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893B1 -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893B1
KR101737893B1 KR1020150043513A KR20150043513A KR101737893B1 KR 101737893 B1 KR101737893 B1 KR 101737893B1 KR 1020150043513 A KR1020150043513 A KR 1020150043513A KR 20150043513 A KR20150043513 A KR 20150043513A KR 101737893 B1 KR101737893 B1 KR 10173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ps
mac addres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574A (ko
Inventor
이상준
함성윤
손민기
Original Assignee
유넷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넷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넷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89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P(Access Point)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WIPS(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WIPS 서버로부터 AP와 접속된 특정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WIPS 센서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자신의 MAC 주소로 변경하여 상기 AP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WIPS 센서가 AP(Access Point)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며, 상기 AP 및 무선통신단말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d) 및 MAC 주소 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 WIPS 센서가 WIPS 서버로부터 전송된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WIPS 센서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상기 제1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에서 추출하여 자신의 MAC 주소로 할당하는 제3단계; 및 WIPS 센서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과 접속된 AP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가 가능한 스캐너에서의 정보 수집을 통해 무선 침입 차단 시스템의 구축이 없이도 특정 무선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무선 장비의 위치를 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지된 무선 장비의 인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WIPS Sensor and Terminal block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EEE 802.11w 환경에서 무선 통신에서 보안정책 위반 접속 단말을 차단할 수 있는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에서의 WIPS 센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무선 장비에 대한 고유정보(MAC주소, 제품명, 제조사, 일련번호, 하드웨어 정보 등)를 수집하여 WIPS(무선 침입 차단 시스템: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서버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해당 무선 장비가 위치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침입, 공격, 이상상태 발생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내역을 WIPS서버로 보고하여 대응을 위한 제어 신호를 WIPS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무선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19892호(2013.02.2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86876호(2012.10.02. 공고) 등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WIPS 센서의 보안 정책 위반 단말의 차단은, 도 1 에서와 같이, WPIS 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WIPS 센서(S)에서 차단 대상 단말(T)과 연결된 AP에 인증해제(Deauthentication) 또는 연동해제(Deassociation) 패킷을 전송하여 AP가 해당 단말에 대한 접속을 차단하는 것으로 구현되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새로운 표준인 802.11w 에서는 관리 프레임의 보안성 향상을 위해 AP와 단말 사이의 연동 과정에서 특정 Key 공유를 통해 상호 간의 통신 패킷을 보호하는 기술이 부가되었다.
즉, 기존의 WIPS 센서로는 802.11w 가 적용된 AP와 단말의 공유 Key를 모르기 때문에 인증해제 또는 연동해체 패킷의 전송을 통한 단말(T)의 차단이 불가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802.11w 환경에서도 보안 정책을 위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P(Access Point)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WIPS(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센서로서, WIPS 서버로부터 AP와 접속된 특정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WIPS 센서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자신의 MAC 주소로 변경하여 상기 AP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WIPS 센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WIPS 센서는, 상기 AP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 간의 트래픽 및 상기 AP와 무선통신단말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d) 및 MAC 주소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수집된 AP와 무선통신단말의 BSSID 및 MAC 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 WIPS 서버와 통신하며, WIPS 서버로부터 특정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접속 차단 제어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참조하여 자신의 MAC 주소로 할당하는 MAC 주소변환부; 및 상기 MAC 주소변환부에서 변환된 MAC 주소로 특정 무선통신단말과 접속 중인 해당 AP에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AP 접속부; 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WIPS 센서가 AP(Access Point)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며, 상기 AP 및 무선통신단말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d) 및 MAC 주소 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 WIPS 센서가 WIPS 서버로부터 전송된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WIPS 센서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상기 제1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에서 추출하여 자신의 MAC 주소로 할당하는 제3단계; 및 WIPS 센서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과 접속된 AP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신규 연결을 요청받은 AP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에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제5단계; 및 상기 AP가 상기 WIPS 센서에 신규 Key를 할당하여 상호 연결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802.11w 환경에서도 보안 정책을 위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구현함으로써 보안의 신뢰성이 증대된다.
또한, WIPS 센서의 구조적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802.11w 환경에서의 단말 차단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WIPS 센서를 재활용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WIPS 센서가 네트워크 상의 단말을 차단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의 구성 블럭도 및 WIPS 센서가 네트워크 상의 단말을 차단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WIPS 센서에 대한 설명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의 구성 블럭도 및 WIPS 센서가 네트워크 상의 단말을 차단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100)는, 모니터링부(10), 정보저장부(20), 통신부(30), MAC 주소변환부(40) 및 AP 접속부(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은 WIPS 센서를 이루는 전체적인 구성은 아니며, 종래의 WIPS 센서의 기능 및 동작을 구현하는 구성은 채택되어있는 것으로 전제하고, 발명의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적 사상을 나타내는 구성만을 취합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모니터링부(10)는 AP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T)의 통신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트래픽 모니터링을 통해 AP 및 무선통신단말(T)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d) 및 MAC 주소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수집된 AP 및 무선통신단말(T)의 고유 정보인 BSSID와 MAC 주소는 후술할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차단에 이용된다.
정보저장부(20)는 모니터링부(10)에서 수집된 AP와 무선통신단말(T)의 BSSID 및 MAC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정보저장부(20)에 저장된 정보는 접속 차단 제어 신호가 수신될 경우, 후술할 MAC 주소변환부(40)에 의해 참조되어 이용된다.
통신부(30)는 WIPS 센서(100)와 WIPS 서버(200) 간의 상호 통신을 구현하는 구성으로, 통신부(30)에 의해 WIPS 센서(100)의 각종 보고 신호가 WIPS 서버(200)로 전송되며, WIPS 서버(200)의 각종 제어 신호가 WIPS 센서(100)로 수신된다. 이하에서는, WIPS 서버(200)에서 분석된 보안 정책 위반 단말을 차단하기 위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WIPS 센서(100)가 수신하는 경우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MAC 주소변환부(40)는 특정 상황에서 WIPS 센서(100)의 MAC 주소를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통신부(30)에 특정 무선통신단말(T)에 대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가 수신될 경우 동작한다.
여기서, MAC 주소변환부(40)는 통신부(30)를 통해 특정 무선통신단말(T)에 대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정보저장부(20)에 저장된 BSSID와 MAC 주소 리스트를 참조하여 특정 무선통신단말(T)에 대한 BSSID와 MAC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무선통신단말(T)에 대한 MAC 주소를 WIPS 센서(100)의 MAC 주소로 변경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MAC 주소변환부(40)의 동작에 의해 WIPS 센서(100)의 MAC 주소는 차단 대상인 특정 무선통신단말(T)의 MAC 주소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AP 접속부(50)는 MAC 주소변환부(40)에서 변환된 WIPS 센서(100)의 MAC 주소를 통해 특정 무선통신단말(T)과 접속 중인 해당 AP에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AP 접속부(50)에 의해 상기 해당 AP에 신규 연결이 요청되면, AP는 접속 중이던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T)이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새로운 공유 Key를 WIPS 센서(100)에 할당하며, AP와 WIPS 센서(100) 간의 SA(Security Association)를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기 접속 중이던 특정 무선통신단말(T)과 AP의 접속이 차단(특정 무선통신단말과 AP의 SA가 끊김)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100)는 WIPS 서버(200)로부터 AP와 접속된 특정 무선통신단말(T)에 대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할 경우, 특정 무선통신단말(T)의 MAC 주소를 자신의 MAC 주소로 변경하여 AP로 신규 연결을 요청하고, AP에서는 신규 연결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AP에서는 특정 무선통신단말이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하지만 실제로 신규 연결 요청은 AP와 WIPS 센서에서 이루어짐)에서 자연스럽게 특정 무선통신단말(T)과의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보안 정책을 위반한 특정 무선통신단말(T)의 차단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2.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에 대한 설명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은, 정보수집단계(제1단계, S10), 접속 차단 제어신호 수신단계(제2단계, S20), MAC 주소 할당단계(제3단계, S30), 신규 연결 요청단계(제4단계, S40), 신규 연결 요청 수신단계(제5단계, S50) 및 신규 연결 및 단말 차단단계(제5단계, S50)를 포함한다.
제1단계:정보수집단계(S10)
WIPS 센서가 AP(Access Point)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며, 상기 AP 및 무선통신단말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d) 및 MAC 주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로 본 단계는 WIPS 센서의 모니터링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수집된 BSSID 및 MAC 주소 정보는 WIPS 센서의 정보저장부에 저장된다.
제2단계:접속 차단 제어신호 수신단계(S20)
WIPS 센서가 WIPS 서버로부터 전송된 특정 무선통신단말(WIPS 서버의 분석에 의해 선정된 보안 정책 위반 단말)의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며, 접속 차단 제어 신호는 WIPS 서버로부터 전송되며 WIPS 센서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다.
제3단계:MAC 주소 할당단계(S30)
WIPS 센서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제1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에서 추출(WIPS 센서의 정보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자신의 MAC 주소로 할당하는 단계로, 본 단계는 WIPS 센서의 MAC 주소변환부에서 이루어진다. 즉, 본 단계를 통해 WIPS 센서의 MAC 주소가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제4단계:신규 연결 요청단계(S40)
WIPS 센서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과 접속된 AP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이며, 본 단계는 WIPS 센서의 AP 접속부에서 이루어진다.
제5단계:신규 연결 요청 수신단계(S50)
신규 연결을 요청받은 AP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에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로서, 본 단계에서 AP는 특정 무선통신단말에서 신규 연결이 요청된 것으로 파악(실제로 신규 연결 요청을 한 대상은 특정 무선통신단말이 아니라 WIPS 센서이다.)하고 이후 단계를 진행한다.
제6단계:신규 연결 및 단말 차단단계(S60)
신규 연결 요청에 따라 AP는 WIPS 센서와 연결을 설정한다. 이 단계에서 AP는 802.11w 환경에 따라 신규로 연결된 WIPS 센서와 새로운 키를 생성하여 공유하며, WIPS 센서와 AP 간의 SA(Security Association)가 형성되어 연결됨과 동시에 기 연결되어 있던 특정 무선통신단말과의 SA가 끊기며, 이에 의해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이 차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은, 802.11w 환경에서도 보안 정책을 위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구현함으로써 보안의 신뢰성이 증대된다.
또한, WIPS 센서의 구조적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802.11w 환경에서의 단말 차단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WIPS 센서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WIPS 센서
10 : 모니터링부
20 : 정보저장부
30 : 통신부
40 : MAC 주소변환부
50 : AP 접속부
200 : WIPS 서버
T : 무선통신단말

Claims (4)

  1. IEEE 802.11w 환경에서 AP(Access Point)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WIPS(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센서로서,
    WIPS 서버로부터 AP와 접속된 특정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WIPS 센서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자신의 MAC 주소로 변경하여 상기 AP로 신규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WIPS 센서는,
    상기 AP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 간의 트래픽 및 상기 AP와 무선통신단말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d) 및 MAC 주소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수집된 AP와 무선통신단말의 BSSID 및 MAC 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
    WIPS 서버와 통신하며, WIPS 서버로부터 특정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접속 차단 제어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참조하여 자신의 MAC 주소로 할당하는 MAC 주소변환부; 및
    상기 MAC 주소변환부에서 변환된 MAC 주소로 특정 무선통신단말과 접속 중인 해당 AP에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AP 접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PS 센서.
  2. 삭제
  3. IEEE 802.11w 환경에서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으로서,
    WIPS 센서가 AP(Access Point)와 접속된 무선통신단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며, 상기 AP 및 무선통신단말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d) 및 MAC 주소 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
    WIPS 센서가 WIPS 서버로부터 전송된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접속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WIPS 센서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의 MAC 주소를 상기 제1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에서 추출하여 자신의 MAC 주소로 할당하는 제3단계; 및
    WIPS 센서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과 접속된 AP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신규 연결을 요청받은 AP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단말에서 신규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제5단계; 및
    상기 AP가 상기 WIPS 센서에 신규 Key를 할당하여 상호 연결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PS 센서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KR1020150043513A 2015-03-27 2015-03-27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KR10173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13A KR101737893B1 (ko) 2015-03-27 2015-03-27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13A KR101737893B1 (ko) 2015-03-27 2015-03-27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74A KR20160115574A (ko) 2016-10-06
KR101737893B1 true KR101737893B1 (ko) 2017-05-22

Family

ID=5716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513A KR101737893B1 (ko) 2015-03-27 2015-03-27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6903B2 (en) 2018-10-26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712B1 (ko) * 2021-06-17 2021-11-10 주식회사 네오리진 Wips 센서 및 wips 센서를 이용한 불법 무선 단말의 침입 차단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노병규 외 3인, 차세대 무선랜 보안 기술동향 및 이슈, PM Issue Report 2013-제3권 이슈3,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2013.08.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6903B2 (en) 2018-10-26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74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745B2 (en) Mapping and bridging wireless networks to provide better service
KR102157661B1 (ko) 무선 침입 방지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20150296043A1 (en) DYNAM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oT DEVICES
US20160234212A1 (en)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301224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node for establishing neighbor cell rel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103620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an-in-the-middle attack
EP243997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lexible user tracing in mobile networks
CN112312418A (zh) 一种用户面数据的获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40082728A1 (en) Dongle device for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US20200053567A1 (en) Security architecture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CN113206814B (zh) 一种网络事件处理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1534476B1 (ko) 비인가 액세스 포인트 탐지 방법 및 장치
US107981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entity assisted honeypot access point detection
US8955049B2 (en) Method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arget apparatus
JP2018511282A (ja) Wipsセン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端末遮断方法
JP5668839B2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サイバー攻撃対処方法
KR202100883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수집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94489A1 (en) Preventing clients from accessing a rogue access point
CN108141758A (zh) 无连接的数据传输
KR101737893B1 (ko) Wips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차단 방법
KR101424370B1 (ko) 액세스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00027529A (ko) 무선랜 침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29178B1 (ko) 무선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192446B1 (ko) 클라우드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능형 무선침입방지 시스템 및 센서
KR101335293B1 (ko) 내부 네트워크 침입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