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341B1 -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ylopsis coreana - Google Patents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ylopsis corea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341B1
KR101735341B1 KR1020140069786A KR20140069786A KR101735341B1 KR 101735341 B1 KR101735341 B1 KR 101735341B1 KR 1020140069786 A KR1020140069786 A KR 1020140069786A KR 20140069786 A KR20140069786 A KR 20140069786A KR 101735341 B1 KR101735341 B1 KR 101735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hylococcus aureus
resistant staphylococcus
composition
methicillin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7929A (en
Inventor
조승식
방미애
배민석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13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9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3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82Staphylococcus
    • Y10S435/883Staphylococcus aure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 특히 항생제 내성 감염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히어리 추출물은 감염성 미생물,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세포 독성이 없고,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된 것이므로 부작용도 문제되지 아니하여 미생물 감염에 의한 질병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해 널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particularly, diseases caused by infection with an antibiotic-resistant infectious microorganism, which comprises a herb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particular, the herbal extract,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ectious microorganism, especiall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as well as being free from cytotoxicity and being derived from natural materials, so that it is not problematic in terms of side effects, so that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caused by microbial infection Can be widely used.

Description

히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YLOPSIS COREANA}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YLOPSIS COREANA [0002]

본 발명은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 heath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항생제란 통상적으로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것으로, 특히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상세하게는 세균이 세포벽이나 단백질 등을 합성하는 시스템을 저해시킴으로써 뛰어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로부터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항생제의 성분은 주로 곰팡이로부터 추출된 것이 주를 이루었으며, 오늘날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 등을 치료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Antibiotics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antimicrobial agents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substances which ha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in particular, agents that inhibit systems for synthesizing cell walls and proteins, it means. Antibiotics are predominantly extracted from molds and are used today to treat diseases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s.

가장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영국인 의사 알렉산더 플레밍이 1928년에 제조한 페니실린이다. 페니실린은 인류가 세균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조한 최초의 항생제였다. 페니실린 이후에 개발된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보다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인정되는 메티실린(methicillin)이 있다. 메티실린은 페니실린의 화학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제조한 것이다.The most common antibiotic is penicillin manufactured by the British physician Alexander Fleming in 1928. Penicillin was the first antibiotic manufactured by mankind to respond to bacteria in earnest. A representative antibiotic developed after penicillin is methicillin, which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penicillin. Methicillin was made by partially modifying the chemical structure of penicillin.

상기 메티실린은 베타-락탐계 항생제(beta-lactam class of antibiotics)로 분류되며, 상기 베타-락탐계 항생제는 페니실린-결합 단백질(penicillin-binding proteins, PBPs)와 결합을 형성한 후 이 단백질의 활성을 제거함으로써 약효를 발휘하는 것이다.The methicillin is classified as a beta-lactam class of antibiotics. The beta-lactam antibiotic binds to penicillin-binding proteins (PBPs) And thus the drug efficacy is exerted.

항생제내성세균이란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약효가 듣지 않는 세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페니실린의 약효가 전혀 듣지 않는 페니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이에 해당된다. 이 외에도, 1961년 최초로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그 후로 전세계적으로 주요 병원내 감염균이 되고 있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보고되었다. 상기 MRSA는 페니실린이나 메티실린의 항생제에도 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독특한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Antibiotic-resistant bacteria refer to bacteria that are resistant to certain antibiotics and that do not respond to antibiotics. For example, pen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hich has no effect on penicillin as described above, is applicable. In additi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 which has been reported to academia for the first time in 1961 and has become a major infectious disease in hospitals worldwide since then aureus , and MRSA) have been reported. The MRSA has been found to have a unique gene that is resistant to penicillin or methicillin antibiotics.

상기 MRSA는 주로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이 되지 아니하고 주로,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수술을 마친 환자에게 감염이 되나, 감염이 되는 경우에는 패혈증이나 폐렴을 일으켜 사망케 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It is reported that the MRSA is mainly infected to a healthy person, mainly to a patient having weak immunity or a patient who has undergone surgery, but in case of infection, it causes sepsis or pneumonia to die.

최근에는 건강한 사람들도 MRSA에 감염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 의학계나 ?공중보건학계는 MRSA와 같이 여러 항생제에도 약효가 듣지 않는 병원균(다약제 내성 병원균)에 의한 감염의 증대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84년에 알래스카 토착민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의 확산과 2000년 8월 그 주민들에게서 피부감염증이 확산된 경우를 들 수 있다.Recently, healthy people are increasingly infected with MRSA. The US medical community or public health academics are concerned about the increased infections caused by pathogens (multidrug resistant pathogens) that do not respond to many antibiotics such as MRSA. For example, the spread of Staphylococcus aureus in Alaska indigenous people in 1984 and the spread of skin infections in its residents in August 2000.

이는 MRSA가 종래에 알려진 것처럼 병원에서 환자로부터 감염되는 것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공공생활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2년 동안 경남지역의 어린이 40여명이 MRSA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감염증상인 포도상구균 열상 피부증후군을 치료받은 어린이들을 서울대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재검사한 결과 MRSA 감염으로 최종 확인되었으며, 감염 어린이들이 병원에 입원하거나 항생제를 복용한 적이 없었던 것으로 드러나, 그 지역사회의 주변환경으로부터 MRSA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This confirms that MRSA can be transmitted not only from the patient in the hospital, but also from public life in the community, as is conventionally known. In Korea, about 40 children in Gyeongnam area were reported to have been infected with MRSA during the last two years. Children who were treated for infectious staphylococcal cutaneous skin syndrome were re-exami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Diagnostic Medicine and were confirmed as MRSA infection. Have not been admitted to the hospital or have taken antibiotics, and are estimated to have been infected with MRSA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서울대병원 등 전국 10개 대학병원에 대한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결과 전년보다 항생제 내성률이 10%나 높아졌다고 발표하였으며, 혈액에서 검출된 황색포도상구균 중, MRSA의 비율이 2004년도 61.2%에 비해 10% 높게 나온 71.6%인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nd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10 university hospitals nationwide,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as 10%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 And the proportion of MRSA is reported to be 71.6%, which is 10% higher than 61.2% in 2004.

또한, 최근에는 천연물 특히, 식품으로 이용되어 오던 천연물 중에서 기존 다른 식물에 비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 특히,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화성을 가지는 천연 항생제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어, 해조류를 이용한 여러 약품 또는 항생제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natural antibiotic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trains has been increased as compared with other natural plants, especially natural products, which have been used as natural foods. Recently, various drugs or antibiotics using seaweed have been developed There is an active effort to do so.

10-0876922B10-0876922B 10-0729437B10-0729437B 10-2014-0009717A10-2014-0009717A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반 감염성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며, 특히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를 포함한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갖는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ommon infectious strai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herbal extract having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n antibiotic resistant strain including aureu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 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preferably be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having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n antimicrobial-resistant strain.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diseases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항균 활성, 바람직하게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cleaning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preferably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n antibiotic resistant strain, more preferably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의약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항균 효과, 구체적으로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 더욱 구체적으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ffective ingredient means an antimicrobial effect, specifically, an antimicrobial effect on an antibiotic resistant strain, more specifically, an antimicrobial effect on 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Quot;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specified,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mean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cause an allergic reaction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 dizziness, or the like, when administered to an animal, preferably a human, do.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투약이 쉬운 천연물질 중 감염 질환의 원인이 되는 감염성 균주, 특히 최근 의약의 오남용 등과 관련하여 더욱 문제의 심각성이 증가된 항생제 내성 균주, 구체적으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소재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히어리(Corylopsis coreana), 특히 히어리의 꽃 부위의 추출물의 경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을 포함한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며, 이러한 항균 활성을 히어리의 부위 뿐만 아니라 추출용매와 분획용매에 의해 효과를 달리하여, 다른 분획용매와 달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시에 현저하게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과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V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이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n antibiotic-resistant strain having an increased serious problem in relation to an infectious strain which is a causative agent of an infectious disease among the natural substances having a low side effect and easy to medicament, especially recently abuse of medicines and the like, specificall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and MRSA), the herbicide ( Corylopsis coreana ), especially extracts of flower part of the herring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including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se extracts is affected not only by the parts of the hair but also by the extraction solvent and fraction solvent , And it has a remarkably excellent antimicrobial effect upon fractionation of ethyl acetate unlike the other fraction solvents.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se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was confirm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VRSA),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히어리(Corylopsis coreana)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hieori (Corylopsis coreana )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having an antimicrobial activity.

상기 히어리 꽃 추출물은 히어리 꽃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다.The Hereke flower extract may be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 70% ethanolic aqueous solution of the herbal flower.

또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대장균(E. coli), 바실러스 균(Bacillus sp.), 마이크로코커스 균(Micrococcus sp.), 스테필로코코스 균(Staphylococcus sp.), 엔테로코커스 균(Enterococcus sp.), 살모넬라 균(Salmonella sp.), 클렙시엘라(Klebsiella sp.) 및 슈도모나스 균(Pseudomonas. sp)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be us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E. coli , Bacillus sp., Micrococcus sp., Staphylococcus sp., Enterococcus sp., Salmonella sp. bacteria (Salmonella sp.), when keulrep may be one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lla (Klebsiella sp.) and Pseudomonas bacteria (Pseudomonas. sp).

또한, 본 발명은 히어리(Corylopsis coreana)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which contains Coreana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은 폐렴, 폐화농증, 농흉 등의 호흡기감염증,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장염, 장관감염증, 난치성 욕창 또는 창상감염 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폐렴,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및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disease caused by the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spiratory infections such as pneumonia, pulmonary pyogenosis, empyema, sepsis, bacteremia, infective endocarditis, Intestinal infectious disease, intractable pressure ulcer or wound infection,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neumonia, sepsis, bacteremia, infective endocarditis, and enteritis.

또한, 본 발명은 히어리(Corylopsis coreana)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which comprise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which comprises coreana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cleaning composition.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의류용 세제, 식기 세척제, 식품 세정제 또는 가전제품 세척제일 수 있다.
The cleaning composition may be a detergent for clothes, a dishwashing detergent, a food cleaner or a household appliance cleaner.

본 발명은 히어리(Corylopsis core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 일 수 있다.The invention hieori (Corylopsis coreana )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preferably be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having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n antimicrobial-resistant strain.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상기 히어리(Corylopsis coreana)는 송광납판화라고도 불리우며, 조록나무과로 전 세계적으로 27속 140종이 있고,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나, 드물게는 북아메리카 또는 중앙아메리카에도 분포한다. 조록나무과에 히어리속에 속하는 식물은 29종으로, 일본에 5종, 인도에 5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1종이 생육하고 있으며, 이 중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히어리속의 낙엽활엽의 관목 식물을 히어리(Corylopsis coreana, korean winter hazel)라고 부른다. 상기 히어리는 1910년 전남 순천 송광사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주로 국내에서는 지리산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산식물로 1924년 학계에 등록된 수종이다. 상기 히어리는 낙엽활엽의 관목으로 1 m 내지 5 m까지 자라고, 줄기에는 피목이 많으며, 군집을 형성하고, 근맹아가 많이 올라와 커다란 집단을 형성하면서 철쭉, 진다래, 참싸리, 팥배나무, 신갈나무와 함께 혼생하며, 양지에서 잘 자라고 내한성이 강하여 영하 30도 이하에서도 동해를 입지않으며, 내건성도 강하여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히어리는 가을에 잎이 노랗게 물들고, 생장속도가 느리지만 이른 봄에 피는 꽃과 가을에 물드는 노란색의 잎을 보기 위해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및 주요 구성성분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The heron ( Corylopsis coreana ) is also known as a calligraphic plaster , and it is distributed in East Asia, rarely in North America or Central America. There are 29 species, 1 species in Japan and 5 species in India. One species is growing in Korea. Among them, the plants of heather ( Corylopsis coreana , Korean winter hazel). The herbarium was first discovered in 1910 in Sunchon Songgwang Temple in Chonnam Province. It is known to be native to the Jirisan region in Korea, and is a species registered as a special plant in the academic world in 1924. The herd is a deciduous broad-leaved shrub that grows up to 1 m to 5 m, has many shrubs on its stem, forms a cluster, and has a large group of closely-spaced buds with azaleas, zinnia, It is known to grow well in sunny places and to have strong cold resistance, so it does not wear the East Sea at temperatures below minus 30 degrees, and it is known to grow well on dry soil because of its strong weather resistance. The herb has been widely used as a garden water to see the yellow leaves that bloom in the early spring and the leaves of the yellow in autumn, but the growth rate is slow, but the biological activity and major constituents thereof are almost reported It is not.

상기 히어리는 지상부, 지하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상부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꽃일 수 있다.The herring may be a ground part, a ground part or a mixture thereof, preferably a ground part, and more preferably a flower.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히어리 꽃의 알코올 수용액, 구체적으로 60% 내지 80% 알코올 수용액, 더욱 구체적으로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은 히어리 다른 부위, 일 예로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지 않는 줄기 또는 뿌리 추출물과 비교하여, 항균 활성이 현저하게 우수하고, 여러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가지므로, 항균 효과의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alcoholic aqueous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flowers, specifically the 60% to 80% aqueous alcoholic solution, more specifically, the aqueous 70% methanolic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stem or roots having no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other areas, Compared with the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remarkably excellent,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was found to be excellent in terms of antibacterial effect.

상기 본 발명의 히어리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herb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or extract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and then fractionating the extract with a fraction solvent.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알코올 수용액,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의 메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The organic solvent may be a polar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or the like,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ethyl acetate or acetone, a nonpolar solvent such as benzene, hexane or dichlorometh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preferably 1 to 5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50 to 100% of an aqueous alcohol solution, more preferably 60 to 90% of an aqueous methanol solu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s, water and mixtures thereof.

상기 본 발명의 히어리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 구체적으로 육상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한 히어리에 추출용매를 가하고 추출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은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가압추출법 또는 초음파 분쇄 추출법일 수 있다.The herb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prepared by a conventional plant extract, specifically, a method for producing an on-land plant extract.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can be carried out by adding an extraction solvent to the herd having the impurities removed and performing the extraction process. The extraction process may be a cold extraction method, a warm extraction method, a pressure extraction method, or an ultrasonic pulverization extraction method.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구체적으로 조추출액에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상기 분획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조추출액에 헥산, 플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순서로 가한 후에, 층 분리한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순차적으로 수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extract may be an extract prepared by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method, specifically, a fraction obtained by further fractionating the crude extract. The fraction solvent may be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 acetate, ether, chloroform, benzene, hexane, methylene chloride and a mixed solvent thereof, preferably ethyl acetate. Specifically, the fractionation step is performed by sequentially adding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o the crude extract in this order, then sequentially fractionating the hexane fraction, the chloroform fraction, the ethyl acetate fraction, the butanol fraction, . ≪ / RTI >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은 사용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After the extraction or fractionation, the extract or fraction may be subjected to a vacuum filtration process or may be further concentrated and / or lyophilized to concentrate or remove the solvent. The obtained extract can be stored in a deep freezer until use.

구체적으로, 상기 히어리 추출물은 상기 용매 추출 공정 후에 여과 공정, 농축 공정 및/또는 건조 공정을 선택적으로 또는 중복하여 추가 수행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여과공정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농축공정은 감압농축 등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공정은 열풍건조 또는 냉동건조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rbal extract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filtration step, a concentration step and / or a drying step after the solvent extraction step, either selectively or in duplicate. The filtration step may be performed using a filter paper, The process may be carried out through reduced pressure concentration or the like, and the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such as hot air drying or freeze drying.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히어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히어리 꽃 추출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히어리 70% 메탄올 추출물 또는 히어리 70%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heather extract may preferably be a herring flower extract, more preferably a 70% methanol extract of Heather or an ethyl acetate fraction of 70% methanol extract of Heath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이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연성 균주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antibiotic, which is generically referred to as an antimicrobial agent, and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an antimicrobial agent, a bactericide, an antiseptic, a preservative or a bactericidal agent, Means a substance capable of inhibiting or inhibiting a living function.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히어리 추출물을 0.001 중량%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01% by weight to 99.99% by weight, preferably 0.1% by weight to 99%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Heather's extrac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ly,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상기 항균 조성물은 병원성 미생물 또는 감염성 균주, 구체적으로는 그람 양성균 또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E. coli), 바실러스 균(Bacillus sp.), 마이크로코커스 균(Micrococcus sp.), 스테필로코코스 균(Staphylococcus sp.), 엔테로코커스 균(Enterococcus sp.), 살모넬라 균(Salmonella sp.), 클렙시엘라(Klebsiella sp.) 및 슈도모나스 균(Pseudomonas. sp)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스테필로코코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살모넬라 티피무림(Salmonella typhimrium),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또는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 및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이다.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be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having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 pathogenic microorganism or an infectious strain, specifically, a gram-positive microorganism or a gram-negative microorganism. More particularly,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includ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having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preferably 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 coli), Bacillus bacterium (Bacillus Micrococcus sp., Staphylococcus sp., Enterococcus sp., Salmonella sp., Klebsiella sp., and Pseudomonas sp. bacteria antimicrobial composition, more preferably from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seudomonas. sp), Coma, who is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 Micrococcus luteus , Staphylococcus ( Staphylococcus aureus) aureus),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ecalis), Salmonella typhimurium Moorim (Salmonella typhimrium ), Klebsiella pneumoniae or Klebsiella pneumonia , and Pseudomonas aeruginosa .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란 그람 양성구균에 속하는 병원성 세균으로, 이중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메티실린(methicillin), 옥사실린(oxacillin) 또는 나프실린(naf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내성을 보이는 균을 의미한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cephalosporins) 및 이미페넘(imipenem)을 포함한 대부분의 베타-락탐계 항생제(β-lactam class of antibiotics)에 내성이 있으며, 아미노 글리코사이드, 퀴놀론 항생제 등 대부분의 항생제에도 내성이 있는 경우가 흔하다.Th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a pathogenic bacterium belonging to the gram-positive staphylococcus, which is resistant to double penicillin antibiotics such as methicillin, oxacillin or nafcillin . Th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resistant to most beta-lactam class of antibiotics, including cephalosporins and imipenem, and is resistant to aminoglycosides, quinolone antibiotics, It is common for most antibiotics to be resistant.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농양이나 창상감염 등의 피부 감염뿐만 아니라 폐렴, 패혈증 등의 중증 감염의 원인 균으로 보고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이나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과 같은 극히 제한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는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Th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has been reported as a cause of severe infections such as pneumonia and septicemia as well as skin infections such as abscess or wound infection. In order to treat infections caused by these diseases, vancomycin or teicoplanin It has been reported that very limited antibiotics such as teicoplanin can be used.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에 의해 폐렴, 폐화농증, 농흉 등의 호흡기감염증,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장관감염증, 난치성 욕창 또는 창상감염 등이 발병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It has been reported that infections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use respiratory infections such as pneumonia, pulmonary emphysema and empyema, sepsis, bacteremia, infective endocarditis, intestinal infections, intractable pressure ulcers or wound infections.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정착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접촉전파(contact transmission)에 의한 감염뿐만 아니라, 공기전파(airborne transmission)에 의한 감염도 가능하며, 특히 피부의 방어기전이 손상된 수술환자나 화상 환자에게 잘 정착하여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병원에서 오랜 시간을 근무하는 의료인의 경우, 비강내 정착율이 높아 공기전파에 의한 감염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Since the above-mention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n settle in any part of the body and cause infection, it is possible to infect not only by contact transmission but also by airborne transmiss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medical personnel who have been hospitalized for long periods of time may be infected with airborne infections because of their high rate of nasal passages.

상기 대장균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장 속에 사는 세균으로 특히, 대장에 많이 존재하여 대장균이라 부르며, 장 이외의 부위에서는 질병을 유발하는, 구체적으로는 방광염, 신우염, 복막염 또는 패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이며, 전염성 설사를 일으키는 대장균의 경우 병원성 대장균이라고 한다.The above-mentioned Escherichia coli is a bacterium which lives in the intestines of a person or an animal. Especially, Escherichia coli exists in the large intestine and is called a Escherichia coli, and causes a disease in a region other than the intestine. Specifically, it is a pathogen that can cause cystitis, pyelitis, peritonitis or sepsis , And Escherichia coli causing infectious diarrhea is referred to as a pathogenic Escherichia coli.

상기 폐렴간균은 폐렴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으로 그람 음성의 짧은 간균을 말한다.The pneumococcal bacterium is a pathogenic bacterium that causes pneumonia and refers to gram negative bacillus.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되어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위해 균주 즉, 감염성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감염성 균주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 상기 균주에 의한 감염 시 균주의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인간이 섭취하는 동물에 적용하는 경우, 감염된 동물에 의한 인간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directly to animals including humans to exhibit antimicrobial activity.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exhibits an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the harmful strain, that is, the infectious strain, and prevents the infection by the infectious strai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strain and, when applied to an animal ingested by a huma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condary infection of a human by an infected animal.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성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꿩 또는 닭 등의 가금류를 포함하는 조류 또는 인간, 돼지, 소 염소 등의 포유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The animal is an organism corresponding to a plant and mainly consumes organic matter as nutrients and refers to the digestion, reproduc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respiratory organs. Specifically, the animal is an animal such as an echinoderm, crustacean, mollusk, fish, amphibian, reptile, Mammals, preferably birds including poultry such as pheasants or chickens or mammals such as humans, pigs, and goats, more preferably mammals, and most preferably humans.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히어리 추출물 외에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 벌꿀, 덱스트린, 수크로오스, 팔라티노스, 포도당, 과당, 물엿, 당알콜(sugar alcohol),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백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 카제인(casein),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등의 우유 유래 단백질, 대두 단백질, 이들 단백질의 트립신, 펩신 등의 동물 유래 효소 및 뉴트라아제(neutrase), 알칼라아제(alki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가 포화 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해바라기유, 채종유(rapeseed oil), 올리브유, 홍화유(safflower oil), 옥수수유, 대두유, 팜유(palm oil), 야자유 등의 각종 식물 유래 유지, 중쇄 지방산(middle-chain fatty acid), EPA, DHA, 대두유래 인지질, 우유 유래 인지질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타민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상기 미네랄류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인산칼륨, 탄산칼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유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카제인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제1철,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조성물의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상기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함량은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제한되지 아니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0.1 중량%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arbohydrate, protein, lipid, vitamins and minerals in addition to the herbal extract. The saccharid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of the saccharide, and examples thereof may include honey, dextrin, sucrose, palatinose, glucose, fructose, starch syrup, sugar alcohol, sorbitol, xylitol, maltit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tein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of the protein. Examples of the protein include milk-derived proteins such as casein and whey protein, soybean proteins, animal-derived enzymes such as trypsin and pepsin And hydrolysates by neutrase and alkylas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 lipid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of the lipid. Examples of the lipid include sunflower oil, rapeseed oil, safflower oil, safflower oil, corn oil, etc. containing a first unsaturated fatty acid,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 A variety of plant-derived fats such as soybean oil, palm oil and palm oil, middle-chain fatty acid, EPA, DHA, soybean-derived phospholipids and milk-derived phospholipids. The above-mentioned vitami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mineral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of the minerals. Examples of the vitamins include potassium phosphate, potassium carbonate, potassium chloride, sodium chloride, calcium lactate, calcium gluconate, calcium pantothenate, , Magnesium chloride, ferrous sulfate, sodium hydrogencarbonate,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 saccharide, protein, lipid, vitamins, and minerals may b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as long a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mposition is maintained.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antimicrobial activity is maintained By weight, preferably 0.1% by weight to 15% by weight, preferably 0.5% by weight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본 발명의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병원성 미생물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상기 병원성 미생물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동물 사료용 조성물, 동물 사료용 첨가물, 식품, 식품 첨가제, 식품 보존제, 음료,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첨가물 또는 세정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applications requiring antimicrobial activity. More specifically,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the pathogenic microorganism infection or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iseases caused by the pathogenic microorganism infection Food composition, animal feed composition, animal feed additive, food, food additive, food preservative, beverage,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additive or detergent.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병원성 미생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this re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infection of one or more pathogenic microorganis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은 황색포도상구균의 감염에 의해 발병할 수 있는 각종 감염성 질병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폐렴, 폐화농증, 농흉 등의 호흡기감염증,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장염, 장관감염증, 난치성 욕창 또는 창상감염 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폐렴,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및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disease caused by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refers to various infectious diseases which can be caused by infection with Staphylococcus aureus. Specifically, Infectious endocarditis, intestinal infections, intestinal infections, intractable pressure ulcers, or wound infections. More preferably, the infective endocarditis is caused by pneumonia, sepsis, bacteremia, infective endocarditis, and enteritis. Lt; / RTI >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히어리 추출물 이외에 제형 및 사용방법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담체나 부형제를 부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 단독으로 또는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치료제로서의 효능 증진을 위해 다른 약학적 활성성분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 경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내 히어리 추출물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99 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 내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적인 효능을 위해선 다량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으며, 99 중량%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일정할 수 있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 caused by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pharmacologically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and use method in addition to the herbal extrac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arrier or an excipient capable of additionally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disease caused by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phylococcus aureus or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to enhance efficacy as a therapeutic agent for < RTI ID = 0.0 >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herbal extract in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may be 0.001 wt% to 99 wt%. When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composition is less than 0.001% by weight, a large dose may be necessary for effective efficacy, and when it is more than 99% by weight, the efficacy may be constant compared with the usage amount, which may be uneconomical.

또한,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히어리 추출물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 caused by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e and the purpose of use may appropriately control the content of the herbal extract .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하기 기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 caused by infection of one or more pathogenic microorganis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However, the dosage form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e, and therefore, the dosage form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below.

상기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및 환제(PILLS) 등이 있다.Examples of such formula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LASTERS, GRANULES, LOTIONS, POWDERS, SYRUPS, LIQUIDS AND SOLUTIONS, AEROSOLS, OINTMENTS, FLUIDEXTRACTS, EMULSIONS, SUSPENSIONS, INFUSIONS, TABLETS, INJECTIONS, CAPSULES, and PILLS.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Furthermore,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the infection of one or more pathogenic microorganis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a suitable method known in the art Or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recent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상기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의 부형제는 제형에 따라 통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제화하는 경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희석제 또는 부형제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락토스,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리퀴드 파라틴 및 생리식염수가 있다.The excipient such as the above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carrier or diluent, preservative, stabilizer, wetting agent, emulsifier, solubilizer, sweetener, colorant, osmotic pressure regulator and antioxidant may be a conventional substance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 Extender, wetting agent, disintegrant or surfactant. Representative diluents or excipients include water, dextrin, calcium carbonate, lactos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liquid paratine and saline.

구체적으로, 제형에 따라 경구투여의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고, 비경구투여의 경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는 일예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 일 수 있으며, 상기 좌제는 일예로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또는 글리세로제라틴 등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or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a dilu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 surfactant or the like may be used which is usually used. In the case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a sterilized aqueous solution,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etc. may be used. The non-aqueous solutions or suspensions may be, for example, vegetable oils such as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olive oil,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suppository include wipesol, macrogol, 61, cacao paper, laurin or glycerogelatin.

또한, 추가로 본원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담체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팅 물질(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pharmaceutical agent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or organic solvent Can be used in admixture with various acceptable carriers and can be formulated with various excipients such as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sucrose or dextran, antioxidants such as ascorbic acid or glutathione, chelating agents chelating agents, low molecular weight proteins or other stabilizers.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대상은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유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An object to be administered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the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pidermis animal, a crustacean, a mollusk, Amphibians, reptiles, birds, mammals, preferably mammals, more preferably humans.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 또는 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1일 유효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10 mg/kg 내지 5000 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mg/kg 내지 3000 mg/kg이고, 하루 1 내지 수회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루 1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The dosage or amount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fection of one or more pathogenic microorganis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weight, age, sex, For example, an effective daily dose of 10 mg / kg to 5000 mg / kg, preferably 100 mg / kg, in consideration of the health condition,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disease. mg / kg to 3000 mg / kg,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a day, preferably one to three times a day.

상기 투여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에 가감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투여횟수는 원하는 범위 내에서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 dosage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so that the dose is not limited in any way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administrations can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within a desired range, and the administration peri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그대로 경구투여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음식물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fection of one or more pathogenic microorganis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And may be ingested on a daily basis.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우수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의한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천연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므로 장기간 복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fection of at least one pathogenic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n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an excellen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ince it contains natural plant as an effective ingredient as well as providing an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inf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의류용 세제, 식기 세척제, 식품 세정제 또는 가전제품 세척제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방용품 또는 식품세척 등을 포함하는 각종 생활용품의 세척이나 항균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antimicrobial composition. The cleaning composition may preferably be a detergent for clothes, a dishwashing detergent, a food cleaner or a household appliance cleaner.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s a natural ingredient and is not harmful to human body.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y used for the purpose of washing or antibacterial property of various daily necessities including kitchen utensil or food washing.

상기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된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정제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분말화, 과립화, 정제화 또는 액상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제품화를 위하여 포장을 위해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detergent may further contain an adversely selected additive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of the detergent. The detergent may be mixed with other active ingredients, such as detergents, and additives such as pigments, surfactants and preservatives. The detergent may be prepared by pulverizing, granulating, tableting or liquefying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detergent, and a conventional method may be used for packaging for commercialization.

또한, 상기 세정제 중 항균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그 제품의 특성상 적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양으로 사용가능하다.The amount of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to be used in the cleaning agent may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 application form, the application site, the article to be applied and the like, for example, 0.01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com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component and is not harmful to human body, it can be used in various amounts as long as the application purpose can be achiev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히어리 추출물은 감염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 구체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클레브시엘라균, 바실러스균, 마이크로커커스균, 스테필로로코코스균, 엔테로박터균,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RSA)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것이므로 부작용의 염려가 없어 천연항균제 및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치료제로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대장균 및 폐렴간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있어 다앙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세정용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산업, 의약산업 및 퍼스널케어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세균의 제어와 관련된 산업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The herbal extract, which is an effective ingredient of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an infectious microorganism, specifically, an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an infectious microorganism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Clevesiella, Bacillus, Microcarcus, (MRSA) and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as well as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and antibiotic-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pneumoniae bacillus is highly possible to be used as a cleaning composition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various diseases. Composition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including the food industry,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e personal care industry. It can be widely used in industries related to the control of bacteri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히어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어리 추출물의 추출대상 부위 및 추출용매에 따른 항균 효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D는 히어리 꽃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나타내고, A는 상기 히어리 꽃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물 분획물, B는 히어리 꽃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C는 히어리 꽃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나타낸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producing a herbal extract and a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n antibacterial effect according to an extraction target site and an extraction solvent of a heather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D represents an aqueous solution of 70% aqueous methanol solution of A, and A represents an aqueous solution of 70% methanol B is the hexane fraction of 70% aqueous methanolic aqueous solution extract, and C i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70% aqueous methanolic aqueous solution of the herbal flower.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모든 실험결과는 최소한 3회 이상 반복하여 평균치로 표시하였고, 각 군과의 비교는 ANOVA test를 이용하여 각각 p<0.05인 경우를 유의성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All experimental results were expressed as mean value repeatedly at least three times, and comparison of each group was determined to be significant in the case where each p <0.05 using ANOVA test.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 히어리Heal 추출물의 제조 및 항균활성 측정] Preparation of extract and measurement of antibacterial activity]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히어리Heal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

히어리 추출물은 도 1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Herring extract was prepar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우선, 히어리는 전라남도 나주 지역에서 재배된 히어리를 구입한 후, 유수에서 3회 씻어내어 불순물을 제거한 후, 히어리를 꽃과 줄기로 구분하고, 상기 히어리 꽃, 히어리 뿌리 및 히어리 줄기를 각각 35℃에서 30시간 건조를 수행하여 상기 세척한 히어리를 완전히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시킨 각각의 히어리 꽃, 히어리 뿌리 및 히어리 줄기를 분쇄하여 각각의 건조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꽃 건조 시료, 뿌리 건조 시료 또는 줄기 건조 시료 각 1 kg에 70% 메탄올 수용액 5 L를 각각 가하고, 15℃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한 후에, 감압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시킨 각각의 히어리 부위별 메탄올 수용액 조추출액을 400 meah 여과포를 필터로 이용하여 제균 처리를 한 후, -20℃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녹여 각 히어리 부위 별 히어리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한 히어리 추출물 시료는 사용시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First, after purchasing a herring cultivated in Naju area, Jeollanam-do, the herring was washed and washed three times to remove impurities. Then, the flower was divided into flowers and stems, and the flowers, herring roots, The washed herring was completely dried by performing drying for 30 hours. Each of the dried heather flowers, herring roots and herring stems was pulverized to prepare respective dry samples. 5 kg of a 70% methan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1 kg of each of the above dried flower, root dry or stem dry sample, and the mixture was extracted at 15 DEG C for 72 hours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vacuum evaporator. The concentrated aqueous methanol aqueous solution of each herring site was sterilized by using a 400 meah filter cloth as a filter and lyophilized at -20 ° C to prepare a powdery crude extract. The crude extract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sample of the herring extract for each herring site. The sample of the herbal extract prepared was stored at -20 ° C. until use.

또한, 상기 히어리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층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상기 수용매로 녹인 추출물에 부피비를 기준으로 헥산을 1:1로 혼합하고, 헥산 층을 분리하는 방법을 2회 수행하였다. 상기 헥산 층을 수득하였고, 상기 헥산 층을 분리하고 남은 물 층에, 상기와 같이 부피비를 기준으로 1:1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부탄올을 혼합한 후, 물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2회 분획하여, 각각의 용매별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Further, the above-mentioned 70% aqueous solution of methanol aqueous solution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the methanol layer. After the solvent was removed and dried, the obtained extract was dissolved in water, and hexane was mixed at a ratio of 1: 1 on the basis of the volume ratio to the extract dissolved in the water solvent, and the hexane layer was separated twice. The hexane layer was separated, and the hexane layer was separated. The remaining water layer was fractionated twice by mixing ethyl acetate, acetone and butanol at a ratio of 1: 1 on the basis of the volume ratio as described above, and then removing the water layer , And each solvent fraction was prepar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항균 활성의 측정 1: Measur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1. 대상 균주와  1-1. Target strain 배양배지Culture medium 및 시료 And a sample

항균력 측정에 사용된 균주는 각각 생물자원센터(KTCT) 또는 미생물기탁기관(ATCC) 등 해당 기탁기관으로부터 분양받은 공시된 균주 또는 전라남도 순천지역에 소재된 종합병원의 임상환자로부터 분리하여 조선대학교 약학대학에서 관리하고 있는 균주를 분양받은 균주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항균활성을 측정한 균주의 기탁번호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strain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were separated from the published strains from the depository institutions such as the KTCT or the ATCC, or from the clinical patients of th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uncheon area, Jeollanam-do, And the strain that was administered to the patient was used. Specifically, the accession numbers of the strains in which the antimicrobial activity is measured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상세하게는, 상기 항균활성을 측정한 균주 중 항생제 내성 균주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MRSA 693E, MRSA 4-5, MRSA5-3, MRSA S1, MRSA S3, MRSA U4, MRSA P8 및 MRSA B15을 사용하였고,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MRSA2-32을 사용하였으며, 반코마이신 내성 엔케로코코스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의 경우, VRE 3, VRE 4,VRE 5, VRE 6, VRE 82, VRE 89 또는 VRE 98을 사용하였고, 이미페넴 내성 카바페넴아제 생성균(IMP; imipenem resistant bacteria proudcing carbapenemase)의 경우, IMP 100, IMP 102, IMP 123 또는 IMP 129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내성 엔케로코코스균, 이미페넴 내성 카바페넴아제 생성균,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클렙시엘라 옥시토카 및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균주는 상기 전라남도 순천지역에 소재된 종합병원의 임상환자로부터 분리되어 관리하고 있는 균주를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이 외에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감염균으로 대장균, 폐렴간균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균주는 공시균주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In particular, the antibiotic-resistant strains of the strains which measur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ere MRSA 693E, MRSA 4-5, MRSA5-3, MRSA S1, MRSA S3, MRSA U4, MRSA P8 and MRSA in the case of methicillin- VRE 3, VRE 4, VRE 5, VRE 6, VRE 82, and VRE 83 were used in the cas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 In the cas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 MRSA2-32 was used for 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MP 100, IMP 102, IMP 123 or IMP 129 and Enterococcus faecalis were used in the case of imipenem resistant resistant bacteria proudcing carbapenemase (IMP), an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resistant enkerocobacter, imipenem-resistant carbapenemase-producing bacterium, Enterococcus faecalis, Klebsiella oxytoca and Klebsiella pneumoniae In addition, Escherichia coli, pneumoniae bacill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were used as the isolates of antibiotics resistant bacteria, which were isolated from clinical patients of th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uncheon area in Jeollanam-do. Respectively.

상기 각각의 시험균주는 배지(muller hinton broth)를 이용하여, 37℃의 온도조건으로 배양하여 McFarland 탁도가 0.5가 될 때까지 배양한 후, 항균시험에 사용하였다.
Each of the test strains was cultured in a medium (muller hinton broth) at a temperature of 37 DEG C and cultured until a McFarland turbidity of 0.5, and then used for an antibacterial tes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2. 항균활성의 측정 1-2. Measur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상기 제조예에 대한 항균활성 검증은 디스크 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method, Toama et al., 1978)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1-1 및 하기 표 1에 기재된 시험 균주 또는 검정균주인 대장균(E. coli, KCTC 1923)을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으로 배양한 후, 한천 배지(MHB, Muller Hinton agar, Merk Co., 독일)에 상기 배양액 0.1 ml를 도말하고,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히어리 추출물을 부위별로 70% 메탄올 수용액 용매에 10 mg/ml의 농도로 녹여 추출시료를 제조한 후, 10 ㎕를 지름 0.8 mm 크기의 종이 디스크(paper disk, Advantac, USA)에 적하하고, 37℃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생육 저지환 생성 유무 및 생육저지환의 크기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reparation example was examined using a paper disk diffusion method (Toama et &lt; RTI ID = 0.0 &gt; al ., 1978). E. coli (KCTC 1923), which is a test strain or a test strain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 1-1 and Table 1 below, was cultured by the method of Experimental Example 1-1, and then cultured in agar medium (MHB, Muller Hinton agar, Merk Co., Germany) and 0.1 ml of the culture solution was prepared. An extract sample was prepared by dissolving the herbal extract prepared in the above preparation example in a concentration of 10 mg / ml in a 70% aqueous methanol solution, The cells were added to a paper disk (Advantac, USA) having a diameter of 0.8 mm and cultured at 37 ° C. Thereaft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owth inhibition and growth inhibition.

우선, 상기 추출부위 즉, 히어리 꽃, 히어리 뿌리 및 히어리 줄기에 따른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검정균주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S1)을 도말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히어리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 히어리 꽃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부위 추출물의 경우에는 항균효과가 인정되지 아니하였다.Fir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1), which is a test strain, was plated in order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ccording to the extracted site, that is, a herring flower, a herring roots and a herring stalk.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antimicrobial effect was not recognized in the case of other extracts of the field except for the flower extracts of Heeraria.

상기 결과에 따라, 항생제 내성 감염균주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히어리 꽃을 대상으로 메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appropriate to extract an aqueous methanol solution of a herring flower in order to prepare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an antibiotic-resistant infectious strain.

추가로, 상기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히어리 꽃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에 대해서 분획용매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및 그 분획물 10 ㎕를 검정균주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S1)을 도말된 한천 배지 위에 놓인 지름 0.8 mm 크기의 종이 디스크(paper disk, Advantac, USA)에 적하하고, 37℃에서 배양한 후, 생육 저지환 생성 유무 및 생육저지환의 크기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항균력의 측정은 저해환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Further, the fraction of the m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was also measur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herbal flower 70%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fractionated using a fraction solvent, and 10 μl of the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and its fraction were added to a test strai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1) was added to a paper disk (Advantac, USA) having a diameter of 0.8 mm placed on the agar agar medium and cultured at 37 ° C.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owth inhibition and growth inhibition Respectively.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size of the inhibitory circl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어리 꽃을 대상으로 제조된 추출물의 경우에는 저해환이 나타나 항균 효과가 확인된 반면, 상기 히어리 꽃 추출물의 물 분획물이나 헥산 분획물은 저해환이 나타나지 않아 항균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히어리 꽃을 대상으로 제조된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히어리 꽃 추출물 보다 넓은 저해환이 확인되어, 항균 효과 즉, 항생제 내성 균주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현저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extract prepared for the Herb flower, an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and the antimicrobial effect was confirmed. On the other hand, the water fraction or the hexane fraction of the Herb flower extract showed no inhibitory effect, . On the other h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70% methanol aqueous solution prepared from the herbal flowers showed a broad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herberry flower extract, and the antibacterial effect, that is,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the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t was confirmed to be large.

상기 결과를 기초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조합인 추출대상으로 히어리 꽃을 추출용매로 70%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추출물에 대해서 다양한 항생제 내성을 가진 감염성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는 생육저해환이 확인되어 항균활성이 인정되는 경우이고, -는 생육저해환이 확인되지 아니하여, 항균활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xtracts using 70% methanol aqueous solution as a extraction solvent of Herring flowers as an extraction target, which is the most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infectious strains having various antibiotic resistance,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the following Table 1, "+" means that the growth inhibition loop is confirmed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is recognized, and "-" means that the growth inhibition loop is not confirmed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is not recognized.

NONO GramGram 균주 종류Strain type 감수성sensibility 1One -- Alacligenes faecalis ATCC1004 Alacligenes faecalis ATCC1004 -- 22 ++ Enterococcus faecalis ATCC29212 Enterococcus faecalis ATCC29212 ++ 33 ++ Bacillus subtilis ATCC6633 Bacillus subtilis ATCC6633 ++ 44 ++ Staphylococcus aureus KCTC1928 Staphylococcus aureus KCTC1928 ++ 55 ++ Micrococcus luteus ATCC9341 Micrococcus luteus ATCC9341 ++ 66 ++ Mycrobacterium smegmatis ATCC9341 Mycrobacterium smegmatis ATCC9341 ++ 77 -- Salmonella typhimrium KCTC1925 Salmonella typhimrium KCTC1925 ++ 88 -- Escherrichia coli KCTC1923 Escherrichia coli KCTC1923 ++ 99 -- Pseudomonas aeruginosa KCTC Pseudomonas aeruginosa KCTC ++ 1010 ++ MRSA 693EMRSA 693E ++ 1111 ++ MRSA 4-5MRSA 4-5 ++ 1212 ++ MRSA 5-3MRSA 5-3 ++ 1313 ++ VRE 82VRE 82 ++ 1414 ++ VRE 89VRE 89 ++ 1515 ++ VRE 98VRE 98 ++ 1616 ++ VRSA(MRSA2-32)VRSA (MRSA2-32) ++ 1717 ++ MRSA S1MRSA S1 ++ 1818 ++ MRSA S3MRSA S3 ++ 1919 ++ MRSA U4MRSA U4 ++ 2020 ++ MRSA P8MRSA P8 ++ 2121 ++ MRSA B15MRSA B15 ++ 2222 IMP 100IMP 100 ++ 2323 IMP 102IMP 102 ++ 2424 IMP 120IMP 120 ++ 2525 IMP 123IMP 123 ++ 2626 IMP 129IMP 129 ++ 2727 ++ VRE 2VRE 2 ++ 2828 ++ VRE 3VRE 3 ++ 2929 ++ VRE 4VRE 4 ++ 3030 ++ VRE 5VRE 5 ++ 3131 ++ VRE 6VRE 6 ++ 3232 ESBL LMH-B1ESBL LMH-B1 ++ 3333 ESBL LMH-P3ESBL LMH-P3 ++ 3434 ESBL LMH-S1ESBL LMH-S1 ++ 3535 ESBL LMH-U4ESBL LMH-U4 ++ 3636 ++ EnterococcusEnterococcus faeciumfaecium ++ 3737 -- EnterococcusEnterococcus cloaceacloacaa ++ 3838 -- KlepsiellaKlepsiella oxyticaoxytica -- 3939 -- KlepsiellaKlepsiella pneumoniapneumonia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어리 꽃 70% 메탄올 수용액은 다양한 감염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모든 종류의 항생제 내성 균주, 황색포도상구균, 구체적으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과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코스균(VRE)이나 이미페넴 내성 카바페넴아제 생성균(IMP)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어리 꽃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은 항생제 내성을 가진 황색포도상구균을 포함한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사실로부터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the 70% aqueous methano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ha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infectious strains, and in particular, all kinds of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Staphylococcus aureus, specifically methicillin resistant yellow It has also been found that it ha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 and imipenem resistant carbapenemase producing bacteria (IMP).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queous herbal flower alcoholic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including Staphylococcus aureus having antibiotic resistance. From these facts, it can be said that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improvement of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Staphylococcus aureus It was evaluated that it could be useful for pre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Claims (8)

히어리(Corylopsis coreana) 꽃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Antibacterial for hieori (Corylopsis coreana) flowers 70% m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clud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Lt; / RTI &g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E.coli), 바실러스 균(Bacillus sp.), 마이크로코커스 균(Micrococcus sp.), 스테필로코코스 균(Staphylococcus sp.), 엔테로코커스 균(Enterococcus sp.), 살모넬라 균(Salmonella sp.), 클렙시엘라(Klebsiella sp.) 및 슈도모나스 균(Pseudomonas. sp)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 Bacillus sp., Micrococcus sp., Staphylococcus sp. , Enterococcus bacteria (Enterococcus sp.), Salmonella (Salmonella sp.), keulrep when Ella (Klebsiella sp.) and Pseudomonas bacteria,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having an antimicrobial activity on (Pseudomonas. s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A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claim 1 as an active ingredi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의류용 세제, 식기 세척제, 식품 세정제 또는 가전제품 세척제인 세정용 조성물.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leaning composition is a detergent for clothes, a dishwashing detergent, a food cleaner or a household appliance cleaner.
KR1020140069786A 2014-05-31 2014-06-10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ylopsis coreana KR1017353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6591 2014-05-31
KR1020140066591 2014-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929A KR20150137929A (en) 2015-12-09
KR101735341B1 true KR101735341B1 (en) 2017-05-16

Family

ID=5487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786A KR101735341B1 (en) 2014-05-31 2014-06-10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ylopsis corea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34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37B1 (en) * 2006-02-22 2007-06-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The extracts of corylopsis coreana and tellimagrandin i isolated from same having antifungal activity
KR101399695B1 (en) 2012-04-27 2014-05-27 중앙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Extract of fruit of Poncirus sp. and/or Gardenia sp.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37B1 (en) * 2006-02-22 2007-06-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The extracts of corylopsis coreana and tellimagrandin i isolated from same having antifungal activity
KR101399695B1 (en) 2012-04-27 2014-05-27 중앙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Extract of fruit of Poncirus sp. and/or Gardenia sp.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929A (en)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2441B2 (en) Novel Bacillus beresensis CJBV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20200003993A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leaf extract of polygonium ticnctorium and use thereof
KR102006501B1 (en) Antibiotics Composition Containing Phlorotannins from Eisenia bicyclis
KR101791549B1 (en)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pachyrhizus erosus root bark extract as an effective component
KR102243591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odgersia podophylla
KR101806720B1 (en) Antibacterial-listeria composition of culture medium containing membranous milkvetch roo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KR102178350B1 (en) Bacillus safensis strain with antibiotic activity and antibiotic use thereof
KR101602552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KR101715560B1 (en) Novel Bacillus velezensis CJBV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0852744B1 (en) A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ulva lactuca
KR101120161B1 (en) A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chitosan
KR102481102B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starfish extract and cinnamon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KR101735341B1 (en)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ylopsis coreana
KR101776511B1 (en) Antibacterial-listeria composition of culture medium containing chinese juniper berrie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KR101667272B1 (en)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llilum hookeri
KR102254424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ageretia thea
KR20220094308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ectious symptoms by pathogenic microorganism comprising Cichorium intyb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20200058353A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hexane and butanol fractions of teleogryllus emma extract
KR101803148B1 (en)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r fraction of Sargassum serratifolium
KR102534868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from coccon of protaetia brevitarsis
KR102572181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from wasp
KR102287391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moringa root
KR102254425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immature fruit extract of magnolia denudata
KR100876922B1 (en)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eisenia bicyclis
KR20220097658A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bio renovation extract of brassica nap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