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621B1 -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 Google Patents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621B1
KR101730621B1 KR1020160054743A KR20160054743A KR101730621B1 KR 101730621 B1 KR101730621 B1 KR 101730621B1 KR 1020160054743 A KR1020160054743 A KR 1020160054743A KR 20160054743 A KR20160054743 A KR 20160054743A KR 101730621 B1 KR101730621 B1 KR 10173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area
groove
l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선
Original Assignee
김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선 filed Critical 김병선
Priority to KR102016005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사진영역;과 상기 사진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영역; 및 상기 사진영역과 상기 주변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사진영역의 테두리를 둘러쌓는 그루브;를 갖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FRAME WITH PHOTO HIGHLIGHTING EFFECT}
본 발명은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을 내부에 삽입하여 벽에 걸어놓거나 탁상에 거치하고, 보존 및 이동을 위해 쓰여지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틀을 통칭한다.
그러나, 종래의 액자는 그 자체의 형상만으로는 사진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갖기 힘들고, 야간 및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어두운 공간에서는 전시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진이 주변에 비해 도드라져 보이도록 전시효과를 갖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는, 사진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사진영역; 상기 사진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영역; 및 상기 사진영역과 상기 주변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사진영역의 테두리를 둘러쌓는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변영역은, 상기 그루브와 색상이 대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진을 덮도록 상기 사진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사진을 보호해주는 투명보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는, 폐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진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조광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광유닛은, 상기 그루브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사진 영역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진영역은, 서로 이격된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이격된 기둥 사이의 공간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 된 빛이 진행하는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광유닛은, 상기 광 경로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에 의하면, 사진의 테두리를 둘러쌓는 그루브를 가지며, 광원에 의해 사진에 빛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사진이 더욱 입체감 있고 강조되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2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3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40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50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60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100)는, 사진영역(110), 투명보호체(130), 주변영역(150), 및 그루브(170)를 가질 수 있다.
사진영역(110)은 사진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진영역(110)은 대체로 정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사진영역(110)은 다각형 등의 다른 도형, 또는 알파벳 글자 형태 등이 될 수도 있다.
투명보호체(130)는 사진영역(1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투명보호체(130)는 사진영역(110)에 위치하고 있는 사진을 덮어서 보호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보호체(130)는 아크릴 판일 수 있다.
주변영역(150)은 사진영역(110)을 둘러싸는 주변의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주변영역(150)은 아이보리색과 같은 밝은 계열의 색상을 지닌 페인트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주변영역(150)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이 새겨질 수 있다.
그루브(170)는 사진영역(110)과 주변영역(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70)는 사진영역(110)의 테두리의 일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170)는 사진영역의 네 코너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그루브(170)는 진한 브라운색과 같은 나무 판재의 색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진영역(110)은 그루브(170)에 의해 주변영역(150)에 대해 구조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진영역(110) 내의 사진이 부각될 수 있다.
또한, 주변영역(150)과 그루브(170)의 색상 대비에 의해 사진영역(110)과 주변영역(150)의 구조작 구별이 강화될 수 있다. 이는 사진(P)이 부각되어 보이는 효과를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2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200)는, 사진영역(210), 투명보호체(230), 주변영역(250), 및 그루브(270)를 가질 수 있다.
앞선 도 1의 실시예에 대비하여, 그루브(270)는 사진영역(110)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다. 이때, 그루브(270)는 폐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진영역(110)은 그루브(170)에 의해 주변영역(150)에 대해 경계가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진영역(110) 내의 사진이 더욱 뚜렷하게 부각될 수 있다.
또한, 주변영역(150)과 그루브(170)의 색상 대비가 더욱 확실해지므로 사진영역(110)과 주변영역(150)의 구조적 구별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이는 사진(P)이 부각되어 보이는 효과를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3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300)는, 사진영역(310), 투명보호체(330), 주변영역(350), 그루브(370), 및 조광유닛(390)을 가질 수 있다.
앞선 도 2의 실시예에 대비하여, 그루브(370)는 경사면(3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면(371)은 주변영역(350)과 이어지는 그루브(37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371)는 사진영역(310)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조광유닛(390)은 광원(39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391)은 경사면(37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391)은 사진(P)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원(391)은 인광체, 형광체, LED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원(391)이 사진(P)을 측면 방향에서 비춰줌으로써, 사진(P)이 실제보다 부상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인광체 및 형광체가 광원인 경우, 전기가 없어도 어두운 곳에서 사진의 인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40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400)는, 사진영역(410), 투명보호체(430), 주변영역(450), 그루브(470), 및 조광유닛(490)을 가질 수 있다.
앞선 도 3의 실시예에 대비하여, 사진영역(410)은 서로 이격된 기둥(4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기둥(411)은 대체로 정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서로 이격된 기둥(411)의 형태는 원이나 다각형과 같은 다른 도형 등이 될 수도 있다.
서로 이격된 기둥(411)의 사이로 광 경로(493)가 형성될 수 있다. 광 경로(493)는 광원(491)에서 발생된 빛이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원(491)에서 발생된 빛은 광 경로(493)를 따라 진행하며, 사방으로 산란할 수 있다. 또한, 광 경로(493)로 진행된 빛은 사진(P)의 배면을 비춰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진(P)에 대한 백라이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50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500)는, 사진영역(510), 투명보호체(530), 주변영역(550), 그루브(570), 및 조광유닛(590)을 가질 수 있다.
앞선 도 4의 실시예에 대비하여, 조광유닛(590)은 도광판(5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광판(595)은 광 경로(593)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595)은 광원(59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들어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595)은 광 경로(593)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도광판(595)의 형태는 원이나 다각형과 같은 다른 도형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595)은 서로 이격된 기둥(511)과 같은 높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광판(595)은 광 경로(593)를 통해 진행되는 빛을 사진(P)을 향해 균일하게 분산시켜줄 수 있다.
또한, 도광판(595)은 서로 이격된 기둥(511)과 같은 높이일 경우, 서로 이격된 기둥(511)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사진(P)의 배면을 지지해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광원을 포함하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참조하면,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600)는 사진영역(610), 투명보호체(630), 주변영역(650), 그루브(670), 및 조광유닛(690)을 가질 수 있다.
앞선 도 4의 실시예에 대비하여, 광원(691)은 서로 이격된 기둥(6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691)은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원(691)은 사진(P)의 배면을 직접적으로 비춰주는 백라이팅을 해줄 수 있다.
광원(69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은 광 경로(693)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광원(691)은 광 경로(693)를 통해 그루브(670)를 비춰줄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 액자
110, 210, 310, 410, 510, 610 : 사진영역
130, 230, 330, 430, 530, 630 : 투명보호체
150, 250, 350, 450, 550, 650 : 주변영역
170, 270, 370, 470, 570, 670 : 그루브
371 : 경사면
390, 490, 590, 690 : 조광유닛
391, 491, 591, 691 : 광원
411,511,611: 서로 이격된 기둥
493, 593, 693 : 광 경로
595 : 도광판

Claims (10)

  1. 사진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사진영역;
    상기 사진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영역; 및
    상기 사진영역과 상기 주변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사진영역의 테두리를 둘러쌓는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에 배치되는 광원을 가지고, 상기 사진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조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사진 영역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영역은,
    상기 그루브와 색상이 대비되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을 덮도록 상기 사진 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사진을 보호해주는 투명보호체를 더 포함하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폐루프 형태를 갖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영역은,
    서로 이격된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이격된 기둥 사이의 공간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 된 빛이 진행하는 광 경로를 형성하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유닛은,
    상기 광 경로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10. 삭제
KR1020160054743A 2016-05-03 2016-05-03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KR10173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43A KR101730621B1 (ko) 2016-05-03 2016-05-03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43A KR101730621B1 (ko) 2016-05-03 2016-05-03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621B1 true KR101730621B1 (ko) 2017-04-26

Family

ID=5870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743A KR101730621B1 (ko) 2016-05-03 2016-05-03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2935A1 (zh) * 2020-12-16 2022-10-27 马飞 一种可预设铺光效果的画相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66Y1 (ko) 2003-11-26 2004-03-04 김종세 투명틀이 내장된 조명액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66Y1 (ko) 2003-11-26 2004-03-04 김종세 투명틀이 내장된 조명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2935A1 (zh) * 2020-12-16 2022-10-27 马飞 一种可预设铺光效果的画相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8380S1 (en) Videoconference device
US20140268876A1 (e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USD937798S1 (en) Videoconference device
IES20180182A2 (en) Computer game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in maximized size
ES2858528T3 (es) Aparato de realidad virtual montado en la cabeza
DE60322350D1 (de) Elektrophoretische anzeigevorrichtung
USD882158S1 (en) Light diffuser
KR940005969A (ko) 코히어런트한 광을 사용하는 스펙클이 없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US8676045B1 (en) Studio arrangement
CN107636386A (zh) 车辆用灯具
US20190258071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WM541028U (zh) 顯示裝置
US20150261043A1 (en) Display apparatus
JP2021525432A (ja) 光学指紋認識コンポーネント及び端末
KR101730621B1 (ko) 사진 부각효과를 갖는 액자
TW201346471A (zh) 顯示裝置
KR20180044158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758213B2 (ja) 撮影装置
KR20160058328A (ko) 원형 표시 장치
US10642064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JP6302175B2 (ja) お絵描き台玩具
TWI628467B (zh) 立體顯示裝置
CN205278992U (zh) 一种高度可调的匀光闪光灯透镜
CN107179628A (zh) 发光装置及面光源装置
WO2016136067A1 (ja) 展示装置及び展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