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166B1 -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166B1
KR101733166B1 KR1020150156663A KR20150156663A KR101733166B1 KR 101733166 B1 KR101733166 B1 KR 101733166B1 KR 1020150156663 A KR1020150156663 A KR 1020150156663A KR 20150156663 A KR20150156663 A KR 20150156663A KR 101733166 B1 KR101733166 B1 KR 101733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utlet
differential pressure
heat exchang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철
이종준
임신영
송강섭
김용찬
백창현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5015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7/00Measuring quantity of heat
    • G01K17/06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 G01K17/08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based up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of a temperature
    • G01K17/10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based up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of a temperature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point, combined with measurement of rate of flow of the medium if such, by integration during a certain time-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과 2차측 배관에 설치되되, 직관부에 설치되어 1, 2차측 유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유량계와;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의 입출구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1, 2차측 입출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의 입출구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에 설치된 압력계에 각각 연결되어 1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를 분기시키는 고압 호스와;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압 호스와 연결되어 고압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1차측 배관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과 2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의 압력을 측정하여 각각의 차압을 측정하고, 각각의 차압을 디스플레이하는 차압 측정 유니트;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초음파 유량계와 온도 센서 및 차압 측정 유니트로부터 측정된 1, 2차측 유량과 1, 2차측 입출구 온도 및 1, 2차측 입출구 차압을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량을 통해 남은 수명을 산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열량 측정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POTABLE HEAT EXCHANGER PERFORMANCE DIAGNOST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고, 열교환기의 성능을 확인하여 최적의 교체시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은 아파트, 주택, 상가, 사무실, 학교, 병원, 공장 등 각종건물이 개별난방 시설을 갖추는 대신 집중된 대규모 열원시설(열병합발전소, 열전용 보일러, 쓰레기 소각로 등)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이용하여 지역전체에 난방 및 급탕을 공급하며, 쾌적한 도시환경을 창조하고 에너지 절약과 환경공해 개선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난방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난방설비를 갖추는 개별난방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즉, 지역난방은 한 개의 도시 또는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주택, 상가, 사무실, 학교, 병원, 공장 등 각종 건물이 개별적으로 난방설비를 갖추지 않고, 대규모 열생산시설, 즉 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여 난방 및 급탕에 필요한 고온수(110℃ 이상)를 생산하여 고압(16bar)의 압력으로 열수송관을 통해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집단에너지 공급방식 중 하나이다.
한편, 이러한 지역난방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열병합 시스템이 필요한데, 열병합 시스템은 하나의 에너지원(연료)으로부터 두가지 이상의 유용한 에너지(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한편, 지역난방 시스템은 고온수(110℃ 이상)를 생산하는 보일러와, 열부하가 낮거나 전력판매가격이 높은 시간에 보일러에서 생산된 잉여 고온수를 저장하였다가 열부하가 높은 시간에 저장열을 방출함으로서 일일 첨두부하를 담당하는 고온수 저장 탱크인 축열조와, 보일러에서 생산되거나 축열조에 저장된 고온수를 전달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된 온수를 고압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순환펌프에는 사용자 열교환기를 통해 열공급대상지역까지 열을 수송 및 회수하도록 2중 단열 보온관으로 이루어진 열공급관과 열배관으로 이루어진 열수송관이 연결된다.
한편, 열교환기는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파울링의 형성으로 인해 열전달 성능이 감소하고 압력강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추가적인 펌프의 동력을 요구하여 운영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열교환기의 성능저하 정도를 외부에서 정밀하게 측정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대부분은 확인 작업없이 일정기간 사용 후 열교환기를 분해하여 세정 또는 교체작업을 실시하거나 또는 1,2차측 입출구에 부착되어 있는 압력계를 통해서 차압을 측정하여 교체시기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교체 및 세정작업을 실시하지만 이는 압력계의 정밀성 부족, 열교환기 모델별 특성 미반영, 압력강하와 열교환 성능 등의 대한 관계식 미흡 등의 이유로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확한 분석을 통해 교체 및 세정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열교환기의 적정수명까지 사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열교환기 교체 및 세정 비용의 증가, 교체 및 세정 작업간 발생할 수 있는 가스켓, 열판 손상 가능성 증가, 가동중단에 따른 손실 발생, 열교환기의 효율 저하 상태 하에서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운영비용의 증가 등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10-1552087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1-00880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고, 열교환기의 성능을 확인하여 최적의 교체시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과 2차측 배관에 설치되되, 직관부에 설치되어 1, 2차측 유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유량계와; 상기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의 입출구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1, 2차측 입출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의 입출구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에 설치된 압력계에 각각 연결되어 1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를 분기시키는 고압 호스와;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압 호스와 연결되어 고압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1차측 배관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과 2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의 압력을 측정하여 각각의 차압을 측정하고, 각각의 차압을 디스플레이하는 차압 측정 유니트;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초음파 유량계와 온도 센서 및 차압 측정 유니트로부터 측정된 1, 2차측 유량과 1, 2차측 입출구 온도 및 1, 2차측 입출구 차압을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량을 통해 남은 수명을 산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열량 측정 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차압 측정 유니트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압 측정 유니트용 전원부와; 상기 고압 호스가 각각 연결되는 고압 호스용 커넥터와; 각각의 상기 고압 호스용 커넥터로 유입된 1차측 배관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과 2차측 배관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을 측정하는 차압계와; 상기 열량 측정 유니트가 상기 차압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압계용 커넥터; 및 상기 차압계에서 측정된 차압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인디케이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열량 측정 유니트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량 측정 유니트용 전원부와; 각각의 상기 초음파 유량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음파 유량계용 커넥터와; 각각의 상기 온도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용 커넥터와; 상기 차압 측정 유니트의 차압계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압 측정 유니트용 커넥터와; 상기 초음파 유량계용 커넥터, 온도 센서용 커넥터 및 차압 측정 유니트용 커넥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외부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수명 계산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상기 수명 계산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량을 통해 남은 수명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열량 측정 유니트는 상기 수명 계산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USB 포트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상기 온도 센서와 초음파 유량계로부터 1, 2차측 입출구 온도와 1, 2차측 유량을 통해 1차측과 2차측 물의 비열, 밀도, 체적유량, 입출구 온도차를 산출하고, 이를 값을 이용하여 1차측 열량과 2차측 열량을 산출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열교환율을 산출한 다음, 열교환율에 따른 교체시기를 테이블과 비교하여 남은 수명을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하면서 열교환 성능을 정밀하게 진단함으로써 열교환기 교체 및 세정주기에 맞춰 열교환기를 경제적으로 운영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열병합발전 등을 통해 만들어진 열에너지를 지역난방 등에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중 차압 측정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중 열량 측정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중 차압 측정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중 열량 측정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100)는 초음파 유량계(110)와, 온도 센서(120)와, 고압 호스(130)와, 차압 측정 유니트(140) 및 열량 측정 유니트(150)를 포함한다.
먼저, 초음파 유량계(110)는 열교환기(1)의 1차측 배관(3)의 입구(3-1) 또는 출구(3-2)와, 2차측 배관(5)의 입구(5-1) 또는 출구(5-2)에 설치되되, 직관부에 설치되어 1, 2차측 유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온도 센서(120)는 열교환기(1)의 1차측 배관(3)의 입출구(3-1, 3-2)와 열교환기(1)의 2차측 배관(5)의 입출구(5-1, 5-2)에 각각 설치되어 1, 2차측 입출구 온도를 측정한다.
또한, 고압 호스(130)는 1차측 배관(3)의 입출구(3-1, 3-2)와 열교환기(1)의 2차측 배관(5)의 입출구(5-1, 5-2)에 각각 설치된 압력계(7)에 각각 연결되어 1차측 배관(3)의 입출구 온수와 2차측 배관(5)의 입출구 온수를 분기시킨다.
또, 차압 측정 유니트(140)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고압 호스(130)와 연결되어 고압 호스(130)를 통해 유입되는 1차측 배관(3)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과 2차측 배관(5)의 입출구 온수의 압력을 측정하여 각각의 차압을 측정하고, 각각의 차압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차압 측정 유니트(140)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압 측정 유니트용 전원부(141)와, 고압 호스(130)가 각각 연결되는 고압 호스용 커넥터(143)와, 각각의 고압 호스용 커넥터(143)로 유입된 1차측 배관(3)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과 2차측 배관(5)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을 측정하는 차압계(145)와, 하기에서 설명할 열량 측정 유니트(150)가 차압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압계용 커넥터(147) 및 차압계(145)에서 측정된 차압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인디케이터(149)로 구성된다. 이때, 차압 측정 유니트(140)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케이스(미도시)에 각 구성부가 수납되고, 차압 측정 유니트용 전원부(141)는 사용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로 구성된다.
한편, 열량 측정 유니트(150)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초음파 유량계(110)와 온도 센서(120) 및 차압 측정 유니트(140)로부터 측정된 1, 2차측 배관(3, 5)의 1, 2차측 유량과 1, 2차측 배관(3, 5)의 1, 2차측 입출구 온도 및 1, 2차측 배관(3, 5)의 1, 2차측 입출구 차압을 이용하여 열교환기(1)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량을 통해 남은 수명을 산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열량 측정 유니트(150)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량 측정 유니트용 전원부(151)와, 각각의 초음파 유량계(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음파 유량계용 커넥터(152)와, 각각의 온도 센서(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용 커넥터(153)와, 차압 측정 유니트(140)의 차압계용 커넥터(14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압 측정 유니트용 커넥터(154)와, 초음파 유량계용 커넥터(152), 온도 센서용 커넥터(153), 차압 측정 유니트용 커넥터(15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55)와, 데이터 수집부(155)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6)와, 하기에서 설명할 중앙처리장치(158)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57) 및 수명 계산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수명 계산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부(156)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열교환기(1)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량을 통해 남은 수명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7)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중앙처리장치(158)를 포함한다. 이때, 열량 측정 유니트(150)는 수명 계산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USB 포트(159)를 더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56)는 RS-232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58)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온도 센서(120)와 초음파 유량계(110)로부터 1, 2차측 입출구 온도와 1, 2차측 유량을 통해 1차측과 2차측 물의 비열, 밀도, 체적유량, 입출구 온도를 산출하고, 이를 값을 이용하여 1차측 열량과 2차측 열량을 산출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열교환율을 산출한 다음, 열교환율에 따른 교체시기를 테이블과 비교하여 남은 수명을 산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처리장치(158)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통신 인터페이스부(156)를 통해 초음파 유량계(110)와 온도 센서(120) 및 차압 측정 유니트(140)로부터 측정된 1, 2차측 배관(3, 5)의 1, 2차측 유량과 1, 2차측 배관(3, 5)의 1, 2차측 입출구 온도 및 1, 2차측 배관(3, 5)의 1, 2차측 입출구 차압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런 다음, 중앙처리장치(158)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1차측과 2차측 물의 비열(ch, cc), 밀도(ρh, ρc), 체적유량(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1
), 입출구 온도차(Th)를 산출한다. 이때,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비열(ch, cc), 밀도(ρh, ρc)는 일정한 값이 아니라 온도에 따라 약간씩 변하는 값이므로 1, 2차측 각각 평균온도((Tin + Tout)/2)의 값에 해당하는 비열, 밀도의 값을 테이블과 비교하여 해당 값을 추출한다.
이어서, 중앙처리장치(158)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1차측과 2차측 물의 비열(ch, cc), 밀도(ρh, ρc), 체적유량(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2
), 입출구 온도차(Th,in-Th,out, Tc,in-Tc,out)를 이용하여 1차측 열량과 2차측 열량을 산출한다.
즉,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1차측 열량(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3
)을 산출하고, 수학식 2를 이용하여 2차측 열량(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4
)을 산출한다.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5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6
1차측 열량(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7
)과 2차측 열량(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8
)이 산출되면, 중앙처리장치(158)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2차측 열량(
Figure 112015108818657-pat00009
)에서 1차측 열량(
Figure 112015108818657-pat00010
)을 나눠 열교환율을 산출한다. 이때, 열교환율은 파울링으로 인한 단열효과로 인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차압은 파울링으로 인한 유로면적의 감소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즉 파울링이 형성되면 열교환율과 차압 모두 변화가 오게 된다. 물론, 전열판의 특성이나 운전조건, 수처리제 종류 등에 따라서 조금씩은 다르겠지만 위의 변화에 따라 파울링의 형성정도, 열교환율, 차압과의 관계식이 형성될 수 있고, 열교환율을 측정된 데이터로 계산하였을 때 그에 해당하는 차압이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차압 측정 유니트(140)로부터 측정된 차압이 관계식에서의 차압과 차이가 크다면 열교환율 측정에 있어서 문제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처리장치(158)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이를 통해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58)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열교환율을 산출한 다음, 열교환율에 따른 교체시기를 아래의 표 1과 같은 테이블과 비교하여 남은 수명을 산출한다.
Figure 112015108818657-pat00011
즉, 전열판의 특성이나 운전조건, 수처리제 종류 등에 따라서 조금씩은 다르겠지만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열교환율이 100에서 90이 되면 수명이 다한 것으로 본다면, 만약 현재 3년을 사용하였을 때 열교환율이 95라면 이는 선형적 관계로 보았을 때 열교환율이 90이 될 때까지 3년이 추가로 더 걸림을 알 수 있고, 이는 남은 수명이 3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일반적으로 파울링 생성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선형적 관계에 가까우므로 최초로 교체시기의 열교환율 값과 현재의 사용시기를 입력하면, 테이블과 비교하여 남은 수명을 도출하게 된다. 그리고 혹시라도 현재의 사용기간을 모른다면 충분한 기간을 두고 2번을 측정하게 되면 둘 사이의 관계를 통해 남은 수명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열교환기 3 : 1차측 배관
5 : 2차측 배관 110 : 초음파 유량계
120 : 온도 센서 130 : 고압 호스
140 : 차압 측정 유니트 150 : 열량 측정 유니트

Claims (5)

  1.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과 2차측 배관에 설치되되, 직관부에 설치되어 1, 2차측 유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유량계와;
    상기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의 입출구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1, 2차측 입출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의 1차측 배관의 입출구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에 설치된 압력계에 각각 연결되어 1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와 2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를 분기시키는 고압 호스와;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압 호스와 연결되어 고압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1차측 배관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과 2차측 배관의 입출구 온수의 압력을 측정하여 각각의 차압을 측정하고, 각각의 차압을 디스플레이하는 차압 측정 유니트;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초음파 유량계와 온도 센서 및 차압 측정 유니트로부터 측정된 1, 2차측 유량과 1, 2차측 입출구 온도 및 1, 2차측 입출구 차압을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량을 통해 남은 수명을 산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열량 측정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압 측정 유니트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압 측정 유니트용 전원부와;
    상기 고압 호스가 각각 연결되는 고압 호스용 커넥터와;
    각각의 상기 고압 호스용 커넥터로 유입된 1차측 배관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과 2차측 배관의 온수의 입출구 압력을 측정하는 차압계와;
    상기 열량 측정 유니트가 상기 차압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압계용 커넥터; 및
    상기 차압계에서 측정된 차압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인디케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 측정 유니트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량 측정 유니트용 전원부와;
    각각의 상기 초음파 유량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음파 유량계용 커넥터와;
    각각의 상기 온도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용 커넥터와;
    상기 차압 측정 유니트의 차압계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압 측정 유니트용 커넥터와;
    상기 초음파 유량계용 커넥터, 온도 센서용 커넥터 및 차압 측정 유니트용 커넥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외부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수명 계산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상기 수명 계산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량을 통해 남은 수명을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 측정 유니트는,
    상기 수명 계산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수명 계산 프로그램은,
    상기 온도 센서와 초음파 유량계로부터 1, 2차측 입출구 온도와 1, 2차측 유량을 통해 1차측과 2차측 물의 비열, 밀도, 체적유량, 입출구 온도차를 산출하고, 이를 값을 이용하여 1차측 열량과 2차측 열량을 산출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열교환율을 산출한 다음, 열교환율에 따른 교체시기를 테이블과 비교하여 남은 수명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KR1020150156663A 2015-11-09 2015-11-09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KR101733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63A KR101733166B1 (ko) 2015-11-09 2015-11-09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63A KR101733166B1 (ko) 2015-11-09 2015-11-09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166B1 true KR101733166B1 (ko) 2017-05-08

Family

ID=6016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663A KR101733166B1 (ko) 2015-11-09 2015-11-09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1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3008A (zh) * 2017-05-23 2020-01-07 林德股份公司 用于求取流体流过的过程工程装置的剩余使用寿命的方法和系统
KR102056326B1 (ko) * 2019-06-05 2020-01-22 장한기술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오염도 판단 방법
KR20210093945A (ko) * 2018-11-19 2021-07-28 양저우 유니버시티 수냉식 모터의 최적의 때청소 주기를 계산하여 확정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52B1 (ko) * 2013-12-23 2014-1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동주택 중앙 냉, 난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97457B1 (ko) * 2013-12-23 2015-03-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52B1 (ko) * 2013-12-23 2014-1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동주택 중앙 냉, 난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97457B1 (ko) * 2013-12-23 2015-03-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3008A (zh) * 2017-05-23 2020-01-07 林德股份公司 用于求取流体流过的过程工程装置的剩余使用寿命的方法和系统
KR20210093945A (ko) * 2018-11-19 2021-07-28 양저우 유니버시티 수냉식 모터의 최적의 때청소 주기를 계산하여 확정하는 방법
KR102600698B1 (ko) 2018-11-19 2023-11-14 양저우 유니버시티 수냉식 모터의 최적의 때청소 주기를 계산하여 확정하는 방법
KR102056326B1 (ko) * 2019-06-05 2020-01-22 장한기술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오염도 판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6387B1 (en) Hybrid heating system
KR101733166B1 (ko) 휴대용 열교환기 성능 진단장치
CN102635894B (zh) 供暖系统及其平衡控制方法
CN102338568A (zh) 基于清洁系数指标的电厂凝汽器性能在线监测系统及方法
CN104166794B (zh) 一种核电站冷凝器特性试验采集分析系统
KR20220020065A (ko)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다항목 수질 측정을 사용한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
CN102901588B (zh) 热量计算装置及暖通系统
CN204201492U (zh) 一种电厂高压给水加热器旁路管道泄漏的实时监测装置
CN104240778B (zh) 核电站用冷凝器特性试验系统、方法及装置
KR20130044671A (ko) 온도차를 고려한 급탕량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CN105572168A (zh) 热式蒸汽干度仪
KR20160023048A (ko) 에너지 표시 가정용 가스미터 및 가스량 측정방법
CN107743601A (zh) 热交换器控制与诊断装置
CN1529139A (zh) 热量表自动检定系统
CN103940848A (zh) 换热设备的热阻监测方法
CN204114577U (zh) 一种电厂给水泵再循环管路泄漏的实时监测装置
US6960017B1 (en) Non-invasive energy meter for fixed and variable flow systems
Celenza et al. Metrological analysis of smart heat meter
CN206891524U (zh) 一种基于多次采样的容器沸水水位测量装置
CN106706083A (zh) 一种水流传感器性能测试台系统
RU12832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чета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CN205580514U (zh) 柜式地温能热、冷响应测试设备
CN105807000A (zh) 一种在线化学仪表标准校准装置及方法
CN109470289A (zh) 一种识别计量设备用能流量值反向事件的方法和系统
EP0328885A2 (en) Method and device for energy and water measu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