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015B1 -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015B1
KR101734015B1 KR1020150175989A KR20150175989A KR101734015B1 KR 101734015 B1 KR101734015 B1 KR 101734015B1 KR 1020150175989 A KR1020150175989 A KR 1020150175989A KR 20150175989 A KR20150175989 A KR 20150175989A KR 101734015 B1 KR101734015 B1 KR 10173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crew shaft
transparent plate
plate fixing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등에 투광판을 설치시 1차 고정너트를 체결한 후 2차로 마감 장식부재로 부가 체결함으로써 유지 보수시 마감 장식부재는 손으로 풀 수 있어도 고정너트는 손으로 풀지 못하고 공구만를 이용하여 풀 수 있도록 하여 투광판의 낙하에 따른 위험을 1차 배제하며 또한 전문 수리공이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전기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하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광판을 고정하는 천정등용 투광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판에 하부로 도출되게 구비되고 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축과; 상기 투광판에 나사축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나사축의 나사부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부가 관통홀의 둘레에 밀착되고, 외주연은 공구로 돌릴 수 있도록 육각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투광판 고정너트와; 상기 나사축의 하부에 나사축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Light permeation board fixing device for ceiling lighting}
본 발명은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등에 투광판을 설치시 1차 고정너트를 체결한 후 2차로 마감 장식부재로 부가 체결함으로써 유지 보수시 마감 장식부재는 손으로 풀 수 있어도 고정너트는 손으로 풀지 못하고 공구만를 이용하여 풀 수 있도록 하여 투광판의 낙하에 따른 위험을 1차 배제하며 또한 전문 수리공이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전기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실내공간에는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천정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천정등의 광원으로는 형광등이나 소모 전력이 작고 수명이 긴 엘이디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정등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08167호의 “엘이디 간접 조명식 천정등”(이하, “종래의 천정등”이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천정등은 천정에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광원과, 상기 케이스의 상판 양측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나사축과, 상기 양측의 나사축에 관통되어 캡 너트의 조임을 통해 케이스의 하부를 커버하는 반투명의 광 투과판(이하, “투광판”이라 한다.)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천정등의 내부를 수리하거나 전등을 교체할 경우에는, 먼저, 손으로 캡 너트를 풀어 투광판을 분리한 후, 내부를 수리하거나 전등을 교체한 다음, 다시 캡 너트를 조이는 과정을 통해 투광판을 고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천정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천정등의 내부에 엘이디의 조명이 꺼질 경우에는, 사용자가 캡 너트를 손을 이용하여 쉽게 푼 후에, 투광판을 분리한 후 사용자가 전기가 흐르는 엘이디 기판을 손으로 만지면서 수리를 해보는 과정에서 투광판이 낙하하거나 내부 부품을 만지는 과정에서 감전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천정등은 광 투과판을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사용자가 손으로 풀지 못하게 하는 한편, 고정너트를 드라이버나 전동렌치 등의 공구로만 풀 수 있는 천정등만 시중에 시판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이 제정되었다. 즉, 상기 공구로만 상기 고정너트를 풀 수 있게 하는 법의 취지는, 조명을 모르는 사용자가 손으로 손쉽게 광 투광판을 해체 분리하여 엘이디 기판을 만지지 못하게 하고, 조명의 전문 수리자만이 공구를 이용하여 천정등의 광 투과판을 해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취지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08167호의 “엘이디 간접 조명식 천정등”(2012.11.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등에 투광판을 설치시 1차 고정너트를 체결한 후 2차로 마감 장식부재로 부가 체결함으로써 투광판의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유지 보수시 마감 장식부재는 손으로 풀 수 있어도 고정너트는 손으로 풀지 못하고 공구만를 이용하여 풀 수 있도록 하여 투광판의 낙하에 따른 위험을 1차 배제하며 전문 수리공이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전기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사축의 하부에 마감 장식부를 체결을 통해 더 구비함으로써 마감 장식부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사축의 하부에 마감 장식물을 자력을 통해 부착함으로써 마감 장식부를 좀 더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력으로 고정된 마감 장식부의 상부 둘레를 투광판 고정너트의 둘레 확장원판에 억지끼워맞춤으로 더 고정함으로써, 자력으로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를 나사축의 하부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는, 케이스의 하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광판을 고정하는 천정등용 투광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판에 하부로 도출되게 구비되고 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축과; 상기 투광판에 나사축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나사축의 나사부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부가 관통홀의 둘레에 밀착되고, 외주연은 공구로 돌릴 수 있도록 육각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투광판 고정너트와; 상기 나사축의 하부에 나사축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의 상기 마감 장식부는,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 중앙에 삽입 구비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 너트와, 상기 장식 캡 너트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의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는,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의 관통홀의 둘레를 확장된 면적으로 받혀주는 둘레 확장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의 상기 마감 장식부는, 상기 나사부에 관통되는 자석링이 내부의 중앙에 고정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과, 상기 장식 캡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의 상기 마감 장식부는, 상기 나사축의 하부 단면에 부착되는 자석판이 내부의 중앙에 상부로 노출되게 고정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과, 상기 장식 캡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의 상기 둘레 커버판은, 상기 둘레 확장원판의 외측 둘레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워맞춤을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의 상기 둘레 커버판의 둘레에는, 둘레 커버판을 상기 둘레 확장원판에 용이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장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천정등에 투광판을 설치시 1차 고정너트를 체결한 후 2차로 마감 장식부재로 부가 체결함으로써 유지 보수시 마감 장식부재는 손으로 풀 수 있어도 고정너트는 손으로 풀지 못하고 공구만를 이용하여 풀 수 있도록 하여 투광판의 낙하에 따른 위험을 1차 배제하며 또한 전문 수리공이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전기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천정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축의 하부에 마감 장식부를 체결을 통해 더 구비함에 따라, 마감 장식부를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써 천정등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축의 하부에 마감 장식물을 자력을 통해 부착함에 따라, 마감 장식부를 좀 더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써 천정등의 생산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으로 고정된 마감 장식부의 상부 둘레를 투광판 고정너트의 둘레 확장원판에 억지끼워맞춤으로 더 고정함으로써, 자력으로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를 나사축의 하부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는 천정등을 구성하는 케이스(1)의 하부 개방부에 구비되는 투광판(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투광판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1)의 상판에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축(3)과, 상기 투광판(2)에 나사축(3)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과, 상기 나사축(3)의 나사부(31)에 관통 체결되는 투광판 고정너트(5)와, 상기 나사축(3)의 하부에 나사축(3)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분리가 가능하게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는 상부가 상판으로 막혀있고, 상판의 하부에는 광원인 엘이디들이 장착된 엘이디 기판이 구비되고, 상판의 둘레에는 광원을 차단하는 둘레판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하부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투광판(2)은 케이스(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개방부를 광이 투과되게 커버하는 것으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통상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축(3)은 투광판(2)의 관통홀(4)에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의 상판에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3)의 하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가 체결되는 나사부(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나사축(3)은 케이스(1)의 상판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축(3)은 이미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축(3)의 나사부(31)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부가 관통홀(4)의 둘레에 밀착되는 것으로, 외주연은 공구로만 조이거나 풀을 수 있도록 육각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외주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는 상부에는 상기 투광판(2)의 관통홀(4)의 둘레를 확장된 면적으로 받혀줄 수 있도록 둘레 확장원판(5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둘레 확장원판(51)이 투광판(2)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투광판 고정너트(5)를 통해 상기 투광판(2)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마감 장식부(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축(3)의 하부에 나사축(3)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나사축(3)의 하부를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마감 장식부(6)는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을 노출되지 않게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31)에 체결되는 너트(611)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 중앙에 삽입 구비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 너트(61)와, 상기 장식 캡 너트(61)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식 캡 너트(61)는 손으로 돌릴 수 있는 것으로, 외측의 둘레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홈이 수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투광판 고정장치를 통해 투광판(2)을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를 통해 투광판(2)을 고정할 경우에는, 먼저, 케이스(1)의 하부에 투광판(2)을 배치시켜 투광판(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4)을 케이스(1)의 상판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나사축(3)에 관통시킨다.
다음 상기 관통홀(4)을 관통하는 나사축(3)의 나사부(31)에 전동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투광판 고정너트(5)를 체결함으로써, 케이스(1)의 하부에 투광판(2)을 고정한다.
다음 최종적으로 장식 캡 너트(61)를 상기 나사부(31)의 하부에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장식 캡 너트(61)로 투광판 고정너트(5)의 하부와 둘레를 커버함으로써, 투광판(2)의 장착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광판(2)을 고정하는 투광판 고정너트(5)를 손으로 풀 수 없도록 하고, 조명의 전문 수리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투광판 고정너트(5)를 풀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를 모르는 천정등 사용자의 감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천정등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아울러 상기 나사축(3)의 하부에 마감 장식부(6)를 체결을 통해 간단하게 체결함에 따라, 마감 장식부(6)를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써 천정등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투광판 고정장치는 상기 일 실시예의 투광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마감 장식부(6)의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투광판 고정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투광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마감 장식부(6)는, 마감 장식부(6)를 상기 나사축(3) 나사부(31)의 둘레에 자력을 통해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31)에 관통되는 자석링(621)이 내부의 중앙에 고정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62)과, 상기 장식 캡(62)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감 장식부(6)를 자석링(621)을 통해 상기 나사축(3)의 하부에 부착함에 따라, 마감 장식부(6)를 좀 더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써 천정등의 생산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둘레 커버판(C)은 상기 둘레 확장원판(51)의 외측 둘레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져 고정함으로써, 자력으로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6)를 나사축(3)의 하부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둘레 커버판(C)의 둘레에는 둘레 커버판(C)을 상기 둘레 확장원판(51)에 용이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장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투광판 고정장치는 상기 일 실시예의 투광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마감 장식부(6)의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투광판 고정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투광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마감 장식부(6)는, 마감 장식부(6)를 상기 나사축(3)의 하부 단면에 자력을 통해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축(3)의 하부 단면에 부착되는 자석판(631)이 내부의 중앙에 상부로 노출되게 고정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63)과, 상기 장식 캡(63)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감 장식부(6)를 자석판(631)을 통해 상기 나사축(3)의 하부 단면에 부착함에 따라, 마감 장식부(6)를 좀 더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써 천정등의 생산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둘레 커버판(C)은 상기 둘레 확장원판(51)의 외측 둘레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워맞춤을 끼워져 고정함으로써, 자력으로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6)를 나사축(3)의 하부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둘레 커버판(C)의 둘레에는 둘레 커버판(C)을 상기 둘레 확장원판(51)에 용이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장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케이스
2 : 투광판
3 : 나사축
31 : 나사부
4 : 관통홀
5 : 투광판 고정너트
51 : 둘레 확장원판
6 : 마감 장식부
61 : 장식 캡 너트
611 : 너트
62 : 장식 캡
621 : 자석링
63 : 장식 캡
631 : 자석판
C : 둘레 커버판
G : 수직장홈

Claims (7)

  1. 케이스(1)의 하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광판(2)을 고정하는 천정등용 투광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1)의 상판에 하부로 도출되게 구비되고 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축(3)과;
    상기 투광판(2)에 나사축(3)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과;
    상기 나사축(3)의 나사부(31)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부가 관통홀(4)의 둘레에 밀착되고, 외주연은 공구로 돌릴 수 있도록 육각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투광판 고정너트(5)와;
    상기 나사축(3)의 하부에 나사축(3)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6);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는,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2)의 관통홀(4)의 둘레를 확장된 면적으로 받혀주는 둘레 확장원판(5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 장식부(6)는,
    상기 나사부(31)에 관통되는 자석링(62)이 내부의 중앙에 고정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62)과,
    상기 장식 캡(62)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장식부(6)는,
    상기 나사부(31)에 체결되는 너트(611)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내부 중앙에 삽입 구비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 너트(61)와,
    상기 장식 캡 너트(61)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케이스(1)의 하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광판(2)을 고정하는 천정등용 투광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1)의 상판에 하부로 도출되게 구비되고 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축(3)과;
    상기 투광판(2)에 나사축(3)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과;
    상기 나사축(3)의 나사부(31)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부가 관통홀(4)의 둘레에 밀착되고, 외주연은 공구로 돌릴 수 있도록 육각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투광판 고정너트(5)와;
    상기 나사축(3)의 하부에 나사축(3)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마감 장식부(6);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는,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2)의 관통홀(4)의 둘레를 확장된 면적으로 받혀주는 둘레 확장원판(5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 장식부(6)는,
    상기 나사축(3)의 하부 단면에 부착되는 자석판(631)이 내부의 중앙에 상부로 노출되게 고정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장식 캡(63)과,
    상기 장식 캡(63)의 상부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 고정너트(5)의 둘레를 커버하는 둘레 커버판(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커버판(C)은,
    상기 둘레 확장원판(51)의 외측 둘레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워맞춤을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커버판(C)의 둘레에는,
    둘레 커버판(C)을 상기 둘레 확장원판(51)에 용이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장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KR1020150175989A 2015-12-10 2015-12-10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KR10173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989A KR101734015B1 (ko) 2015-12-10 2015-12-10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989A KR101734015B1 (ko) 2015-12-10 2015-12-10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015B1 true KR101734015B1 (ko) 2017-05-11

Family

ID=5874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989A KR101734015B1 (ko) 2015-12-10 2015-12-10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0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4114B1 (en) LED module and assembly
KR200476823Y1 (ko) 커버의 탈착이 용이한 엘이디조명등
KR101734015B1 (ko) 천정등의 투광판 고정장치
KR20120051569A (ko) 천정 매립형 조명등기구
KR20170003459U (ko) 엘이디 조명등
KR200483030Y1 (ko) 엘이디 천정등의 광 투과커버 고정장치
KR20160002823U (ko) 작업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된 등기구커버
KR101487985B1 (ko) 메인 트랜스 컨버터 교체가 용이한 면 광원등기구
KR101832913B1 (ko) 채널간판 및 그 채널간판 제조방법
KR20170003299U (ko) 천장등기구용 장착브라켓
KR200422873Y1 (ko) 천장등 커버 결합장치
KR101691210B1 (ko) Led 조명기구의 조명커버 결합구
KR200395605Y1 (ko) 천정등 교체기구
KR20170067577A (ko) 천정등의 광 투과판 고정장치
KR100978199B1 (ko) 천장등 케이스와 커버의 결합장치
KR100810081B1 (ko) 매립형 조명등의 커버하우징
KR101393377B1 (ko) 탈착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천정등
KR100854311B1 (ko) 매립형 조명등의 커버하우징
CN202852630U (zh) Led筒灯
JP3032409B2 (ja) 照明器具
KR20170039359A (ko) 천정등의 광 투과판 고정장치
CN108954119B (zh) Led天花射灯
KR101778000B1 (ko) 칵테일 잔 형태로 된 장식 조명등
CN208620150U (zh) 灯具的灯壳结构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