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519B1 -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519B1
KR101737519B1 KR1020150099092A KR20150099092A KR101737519B1 KR 101737519 B1 KR101737519 B1 KR 101737519B1 KR 1020150099092 A KR1020150099092 A KR 1020150099092A KR 20150099092 A KR20150099092 A KR 20150099092A KR 101737519 B1 KR101737519 B1 KR 10173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user
word list
module
foreign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970A (ko
Inventor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러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러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러스터
Priority to KR102015009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5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Abstract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의 외국어 텍스트를 독출하여 저장하는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과,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에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어 리스트 윈도우로 드래그되는 소정 외국어 단어를 해당 의미와 대응시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 선택되는 외국어 단어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갱신하는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과,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는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과,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과,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과,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에 의해 업로드되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과, 사용자 단어 리스트의 외국어 단어의 해당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과,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이미지를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과,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모듈을 포함하는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SYSTEM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USING ALGORITHM OF MAKING A FOREIGN LANGUAGE WORD LIST FOR EACH USER}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나 모를만한 단어로 구성되는 외국어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국어 단어에 대한 시각적 인식이나 청각적 인식 또는 그 외의 다양한 인지 방식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도록 지원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나 상황 또는 외국어 단어가 노출되어야 할 장소나 상황에 맞게 스마트폰, 전광판, 거리 광고판 등의 다양한 시각 및 청각 장치를 통해 외국어 단어를 노출시켜 단어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어의 학습에는 지속적인 반복 훈련과 노출을 통해 더 많은 단어를 체득할 수 있다. 외국어 단어의 학습은 지속적인 반복 학습이 중요한데,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라든가 모를만한 단어를 별도로 모아 단어장(단어 리스트)를 만들어 학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단어장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식을 개시한 문헌으로서는 공개특허공보 10-2012-0070782와 공개특허공보 10-2011-0083544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2-0070782는 사용자의 학습단말장치에서 단어장을 학습관리서버로 단어장을 등록하여 저장하고 리마인드 시간마다 학습단말장치에 단어장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단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083544는 사용자가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를 구분하여 개인별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구축하도록 구성되며, 텍스트 자료에서 사용자가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단어장 생성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식은 주로 사용자가 직접 단어장을 생성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직접 단어장에 단어를 하나하나 저장하여 단어장을 구축하는 경우 단어장 구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대부분의 선행문헌도 이러한 단어장 생성 방식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외국어 단어 학습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또 하나의 방식은 일상 생활에서 외국어 단어에 자주 노출되어 무의식적으로 체득하는 것이다.
일례로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6004는 LED 전광판을 통해 영어 단어 사전을 포함하는 영문을 문자 및/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ED 전광판을 통해 일상 생활중에서도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단어를 반복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6004는 가정이나 회사와 같은 국한된 공간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단어장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 공간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사용자의 단어 학습에 공간적 제약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선행문헌에서도 자신의 외국어 단어장을 사용자의 행동 반경 내 어디서든지 노출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10-2012-0070782 10-2011-0083544 20-2010-0006004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은,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의 외국어 텍스트를 독출하여 임시 저장하는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과, 상기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에 임시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click)되거나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로 드래그(drag)되는 소정 외국어 단어를 해당 의미와 대응시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 선택되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갱신하는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과,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는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과, 상기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에 의해 업로드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과, 상기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과, 상기 외국어 텍스트의 외국어 단어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과, 상기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의 외국어 단어의 해당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과,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지역, 직업, 전문 분야,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모듈을 포함하는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 모듈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전문 분야,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web page)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를 수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웹 페이지 및 SNS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외국어 단어의 의미별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동영상 이미지(moving imag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링크(l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로 업로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오픈 프로젝트(open project) 개발자 단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어 이미지 표시 모듈은, 상기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 단말에 의해 업로드되어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컨텐츠를 순차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이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의 외국어 텍스트를 독출하여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상기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에 임시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click)되거나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로 드래그(drag)되는 소정 외국어 단어를 해당 의미와 대응시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여 갱신하고, 상기 생성된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 선택되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갱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이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의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로 실시간으로 업로드하여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이 상기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의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이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에 미리 저장된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상기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에 임시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click)되거나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로 드래그(drag)되는 소정 외국어 단어를 해당 의미와 대응시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여 갱신하고, 상기 생성된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 선택되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상기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의 상기 사용자 정보 모듈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전문 분야,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상기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에 임시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click)되거나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로 드래그(drag)되는 소정 외국어 단어를 해당 의미와 대응시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여 갱신하고, 상기 생성된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 선택되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랙션(interaction) 수집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web page)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웹 페이지 및 SNS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의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이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에 미리 저장된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는 외국어 단어의 의미별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동영상 이미지(moving imag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링크(l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오픈 프로젝트(open project) 개발자 단말에 의해 미리 생성되어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로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컨텐츠를 순차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분석되는 모를만한 단어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추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상시 표시되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통해 외국어 단어를 보다 쉽고 빠르게 학습하고 암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외국어 단어의 의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를 통해 생성하고 수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방대하고 높은 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스마트 폰뿐만 아니라 전광판이라든가 버스 정류장의 안내 디스플레이, 광고 디스플레이, 회사나 가정의 IPTV 등 곳곳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의 영단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단어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반복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영단어 리스트를 학습 정도에 따라 우선 순위를 설정하도록 하여 학습 집중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단어의 뜻에 대응되는 이미지나 동영상 이미지, 풀이 게임, 링크, 오디오 파일 등을 출력으로써, 시각적 인지에 의한 학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 연관 컨텐츠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이하, '외국어 학습 시스템'이라 함)(100)은 사용자 단말(110),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 오픈 프로젝트(open project) 개발자 단말(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국어 학습 시스템(100)은 사용자별로 적용되는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 또는 사용자가 모를만한 단어를 외국어 단어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 등의 텍스트에서 드래그(drag) 또는 클릭(click)하여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사용자가 모를만한 단어가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직업, 전공 등의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되어 자동으로 추가 갱신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가 모를만한 단어를 추가하는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웹 페이지 접속이라든가 SNS 메시지 등을 통해 빅 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해 외국어 단어가 검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외국어 단어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암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컨텐츠는 외국어 단어만큼이나 그 개수가 많고 그 생성 작업의 작업량이 방대하기 때문에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130)를 통해 컨텐츠가 창안되고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10)은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111),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2),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113),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114),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115),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116),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 수집 모듈(11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한다.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111)은 웹 페이지(web page) 또는 텍스트 파일(text file)의 외국어 텍스트를 독출하여 임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국어 텍스트는, 웹 페이지나 텍스트 파일의 외국어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드래그(drag)하거나 클릭(click)하여야 하므로, 각 단어가 터치 입력이나 마우스에 의해 드래그 가능하도록 객체(obecjt)화하여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에는 한쪽 영역에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가 상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1)은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111)에 임시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단어를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로 드래그(drag)하거나 클릭하여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모르는 단어를 드래그하거나 클릭하여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추가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어 리스트는 사용자별로 각각 생성되는 리스트이다.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1)은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추가된 외국어 단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습득이 완료된 외국어 단어를 드래그하거나 클릭하여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113)은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2)에서 생성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로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114)은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113)에 의해 업로드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로부터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어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110)와 단어 리스트 플랫폼(120)에서 각각 저장되어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는 위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들이 추가되어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단어 리스트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단어들이 추가되어 갱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1)은 이러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개별 사용자에 대한 미리 알고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상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인터랙션(interaction)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첫번째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의 사용자 정보 모듈(124)에는 사용자마다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전문 분야,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1)은 사용자 정보 모듈(124)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를만한 단어를 현재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나 텍스트 파일에서 검출하여 단어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남자이면 여자들이 잘 아는 외국어 단어를 잘 알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화장품과 관련된 용어라든가 여성 의류에 관련된 용어를 모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직업이 의사라면 의료 전문 용어는 잘 알 것이므로 의료 전문 용어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추가되는 것을 배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전문 용어들 텍스트상에 법학 전문 용어들이 많은 경우 전문 분야인 의료분야 이외의 전문 용어는 잘 알 수 없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그러한 법학 전문 용어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학력 수준, 나이, 관심 사항 등에 따라 사용자가 모를만한 단어를 텍스트상에서 검출하여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력 수준의 경우 사용자가 중학생이라면, 중학생 고급 수준의 영어 단어나 고등학교 수준의 단어를 자동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어 리스트 윈도우상에 반복되어 노출 표시되는 외국어 단어들을 반복 학습하며 익힐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반복하여 학습하였다고 생각되는 단어들은 우선 순위를 낮추어 하위 순위로 위치를 내릴 수 있다.
상위 순위에서 어느 정도 시간이 게시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한 순위씩 내려가도록 구성되며 새롭게 추가되는 단어들을 상위 순위로 자동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방식으로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상에서 접속하는 웹 피이지나 SNS 메시지 등을 통해 사용자가 모를만한 단어를 찾아내는 방식이다.
사용자 인터랙션 수집 모듈(117)은 사용자 단말(110)상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web page) 및 사용자 단말(110)에서 접속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1)은 사용자가 어떠한 웹 페이지에 자주 자주 접속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SNS 메시지가 오고 가는지에 대한 빅 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배경(background)를 자동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잘 알만한 분야나 관심있는 분야와 여러 가지 정보를 가려 낼 수 있다.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1)은 사용자가 잘 알만한 분야의 외국어 단어는 사용자가 이미 잘 알 것이라고 판단하여 그러한 분야의 외국어 단어는 단어 리스트에 추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잘 모르는 분야나 사용자의 어학 수준이나 나이 등에 비추어 잘 모를만한 단어는 자동으로 단어 리스트에 추가한다.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115)은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단어의 의미를 떠올릴 수 있는 스틸(still)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moving imag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링크(l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s'라는 단어에는 '-처럼', '-로서(자격)', '-듯이' 등과 같은 많은 의미가 있는데, 이러한 여러 뜻을 내포하는 as라는 단어를 연상하는 컨텐츠가 있을 수 있다.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115)은 외국어 텍스트의 외국어 단어가 사용자 단말(110)상에서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외국어 단어의 이미지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116)은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외국어 단어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121),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122),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123), 사용자 정보 모듈(1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121)은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113)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122)은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121)에 저장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의 외국어 단어의 해당 의미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121)의 단어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외국어의 모든 단어에 대해 이러한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단어의 컨턴츠는 미리 제작되어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122)에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구성된다.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123)은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122)에 저장된 컨텐츠를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115)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123)은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의 이미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110)의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115)로 미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정보 모듈(124)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관심사항, 전공, 취미 등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모듈(124)은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 단말(130)은 외국어 단어의 의미별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또는 동영상 이미지(moving image) 또는 그 단어 의미를 풀기 위한 게임 동영상, 그 의미를 연상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의 링크(link), 그 단어를 연상시키는 오디오 파일 등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 단말(130)은 스틸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등을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의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122)로 업로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단어 각각에 대해 적게는 2-3개에서 많게는 20개까지 생성될 수 있으므로, 그 수나 작업량이 방대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오픈 프로젝트에 의한 불특정의 일반 개발자들이 이미지의 생성과 업로드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미지는 하나의 단어-이미지 쌍에 대해서도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으며,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116)은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 의해 가장 많이 선택되는 단어 이미지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에게 지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116)에 의해 단어 이미지가 선택되면 그 선택에 대한 정보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로 피드백하고,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유료 전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 단말(1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인으로 인하여 더 많은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며,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방대하고 질 높은 단어 이미지를 쉽고 빠르게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이하, '외국어 학습 시스템'이라 함)(100)은 사용자 단말(110),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 단말(130), 디스플레이 장치(140), POS(point of sale) 단말(14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국어 학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은 물론 곳곳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40) 예를 들어, 버스 정류장의 안내 디스플레이나 전광판, 광고판, 집이나 회사 등에 설치된 IPTV 등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곳의 디스플레이 장치(140)에서 사용자의 영단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반복적으로 영단어를 노출시켜 반복에 의한 학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어 학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어 리스트의 어느 영단어를 지정하면 그 뜻에 대응되는 스틸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의 시각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시각적 학습에 의한 단어 암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어별 뜻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일반 개발자들이 생성하여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에 업로드하도록 개발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수많은 양질의 이미지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어 리스트는 사용자가 단어를 암기한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내려 리스트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암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으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영단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를 우선하여 리스트의 우선 순위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어 리스트 및 사용자 단말(110)은 현재 위치를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백그라운드에서 상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상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텍스트 파일 또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를 사용자 명령에 의해 영단어 리스트에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영단어 리스트에 해당 단어를 갱신 저장하여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업로드되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 및 현재 위치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실시간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앞서 저장된 영단어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10)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14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 위주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도록 영단어 리스트를 변경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110)의 우선 순위 변경 명령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사용자의 SNS 친구를 등록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사용자의 SNS 친구의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공유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직업군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직업군의 영단어 리스트를 임의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법률 직업군, 의료 직업군, 전자공학 직업군의 영단어 리스트를 이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각각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앞서 수신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버스 정류장의 안내 디스플레이, 광고판, 전광판, IPTV 등 곳곳에서 시청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0)에서 어떠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더라도 사용자 단어 리스트는 상시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40) 외에도 카페나 음식점 등의 POS 단말(141)로도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용카드사와 제휴하여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가 이루어지면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의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신용카드사 서버(30)로 통해 POS 단말(141)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OS 단말(141)은 신용카드사 서버(3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해당 사용자의 신용카드 영수증 한곳에 프린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용카드 영수증에 인쇄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통해 실생활 중에 반복 학습하게 된다.
다른 한편,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영단어 리스트의 단어의 뜻에 상응하는 스틸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 풀이 게임을 해당 단어에 링크(link)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어 단어의 경우 하나의 단어에 여러가지 뜻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하나의 단어에 적게는 2-3개의 다른 뜻을 내포하며 많게는 20개의 다른 뜻을 갖기도 한다.
단어의 숙지와 암기에는 이러한 다양한 뜻을 모두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 암기에는 시각적인 학습이 기억에 오래남기 때문에 영단어 리스트를 단어와 해당 뜻의 이미지를 통해 학습 능력을 배가시키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에,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단어의 뜻에 대응되는 다양한 이미지의 그 뜻을 풀는 동영상 풀이 게임을 단어에 연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우스 커서나 터치를 해당 단어에 대거나 입력하면 그 스틸 이미지나 동영상 이미지가 바로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하나의 영단어에도 적게는 2-3개에서 많게는 20개 이상의 이미지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미지의 수는 영단어의 수보다도 훨씬 많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이러한 이미지를 모두 제작하여 제공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 이에,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이러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업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플랫폼을 통해 일반 개발자들이 이러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일반 개발자들이 업로드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어-뜻-이미지로 이루어진 조합에 대해 여러 개의 이미지가 업로드되는 경우,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선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자들이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서 오른쪽 상단에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표시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의 단어와 뜻이 우선 순위에 따라 기재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몰라서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드래그한 단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분석할 때 사용자가 모를 만한 단어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모를만한 경제 용어들이 주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 연관 컨텐츠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b에서는 of라는 단어의 의미를 연상하는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of가 기원(origin)의 의미를 갖고 있어 DNA의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의 예시도이다.
도 3c에서는 영수증의 밑단에 bailout이라는 단어와 그 의미가 표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의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111)이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의 외국어 텍스트를 독출하여 임시 저장한다(S10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2)이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111)에 임시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click)되거나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로 드래그(drag)되는 소정 외국어 단어를 해당 의미와 대응시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갱신하고, 생성된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 선택되는 외국어 단어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갱신한다(S102).
이때,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의 사용자 정보 모듈(124)이 사용자 정보 모듈(124)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관심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의 인터랙션(interaction) 수집 모듈(117)이 사용자 단말(110)상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web page) 및 사용자 단말(110)에서 접속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를 수집하고,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1)이 사용자 인터랙션 수집 모듈(117)에서 수집된 웹 페이지 및 SNS 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외국어 단어를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113)이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112)에서 생성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의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121)로 실시간으로 업로드하여 사용자별로 저장한다(S10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114)이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121)에 저장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한다(S104).
다음으로,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의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123)이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122)에 미리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송신한다(S105).
이때, 컨텐츠는 외국어 단어의 의미별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동영상 이미지(moving imag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링크(l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가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 단말(130)에 의해 미리 생성되어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122)로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115)이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116)이 표시한다(S106).
이때, 수신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컨텐츠를 순차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의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한다(S201).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은 텍스트 파일 또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를 사용자 명령에 의해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갱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10)이 생성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 및 현재 위치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로 실시간 업로드한다(S202).
다음으로,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업로드되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 및 현재 위치를 사용자별로 저장한다(S203).
이때,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 위주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도록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변경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130)로 저장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 송신한다(S204).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상시 디스플레이한다(S205).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의 단어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영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130)가 해당 단어의 뜻을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해당 외국어 단어 상에 표시한다(S206).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
111: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
112: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
113: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
114: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
115: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
116: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
117: 사용자 인터랙션 수집 모듈
120: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
121: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
122: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
123: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
124: 사용자 정보 모듈
130: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 단말
140: 디스플레이 장치
141: POS 단말

Claims (6)

  1.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의 외국어 텍스트를 독출하여 임시 저장하는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과, 상기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에 임시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click)되거나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로 드래그(drag)되는 소정 외국어 단어를 해당 의미와 대응시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 선택되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갱신하며, 상기 단어 리스트 윈도우상에 반복되어 노출 표시되는 외국어 단어들 중 반복 학습이 이루어진 단어 및 상기 단어 리스트 윈도우상에 일정 시간 게시된 경우에 자동으로 우선순위를 하위 순위로 조정하고, 신규 단어들을 상위 순위로 자동 게시하는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과,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는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과, 상기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에 의해 업로드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과, 상기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과, 상기 외국어 텍스트의 외국어 단어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과, 사용자 단말 상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web page)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를 수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 수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 및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 업로드 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과, 상기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의 외국어 단어의 해당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과,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성별, 지역, 직업, 전문 분야,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시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실시간 송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노출시키는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 모듈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성별, 직업, 전문 분야,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별, 직업 또는 전문 분야와 관련된 외국어 단어를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반대되는 성별 또는 상기 관심 분야와 연관된 외국어 단어를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자동 갱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웹 페이지 및 SNS 메시지의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배경을 자동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외국어 단어의 의미별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동영상 이미지(moving imag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링크(l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로 업로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오픈 프로젝트(open project) 개발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은,
    상기 오픈 프로젝트 개발자 단말에 의해 업로드되어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컨텐츠를 순차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4. (a) 사용자 단말의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이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의 외국어 텍스트를 독출하여 임시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상기 외국어 텍스트 저장 모듈에 임시 저장된 외국어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click)되거나 단어 리스트 윈도우(window)로 드래그(drag)되는 소정 외국어 단어를 해당 의미와 대응시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여 갱신하고, 상기 생성된 단어 리스트 윈도우에서 삭제 선택되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갱신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리스트 업로드 모듈이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갱신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의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로 실시간으로 업로드하여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리스트 다운로드/표시 모듈이 상기 단어 리스트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의 단어 연관 컨텐츠 송신 모듈이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에 미리 저장된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어 연관 컨텐츠 수신 모듈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단어 연관 컨텐츠 표시 모듈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상기 단어 리스트 플랫폼 서버의 사용자 정보 모듈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성별, 직업, 전문 분야,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별, 직업 또는 전문 분야와 관련된 외국어 단어를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반대되는 성별 또는 상기 관심 분야와 연관된 외국어 단어를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자동 갱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시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실시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랙션(interaction) 수집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web page)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단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웹 페이지 및 SNS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모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외국어 단어 또는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외국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어 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는 외국어 단어의 의미별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동영상 이미지(moving image), 오디오 파일(audio file), 링크(l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오픈 프로젝트(open project) 개발자 단말에 의해 미리 생성되어 상기 단어 연관 컨텐츠 저장 모듈로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컨텐츠를 순차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KR1020150099092A 2015-07-13 2015-07-13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73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92A KR101737519B1 (ko) 2015-07-13 2015-07-13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92A KR101737519B1 (ko) 2015-07-13 2015-07-13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970A KR20170007970A (ko) 2017-01-23
KR101737519B1 true KR101737519B1 (ko) 2017-05-29

Family

ID=5798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092A KR101737519B1 (ko) 2015-07-13 2015-07-13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513B1 (ko) 2020-11-27 2021-05-13 주식회사 글루리 기계학습을 이용한 셀럽의 소셜미디어 정보 기반 학습용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004U (ko) 2008-12-05 2010-06-15 강주형 엘이디 전광판을 활용한 학습기
KR20110083544A (ko) 2010-01-12 2011-07-20 굿파이낸셜 주식회사 성장형 개인 단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언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20070782A (ko) 2010-12-22 2012-07-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어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513B1 (ko) 2020-11-27 2021-05-13 주식회사 글루리 기계학습을 이용한 셀럽의 소셜미디어 정보 기반 학습용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970A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2662A1 (en) Interactive Information Capture and Retrieval with User-Defined and/or Machine Intelligence Augmented Prompts and Prompt Processing
Mikki et al. Digital presence of Norwegian scholars on academic network sites—where and who are they?
Elliott et al. Conceptions of good science in our data-rich world
Steiner et al. Evaluating a digital humanities research environment: the CULTURA approach
Hou Health literacy online: a guide to writing and designing easy-to-use health web sites
Rammer et al. A web-based ToolBox approach to support adaptive forest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KR101648906B1 (ko) 학습자 로그정보에 기반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정보 생성방법
Abd El-Migid et al. Emotimonitor: A trello power-up to capture and monitor emotions of agile teams
Wang When large-scale assessments meet data science: The big-fish-little-pond effect in fourth-and eighth-grade mathematics across nations
Walsh et al. Crowdsourcing individual interpretations: Between microtasking and macrotasking
Huang et al. Promoting in-depth reading experience and acceptance: design and assessment of Tablet reading interfaces
Alonso-Rorís et al. Information extraction in semantic, highly-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web sources
Marshall Contribution of open-ended questions in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KR101737519B1 (ko) 사용자별 외국어 단어 리스트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Sumedrea et al. Sustainable Digital Communication in Higher Education—A Checklist for Page Loading Speed Optimisation
Aceves Gutierrez et al. Having a smarter city through digital urban interfaces: an evaluation method
Lundahl et al. Justice and marketization of education in three Nordic countries: can existing large-scale datasets support comparisons?
Ukwoma et al. Research Productivity and the Citation of Open and Distance Learning Journals (2009-2018): A Citation Analysis
Fong et al. An event driven neural network system for evaluating public moods from online users' comments
Singh An online abstract mentoring programme for junior researcher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McKinley Functionality and usability requirements for a crowdsourcing task interface that supports rich data collection and volunteer participation: a case study: the New Zealand reading experience database
Tomeo Adding users to the Website design process
KR20150030491A (ko) 오감을 이용하는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Bernardino The acquisition of classifiers in verbs of motion and verbs of location in Brazilian Sign Language
Kalsoom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dynamic job search website for non-literate users of Pakist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