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595B1 - 헬스 벨트 - Google Patents

헬스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595B1
KR101731595B1 KR1020160183849A KR20160183849A KR101731595B1 KR 101731595 B1 KR101731595 B1 KR 101731595B1 KR 1020160183849 A KR1020160183849 A KR 1020160183849A KR 20160183849 A KR20160183849 A KR 20160183849A KR 101731595 B1 KR101731595 B1 KR 10173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elt
coupling
belt modu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응
김예지
Original Assignee
김훈응
김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응, 김예지 filed Critical 김훈응
Priority to KR102016018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Abstract

헬스 벨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간에 직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 모듈은, 일면의 수평 단면이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도성 도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헬스 벨트{HEALTH BELTS}
본 발명은 헬스 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복부 등에 착용하여 피부에 전기자극을 줄 수 있는 헬스 벨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기 위주의 식생활 변화,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하여 비만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성인 남성 등의 복부 비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헬스 벨트는 인체의 복부 등에 착용하여 피부에 전기자극을 줄 수 있는 치료 보조기구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헬스 벨트는 전기자극을 통해 복부 비만을 완화시키거나 마사지 등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몸매 관리 등의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등 헬스 벨트 제품에 대한 수요는 전체 연령층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헬스 벨트 제품의 대부분은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춰 헬스 벨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벨크로 등을 통해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가 평균치에 한참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또는 착용자의 팔이나 다리에 착용하는 경우에는 착용이 아예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용 가능한 경우에도 전기자극을 주는 전도성 도자가 허리 둘레 등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지 않아 전기자극이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도성 도자에서 전기자극이 착용자의 피부에 원활하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전도성 도자가 착용자의 피부에 완벽하게 밀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4311호(2012.08.16, LED를 이용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4316호(2012.08.16,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춰 또는 팔이나 다리 등의 착용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전도성 도자가 허리 둘레 등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 헬스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간에 직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 모듈은, 일면의 수평 단면이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도성 도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벨트 모듈은, 일면의 수평 단면이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면 중심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부가 돌출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밀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도성 도자는 상기 밀착판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모듈은, 상기 밀착판의 일면 중심부에 결합되고, 적외선을 조사하는 LED 적외선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적외선 램프는 상기 한 쌍의 전도성 도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단이 개방된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홀의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결합 봉은 상기 결합 홀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결합 봉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 봉이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상기 결합 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모듈 중 하나의 제1 벨트 모듈의 상기 하우징에는 전기공급부 및 상기 전기공급부에서 상기 전도성 도자에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탑재되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모듈 중 나머지 제2 벨트 모듈의 상기 전도성 도자는 상기 결합 봉 및 상기 결합 홀에 각각 형성되는 단자부를 통해 상기 전기공급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 봉 및 상기 결합 홀에 각각 형성되는 단자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벨트 모듈의 연결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벨트 모듈의 연결 개수에 따라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전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벨트 모듈은, 상기 전도성 도자의 외부 노출면에 결합되는 하이드로겔(hydrog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벨트 모듈의 연결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춰 또는 팔이나 다리 등의 착용 위치에 따라 헬스 벨트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도성 도자가 허리 둘레 등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헬스 벨트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복부뿐만 아니라 팔이나 다리 등에도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시블 재질의 연결편을 사용함으로써, 허리 사이즈 등과 헬스 벨트의 길이 사이의 미세한 오차는 연결편의 탄성적인 길이 변형을 통해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도성 도자를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판의 오목한 원호 형상의 일면에 결합함으로써, 전도성 도자가 밀착판의 탄성적인 휨 변형을 통해 착용자의 피부에 완벽하게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벨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벨트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2 벨트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헬스 벨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벨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벨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벨트(10)는 상호간에 직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모듈,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1 벨트 모듈(20) 및 나머지 제2 벨트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5개의 제2 벨트 모듈(30)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벨트 모듈(30)의 연결 개수는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춰 또는 팔이나 다리 등의 착용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제1 벨트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2 벨트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벨트 모듈(20) 및 제2 벨트 모듈(30)은 각각 하우징(100), 연결편(110), 밀착판(200),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 및 LED 적외선 램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일면은 수평 단면이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가 하우징(100)의 일면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에도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를 착용자의 피부에 최대한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연결편(110)은 하우징(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헬스 벨트(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편(110)의 자유단은 인접한 벨트 모듈(20, 30)의 하우징(10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벨트 모듈(20)의 연결편(110)의 자유단은 제2 벨트 모듈(30)의 하우징(10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벨트 모듈(30)의 연결편(110)의 자유단은 제1 벨트 모듈(20)의 하우징(10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편(110)의 자유단에는 결합 봉(12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타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단,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의 양단이 개방된 결합 홀(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홀(130)의 일측에는 결합 홀(130)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가이드 홈(14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결합 봉(120)은 결합 홀(130)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 홀(1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연결편(110)은 가이드 홈(140)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140)은 결합 봉(120)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결합 봉(120)이 가이드 홈(140)을 통해 결합 홀(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편(110)은 탄성적인 길이 변형 및 휨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착판(200)은 탄성적인 휨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밀착판(200)의 일면은 수평 단면이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가 밀착판(20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경우에 밀착판(200)의 탄성적인 휨 변형을 통해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를 착용자의 피부에 완벽하게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밀착판(200)은 밀착판(200)의 타면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지지부(210)를 통해 하우징(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밀착판(200)은 지지부(210)에 의해 Y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0)와 하우징(100) 사이에는 탄성부재(220)가 개재됨으로써 밀착판(200)이 하우징(100) 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의 다양한 복부 형상에도 불구하고 밀착판(200)이 착용자의 허리 둘레 등을 따라 착용자의 피부를 거의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벨트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는 하우징(100)의 일면에 직접 결합되거나 밀착판(2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는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밀착판(200)의 일면에 노출되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줄 수 있다.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 중 하나의 전도성 도자(300)에 + 극성의 전류가 인가되면, 나머지 하나의 전도성 도자(300)에는 - 극성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전도성 도자(300)의 외부 노출면에는 하이드로겔(hydrogel)(31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LED 적외선 램프(400)는 착용자의 피부에 적외선, 예를 들어 원적외선, 지방 분해 효능을 가지는 적외선 등을 조사할 수 있다.
LED 적외선 램프(400)은 밀착판(200)의 일면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적외선 램프(400)는 밀착판(200)의 일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함몰부(2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LED 적외선 램프(400)는 밀착판(200)의 일면 중심부에서 헬스 벨트(1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LED 적외선 램프(400)는 한 쌍의 전도성 도자(30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착용자의 피부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해당 영역에서 전기 자극과 적외선 조사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지방 분해 등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전기공급부(500)에서 전도성 도자(300)에 공급되는 전기, 예를 들어 전류의 세기, 공급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전기공급부(500) 및 제어부(600)는 제1 벨트 모듈(20)의 하우징(100)에 탑재될 수 있다.
전기공급부(500)는 제1 벨트 모듈(20)의 전도성 도자(300) 및 LED 적외선 램프(40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전기공급부(500)는 제1 벨트 모듈(20) 또는 제2 벨트 모듈(30)의 결합 봉(120)에 형성되는 제1 단자부(121)와 제2 벨트 모듈(30)의 결합 홀(13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 단자부(131)가 상호간에 접촉하면 제2 벨트 모듈(30)의 전도성 도자(300) 및 LED 적외선 램프(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2 벨트 모듈(30)의 전도성 도자(300) 및 LED 적외선 램프(400)에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전기공급부(500)는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단자부(121)와 제2 단자부(131)의 접촉에 의해 벨트 모듈(20, 30)의 연결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제1 단자부(121)와 제2 단자부(131)가 접촉함에 따라 증가하는 전체 전기 저항을 측정하거나 결합 봉(120)와 결합 홀(130)의 접촉면에 설치된 접촉 센서에서 수신된 정보 등을 통해 벨트 모듈(20, 30)의 연결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벨트 모듈(20, 30)의 연결 개수에 따라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공급부(500)에서 각각의 전도성 도자(300)에 공급되는 전기, 예를 들어 전류의 세기, 공급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각각의 전도성 도자(300)에 헬스 벨트(10)의 원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기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제1 벨트 모듈(20)의 하우징(100)에는 제어부(600)의 전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가 탑재될 수 있고, 착용자가 전기공급부(500) 또는 제어부(600)를 최초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 등도 탑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헬스 벨트 20: 제1 벨트 모듈
30: 제2 벨트 모듈 100: 하우징
110: 연결편 120: 결합 봉
121: 제1 단자부 130: 결합 홀
131: 제2 단자부 140: 가이드 홈
200: 밀착판 210: 지지부
220: 탄성부재 230: 함몰부
300: 전도성 도자 310: 하이드로겔
400: LED 적외선 램프 500: 전기공급부
600: 제어부

Claims (10)

  1. 상호간에 직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 모듈은,
    일면의 수평 단면이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도성 도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단이 개방된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홀의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결합 봉은 상기 결합 홀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모듈 중 하나의 제1 벨트 모듈의 상기 하우징에는 전기공급부 및 상기 전기공급부에서 상기 전도성 도자에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탑재되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모듈 중 나머지 제2 벨트 모듈의 상기 전도성 도자는 상기 결합 봉 및 상기 결합 홀에 각각 형성되는 단자부를 통해 상기 전기공급부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모듈은,
    일면의 수평 단면이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면 중심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부가 돌출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밀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도성 도자는 상기 밀착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모듈은,
    상기 밀착판의 일면 중심부에 결합되고, 적외선을 조사하는 LED 적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ED 적외선 램프는 상기 한 쌍의 전도성 도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결합 봉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 봉이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상기 결합 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 봉 및 상기 결합 홀에 각각 형성되는 단자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벨트 모듈의 연결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벨트 모듈의 연결 개수에 따라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전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모듈은,
    상기 전도성 도자의 외부 노출면에 결합되는 하이드로겔(hydroge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KR1020160183849A 2016-12-30 2016-12-30 헬스 벨트 KR10173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49A KR101731595B1 (ko) 2016-12-30 2016-12-30 헬스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49A KR101731595B1 (ko) 2016-12-30 2016-12-30 헬스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595B1 true KR101731595B1 (ko) 2017-05-02

Family

ID=5874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49A KR101731595B1 (ko) 2016-12-30 2016-12-30 헬스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5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2924A (zh) * 2017-12-29 2018-05-18 深圳市鑫君特智能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扩展的光疗装置
KR101935596B1 (ko) * 2017-08-11 2019-01-04 주식회사 루트로닉 레이저 치료 장치
KR20200125112A (ko) * 2019-04-26 2020-11-04 엘티프로(주) 다이어트 복부 벨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309A (ja) * 2006-03-02 2007-09-13 Vanguard:Kk 装身具式治療具用部材及び装身具式治療具
KR101174311B1 (ko) * 2012-03-26 2012-08-16 (주)에드엠 Led를 이용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KR101566781B1 (ko) * 2015-04-17 2015-11-06 (주)와이브레인 전극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309A (ja) * 2006-03-02 2007-09-13 Vanguard:Kk 装身具式治療具用部材及び装身具式治療具
KR101174311B1 (ko) * 2012-03-26 2012-08-16 (주)에드엠 Led를 이용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KR101566781B1 (ko) * 2015-04-17 2015-11-06 (주)와이브레인 전극 패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596B1 (ko) * 2017-08-11 2019-01-04 주식회사 루트로닉 레이저 치료 장치
WO2019031724A1 (ko) * 2017-08-11 2019-02-14 주식회사 루트로닉 레이저 치료 장치
CN108042924A (zh) * 2017-12-29 2018-05-18 深圳市鑫君特智能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扩展的光疗装置
KR20200125112A (ko) * 2019-04-26 2020-11-04 엘티프로(주) 다이어트 복부 벨트 장치
KR102221437B1 (ko) * 2019-04-26 2021-03-02 엘티프로(주) 다이어트 복부 벨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8363B2 (en) Neurostimulation for treating pain, improving function and other nervous system related conditions
KR101731595B1 (ko) 헬스 벨트
US20090048642A1 (en) Neurostimulation
KR102013247B1 (ko) 얼굴 및 눈 노화방지를 위한 전기자극장치
KR20200087149A (ko) 미용 마스크
GB0303788D0 (en) Improved cardiac garment
KR101291036B1 (ko)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JP2018526051A (ja) 医療機器に配置されるように構成された使い捨て粘着性基板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KR101907511B1 (ko) 근육 및 관절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
KR101803714B1 (ko) 상처 치료 또는 통증 완화용 전기 자극 디바이스
KR200474627Y1 (ko) 휴대용 생리통 완화기
WO2022030724A1 (ko) 경두개 전기자극기
KR20160147391A (ko) 미용 및 전신안마 기능을 갖는 휴대용 미세전류 저주파 자극기
US10539282B2 (en) Lighting lamp device
CN206007804U (zh) 低频脉冲理疗仪
WO2007096600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eurostimulation
KR102140505B1 (ko) 전기적 근육 자극용 패드
KR101396310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무릎 경락 전기자극장치
KR20180042535A (ko) 손 마사지기
KR101793025B1 (ko) 전기 자극 인가에 의한 피부 개선 미용 기기
KR20090013126U (ko) 휴대용 온혈 자극기
KR101749175B1 (ko) 저주파 치료기
GB0321436D0 (en) Medium and low frequency electro-stimulated massaging pants
KR101566781B1 (ko) 전극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