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852B1 - Multi-band Antenna - Google Patents

Multi-band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852B1
KR101728852B1 KR1020160067754A KR20160067754A KR101728852B1 KR 101728852 B1 KR101728852 B1 KR 101728852B1 KR 1020160067754 A KR1020160067754 A KR 1020160067754A KR 20160067754 A KR20160067754 A KR 20160067754A KR 101728852 B1 KR101728852 B1 KR 10172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diation
radiation unit
frequency band
g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호섭
최인태
Original Assignee
픽스테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픽스테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픽스테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8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28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between a radiating element and g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To be applied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a multi-band antenna comprises: a dielectric substrate; a first radiation unit forming an almost C-shaped metal pattern on one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to provide a first operation frequency band; a second radiation unit having one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ion unit and forming a reverse L-shaped metal patter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to provide a second operation frequency band; a power feeding unit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radiation unit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radiation unit, and supplying electric energy to the first and second radiation units; and a ground unit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ower feeding unit.

Description

다중대역 안테나{Multi-band Antenna}[0001] Multi-band Antenna [0002]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다중대역 안테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band antenna.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요 단말기가 TV나 데스크탑 PC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뀜에 따라, 통신기기에 장착되는 안테나의 구조는 작고 가벼운 형태로, 기능은 다중대역 동작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As major terminals with large multimedia services are changed from TVs or desktop PCs to smart phones, the structure of antennas installed in communication devices is small and light, and functions are evolving toward multi-band operation.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구조의 안테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의 안테나는 저렴하고 견고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지만, 좁은 대역폭(Narrow Bandwidth)과 낮은 효율을 갖는 것이 단점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광대역 또는 다중대역 특성을 얻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다중대역 및 광대역 특성을 갖도록 다양한 형태의 복사체와 급전 구조를 갖는 안테나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Currently, microstrip antennas are widely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microstrip antenna has advantages of low cost, robustness and mass production, but it has a drawback of narrow bandwidth and low efficiency. To improve this, various types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obtain broadband or multi-band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various types of radiators and antennas having a feed structur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o have multiband and broadband characteristics.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급전 구조 중 CPW(Coplanar Waveguide) 급전 구조 방식은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급전에 비해 분산 특성이 작고,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접지면과 동일한 면에 급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급전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CPW 급전을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CPW 급전이 적용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용 안테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The CPW (Coplanar Waveguide) feed structure in the feeding structure of the microstrip antenna has a smaller dispersion characteristic than that of feeding the microstrip line, achieves the broadband characteristic, and can reduce the feeding loss by implementing the feed structure on the same plane as the ground plane . Due to these advantages, many researches on microstrip antennas using CPW feeding have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Particularl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an antenna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to which CPW feeding is applied.

최근 WLAN은 건물 내부, 건물과 건물 사이 또는 기타 이동통신 환경에서 망의 재구축이 쉽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11 Mbps의 전송률을 보이는 2.4 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WLAN은 이미 상업적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Recently, WLAN has advantages that it is easy to reconstruct the network in buildings, between buildings and buildings, or in other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WLANs using the 2.4 GHz frequency band with a transmission rate of 11 Mbps have already been widely used commercially.

더욱 빠른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짐에 따라 IEEE 802.11b의 2.4 - 2.4835 GHz 대역보다 넓은 대역을 포함하는 5 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게 되었다. IEEE의 802.11a에서 정의되는 5 GHz 주파수 대역은 5.15 - 5.35 GHz, 5.725 GHz 및 5.825 GHz이고 이 대역의 WLAN은 최대 54 Mbps의 전송률을 지원하고 있다. 덧붙여, 802.11n에서는 600 Mbps의 전송률을 지원하고, 현재 표준화가 진행중인 802.11ac에서는 6.9 Gbps까지의 전송률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As more users want faster data transmission, they use the 5 GHz frequency band, which is wider than the 2.4 - 2.4835 GHz band of IEEE 802.11b. The 5 GHz frequency band defined by IEEE 802.11a is 5.15 - 5.35 GHz, 5.725 GHz and 5.825 GHz, and the WLAN in this band supports transmission rates of up to 54 Mbps. In addition, 802.11n supports transmission rates of 600 Mbps, and 802.11ac, which is currently being standardized, aims to support transmission rates of up to 6.9 Gbps.

이에 따라 2.4 - 2.4835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2.4 GHz 주파수 대역은 물론, 5.15 - 5.825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5 GHz 주파수 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크기가 작은 다중대역 안테나의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ulti-band antenna that can be used in the 2.4 GHz frequency band using the frequency of 2.4 - 2.4835 GHz, the 5 GHz frequency band using the frequency of 5.15 - 5.825 GHz, and the smaller siz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WLAN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다중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band antenna usable in a WLAN syste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기판(Dielectric Substrate); 상기 유전체 기판 상의 일측면에 대략 C 형상의 금속 패턴을 형성하여 제1 동작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제1 복사부(Radiation Unit); 상기 제1 복사부와 일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유전체 기판 상의 상기 일측면과는 다른 일측면에 역-L 형상의 금속 패턴을 형성하여 제2 동작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제2 복사부; 상기 제1 복사부의 일측면 및 상기 제2 복사부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복사부와 상기 제2 복사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급전부(Feeding Unit); 및 상기 급전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접지부(Ground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Multi-band Antenna)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dielectric substrate; A first radiation unit for forming a substantially C-shaped metal pattern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to provide a first operating frequency band; A second radiation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radiation part and providing a second operating frequency band by forming a reverse-L shape metal pattern on one side surface different from the one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 feed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radiation unit and one side of the second radiation unit and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 energy to the first radiation unit and the second radiation unit; And a ground unit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eeding part. The multi-band antenna according to claim 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WLAN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다중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multi-band antenna that can be used in a WLAN system can be provided.

또한, 기존의 안테나보다 그 부피가 3 배 정도 작은 다중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multi-band antenna having a volume three times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antenna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에 오른쪽 역-L 형 구조가 추가되기 전후의 반사손실(Return Loss) 특성 모의실험(Simulation)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에서 오른쪽 역-L 형 구조의 세로선로의 길이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 특성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에서 왼쪽 역-L 형 구조의 세로선로의 길이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 특성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전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 다중대역 안테나의 후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측정 결과와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xz 평면(Plane) 복사패턴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yz 평면 복사패턴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xy 평면 복사패턴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1 shows a structure of a multi-ba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imulation result of return loss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right inverted-L structure is added to the antenna shown in FIG.
FIG. 3 shows simulation results of return lo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from the antenna shown in FIG. 1 to the vertical line of the right inverted-L structure.
FIG. 4 shows a simulation result of the return loss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ength to the vertical line of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in the antenna shown in FIG.
FIG. 5 is a front view of a multi-band antenna fabricat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FIG. 6 shows a rear view of an actual fabricated multi-band antenna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FIG. 7 shows measurement results and simulation results of a multi-band antenna actually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FIG. 8 shows the xz plane (plane) radiation pattern measurement result of the multi-band antenna actually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FIG. 9 shows a result of yz plane radiation pattern measurement of a multi-band antenna actually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FIG. 10 shows the xy plane radiation pattern measurement result of the multi-band antenna actually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ⅰ),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first, second, i), ii), a), b), etc.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de is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f the constituent element, the order or the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cod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compris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do.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ulti-ba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다.1 shows a structure of a multi-ba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110), 제1 복사부(120), 제2 복사부(130), 급전부(140), 제1 접지부(150) 및 제2 접지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ulti-ba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electric substrate 110, a first radiation unit 120, a second radiation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40, a first ground unit 150 and a second grounding unit 160. [

유전체 기판(110)은 본 실시예에서 유전율(Permittivity)이 4.6이고, 손실 탄젠트(Loss Tangent)가 0.019인 유리섬유와 합성수지로 구성된 FR-4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전체 기판(110)의 크기는 16.5 mm × 29.5 mm × 1.0 mm가 되도록 제작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dielectric substrate 110 may be made of FR-4 composed of glass fiber and synthetic resin having a permittivity of 4.6 and a loss tangent of 0.019. The siz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110 is 16.5 mm × 29.5 mm × 1.0 m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복사부(120)는 유전체 기판(110)의 일면 상에 대략 C 형상의 금속 패턴으로 형성된다. 제1 복사부(120)는 급전부(140)의 위쪽 끝단 중심으로부터 LL1과 W로 정의되는 아래쪽 좌측 가로선로, LL2에서 W만큼을 뺀 길이와 WL1으로 정의되는 좌측 세로선로, LL3와 WL2로 정의되는 위쪽 좌측 가로선로의 세 가지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된다.The first radiation unit 1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shaped metal pattern on one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110. Claim a left vertical line being one copy unit 120 from the upper end center of the feeding part 140 to the lower-left horizontal line defined by L L1 and W, defined by the length and W L1 minus W as in L L2, L L3 And the upper left horizontal line defined by W L2 .

여기서, 금속 패턴으로 형성된 각 구성요소의 x축 방향 길이와 y축 방향 길이 중, 긴 변을 L로 표기하고, 짧은 변을 W로 표기하였다. 금속 패턴과 다른 금속 패턴 사이의 간격 중 설계변수로서 의미가 있는 경우의 간격은 G로 표기하였다. 한 패턴에 있어 한 방향으로의 길이가 다른 한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하여 긴 패턴은 선로로 표기하였다.Here, among the length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of each constituent element formed by the metal pattern, the long side is denoted by L, and the short side is denoted by W. The spacing between the metal patterns and the other metal patterns, where they are meaningful as design variables, is denoted by G. A long pattern in one pattern is denoted as a line in comparison with a length in one direction having a different length in one direction.

예컨대, 도 1의 제1 복사부(120)에서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금속 패턴 부분을 제1 복사부(120) 세로선로로 명명하고, x축 방향의 길이는 세로선로폭, y축 방향의 길이는 세로선로길이로 각각 표기하였다. 즉, 제1 복사부(120)는 LL3와 WL2로 정의되는 위쪽 가로선로, LL2에서 W만큼을 뺀 길이와 WL1으로 정의되는 세로선로 및 LL1과 W로 정의되는 아래쪽 가로선로의 세 가지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이하, 모든 구성부에 대해 위와 동일한 기준으로 설명한다.For example, the metal pattern portion extending long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of FIG. 1 is referred to as a vertical line of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is a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ngth of the direction is denoted by a vertical line and a length,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copy unit 120 is a horizontal line defined by L L3 and W L2 , a length obtained by subtracting W from L L2 , a vertical line defined by W L1 , and a lower horizontal line defined by L L1 and W It consists of three subcomponents.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all components.

제1 복사부(120)는 급전부(140)의 위쪽 끝단으로부터 왼쪽의 한 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 복사부(120)의 위쪽 가로선로폭(WL2)과 아래쪽 가로선로폭(W)의 두께는 다를 수 있다.The first radia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ft 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feed unit 140. The width W L2 of the upper horizontal line and the width W of the lower horizontal line of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may be different.

WLAN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세로선로폭(WL1)과 아래쪽 가로선로폭(W)은 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쪽 가로선로폭(WL2)은 3.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복사부(120)와 제1 접지부(150) 사이의 거리인 G2는 제1 복사부(120)의 아래쪽 가로선로폭(W)과 같을 수 있다. WLAN 시스템으로의 응용에 대한 경우, 제1 복사부(120)는 제1 동작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공진 특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제1 동작주파수 대역은 2.4 GHz부터 2.4835 GHz까지일 수 있다. When applied to a WLAN system, it is desirable that the vertical line width W L1 and the lower horizontal line width W are 2 mm. And the upper horizontal line width W L2 is preferably 3.5 mm. In this case, G 2,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and the first ground unit 150, may be equal to the width W on the lower horizontal line of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For applications to a WLAN system, the first copy 120 is designed to provide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operating frequency band. Here, the first operating frequency band may range from 2.4 GHz to 2.4835 GHz.

제2 복사부(130)는 제1 복사부(120)가 형성된 유전체 기판(110)의 일면 상에 제1 복사부(120)와 같은 재질의 금속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복사부(130)는 역-L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되고, 역-L 형상의 패턴 하나를 더 추가하여 이중 역-L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복사부(130)는 급전부(140)의 위쪽 끝단 중심으로부터 LR1과 W로 정의되는 아래쪽 우측 가로선로, LR2와 WR1으로 정의되는 제1 우측 세로선로, LR3와 WR2로 정의되는 제2 우측 세로선로의 세 가지 하위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WLAN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제2 복사부(130)는 제2 동작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공진 특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제2 동작주파수 대역은 5.15 GHz부터 5.825 GHz까지일 수 있다.The second radiation unit 130 may be formed of a metal pattern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on one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110 on which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is formed. The second radiation unit 130 may be formed in a reverse-L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double reverse-L shape by adding one reverse-L shape. In this case,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130 from the upper end center of the feeding part 140 to the horizontal lower right, defined as L R1 and W, a first right vertical line defined by L R2 and W R1, L R3 and And a second right vertical line defined by W R2 . When applied to a WLAN system, the second copy portion 130 is designed to provide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operating frequency band. Here, the second operating frequency band may range from 5.15 GHz to 5.825 GHz.

급전부(140)는 제1 복사부(120)와 제2 복사부(13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급전부 (140)는 제1 접지부(150) 및 제2 접지부(160)와 일정 거리(G1)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급전부(140)는 유전체 기판(110)의 가장 아래쪽 끝단 중심으로부터 폭 WF와 LG에 G2만큼을 더한 길이로 정의되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세로선로이다.The power feeder 140 is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 energy to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radiation unit 130. The power feeder 14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G 1 from the first ground unit 150 and the second ground unit 160. The feeding part 140 is a vertical line formed in a long y-axis direction defined by the widths W F and L G plus G 2 from the center of the lowermost end of the dielectric substrate 110.

WLAN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제1 접지부(150) 및 제2 접지부(160)와의 거리(G1)는 0.9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급전부(140)는 제1 복사부(120), 제2 복사부(130)의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pplied to a WLAN system, the distance G 1 between the first grounding part 150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160 is preferably 0.9 mm. The feeding part 14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first radiation part 120 and the second radiation part 130.

제1 접지부(150)는 아래쪽 왼쪽 끝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복사부(120)와 일정 거리(G2)를 두도록 급전부(140)의 왼쪽에 배치된다.The first grounding portion 150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left end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ower feeder 140 so as to have a certain distance G 2 from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제2 접지부(160)는 아래쪽 끝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복사부(130)와 일정 거리(G2)를 두도록 급전부(140)의 오른쪽 배치된다.The second grounding unit 160 extends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eed unit 140 so as to have a certain distance G 2 from the second radiation unit 130.

제1 접지부(150) 및 제2 접지부(160)와 급전부(140) 사이의 거리(G2) 및 제1 접지부(150) 및 제2 접지부(160)와 제1 복사부(120) 및 제2 복사부(130) 사이의 거리는 동작주파수 및 공진주파수에 맞춰 변경될 수 있다.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제1 접지부(150) 및 제2 접지부(160)는 제1 복사부(120), 제2 복사부(130), 급전부(1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 패턴의 재질은 구리(Copper), 은(Silver), 금(Gold), 알루미늄(Aluminum) 중 적어도 하나인 단일 금속 물질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Alloy)일 수 있다.The distance G 2 between the first grounding unit 150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160 and the feeding unit 14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ounding unit 150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160 and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radiation unit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frequency and the resonance frequency. The first grounding unit 150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16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first radiation unit 120, the second radiation unit 130, and the power feed unit 140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 the cost. As shown in Fig. Here, the material of the metal pattern may be a single metal material, which is at least one of copper, silver, gold and aluminum, or an alloy containing at least two or more metals.

금속 패턴은 식각(Etching)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잉크젯 프린터에서와 같이 직접 인쇄(Direct Printing)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using an etching process, or may be formed using a direct printing process as in an inkjet print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에 오른쪽 역-L 형 구조가 추가되기 전후의 반사손실(Return Loss) 특성 모의실험(Simulation) 결과를 나타낸다.FIG. 2 shows a simulation result of return loss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right inverted-L structure is added to the antenna shown in FIG.

제2 복사부(130)는 왼쪽 역-L형 구조(132)와 오른쪽 역-L 형 구조(134)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오른쪽 역-L 형 구조(134) 없이 왼쪽 역-L 형 구조(132)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radiation unit 13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left inverted-L structure 132 and a right inverted-L structure 13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132).

도 2를 참조하면 급전부(140)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제2 복사부(130)의 오른쪽에 역-L 형의 패치(Patch)인 오른쪽 역-L 형 구조(134)를 하나 더 추가함으로써 5.15 - 5.25 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손실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2, a right reverse L-shaped structure 134, which is an inverted-L patch, is added to the right of the second radiation unit 130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feeder 140 It can be seen that the reflection loss in the 5.15 - 5.25 GHz frequency band is reduc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에서 오른쪽 역-L 형 구조의 세로선로의 길이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 특성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FIG. 3 shows simulation results of return lo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from the antenna shown in FIG. 1 to the vertical line of the right inverted-L structure.

도 3을 참조하면 오른쪽 역-L 형 구조(134)의 세로선로 길이(LR3)가 길어질수록 5 GHz 주파수 근처에서의 공진 주파수가 짧아지고, 반사손실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5 GHz 주파수 근처에서의 반사손실은 오른쪽 역-L 형 구조(134)의 세로선로의 길이(LR3)가 9.8 mm일 때 가장 작지만, 5.725 - 5.825 GHz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면, 오른쪽 역-L 형 구조(134)의 세로선로 길이(LR3)가 8.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as the length L R3 of the right inverted L-shaped structure 134 is longer, the resonance frequency near the frequency of 5 GHz is shortened and the reflection loss is reduced. The return loss near the 5 GHz frequency is the smallest when the length L R3 of the right inverted-L structure 134 is 9.8 mm, but considering the frequency band 5.725-5.825 GHz, The length L R3 of the structure 134 along the vertical line is preferably 8.8 mm.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에서 왼쪽 역-L 형 구조의 세로선로의 길이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 특성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FIG. 4 shows a simulation result of the return loss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ength to the vertical line of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in the antenna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왼쪽 역-L 형 구조(132)의 세로선로 길이(LR2)가 길어질수록 5 GHz 주파수 근처에서의 공진 주파수가 짧아지고, 반사손실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왼쪽 역-L 형 구조(132)의 세로선로의 길이(LR2) 변화가 2.4 GHz 주파수 근처에서의 반사손실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5 GHz 주파수 근처에서의 반사손실에는 큰 영향을 준다. 5 GHz 주파수 근처에서의 반사손실은 왼쪽 역-L 형 구조(132)의 세로선로의 길이(LR2)가 9.3 mm일 때 가장 작다. 그러나 5.725 - 5.825 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손실 특성을 고려하면, 오른쪽 역-L 형 구조(134)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왼쪽 역-L 형 구조(132)의 세로선로 길이(LR3)가 9.3 mm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as the length L R2 of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132 increases, the resonance frequency near the frequency of 5 GHz is shortened and the reflection loss is reduced. The change in the length L R2 of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132 along the vertical line does not greatly affect the return loss near the 2.4 GHz frequency, but it has a large effect on the return loss near the 5 GHz frequency. The return loss near the 5 GHz frequency is the smallest when the length (L R2 ) to the vertical line of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132 is 9.3 mm. However, considering the return loss characteristics in the frequency band of 5.725-5.825 GHz, as in the case of the right inverted-L structure 134, the length L R3 of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132 along the vertical line is 9.3 mm.

표 1에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구조 파라미터를 WLAN 시스템으로의 적용을 위해 최적화하고, 그 최적화된 파라미터 값을 나타내었다.In Table 1, the structural parameters of the antenna shown in FIG. 1 are optimized for application to a WLAN system and the optimized parameter values are shown.

Figure 112016052640918-pat00001
Figure 112016052640918-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급전부(140)로부터 아래쪽 가로선로(LL1) 및 세로선로(LL2)를 거쳐 위쪽 가로선로(LL3)에 이르는 제1 복사부(120) 전체 전류경로의 길이는 약 24.05 mm로서 주파수 2.442 GHz의 1/4파장에 해당하는 30.7 mm보다는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the length of the entire current path from the feeder 140 to the lower horizontal line L L1 and the vertical line L L2 to the upper horizontal line L L3 is Which is about 24.05 mm, shorter than 30.7 mm corresponding to 1/4 wavelength of 2.442 GHz in frequency.

제2 복사부(130)의 왼쪽 역-L 형 구조(132)의 전체 길이는 11.8 mm로서 5.25 GHz의 1/4파장인 14.2 mm보다 작다. 이는 왼쪽 역-L 형 구조(132)가 오른쪽 역-L 형 구조(134)와 가까이 위치하고 왼쪽 역-L 형 구조(132)의 세로선로폭(WR1)이 두껍기 때문이다.The total length of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132 of the second radiation part 130 is 11.8 mm, which is smaller than 14.2 mm which is a quarter wavelength of 5.25 GHz. This is because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132 is located close to the right inverted-L structure 134 and the width W R1 along the vertical line of the left inverted-L structure 132 is thick.

오른쪽 역-L 형 구조(134)의 길이(LR3)는 약 13.1 mm로서, 주파수 5.75 GHz의 1/4파장에 해당하는 13 mm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 L R3 of the right inverted-L structure 134 is about 13.1 mm, which is similar to 13 mm corresponding to a quarter wavelength of the frequency 5.75 GHz.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전면 사진을 나타낸다.FIG. 5 is a front view of a multi-band antenna fabricat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유전율이 4.6이고, 손실 탄젠트가 0.019인 유리섬유와 합성수지로 구성된 FR-4를 기판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크기는 16.5 mm × 29.5 mm × 1.0 mm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모의실험된 안테나와 실제 제작된 안테나의 구조는 동일하며 소형화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FR-4 composed of glass fiber and synthetic resin with a dielectric constant of 4.6 and a loss tangent of 0.019 was used as a substrate and its size was 16.5 mm × 29.5 mm × 1.0 mm. As shown in FIG. 5, the structure of the simulated antenna and the actually fabricated antenna are the same,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ructure is miniaturiz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 다중대역 안테나의 후면 사진을 나타낸다. FIG. 6 shows a rear view of an actual fabricated multi-band antenna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모의실험된 안테나와 실제 제작된 안테나의 구조는 동일하며 소형화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s shown in FIG. 5, the structure of the simulated antenna and the actually fabricated antenna are identical and miniaturized.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측정 결과와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FIG. 7 shows measurement results and simulation results of a multi-band antenna actually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제작된 안테나의 반사손실은 안테나 분석기(Antenna Analyzer, Anritsu S331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최적화된 안테나 구조로 모의실험한 결과와 측정 결과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두 결과가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 오차는 제작 상에서 발생한 수치 오차와 환경 요인 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측정 결과 WLAN에서 사용하는 2.4 GHz 주파수 대역인 2.4 - 2.4834 GHz 주파수 영역과 5 GHz 주파수 대역인 5.15 - 5.825 GHz 주파수 영역에서 반사손실이 - 10 dB 이하로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reflection loss of the fabricated antenna was measured using an antenna analyzer (Anritsu S331D). 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 and the measurement result with the optimized antenna structure, the two results show a similar pattern. The measurement error seems to be caused by the numerical err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measurement result shows that the reflection loss is reduced to less than -10 dB in the frequency range of 2.4 - 2.4834 GHz, which is the 2.4 GHz frequency band used in WLAN, and the frequency range of 5.15 - 5.825 GHz, which is the 5 GHz frequency band.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xz 평면(Plane) 복사패턴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FIG. 8 shows the xz plane (plane) radiation pattern measurement result of the multi-band antenna actually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복사패턴의 측정은 MTG사의 전자파 무반사실(Anechoic Chamber)에서 수행되었으며 송신 안테나로 표준 혼 안테나(Horn Antenna)를 사용하였다. WLAN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안테나는 안테나가 어디에 존재하더라도 수신이 가능해야 하므로, 모노폴(Monopole) 안테나처럼 전방향성에 가까운 복사패턴이 요구된다. 도 8을 참조하면 xz 평면에서 전방향성에 가까운 복사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of the radiation pattern was performed by MTG's Anechoic Chamber and a standard horn antenna was used as a transmitting antenna. Since the wireless antenna used in the WLAN system must be able to receive the antenna even where it exists, a radiation pattern close to omnidirectional like a monopole antenna is required.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radiation pattern is close to omnidirectional in the xz plane.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yz 평면 복사패턴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FIG. 9 shows a result of yz plane radiation pattern measurement of a multi-band antenna actually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도 9를 참조하면 yz 평면에서 2.442 GHz, 5.25 GHz 및 5.75 GHz의 주파수에 대하여 전방향성에 가까운 복사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xy 평면에서의 복사패턴보다는 비대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yz 평면이 제1 복사부(120)와 제2 복사부(130) 사이의 구조적 비대칭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평면이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yz plane shows a nearly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at frequencies of 2.442 GHz, 5.25 GHz, and 5.75 GHz. The asymmetry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radiation pattern in the xy plane because the yz plane is the plane that best reveals the structural asymmetry between the first radiation section 120 and the second radiation section 130.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를 최적화하여 실제 제작한 다중대역 안테나의 xy 평면 복사패턴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FIG. 10 shows the xy plane radiation pattern measurement result of the multi-band antenna actually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xz 평면에서 2.442 GHz, 5.25 GHz 및 5.75 GHz의 주파수에 대하여 전방향성에 가까운 복사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radiation pattern is close to omnidirectional for frequencies of 2.442 GHz, 5.25 GHz, and 5.75 GHz in the xz plane.

따라서 실제 제작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는 WLAN용 안테나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Therefore, the multi-band antenn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idered as an antenna for WLAN.

표 2에는 실제 제작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주파수에 따른 효율(Efficiency, %), 평균이득(Average Gain, dBi) 및 최대이득(Peak Gain, dBi)을 나타내었다.Table 2 shows the efficiency (%), the average gain (dBi), and the maximum gain (peak gain, dBi) according to the frequency measured using an actual antenna manufactured.

Figure 112016052640918-pat00002
Figure 112016052640918-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는 IEEE 802.11b의 2.4 - 2.4835 GHz 대역에서 -2.31 dBi부터 -1.99 dBi까지의 평균이득과 58.77%부터 63.29%까지의 효율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Table 2, the multi-ba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average gain of -2.31 dBi to -1.99 dBi and an efficiency of 58.77% to 63.29% in the 2.4 to 2.4835 GHz band of IEEE 802.11b.

또한, IEEE 802.11a의 5.15 - 5.35 GHz와 5.725 - 5.825 GHz 대역에서 -1.99 dBi부터 -0.99 dBi까지의 평균이득과 63.29%부터 79.54%의 효율을 나타내어, WLAN 시스템용 안테나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이득과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it shows the average gain from -1.99 dBi to -0.99 dBi and the efficiency from 63.29% to 79.54% in 5.15 - 5.35 GHz and 5.725 - 5.825 GHz band of IEEE 802.11a, Efficienc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유전체 기판 120: 제1 복사부
130: 제2 복사부 132: 왼쪽 역-L 형 구조
134: 오른쪽 역-L 형 구조 140: 급전부
150: 제1 접지부 160: 제2 접지부
110: dielectric substrate 120: first radiation section
130: second copy part 132: left reverse-L type structure
134: Right reverse-L structure 140: Feeding part
150: first ground portion 160: second ground portion

Claims (21)

z방향의 기 설정된 두께와 xy방향의 기 설정된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유전체 기판(Dielectric Substrate);
상기 유전체 기판 상의 일측면에 C 형상의 금속 패턴을 형성하여 제1 동작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제1 복사부(Radiation Unit);
상기 제1 복사부와 일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유전체 기판 상의 상기 일측면과는 다른 일측면에 역-L 형상의 제1 금속 패턴을 형성하여 제2 동작주파수 대역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동작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 손실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금속 패턴보다 길이는 길고 폭은 더 짧은 역-L 형상의 제2 금속 패턴을 추가로 형성하여 역-F 형상을 이루는 제2 복사부;
상기 제1 복사부의 일측면 및 상기 제2 복사부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복사부와 상기 제2 복사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급전부(Feeding Unit); 및
상기 급전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접지부(Ground Unit)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복사부는 y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상기 제1 금속 패턴의 제1 세로선로 및 상기 제2 금속 패턴의 제2 세로선로 중 어느 한 지점과도 동일한 x좌표값을 공유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Multi-band Antenna).
a dielectric substrat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z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xy direction;
A first radiation unit for forming a C-shaped metal pattern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to provide a first operating frequency band;
A first metal pattern having an inverted-L sha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opposite to the one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to provide a second operating frequency band, A second radiation section having an inverted-F shape by further forming a second metal pattern having a longer length and a shorter width than the first metal pattern in order to further reduce a reflection loss in a frequency band;
A feed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radiation unit and one side of the second radiation unit and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 energy to the first radiation unit and the second radiation unit; And
A ground unit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wer feed unit,
Wherein the first radiation section does not share the same x coordinate value with any one of the first vertical line of the first metal pattern and the second vertical line of the second metal pattern formed in parallel in the y direc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제1 접지부와 제2 접지부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ound unit may includ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portions are divided into a first grounding portion and a second ground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부와 상기 제2 접지부는 상기 급전부를 중심으로 선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ground portion and the second ground portion are line-symmetric about the feed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동작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손실(Return Loss)이 -10 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turn loss in the first operating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operating frequency band is -10 dB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유리섬유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electric substrate comprises:
Wherein the at least one antenna is made of at least one of a fiberglass and a synthetic resi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사부, 상기 제2 복사부, 상기 급전부, 상기 제1 접지부 및 상기 제2 접지부는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radiation unit, the second radiation unit, the feeding unit, the first ground unit, and the second ground unit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주파수 대역은 2.4 GHz부터 2.4835 GHz까지이고,
상기 제2 동작주파수 대역은 5.15 GHz부터 5.825 GHz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perating frequency band is from 2.4 GHz to 2.4835 GHz,
Wherein the second operating frequency band is from 5.15 GHz to 5.825 GHz.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재질의 금속은,
구리(Copper), 은(Silver), 금(Gold), 알루미늄(Aluminum) 중 하나인 단일 금속 물질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Allo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al of the same material,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a single metal material that is one of copper, silver, gold, and aluminum, or an alloy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met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사부의 왼쪽에 형성된 복사부인 역-L 형 복사부의 길이, 상기 추가 역-L 형 복사부의 길이 및 상기 역-L 형 복사부와 상기 추가 역-L 형 복사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동작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inverted-L type radiation unit, the length of the additional inverted-L type radiation unit,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inverted-L type radiation unit and the additional inverted-L type radiation unit, which are radiation unit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radiation unit, And the return loss in the second operating frequency band is minimiz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사부의 왼쪽 세로선로폭과 상기 제1 복사부의 아래쪽 가로선로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dth of the first radiating part at the left vertical line and a width of the lower horizontal line of the first radiating part are the sam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사부의 위쪽 가로선로폭은 상기 제1 복사부의 아래쪽 가로선로폭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width of the first transverse portion in the upper horizontal line is greater than the width in the lower transverse line of the first transduc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동축(Coaxial) 형태의 커넥터(Connecto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And is connected to a coaxial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사부, 상기 제2 복사부, 상기 급전부 및 상기 접지부는 모두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adiation section, the second radiation section, the feeding section, and the ground section are all formed on the same plan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사부, 상기 제2 복사부, 상기 급전부 및 상기 접지부는 모두 한 번의 식각(Etching)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radiation unit, the second radiation unit, the feeding unit, and the ground unit are all formed by one etching proces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사부, 상기 제2 복사부, 상기 급전부 및 상기 접지부는 모두 한 번의 직접 인쇄(Direct Printing)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radiation section, the second radiation section, the feeding section, and the grounding section are all formed by a single direct printing proc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67754A 2016-05-31 2016-05-31 Multi-band Antenna KR101728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754A KR101728852B1 (en) 2016-05-31 2016-05-31 Multi-band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754A KR101728852B1 (en) 2016-05-31 2016-05-31 Multi-band Antenn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852B1 true KR101728852B1 (en) 2017-04-21

Family

ID=5870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754A KR101728852B1 (en) 2016-05-31 2016-05-31 Multi-band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85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gelopoulos et al. Circular and elliptical CPW-fed slot and microstrip-fed antennas for ultrawideband applications
Sun et al. A compact quadband CPW-fed slot antenna for M-WiMAX/WLAN applications
Ojaroudi Design of ultra-wideband monopole antenna with enhanced bandwidth
Karthikeya et al. CPW fed wideband corner bent antenna for 5G mobile terminals
KR20080051310A (en) Antenna having a additional ground
CN106654557A (en) Dual-frequency-point broadband dipole antenna
Consul Triple band gap coupled microstrip U-slotted patch antenna using L-slot DGS for wireless applications
KR101258211B1 (en) Planar type wideband mimo antenna
KR20050107881A (en) Multiple meander strip monopole antenna with broadband characteristic
KR101630674B1 (en) Double dipole quasi-yagi antenna using stepped slotline structure
CN105337029A (en) Microstrip antenna
Sopa et al. The hexagonal shaped UWB wearable textile antenna with band-notched characteristics
CN104409841A (en) Broadband slot antenna
Khalid et al. $2\times 2$ MIMO antenna with defected ground structure for mm-wave 5G applications
CN108808253B (en) Back cavity type slot antenna of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based on loading short-circuit nails
Iizasa et al. High gain 4× 4 slot dipole antenna array in the 5GHz band
Karthikeya et al. CPW fed conformal folded dipole with pattern diversity for 5G mobile terminals
Vadlamudi et al. Very Low Profile, Wideband, Dual polarized Massive MIMO Antenna Element with High Isolation for 5G Base Station Applications
Altaf et al. Miniaturization of microstrip fractal H-Shape patch antenna using stack configuration for wireless applications
CN108808254B (en) Back cavity type slot antenna of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based on loading short-circuit nails
KR101728852B1 (en) Multi-band Antenna
CN209804897U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and terminal equipment
JP2005203971A (en) Antenna device and system
Liu et al. A Dual-band Dual-polarized Antenna with AMC Reflector for 5G Base Stations
KR101871695B1 (en) Omnidirectional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