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96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968B1
KR101736968B1 KR1020110064857A KR20110064857A KR101736968B1 KR 101736968 B1 KR101736968 B1 KR 101736968B1 KR 1020110064857 A KR1020110064857 A KR 1020110064857A KR 20110064857 A KR20110064857 A KR 20110064857A KR 101736968 B1 KR101736968 B1 KR 10173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message
request
r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253A (ko
Inventor
이윤주
이명훈
이미경
이지훈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에 대한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응답(Ranging Response)을 수신하여서 초기 레인징을 완료한 후 초기 레인징의 완료를 기지국으로 알린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의 기본 능력 협상 과정 및 등록 과정 없이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을 단말로 전송하여 트래픽 연결 설정을 시작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METHOD FOR NETWORK ENTRY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절차는 하향 채널 탐색 및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동기 확립 과정, 전송 파라미터 획득 과정, 레인징 과정, 기본 능력 협상 과정, 등록 과정 및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통해서 완료되며, 단말과 기지국은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여서 각 과정을 수행한다.
단말은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을 할당 받아야 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대역폭 요청을 위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를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된 상향링크 맵(UL MAP)을 수신한 후에, 상향링크 맵(UL MAP)에 할당된 자원으로 대역폭 요청 헤더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승인 정보 요소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된 상향링크 맵(UL MAP)을 수신하는 과정을 거쳐서,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는다.
이와 같이, 단말은 네트워크에 진입하기 위해 하향 채널 탐색 및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동기 확립 과정, 전송 파라미터 획득 과정, 레인징 과정, 기본 능력 협상 과정, 등록 과정 및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모두 수행해야 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매 과정마다 자원을 할당 받아야 한다. 따라서, 단말이 네트워크에 진입하기 위해 많은 자원이 소비되고 네트워크 진입 시간 또한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에 대한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응답(Ranging Response)을 수신하여서 초기 레인징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초기 레인징의 완료를 상기 기지국으로 알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을 수신하여 트래픽 연결 설정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알리는 단계는, 대역폭 필드를 0으로 설정하여 대역폭 요청 헤더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를 전송하기 전에, 대역폭 요청을 기지국에 알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은,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 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사용할 자원을 통해서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당 받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 전에 코드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대한 코드 기반의 레인징 응답을 수신하여서 코드 기반의 레인징을 완료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코드 기반의 레인징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사용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에 대한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을 통해서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는, 대역폭 요청 헤더의 대역폭 필드에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자원 크기의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의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에 대한 레인징 응답(Ranging Response)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초기 레인징의 성공적인 완료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을 전송하여 트래픽 연결 설정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대역폭 요청 헤더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의 대역폭 필드가 0인 경우에 상기 단말이 초기 레인징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의 전송에 사용할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레인징 응답을 전송한 후에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단말이 초기 레인징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의 코드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대한 코드 기반의 레인징 응답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코드 기반의 레인징 응답의 상태 필드가 성공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사용할 자원을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시 기본 능력 협상 과정 및 등록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네트워크 진입 시간 또한 줄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요청 헤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기지국(200)은 주기적으로 하향 링크 채널 디스크립트(Downlink Channel Descript, DCD) 메시지와 상향 링크 채널 디스크립트(Uplink Channel Descript, UCD) 메시지를 방송한다(S102, S104).
단말(100)은 DCD 메시지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을 스캐닝하여 접속 가능한 기지국(200)을 탐색하고, 탐색한 기지국(200)과 동기를 맞추어 설정한다(S106). 또한, 단말(100)은 UCD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향링크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만약, 단말(100)은 해당 기지국(200)에 대한 상향링크 채널이 적절하지 않으면 또 다른 하향링크 채널을 찾기 위해 하향링크 채널을 스캐닝한다.
단말(100)은 상향링크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초기 레인징 과정을 수행한다. 초기 레인징 과정은 CDMA 코드 기반의 레인징과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으로 나누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단말(100)은 초기 레인징을 위해 기지국(200)이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CDMA 코드를 할당하고, CDMA 코드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초기 레인징을 시도한다(S108).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초기 레인징에 대한 레인징 응답(Ranging Response, RNG-RSP) 메시지를 수신한다(S110). 이 과정에서 전력 레벨, 오프셋 주파수 등의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RNG-RSP 메시지의 상태 필드가 계속(Continue)일 때에는 초기 레인징을 재시도한다. 즉, 단말(100)은 초기 레인징을 위한 CDMA 코드를 기지국으로 다시 전송하고(S112), 기지국(200)은 단말(100)이 전송한 초기 레인징을 위한 CDMA 코드를 통해 단말(100)이 전력 레벨, 오프셋 주파수 등의 파라미터들에 대한 조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태 필드를 성공(Success)으로 하여 RNG-RSP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114).
단말(100)은 RNG-RSP 메시지의 상태 필드가 성공(Success)인 경우, 다음 과정인 메시지 기반 레인징 과정을 진행한다.
기지국(200)은 상태 필드를 성공(success)으로 하여 RNG-RSP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하고 나면,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과정을 위해 상향링크 맵(UL MAP)의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100)로 전송한다(S116). 이때, 할당된 자원은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 RNG-REQ)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필요한 자원(x byte)을 요청하는 대역폭 요청(Bandwidth Request, BW) 헤더에 사용된다. 단말(100)은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RNG-REQ 메시지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x byte)을 대역폭 요청 헤더의 대역폭 필드에 설정한 후 대역폭 요청 헤더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118). 기지국(200)은 상향링크 맵(UL MAP)의 데이터 승인 정보 요소(Data Grant IE)에 단말(100)이 요청한 자원(x byte)을 할당하여 단말(100)로 전송한다(S120). 즉, 단계(S116~S120)는 단말(100)이 RNG-REQ 메시지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기지국(200)으로부터 할당 받는 과정에 해당한다.
단말(100)은 상향링크 맵(UL MAP)의 데이터 승인 정보 요소(Data Grant IE)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RNG-REQ 메시지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S122), 기지국(200)은 단말(100)에 대해 기본 연결 식별자(Basic Connection ID)와 일차 관리 연결 식별자(Primary management Connection ID)를 할당하고, 이를 포함한 RNG-RSP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124).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RNG-REQ 메시지에 대한 RNG-RSP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S124),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코드 기반 및 메시지 기반의 초기 레인징이 완료되고 나면, 단말(100)은 기지국(200)과 기본 능력 협상 과정을 수행한다.
우선, 단말(100)은 기본 능력 협상을 위한 가입자 기본 성능 요청(Subscriber Station Basic Capability Request, SBC-REQ)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 대역폭 요청을 위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를 전송한다(S126). 기지국(200)은 상향링크 맵(UL MAP)의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100)로 전송한다(S128). 단말(100)은 대역폭 요청 헤더의 대역폭 필드에 SBC-REQ 메시지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의 크기(x byte)를 설정하고, 상향링크 맵(UL MAP)의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할당된 자원을 통해 대역폭 요청 헤더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함으로써(S130), SBC-REQ 메시지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기지국(200)에 요청한다. 기지국(200)은 상향링크 맵(UL MAP)의 데이터 승인 정보 요소에 단말(100)이 요청한 크기(x byte)의 자원을 할당하여 전송한다(S132).
이와 같이 하여,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SBC-REQ 메시지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 받고 나면, 단말(100)은 상향링크 맵(UL MAP)의 데이터 승인 정보 요소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SBC-REQ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단말의 기본 제공 능력을 알려준다(S136). SBC-REQ 메시지는 단말이 기지국과 기본 성능에 대한 협상을 위해 송신하는 메시지로서, SBC-REQ 메시지에는 단말이 지원 가능한 변조 및 코딩 방식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100)이 지원 가능한 변조 및 코딩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SBC-REQ 메시지에 대한 가입자 기본 능력 응답(Subscriber Station Basic Capability Response, SBC-RSP)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100)과 기지국(200)의 공통 제공 능력을 알려준다(S138).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SBC-RSP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기본 능력 협상 과정이 완료된다.
기본 능력 협상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단말(100)은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등록 과정은 기지국(200)에 의하여 단말(100)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과정이다.
우선, 단말(100)은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REG-REQ)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을 수행한다(S140~S146). REG-REQ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은 앞서 SBC-REQ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상향링크 맵(UL MAP)을 통해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REG-REQ 메시지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148). REG-REQ 메시지에는 단말의 등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REG-REQ 메시지에서 단말의 등록 정보를 추출하여 단말을 등록하고 REG-REQ 메시지에 대한 등록 응답(Registration Response, REG-RSP)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150).
단말(100)이 기지국(200)으로부터 REG-RSP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등록 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단말(100)은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기지국(200)은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 DSA-REQ)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트래픽 연결 설정이 시작된다(S152).
단말(100)은 DSA-REQ 메시지에 대한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Dynamic Service Addition-Response, DSA-RSP)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을 수행한다(S124~S160). DSA-RSP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은 앞서 SBC-REQ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다음,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상향링크 맵(UL MAP)을 통해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DSA-RSP 메시지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162). 기지국(200)은 DSA-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동적 서비스 추가 확인(Dynamic Service Addition-Acknowledge, DSA-ACK)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164).
단말(100)이 기지국(200)으로부터 DSA-ACK 메시지를 수신하고 나면, 단말(100)은 기지국(20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한편, 단말(100)의 운용 계획이 명확하게 설계되어 있는 시스템에서는 기지국(200)과 단말(100)이 서로의 기본 제공 능력을 공유하고 있으며, 기지국(200)에 가입될 단말(100) 또한 정해져 있다. 따라서, 단말(100)이 네트워크 진입 시 기본 능력 협상 과정과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무의미하므로, 단말(100)의 네트워크 진입 시 기본 능력 협상 과정과 등록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런데, 기본 능력 협상 과정과 등록 과정이 생략되면, 기지국(200)은 단말(100)이 RNG-RSP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초기 레인징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어서 DSA-REQ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알 수가 없다.
아래에서는 단말(100)의 네트워크 진입 시 기본 능력 협상 과정과 등록 과정이 생략될 경우에 기지국(200)에서 DSA-REQ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100)은 도 1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지국(200)과 하향링크 채널 탐색 및 동기 확립 과정과 초기 레인징 과정을 수행한다(S202~S224).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면(S224), 다음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a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과 달리 초기 레인징 과정 이후에 기본 능력 협상 과정과 등록 과정을 생략하고,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은 먼저 기지국(200)이 단말(100)로 DSA-REQ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시작된다. 이때, 기지국(200)은 단말(100)이 RNG-RSP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100)이 RNG-RSP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레인징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음을 기지국(200)에서 알 수 있도록, 단말(100)은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고 나면(S224), 레인징 성공을 기지국(200)으로 알리는 과정을 수행한다(S226~S230).
먼저, 단말(100)은 레인징 성공을 알리기 위해 기지국(200)으로 대역폭 요청을 위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를 전송한다(S226). 기지국(200)은 상향링크 맵(UL MAP)의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대역폭 요청 헤더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100)로 전송한다(S228). 그러면, 단말(100)은 상향링크 맵(UL MAP)의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할당된 자원으로 대역폭 요청 헤더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230). 이때, 기지국(200)은 대역폭 요청 헤더를 수신하면, 단말(100)이 RNG-RSP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레인징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대역폭 요청 헤더는 자원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100)의 레인징 성공을 알리기 위해 대역폭 요청 헤더가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대역폭을 요청하기 위한 대역폭 요청 헤더와의 구분을 위해, 네트워크 진입 절차 시에 레인징 성공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대역폭 요청 헤더에는 대역폭 필드에 "0 바이트"를 설정하여 전송한다. 기지국(200)은 대역폭 요청 헤더의 대역폭 필드에 "0 바이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100)이 RNG-RSP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레인징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으로 판단한다.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대역폭 필드에 "0 바이트"가 설정되어 있는 대역폭 요청 헤더를 수신하면(S230), DSA-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100)과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시작한다(S232). 이후, 단말(100)과 기지국(200)은 도 1b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S234~S244)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100)은 초기 레인징 과정에서 코드 기반 레인징을 위한 CDMA 코드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308).
기지국(200)은 초기 레인징을 위한 CDMA 코드를 수신함으로써(S308), 단말(100)이 초기 레인징 과정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RNG-REQ 메시지는 가변적인 요소가 적기 때문에 모든 필드를 추가하더라도 그 크기가 작다. 따라서, 기지국(200)은 코드 기반 레인징에서 RNG-RSP 메시지를 전송하고 난 후에(S314), 상향링크 맵(UL MAP)의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RNG-REQ 메시지의 최대 크기(예를 들면, 35 슬롯)의 자원을 할당하여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316). 이와 같이 하면, RNG-REQ 메시지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S318~S310)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즉,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상향링크 맵(UL MAP)의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를 수신하면, 상향링크 맵(UL MAP)의 CDMA 할당 정보 요소(CDMA Allocation IE)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RNG-REQ 메시지를 곧바로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322).
이렇게 하면, 단말(100)의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도 2의 제1 실시 예에 비하여 더 간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서 기지국(200)은 단말(100)이 레인징 성공을 알리기 위해 전송한 대역폭 요청 헤더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지국(200)에서 DSA-REQ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지국(200)은 단말(100)로 코드 기반 레인징에서 RNG-RSP 메시지를 전송한 후(S424), 타이머를 설정한다(S426). 이때, 타이머는 단말이 RNG-RSP를 수신하고 대역폭 요청 헤더를 송신하여 기지국에서 이를 수신하기까지 충분한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단말(100)로부터 대역폭 요청 헤더뿐만 아니라 그 어떠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기지국(200)은 DSA-REQ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하여 단말(100)과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시작한다(S428). 즉, 단말(100)은 설정된 시간 동안 기지국(200)으로부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초기 레인징부터 다시 시작한다. 따라서, 기지국(200)은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단말(100)로부터 그 어떠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기지국(200)은 DSA-REQ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100)과 기지국(200)은 도 1b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S430~S44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요청 헤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대역폭 요청 헤더는 헤더 타입(HT) 필드, 암호화 제어(EC) 필드, 타입(Type) 필드, 대역폭 요청 최상위 비트(BR MSB) 필드, 대역폭 요청 최하위 비트(BR LSB) 필드, 연결 식별자 최상위 비트(CID MSB) 필드, 연결 식별자 최하위 비트(CID LSB) 필드 및 헤더 검사 시퀀스(HCS) 필드를 포함한다.
헤더 타입(HT) 필드는 일반(Generic)과 대역 요청 헤더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헤더의 경우 0으로 설정되고 대역 요청 헤더의 경우 1로 설정된다.
암호화 제어(EC) 필드는 대역폭 요청 헤더의 경우 항상 0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0"은 페이로드에 대해서 암호화를 하지 않거나 페이로드가 없음을 나타낸다. 즉, 대역폭 요청 헤더는 페이로드가 없으므로, 암호화 제어(EC) 필드가 0으로 설정된다.
헤더 검사 시퀀스(HCS) 필드는 대역폭 요청 헤더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필드로,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서 나온 값이 삽입된다.
타입(Type) 필드는 대역폭 요청 헤더의 타입을 나타내며, Incremental과 Aggregate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역폭 요청 최상위 비트(BR MSB) 필드 및 대역폭 요청 최하위 비트(BR LSB) 필드에는 기본 연결 식별자로 구분된 단말에게 할당할 자원 크기가 표시된다. 연결 식별자 최상위 비트(CID MSB) 필드 및 연결 식별자 최하위 비트(CID LSB) 필드에는 단말의 기본 연결 식별자가 표시된다.
이때, 네트워크 진입 시, 단말(100)이 대역폭 요청 최상위 비트(BR MSB) 필드 및 대역폭 요청 최하위 비트(BR LSB) 필드를 0으로 설정하여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면, 기지국(200)은 이 대역폭 요청 헤더를 수신함으로써, 단말(100)이 성공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방법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에 대한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응답(Ranging Response)을 수신하여서 초기 레인징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초기 레인징의 완료를 상기 기지국으로 알리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을 수신하여 트래픽 연결 설정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에 대한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을 통해서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알리는 단계는,
    대역폭 필드를 0으로 설정하여 대역폭 요청 헤더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를 전송하기 전에, 대역폭 요청을 기지국에 알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 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사용할 자원을 통해서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할당 받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 전에 코드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대한 코드 기반의 레인징 응답을 수신하여서 코드 기반의 레인징을 완료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코드 기반의 레인징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사용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레인징을 완료한 후에 기본 능력 협상 과정 및 등록 과정 없이 트래픽 연결 설정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는,
    대역폭 요청 헤더의 대역폭 필드에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자원 크기의 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상기 단말로부터의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에 대한 레인징 응답(Ranging Response)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초기 레인징의 성공적인 완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을 전송하여 트래픽 연결 설정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에 대한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에 사용할 자원 크기를 대역폭 필드에 설정한 대역폭 요청 헤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크기의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할당한 자원을 통해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대역폭 요청 헤더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의 대역폭 필드가 0인 경우에 상기 단말이 초기 레인징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의 전송에 사용할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레인징 응답을 전송한 후에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대역폭 요청 헤더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단말이 초기 레인징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13. 제10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코드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대한 코드 기반의 레인징 응답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코드 기반의 레인징 응답의 상태 필드가 성공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메시지 기반의 레인징 요청에 사용할 자원을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14. 제9항에서,
    상기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초기 레인징의 성공적인 완료를 확인한 후 기본 능력 협상 과정 및 등록 과정 없이 상기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15. 삭제
KR1020110064857A 2011-06-30 2011-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KR101736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857A KR101736968B1 (ko) 2011-06-30 2011-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857A KR101736968B1 (ko) 2011-06-30 2011-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53A KR20130007253A (ko) 2013-01-18
KR101736968B1 true KR101736968B1 (ko) 2017-05-17

Family

ID=4783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857A KR101736968B1 (ko) 2011-06-30 2011-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9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53A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14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ging proces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872312B2 (en) Conditional parallel execution of access stratum (AS) and non-access stratum (NAS) signaling
EP2187684B1 (en) Message exchange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16944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ユーザ端末
EP23758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operative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8153271A1 (en) Method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KR20070037856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레인징 메시지 중계 장치 및 방법
JP2013509079A (ja) 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用途に応じて効率的にレンジング手順を行う方法
JP2019537886A (ja) 方法、ユーザ機器装置、プロセッサ、及び基地局
KR20070110180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초기 망 등록을위한 절차 수행 방법
WO2010087105A1 (ja) 接続処理方法、及びリレー局装置
JP7138684B2 (ja) ユーザ機器装置が基地局からのmacメッセージを要求するための方法
KR20060097496A (ko)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과 기지국 및 그 방법
EP249481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quiring uplink resources for transmitting ranging request message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1055437A1 (ja) 基地局装置、無線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20014355A1 (en) Method of reliable handover signaling procedur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7369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JP2017200223A (ja) ユーザ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50079847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레인징 시스템 및방법
JP2010098723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方法
KR10096863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 및방법
WO2008104111A1 (fr) Procédé et système pour un réseau de relais uni, rs et ms
KR2010013883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변조 및 부호화 기법 결정 방법
KR1012502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및 시스템
RU2456776C2 (ru) Способ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беспроводной терминал и беспроводная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