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338B1 - 보안 통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통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338B1
KR101728338B1 KR1020160098433A KR20160098433A KR101728338B1 KR 101728338 B1 KR101728338 B1 KR 101728338B1 KR 1020160098433 A KR1020160098433 A KR 1020160098433A KR 20160098433 A KR20160098433 A KR 20160098433A KR 101728338 B1 KR101728338 B1 KR 101728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lephone
unit
us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선영
이진
박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6009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통화시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면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단말기의 보안통화 기능을 활성화 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크 홀 펀칭 기술을 이용해 음성 및 기타 정보를 암호화 하여 직접 전송하여 통신 사업자에 데이터가 남지 않아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하고 단말간 직접 통신에도 기록을 남기지 않고 전송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보안 통신하는 보안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안 통화 시스템{Call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보안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통화시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면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단말기의 보안통화 기능을 활성화 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크 홀 펀칭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및 기타 정보를 암호화 하여 직접 전송하는 보안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전화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필수품이다 따라서 전화통화 역시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인 음성통화는 일반전화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역시 도청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일반적인 음성통화가 가용하는 통신사의 전화망에서의 단말간의 암호화는 통신사의 전화망 자체에서 지원해 주지 않는 이상 번거롭고 암호화한 것을 복호화 함에 있어서도 완벽하게 복호화 하지 못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일반 전화통화를 하다가 보안이 필요한 경우에만 디지털 데이터 망인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 수준에서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방식으로 전화통화 내용을 전송하여 일반 전화통화도 연결도 유지하면서 동시에 통화내용은 암호화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여 전화통화를 연결한 통신사의 전화망에서 도청을 당해도 전화통화 내용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필요성이 있다.
공개특허 10-2010-0056222 공개특허 10-2013-0137394
https://en.wikipedia.org/wiki/Voice_over_IP https://en.wikipedia.org/wiki/Hole_punching_(networking)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전화통화를 하다가 보안이 필요한 경우에만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 수준에서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 방식으로 전화통화 내용을 전송하여 일반 전화통화도 연결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전화망에서 도청을 당해도 전화통화 내용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안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안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100)와 전화통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에 각각 보안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 사이에 인터넷망과 중계서버(200)를 통해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의 전화통화 내용을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의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한 상태로 상기 인터넷망에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통해 송수신하는 단말기(100);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 사이에 인터넷망을 통해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한 상태로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가 서로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가 서로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상기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하기 위한 세션키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중계서버(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 또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통신부(110); 보안통화버튼부(140)가 선택되어 보안통화 기능이 실행된 경우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이 전화통화하기 위해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네트워크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한 전화통화는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보안부(120);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보안부(120)를 통한 보안통화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의 보안통화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보안통화버튼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전화통신부(111);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보안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이더넷통신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보안부(120)는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암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는 암호화부(121);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는 복호화부(122); 상기 암호화부(121) 및 상기 복호화부(122)를 통해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세션키로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동안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한 전화통화는 차단하고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네트워크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암호화부(121) 및 상기 복호화부(122)로 암호화된 전화통화를 수행하게 하는 통신채널설정부(123); 및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상기 중계서버(200)에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중계서버(200)에 전송하는 정보부(124);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를 표시하는 상대방전화번호표시부(131); 및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보안부(120)를 통한 보안통화 여부를 표시하는 보안통화중표시부(1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계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받은 상기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20);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전화서비스정보가 서로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단말기(100) 사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가 암호화 및 복호화 하기 위한 세션키를 생성하는 세션키생성부(230); 및 상기 세션키생성부(230)에 의해 매칭되는 각각의 상기 단말기(100)에 매칭된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상기 세션키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세션키를 전송하는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된 통화 당사자간 데이터(음성/메시지/파일)를 사용자 필요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통신 사업자에 데이터가 남지 않아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하고 단말간 직접 통신에도 기록을 남기지 않고 전송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보안 통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의 단말기(1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보안부(12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보안통화버튼부(140)를 선택하여 보안 파일 및 보안 메시지를 전송 가능하게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보안 파일 및 보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부(130)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가 일반전화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중계서버(2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관해 도 1 내지 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100)와 전화통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에 각각 보안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 사이에 인터넷망과 중계서버(200)를 통해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의 전화통화 내용을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의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한 상태로 상기 인터넷망에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통해 송수신하는 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 사이에 인터넷망을 통해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한 상태로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가 서로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가 서로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상기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하기 위한 세션키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중계서버(2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인터넷망에 상기 직접통신채널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홀 펀칭(Hole Punching)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대방의 단말기(100)가 직접 공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사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도 일대일 통신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화통화 내용을 송수신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전화 또는 휴대전화의 음성 전화통화를 위한 망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중계서버(200)가 전송하는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홀 펀칭(Hole Punching)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네트워크정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의 단말기(1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가 일반전화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때, 도 2,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 또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통신부(110)와 보안통화버튼부(140)가 선택되어 보안통화 기능이 실행된 경우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이 전화통화하기 위해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네트워크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한 전화통화는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보안부(12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보안부(120)를 통한 보안통화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의 보안통화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보안통화버튼부(14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가 정보를 표시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LCD 또는 OLED 등의 사람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가시광선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보안통화버튼부(14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사용자가 실수로 선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단 또는 2번 이상 선택하는 방식이나 2 내지 5초 이상 누르고 있어야 하는 방식의 버튼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보안통화버튼부(140)를 선택하여 보안 파일 및 보안 메시지를 전송 가능하게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보안 파일 및 보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부(130)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아울러, 도 5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안통화버튼부(140)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보안 파일 및 보안 메시지를 전송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버튼이 활성화 되고, 이를 다시 선택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파일 및 보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전화통신부(11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보안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이더넷통신부(112)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보안부(12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안부(120)는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암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는 암호화부(121)와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는 복호화부(122)와 상기 암호화부(121) 및 상기 복호화부(122)를 통해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세션키로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동안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한 전화통화는 차단하고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네트워크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암호화부(121) 및 상기 복호화부(122)로 암호화된 전화통화를 수행하게 하는 통신채널설정부(123)와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상기 중계서버(200)에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중계서버(200)에 전송하는 정보부(124)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암호화부(121)가 상기 세션키로 암호화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고급 암호화 표준(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등 최신 암호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복호화부(122)가 상기 세션키로 복호화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고급 암호화 표준(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등 최신 암호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통신채널설정부(123)가 전화통화를 차단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한 일반 전화통화를 위한 연결은 유지하면서 음성정보신호만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전화망을 제3자가 도청하더라도 무음 또는 음악/안내 메시지 등 이미 정의된 음성신호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정보부(124)가 전송하는 네트워크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홀 펀칭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단말기의 사설 네트워크 주소 및 포트와 공인 네트워크 주소 및 포트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정보부(124)가 전송하는 전화서비스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단말기(100)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서비스 식별부호 등이다.
이는 전화서비스정보를 통해 상대방과 현재 일반적인 전화통화를 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 중계서버(200)가 판단해야 하므로 전송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단말기(100)가 일반전화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이때 도 5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를 표시하는 상대방전화번호표시부(131)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보안부(120)를 통한 보안통화 여부를 표시하는 보안통화중표시부(132)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화 시스템에 중계서버(2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받은 상기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20)와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전화서비스정보가 서로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단말기(100) 사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가 암호화 및 복호화 하기 위한 세션키를 생성하는 세션키생성부(230)와 상기 세션키생성부(230)에 의해 매칭되는 각각의 상기 단말기(100)에 매칭된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상기 세션키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세션키를 전송하는 전송부(24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세션키생성부(230)가 상기 세션키를 생성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양자 난수 발생기 등 난수성이 우수한 난수를 발생시켜 상기 난수를 바탕으로 암호화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세션키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세션키생성부(230)가 서로 전화통화하는 상기 단말기(100)를 매칭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A 단말기와 B 단말기를 통해 전화통화하는 경우 A 단말기가 상기 중계서버(200)에 전송하는 상대방의 단말기인 B 단말기의 전화서비스정보와 B 단말기가 상기 중계서버(200)에 전송하는 B 단말기의 전화서비스정보가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B 단말기가 상기 중계서버(200)에 전송하는 상대방의 단말기인 A 단말기의 전화서비스정보와 A 단말기가 상기 중계서버(200)에 전송하는 A 단말기의 전화서비스정보가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지 판단하는 방식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11 : 전화통신부
112 : 이더넷통신부
120 : 보안부
121 : 암호화부
122 : 복호화부
123 : 통신채널설정부
124 : 정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31 : 상대방전화번호표시부
132 : 보안통화중표시부
140 : 보안통화버튼부
200 : 중계서버
210 : 수신부
220 : 저장부
230 : 세션키생성부
240 : 전송부

Claims (6)

  1. 보안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100)와 전화통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에 각각 보안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 사이에 인터넷망과 중계서버(200)를 통해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의 전화통화 내용을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100)의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한 상태로 상기 인터넷망에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통해 송수신하는 단말기(100);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 사이에 인터넷망을 통해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한 상태로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가 서로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가 서로 통신사의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상기 전화통화 내용을 서로 암호화하기 위한 세션키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중계서버(200);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 또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통신부(110);
    보안통화버튼부(140)가 선택되어 보안통화 기능이 실행된 경우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이 전화통화하기 위해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네트워크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한 전화통화는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보안부(120);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보안부(120)를 통한 보안통화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의 보안통화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보안통화버튼부(140);
    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부(120)는,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암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는 암호화부(121);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세션키로 상기 전화통화의 음성신호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는 복호화부(122);
    상기 암호화부(121) 및 상기 복호화부(122)를 통해 상기 전화통화를 상기 세션키로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동안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한 전화통화는 차단하고 상기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네트워크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직접통신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암호화부(121) 및 상기 복호화부(122)로 암호화된 전화통화를 수행하게 하는 통신채널설정부(123); 및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상기 중계서버(200)에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중계서버(200)에 전송하는 정보부(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의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전화통신부(111);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상대방과 보안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이더넷통신부(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화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를 표시하는 상대방전화번호표시부(131); 및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보안부(120)를 통한 보안통화 여부를 표시하는 보안통화중표시부(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받은 상기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전화서비스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전화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20);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전화서비스정보가 서로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단말기(100) 사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가 암호화 및 복호화 하기 위한 세션키를 생성하는 세션키생성부(230); 및
    상기 세션키생성부(230)에 의해 매칭되는 각각의 상기 단말기(100)에 매칭된 상기 상대방의 상기 단말기(100)의 네트워크정보와 상기 세션키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세션키를 전송하는 전송부(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화 시스템.
KR1020160098433A 2016-08-02 2016-08-02 보안 통화 시스템 KR10172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33A KR101728338B1 (ko) 2016-08-02 2016-08-02 보안 통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33A KR101728338B1 (ko) 2016-08-02 2016-08-02 보안 통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338B1 true KR101728338B1 (ko) 2017-04-19

Family

ID=5870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433A KR101728338B1 (ko) 2016-08-02 2016-08-02 보안 통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69A (ko)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보안 통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69A (ko)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보안 통신 시스템
KR102146493B1 (ko) * 2018-02-14 2020-08-21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보안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247B2 (en)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message oriented communications
US9078127B2 (en) Secure Communication Method
US9363034B2 (en) Method to encrypt information that is transferred between two communication units
CN101909290A (zh) 一种实现语音通话加密的方法及系统及移动终端
US20160006710A1 (en) Device for secure peer-to-peer communication for voice and data
US10237731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PKI key pair for mobile terminal
US102373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legal-intercept mode for a targeted secure element
CN108390755A (zh) 基于内置安全芯片的sim贴膜卡的安全输入法
CN103067897A (zh) 非对称手机短信加密方法
CN104618397A (zh) 一种用于即时通讯软件的加密方法及加密系统
KR20160121828A (ko) 단말간 음성 및 데이터 통신시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형 비화장치 및 방법
CN105262759A (zh) 一种加密通信的方法和系统
KR101728338B1 (ko) 보안 통화 시스템
CN108270917B (zh) 一种加密智能手机
CN105827601A (zh) 移动设备数据加密应用方法及系统
WO2022143727A1 (zh) 基于量子安全sim卡的通信系统及方法、量子安全sim卡、密钥服务平台
CN103986640A (zh) 一种可保障用户通讯内容安全的即时通讯方法及其系统
US20230070408A1 (en) Secur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quantum encryption chip based quantum random number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same
KR100572463B1 (ko) 공유 암호키를 이용한 무선 통신단말기 간 통신에서의 암호 통신방법
KR101293260B1 (ko) 이동 통신 단말 및 방법
CA2849174C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fe spontaneous transmission of confidential data over unsecure connections and switching computers
CN104955037A (zh) 一种实现gsm手机的加密通话方法和加密装置
CN113132090A (zh) 一种共享量子密钥的系统和基于所述系统的保密通信方法
KR101527053B1 (ko) 사생활 보호 통신 모드가 가능한 통신 시스템
CN107079290B (zh) 一种加密通话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