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289B1 -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289B1
KR101734289B1 KR1020160025797A KR20160025797A KR101734289B1 KR 101734289 B1 KR101734289 B1 KR 101734289B1 KR 1020160025797 A KR1020160025797 A KR 1020160025797A KR 20160025797 A KR20160025797 A KR 20160025797A KR 101734289 B1 KR101734289 B1 KR 10173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d value
meter
physical model
instrument
val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섭
김창회
박재창
천세우
손광섭
장통일
오인석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2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1Mechanical simulators
    • G21Y2002/5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 사고 발생시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 상황을 나타내는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측기로부터 감지된 계측값을 수신하는 감지부와,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적 구성 요소들을 모사한 물리 모델을 포함하는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에 따라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환경 영향 평가부와, 및,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에 구비된 제2 계측기에서 감지된 계측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VALIDITY EVALUATION OF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 사고 발생시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 상황을 나타내는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계측기의 고장 또는 성능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잘못된 원전 공정 정보는 운전원의 잘못된 상황 판단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이처럼 운전원이 잘못된 상황 판단을 하는 경우 이는 궁극적으로 부적절한 제어행위로 이어져 원전의 안전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원전의 사고 상황에서는 정보량의 폭주와 신속한 대응요구로 인해, 잘못된 공정 정보는 사고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일본 후쿠시마 사고에서 노심 용융과 같이 연관된 원자로 수위 계측 정보가 하기 [그림 1]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실제보다 낙관적으로 제시됨에 따라, 노심의 손상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소 관계자들은 노심 노출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오해하였다. 그리고 이로 인해 사고 대응에 혼란이 야기되어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게 되었다.
[그림 1]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1
현재 사고완화를 위한 절차(비상운전절차서) 또는 지침(중대사고관리지침서)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사고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고 판단은 계측기 정보에 대부분 의존할 수 밖에 없으나, 기존 지침 또는 절차는 안전 필수 계측기에서 제공하는 공정정보는 모두 신뢰성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후쿠시마 사고 등의 예에서와 같이 안전필수 계측기의 정보도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 증명된 바 있으므로 사고시 계측기 고장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계측기 건전성 판단에 대한 기술개발은, 계측기가 정상 운전시 또는 일부 과도상태시의 계측기 성능저하(드리프트 등)를 찾아내어 교정 또는 교체행위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또한 대부분의 계측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원전의 정상 운전모드에서는, 소수 계측기가 고장나거나 성능저하가 심각하게 발생하였을 지라도, 운전원의 운전경험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계측기의 고장이나 성능 저하로 인해 원자력발전소가 심각한 상황으로 진행되진 않는다.
그러나 노심의 용융과 같은 중대 사고 상황에서는, 사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고 정보량의 폭주로 인해 경험에 의존하는 공정정보의 이상유무 판단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 기준을 초과하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발전소 환경상태의 악화에 따라 대부분의 계측기는 신뢰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3892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14294호를 참조하면, 종래의 계측기 건전성 평가 기술은, 중대사고 환경 등과 같은 악화된 환경 하에서 시뮬레이터 또는 전산코드에 의해 이러한 환경을 모사하고, 그 중심에 있는 계측기가 생존할 것인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향후 설치될 계측기의 설계개선에 활용하려는 기술로 제한될 뿐, 사고운전 중에는 전혀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중대 사고 환경 하에서 사고정보를 나타내는 필수 안전 계측기의 유효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사고 환경하에서 계측정보의 유효성을 자동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중대사고로 인한 비정상적 정보로 인해 잘못된 사고대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는,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측기로부터 감지된 계측값을 수신하는 감지부와,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적 구성 요소들을 모사한 물리 모델을 포함하는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에 따라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환경 영향 평가부와, 및,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에 구비된 제2 계측기에서 감지된 계측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는, 복수의 채널의 센서에서 수신되는 계측값들의 다중성 비교 논리에 따라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다중성 평가부와, 복수의 다른 계측값들 또는 변수들과의 상호 상관성에 근거하여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다양성 평가부와, 상기 계측값을 감지한 계측기의 이력 분석에 따라 상기 계측기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이력 평가부와, 및, 상기 다중성 평가 결과, 다양성 평가 결과, 상기 이력 평가 결과와, 상기 계측기 주변 환경 인자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계측값의 유효도를 산출하는 환경 유효성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에서 산출된 유효도 평가 결과에 따라 판단하고,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한 경우, 상기 제2 계측기의 계측값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구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센싱될 당시에 상기 특정 구역 또는 특정 계통에 입력된 것과 동일한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이 동작하도록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은, 상기 원자력 발전소에서 기 설정된 중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계측기에서 센싱되는 계측값이며, 상기 물리 모델은, 상기 기 설정된 중대 사고에 관련된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구역 또는 특정 계통의 물리적 구성을 모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는, 상기 제2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성을, 기 설정된 검증 논리에 따라 검증하기 위한 검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증부의 검증 결과, 상기 제2 계측기에서 감지된 계측값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계측기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 및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온라인(on line)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방법은,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측기로부터 감지된 계측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에 구비된 제2 계측기로부터 계측값을 검출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에 따라 상기 제1 계측기 계측값의 유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및, 상기 제2 계측기로부터 검출된 계측값, 또는 상기 산출된 제1 계측값의 유효도에 따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는,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계측값을 서로 비교하여 다중 채널간 비교 점검을 수행하는 다중성 점검 논리와, 상기 계측값과 상호 상관성을 가지는 다른 변수 또는 다른 계측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변수 또는 다른 계측값들과 상기 계측값과의 상호 상관관계에 따라 그 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다양성 검증 논리, 및, 상기 계측값을 감지한 계측기의 이력 분석을 통한 고장 판별 논리에 따라 계측값의 유효성을 점검하는 이력 점검 논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에 따라 산출되는 유효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와, 및,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계측기의 계측값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측기로부터 계측값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계측기 계측값의 유효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계측기에서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기 설정된 검증 논리에 따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계측기의 유효성 검증 결과에 따라 유효성이 검증된 제2 계측기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은, 상기 원자력 발전소에서 기 설정된 중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계측기에서 센싱되는 계측값이며, 상기 물리 모델은, 상기 중대 사고가 발생한 당시에, 상기 특정 구역 또는 특정 계통에 입력되는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에 따라 동작하는 상태를 모사하는 모델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측기의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특정 구역이 또는 특정 계통의 계측값을, 다른 구역 또는 다른 계통의 계측값과 구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사고 환경하에서 사고정보를 나타내는 필수 안전 계측기의 유효성을 온라인으로 평가함으로써, 유효하지 않은 계측정보를 배제하여 대체 계측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사고 환경하에서 계측정보의 유효성을 자동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중대사고로 인한 비정상적 정보로 인해 잘못된 사고대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계측 정보를 센싱한 계측기를 포함하는 실제 시스템을 모사한 물리 시스템을 통해 상기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계측값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그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에서, 물리 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에 포함된 환경 영향 평가부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에서, 센싱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에서, 대상 계측기의 시스템을 모사한 물리 모델에서 센싱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에서, 실제 계측기에서 계측된 값과, 물리 모델에서 계측된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그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로부터, 계측값의 유효성이 평가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정이라는 용어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에서 핵연료를 연소시키고, 연소된 열이 일차계통 냉각재에 에너지를 전달하며, 일차계통 냉각재가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의해 강제 순환되어 증기 발생기로 보내진 후, 증기 발생기를 통해 일차계통의 열을 이차계통의 물로 전달하여, 이차계통의 물이 에너지를 전달받아 고에너지 증기로 변환되어 터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정변수'라는 용어는, 상기의 공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변화되느냐를 알리는 것으로, 대부분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정 변수는 하나의 센서가 아니라 복수의 센서에 의해 계측된 값을 계산한 값 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누출되는 방사선이나 높은 열 또는 증기 등으로 인해 센서, 즉 계측기에 기 설정된 환경 설계 기준(예를 들어 측정 한계치)등을 초과할 수 있어,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가 왜곡되거나 또는 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오정보가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대사고'라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용융이 발생하고 방사선이 누출되는 사고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대 사고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중대 사고인지 여부가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사고 발생시 사고 증상과 관련된 계측값이 수신되면, 대응되는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과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논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 유효성을 판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 모델은, 상기 계측값을 센싱한 계측기를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리 모델은 특정 계통(예를 들어 비상 노심 냉각 계통)의 물리적 구성을 그대로 모사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물리 모델은, 상기 계측기를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미러 시스템(Mirror system)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계측된 계측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 경우, 상기 물리 모델을 통해 측정된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계측기로부터 측정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시스템은, 기 설정된 원자력 발전소의 중대 사고 발생시에 관련된 특정 구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물리 모델로 구현된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시스템은, 상기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그 중대 사고와 관련된 일부 구역 또는 일부 계통에 한하여 형성된 것을 수 있다.
우선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평가 장치(100)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연결되는 감지부(150), 환경 영향 평가부(120),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 그리고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는 복수의 물리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리 모델은,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장소 또는 특정 계통(이하 특정 시스템이라고 칭하기로 한다)의 물리적 구성 요소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물리적 모델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물리 모델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은, 대응되는 실제 원자력 발전소의 시스템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 모델은, 각각 각 물리 모델에 따라 적합한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가 입력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물리 모델은 입력되는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에 의해, 실제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시스템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은, 특정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에 따라 동작할 때에, 실제 원자력 발전소에서 형성되는 환경을 그대로 모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되는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를 특정 물리 모델에 입력하고, 입력된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에 따라 상기 특정 물리 모델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물리 모델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특정 물리 모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측정되는 계측값들을 제어부(110)로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원자로의 노심온도가 증가하여 노심융융 가능성이 큰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심에 냉각수를 주입해야만 한다. 노심에 냉각수가 성공적으로 주입되고 있는지는 몇 가지 공정변수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첫째 원자로 수위 지시계를 통한 방법이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측정영역이 노심상부에서 시작되므로, 원자로심 내에 냉각수가 고갈된 상태에서는 노심상부까지 냉각수가 채워질 때까지 수위 지시계가 지시하는 값은 '0'일 가능성이 높다. 즉 공정지연에 의한 측정 지연 시간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직접적인 측정변수는 냉각수 공급유량 지시계이다. 그러나 상기 냉각수 공급유량 지시계가 고장일 경우에는 중대사고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냉각수 공급 여부를 일정기간 동안 직접적으로 측정할 방법이 없다.
한편 이 변수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중 하나가 물리모델 기반 평가부(130)를 이용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물리모델 평가부(130)는 실시간으로 동작되는 미러(mirror)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즉 상기 미러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동작하여, 특정 발전소 시스템에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응되는 실제 발전소 시스템의 상황과 동일한 상태여야 하므로, 상기 미러 시스템은 대응되는 실제 발전소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공정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공정변수는, 시스템의 밸브 상태, 펌프 동작 상태, 냉각수 수원 상태, 그리고 일차계통 압력 등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미러 시스템은, 대응되는 특정 발전소 시스템과 동일한 공정상태를 모사해야 하므로, 발전소 물리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압안전주입계통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계통모델의 열수력방정식과 계통 경계조건 그리고 특정가정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미러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동작하면서 단순한 방정식을 이용하여 비교적 높은 계산 정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기본 가정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단상 및 비압축성 유체흐름에 대한 가정이다. 노심 냉각수 공급시스템, 증기발생기 급수 공급시스템 등은 핵증기공급계통 (일차계통)과 서로 다른 압력경계를 가짐으로 중대사고로 인해 노심을 포함한 일차계통이 중대한 환경 (예, 압력이상, 온도이상 등으로 인한 다상유체 생성) 에 직면하더라도 이들 시스템은 단상유체를 유지하는 것을 가정한다.
2) 유사안정 유체흐름 ((Quasi-steady fluid flow)을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전형적인 유체 네트워크에 있어서, 시스템은 외부 압력이나 펌프의 속도변화와 같은 경계조건의 변화에 매우 빠르게 반응한다. 이것은 유체의 비압축성과 작은 관성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경계조건이 주어지면, 유체 네트워크는 즉시 안정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3) 일차원 유체흐름 ((One- Dimensional Flow)이다. 즉 수원에서 일차계통으로 한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므로 이 같은 가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들을 통해 열수력방정식을 단순화하여 상기 미러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가정을 통해 상기 미러 시스템의 열수력방정식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상기 미러 시스템의 출력을 실시간화 할 수 있다.
하기 [그림 2]는 발전소 비상노심냉각계통(ECCS)에 대한 기기상태 및 계측기들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개략도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며, [그림 3]은 단순화한 저압 안전주입 모델 개략도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단순화한 비상노심냉각계통(ECCS) 미러 시스템(이하 비상노심냉각계통(ECCS) 물리 모델 시스템)은, 대응되는 시스템, 즉 비상노심냉각계통의 변수들을 실제 발전소에서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비상노심냉각계통(ECCS) 물리 모델 시스템은, 두 가지 방법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는Global Evaluation Model로서 최종적으로 확인해야 할 중요변수의 건전성을 우선 점검하는 모듈이다. 중대사고 시 가장 중요한 변수는 냉각수 공급유량이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물리모델에서 계산된 유량정보와 실제 입력된 유량이 편차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에는 "Local Evaluation Model"을 가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능한 모든 공정관련 정보를 발전소에서 입력받아 각각의 기기, 계측기별 상세 비교를 하게 된다.
[그림 2]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2
[그림 3]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3
한편 이러한 물리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기 및 계측기 고장시 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압안전주입 유량전송기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계산되는 유량, 압력, 온도보다 실제측정 유량, 온도, 압력이 달라지게 되고 이는 유량 전송기 고장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Local Evaluation Model"에서 출력되는 결과들을 비교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도 1b는 "Local Evaluation Model"에서 출력되는 결과로서 안전주입유량(ft:605a : 160) 및 펌프출구유량(ft602a_fi: 162)을 시뮬레이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안전주입유량(ft:605a : 160)에 관련된 공정 정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안전주입유량(ft:605a : 160)의 시뮬레이션 결과만 변화되고 펌프출구유량(ft602a_fi: 162)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변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c는 안전주입유량(ft:605a : 174), 펌프입구 압력(pi601a_pr : 172), 및, 출구 압력(pt600a_pr : 170)를 시뮬레이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주입유량(ft:605a : 174)에 관련된 공정 정보에만 이상이 있는 경우, 도 1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안전주입유량(ft:605a : 174)의 시뮬레이션 결과만 변화되고, 펌프입구 압력(pi601a_pr : 172) 및 출구 압력(pt600a_pr : 170)의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변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d는 안전주입유량(ft:605a : 184)과, 열교환기 입구온도 (te604a_te : 182), 및 출구온도(te606a_te : 180)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정주입유량(ft:605a : 184)을 측정하는 기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안정주입유량(ft:605a : 184)에 관련된 공정 정보에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d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안전주입유량(ft:605a: 184)의 시뮬레이션 결과만 변화되고 열교환기 입구온도 (te604a_te : 182), 및, 출구온도 (te606a_te : 180)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변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특정 기기 또는 계측기의 오동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는 포함된 물리 모델들 및 각 물리 모델들에 포함된 계측기들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에 포함된 물리 모델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물리 모델에 포함된 계측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 모델은, 얼마든지 추가, 삭제,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추가, 삭제 또는 변경이 있는 경우, 상기 추가, 삭제 또는 변경에 따른 정보가 제어부(11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환경 영향 평가부(120)는, 상기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계측값들의 유효성을 물리 모델 없이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환경 영향 평가부(120)는 1차적으로 중대사고 감시용 계측기에서 제공되는 신호 값, 즉 계측값에 대하여 기 설정된 다양한 논리에 따라 유효성을 평가하는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와, 상기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원자로 건물의 환경요인에 따른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는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양한 논리는, 다중성 비교 평가, 다양성 비교평가 그리고 이력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다중성 비교 평가는 다중 채널간 비교점검으로서 특정 계측값에 대한 복수 채널의 값이 일관성을 갖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며, 다양성 비교 평가는 현재 계측된 계측값과 상호 연관성을 가지는 다른 변수 또는 계측값들간의 상화 상관 관계에 따라 그 값이 일관성을 갖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이력 평가는, 계측기의 이력 분석을 통해 해당 계측기가 고장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기의 환경 인자의 영향 분석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분석하는 논리는, 원자력 발전소의 각 구획에 설치된 계측기(센서)들의 환경 인자를 추정하고, 추정된 상기 계측기(센서) 주변의 환경과 상기 계측기의 환경 한계사항을 비교하여 상기 계측기에서 계측된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하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120)에 포함된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와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감지부(150)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 증상과 관련된 각종 센서의 계측 정보를 수신한다. 감지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은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하나 이상의 장소 또는 계통에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계측된 값들을 수신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계측된 값들을 기 설정된 방식으로 계산하고, 계산된 값들을 하나의 계측값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150)에서 계측된 값은 제어부(110)로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상기 계측된 값을 계측한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가 포함된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장소 또는 특정 계통(이하 특정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물리 모델이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120)를 통해 상기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물리 모델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를 통해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물리 모델이 있는 경우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 뿐만 아니라,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120)의 평가 결과를 모두 고려하여 상기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모든 과정들은, 온라인(On-line)으로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부(150), 환경 영향 평가부(120),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와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상기 감지부(150), 환경 영향 평가부(120),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를 제어 및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계측값 및, 환경 영향 평가부(120),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의 평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와 상기 감지부(150), 환경 영향 평가부(120),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와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에 포함된 환경 영향 평가부(120)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에 포함되는 환경 영향 평가부(120)는,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와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는 기 설정된 다양한 논리들(예를 들어 계측기의 환경 인자의 영향 분석을 통한 신뢰도 분석 논리, 계측기 이력 분석을 통한 고장 판별 논리, 다중 비교 논리 및 다양성 비교 논리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는 다중성 평가부(210), 다양성 평가부(220), 이력 평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성 평가부(210)는 상기 다중 비교 논리를 이용하여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일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주요 계측기는 다중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일반적으로 같은 발전소 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복수 개(통상 4 개)의 동일한 계측기에 의해 중복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중성 평가부(210)는 이러한 복수개의 계측기들에서의 출력을 상호 비교하여 이 중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계측기를 걸러내는 방법이다.
일 예로 세 채널 이상의 센서에서 계측된 값을 이용하며, A, B, C, D의 계측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들로부터 먼저 평균을 구한다((A+B+C+D)/4). 그리고 다음으로 편차를 구하여, 편차가 작은 정보들만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들에 대한 다중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정보들 중, 편차가 작은 순서대로 세 개만을 가지고 다시 평균을 구하고 이 평균값과 각각의 세 값의 편차를 구한 후, 구해진 세 채널의 편차가 기 설정된 수준(예를 들어 20%) 이하이면 다음과 같이 편차에 근거하여 다중도가 산출될 수 있다.
ex)
편차가 5% 이내이면 U= UD0
편차가 5~10% 사이이면 U는 UD1
편차가 10~20% 사이이면 U는 UD2
편차가 20이상이면 U는 UD3
한편 다양성 평가부(220)는 상기 다양성 비교 논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양성 비교 논리는, 현재 감지된 계측값과 상호 상관성을 가지는 변수들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변수들과 상기 계측값과의 상호 상관관계에 따라 그 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노심 온도와 상호 상관성을 갖는 변수는 원자로 수위, 냉각재 온도, 냉각재 압력, 원자로 건물 수소농도, 증기발생기 수위, 원자로 건물 방사능 준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노심 온도와 상호 상관성을 가지는 변수들은 원자력 발전소가 정상운전을 할 때뿐 만 아니라, 중대 사고를 비롯한 각종 사고 발생시에도 이들간의 상호 상관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호상관성이 일관성을 갖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유효성이 손상받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양성 평가부(220)에서 중대사고 시 계측기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성 평가 논리의 흐름은 하기 [그림 4]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다.
[그림 4]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4
한편 이력 평가부(230)는 상기 계측기의 이력 분석을 통한 고장 판별 논리에 따라 계측값의 유효성을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력 평가부(230)는 계측기 자체의 특성 또는 계측기의 고장시에 발생되는 특성 등에 따라 상기 계측값으로부터 상기 계측값을 센싱한 계측기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노심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력 평가부(230)에서 판단하는 요소 중 하나는 시정수 점검이다. 시정수 점검은 이력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열전대의 시정수가 약 1.5초라면 공정변화가 단계별로 변한다 할지라도 그 응답은 1.5초 이후에 이루어진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응답특성이 이보다 빠를 경우, 즉 1.5초 이전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유효성을 보장 못한다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는 센싱된 계측값이 비정상적인 주파수 특성을 보이거나 또는 특정 고장 상태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경우 이다. 이러한 이력 평가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5
여기에서 UT는 시정수 평가 결과를 의미하며, UO(오실레이션) 및 UN(노이즈) 는 주파수 특성분석 (예 FFT : Fast Fourier Transform) 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로부터 얻어지는 공정값은 공정 변화에 대한 주파수파수 특성과 주변 잡음에 의한 주파수 특성을 갖고 있다. 즉 정상시의 특성주파수가 존재한다.  만일 계측기의 고장모드가 오실레이션 형태이면 비정상적인 주파수 특성을 보이는데 이를 이용한다.
Ustuck은 계측기 신호가 일정시간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평가한 오차를 의미한다. Stuck이 되면 특성 주파수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이용하여 구한다.
여기서 U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의 시정수를 τ(tau)라 하고, 이전(t1) 공정변수의 측정값을 y1, 현재(t2) 공정변수의 측정값을 y2라 하면, 시정수에 의한 기울기(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6
)가 기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시정수를 정의하기 위한 값으로 실험 등을 통해 결정된 값일 수 있다(예를 들어 ‘0.63’).
그리고 입력되는 신호의 기울기(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7
)가 양수이고 이전값과 현재값의 차이의 절대치가 기 설정된 기준, 예를 들어 y1 X 5.0 X U 보다 클 경우에만 해당 값이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진행을 계속할 수 있다. 여기서 U는 데이터베이스의 센서 오차값으로, 계측기의 사고시에 허용되는 오차값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UT는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고, 그 값이,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8
이면 UT는 UT1으로,
Figure 112016020880122-pat00009
이면 UT는 UT2로 결정될 수 있다.
하기 [그림 5]는 이처럼 이력평가를 산출하는 예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림 5]
Figure 112016020880122-pat00010
한편, 이처럼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에서 검증된 결과들은,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는 추정되는 환경인자에 근거하여 보다 정확하게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대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노심손상이 발생하면, 원자로 건물 각 구획의 환경변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일차적 유효성이 판단된 측정가능변수 (예, 노심온도, 원자로 수위, 원자로 건물 압력, 일차계통 압력, 원자로 건물 수소농도, 원자로 건물 수위, 원자로 건물 습도 등) 들의 거동으로 각 구획의 환경변수를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된 각 구획의 환경변수는 계측기 자체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점을 이용하여 중대사고 판단변수 (예, 노심온도, 원자로 수위, 원자로 건물 압력, 일차계통 압력, 원자로 건물 수소농도, 원자로 건물 수위 등)에 대해 측정 신뢰도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는 환경 평가(계측기의 환경 인자의 영향 분석을 통한 신뢰도 분석 논리)를 수행하고, 환경 평가 결과와 상기 다중성 평가부(210)로부터 수신된 결과(다중성 비교 논리에 따른 다중도 평가 결과), 상기 다양성 평가부(220)로부터 수신된 결과(다양성 비교 논리에 따른 다양성 평가 결과), 및 이력 평가부(230)로부터 수신된 결과(계측기 이력 분석을 통한 고장 판별 논리에 따른 이력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감지된 계측값의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되는 신뢰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환경 평가는, 계측기(센서)의 환경 인자로 인한 불확실도 및 상기 계측기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는 케이블의 환경 인자, 또는 트랜스미터 등 계측기에 포함된 부품의 환경 인자로 인한 불확실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2는 이러한 환경에 의한 왜곡으로 인해 산출되는 불확실도를 이용하여 신뢰도(1-불확실도)를 산출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Figure 112016020880122-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6020880122-pat00012
상기 수학식 2에서 Us는 센서의 환경인자로 인한 불확실도, Uc는 케이블의 환경인자로 인한 불확실도, Ut는 트랜스미터의 환경인자로 인한 불확실도를 의미하며, 상기 Us, Uc, Ut는 실험에 의해 정해지거나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Us는 하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에 의한 왜곡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If 구역의 Environ estimation value < setpoint 1,  then UsT0
If setpoint 1 < 구역의 Environ estimation value < setpoint 2, then UsT1
If 구역의 Environ estimation value > setpoint 2,  then UsT2
고압, 고습, 고방사선에 의한 왜곡도 상기의 과정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Environ estimation value'라는 것은 환경 추정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환경 추정값(Environ estimation value)은 구획별 온도, 압력, 습도, 방사선량의 추정된 값을 의미한다. 환경 추정값은  일차적으로 유효성이 검증된 측정변수들 (예, 노심온도, 원자로 수위, 원자로 건물 압력, 일차계통 압력, 원자로 건물 수소농도, 원자로 건물 수위, 원자로 건물 습도 등)의 변화추이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대사고시 일차적 유효성이 검증된 노심온도의 거동은 노심용융, 원자로 용기 파괴, 그리고 원자로 건물손상 등 중대사고 현상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지니게 되는데, 이에 따라 원자로 건물 각 구획의 환경변수들도 일정한 패턴에 따라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환경변수들(온도(UsT), 압력(UsP), 습도(UsH), 방사선(UsR))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는 상기 산출된 환경 평가(신뢰도 분석 논리), 이력 평가(계측기 이력 분석을 통한 고장 판별 논리), 다중성 평가(다중 비교 논리) 및 다양성 평가(다양성 비교 논리)등을 종합하여 유효성을 검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은, 하기 수학식 3에서 산출되는 유효도(Credibility)에 따라 검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효도는 상기 평가 결과들(환경 평가, 다중성 평가, 다양성 평가, 이력 평가)을 종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6020880122-pat00013
상기 수학식 3에서 UE는 환경평가 결과를 의미하며, UH는 이력평가 결과를, UR는 다중성 평가 결과를, 그리고 UD는 다양성 평가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에서, 센싱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먼저 계측기의 계측값을 수신할 수 있다(S300).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계측기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에 따라, 그 사고와 관련된 특정 계통이나 특정 장소(이하 특정 시스템)에 포함된 것으로, 상기 발생된 사고 증상과 관련된 계측값을 센싱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사고가 발생된 특정 시스템에서 상기 사고 증상과 관련된 계측값을 실제로 센싱하는 계측기를 제1 센서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사고 증상과 관련된 계측값이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센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즉 상기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S302).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연결된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에 접속하여,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에 포함된 물리 모델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S302 단계의 체크 결과, 물리 모델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대응되는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를 제어하여, 해당 물리 모델에 상기 제1 센서를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에 입력된 것과 동일한 공정 정보 및/또는 공정 변수를 입력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입력되는 공정 정보 및/또는 공정 변수는 상기 특정 시스템의 사고 당시 상황에 대응되는 환경을 모사하도록 상기 사고 당시 상황에 따라 상기 특정 시스템에 입력된 것과 동일한 공정 정보 및/또는 공정 변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응되는 물리 모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센서를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의 물리적 구성 요소를 그대로 모사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 또는 작업을 모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1 센서와 동일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물리 모델에 포함된 센서를, 상기 제1 센서와 구분하기 위해, 상기 물리 모델에 포함된 센서를 제2 센서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러면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는 상기 입력된 공정 정보 및/또는 공정 변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센서를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특정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물리 모델에 구비된 제2 센서로부터 상기 S300 단계에서 감지된 계측값과 같은 유형의 계측값을 센싱할 수 있다(S312).
한편, 상기 S312 단계에서 상기 물리 모델에 포함된 제2 센서로부터 계측값이 센싱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4).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과 제2 센서의 계측값이 일정 수준 이상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S314 단계에서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으로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된 계측값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물리 모델이 있는 경우, 상기 물리 모델을 통해 센싱되는 계측값이 가장 정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S302 단계의 체크 결과, 상기 제1 센서를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술한 다양한 유효성 검증 논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S302 단계의 체크 결과, 상기 제1 센서를 포함하는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에 대한 다중성 평가, 다양성 평가, 및 이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304). 여기서 상기 S304 단계는 상기 다중성 평가부(210), 다양성 평가부(220), 이력 평가부(230)를 통해 각각의 비교 논리에 따라 유효성을 산출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에서 각각의 평가 논리에 따라 계측값의 유효성들이 검증되면, 제어부(110)는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를 제어하여 환경 평가 및 상기 계측값의 유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경 평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측기(센서)의 환경 인자로 인한 불확실도 및 상기 계측기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는 케이블 또는 부품의 불확실도에 따라 상기 수학식 2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는 산출된 환경 평가 결과와, 상기 선행 유효성 평가부(200)에서 산출된 결과들에 근거하여, 상기 계측값에 대한 유효도를 산출할 수 있다(S306). 예를 들어 상기 S306 단계에서 유효도를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수학식 3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환경 평가 결과, 이력 평가 결과, 다중성 평가 결과, 다양성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환경 유효성 평가부(250)로부터 상기 계측값에 대한 유효도가 평가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된 유효도에 근거하여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가된 유효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S300 단계에서 수신된 계측값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평가된 유효도가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S300 단계에서 수신된 계측값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 경우, 상기 물리 모델에 포함된 제2 센서의 계측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 역시 그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에서, 대상 계측기의 시스템을 모사한 물리 모델에서 센싱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S310 단계에서 입력된 공정 정보 및/또는 공정 변수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이 동작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이 센싱되면, 적어도 하나의 유효성 검증 논리에 따라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센서의 유효성 검증 논리는, 예를 들어 상기 다양성 논리와 같이 관련된 다른 계측기들의 계측값과의 상관 관계에 따라 그 유효 여부가 검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계측값들과의 상관 관계에 따라 그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S400 단계에서, 상기 상관 관계에 따라 설정되는 일정 범위 내에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2).
여기서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계측값들은, 해당 물리 모델에 포함된 다른 계측기들에서 감지된 것들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특정 시스템의 다른 계측기들로부터 감지되는 값들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130)는 이러한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 설정된 검증 논리(예를 들어 상관성 논리)에 따라 별도의 검증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센서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S402 단계에서, 제2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S31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402 단계에서,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도 3의 S300 단계에서 수신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도 3의 S304 단계로 진행하여 환경 영향 평가부(120)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다시 상기 S310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공정 정보 및/또는 공정 변수에 따라 동작하는 물리 모델로부터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을 다시 측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다시 상기 도 4의 계측값 유효성 검증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4의 과정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제2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S304 단계로 진행하여 환경 영향 평가부(120)의 평가 결과에 따라 유효성을 검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 역시 상기 유효하지 않은 제2 센서의 계측값과 마찬가지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400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 유효성을 검증하는 논리로 복수의 계측값들 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는 상관성 논리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 뿐만 아니라 다중성 비교 논리, 이력 분석을 통한 고장 판별 논리 등 다양한 검증 논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제1 센서의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S314 단계).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먼저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이 다양한 유효성 검증 논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에 따라 유효한 제1 센서의 계측값 만을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과 비교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에서, 실제 계측기에서 계측된 값과, 물리 모델에서 계측된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그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S312 단계에서 사고가 발생한 특정 시스템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로부터 제2 센서의 계측값이 검출되면,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도 3의 S300 단계에서 수시된 제1 센서의 계측값에 대해 다중성 평가, 다양성 평가 및 이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500). 그리고 상기 평가 결과들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에 대한 유효도를 산출할 수 있다(S502).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S502 단계에서 산출된 유효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4). 그리고 상기 S504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산출된 유효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이 아니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을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과 비교하지 않고서도,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12).
한편 상기 S504 단계의 판단 결과, 산출된 제1 센서 계측값의 유효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과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 역시, 상기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과정을 통해 그 유효성이 검증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비교 결과 계측값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수준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8). 그리고 상기 S508 단계의 비교 결과 계측값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10).
반면, 상기 S508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 및 제2 센서의 계측값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12).
이는 상기 제2 센서의 경우 실제 사고가 발생한 특정 시스템을 모사한 물리 모델에 포함된 것으로, 상기 제2 센서에서 계측되는 계측값은 입력된 공정 정보 및/또는 공정 변수에 의한 것일 뿐, 상기 사고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은, 비록 다양한 논리에 따라 유효성을 검증받았지만, 실제 사고가 발생한 현장에서 감지된 것으로, 발생한 사고로 인해 상기 검증 논리를 통해 드러나지 않는 다른 영향을 받은 것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제2 센서의 계측값과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차이가 발생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에서 상기 제1 센서 계측값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하의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로부터, 계측값의 유효성이 평가된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는, 원자력 발전소의 각 구역별로 계측기에서 센싱된 계측값들에 대한 유효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는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각 구역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물리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역에서 센싱된 계측값들을, 그 구역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을 이용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거나, 또는 복수의 유효성 검증 논리(다양성 평가, 다중성 평가, 이력 평가)를 통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물리 모델과 상기 복수의 유효성 검증 논리를 모두 이용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제어부(110)는 복수의 유효성 검증 논리에 따라 각 계측값의 유효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수준(예를 들어 70%)이하인 것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유효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계측값들을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의 요원이 해당 계측값의 신뢰도가 일정 수준 이하임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유효성 평가 장치(100)는 상기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제2 센서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그렇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도 8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물리 모델을 통해 평가된 유효 여부에 따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특정 구역이나 계통의 계측값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다중성 검증 논리, 다양성 검증 논리, 이력 검증 논리를 모두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얼마든지 이와 유사한 다른 검증 논리가 더 사용되거나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다중성 검증 논리, 다양성 검증 논리, 이력 검증 논리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측기로부터 감지된 계측값을 수신하는 감지부;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적 구성 요소들을 모사한 물리 모델을 포함하는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에 따라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환경 영향 평가부; 및,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에 구비된 제2 계측기에서 감지된 계측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센싱될 당시에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입력된 것과 동일한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이 동작하도록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는,
    복수의 채널의 센서에서 수신되는 계측값들의 다중성 비교 논리에 따라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다중성 평가부;
    복수의 다른 계측값들 또는 변수들과의 상호 상관성에 근거하여 상기 계측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다양성 평가부;
    상기 계측값을 감지한 계측기의 이력 분석에 따라 상기 계측기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이력 평가부; 및,
    상기 다중성 평가 결과, 다양성 평가 결과, 상기 이력 평가 결과와, 상기 계측기 주변 환경 인자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계측값의 유효도를 산출하는 환경 유효성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에서 산출된 유효도 평가 결과에 따라 판단하고,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한 경우, 상기 제2 계측기의 계측값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은,
    상기 원자력 발전소에서 기 설정된 중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계측기에서 센싱되는 계측값이며,
    상기 물리 모델은,
    상기 기 설정된 중대 사고에 관련된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구역 또는 특정 계통의 물리적 구성을 모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는,
    상기 제2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성을, 기 설정된 검증 논리에 따라 검증하기 위한 검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증부의 검증 결과, 상기 제2 계측기에서 감지된 계측값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계측기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상기 환경 영향 평가부, 및 상기 물리 모델 기반 평가부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온라인(on line)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장치.
  8. 원자력 발전소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측기로부터 감지된 계측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대응되는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물리 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리 모델에 구비된 제2 계측기로부터 계측값을 검출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에 따라 상기 제1 계측기 계측값의 유효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계측기로부터 검출된 계측값, 또는 상기 산출된 제1 계측값의 유효도에 따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은,
    상기 원자력 발전소에서 기 설정된 중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계측기에서 센싱되는 계측값이며,
    상기 물리 모델은,
    상기 중대 사고가 발생한 당시에,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입력되는 공정 정보 또는 공정 변수에 따라 동작하는 상태를 모사하는 모델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는,
    상기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계통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계측값을 서로 비교하여 다중 채널간 비교 점검을 수행하는 다중성 점검 논리와,
    상기 계측값과 상호 상관성을 가지는 다른 변수 또는 다른 계측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변수 또는 다른 계측값들과 상기 계측값과의 상호 상관관계에 따라 그 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다양성 검증 논리, 및, 
    상기 계측값을 감지한 계측기의 이력 분석을 통한 고장 판별 논리에 따라 계측값의 유효성을 점검하는 이력 점검 논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유효 여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증 논리에 따라 산출되는 유효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계측기의 계측값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측기로부터 계측값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계측기 계측값의 유효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계측기에서 감지된 계측값의 유효성을, 기 설정된 검증 논리에 따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계측기의 유효성 검증 결과에 따라 유효성이 검증된 제2 계측기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측기의 상기 제1 계측기의 계측값 유효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특정 영역이 또는 특정 계통의 계측값을, 다른 구역 또는 다른 계통의 계측값과 구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KR1020160025797A 2016-03-03 2016-03-03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173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797A KR101734289B1 (ko) 2016-03-03 2016-03-03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797A KR101734289B1 (ko) 2016-03-03 2016-03-03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289B1 true KR101734289B1 (ko) 2017-05-24

Family

ID=5905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797A KR101734289B1 (ko) 2016-03-03 2016-03-03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2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75B1 (ko) 2018-05-16 2019-01-21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통합도면에서 공통원인고장을 추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6606B1 (ko) 2018-05-16 2019-08-30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공통원인추적을 위한 통합도면제작방법 및 장치
KR102274139B1 (ko) * 2020-03-10 2021-07-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기술지침서 이행 실시간 감시시스템
KR20210112028A (ko) 2020-03-04 2021-09-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자력발전소 안전해석용 데이터 연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23116189A1 (zh) * 2022-08-22 2023-06-29 中广核工程有限公司 一种压水堆三维堆芯核热耦合方法和系统
WO2023146153A1 (ko) * 2022-01-26 2023-08-0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모듈형 분석코드를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의 중대사고 분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294A (ja) * 2001-10-04 2003-04-18 Toshiba Corp 発電プラントの監視・診断・検査・保全システム
KR101553892B1 (ko) * 2014-04-30 2015-09-17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발전소 중대사고 대응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294A (ja) * 2001-10-04 2003-04-18 Toshiba Corp 発電プラントの監視・診断・検査・保全システム
KR101553892B1 (ko) * 2014-04-30 2015-09-17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발전소 중대사고 대응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75B1 (ko) 2018-05-16 2019-01-21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통합도면에서 공통원인고장을 추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6606B1 (ko) 2018-05-16 2019-08-30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공통원인추적을 위한 통합도면제작방법 및 장치
US10817632B2 (en) 2018-05-16 2020-10-27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Integrated drawing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on cause tracing
US10817366B2 (en) 2018-05-16 2020-10-27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ing common cause failure in integrated drawing
KR20210112028A (ko) 2020-03-04 2021-09-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자력발전소 안전해석용 데이터 연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4139B1 (ko) * 2020-03-10 2021-07-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기술지침서 이행 실시간 감시시스템
WO2023146153A1 (ko) * 2022-01-26 2023-08-0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모듈형 분석코드를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의 중대사고 분석 방법
WO2023116189A1 (zh) * 2022-08-22 2023-06-29 中广核工程有限公司 一种压水堆三维堆芯核热耦合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289B1 (ko)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의 유효성 평가 방법 및 장치
Hashemian State-of-the-art predictive maintenance techniques
Li et al. Sensor fault detection with generalized likelihood ratio and correlation coefficient for bridge SHM
US8417432B2 (en) Method for calculating confidence on prediction in fault diagnosis systems
KR101978569B1 (ko) 플랜트 데이터 예측 장치 및 방법
RU2601669C2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измерительной схемы турбореактивного двигателя
CN102265042B (zh) 海底控制系统诊断
KR101553892B1 (ko) 원자력 발전소 중대사고 대응 장치 및 방법
KR101624968B1 (ko) 데이터 정형화 처리기 및 실시간 제어 분석기를 이용한 사고 회복 방법 및 사고 회복 장치
KR20190025474A (ko) 플랜트 데이터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241650B1 (ko) 딥러닝 기반의 화력 발전소 재과열기 튜브의 누설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JP6523815B2 (ja) プラント診断装置及びプラント診断方法
KR20190115953A (ko) 편차의 변화율을 이용한 발전 설비의 위험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6502018B1 (en) Method for diagnosis of equipment
JP2012018623A (ja) 異常データ分析システム
Coble et al. Calibration monitoring for sensor calibration interval extension: Identifying technical gaps
JP5792667B2 (ja) センサ診断装置及びセンサ診断方法
JP3394817B2 (ja) プラント診断装置
US20160195872A1 (en) System for Assisting Operation at the Time of Plant Accident and Method for Assisting Operation at the Time of Plant Accident
KR20180034071A (ko) 가스 배관 위험성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EP2956751B1 (en) Method and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 structure
Dzakowic et al. Advanced Techniques for th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prognostics & health management capabilities
KR20160015694A (ko) 3차원 변위측정장치에 연계된 배관 수명관리시스템
JP4786670B2 (ja) 計測器ドリフト検知装置
Bitanov Reliability study of subsea control module with focus on statistical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