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390B1 -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390B1
KR101735390B1 KR1020100118538A KR20100118538A KR101735390B1 KR 101735390 B1 KR101735390 B1 KR 101735390B1 KR 1020100118538 A KR1020100118538 A KR 1020100118538A KR 20100118538 A KR20100118538 A KR 20100118538A KR 101735390 B1 KR101735390 B1 KR 101735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idth
width modulation
touch
capacitance variation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009A (ko
Inventor
배상혁
손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3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하게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준 터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변조하여, 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될 때 상기 터치패널에 형성된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주파수변환부로부터의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에 차례로 인가될 때 상기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변화량검출부;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범위판단부; 상기 범위판단부로부터의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선택부;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판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IN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를 판단함으로써 정확하게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고정된 주파수 대역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한다. 이로 인해,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각종 부품들 및 외부 기기들로부터의 노이즈에 의해 이 펄스폭변조신호가 왜곡될 경우 정확하게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실제로 터치가 가해졌을 때 이를 터치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또는 터치가 가해지지 않았는데도 이를 터치로 오인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 노이즈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를 판단함으로써 정확하게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기준 터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변조하여, 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될 때 상기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주파수변환부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이 상기 터치패널에 차례로 인가될 때 상기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변화량검출부; 상기 변화량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에 관한 정보를 공급받아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과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범위판단부; 상기 범위판단부로부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에 관한 정보를 공급받아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선택하는 신호선택부; 및, 상기 신호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판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다수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변조하여, 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될 때 상기 터치패널에 형성된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주파수변환부로부터의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에 차례로 인가될 때 상기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변화량검출부; 상기 변화량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변화량에 관한 정보를 공급받아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과 각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변화량검출부로부터의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갖는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범위판단부; 상기 범위판단부로부터의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및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선택부;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판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은,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터치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터치패널에 형성된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A단계;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준비하는 B단계; 상기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를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C단계;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 및 상기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발생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D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E단계;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F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D단계는,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 및 상기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검출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과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은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변조함으로써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은,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터치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터치패널에 형성된 다수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A단계;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준비하는 B단계; 상기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를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C단계;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 및 상기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검출된 각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D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갖는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E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및 상기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F단계;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G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외부 노이즈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를 판단함으로써 정확하게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과 노이즈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TPN),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 주파수변환부(FMT), 변화량검출부(CRD), 범위판단부(RGD), 신호선택부(SS), 터치판단부(TCD) 및 저장부(MEM)를 포함한다.
터치패널(TPN)은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터치감지센서들을 포함한다. 도 1에는 이들 터치감지센서들 중 어느 하나가 나타나 있는 바, 이 도 1에 도시된 터치감지센서를 앞으로 기준 터치감지센서로 부르기로 한다. 이 기준 터치감지센서는 터치패널(TPN)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는 기준 펄스폭변조신호(Pulse Width Modulation Signal)를 생성한다.
주파수변환부(FMT)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한다. 이때, 이 주파수변환부(FMT)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로부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공급받고, 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의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한다. 이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 각각은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이 주파수변환부(FMT)는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up-side hopping 또는 down-side hopping 방식을 통해 변조함으로써 상술된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한다.
변화량검출부(CRD)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TPN)에 인가될 때 상기 터치패널(TPN)에 형성된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는 터치패널(TPN)의 기준 터치감지센서에 공급되는데, 이때 이 기준 터치감지센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한다. 이 변화량검출부(CRD)는 이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또한, 이 변화량검출부(CRD)는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른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즉,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는 순차적으로 기준 터치감지센서에 공급되며, 이때 변화량검출부(CRD)는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공급될 때 이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변화량검출부(CRD)로부터 검출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은 저장부(MEM)에 저장된다.
범위판단부(RGD)는 저장부(MEM)에 저장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과 미리 설정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비교한다. 즉, 이 범위판단부(RGD)는 이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이 범위판단부(RGD)는 상술된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떠한 펄스폭변조신호들이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내에 들도록 하는지를 판단한다.
신호선택부(SS)는 범위판단부(RGD)로부터의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게 만드는 펄스폭변조신호들은 다수 존재할 수 있는 바, 이 신호선택부(SS)는 이들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은 모두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은 신호들이다. 즉, 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각각은 모두 외부 노이즈와 서로 다른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한편,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지 않는 펄스폭변조신호들은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은 신호들이다. 즉, 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지 않는 펄스폭변조신호들 각각은 모두 외부 노이즈와 중첩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갖는다.
터치판단부(TCD)는 상기 신호선택부(SS)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터치패널(TPN)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은, 즉 외부 노이즈와 다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갖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터치를 판단하므로 정확하게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과 노이즈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는 하나의 예로서 6개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6개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은 하나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발생된 것이다.
노이즈는 LCM(Liquid Crystal Module) 관련 노이즈(NS1) 및 Set 관련 노이즈(NS2)를 포함할 수 있다. LCM 관련 노이즈(NS1)의 주파수 대역은 제 2 변조 펄스폭변조신호(MPWM2)의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며, Set 관련 노이즈(NS2)의 주파수 대역은 제 5 변조 펄스폭변조신호(MPWM5)의 주파수 대역과 중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노이즈와 주파수 대역이 겹치는 두 개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MPWM2, MPWM5)을 제외한 나머지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MPWM1, MPWM3, MPWM4, MPWM6)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터치패널(TPN)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의 주파수 대역도 상술된 노이즈의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지 않으므로, 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터치패널(TPN)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S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터치패널(TPN)에 인가하여 상기 터치패널(TPN)에 형성된 기준 터치감지센서(RTS)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이어서,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S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를 터치패널(TPN)에 인가하여 기준 터치감지센서(RTS)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이어서, S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 및 상기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발생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S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후, S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터치패널(TPN)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TPN),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 주파수변환부(FMT), 변화량검출부(CRD), 범위판단부(RGD), 신호선택부(SS), 터치판단부(TCD) 및 저장부(MEM)를 포함한다.
터치패널(TPN)은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터치감지센서들을 포함한다. 도 4에는 이들 터치감지센서들 중 5개의 터치감지센서들(RTS1 내지 RTS5)이 나타나 있는 바, 이 도 4에 도시된 5개의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을 앞으로 기준 터치감지센서로 부르기로 한다. 이 기준 터치감지센서는 터치패널(TPN)의 중심부 및 네 모서리에 위치한다. 이 기준 터치센서의 수는 5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적거나 또는 더 많게 설정할 수도 있다.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는 기준 펄스폭변조신호(Pulse Width Modulation Signal)를 생성한다.
주파수변환부(FMT)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한다. 이때, 이 주파수변환부(FMT)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로부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공급받고, 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의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한다. 이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 각각은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이 주파수변환부(FMT)는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up-side hopping 또는 down-side hopping 방식을 통해 변조함으로써 상술된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한다.
변화량검출부(CRD)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TPN)에 인가될 때 상기 터치패널(TPN)에 형성된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RTS1 내지 RTS5)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PMG)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는 터치패널(TPN)의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RTS1 내지 RTS5)에 공급되는데, 이때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RTS1 내지 RTS5)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한다. 이 변화량검출부(CRD)는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RTS1 내지 RTS5)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또한, 이 변화량검출부(CRD)는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른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RTS1 내지 RTS5)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즉,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는 순차적으로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RTS1 내지 RTS5)에 공급되며, 이때 변화량검출부(CRD)는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공급될 때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RTS1 내지 RTS5)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5개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이 존재한다면, 먼저 제 1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5개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에 공급되며, 이후 제 2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5개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에 공급되며, 이어서 제 3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5개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에 공급되며, 다음으로, 제 4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5개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에 공급되며, 마지막으로 제 5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5개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당 5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검출된다.
변화량검출부(CRD)로부터 검출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은 저장부(MEM)에 저장된다.
범위판단부(RGD)는 저장부(MEM)에 저장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과 미리 설정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비교한다. 즉, 이 범위판단부(RGD)는 이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이 범위판단부(RGD)는 상술된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떠한 펄스폭변조신호들이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내에 들도록 하는지를 판단한다.
이후, 이 범위판단부(RGD)는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갖는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1개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5개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또한, 5개의 기준 터치센서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그리고 기준 수량의 범위가 3 내지 5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 1개의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고, 제 1 변조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 2개의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고, 제 2 변조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 3개의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고, 제 3 변조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 4개의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고, 제 4 변조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 5개의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고, 그리고 제 5 변조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 어떠한 기준 감지터치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도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 2, 제 3 및 제 4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만이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은 신호들로 판정될 수 있다.
신호선택부(SS)는 범위판단부(RGD)로부터의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및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게 만들고, 또한 이러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나타내는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의 수가 기준 수량 범위에 위치하게 만드는 펄스폭변조신호들은 다수 존재할 수 있는 바, 이 신호선택부(SS)는 이들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및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은 모두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은 신호들이다. 즉, 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및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각각은 모두 외부 노이즈와 서로 다른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한편,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또는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지 않는 펄스폭변조신호들은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은 신호들이다. 즉, 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또는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지 않는 펄스폭변조신호들 각각은 모두 외부 노이즈와 중첩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갖는다.
터치판단부(TCD)는 상기 신호선택부(SS)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터치패널(TPN)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은, 즉 외부 노이즈와 다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를 갖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터치를 판단하므로 정확하게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S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터치패널(TPN)에 인가하여 상기 터치패널(TPN)에 형성된 다수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이어서,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S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를 터치패널(TPN)에 인가하여 상기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한다.
이후, S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 및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검출된 각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어서, S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갖는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S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및 상기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후, S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TPN)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PMG: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 FMT: 주파수변환부
CRD: 변화량검출부 TPN: 터치패널
RTS: 기준 터치감지센서 RGD: 범위판단부
SS: 신호선택부 TCD: 터치판단부
MEM: 저장부

Claims (7)

  1. 기준 터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변조하여, 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될 때 상기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주파수변환부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이 상기 터치패널에 차례로 인가될 때 상기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변화량검출부;
    상기 변화량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에 관한 정보를 공급받아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과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범위판단부;
    상기 범위판단부로부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에 관한 정보를 공급받아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선택하는 신호선택부; 및,상기 신호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판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2. 삭제
  3. 다수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변조하여, 이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생성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생성부로부터의 기준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될 때 상기 터치패널에 형성된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주파수변환부로부터의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에 차례로 인가될 때 상기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변화량검출부;
    상기 변화량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변화량에 관한 정보를 공급받아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과 각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갖는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범위판단부;
    상기 범위판단부로부터의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및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선택부;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판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4.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터치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터치패널에 형성된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A단계;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준비하는 B단계;
    상기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를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C단계;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 및 상기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검출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과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발생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D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E단계;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F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5. 삭제
  6. 삭제
  7.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터치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터치패널에 형성된 다수의 기준 터치감지센서들 각각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A단계;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을 준비하는 B단계;
    상기 각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를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각 기준 터치감지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검출하는 C단계;
    상기 기준 펄스폭변조신호 및 상기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검출된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과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의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변조 펄스폭변조신호들에 의해서 검출된 각 커패시턴스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D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에 위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갖는 기준 터치감지센서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량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E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턴스 변화량 범위 및 상기 기준 수량 범위를 만족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F단계;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G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KR1020100118538A 2010-11-26 2010-11-26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KR10173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38A KR101735390B1 (ko) 2010-11-26 2010-11-26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38A KR101735390B1 (ko) 2010-11-26 2010-11-26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09A KR20120057009A (ko) 2012-06-05
KR101735390B1 true KR101735390B1 (ko) 2017-05-16

Family

ID=4660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538A KR101735390B1 (ko) 2010-11-26 2010-11-26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53B1 (ko) * 2014-07-09 2019-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EP3159777B1 (en) 2015-10-20 2024-05-29 LG Display Co., Ltd.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touch sensor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70953B1 (ko) 2016-01-04 2020-10-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853A (ja) * 2004-09-30 2006-04-20 Pentel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0953997B1 (ko) * 2009-04-01 2010-04-22 그린칩 주식회사 터치센서의 터치 판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853A (ja) * 2004-09-30 2006-04-20 Pentel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0953997B1 (ko) * 2009-04-01 2010-04-22 그린칩 주식회사 터치센서의 터치 판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09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8922B2 (ja) タッチ・センサにおけるノイズ低減
TWI617964B (zh) 電容式多點觸控系統及其控制方法
US103869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ultrasonic touch devices
US9552102B2 (en) Background noise measurement and frequency selection in touch panel sensor systems
US9619073B2 (en) Touch screen driver including out-of-phase driving signals simultaneously supplied to adjacent TX lines for reducing noise from 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107791B1 (ko) 복합형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스캔 방법
US20110242045A1 (en) Noise blocking in a capacitive touch device
KR101735390B1 (ko)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판단방법
US107327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transceiver system for touch detection
JP2011013996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のドライバ回路
US20150103039A1 (en) Touch sensing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US10936118B2 (en) Touch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
US7805277B2 (en) Step number measuring apparatus
US20110210938A1 (en) Capacitance Offset Compens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20150234521A1 (en) Clustered scan method of a capacitive touch device
US20150338993A1 (en) Method of Determining Touch Event in Touch Detection System
JP5863992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の容量測定装置
US10503326B2 (en) Display noise compensation in touch screen display using capacitive dividers
KR101074800B1 (ko) 광센싱 방식 터치 패널, 터치 위치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1086446B2 (en) Touch detection method, touch chip and electronic device
US7260481B1 (en) Vector detecting device and living-body complex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having the vector detecting device
US9501194B2 (en) Clustered scan method of capacitive touch device
KR20160044144A (ko) 표시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20140071056A (ko) 터치 센서를 갖는 전자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US9727198B2 (en) Sensing apparatus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input ty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