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881B1 -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881B1
KR101730881B1 KR1020100036986A KR20100036986A KR101730881B1 KR 101730881 B1 KR101730881 B1 KR 101730881B1 KR 1020100036986 A KR1020100036986 A KR 1020100036986A KR 20100036986 A KR20100036986 A KR 20100036986A KR 101730881 B1 KR101730881 B1 KR 10173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information
remote control
augmented remo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7492A (en
Inventor
강행준
박진영
강민구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881B1/en
Publication of KR2011011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8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쉽게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외부장치의 사용 및 제어를 위한 매뉴얼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증강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외부장치의 사용법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외부장치와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 method of ope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to an imag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Receiving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GUI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receive a manual for use and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 and receive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usage method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So tha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be controlled.

Description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 원격제어장치, 증강 원격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장치,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또는 다른 종류의 객체를 인식하고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에 존재하고 있는 객체를 제어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ystem there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a content or other kinds of objects provided by an image display device, an extern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n image display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and display related information. The user can control surrounding objects and receive related information by us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외부장치와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소정 컨텐츠 제공자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다. A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can view. The user can view the broadcast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user can view the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content provider through a network. The user can view contents provided by a predetermined content provider through an imag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시청하는 외에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싶어한다. 또한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와 다양한 종류의 외부장치를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싶어한다.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s is increasing along with contents that a user can view through a video display device. The user wants to check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watched in addition to viewing the content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user also wants to efficiently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using a single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영상표시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or an imag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영상표시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에서 재생되거나 저장된 컨텐츠 및 컨텐츠 관련 정보를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efficiently use and manage content and content-related information reproduced or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or an image display device.

또한 외부 장치를 비롯한 전자 기기를 다룸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쉽게 매뉴얼을 획득하고,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Also, in dealing with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external devices, it is desired that the user can easily acquire manuals and provide information on proper us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 method comprising: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Receiving a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a GUI-related GUI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to the video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 method comprising: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Download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rom a control interface database storing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apparatus, and display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external apparatus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식별부,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cluding an identifica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to a video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receiving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식별부,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cluding an identifica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download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rom a control interface database in which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is stored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GUI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User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 또는 영상표시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를 하나의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나 외부 장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그 매뉴얼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매뉴얼에 따라 해당 기기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특히 고장 시 대처방법, 찾기 어려운 기기 조작 방법들을 증강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or an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controlled by using one remote control apparatus. In addition, when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external device, the user can receive the manual in real time, and can operate the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manual.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 countermeasure method in case of failure and a device operation method which is difficult to find by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 시스템이 도시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 시스템이 도시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영상/음성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의 흐름을 설명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라 매뉴얼 관련 GUI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라 매뉴얼 관련 GUI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라 매뉴얼 관련 GUI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syste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syste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operation method of a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 to 13D are views showing a GUI associated with a manual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A to 1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GUI associated with a manual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5A to 1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GUI associated with a manual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객체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환경(Augmented Reality Environoment)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와 연결되는 외부장치,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또는 다른 종류의 객체일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to a user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object recognized and recognized by the user to the user . The object existing around the user may be an image display device which can be controlled us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 content provid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or another kind of object .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GPS 또는 나침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방향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환경을 촬영하고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 제어장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collect the user related information and recognize the objects existing around the user. For exampl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position or the user's direction using a GPS or a compass. 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photograph a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a camera and recognize an object existing in the surroundings. 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an object existing around the user by using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객체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검색되는 정보의 종류는 인식한 객체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recognizes an object existing around the user and can retrieve and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gnized object. The type of information searche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may correspond to the type of the recognized object.

일 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가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를 인식한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 목록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에 관하여 검색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recognizes an image display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search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list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or the external device . Furthe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trie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nterface that can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external devic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display the retrieved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external device existing around the user.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편집, 재생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contents provided by an image display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existing around the user.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triev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display to the user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provid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display to the user a user interface that can edit, reproduce, or transmit contents provid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external device.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종류의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증강 원격제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가구를 촬영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여러 객체의 영상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 해당하는 객체가 가구임을 인식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가구의 이름이나 제조사 등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other kinds of objects existing around the user. For example, a user can take pictures of furniture existing in the vicinity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tha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is a household by referring to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about images of various objects.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trieve information about the name or manufacturer of the furniture and display it to the user.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객체에 관하여 검색한 정보를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실제 영상에 증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실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실제 영상에 포함된 객체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검색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팝업창이나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검색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enhance and display the retrieve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n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For exampl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display an actual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on a display uni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trieve information about an object included in the actual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earched object on a display unit using a pop-up window or an icon. Furthe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retrieved object on the display unit as an image or text.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에서 검색한 정보가 증강된 실제 영상(Augmented Real Image)을 증강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표시되는 증강 정보(Augmented Information)를 통하여 실제 영상 또는 실제 영상에 포함되는 소정 객체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can confirm the augmented real image of the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he user can confirm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object included in an actual image or an actual image through augmented information displayed so as to overlap with an actual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또한, 증강된 실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사용자는 증강 정보를 나타내는 팝업창, 아이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선택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와 인터랙트(interact)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제1증강 정보를 나타내는 팝업창을 선택하면,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제1증강 정보와 관련되는 상세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증강 정보를 나타내는 팝업창을 선택하면,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제1증강 정보와 관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증강 원격제어장치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증강 실제 영상에 포함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 등의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Also, when the display unit on which the enhanced actual image is displayed i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select a pop-up window, an icon, an image or text representing the augmentation information, and interact wit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a pop-up window showing first enhancement informa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enhancem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Further, when the user selects a pop-up window indicating first enhancement informa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execute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first enhancem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executed b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an application capable of controlling an object such as an image display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투영되는 실제 영상에 증강 정보가 오버랩되도록 증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투영되는 실제 영상에 포함되는 소정 객체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정보를 증강 정보로써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can display the augment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augmented information overlaps with the actual image project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searches for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object included in an actual image project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displays the retrieved information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as reinforcement information.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영상표시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외부장치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or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user can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urthe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r the external apparatus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망에 연결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인식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검색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search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the network.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display the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the network on the display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 시스템이 도시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 영상표시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장치(30), 네트워크 서버(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external device 3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network server 300.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a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various kinds of content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a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from the outsid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extract the image signal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nd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image signal.

외부장치(30)는 소정 규격에 적합하도록 저장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외부장치(30)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장치(3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외부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3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장치(30)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장치(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30 is a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contents stored in conformity with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external device 30 may include a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30 can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external device 30. Also, the external device 30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30 can transmit a signal including 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 video signal included in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apparatus 30. [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10)을 통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망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서버(300)에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300)에서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a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broadcast station 10.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 video signal included in a broadcast signa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a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from the network server 300 in the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 video signal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network server 300. [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경우 인터넷망에 구축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20)를 통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nnected to the Internet, a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tent can be received through a content provider 20 provided in the Internet network and providing conten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vider 20 and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hereto.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를 인식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 주변 환경을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 판별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RFID가 부착된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RFID 리더기를 통하여 수신하고 RFID가 부착된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를 인식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photograph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camera and recogniz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through the image discrimina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lso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to which the RFID is attached through the RFID reade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can be recognized.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다른 종류의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와 송수신하여 해당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를 인식할 수 있다. 일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IR 또는 RF 통신규격에 따른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와 송수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IR 또는 RF 통신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는 페어링이 완료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als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fferent kinds of signals to an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 For exampl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a signal according to the IR or RF communication standar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be paired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IR or RF communication standar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can recogniz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at has been paired.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인식한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거나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버튼이나 키를 조작하여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display a menu for controlling the recognized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on the display unit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The user can select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r control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by operating buttons or keys provided i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You can enter the command that you hav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카메라, RFID 리더기 등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를 인식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인식한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서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등을 통하여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인식한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300)에서 검색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using a camera, an RFID reader, or the lik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cognized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is provided through the metadata provided b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can do. Als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search the network server 300 for the content-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ecognized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관련 정보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가 인식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display th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on the display unit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content-related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the type of content recognized b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일예로,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가 쇼핑과 관련된 컨텐츠인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아이템의 가격, 제품명, 판매장소, 온라인 판매사이트 등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가 유명 관광지와 관련된 컨텐츠인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관광지의 지명, 관광상품,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등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가 영화인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해당 영화 제작자, 제작사, 배우 등에 관련된 정보 또는 관련된 영화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종류별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서 검색하는 정보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currently provided content is related to shopp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trie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ce of the item, the name of the product, the place of sale, and the online selling site related to the content. If the presently provided content is content related to a famous sightseeing spo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search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me of the sightseeing spot, a tourism product, a related photograph or a moving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Also, if the currently provided content is a movi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trie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vie producer, the producer, the actor, or the related movie. The user can set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searched b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for each content typ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 시스템이 도시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syste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 및 외부장치(3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가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40)의 홈 서버(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40)는 소정 개수의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가 소정 네트워크 통신 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홈 네트워크(40)는 컨텐츠 제공자(2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300)가 구축되는 네트워크와 구별되는 독립적 네트워크일 수 있다. 홈 네트워크(40)는 사내에 또는 가정에 구축될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f FIG. 2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directly to an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external apparatus 30 or the home network 40 to whic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is connected, Lt; / RTI > and home server 50 of FIG. The home network 40 is a network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video display devices 100 or external devices 3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etwork communication standard. The home network 40 may be an independent network that is distinguished from a network in which the network server 300 including the content provider 20 is constructed. The home network 40 may be built in-house or at home.

홈 서버(50)는 홈 네트워크(40)에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외부장치(3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홈 서버(50)는 홈 네트워크(40)에 연결된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 제품명, 모델명, 사용방법, 제공 컨텐츠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홈 서버(50)는 홈 네트워크(40)의 신호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The home server 5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30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40. [ For example, the home server 5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name, model name, usage method, provided content, etc.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40. In addition, the home server 50 can control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home network 40. [

증강 원격제어저장치(200)는 카메라, RFID 리더기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40)에 연결된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인식한 영상표시장치(100), 외부장치(30),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직접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를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증간 원격제어장치(200)는 관련 정보를 홈 서버(50)를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300)를 통하여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typ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40 through the camera and the RFID reade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contents provided by the recognized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external apparatus 3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directly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Or through the external device 30. Also, the remote controller 200 can receive th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home server 50. Furthe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search for and receiv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server 300. [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검색한 정보를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 표시되는 증강 정보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투영된 실제 영상에 오버랩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증강 정보가 오버랩된 증강 실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display the search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augment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may overlap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or an actual image projected on a transparent display unit.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can display the augmented actual image in which the augmenting information is overlapped on the display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50), 영상/음성 처리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음향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3,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a network interface unit 120, an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a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may convert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and outpu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또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목록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선택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10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s, and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This is to show a thumbnail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corresponding to broadcast channels on the display unit 180. [ Therefore,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can receive the RF broadcast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or all the stored channels sequentially / periodically.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영상표시장치(100)를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the Internet.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That is, it is possible to receive contents such as broadcasts, games, VOD, broadcasting signals, and the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s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외부장치(30)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A/V 입출력부 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3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장치(3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연결된 외부장치(30)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연결된 외부장치(3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30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transmits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30 to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lso,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can output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30.

A/V 입출력부는, 외부장치(30)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이더넷(Ethernet)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n Ethernet terminal,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d a video terminal so that the video and audio signals of the external device 30 can be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Fur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external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Can be connected.

또한,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so,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set-top boxes via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t-top box is a set-top box for an IP (Internet Protocol) TV,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transmits video, audio, or data signals processed in the set-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170. Also,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can transmit the processed signals to the IP TV set-top box.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IPTV may include ADSL-TV, VDSL-TV, FTTH-TV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network. The IPTV may include a TV over DSL, a video over DSL, a TV over IP BTV), and the like. In addition, IPTV may also mean an Internet TV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or a full browsing TV.

또한,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영상 또는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은 LAN을 통하여 연결되는 방송형 통신망,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Also,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video or voic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mean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network, a public telephone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tc. connected through a LAN.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와,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는 좌표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RF 모듈을 통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을 통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RF module. Als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through the IR module.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부의 좌표산출부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좌표산출부는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한 후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x,y)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calculation unit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unit interface unit 140 can correct the camera shake or error from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 The coordinat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x, y) of the point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fter the camera shake or error is corrected.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로 출력된다. 제어부(15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inpu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is outputted to the control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he control unit 150 can determine the information on the motion and the key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from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

또 다른 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은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를 산출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수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calculate pointer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output the coordinates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oordinates of the received pointer to the control unit without any additional camera shake or error correction process.

제어부(15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로컬키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명령 또는 로컬키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150 can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 In addition, a command can be input through the local key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a command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or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local key operation, and control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o the command.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선택한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가 방송신호 수신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방송신호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처리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성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to receive the broadcast signal provided from the selected channel through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In addition,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is controlled so that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so that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외부장치 입출력부(130)의 USB 입력부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성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can input another kind of video or audio output comman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at is, the user may desire to watch a camera or camcorder imag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instead of the broadcast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to output the video or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input unit of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or the like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Can be controlled.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기능은 제어부(150)에서 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별도의 구성요소로 설명한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function of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can be handled by the control unit 15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as a separate componen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통하여 생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 출력부(185)로 출력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명령,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로컬 키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The graphic user interface genera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or the sound output unit 185 through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 The graphic user interface generated by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and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a command input through the local key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일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200)을 통하여 신호가 수신될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산출된 포인터 좌표에 관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어부(150)에서 출력된 포인터 좌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생성한 포인터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포인터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For example, when a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the user interface controller generates a pointer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170). The controller 150 can output information on the pointer coordinates calculated from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to the user interface controller.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can generate a pointer image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ointer coordinate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50. [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processes the video signal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so that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

또 다른 예로,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명령, 로컬키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에 대응하는 객체로 이루어지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mmand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a command input through the local key, or a user interface composed of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outputs the generated video signal to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

객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위젯을 포함한다. 위젯은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할 수 있다.The object includes various kinds of widge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so as to be able to input commands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widget can be displayed as an OSD (On Screen Display).

객체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음성 출력(볼륨) 레벨, 채널 정보, 현재 시간 등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객체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거나 표시되어야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ex) 동영상)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객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object includes an image or text representing information about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uch as a sound output (volume) level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hannel information, do. The object may b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ex) movie according to the kind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젯(Widget)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데이터를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element)를 의미한다. 일예로 위젯은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볼륨 조절 버튼, 채널 조절 버튼, 메뉴, 아이콘, 네비게이션 탭, 스크롤 바, 프로그래스 바, 텍스트 박스, 윈도우 중 하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위젯의 형태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구현되어야 하는 GUI의 구체적인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위젯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A widget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at allows a user to directly change specific data. For example, the widget may be one of a volume control button, a channel control button, a menu, an icon, a navigation tab, a scroll bar, a progress bar, a text box, and a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type of the widget implement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 specification of the GUI that can be implemented or implement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widget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처리한다.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receives video signals or audio signals included in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and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may process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signal received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출력부(185)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생성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processes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inpu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so that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0 or the sound output unit 185. The user can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the graphic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based on the image signal or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You can enter commands.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제어부(15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처리해야 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처리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의 신호이다. 제어부(15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은 방송채널 선택명령,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컨텐츠 중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선택명령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can select a video signal or a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The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is a video or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broadcast channel selection command, a content selection command to be reproduced among the contents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like.

본 실시예의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2D 또는 3D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통하여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입체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의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cess a video signal so that a 2D or 3D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can process the video signal so that the user interface genera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is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as R, G, B Signal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PDP, an LCD, an OLED, or a flexible display.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80 preferably has a 3D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는, 3차원 영상을 사용자가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display can be divided into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and a singl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 method of recognizing a three-dimensional image by a user.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 디스플레이에서 단독으로 3D 영상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이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추가 장치(ex)평관안경)가 없어도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이 있을 수 있다. In the single display method, a 3D image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n a display without a separate auxiliary device. A user who views a display using a single display method can view a three-dimensional image even without the additional apparatus (ex) flat glasses). The single display method may be a lenticular method, a parallax barrier, or the like.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방식, 안경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안경 방식에서 사용되는 안경으로는 편광 안경, 셔터 글래스, 스펙트럼 필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display method is a method of implementing a 3D image using an auxiliary device. Additional display methods include a head-mounted display (HMD) system, a glasses system, and the like. Further, polarized glasses, shutter glasses, spectral filter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to the glasses used in the glasses system.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출력부(185)는,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a voice. The sound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영상/음성 처리부(170)의 내부 블록도이다.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복조부(171), 역다중화부(172), 디코더부(173), 포맷터(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may include a demodulator 171, a demultiplexer 172, a decoder 173, and a formatter 175.

복조부(171)는 방송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복조부(171)는 방송신호 수신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7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7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emodulator 171 may demodulat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10. For example, the demodulator 171 may receive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10 and perform a demodulation operation. The demodulator 171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71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on decoder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on decoding.

복조부(17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71 can demodulate and decode the channel and output the stream signal TS.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복조부(17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demodulator 171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scheme and the DVB scheme.

복조부(17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역다중화부(172)로 입력될 수 있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1 may be input to the demultiplexer 172.

역다중화부(172)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172)로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복조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The demultiplexer 172 demultiplexes the received stream signal, for example, the MPEG-2 TS into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172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1,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and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역다중화된 데이터신호는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may be an encoded data signal. The encoded data signal may includ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A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TSC scheme and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formation in case of the DVB scheme .

디코더부(173)는 역다중화된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코더부(173)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비디오 디코더와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coder unit 173 can decode the demultiplexed signal. The decoder unit 173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video decoder for decoding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a scaler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외부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160)에서 생성한 영상신호를 믹싱하는 믹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믹서의 기능은 포맷터(175)가 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믹서를 포맷터(175)와 구별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믹싱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믹서에서 믹싱된 영상신호는 포맷터(175)로 출력된다.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ixer for mixing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and a video signal generated from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160 have. The formatter 175 may be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mix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xer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rom the formatter 175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mixed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mixed in the mixer is output to the formatter 175.

포맷터(175)는 믹싱된 영상신호의 포맷을 영상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신호를 참조하여 판별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믹싱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ormatter 175 can determine the format of the mixed video signal by referring to the data signal related to the video signal. The formatter 175 may convert the mixed video signal into a format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80 and output the formatted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80.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믹싱된 영상신호를 복수시점 영상으로 분리하여 소정 포맷에 따른 3D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생성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생성한 3D 영상신호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can display a 3D image on the display unit 180. [ The formatter 175 may generate a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by separating the mixed image signal into a plurality of view image. The formatter 175 outputs the generated 3D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80.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 3D image based on the generated 3D image signal.

3D 영상은 복수시점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복수시점 영상을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시청되는 영상의 차이를 통하여 3D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시점 영상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좌안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좌안용 영상 및 우안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3D im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The user can view the multiple view image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 user can feel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3D image through the difference of the image viewed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 multi-view image for realizing a 3D image is generally composed of a left eye image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rough the left eye and a right eye image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right eye.

3D 영상신호 포맷은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생성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좌,우로 배치하는 방식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이라 칭한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상,하로 배치하는 방식은 탑 다운(Top / Down) 포맷이라 칭한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시분할로 배치하는 방식은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이라 칭한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라인 별로 혼합하는 방식을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이라 칭한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박스별로 혼합하는 방식을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이라 칭한다. The 3D image signal forma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method of arrang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generated to implement the 3D image. The manner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arranged left and right is called a side by side format. The method of arrang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up and down is called a top / down format. The method of arrang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a time-division manner is called a frame sequential format. The method of mix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line by line is referred to as an interlaced format. A method of mix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on a box basis is called a Checker Box format.

외부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가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일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160)에서 생성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신호는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일 수 있다. 믹서는 외부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3D 영상신호와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3D 영상신호를 믹싱하여 포맷터(175)로 출력할 수 있다.A video signal included in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a 3D image sig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3D image. Also, the graphic user interface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160 may be a 3D video signal capable of implementing 3D video. The mixer can mix the 3D image signal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3D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and output the mixed image to the formatter 175.

포맷터(175)는 믹싱된 3D 영상신호의 포맷을 관련된 데이터신호를 참조하여 판별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판별한 포맷에 적합하도록 3D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포맷터(175)는 수신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The formatter 175 can determine the format of the mixed 3D video signal by referring to the related data signal. The formatter 175 may process the 3D video signal to fit the determined format and output the processed 3D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80. When the 3D image signal format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0 is limited, the formatter 175 converts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into a 3D image signal format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0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unit 180.

포맷터(175)로 입력되는 믹싱 3D 영상신호의 데이터신호로부터 포맷이 판별될 수 없는 경우, 포맷터(175)는 소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신호의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일예로, 포맷터(175)는 입력되는 3D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영상의 엣지(Edge) 등을 분석하여 3D 영상신호의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If the format can not be determined from the data signal of the mixing 3D video signal input to the formatter 175, the formatter 175 can determine the format of the 3D video signal input using a predetermined algorithm. For example, the formatter 175 may determine the format of a 3D video signal by analyzing the edge of an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input 3D video signal.

또한, 포맷터(175)로 입력되는 믹싱 영상신호가 2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2D 영상신호인 경우, 포맷터(175)는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3D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ixing video signal input to the formatter 175 is a 2D video sig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2D video, the formatter 175 can generate a 3D video signal through an algorithm for converting the 2D video to the 3D video.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내부 블록도이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저장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센서부(240), 식별부(250), 디스플레이부(260), 음향출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 user interface unit 230, a sensor unit 240, an identification unit 250, a display unit 260, ), And a control unit 280.

무선 통신부(210)는 영상표시장치(100), 외부장치(30), 홈 서버(50) 또는 네트워크 서버(300) 등의 전자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 규격에 따라 주변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 규격에 따라 주변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external device 30, the home server 50, or the network server 3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RF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RF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IR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IR communication standard.

무선 통신부(210)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통신 규격에 따라 전자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기에 적합한 모듈을 구비한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는 신호의 무선 통신 규격의 예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has a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to / from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Exampl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for signals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and ZigBee (ZigBee).

무선 통신부(210)는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무선 인터넷 규격에 따라 인터넷 망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무선 인터넷 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기에 적합한 모듈을 구비한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규격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가 있을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Internet network in accordance with various types of wireless Internet standards and has a module suit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wireless Internet standard. The wireless Internet standard that can be used i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ncludes a WLAN (Wireless LAN) (Wi-Fi), a Wibro (Wireless broadband),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an be.

본 실시예에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자기기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자기기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을 통하여 전자기기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 Als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RF module. 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commands to the electronic device via the IR module,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and the like, as needed.

저장부(22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이 전자기기와 RF 모듈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와 전자기기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주변기기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0 may store various kind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control or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I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and an RF modul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electronic device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store information about a frequency band and the lik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 peripheral device paired wit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storage unit 220, hav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조작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자기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자기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230 may include a keypad or a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by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unit 230. [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230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23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by touching the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Also, the user interface unit 23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such as a scroll key, a jog key, and the lik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센서부(24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240)는 GPS, 콤파스(나침반),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GPS는 사용자의 위치를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콤파스는 사용자의 방향을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40 includes a sensor that can be used to collect user-related information us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PS, a compass,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the like. GP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he compas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user.

자이로센서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센서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243)는 공간리모콘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gyro sensor may be used to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mo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operated by the user or the user. For example, the gyro sensor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43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moving speed and the like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센서부(240)를 통하여 수집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객체를 판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센서부(240)를 통하여 수집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제스쳐를 판별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하는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하는 명령이 전자기기 제어명령인 경우, 해당 전자기기로 해당 제어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fer to the user 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240 and use it to identify an object existing in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user gesture by referring to the user-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240. [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gesture. Also, if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gesture is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comman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a signal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o the electronic device.

식별부(250)는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주변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부(250)는 카메라, RFID 리더기, 적외선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25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격체를 촬영할 수 있다. 식별부(250)를 통하여 촬영된 객체의 영상은 저장부(220), 홈 서버(50) 또는 네트워크 서버(300)에 저장된 다양한 객체의 영상과 비교될 수 있다. 식별부(250)는 영상의 패턴을 분석하고 촬영한 영상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영상에 대응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촬영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unit 250 may identify a user peripheral object including the electronic device. The identification unit 250 may include a camera, an RFID reader,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The identification unit 250 can photograph a user's peripheral seam using a camera. The image of the o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unit 250 may be compared with images of various objec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he home server 50, or the network server 300. [ The identifying unit 250 may analyze the pattern of the image and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mage having the same pattern as the pattern of the captured image to recognize the photographed object.

또한, 식별부(250)는 객체에 장착된 RFID 관련 정보를 RFID 리더기를 통하여 판독하고 해당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250)는 적외선센서를 통하여 사용자 주변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위치 또는 방향별로 존재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 위치 또는 방향별로 존재하는 객체에 관한 정보는 저장부(220), 홈 서버(50) 또는 네트워크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unit 250 can read the RFID-related information attached to the object through the RFID reader and recognize the object.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unit 250 can determine whether an object exists around the user through the infrared senso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fer to information about an object that exists for each user location or direction. Information about an object existing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or direc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he home server 50, or the network server 300.

식별부(250)는 센서부(240)를 통하여 수집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을 판별하고, 저장되어 있는 객체에 관한 정보 중 적외선센서를 통하여 존재가 감지된 객체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일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사용자 위치 및 방향별 위치하는 건물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맵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소지하는 사용자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주변 객체의 정보를 맵 정보에서 참조하여 실제 사용자 주변 건물을 인식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250 determines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user on the basis of the user-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240,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stored object And direction of the object, and recognize the object existing around the user. For exampl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fer to map information stored with information on a building located by a predetermined user location and direction.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actual user's neighboring building by referring to the map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and direction possess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또한, 식별부(250)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사람의 안면, 지문, 홍채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식별부(250)는 인식한 안면, 지문, 홍채 등의 패턴을 저장되어 있는 사람별 안면, 지문, 홍채 패턴과 비교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촬영한 사람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식별부(250)를 통하여 인식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식별부(250)를 통하여 사람을 인식한 경우, 인식한 사람 관련 정보(ex)이름, 나이, 개인별 선호 컨텐츠 등)를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Also, the identification unit 250 can recognize the face, fingerprint, iris, and the like of a person who ha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The identification unit 250 can recognize a person who has photographe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comparing the recognized face, fingerprint, and iris patterns with stored face images, fingerprints, and iris patterns. The control unit 280 can retrieve and output th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unit 250. [ For example, when a person is recogniz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unit 250, the user can retrieve and output the recognized person-related information (ex) name, age, individual preferred content, etc.).

디스플레이부(260) 및 음향출력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 외부장치(30), 홈 서버(50), 네트워크 서버(300) 등 전자기기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 및 음향출력부(27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전자기기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60 and the sound output unit 270 may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230 or may correspond to the operation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external apparatus 30, the home server 50, the network server 300, It is possible to output video or audio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vice.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terface unit 230 is operated or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controlled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and the sound output unit 270.

디스플레이부(260)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에 검색한 증강 정보를 오버랩한 증강 실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260)가 투명 패널로 이루어진 투명 디스플레이부인 경우, 사용자는 주변 환경의 실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투영되고 있는 실제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검색한 객체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60 may display object relat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The display unit 260 may display an augmented real image that overlaps the augmented information searched o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260 is a transparent display unit including a transparent panel, the user can view the actual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retrieve object relat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tual image being project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search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제어부(280)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에 증강 정보를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부(26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투영되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에 관련된 증강 정보가 현재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투영되고 있는 실제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디스플레이부(260)로 증강 정보에 관련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80 may overlap the enhancement information with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nd output the enhancement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260. The control unit 280 outputs the image signal related to the enhancement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260 so that the enhanc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project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overlaps with the actual image currently project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제어부(2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210)를 통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23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t can be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devic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The block diagram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shown in Figs. 3 to 5 are block diagrams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can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방법의 흐름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주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S10).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인식한 객체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20).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검색한 객체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30).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cognize a user's peripheral object (S10).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trieve the recognized object related information (S20).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can display the retrieved object related information (S30).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가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주변 객체는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인식하기를 원하는 객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자기기를 인식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RFID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There are various kinds of user peripheral objects that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user can select the type of object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o recognize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electronic devices existing around the user by using the RFID attached to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서 제공하고 있는 컨텐츠를 인식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 외부장치(30) 또는 홈 서버(50)에서 제공받은 메타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현재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서 제공하고 있는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RFID 리더기 등 식별수단이 현재 컨텐츠가 재생중인 영상표시장치(100)를 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식별수단을 통하여 현재 사용자가 식별하기를 원하는 컨텐츠가 재생중인 전자기기를 인식하고, 해당 전자기기 관련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can also select to recogniz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control the current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using the metadata provide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external apparatus 30 or the home server 5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is positioned such that the identification means such as a camera or an RFID reader mounted 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face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 which the content is currently being reproduced, the augmented- The content that the current user wants to identify can be recognized by the current user and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be recognized using the relevant electronic device related metadata.

또한 사용자는 특정인을 인식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식별부(250) 중 카메라, 지문인식기, 홍채인식기 등을 통하여 특정인의 안면, 지문, 홍채 등을 판독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람별 안면, 지문, 홍채 등에 관한 정보와 판독한 정보를 비교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촬영한 특정인의 신분 등을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can also choose to recognize a particular person.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can read the face, fingerprint, iris, and the like of a specific person through the camera, the fingerprint reader, and the iris reader in the identification unit 250.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identity of a specific person photographed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s face, fingerprint, iris, etc. stored in the database with the read information.

또한 사용자는 주변 객체(ex)건물, 가구 등)를 인식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GPS나 나침반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 또는 방향에 관련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객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위치 및 방향별 객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중 현재 사용자 위치 또는 방향에 대응하는 주변 객체의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촬영한 주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can also choose to recognize nearby objects (ex) buildings, furniture, etc.).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collect user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location or direction using a GPS or a compass. 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photograph an image of a surrounding object using a camera.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recognize the captured peripheral object by referring 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user position or direction among the databases storing the object information per user position and direction.

객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가 참조하는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 외부장치(30),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저장부(220), 홈 서버(50) 또는 네트워크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인식한 객체 관련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 외부장치(30),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저장부(220), 홈 서버(50) 또는 네트워크 서버(300)에서 검색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ferred to b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object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external device 30, the storage unit 22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home server 50, Or may be stored in network server 300.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transmit the recognized object related information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external apparatus 30, the storage unit 22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e home server 50, And can be retrieved from the server 300.

일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 혹은 외부장치(30)를 인식한 경우, 해당 전자기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외부장치(30)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로 수신되는 방송신호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 혹은 외부장치(30) 등 해당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recognize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can search the list of contents being played back in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The content list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 can also be search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trieve broadcast signal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It is also possible to search for information including a menu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such as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 혹은 외부장치(30)에서 재생중이거나 저장된 컨텐츠를 인식한 경우, 컨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컨텐츠 관련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타이틀정보, 쇼핑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retriev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external apparatus 30 recognizes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or stored. The content-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title information, shopping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content.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특정인을 인식한 경우, 특정인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특정인과 관련된 정보는 특정인의 이름이나 나이, 직업, 연락처 등에 관한 정보 또는 특정인이 선호하는 컨텐츠나 특정인이 시청한 컨텐츠 히스토리 정도 등이 있을 수 있다.Further, when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recognizes a specific person,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can retrie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person.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pers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erson's name, age, occupation, contact information, or the content preferred by a specific person or the history of a content viewed by a specific person.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주변 실제 객체(ex)건물, 가구, 예술작품 등)를 인식한 경우, 실제 객체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실제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실제 객체의 이름, 제조사, 판매가격, 판매장소, 사용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trieve information related to an actual object when recognizing a real object (ex) building, furniture, artwork, etc. of the user's surroundings). Information related to an actual object may include the name of an actual object, a maker, a selling price, a selling place, a usage method, and the like.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검색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검색한 정보를 팝업창이나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에 검색한 증강 정보를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display the search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60. [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display the searched information by using a pop-up window or an icon. Also, an image or text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display the enhancement information searched on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n the display unit 260 in an overlapping manner.

이때 제어부(280)는 주변 환경에 포함된 객체 중 검색한 정보에 대응하는 객체와 검색한 정보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증강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제어부(280)는 검색한 정보에 대응하는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은 영역에 증강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80 may configure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so tha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trieved from objects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oes not overlap with the retrieved information. The controller 280 may configure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so that the augmen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n area not overlapping with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는 화면(261)은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가 인식한 객체(1001) 및 인식한 객체(1001) 관련 정보(1002, 10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reen 26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object 1001 recognized b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and the information 1002 and 1003 related to the recognized object 1001 .

본 실시예에서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가 인식한 객체(1001)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실제 촬영되는 객체의 영상이다. 또한, 관련 정보(1002, 1003)은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가 검색한 정보로 이루어진 증강 정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실제 촬영되는 객체의 영상과 함께 증강 정보를 화면(26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실제 촬영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화면(261)에 포함된 증강 정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The object 1001 recognized b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image of an object actually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related information 1002 and 1003 are enhancement information composed of information retrieved b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As shown in the figure,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augment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261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actually photographed. The us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actually photographed through the augment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creen 261. [

객체 관련 정보는 해당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련 정보2(1003)은 영상표시장치(100), 외부장치(30)로 관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관련 정보2(1003)은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거나,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메뉴일 수 있다.The object-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 menu for controlling the object. In this embodiment, the related information 2 1003 may be a menu capable of inputting related commands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30. Also, in this embodiment, the related information 2 1003 may be a menu capable of interrupting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ly reproduced content or transmitting it to another electronic apparatus.

사용자는 화면(261)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해당 객체(1001) 관련 정보가 화면(26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면(261)에 표시되는 관련 정보2(1003)에 포함된 메뉴 중 소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을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screen 26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can touch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1001 on the screen 261. Also, a predetermined icon among the menu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2 (1003) displayed on the screen (261) can be selected and an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can be inputted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는 키패드(231)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231)를 구성하는 소정의 키를 조작하여 소정 명령을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include a keypad 231. [ The user can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key constituting the keypad 231.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식별부(25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 또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를 인식한다(S810). 외부장치의 인식 과정은 보통 증강 원격제어장치가 해당 외부장치를 촬영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함께 수행된다. 따라서 증강 원격제어장치에는 피사체 인식 및 그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 생성 기능 및 이미지 캡쳐 및 저장 기능을 가진 모듈 즉 카메라 등의 식별부(250)와, 해당 프리뷰 이미지 또는 저장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저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60)가 장착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recognizes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or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identification part 250 (S810).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 external device is usually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a process in whic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shoots the external device and generates a preview image. Accordingl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cludes an identification unit 250 such as a module having a function of recognizing a subject and generating a preview image thereon and an image capturing and storing function, a display unit 250 capable of displaying and storing the preview image or the stored image in real time, A portion 260 is moun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식별부(250)는 RFID 등을 통해 외부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해당 외부장치의 시리얼 넘버나 제품 코드 등의 외부장치 식별정보를 읽어오거나 획득한다. 또는 해당 외부장치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장치 식별을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스트리밍되는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캡쳐 후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unit 25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RFID or the lik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reads or acquires exter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serial number or a product code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various methods. Alternatively, the image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external device may be used for external device identification. Here, the image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 an external device may be at least one of preview image data that is streamed or image data that is stored after capture.

증강 원격제어장치가 식별부(250)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외부장치의 영상 또는 영상 데이터, 그리고 외부장치로부터 읽어오거나 수신한 외부장치의 각종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일체의 정보를 이하에서는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무선 통신부(210)는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인식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한다(S820).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ts image or image data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amera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part 250 and all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read or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Quot; informa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S820).

일 예로, 본 실시예의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경우, 식별부(250)가 매뉴얼을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외부장치를 촬영한 후 무선 통신부(210) 또는 제어부(280)가 촬영한 영상에 대응하는 외부장치를 직접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서버 또는 홈 서버에 접속하여, 외부장치를 검색한 후 해당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한다. 검색 과정에서 촬영된 영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영상표시장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를 다운로드받는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를 직접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거나, 또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를 증강 원격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identification unit 250 photographs an external device to which a manual is to be downloaded,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the control unit 280 You can search directly.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connects to a network server or a home server, searches for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An image photographed in the search process can be used. Thereaft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downloads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man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apparatus u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apparatus received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directly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the manual information, or may transmit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the manual information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다른 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식별부(250)의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RFID가 부착된 외부장치의 시리얼 넘버, 제조 회사명, 제품명, 제품 코드, 모델명 등을 읽어오면, 제어부(280)가 외부장치 관련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매뉴얼을 다운받아야 하는 외부장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식별부(250)는 RFID 리더기 외 다른 통신 규격에 따른 코드 등을 이용하여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판별하고 해당 전자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RFID remote control device reads the serial number, the manufacturer name, the product name, the product code, the model name, etc. of the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RFID is attached using the RFID reader of the identification unit 250, Device related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recognizes an external device to download a manual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identification unit 25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identify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and recognize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using a cod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other than the RFID reader.

또 다른 예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장치가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 가능한 홈 네트워크의 홈 서버에 접속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장치의 목록 중에서 매뉴얼을 제공받고자 하는 외부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다운로드받은 정보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영상표시장치가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외부장치의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check the list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by connecting to the home server of the home network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or connectab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 If an external device to receive a manual is included in the list of external devic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downloads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Device. Then, the video display device uses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in search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the manual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n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영상표시장치는 해당 외부장치가 증강 원격제어장치 또는 영상표시장치와 이전에 접속된 이력이 있는지를 조회한다. 만일 접속한 이력이 있다면, 해당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나 매뉴얼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웹 서버에 접속하여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나 매뉴얼 정보 등을 새로이 다운로드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inquires whether the external device has a history of connection wit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or the video display device. If there is a connection history,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manual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is already stored, so there is no need to connect to the web server and download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the manual information newly.

여기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는 사용자가 증강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제공되어야 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이다. 특히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는 외부장치의 매뉴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뉴얼 정보는 특정 외부장치를 사용하는 데에 필요한 조작 방법, 외부장치의 사용 설명서 또는 고장 시 대처 방법 등에 해당되는 정보이다. 즉, 이후 영상표시장치 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나 그에 포함된 매뉴얼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를 생성하게 된다. Here,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a user to create a user interface to be provided in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may include manual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 manu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for using a specific external device, the instruction manual of the external device, or a method of handling a failure. That i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generates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and the manual information included therein.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 또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50) 또는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된 매뉴얼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를 생성할 수 있다. 매뉴얼 관련 GUI는 사용자가 증강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이다. 매뉴얼 관련 GUI는 OSD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매뉴얼 관련 GUI에는 예컨대 외부장치의 기능 별 조작 방법에 대한 텍스트 및 영상 데이터, 조작을 위해 눌러야 할 가상 키패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or the control unit 150 or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apparatus can generate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or the manu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is a user interface imag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input a user signal for control when the user intends to control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Manual-related GUIs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OSD. Accordingly, the GUI associated with the manual can display, for example, text and image data on the operation method of each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a virtual keypad to be pressed for the operation, and the like.

외부장치가 이전에 접속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영상표시장치는 해당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다. 필요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받기 위해, 영상표시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웹 서버에 접속하고,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50)가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다. 만일 해당 외부장치와 접속한 이력이 있고, 영상표시장치 또는 홈 서버에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는 기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증강 원격제어장치로 전송하거나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를 생성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device has not been connected before, the video display device downloads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In order to download necessary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onnects to the web server, and the control unit 15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earches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for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And can be selected. If there is a connection history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home server, the video display device transmits the previously stored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You can create a manual GUI.

영상표시장치가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를 검색할 때, 제어부(15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검색에 이용한다.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영상표시장치 및/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들의 제어 인터페이스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searches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the manual information, the controller 150 uses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or searching.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is a database storing control interfac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abl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 o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외부장치들의 매뉴얼 관련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가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다운로드하면,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전송받는다(S830). 물론,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에는 해당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may store manual related information of each external device.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downloads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S830). Of course,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may include manual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증강 원격제어장치가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기 전에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해당 외부장치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지를 조회하여, 접속한 이력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증강 원격제어장치가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면, 영상표시장치가 이전의 접속 이력 여부를 영상표시장치가 판단하고, 접속 이력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웹 서버에 접속한다. 즉, 접속 이력 조회가 증강 원격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지 아니면 영상표시장치에서 수행되는지 하는지 여부에서 차이가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befor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quires whether there is a previous connection history with the external device,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only when there is no history.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whe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ideo display device has the previous connection history, To the Web server. That is,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history inquiry is performed in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or an image display device.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수신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를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840). 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displays the GUI associated with the manual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received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S840). O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may display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는 매뉴얼 관련 GUI를 통하여 증강 원격제어장치로 해당 외부장치 사용법이나 제품 스펙, 고장 시 대처법 등을 비롯한 기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user can receive other information such as a method of using the external device, a product specification, a countermeasure in case of failure, etc., through the GUI related GUI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r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를 인식한다(S910).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식별부(250)는 외부장치의 인식 과정에서, 외부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한다. 외부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장치를 촬영한 영상 또는 외부장치의 시리얼 넘버, 제조 회사명, 제품명, 제품 코드, 모델명 등 외부장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정보이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recognizes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S910). The identification unit 25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cquire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external device in the recognition process of the external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external device is information that enables identification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mage of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erial number, a manufacturer name, a product name, a product code, and a model name.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카메라를 통하여 외부장치를 촬영한 후 촬영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외부장치에 관한 영상과 비교하여 해당 외부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RFID가 부착된 외부장치의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RFID 리더기를 통하여 외부장치에 부착된 RFID를 읽어옴으로써 외부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홈 서버를 통하여 외부장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an external device by shooting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amera and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with an image related to an external device stored in the database. Also, in case of an external device with an RFI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the external device by reading the RFID attach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RFID reader. Als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may recognize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home server.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외부장치와 이전에 접속된 이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920). 그 결과, 접속한 이력이 있다면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에 기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기 저장된 매뉴얼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 생성하고, 생성된 매뉴얼 관련 GUI를 디스플레이부(260)가 표시할 수 있다(S950).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reviously connected history with the external device us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S920). As a result, if there is a connection history,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generates a GUI related to the manual using the previously stored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previously stored manual information i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Step S950).

만일 이전에 접속된 이력이 없는 외부장치의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S930).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해당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가 존재하면,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해당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를 다운로드한다(S940). 그리고 제어부(280)가 다운로드한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950). In the case of an external device having no previously connected history,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ccesses the network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searches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S930). If there is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man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the augmenting remote controller downloads the corresponding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manual information (S940). Then, the control unit 280 generates a GUI related to the manual using the downloaded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60 (S950).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인식한 외부장치의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와 무관하게, 특정 전자기기에서 매뉴얼 관련 GUI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매뉴얼 관련 GUI를 재생 및 표시할 전자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강 원격제어장치가 복수의 영상표시장치와 연결 가능한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제1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제1외부장치 관련 매뉴얼이 제2영상표시장치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produce the manual related GUI from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irrespective of the place where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the manual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xternal device is stored. Here, the electronic device to reproduce and display the GUI associated with the manual can be designated in advance by the user. Accordingly, whe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may cause the first external device related manual stored in the first image display device to be reproduced in the second image display device , And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외부장치를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식별부(25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제1 외부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인식한 제1 외부장치 관련 매뉴얼을 검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상표시장치에 제1 외부장치 관련 매뉴얼이 저장된 것을 확인한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제1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된 매뉴얼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썸네일을 터치하여 제2 영상표시장치로 드래그하여 썸네일에 대응하는 매뉴얼이 제2 영상표시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photograph the first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amera provided in the identification unit 25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ognize the first external devic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search the recognized first external device related manual.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which confirms that the first external device related manual is stored in the first image display device can display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manual stored in the first image display device on the display unit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 The user may touch the thumbnail and drag the thumbnail to the second image display device so that the manual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s displayed on the second image display devic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식별부(250)를 통해 외부장치를 인식한다(S1010). 외부장치의 인식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FID 리더기 또는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식별부(250)는 외부장치를 인식하면서, 해당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인식 또는 획득한다.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장치를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이거나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읽어온 정보로서 외부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시리얼 넘버, 제품 코드 등의 정보일 수 있다.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recognizes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dentification unit 250 (S1010). As described above, an RFID reader or a camera may be used for recognition of an external device. The identification unit 250 recognizes or acquires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while recognizing the external device.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may be image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external device as described above, or information such as a serial number and product code that can identify the external device as information read from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외부장치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지를 조회 또는 판단한다(S1020). 만일 해당 외부장치와 접속한 이력이 있다면, 제어부(280)는 해당 외부장치와 관련하여 기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있는지를 조회한다(S1030). 만일 해당 외부장치와 이전에 접속하였던 이력이 없다면,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로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50).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새로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n,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inquires or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revious history of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S1020). If there is a connection history with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 unit 280 inquires whether there is previously stored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device (S1030). If there is no previous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50).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must be newly obtained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영상표시장치는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거나 홈 서버에 접속하여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만일 영상표시장치의 저장부 등에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면 서버 접속 및/또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검색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증강 원격제어장치로 해당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고,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무선 통신부(210)가 이를 수신한다(S1070).The video display device downloads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an external device by connecting to a network server or connecting to a home server and searching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If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is already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e server connection and / or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search process may be omitte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ransmits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interface unit 140 and receives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S1070) .

앞에서, 증강 원격제어장치에 해당 외부장치와 관련하여 기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없는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060). 제어부(280)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210)가 해당 제어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의 증강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요청은 해당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영상 데이터 또는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갈음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070). If there is no pre-stored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devic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may request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rom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S1060). The control unit 2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equest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unit interface unit 14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lternatively,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request may be replaced by transmitting information (video data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Also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S1070).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수신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매뉴얼 관련 GUI를 생성한다(S1080). 영상표시장치 내에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generates a GUI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external device using the received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S1080). When there is data in the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GUI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eive and use the data.

만일 증강 원격제어장치에 기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280)는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생성하여 저장한 매뉴얼 관련 GUI 가 있는지도 판단할 수 있다(S1040). 만일 해당 외부장치에 대하여 매뉴얼 관련 GUI가 이미 생성되어 저장되어 있다면, 별도로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거나,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를 생성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해당 외부장치와 관련하여 기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는 있으나 매뉴얼 관련 GUI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매뉴얼 관련 GUI를 생성한다(S1080)If there is pre-stored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i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trol unit 280 may als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GUI related to the manual previously created and stored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S1040). If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is already generated an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separately or request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is omitted . Accordingly, if the GUI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is previously stored, but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is not generated, the control unit 28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generates a GUI related to the GUI (S1080)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260)는 생성된 매뉴얼 관련 GUI를 표시한다(S1090). 매뉴얼 관련 GUI는 해당 외부장치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반드시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영상표시장치 또는 그 이외의 영상표시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displays the created GUI related to the manual (S1090). The GUI associated with the manual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is not necessari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but may be displayed through an image display device or other electronic device having a video display function You may.

도 11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라 매뉴얼 관련 GUI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S. 11 to 13D are views showing a GUI associated with a manual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장치(30), 영상표시장치(100) 및 증강 원격제어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증강 현실 기술에 의해 외부장치(30)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를 표시하고자 한다. 11, an external device 30, an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re show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ries to display the GUI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30 by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도 11을 참조하면, 매뉴얼 관련 GUI(1110)는 외부장치 영상(1101)과 함께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고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를 통해 원하는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매뉴얼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2번을 선택하면 매뉴얼 관련 GUI(1110)를 통해 외부장치(30)의 사용 방법에 관한 정보를, 3번을 선택하면 외부장치(30)의 고장 여부 진단 방법에 관한 정보를, 4번을 선택하면 고장 시 수리 방법이나 A/S 센터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11, the GUI 1110 related to the manu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200 together with the external device image 1101. The user may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nual by entering the desired number through the keypad. That is, if the user selects 2, information on the use method of the external device 30 is selected through the manual-related GUI 1110, and information on the method of diagnosing the failure of the external device 30 is selected, If you select 4, you will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repair method and A / S center in case of trouble.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2번의 '사용 방법'을 선택한 상태이다. 즉 2번과 1번을 차례로 선택하면, 매뉴얼 관련 GUI는 외부장치(30)의 사용 방법 중 재생 방법에 관한 매뉴얼을 보다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외부장치(30)를 실제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이 매뉴얼 관련 GUI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매뉴얼 관련 GUI(1110)는 외부장치(30)의 사용 방법 중 재생 방법에 관한 정보 뿐만이 아니라, 특정 버튼을 누르면 바로 외부장치(30)로 하여금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2A, the user has selected two 'usage methods'. That is, if the user selects the number 2 and number 1 in turn, the manual related GUI can display the manual about the reproduction method among the usage methods of the external device 30 in more detail. In another embodiment, a user interface image capable of actually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30 may be provided in the manual-related GUI. That is, the manual-related GUI 1110 not onl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layback method among the methods of using the external device 30, but also provides an interface with which the external device 30 can play the content immediately when a specific button is pressed It is possible.

도 12a에서 사용자가 2번의 '사용 방법'을 선택함에 따라, 다음 단계에서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방법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을 안내하는 매뉴얼 관련 GUI(1111)가 표시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 방법' 중 '자막 설정'에 관한 항목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도 12c를 참조하면, 자막 설정과 관련된 매뉴얼 관련 GUI(1112)가 표시되어 있다. 자막 설정과 관련된 매뉴얼 관련 GUI(1112)에는 자막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자막이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떤 명령을 입력하여야 하는지, 제공되는 자막의 언어는 무엇인지, 자막 언어 선택을 어떻게 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자막 설정과 관련된 매뉴얼 관련 GUI(1112)에는 자막 설정을 위한 화면으로 직접 이동할 것인지 아니면 자막 설정을 비롯한 사용 설명을 계속 읽을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지('예, 자막 설정 페이지로'(1113)와 '아니오, 사용 설명 계속 보기'(1114))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외부장치(30)를 통해 컨텐츠를 즉시 재생하고, 그에 대한 자막 설정을 하고자 한다면 '예, 자막 설정 페이지로'(1113)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자막 설정을 즉시 할 필요가 없는 경우 또는 자막 설정 이외의 다른 매뉴얼 정보를 더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니오, 사용 설명 계속 보기'(1114)를 선택할 수 있다. 12A, the user selects the 'use method' twice. In the next step, a manual related GUI 1111 is displayed to guide the user in more detail about the usage method as shown in FIG. 12B. Referring to FIG. 12B, the user selects an item regarding 'subtitle setting' in the 'usage method'.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12C, a manual-related GUI 1112 related to the subtitle setting is displayed. The manual related GUI 1112 related to the caption setting includes a method for setting a caption, a command to be displayed or not to display a caption, a language of a caption provided, a method for selecting a caption language,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Referring to FIG. 12C, in the manual-related GUI 1112 related to the subtitle setting, an option (eg, a subtitle setting page) for enabling selection of whether to directly move to a screen for setting a subtitle or to continue reading a usage description including a subtitle setting Quot; 1113 ", and " no usage explanatory view " 1114) are provided. If the user immediately reproduces the conten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30 and desires to set the caption for the content, the user can select 'Yes, to the caption setting page' 1113. Alternatively, if it is not necessary to immediately set the subtitles, or if further manual information other than the subtitle setting is to be obtained, the user can select 'No, Continue to use explanation' 1114.

사용 방법에 관한 매뉴얼 정보와 마찬가지로, 고장 진단이나 고장 시 대처 방법에 대한 매뉴얼 정보 역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13c를 참조하면, 고장 시 대처 방법과 관련된 매뉴얼 관련 정보가 증강 원격제거장비(200)의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제공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된 매뉴얼 관련 GUI(1110) 중에서 3번 '고장 진단'을 선택한다. As with the manual information on how to use it, manual information on troubleshooting and troubleshooting can also be provided in the same way. Referring to FIGS. 13A to 13C, manual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ailure coping method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remover 200. Referring to FIG. 13A, the user selects 'trouble diagnosis' 3 of the manual related GUI 111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이에 따라, 도 13b를 참조하면, 고장 진단방법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1115)가 증강 원격제어장치(260)의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된다. '고장 진단' 메뉴에는 (1) 재생 이상, (2) 음향 이상, (3) 화면 이상, (4) 녹화 이상 등 외부장치(30)의 사용 시 발생 가능한 다양한 고장 상황들이 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고장 상황에 대한 정보 중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13B, a manual-related GUI 1115 for the failure diagnosis metho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60. As shown in Fig. The menu for 'fault diagnosis' shows various fault conditions that can occur when using the external device 30, such as (1) playback error, (2) sound error, (3) screen error, (4) The user can select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on each failure situation.

예컨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3) 화면 이상'을 선택하는 경우, 화면 이상 시 대처 또는 수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뉴얼 관련 GUI(1116)가 다음 단계에서 표시될 수 있다. 화면 이상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1116)에서는 수리 방법 페이지로 즉시 이동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 이상"에 대한 수리 방법 페이지로 이동할까요?' 라는 질문에 대하여, 화면 이상이 현재 발생하여 이에 대한 수리 방법을 즉시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예'(1117)를 선택한다. 또는, 화면 이상에 대한 수리 방법을 즉시 제공받을 필요가 없는 경우, 즉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를 유지하거나 다른 매뉴얼 관련 정보를 더 보고자 한다면 '아니오'(1118)를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3) screen abnormality' as shown in FIG. 13C, a manual-related GUI 1116 that provides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coping or repairing a screen abnormality may be displayed in the next step . In the manual related GUI 1116 for the screen abnormality,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immediately move to the repair method page. 'Do you want to go to the repair method page for "screen error"? A user who wants to receive a repair method immediately and a screen abnormality occurs at present, selects 'Yes' 1117. Alternatively, if the user does not need to be immediately provided with a repair method for screen anomalies, that is, the user wishes to keep the current page or see more manual related information, the user can select 'No' 1118.

사용자가 '예'(1117)를 선택하는 경우, 다음 단계에서 "화면 이상"에 대한 수리 방법 페이지로 이동한다. 도 13d를 참조하면 화면 이상에 대한 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매뉴얼 관련 GUI(1119)가 제공된다. 즉 컨텐츠 재생 시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는 고장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에 표시되는 외부장치(30)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1119)를 통해 해당 상황에 맞는 고장 수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 장치(30)에 대한 매뉴얼 관련 정보가 기재된 책자가 없는 경우에도, 즉시 매뉴얼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동시에, 제공된 매뉴얼 관련 정보에 따라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30) 또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된다. If the user selects "Yes" 1117, the next step is to go to the repair method page for "screen error". Referring to FIG. 13D, a manual related GUI 1119 is provided to specifically guide a repair method for a screen abnormality. That is, when a failure occurs in which the screen does not normally appear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the user inputs troubleshoo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ituation through the GUI 1119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30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Will be provided. 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booklet on which the manual-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30 is written, the manual-related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control or repair the external device 30 or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ovided manual related information.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라 매뉴얼 관련 GUI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S. 14A to 1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GUI associated with a manual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60)에는 외부장치 영상(1101)이 표시되는 동안, 매뉴얼 관련 GUI(12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고 있다.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60)에는 외부장치 영상(1101)과 외부장치의 제품명이 간략히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매뉴얼 관련 GUI(1210)의 안내에 따라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외부장치(30)의 사용 방법, 조작 방법 등을 습득하고, 동시에 매뉴얼에 따라 외부장치(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14A to 14C, while the external device image 110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GUI 1210 related to the manu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180). The external device image 1101 and the product name of the external device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ogether.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a user signal through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 1210 related to the manua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like,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rnal device 3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anual.

도 1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조작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매뉴얼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예컨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2번 버튼을 누르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매뉴얼 관련 GUI 중에서 '(2) 녹화'(1211) 기능에 대한 항목이 활성화된다. Referring to FIG. 14B, a user is provided with manual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by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unit 23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FIG. 14B,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2 of the UI unit 23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user presses the button 2 of the GUI related GUI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2) The item for the 'recording' function (1211) is activated.

다음 단계에서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뉴얼 관련 GUI(1210)를 통해 외부장치(30)의 녹화 기능에 대한 상세한 매뉴얼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다.In the next step, detailed manual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manual related GUI 1210 as shown in FIG. 14C.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라 매뉴얼 관련 GUI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c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를 제1 영상표시장치(100)라고 지칭하는 경우, 도 15a 내지 도 15c에는 제2 영상표시장치(102)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15a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60)에 외부장치 영상(1101)이 그 제품명과 함께 표시되고 있으며, 해당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1310)는 제2 영상표시장치(102)를 통해 표시되고 있다. FIGS. 15A to 1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GUI associated with a manual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C are referred to as a first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second image display device 102 is also shown in FIGS. 15A to 15C. 15A, an external device image 1101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roduct name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manual-related GUI 1310 for the external device is displayed 2 video display device 102. The video display device 102 shown in FIG.

또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하여 외부장치(3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시청하고 있는 경우, 제2 영상표시장치에는 매뉴얼 관련 GUI(1310)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장치(30)와 제1 영상표시장치(100)를 이용함과 동시에, 컨텐츠 시청을 방해받지 않고도 외부장치(30)에 대한 매뉴얼 관련 정보는 계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외부장치(30)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매뉴얼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도 이러한 정보를 제2 영상표시장치(102)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정지하거나 전환할 필요가 없고, 증강 원격제어장치(200) 역시 기존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4개의 장치(외부장치(30), 제1 영상표시장치(100), 제2 영상표시장치(102), 증강 원격제어장치(200))를 모두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15B, when the user plays back the content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30 through the first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second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a manual related GUI 1310 .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external device 30 and the first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can continuously receive the manual-related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30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content viewing. Even when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or manual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30 is required while viewing the content, such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econd video display device 102. [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stop or switc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first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By operating all of the four devices (the external device 30, the first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second video display device 102, an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connected through the home network, So that it can be provided and used more conveniently.

특히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매뉴얼 관련 GUI(1311)가 제2 영상표시장치(10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증강 원격제어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버튼 조작을 통해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매뉴얼 정보를 제공받아 외부장치(30) 및/또는 제1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GUI-related GUI 1311 associated with content reproduction is displayed on the second video display device 102. The user can control the external device 30 and / or the first image display device 100 by receiving the man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reproduction through the button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230 of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200 .

도 15c는 외부장치(30) 또는 제1 영상표시장치(100)의 고장으로 인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아무런 영상이 표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화면 이상 등 고장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매뉴얼 관련 정보가 요구된다. 그러나 매뉴얼 관련 GUI(1312)는 제1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서는 표시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경우, 주변에 존재하는 제2 영상표시장치(200)를 통해 화면 고장과 관련된 매뉴얼 관련 GUI(1312)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외부장치(30) 또는 제1 영상표시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기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즉시 매뉴얼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고장을 수리할 수 있다. 적어도, 매뉴얼 관련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어느 기기에 고장이 발생한 것인지, 수리가 가능한지 등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여 고장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15C shows a state in which no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ue to failure of the external device 30 or the first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IG. In this ca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nual is required to cope with a failure situation such as a screen error. However, the GUI 1312 relating to the manual can not be displayed through the first video display device 100. [ In this case, a manual-related GUI 1312 related to screen failure is provided through the second video display device 200 located in the vicinity.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the manual related information and repair the malfunction even if a malfunction occurs in any one of the external device 30 or the first video display device 100. [ At a minimum, the user can identify a fault in which device, whether repair is possible, or the like, through the manual-related information, and deal with the failure.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nd the construc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ome of which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processo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manner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방송국 30 : 외부장치
40 : 홈 네트워크 50 : 홈 서버
100 : 영상표시장치 200 : 증강 원격제어장치
300 : 네트워크 서버
10: Broadcast station 30: External device
40: home network 50: home server
100: Image display device 200: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300: Network server

Claims (20)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와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의 시리얼 넘버, 제조 회사명, 제품명, 제품 코드, 모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Recognizing information on a peripheral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a camera;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to an imag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home network;
Receiving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a manual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so as to overlap with a real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rial number, a manufacturer name, a product name, a product code, and a model name of the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관련 GUI는 상기 외부장치의 제품 정보, 사용 설명 또는 조작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display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roduct information, use description, or operation method of the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를 촬영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is image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includes manual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a network server and receives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when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를 촬영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장치의 시리얼 넘버, 제조 회사명, 제품명, 제품 코드, 모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Recognizing information on a peripheral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a camera;
Receiv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rom a control interface database in which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is stored; And
And display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on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image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external device or a serial number, a manufacturer name, a product name, a product code, and a model name of the external device. How it work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증강 원격제어장치가 연결된 홈 네트워크의 홈 서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is provided in a home server of a home network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and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re connec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원격제어장치는 IP(Internet Protocol) 망을 통해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accesses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through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to download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삭제delete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식별부;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의 시리얼 넘버, 제조 회사명, 제품명, 제품 코드, 모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1.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 identifica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a peripheral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a camera;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to a video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and receiving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a manual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so as to overlap with an actual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rial number, a manufacturer name, a product name, a product code, and a model name of the external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관련 GUI는 상기 외부장치의 제품 정보, 사용 설명 또는 조작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UI related to the manual include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roduct information, use description, or operation method of the external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외부장치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식별부가 상기 외부장치를 촬영하여 생성한 상기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dentification unit photographs the external device to generate image data, and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i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includes manual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mag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a network server and receives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when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외부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식별부;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된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매뉴얼 관련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식별부에 포함된 카메라가 상기 외부장치를 촬영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장치의 시리얼 넘버, 제조 회사명, 제품명, 제품 코드, 모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1. An augmented remote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 identifica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a peripheral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a camera;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rom a control interface database in which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is store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anual-related GUI (Graphic User Interface) so as to overlap with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image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external device by the camera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portion or a serial number, a manufacturer name, a product name, a product code, and a model name of the external device Characterized by a remote control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홈 네트워크의 홈 서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is provided in a home server of a home network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IP(Internet Protocol) 망을 통해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원격제어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esses the control interface database through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to download the control interface information.



삭제delete
KR1020100036986A 2010-04-21 2010-04-21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7308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986A KR101730881B1 (en) 2010-04-21 2010-04-21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986A KR101730881B1 (en) 2010-04-21 2010-04-21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492A KR20110117492A (en) 2011-10-27
KR101730881B1 true KR101730881B1 (en) 2017-04-27

Family

ID=4503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986A KR101730881B1 (en) 2010-04-21 2010-04-21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88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7779B2 (en) 2019-12-16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41315B2 (en) 2021-08-23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529A (en)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2123062B1 (en) 2013-08-06 202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aquiring information about con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reof and server system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s
KR101354133B1 (en) 2013-12-12 2014-02-05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Remote place management typ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by augmented reality
KR102238775B1 (en) 2014-02-10 2021-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s administ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n electronics device
KR102302327B1 (en) * 2014-12-08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92290B1 (en) * 2017-12-14 2020-03-23 주식회사 엔터리얼 Providing system for a virtual manual of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agmented reality and method therefor
KR20210094214A (en) 2020-01-21 202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KR102561210B1 (en) 2020-05-07 2023-07-3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leeptech controlling using AR in Smart Home Environment
WO2022102804A1 (en) * 2020-11-11 2022-05-19 엔티콘 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based object control method and provision device
WO2024048986A1 (en)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by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user in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9738A (en) * 2006-12-08 2007-05-24 Sony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9738A (en) * 2006-12-08 2007-05-24 Sony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7779B2 (en) 2019-12-16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41315B2 (en) 2021-08-23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492A (en)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881B1 (e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657565B1 (e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694159B1 (e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10138317A1 (e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method for operat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the same
EP249727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EP260301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CN10259868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10072970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55804B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5132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4166B1 (e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05616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5608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94740A (en) Image display device enable of displaying 3d object in a shape of analog watch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72986A (en) Operating a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702968B1 (en)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KR101668245B1 (en) Image Display Device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80038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38541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91794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88952A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a 3d object including a thumbmail image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72987A (en) Operating a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40094133A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94658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26304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