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653B1 -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4653B1 KR101734653B1 KR1020150088795A KR20150088795A KR101734653B1 KR 101734653 B1 KR101734653 B1 KR 101734653B1 KR 1020150088795 A KR1020150088795 A KR 1020150088795A KR 20150088795 A KR20150088795 A KR 20150088795A KR 101734653 B1 KR101734653 B1 KR 101734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matitis
- ras
- salivarius
- streptococcus salivarius
- disp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원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중 하나 이상의 미생물 및/또는 아미노글리코시드계의 항생제를 포함하는 아프타구내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원은 또한 아시네토박터 존슨이 (Acinetobacter johnsonii),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검출용 물질을 포함하는 재발성 아프타 구내염 진단용 조성물을 개시하며 , 아시네토박터 존슨이,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의 양을 이용한 아프타구내염의 재발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원은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재발성 아프타 구내염의 치료 또는 예방과 관련된 것이다.
궤양성 구내염(ulcerated stomatitis)이라고도 알려진 아프타 구내염(aphthous stomatitis)은 구강 점막 내 궤양으로 유사한 크기의 다른 외상성 궤양과 비교하여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며 빈번한 재발과 긴 치유기간이 필요한 질환이다 (Scully C, et al. Br Dent J. 2005;199: 259-264). 아프타 구내염은 통상 약 7일 내지 약 10일간 지속되나, 수주 동안 계속될 수도 있으며, 인구의 10-20%가 일생 동안 구강 궤양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as JA, et al., J Clin Microbiol. 2005;43: 5721-5732).
하지만 병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하여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어, 병인 기전에 따른 정확한 표적에 기반을 둔, 근원적으로 치료 약물이 없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치료는 대증치료에 집중되어 있으며, 환자의 임의 완화 치료로 인한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도 심각하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법은 통증을 일시적으로 경감시키는 국소 소독제, 항생제, 및 수면제(예컨대, 2% 점성 리도카인 또는 10-20% 벤조카인 겔)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 및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같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국소적으로 도포하기도 한다('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by B.W. Neville et al. 1995; pp. 236-239). 하지만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 시 처방을 요한다. 아울러 암렉사녹스(amlexanox) 경구 페이스트 5%(Block Drug Company 제조의 Aphthasol™)가 아프타 궤양을 치료하는 처방약으로 사용되지만 그 효능은 여전히 상당히 제한적이다.
미국 특허 제6148718호는 구강점막 급성 감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투약제형에 관한 것으로 페니실린, 베타락탐계 등의 항생제를 구강 사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형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5-007585는 아프타 궤양 및 단순 헤르페스 병변의 예방 및 치료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착성 페이스트(mucoadhesive paste) 중에 포함된 아연을 제외한 다가 금속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따라서 병인 기전에 따른 정확한 타겟을 가지는 이를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원은 아프타 구내염의 타겟 세균 조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해주어, 근본적 치료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johnsonii)의 증식은 억제하면서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의 증식은 증가시키거나 또는 증식에는 영향이 없는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는 카나마이신, 아미카신, 토프라마이신, 디베카신, 젠타마이신, 시소마이신, 네틸마이신, 네오마이신, 또는 스트렙토마이신 중 하나 이상이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는 특히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는 젠타마이신 또는 토프라마이신 중 하나 이상이다.
일 구현예에서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johnsonii)의 증식은 억제하면서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의 증식은 증가시키거나 또는 증식에는 영향이 없는 젠타마이신의 농도는 약 0.5 ~ 1 μg/ml로 포함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국소 도포에 적합한 제형으로, 생체 유착성 또는 점막 유착성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johnsonii),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검출용 물질을 포함하는 재발성 아프타 구내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아프타 구내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사 대상자 유래의 구강 점막 시료에서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johnsonii),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양에 근거하여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경우, 이를 아프타 구내염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비트로에서 아프타 구내염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방법에서 구강 점막 시료는 아프타 구내염으로 치료받은 대상자 유래의 시료로, 상기 시료에서 결정된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가 상기 환자의 치료전 구강 점막 시료에서 결정된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 이를 재발성 아프타 구내염 위험군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또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비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항균 가글제와 같이 구강세균 전반에 비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표적이 되는 미생물의 조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해주는 치료제로 새로운 개념의 예방/치료제로 그 치료효과가 크다.
도 1a 내지 도 1c는 대조군과 궤양이 있는 아프타 구내염 (RASAL)과 대조군에서 점막 및 타액의 미생물총 (microbiota)을 비교한 결과로, 도 1a는 Chao 1 및 Shannon 다양성 인덱스에 의해 측정된 종 분포를 box & whisket 플롯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가중치 Unifrac 메트릭을 이용하여 생성된 PCoA 플롯으로 두 가지의 성분이 변화 (varience)의 51.6%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c는 가중치 메트릭을 이용하여 수득한 점막 컴뮤너티의 그룹내 및 그룹간 Unifrac 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d는 5개의 우점 문 (phylum)과 상위 15개의 우점 속 (Genus)을 나타내는 파이 그래프로, *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RAS(recurrent aphthous stomatitis)의 디스바이오시스(dysbiosis) 인덱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점막에서 A. johnsonii 의 상대적인 양을 S. salivarius 플러스 V. dispar의 상대적 양 (abundance)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도 2a는 19개 대조군 시료 및 20개의 RASAL 시료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도 2b는 치료 후 인덱스 변화를 4개의 RASPS 시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적색의 점선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거한 RAS의 존재를 예측하는 값이다.
도 3a 및 b는 RAS와 연관된 박테리아가 인간 구강 상피 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로 HOK-16B 세포를 A. johnsonii, S. salivarius, 및 V. dispar 각 균주를 MOI 100, 500, 및 1000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트리판블루 배제 염색을 수행하여, 각각 생활도 및 대조군과 비교한 증식정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 P < 0.05 compared to control, †: P < 0.05 compared to A. johnsonii of the same MOI.
도 4a 내지 4c는 RAS와 연관된 세 가지 세균에 대한 젠타마이신의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한 실험으로 A. johnsonii (도 4a), 및 V. dispar (도 4b) 및 S. salivarius (도 4c) 각 균주를 0.5 ~ 128 μg/ml 젠타마이신이 포함된 배지에 5x106/ml로 희석해 24시간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최소억제농도는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세균의 흡광도 대비 90%이상의 성장을 억제하는 농도로 정의하였다.
도 5a는 불멸화된 구강상피세포인 HOK-16B 세포에 A. johnsonii, S. salivarius, 및 V. dispar 각 균주를 HOK-16B 세포 수 대비 1000배수로 첨가해 24시간 배양한 후 Annexin-V와 PI 염색을 수행한 결과이다. A. johnsonii에 의해 세포 생존율이 89%에서 35%로 감소해 매우 높은 세포독성을 보인데 반해 salivarius와 V. dispar 는 매우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도 5b는 HOK-16B 세포에 A. johnsonii를 HOK-16B 세포 수 대비 500배수로 첨가해 24시간 배양했을 때와 여기에 1μg/ml 농도의 젠타마이신을 추가한 경우 1 μg/ml 농도의 젠타마이신과 V. dispar 100배수를 첨가했을 때 세포독성을 비교한 결과로 젠타마이신에 의해 A. johnsonii의 세포독성이 모두 사라졌고 V. dispar 첨가에 의해 HOK-16B 세포의 생활도(viability)가 더 증가된 것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RAS(recurrent aphthous stomatitis)의 디스바이오시스(dysbiosis) 인덱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점막에서 A. johnsonii 의 상대적인 양을 S. salivarius 플러스 V. dispar의 상대적 양 (abundance)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도 2a는 19개 대조군 시료 및 20개의 RASAL 시료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도 2b는 치료 후 인덱스 변화를 4개의 RASPS 시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적색의 점선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거한 RAS의 존재를 예측하는 값이다.
도 3a 및 b는 RAS와 연관된 박테리아가 인간 구강 상피 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로 HOK-16B 세포를 A. johnsonii, S. salivarius, 및 V. dispar 각 균주를 MOI 100, 500, 및 1000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트리판블루 배제 염색을 수행하여, 각각 생활도 및 대조군과 비교한 증식정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 P < 0.05 compared to control, †: P < 0.05 compared to A. johnsonii of the same MOI.
도 4a 내지 4c는 RAS와 연관된 세 가지 세균에 대한 젠타마이신의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한 실험으로 A. johnsonii (도 4a), 및 V. dispar (도 4b) 및 S. salivarius (도 4c) 각 균주를 0.5 ~ 128 μg/ml 젠타마이신이 포함된 배지에 5x106/ml로 희석해 24시간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최소억제농도는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세균의 흡광도 대비 90%이상의 성장을 억제하는 농도로 정의하였다.
도 5a는 불멸화된 구강상피세포인 HOK-16B 세포에 A. johnsonii, S. salivarius, 및 V. dispar 각 균주를 HOK-16B 세포 수 대비 1000배수로 첨가해 24시간 배양한 후 Annexin-V와 PI 염색을 수행한 결과이다. A. johnsonii에 의해 세포 생존율이 89%에서 35%로 감소해 매우 높은 세포독성을 보인데 반해 salivarius와 V. dispar 는 매우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도 5b는 HOK-16B 세포에 A. johnsonii를 HOK-16B 세포 수 대비 500배수로 첨가해 24시간 배양했을 때와 여기에 1μg/ml 농도의 젠타마이신을 추가한 경우 1 μg/ml 농도의 젠타마이신과 V. dispar 100배수를 첨가했을 때 세포독성을 비교한 결과로 젠타마이신에 의해 A. johnsonii의 세포독성이 모두 사라졌고 V. dispar 첨가에 의해 HOK-16B 세포의 생활도(viability)가 더 증가된 것을 나타낸다.
본원은 아프타구내염의 미생물총의 변화 규명에 근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는 환자에서 A. johnsonii 의 증가, S. salivarius 및 V. dispar의 감소가 아프타 구내염 위험 및 재발과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한 양태에서 본원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중 하나 이상의 미생물과 선택적으로 항생제를 포함하는 재발성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아프타 구내염은 궤양성 구내염(ulcerated stomatitis)이라고도 알려진 구강 점막 내 궤양으로 유사한 크기의 다른 외상성 궤양과 비교하여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며 빈번한 재발과 긴 치유기간이 필요한 질환이다 (Scully C, et al. Br Dent J. 2005;199: 259-264). 아프타 구내염은 재발성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이다. 아프타 구내염에 동반되는 궤양은 구강(구강 점막 표면)의 얕은 통증성 궤양으로 통상 저림 또는 작열감 (전구기; prodromal period)에 이어 궤양화된 붉은 반점 또는 종창(조직의 팽창)이 동반된다. 궤양은 흔히 회백색 삼출물(exudate)로 피복되며, 연변 홍반(erythematous margin)(염증성)으로 둘러싸인다. 이는 극미한 크기(경증 아프타)에서부터 1/4 인치 이상의 크기(중증 아프타)를 갖는다.
본원에서 "병변" 또는 "궤양"이란 용어는 입술, 혀, 잇몸, 및 구강의 기타 내부 조직의 병변 또는 궤양을 포함하며, 상기 병변 또는 궤양은 점막, 점막하부, 상피, 진피 및/또는 피하 조직의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치료"는, 증후의 개선, 질병 또는 증상의 치유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예방"은 사전-궤양화 증상을 나타내는 부위에서의 궤양화 예방(방지)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전-궤양화 증상은 구강내 궤양이 형성되기 전의 자통감, 작열감, 통증, 염증, 붉은 반점, 홍반성 종창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또는 미생물”또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이를 섭취하는 숙주에게 유익한 살아있는 미생물 균주를 일컫는 것이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를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아프타 구내염에서 발생한 미생물의 불균형에 의한 의학적 증상인 디스바이오시스 (dysbiosis)를 되돌려, 구내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적합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본원 실시예에 기재된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 프로바이오틱스는 조성물 ml 당 102 내지 1013 CFU(colony forming units)로 포함 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항생제는 특히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johnsonii)의 증식은 억제하면서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의 증식을 증가시키고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생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항생제와 프로바이토틱스가 함께 사용되는 치료제를 셀렉트바이오틱스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셀렉트바이오틱스는 구강점막을 보호하는 상주균을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함과 동시에 구내염의 위험을 높이는 세균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항생제를 병용하여 구내염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원에 따르면 A.johnsonii가 구강상피세포의 높은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A. johnsonii은 사멸시키며,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를 프로바이오틱스로 공급할 경우, 구내염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본원에서는 특히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가 상기 조건에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는 분자 구조에 아미노-변형된 글리코시드 또는 아미노슈가를 포함하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대한 항생제를 일컫는 것으로,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 예를 들면 카나마이신, 아미카신, 토프라마이신, 디베카신, 젠타마이신, 시소마이신, 네틸마이신, 네오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과 같은 항생제를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다른 구현예에서는 젠타마이신 및/또는 토프라마이신이 사용된다.
본원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젠타마이신이 사용된다.
본원에 따른 다른 구현예에서 젠타마이신은 0.5 ~ 1 μg/ml의 농도로 사용되며, 상기 농도에서 A. johnsonii은 사멸시키며,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의 증식은 증가시키고, 베일로넬라 디스파르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원은 아프타 구내염의 미생물총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한 것으로, 이런 측면에서 본원은 또한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johnsonii),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검출용 물질을 포함하는 재발성 아프타 구내염 진단용 조성물 또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따른 키트 또는 조성물에 포함된 검출용 물질은 구내염이 의심되는 대상자 유래의 시료 예를 들면 구강 점막에서 상기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미생물은 생화학적으로 또는 예를 들면 각 미생물에 특이적인 보존된 영역 예를 들면 16sRNA의 서열분석 또는 증폭, 또는 유전체를 제한효소로 처리한 후 전기영동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로 판단되기 위해서는 공지된 16sRNA 서열과 비교하여 핵산서열이 적어도 97%의 동일성을 나타내야 하며, 비교는 예를 들면 BLAST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is an algorithm for comparing primary biological sequence information) GAP (http://ftp.sunet.se/pub/molbio/docs/afrc-molbio-man/html-format/ch5-5.2.html#Heading13) 또는 BESTFIT (http://www.chem.umass.edu/~cmartin/Courses/BioStruct/Proj/Flanagan/bestfit.html)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또는 각 세균의 16sRNA 유전자에 특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프로브를 합성한 후 여기에 금나노 입자를 붙여 전기화학 검출법 (electrochemical detection, ECD)으로 검출할 수도 있으며, Afonso et al.,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2013,Vol 40: pp 121-126)에 기재된 바를 참고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비경구투여 될 수 있으며, 특히 점막 표면에 국소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또는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로서 겔, 연고, 크림, 페이스트, 로션, 액상(예컨대, 구강 세정액 및 세척액), 약물 도포 붕대(medicated bandage), 스프레이, 또는 구강 또는 피부 궤양/병변의 치료에 적절한 임의의 다양한 국소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고형, 액상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dermatologically)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적절한 고체 또는 액상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형 담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유도체, Carbopol(R) 폴리머,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액상 담체는 본원에 따른 항생제 또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유효한 수준으로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액상 조성물은 붕대 및 기타 드레싱의 침지에 사용되는 흡수성 패드(absorbent pad)를 통해 도포되거나, 펌프형 또는 에어로졸 분무기(aerosol sprayer)를 이용해 환부에 분무될 수 있으며, 구강 세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생체 유착성 또는 점막 유착성 페이스트 또는 담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CARBOPOL® 폴리머, Carbopol-폴록사머 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구아검, 폴리비닐 피롤리돈, 키토산, 폴리아크릴산,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롯, 소디움 스타치 클리콜레이트, 알기네이트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생체 유착성 제제 및/또는 점막 유착성 담체를 포함하는 제형은 사전-궤양 및/또는 사후-궤양 조직 부위에서 장기간 예를 들면 약 1시간 내지 약 8시간의 접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조된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는 복합체로서 하나의 제형에 포함되거나 또는 각각 별개의 제형으로 형성되어 함께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해 기술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형화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원은 미생물총의 변화에 의해 아프타 구내염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는 아프타 구내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사대상자 유래의 구강 점막 시료 에서 Aj, Ss, Vd의 양 (abundance)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양에 근거하여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경우, 이를 아프타 구내염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판별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에 따른 방법에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는 점막에서 A. johnsonii 의 상대적 양을 S. salivarius plus V. dispar 의 상대적 양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본원에 따른 방법에서 세 가지 세균의 상대적인 양은 각 세균의 16sRNA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정량적 PCR 예를 들면 실시간 증폭 PCR (real-time PCR)로 측정할 수 있다. 세균에 특이적인 16sRNA는 RA database (http://www.ncbi.nlm.nih.gov/sra) 등에서 수득할 수 있으며, 이를 BLAST와 같은 서열비교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렬한 후, 차이가 나는 부분을 검출하는 프라이머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비교는 또한 예를 들면 GAP (http://ftp.sunet.se/pub/molbio/docs/afrc-molbio-man/html-format/ch5-5.2.html#Heading13) 또는 BESTFIT (http://www.chem.umass.edu/~cmartin/Courses/BioStruct/Proj/Flanagan/bestfit.html)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또는 각 세균의 16sRNA 유전자에 특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프로브를 합성한 후 여기에 금나노 입자를 붙여 전기화학 검출법 (electrochemical detection, ECD)으로 검출할 수도 있으며, Afonso et al.,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2013,Vol 40: pp 121-126)에 기재된 바를 참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방법은 아프타 구내염의 재발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원에 따른 방법은 점액 또는 타액 시료로서 아프타 구내염으로 치료받은 환자 유래의 것을 사용하여 상기 시료에서 결정된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가 상기 환자의 치료전 시료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 이를 재발성 아프타 구내염 위험군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내염 재발이 예측되는 경우, 본원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의 복용을 통해 미생물총을 정상 상태로 돌려놓음으로서 재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방법 및 재료
집단 연구 및 시료 수집
본 연구는 헬싱키 선언 및 STROBE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프로토콜(CRI 12018)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연구윤리 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2013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의 구강내과 외래를 방문한 경미한 RAS 활성 병변(RASAL)이 발생한 20명의 환자와 구강 점막 질환이 없는 20명의 대조군 환자가 연구에 등록하였다. 모든 연구는 고지된 승인하에 수행되었다. 연구수행 직전 달에 항생제 또는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환자 및 구강건조증 (비자극 전체 타액 유속 <0.1ml/min)을 갖는 대상체는 제외하였다. 또한 다른 구강 점막 질환 (칸디다 균 수 > 1,000 colony forming unit/ml, 혈액결핍 관련 질환)을 갖는 환자도 제외하였다. RAS 환자 병변 점막 미생물총을 정상 대조군의 상응하는 부위의 미생물총과 비교하였으며, 치료 후 치유가 진행되는 부위가 있는 RASAL의 미생물총과도 비교하였다. 단지 4명의 환자만이 병변이 완전히 치유 된 후 일주일째 추가의 시료채취를 위해 다시 내원하였다. 4명 중 두 명 (RAS2 및 RAS3)은 사잇기간에 0.1% 덱사메타손 가글을 사용하였다. 또한 RASAL의 타액의 미생물총도 비교를 하였으며, 이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의 건강한 부위 및 질환이 발생한 부위의 미생물 차이를 반영한다. 모든 대상체는 시료채취 전 두시간 동안 섭취 및 항균 구강세정제 사용을 피하도록 하였다. 점막 시료 채취를 위해, 20 mm x 20 mm 크기의 멸균된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리드 막 (Korea Inc, Seoul, Korea)을 가장 넓은 궤양병변 부위에 30초 통안 정치하였다. 건강 대조군의 경우, 입술 또는 볼 점막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였다. 최소 2ml의 비자극된 전타액 시료를 뱉도록 하여 수집하였다.
DNA 추출, 16S rRNA 유전자 증폭 및 파이로서열분석
타액을 원심분리하여 막 및 펠렛으로부터 PowerSoil DNA Isolation Kit (MO BIO Laboratories, Carlsbad, CA, USA)를 제조자의 방법대로 사용하여 유전체 DNA를 분리하였다. 40개의 점막 (n=20, n=20, and n=4 for Controls, RASAL, 및 RASPS)과 20개 타액(n=10 및 n=10 대조군 및 RASAL)에 대하여 파이로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 연구 사이즈는 각 그룹에서 10개의 시료를 분석한 후에 결정되었다. 16S rRNA 유전자의 증폭 및 서열분석은 454 GS FLX Titanum Sequencing System (Roche, USA)을 사용하여 ChunLab Inc. (Seoul, Korea)에 의뢰하여 수행되었다.
파이로서열분석 데이터 분석
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 분석한 서열에서 PCR 프라이머 서열을 제거한 후, 300bp 보다 짧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불명확한 염기를 포함하는 서열을 제거하였다. 각 서열판독 결과의 계통분류는 EzTaxon database-e (http://eztaxon-e.ezbiocloud.net) [Chun J, et al.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7;57: 2259-2261]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종의 풍부성 및 다양성은 the Ribosomal RNA database project's pyrosequencing pipeline (http://pyro.cme.msu.edu)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판독서열을 동일한 파일로타입에 할당하기 위한 컷오프 값은 ≥ 97% 동일성으로 하였다. 무작위 샘플링을 통하여 시료간 판독 카운트에 있어 변이를 조정하였다. 커뮤너티 간의 전체적인 계통거리는 the weighted Fast UniFrac [Hamady M, et al. ISME J. 2010;4: 17-27.]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를 이용하여 가시화하였다. 나아가 The Human Microbiome Project (HMP) Consortium [Human Microbiome Project Consortium. Structure, function and diversity of the healthy human microbiome. Nature. 2012;486: 207-214.] 에 의해 발표된 볼 점막 및 타액의 파이로서열분석 결과를 본 연구의 대조군 대상체의 것과 비교하였다.
박테리아, 상피 세포 배양 및 염색
Acinetobacter johnsonii KCTC 12405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Daejeon, Korea) 는 호기성의 30℃ 조건에서 BHI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Veillonella dispar KCOM 1864 (Korean Collection for Oral Microbiology, Gwangju, Korea) 는 혐기성의 37℃ 조건에서 ATCC medium 188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Streptococcus salivarius KCTC 5512 (KCTC) 및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33277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USA) 혐기 37℃ 조건에서 5 μg/ml hemin 및 10 μg/ml vitamin K을 포함하는 ATCC medium 188 및 BHI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불멸화 인간 구강 케라티노사이트 HOK-16B (Park NH et al., Oncogene 1995, 10(11):2145-2153)는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각질 성장 배지 (Clonetics, USA)에서 배양되었다. HOK-16B 세포는 48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4x104cells/well의 농도로 3중으로 씨딩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MOI (multiplicity of infection) 100, 500, 및 1000로 박테리아로 감염되었다. 이어 포화습도 95% 공기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의 세포 생존도 및 세포 수를 트리판블루 배제 키트(Life technologies, USA)를 제조자의 방법대로 사용하여 세포사멸 여부를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는 유세포분석용 Annexin V FITC and PI 키트 (Life technologies, USA)를 사용하여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BD Bioscience, USA)를 수행하였다.
통계분석
데이터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mean ± 표준편차로 나타낸다. 두 개의 그룹 간의 UniFrac distance 및 상대적 abundance의 차이는 각각 Mann-Whitney U-test an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AS 리스크와 박테리아 종간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박테리아의 세포독성은 Bonferroni correction을 도입한 ANOVA post-hoc test로 분석되었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19 software (SPSS Inc., USA)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유의성은 P<0.05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 아프타구내염의 미생물 총 특징 규명
실험에 사용한 점막 및 타액시료가 유래된 RAS 환자의 인구학적 데이터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표 1]
연구에 참여한 RAS가 발병한 11명의 남성 및 9명의 여성의 나이는 19세부터 81세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RAS 그룹에서, 3명의 환자가 흡연경력이 있었는데, 1명은 과거에 흡연자였으며, 한 명은 단지 RAS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흡연을 하였으며, 한 명은 매일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막의 시료 채취 부위는 혀 끝 (n=3), 볼 점막 (n=4), 및 입술 점막 (n=13)을 포함하였다. 13명의 환자는 한 개의 궤양이 발생되었으며, 7명의 환자는 혀끝, 입술 점막 및 물렁 입천장에 다수의 궤양이 발생되었다. 건강 대조군은 21세에서 71세의 9명의 남성 및 10명의 여성이었다. 한 명은 파이로서열분석의 실패로 제외하였다. 점막 시료채취 부위는 볼 점막 (n=7) 및 입술 점막 (n=12) 이었다. 단지 한 명의 대상체가 현재 흡연자였다.
64개의 시료로부터 43개의 점막 (n=19, n=20, 및 n=4 for Controls, RASAL, 및 RASPS) 및 17개의 타액 (n=8 및 n=9 for Controls 및 RASAL) 미생물총 커뮤너티 데이터 세트를 수득하였다. 60개 컴뮤너티로부터 총 58,491개의 필터된 판독결과(시료당 평균 9,434 판독)를 수득하였으며, 이는 각 시료당 99%를 넘는 Good’s coverage에 해당하는 것이다. 4개의 시료는 16sRNA가 증폭이 불충분하여 파이로서열분석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일부 질환에서는 미생물의 다양성이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치주염에서는 플라크 박테리아의 다양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크론병에서는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riffen AL et al ISME J. 2012;6: 1176-1185; Hansen R, et al. Am J Gastroenterol. 2012;107: 1913-1922]. 따라서, 대조군 및 RASAL 그룹간의 알파 다양성을 비교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Chao 1 으로 분석된 RASAL 미생물총의 종 풍부성은 점막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319 ± 18 vs. 279 ± 20) 타액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9 ± 23 vs. 437 ± 45). Shannon index를 통해 분석된 미생물총 컴뮤너티의 다양성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RASAL 미생물총의 다양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점막에서는 다소 낮고 (3.61 ± 0.11 vs. 3.47 ± 0.11) 타액에서는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5 ± 0.09 vs. 4.22 ± 0.13). 그러나 이런 모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이다 (도 1a).
시료간의 변이를 결정하기 위한 UniFrac 기반의 PCoA 분석 결과 미생물총 프로파일은 생태적 니체에 의해 더 잘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질환보다는 점막 vs. 타액에 의해 더 잘 구분되었다. 점막에서의 상이한 위치, 즉, 혀끝, 입술, 또는 볼 점막은 별개의 클러스터링을 나타내지 않았다. 타액 미생물 총의 경우, RASAL 클러스터는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여 다소 시프트되었다. 흥미롭게도 RASAL 클러스터 점막 시료는 PCoA 플롯에서 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이는 RAS 병변에서 박테리아 커뮤너티가 서로간에서 보다 이질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1b). 실제, RASAL 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인트라그룹 UniFrac 거리는 RAS 병변에서 대상체 간 (inter-subject) 변이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나아가, 인터그룹 UniFrac 거리는 대조군의 인트라그룹 거리보다 높았는데, 이는 대조군 및 RASAL 시료사이의 전체 박테리아 프로파일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c). 환자의 비병변 부위는 물론 병변 부위를 반영하는 타액 컴뮤너티에서 UniFrac 거리에서 인트라 또는 인터그룹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대조군 및 RASAL 그룹사이의 각 텍손의 상대적 양을 비교하였다. 점막 시료로부터 총 26개의 상이한 파일럼이 규명되었지만, Firmicutes ,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 Bacteroidetes , 및 Fusobacteria 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99% in Controls 및 >97% in RASAL). 대조군 대상체에서 관찰된 주요 파일럼의 상대적 양은 RASAL 환자의 것과 차이가 없었다 (도 1d). 속(genus) 수준에서, 대조군에서 스트렙토코커스가 총 점막 미생물총의 거의 반을 점유하였으며, 다른 주요 속은 Haemophilus, Rothia, Neisseria, Actinomyces, 및 Veillonella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RASAL 점막 커뮤너티에서 Veillonella는 감소하였으며, Acinetobacter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종의 수준에서 S. salivarius, Veillonellas (V. dispar and V. atypica), and Actinomyces odontolyticus를 포함하는 수 개의 스트렙토코커스의 양 (abundance)은 RASAL 점막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에, Acinetobacter oryzae, A. johnsonii, Neisseria oralis, Blautia wexlerae, Ruminococcus gnavus, 및 Bacteroides fragilis의 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표 2]
표 2에서 상대적 양은 중위 (median) % 및 범위로 나타냈으며, 화살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RAS 또는 RAU(recurrent aphthous ulcers)AL 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낸다.
Proteobacteria, Firmicutes, Bacteroidetes, Actinobacteria, Fusobacteria, 및 TM7 이 타액 미생물총에 포함된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99% in controls 및 >97% in RASAL). 이들 중에서 특히 RASAL 그룹의 Bacteroidetes 및 Fusobacteria 의 양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2 및 P=0.002, 각각). 도 1d에 나타난 상위 15개의 속에서, RASAL 타액 미생물총에서 스트렙토코커스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Porphyromonas 및 Capnocytophaga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의 수준에서, S. salivarius, S. parasanuinis, Rothia dentocariosa, N. sicca group, 및 A. viscosus 의 양은 RASAL 시료에서 감소하였다. 대신에 C. gingivalis, N. flava, Aggregatibacter segnis, 및 C. sputigena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표 3]
표 3에서 상대적 양은 중위 % 및 범위로 표시되었다. 화살표는 대조군에서 화살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RASAL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강점막 세균 조성에 대한 파이로서열분석을 통하여 재발성 아프타 구내염 환자의 점막에서 건강한 사람과 비교해 보았을 때, 7개의 종은 증가, 24개의 종은 감소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Streptococcus salivarius (Ss), Veillonella dispar (Vd), Acinetobacter johnsonii (Aj)가 아프타성 구내염에 연관이 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RAS의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 결정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박테리아 종의 양의 변화가 RAS 위험도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포워드 방법을 사용하여 점막 미생물총의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S. salivarius 의 양(per % increase)은 RAS 리스크의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odds ratio [OR] 0.691,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0.526-0.909, P=0.008). 백워드 방법을 사용한 분석 결과 두 종이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V. dispar 의 양은 RAS 리스크의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OR 0.124, CI 95% 0.024-0.646, P=0.013), A. johnsonii 의 양은 RAS 리스크의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OR 7547, CI 95% 4.9-1.2E7, P=0.017). 유사하게, 타액에서 S. salivarius 의 양은 RAS의 감소와 관련이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R 0.342, CI 95% 0.120-0.973, P=0.044). 점막에서 S. salivarius plus V. dispar 의 상대적 양으로 나눈 A. johnsonii 의 상대적 양을 디스바이오시스 (dysbiosis) 인덱스로 정의하였으며, 이는 RAS 리스크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R 3.14E9. CI 95% 30.96-3.19E17, P=0.02). 나아가,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는 RAS의 부재 및 존재에 대하여 분석된 총 케이스의 82%에서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대조군의 95% 및 70% of RAS, 도 2a).
다른 중요한 이슈는 RASAL 미생물총의 특징이 RAS의 내재적 특징인지 또는 질환의 결과 즉 궤양/염증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치료 후 시료를 기증한 4명의 환자에서, 세명은 치료 후에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가 감소하였다 (도 2b). RAS16에서,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는 변화하지 않았는데, 이는 A. johnsonii 가 RASAL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S. salivarius plus V. dispar의 양은 치료후에 2.5% 에서 11.7% 로 증가하였다.
실시예 3. RAS 관련 박테리아의 구강상피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RAS의 원인 병리론에 있어서, 박테리아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RAS 관련 박테리아 종의 세포독성을 구강 상피세포에 실험을 수행하였다. 치주 병원균인 P. gingivalis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불멸화된 구강상피세포인 HOK-16B에 A. johnsonii, S. salivarius, 및 V. dispar 각 균주를 MOI 100, 500, 및 1000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6웰 플레이트에서 두 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트리판블루 배제 염색으로 분석하여도 생활도 및 대조군과 대비한 증식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3a 및 3b에 기재되어 있다. 이에 나타난 바와 같이, A. johnsonii 는 S. salivarius 및 V. dispar와 비교하여 HOK-16B 세포에 대한 더 큰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P. gingivalis에 의한 세포독성에 필적하는 수준이었다. 나아가, A. johnsonii 는 MOI 100에서 조차 HOK-16B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A. johnsonii 는 37℃에서 자라지 않았는데, 이는 박테리아 성장에 의한 세포독성을 배제하는 것이다.
또한 구강상피세포인 HOK-16B 세포에 A. johnsonii, S. salivarius, 및 V. dispar 각 균주를 HOK-16B 세포 수 대비 1000배수로 첨가해 24시간 배양한 후 Annexin-V와 PI 염색을 수행한 결과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A. johnsonii에 의해 세포 생존율이 89%에서 35%로 감소해 매우 높은 세포독성을 보인데 반해 salivarius와 V. dispar 는 매우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아울러 HOK-16B 세포에 A. johnsonii를 HOK-16B 세포 수 대비 500배수로 첨가해 24시간 배양했을 때와 여기에 1μg/ml 농도의 젠타마이신을 추가한 경우 1 μg/ml 농도의 젠타마이신과 V. dispar 100배수를 첨가했을 때 세포독성을 비교 측정한 결과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젠타마이신에 의해 A. johnsonii의 세포독성이 모두 사라졌고 V. dispar 첨가에 의해 HOK-16B 세포의 생활도(viability)가 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RAS와 연관된 세 가지 세균에 대한 젠타마이신의 최소억제농도 측정
A. johnsonii, S. salivarius, 및 V. dispar 각 균주를 0.5 ~ 128 μg/ml 젠타마이신이 포함된 배지에 5x106/ml로 희석해 24시간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최소억제농도는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세균의 흡광도 대비 90%이상의 성장을 억제하는 농도로 정의하였다. 결과는 도 4a 내지 4C에 기재되어 있다. 도 4a에서 A. johnsonii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는 0.5 μg/ml인데 반해 도 4b 및 4c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V. dispar와 S. salivarius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는 4~32μg/ml이다. S. salivarius의 경우 최소 억제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세균보다 성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는 0.5 ~ 1 μg/ml 젠타마이신은 A. johnsonii의 증식은 억제하면서 S. salivarius의 증식을 증가시키고 V. dispar의 증식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농도임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Claims (9)
- 젠타마이신을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상기 젠타마이신은 0.5 ~ 1μg/ml의 농도로 포함되고, 상기 농도에서 상기 젠타마이신은 상기 아프타 구내염에서 증가된 아시네토박터 존스니의 성장은 억제하고, 상기 아프타 구내염에서 감소된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의 증식은 증가시키는 것인,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Streptococcus salivarius); 및 0.5 ~ 1μg/ml의 젠타마이신을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및 0.5 ~ 1μg/ml의 젠타마이신을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국소 도포용 생체 유착성 또는 점막 유착성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삭제
- 아프타 구내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사 대상자 유래의 구강 점막 시료에서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johnsonii),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양에 근거하여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한 경우, 상기 시료를 아프타 구내염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비트로에서 아프타 구내염 판별 방법.
- 아프타 구내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사 대상자 유래의 구강 점막 시료에서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johnsonii),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베일로넬라 디스파르 (Veillonella dispar) 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양에 근거하여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바이오시스 인덱스가 0.05보다 큰 경우, 상기 시료를 아프타 구내염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비트로에서 아프타 구내염 판별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795A KR101734653B1 (ko) | 2015-06-23 | 2015-06-23 |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PCT/KR2015/012687 WO2016208823A1 (ko) | 2015-06-23 | 2015-11-25 |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795A KR101734653B1 (ko) | 2015-06-23 | 2015-06-23 |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077A KR20170000077A (ko) | 2017-01-02 |
KR101734653B1 true KR101734653B1 (ko) | 2017-05-11 |
Family
ID=5758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795A KR101734653B1 (ko) | 2015-06-23 | 2015-06-23 |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4653B1 (ko) |
WO (1) | WO201620882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95579B1 (en) * | 2017-04-24 | 2017-10-24 | Knoze Jr. Corporation | Oral microbiota promoting method |
AU2019217526A1 (en) | 2018-02-06 | 2020-08-13 | Evelo Biosciences,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and immune disorders using Veillonella bacteria |
KR102173646B1 (ko) * | 2018-06-28 | 2020-11-03 |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0082A1 (en) * | 2013-07-05 | 2015-01-08 | Integra Medical Inc. | Oral composition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0098B1 (ko) * | 2012-05-04 | 2014-10-1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푸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
-
2015
- 2015-06-23 KR KR1020150088795A patent/KR10173465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1-25 WO PCT/KR2015/012687 patent/WO201620882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0082A1 (en) * | 2013-07-05 | 2015-01-08 | Integra Medical Inc. | Oral compositio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077A (ko) | 2017-01-02 |
WO2016208823A1 (ko) | 2016-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rdila et al. | High resistance against clindamycin, metronidazole and amoxicillin in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isolates of periodontal disease | |
Behal et al. | Evaluation of local drug-delivery system containing 2% whole turmeric gel used as an adjunct to scaling and root planing in chronic periodontitis: A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study | |
Vielkind et al. | Prevalence of Actinomyces spp. in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 |
Sardi et al. | New antimicrobial therapies used against fungi present in subgingival sites—a brief review | |
Paolantonio et al. | Clinical, microbiologic, and biochemical effects of subgingival administration of a Xanthan‐based chlorhexidine gel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A randomized multicenter trial | |
Gottumukkala et al. |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two controlled release devices: Chlorhexidine chips and indigenous curcumin based collagen as local drug delivery systems | |
US20180110795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 |
Kutluhan et al. | The role of the actinomyces in obstructive tonsillar hypertrophy and recurrent tonsillitis in pediatric population | |
Lauritano et al. | Bacterial load of periodontal pathogens among Italian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different areas | |
Mulhall et al. | Pasteurized Akkermansia muciniphila reduces periodontal and systemic inflammation induced by Porphyromonas gingivalis in lean and obese mice | |
Li et al. | Abietic acid ameliorates psoriasis-like inflammation and modulates gut microbiota in mice | |
Van Hasselt et al. | Treatment of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with ofloxacin in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ear drops: a clinical/bacteriological study in a rural area of Malawi | |
Liu et al. | The expression of hBDs in the gingival tissue and keratinocytes from healthy subjects and periodontitis patients | |
KR101734653B1 (ko) |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아프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ostamo et al. | Recent trends in primary antimicrobial resistance of Helicobacter pylori in Finland | |
Jiang et al.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eptide Cbf-K16 against drug-resistant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vitro and in vivo | |
US20210252107A1 (en) | Novel therapy | |
Ardila et al. |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oxifloxacin against gram‐negative enteric rods from Colombian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 |
Hayashi et al. | Effects of ozone nano-bubble water on mucositis induced by cancer chemotherapy | |
Burrell et al. | Distribution of systemic clarithromycin to gingiva | |
Maslow et al. | Concurrent outbreak of multidrug-resistant and susceptible subclones of Acinetobacter baumannii affecting different wards of a single hospital | |
He et al. | The impact of smoking on levels of chronic periodontitis-associated biomarkers | |
Wuersching et al. | Targeting antibiotic tolerance in anaerobic biofilms associated with oral diseases: Human antimicrobial peptides LL-37 and lactoferricin enhance the antibiotic efficacy of amoxicillin, clindamycin and metronidazole | |
Serrano et al. |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comparison of three non-surgical protocols for the initial treatment of chronic periodontitis | |
Qi et al. | Probiotics suppress LL37 generated rosacea-like skin inflammation by modulating the TLR2/MyD88/NF-κB signaling pathw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