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73B1 -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673B1
KR101735673B1 KR1020100133035A KR20100133035A KR101735673B1 KR 101735673 B1 KR101735673 B1 KR 101735673B1 KR 1020100133035 A KR1020100133035 A KR 1020100133035A KR 20100133035 A KR20100133035 A KR 20100133035A KR 101735673 B1 KR101735673 B1 KR 10173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473A (ko
Inventor
이정호
김방건
이해형
임동훈
이지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상에 라인 타입으로 배치된 발광소자 어레이와,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의 라인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모듈; 및 상기 발광소자 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가이드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 소자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과 상이한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BACKLIGHT UNIT}
실시예는 발광소자가 배치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의 3-5족 또는 2-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Ligi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는 박막 성장 기술 및 소자 재료의 개발로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등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색을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백색 광선도 구현이 가능하며,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광 통신 수단의 송신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냉음극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을 대체하는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자동차 헤드 라이트 및 신호등에까지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표시장치의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때, 표시장치 내에서 빛이 고르게 분포되어 휘도를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는 조명 시스템의 광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실시예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상에 라인 타입으로 배치된 발광소자 어레이와,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의 라인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모듈; 및 상기 발광소자 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가이드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 소자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과 상이한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저항 소자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보다 조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 소자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상기 저항 소자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 소자로부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이웃한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과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 소자로부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이웃한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보다 조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양각 또는 음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에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저항 소자는 상기 커넥터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 상에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항 소자는 상기 고정 홈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 모듈은 상기 도광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발광소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발광소자 모듈에서 상기 저항 소자의 위치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휘도 분포가 고르게 되어, 광특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조명 시스템의 발광소자 모듈과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발광소자 모듈과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6의 단면도들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발광소자 모듈과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도광판의 패턴 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발광소자 모듈(130)과, 바텀 커버(110) 상의 반사판(115)과, 상기 반사판(115)의 위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 모듈(130)에서 발산되는 빛을 표시장치 전방으로 안내하는 도광판(120)과, 상기 도광판(120)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굴절과 산란을 통하여 광 투사각을 최대로 넓히는 확산시트(140)와, 상기 확산시트(14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프리즘시트(150)와 제2 프리즘시트(160)와, 상기 제2 프리즘시트(16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20)과 확산시트(140)와 제1 프리즘시트(150)와 제2 프리즘시트(160)를 바텀 커버(110)에 고정하는 몰드 프레임(170)과, 상기 몰드 프레임(170)의 전방에 배치되는 패널(180)과 상기 패널(180)의 전방에서 상기 패널(180)을 백라이트에 고정하는 탑 커버(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광소자 모듈(130)은 회로기판(133) 상에 발광소자(136) 어레이가 배열되며,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바텀 커버(110)는 표시 장치(100) 내의 구성 요소들을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115)은 본 도면처럼 별도의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도광판(120)의 후면이나, 상기 바텀 커버(110)의 전면에 반사도가 높은 물질로 코팅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반사판(115)은 반사율이 높고 초박형으로 사용 가능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120)은 발광소자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산란시켜 그 빛이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도광판(120)은 반사판(115), 확산시트(140), 제1 프리즘시트(150) 또는 제2 프리즘시트(160) 등의 다른 광학시트에 비하여 중량이 커서 바텀 커버(110)에 고정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상기 발광소자 모듈(13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부피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발광소자 모듈(130) 내의 발광소자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한다.
상기 도광판(120) 상에 확산시트(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140)는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계열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 등의 조명 시스템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굴절과 산란을 통하여 광 투사각을 최대로 넓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시트(140)는 광확산제를 포함하는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의 광출사면(제1 프리즘 시트 방향)과 광입사면(반사시트 방향)에 형성되며 광확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1 레이어와 광확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층은 메타크릴산-스틸렌(Methacrylic acid-stylene) 공중합체와 메타크릴산 메틸-스틸렌(Methacrylic acid methyl-stylene) 공중합체가 혼합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마이크로 미터의 평균입경을 가진 실록산(siloxane)계 광확산제 0.1~10중량부, 1~10 마이크로 미터의 평균입경을 가진 아크릴(acrylic)계 광확산제 0.1~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는 메타크릴산 메틸-스틸렌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 0.01 ~ 1 중량부, 대전 방지제 0.001 ~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140)에서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100~10000 마이크로 미터이고, 상기 각각의 레이어의 두께는 10~1000 마이크로 미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시트(140) 상에는 제1 프리즘시트(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리즘 시트(150)는 지지필름의 일면에, 투광성이면서 탄성을 갖는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데, 상기 중합체는 복수 개의 입체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프리즘층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와 골이 반복적으로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리즘 시트(160)에서 지지필름 일면의 마루와 골의 방향은, 상기 제1 프리즘 시트(150) 내의 지지필름 일면의 마루와 골의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이는 도광판(120) 등으로부터 전달된 빛을 상기 패널(180)의 전방향으로 고르게 분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각의 프리즘 시트(150, 160) 상에는 보호 시트가 구비될 수 있는데, 지지필름의 양면에 광확산성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보호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층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스티렌부타디엔(styrene-butadienc)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almeth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엘라스토머(Polyethyleneterephthalate elastomer),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폴리실리콘(Poly silicon)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시트(140)와 제1 프리즘시트(150)과 제2 프리즘시트(160)가 광학시트를 이루는데, 상기 광학시트는 다른 조합 예를 들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거나 확산시트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조합 또는 하나의 프리즘 시트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프리즘시트(16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20)과 확산시트(140)와 제1 프리즘시트(150)와 제2 프리즘시트(160)를 바텀 커버(1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와 세로 각각 2개의 부재(171, 172, 173, 174)로 구분되거나 전체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120)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패널(18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이 배치될 수 있는데, 액정 표시 패널 외에 광원을 필요로 하는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180)은, 유리 바디 사이에 액정이 위치하고 빛의 편광성을 이용하기 위해 편광판을 양 유리바디에 올린 상태로 되어있다. 여기서, 액정은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는데, 액체처럼 유동성을 갖는 유기분자인 액정이 결정처럼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분자 배열이 외부 전계에 의해 변화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패널은,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으로서, 각 화소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치로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180)의 전면에는 컬러 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패널(180)에서 투사된 빛을, 각각의 화소마다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빛만을 투과하므로 화상을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이다.
발광소자 모듈(13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회로기판(133)과, 상기 회로기판(133)의 표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3)의 후면에는 커넥터(137)가 마련되어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발광소자(136)에 전류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3) 상에는 고정 홈(131, 1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131, 132)들에는 고정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발광소자 모듈(130)을 표시장치 내의 바텀 샤시(110) 등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홈(131, 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33)을 관통하거나 회로기판(133)의 가장자리에 반구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발광소자 모듈에서는 회로기판(133) 상에 배치되는 발광소자(136)가 상기 커넥터(137)나 고정 홈(131, 132)들이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힘들어서, 발광소자(136)가 불규칙하게 배치된다. 또한, 발광소자(136)들의 불규칙한 배열은 각각의 발광소자(136)에 공급되는 전류의 불균일을 초래하여,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빛의 불균일을 초래할 수 있다.
도 3은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회로기판(133)은 일반 PCB, 또는 메탈코어 PCB, 플렉시블 PCB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3)의 후면에는 상기 커넥터(137)가 마련되어 상기 발광소자(136)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137)는 상기 회로기판(133)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3)에는 2개의 고정 홈(131)이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133)을 바텀 커버(110) 등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33)에는 발광소자(136) 어레이가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총 25개의 발광소자(136)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홈(131)이 형성된 위치에는 발광소자(136)가 배치되지 않고 저항 소자(135)가 배치되어, 회로기판(133)에 2개의 저항 소자(135)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고정 홈(131)으로 인하여 발광소자(133)를 규칙적으로 배열하기 어려울 때 가능하며, 반드시 고정 홈(131)이 형성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다른 이유로 발광소자(136)의 규칙적인 배열이 어려울 때 저항 소자(135)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저항 소자(135)와 25개의 발광소자(136)가 함께 규칙적인 배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133)의 중앙 영역에 9개의 발광소자(136)가 배치되고, 상기 9개의 발광소자(133)의 가장 자리에 2개의 저항 소자(135)가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저항 소자(135)의 외곽에 각각 8개의 발광소자(133)가 배치된다.
도 4에서는 총 24개의 발광소자(136)가 회로기판(133) 상에 배치되며, 커넥터(137)에 대응하는 영역에 저항 소자(135)가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8개의 발광소자(133) 사이에 저항 소자(135)가 배치되는데, 저항 소자(135)는 고정 홈(131)에 대응하여 형성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저항 소자(135)와 24개의 발광소자(136)가 함께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고 있다.
상술한 도 3 및 도 4에서 발광소자(136)와 저항 소자(135)를 소정 개수로 도시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소자(136)의 불규칙한 배열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저항 소자(135)를 몇 개이든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조명 시스템의 발광소자 모듈과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표시장치(100)에서 발광소자 모듈(130)과 도광판(120)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광판(120)은 발광소자(136)에 근접할 수 있으나 열팽창을 고려하여 1 밀리미터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20)에는 발광소자(136)에서 방출된 빛이 입사되어 가이드된다.
도광판(120) 내에서 빛의 고른 분포를 위하여 도광판(120)의 광 입사면과 광출사면에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패턴이 조밀할수록 빛이 더 잘 전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120)의 패턴은 상기 발광소자(136)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더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발광소자 모듈과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회로기판(133) 상에 발광소자(136)과 저항 소자(135)가 함께 배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발광소자(136)의 양 끝에 각 1개의 저항 소자(135)가 배치되고, 상기 저항 소자(135)의 외곽으로 각각 8개의 발광소자(136)가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135)의 전면에는 도광판(120)이 배치되는데, 상기 도광판(120)의 패턴은 상기 저항 소자(135)의 인근 영역에서 다른 영역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회로기판(133) 상의 발광소자(136)에 전류를 고루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 영역에 저항 소자(135)를 배치하였는데, 상기 저항 소자(135)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빛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저항 소자(135)에 대응하는 영역의 도광판(120)에는 빛이 입사되는 양이 적다.
따라서, 도광판(120) 내에서 빛의 고른 분포를 위하여 상기 저항 소자(135)와 대응되는 영역의 도광판(120)의 표면에 패턴을 다른 영역보다 조밀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영역이라 함은 발광소자(136) 또는 저항 소자(135)가 배치되는 회로기판(133)과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120)의 영역을 뜻하고, 상기 패턴의 조밀 영역은 아래와 같이 저항 소자(135) 및 이와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인접 영역의 발광소자(136)와 대응하는 영역의 도광판(120)에도 해당된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에서 발광소자(136)로부터 멀어질수록 도광판(120)의 표면의 패턴이 더 조밀하며, 저항 소자(135)와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도광판(120) 표면의 패턴이 다른 영역보다 더 조밀하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20) 표면의 패턴이 주위보다 조밀한 영역은 저항 소자(135)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2번째에 인접한 발광소자(136)에 대응하는 도광판(120)의 영역에 한정된다. 즉, 저항 소자(135)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2번째에 인접한 발광소자(136)에 대응하는 도광판(120)의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어두울 수 있으므로, 도광판(120)의 표면의 패턴을 조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이 밀하게 형성된 영역 내에서도, 발광소자(136)로부터 멀어질수록 도광판(120)의 표면의 패턴이 더 조밀해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단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20)은 발광소자(136)로부터 멀어질수록 패턴이 조밀해지고, 상기 패턴은 양각(도 8) 또는 음각(도 9)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3) 상에 저항 소자(135)가 배치되는 영역 및 인근 영역에서 상기 패턴이 더 밀하게 형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패턴이 밀해지는 영역은 도 8 및 도 9에서 상부에 표시된 광출사부 외에 발광소자(136)와 마주보는 광입사면의 경우도 동일하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발광소자 모듈과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2-에지(edge) 방식으로 광원 모듈(13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광판(120)은 각각의 광원 모듈(130) 내의 발광소자(136)로부터 멀어질수록 패턴이 조밀해지며, 도광판(120)의 중앙 영역에서 패턴이 가장 조밀하다.
상술한 저항 소자(135)의 배치는 각각의 발광소자(136)에 전류를 고루 공급하고 있으며, 저항 소자(135)의 인근 영역에서의 도광판(120)의 패턴의 조밀화는 발광소자(136)가 배치되지 않은 저항 소자(135)의 인근 영역에서도 도광판(120) 내에서 빛의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도광판의 패턴 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b)는 저항 소자가 배치된 영역 및 인근 영역 즉, 저항 소자로부터 2번째에 위치한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도광판 영역의 패턴 밀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광원(발광소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도광판의 패턴이 점차 조밀해지고 있다. 단, 광원과 인접한 영역에서는 패턴이 급히 조밀해지나, 광원과의 거리가 먼 경우 패턴의 증가가 둔해지고 있다. 즉,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에서는 도광판 내에서 빛이 전달되어 빛의 불균일이 어느 정도 해소되기 때문이다.
(a)는 (b)와 다른 영역에서의 도광판의 패턴의 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광원과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도광판(120)의 패턴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광원 모듈에서 발광소자 패키지와 저항 소자가 함께 배열된 조명 시스템을 기재하였으며, 상기 조명 시스템은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 램프, 가로등과 같은 조명 장치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표시장치 110 : 바텀 커버
115 : 반사판 120 : 도광판
130 : 발광소자 모듈 131, 132: 삽입홈
133 : 회로기판 135 : 저항 소자
136 : 발광소자 137 : 커넥터
140 : 확산시트 150, 160 : 제 1,2 프리즘 시트
170 : 몰드 프레임 180 : 패널
190 : 탑 커버

Claims (9)

  1.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상에 라인 타입으로 배치된 발광소자 어레이와,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의 라인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모듈; 및
    상기 발광소자 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가이드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 소자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과 상이한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소자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보다 조밀한 조명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소자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상기 저항 소자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조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소자로부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이웃한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과 상이한 조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소자로부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이웃한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은,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의 도광판의 패턴보다 조밀한 조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패턴은 양각 또는 음각인 조명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저항 소자는 상기 커넥터와 대응하여 형성된 조명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상에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항 소자는 상기 고정 홈과 대응하여 형성된 조명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모듈은 상기 도광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발광소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발광소자 모듈에서 상기 저항 소자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는 조명 시스템.
KR1020100133035A 2010-12-23 2010-12-23 조명 시스템 KR10173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035A KR101735673B1 (ko) 2010-12-23 2010-12-23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035A KR101735673B1 (ko) 2010-12-23 2010-12-23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473A KR20120071473A (ko) 2012-07-03
KR101735673B1 true KR101735673B1 (ko) 2017-05-15

Family

ID=4670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035A KR101735673B1 (ko) 2010-12-23 2010-12-23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384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멀티 레이어 등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874A (ja) 2007-02-21 2008-09-04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JP2010086752A (ja) 2008-09-30 2010-04-15 Sanyo Electric Co Ltd Led照明用のled光源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led照明装置
JP2010135297A (ja) 2008-11-04 2010-06-17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CN102278673A (zh) 2005-11-16 2011-12-14 乐金显示有限公司 背光单元及采用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8673A (zh) 2005-11-16 2011-12-14 乐金显示有限公司 背光单元及采用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JP2008204874A (ja) 2007-02-21 2008-09-04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JP2010086752A (ja) 2008-09-30 2010-04-15 Sanyo Electric Co Ltd Led照明用のled光源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led照明装置
JP2010135297A (ja) 2008-11-04 2010-06-17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473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9381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KR101883839B1 (ko) 발광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5936824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02664B1 (ko) 면광원 장치
KR101769045B1 (ko) 표시 장치
GB2425392A (en) Light-emitting apparatus
KR10194814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799449B1 (ko) 발광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20190021522A (ko) 도광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CN101555997A (zh) Led光源装置
KR20090026671A (ko) 백라이트용 점광원 확산 렌즈
KR2008007234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735673B1 (ko) 조명 시스템
KR101804407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1861631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20120070825A (ko) 발광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245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26901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97911B1 (ko) 발광 패키지와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850428B1 (ko) 광원 모듈,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11020544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76232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20124186A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894349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101797596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