를 보임으로써 포도당 농도에 따라 안정적으로 비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효소로부터 Fc 부분이 전자전달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아주 낮은 농도인 1.3mM의 경우에서도 7㎂ 에서 12 ㎂ 로 빠르고 정확한 전류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약 35분 동안 포도당의 농도를 규칙적으로 변화시켜가면서 꾸준히 측정하는 동안 PFDMS-b-PIOS블록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기능성 전극은 매우 안정된 상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The biosensing effect of the functional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exa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iocatalytic activity of the electrode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ject various concentrations of glucose into the three electrode system. Since the concentration of physiological glucose in blood is between 5 and 10 mM, it is very important to show a large electrical signal even at low glucose concentration around 10 mM. Electrodes fabricated using a double continuous PFDMS-b-PI OS block copolymer were sensitive to very low amounts of GOx (10 μl). The measurement of the current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a reduction current peak value of -0.2 V based on the silver / silver chloride reference electrode. As shown in FIG. 5, by adding glucose in a physiological environment, the graph of the stepwise change shows that the Fc portion of the enzyme can be stably proportional to glucose concentration, I could confirm. Especially, at 1.3mM, which is very low concentration, it shows fast and accurate current change from 7 μA to 12 μA.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al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PFDMS-b-PI OS block copolymer was in a very stable state while continuously measuring the glucose concentration for about 35 minutes while regularly changing the glucose concentration.

Claims (20)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공중합체와 효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공중합체는 무정형 이중 연속구조(bicontinuous structure)로 자기 조립되며,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가교성 블록이 가교되어 효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A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comprising an organic metal and an enzyme,
Wherein the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including the organic metal is self-assembled into an amorphous bicontinuous structure, and the cross-linkable block including the double bond is crosslinked to fix the enzy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페로세닐디메틸실란-b-이소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The electro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ck copolymer is poly (ferrocenyldimethylsilane-b-isopre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 공중합체와 효소는 1-50 마이크로미터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The electrode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comprises a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comprising an organometallic and the enzyme forms a coating layer of 1-50 micromet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하부에 다공성 탄소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7. The electrode of claim 6, wherein the coating further comprises a porous carbon layer at the botto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에서 효소는 1-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8. The electrode of claim 7, wherein the enzyme in the coating layer is 1-50 w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효소의 함량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The electrod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ating layer has an enzyme content of 30 w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1)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Figure 112016128036854-pat00009

여기서, x와 y는 중합도이며, R1과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30의 알킬, 아실, 알콕시이며, 각 블록의 분자량은 0.1-500 kg/mol인 블록 공중합체.
The electro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ck copolymer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Figure 112016128036854-pat00009

Wherein x and y are degrees of polymerization and R1 and R2 are independently hydrogen or alkyl, acyl, alkoxy of 1-30 carbon atoms and the molecular weight of each block is 0.1-500 kg / mol.
삭제delete 제1항에 따른 전극을 이용하여 전류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전지.The biofuel ce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is used to produce a current. 제1항에 따른 전극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센서.A biosensor using the electrode according to claim 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포도당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센서. 16. The biosensor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sensor is a glucose sensor.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 공중합체와 효소를 혼합하여 전극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 조립성 블록공중합체는 무정형의 이중 연속구조로 자기 조립되며,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가교성 블록이 가교되어 효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전극 제조 방법.
Mixing an enzyme with a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comprising an organic metal and coating the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Here, the self-assembling block copolymer containing the organic metal is self-assembled into an amorphous double continuous structure,
Wherein the crosslinkable block containing a double bond is crosslinked to fix the enzy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페로세닐디메틸실란-b-이소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전극 제조 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block copolymer is poly (ferrocenyldimethylsilane-b-isoprene).
KR1020130161558A 2013-12-23 2013-12-23 Cross-linkable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polymers for enzymatic biofuel cell and biosensor applications KR101738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558A KR101738207B1 (en) 2013-12-23 2013-12-23 Cross-linkable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polymers for enzymatic biofuel cell and biosensor appl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558A KR101738207B1 (en) 2013-12-23 2013-12-23 Cross-linkable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polymers for enzymatic biofuel cell and biosensor applicat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141A Division KR20130032507A (en) 2011-09-23 2011-09-23 Cross-linkable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polymers for enzymatic biofuel cell and biosensor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168A KR20140018168A (en) 2014-02-12
KR101738207B1 true KR101738207B1 (en) 2017-05-23

Family

ID=5026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558A KR101738207B1 (en) 2013-12-23 2013-12-23 Cross-linkable nanostructured organometallic polymers for enzymatic biofuel cell and biosensor applic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20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7144A1 (en) 2001-04-13 2003-05-08 Hoi-Cheong Steve Sun Enzymatic fuel cell with fixed dehydrogenase enzy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7144A1 (en) 2001-04-13 2003-05-08 Hoi-Cheong Steve Sun Enzymatic fuel cell with fixed dehydrogenase enzym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il Kumar Sarma et al. Recent advances in material science for developing enzyme electrodes.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2009, 24, pp.2313-2322*
Birgit Nagel et al. Enzyme Activity Control by Responsive Redoxpolymers. Langmuir. 2007, 23, pp.6807-6811*
Journal of Electroanalytical Chemistry, Vol. 639, PP. 21-26 (2009.11.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168A (en)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Carbon nanofiber-based composites for the construction of mediator-free biosensors
Wei et al. MOF-derived Fe2O3 nanoparticle embedded in porous carbon as electrode materials for two enzyme-based biosensors
Zou et al.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using polypyrrole coated carbon nanotubes composite as anode material
Huang et al. Label-free aptamer sensor for 17β-estradiol based on vanadium disulfide nanoflowers and Au nanoparticles
Choi et al. Flow-injection amperometric glucose biosensors based on graphene/Nafion hybrid electrodes
Wang et al. Polymerized ionic liquid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nanosheets as a sensitive platform for bisphenol A sensing
Song et al. Ag nanoparticles coated NiO nanowires hierarchical nanocomposites electrode for nonenzymatic glucose biosensing
Zhang et al. A highly-sensitive VB2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one-step co-electrodeposited molecularly imprinted WS2-PEDOT film supported on graphene oxide-SWCNTs nanocomposite
Chen et al. Biofunctionalized nanoporous gold for electrochemical biosensors
Li et al. Electrostatic self-assembly for preparation of sulfonated graphene/gold nanoparticle hybrids and their application for hydrogen peroxide sensing
Kafi et al. A glassy carbon electrode modified with SnO 2 nanofibers, polyaniline and hemoglobin for improved amperometric sensing of hydrogen peroxide
Cheki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i (II)/polyacrylonitrile and carbon nanotube composite modified electrode and application for carbohydrates electrocatalytic oxidation
Zhu et al. A high performance electrochemical sensor for NADH based on graphite nanosheet modified electrode
Li et al. A pyrrole quinoline quinone glucose dehydrogenase biosensor based on screen-printed carbon paste electrodes modified by carbon nanotubes
Gao et al. Electro-oxidative polymerization of phenothiazine dyes into a multilayer-containing carbon nanotube on a glassy carbon electrode for the sensitive and low-potential detection of NADH
WO2013042835A1 (en) Electrode including a self-assembling polymer having an organomet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hamed et al. Biocompatible mediated bioanode prepared by using poly (3, 4-ethylene dioxythiophene) poly (styrene sulfonate)(PEDOT: PSS) and sulfonated graphene oxide integrated enzyme for biofuel cells applications
Chen et al. Electrochemical study of mono-6-thio-β-cyclodextrin/ferrocene capped on gold nanoparticle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to the design of glucose amperometric biosensor
JP2011514439A (en) Aqueous composition comprising carbon nanotubes and an electropolymerizable surfactant for dispersing the carbon nanotubes
Wang et al. Direct electrochemistry and electrocatalysis of hemoglobin incorporated in composite film based on diblock weak polyelectrolyte PHAEMA-b-PDMAEMA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Noh et al. Catalytic activity of polymerized self-assembled artificial enzyme nanoparticles: applications to microfluidic channel-glucose biofuel cells and sensors
Chen et al. Poly (brilliant cresyl blue) electrogenerated on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modified electrode and its application in mediated biosensing system
Zhang et al. In situ growth of Ag-reduced graphene oxide-carbon nanotube on indium tin oxide and its application for electrochemical sensing
Cui et al. Nonenzymatic amperometric organic peroxide sensor based on nano-cobalt phthalocyanine loaded functionalized graphene film
Kang et al. A biocatalyst containing chitosan and embedded dye mediator adopted for promoting oxidation reactions and its utilization in biofuel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