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073B1 - Protective film available for touch screen operation - Google Patents

Protective film available for touch screen op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073B1
KR101728073B1 KR1020160103311A KR20160103311A KR101728073B1 KR 101728073 B1 KR101728073 B1 KR 101728073B1 KR 1020160103311 A KR1020160103311 A KR 1020160103311A KR 20160103311 A KR20160103311 A KR 20160103311A KR 101728073 B1 KR101728073 B1 KR 10172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se layer
electrodes
protective film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배
진혁기
Original Assignee
(주)에프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티씨 filed Critical (주)에프티씨
Priority to KR102016010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0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rotective film enabling operation of a touchscreen which is attached to a touchscreen enabling a non-conductor to operate a capacitance-type touchscreen. The protective film comprises: a first substrate layer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made of conductive materials distributed on the first substrate layer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insulated from one another;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med on a plane of the first substrate layer identical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s; a second substrate layer stacked on a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layer on which the first electrodes and the second electrode have been formed, and which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 connection electrod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layer facing the first substrate layer which overlaps the first electrodes and the second electrode.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Protective film available for touch screen opera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전도체로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even with a nonconductive body.

스크린을 터치하여 바로 기기를 조작하는 터치스크린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인터페이스의 직관성과 편리성, 조작버튼을 최소화하는 설계상의 간결성과 심미성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기기 등 다양한 기기에 터치스크린이 설치되고 있다. A touch screen that operates the device directly by touching the screen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uch screens are install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the intuitiveness and convenience of the interface, the design simplicity and the aesthetics that minimize the operation buttons.

터치스크린은 구조 및 동작원리에 따라 크게 정전용량 방식, 감압방식 등으로 나뉘어진다. 초기 감압방식의 터치스크린도 자주 사용되었으나 감도, 반응속도, 조작성 등의 문제로 최근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The touch screen is divided into the electrostatic capacity type and the decompression ty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Although the initial decompression type touch screen is often used, a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is mainly used due to problems such as sensitivity, response speed, and operability.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과 같은 전기전도체를 접촉시켜 동작시킨다. 스크린 내 전도체가 접촉한 지점의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터치 및 터치위치를 인식하고 입력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The capacitive touch screen operates by contacting electrical conductors such as human hands. The touch and touch position can be recognized and converted into an input signal or the like by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t a point where the conductor in contact with the screen is detected.

그러나, 이러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비전도체로는 조작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감도, 반응속도 등은 뛰어난 반면, 장갑 낀 손 등으로는 조작이 곤란하여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 등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경우 감도가 떨어지거나 신호입력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역시 비전도체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capacitive touch screen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operated by a nonconductive body. In other words, the sensitivity and the reaction rate are excellent, but it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difficult to operate with a gloved hand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protect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such as a mobile device, sensitivity may be reduced or signal input may not be smooth. In this case, a capacitive touch screen may be operated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to be solved.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8634호, (2014. 04.2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48634, (Apr. 04, 2014)

본 발명의 과제는, 비전도체로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even with a nonconductive bod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은,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서로 이격되고 서로 절연되어 분산 배치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전극; 상기 제1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의 사이에 상기 제1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극; 상기 제1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된 면에 적층되고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기재층; 및 상기 제2기재층의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동시에 중첩되는 연결전극을 포함한다.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layer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disperse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base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A second bas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 connection electrod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facing the first base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 at the same time.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력에 의해 접할 수 있다.The connection electro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y gravity.

상기 제1전극은 서로 일정하게 배열된 다각형 형상의 전극이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 사이로 배치된 격자 형상의 전극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may be a polygonal electrode arranged regularly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gri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상기 연결전극은 복수 개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에 동시에 중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electrode may be simultaneously superimposed o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상기 연결전극은 복수 개의 상기 제1전극의 모서리 부분에 동시에 중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electrode may be simultaneously superimposed on a corn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상기 제1기재층 또는 상기 제2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상기 연결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면 상에 적층되며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3기재층; 및 상기 제3기재층의 상기 제1기재층 또는 상기 제2기재층을 향하는 면 상에 배치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3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third base layer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base layer being laminated on a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or the second base layer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are not formed; And a third electrod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third base layer facing the first base layer or the second base layer.

상기 제3전극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고 절연되어 분산 배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third electrod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ulated and dispersed.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연결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may be transparent electrodes.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터치스크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터치스크린 용이하게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비전도체로도 터치하여 매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고,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은 터치를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어 터치스크린과 밀착하여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기기의 내측에 배치하고 전도체 또는 비전도체로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기기에 적용하여 여러 가지 기기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touch screen by attaching a protective film to the touch screen, and can easily touch the touch screen with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In particular, since the capacitive touch screen can be easily operated by touching the nonconductive body, the capacitive touch screen can be used more safely, conveniently, and smoothly.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operate the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installed by the conductor or the nonconductive body because it can recognize the touch sensitively and is disposed inside the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closely with the touch screen.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aratuses in various forms to greatly enhance the performance of various apparatuses an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필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호필름의 전극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호필름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보호필름의 전극배열 및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보호필름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3 is an enlarged partial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electrode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5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6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arrangement and a modification example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1.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필름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은 비도전성(非導電性)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재층(100), 제1기재층(100) 상에 서로 이격되고 서로 절연되어 분산 배치된 도전성(導電性)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전극(110), 제1기재층(100)의 제1전극(110)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며 제1전극(110)의 사이에 제1전극(110)과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극(120), 제1기재층(100)의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이 형성된 면에 적층되고 비도전성(非導電性) 물질로 이루어진 제2기재층(200), 및 제2기재층(200)의 제1기재층(10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동시에 중첩되는 연결전극(2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layer 100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the layer 100 by being dispersed and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electrodes 110 of the first base layer 100,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120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first electrode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10, a first electrode 110 of the first base layer 100, A second base layer 200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200 facing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a connection electrode 210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simultaneously overlapped.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 사이에 형성되어 민감하게 터치를 인식하는 전극구조(제1전극, 제2전극, 연결전극)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극구조는 동일 평면상에 서로 이격된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이 연결전극(210)과 동시에 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전극(110), 제2전극(120), 연결전극(210)은 서로 접촉상태를 유지하며 터치행위에 의해 접촉상태가 변화되면 전극 내 전하분포 등이 변경되어 이를 정전용량 변화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전도체 또는 전기 비전도체 등 다양한 물체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신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structure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 connection electrode)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layer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layer 200 to sensitively recognize a touch.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ar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at the same time. 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connecting electrode 210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If the contact state is changed by the touching action, the charge distribution in the electrode is changed and the capacitance is measured by a capacitance change . Accordingly, a touch signal can be easily input to a capacitive touch screen by using various objects such as an electric conductor or an electric nonconductor.

특히, 제1전극(110), 제2전극(120), 연결전극(210)은 터치행위가 없더라도 서로 분리되지 않고 자연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후술하는 구조적 특징, 전극간 배치의 특징 등에 의해 이러한 경우에는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반면, 미세한 터치만으로도 서로 접촉되어 있는 제1전극(110), 제2전극(120), 연결전극(210) 상호간의 접촉상태에 변화를 줄 수 있어 이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매우 높은 감도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터치스크린(A)을 매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감도 높은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다양한 방식으로 기기에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without touching but remain in contact with each other naturally. 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s 21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with a fine touch,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following structural features, So that the corresponding touch signal can be inputted with a very high sensitivity. Therefore, the touch screen A can be operated very easily even in the state that the protective film is attached, and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generating a touch signal with high sensitivity can be applied to the device in various ways and used more efficiently.

이하, 이러한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도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제1기재층(100)은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제1기재층(100)은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 전도성이 없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재층(100)과 후술하는 제2기재층(200)을 적층하여 보호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의 테두리부분 등을 완전히 밀착시켜 내부에 형성된 전극구조를 보호할 수 있다. 제1기재층(100)은 굴절 가능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두께가 얇은 유리로도 형성할 수 있다. 제1기재층(100)은 비도전성 물질인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10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base layer 1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film having optical transparency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no electrical conductivity. As shown in FIG. 1, a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first base layer 100 and a second base lay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tect the electrode structure formed therein. The first base layer 100 may be formed of refractabl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of a thin glass if necessary. The first base layer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limits of the non-conductive material.

제1전극(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재층(100)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전극(110)은 복수 개가 서로 절연되어 분산 배치되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등 광투과성을 가지며 동시에 전기 전도가 가능한 물질 등으로 제1전극(1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전극(110)의 크기, 형상, 배열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st electrodes 110 are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100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0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are dispersedly disposed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optical transparency, such as ITO (Indium Tin Oxide), and at the same time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The size, shape, arrangement, and the like of the first electrode 11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ed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제2전극(120)은 제1기재층(100)의 제1전극(110)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된다. 제2전극(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10)의 사이에 제1전극(110)과는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전극(120)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제1전극(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110) 역시 ITO(Indium Tin Oxide) 등 광투과성을 가지며 동시에 전기 전도가 가능한 물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전극(120)의 크기, 형상, 배열 등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electrode 120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electrode 110 of the first base layer 100. The second electrode 1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first electrode 110, as shown in FIG. One or more of the second electrodes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110. The first electrode 110 may also be formed of ITO (Indium Tin Oxide) or the like, which is light-transmissiv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The size, shape, arrangement, and the like of the second electrode 12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ed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제2기재층(200)은 제1기재층(100)에 적층된다. 제2기재층(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재층(100)의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이 형성된 면에 적층되며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의 사이에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들이 배열된다. 제1기재층(100) 역시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 필름이나 굴절 가능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두께가 얇은 유리로도 형성할 수 있다. 제1기재층(100) 또한 비도전성 물질인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은 필요에 따라 얇은 유리나 기타 PC(poly carbonate) 등의 경질 합성수지 등을 재료로 하여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base layer (200) is laminated on the first base layer (100). 2, the second substrate layer 20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is stacked on a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layer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formed. Therefore, electrode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e arrang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base layer 100 may also be formed of a transparent film having optical transparency or a refra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thin glass if necessary. The first base layer 100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limits of non-conductive materials.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can be formed variously using thin glass or other hard synthetic resin such as polycarbonate, if necessary.

연결전극(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재층(200) 상에 형성된다. 연결전극(210)은 제2기재층(200)의 제1기재층(10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연결전극(210)은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과 동시에 중첩된다(도 1 참조). 따라서, 연결전극(210)을 매개로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 사이로 전하가 이동되고 이로 인한 각 전극의 전하분포 변동이 유발될 수 있다. 연결전극(210) 역시 ITO(Indium Tin Oxide) 등 광투과성을 가지며 동시에 전기 전도가 가능한 물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전극(210)의 크기, 형상, 배열 등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연결전극(210)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necting electrode 210 is formed on the second base layer 200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200 facing the first base layer 100.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overlapped with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t the same time (see FIG. 1). Accordingly, charges are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through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and the charge distribution of each electrode may be varied.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may also be formed of ITO (Indium Tin Oxide) or the like, which is light-transmissiv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The size, shape, arrangement, and the like of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eded.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은 제1기재층(100) 상에 형성된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 제2기재층(200) 상에 형성된 연결전극(210)이 서로 접하는 형태로 구조화된다. 이러한 전극구조는 서로 적층된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의 사이(보호필름 내부)에 형성되어 보호필름 외부에서 가해진 터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각 전극은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서로 접하여 미량의 전하이동 등을 유발할 수 있으나, 외력 없이 자연적으로 접하는 전극간 접촉과 각 전극들의 적절한 크기 및 배열 등에 의해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은 각 전극이 접하더라도 터치로 인식되지 않고,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이를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극들의 구체적인 구조와 배치, 보호필름의 동작과정과 사용례 등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0 and a second electrode 120 formed on a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s 210 formed on the substrate 200 are struct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uch an electrode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inside the protective film) laminated to each other and sensitively reacts to the touch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film. Each of the electrodes can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y are not touching to cause a small amount of charge transfer. However, during touching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s naturally without external force and the proper size and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It is not recognized as a touch even if it is touched, and is formed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sensitively only when a touch is made. Hereinafter, the specific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otective film and the use example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은 도 2의 보호필름의 전극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보호필름의 작동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partial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n electrode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1, and FIG. 5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제1전극(110), 제2전극(120), 및 연결전극(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조화된다. 제1기재층(100) 상에 서로 이격되고 절연된 복수 개의 제1전극(110)이 분산하여 배치되고, 제1전극(110)의 사이로 제1전극(110)과 이격하여 제2전극(120)들이 배치된다. 연결전극(210)은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의 인접지점과 대응하는 제2기재층(도 4의 200참조) 상에 배열되어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연결전극(210)에 동시에 접촉된다(도 3에서 제2기재층은 생략되었음). 연결전극(210)의 면적은 제1전극(110)의 면적보다 작으며, 제2전극(120) 역시 제1전극(110)보다 면적이 작다. 이로 인해, 연결전극(210)이나 제2전극(120)의 전하분포 변화는 상대적으로 인식이 어려우며 제1전극(110)의 전하분포 변화만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감지된다.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are structured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0 separated and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100 are dispersed and dis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100. The first electrodes 110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s 110, Are disposed.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arranged on the second base layer (refer to 200 in FIG. 4)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point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to form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The second substrate layer 120 is simultaneously contacted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the second substrate layer is omitted in Fig. 3). The area of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1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lectrode 110. Accordingly, the charge distribution change of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is relatively difficult to recognize, and only the charge distribution change of the first electrode 110 is relatively easily detected.

또한, 연결전극(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의 상방에서 중력에 의해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과 자연스럽게 접촉하며 최소한의 전하 이동만을 허용할 수 있다. 즉, 터치행위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외력이 없는 경우 연결전극(210)은 자중에 의해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과 접촉하면서 미량의 전하 이동만을 유발할 수 있다. 연결전극(210)은 제2기재층(도 4의 200참조)에 부착되어 있고 하중도 작으므로(마이크로 미터 단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력 없이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면의 불균일성 등에 의해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과 통전 가능한 영역이 크게 제한될 수 있다.3,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brought into a natural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by gravity above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allows only minimal charge transfer. That is,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due to no touching action or the like,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due to its own weight, and may cause only a small amount of charge movement. Since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attached to the second base layer (see 200 in FIG. 4) and has a small load (it can be formed in the size of micrometer unit) The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can be energized can be largely limited.

따라서, 연결전극(210)과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은 외부 터치행위가 없는 경우 서로 접하더라도 미량의 전화 변동만이 있을 뿐 터치행위로 인식될 만큼의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시키지 못하게 된다. 오히려, 연결전극(210)과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서로 자연스럽게 접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의 사이에 적절히 간격이 유지되고,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구조(예를 들면, 돌기 등을 이용한 스페이서 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구조적으로 간결해지며,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 사이에 전극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 외의 불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 터치행위를 보다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고,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 적층시 내부에 유지되는 공기층도 최소화할 수 있어 온도변화에 의한 공기층의 팽창 등 필름 구조를 파괴할 수 있는 원인도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기층이 최소화되므로 필름이 눌리거나 수축되는 느낌이 제거되어 터치감도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absence of an external touch action, . 4,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gap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nother structure (for example, a spacer structure using protrusions or the like) for maintaining a proper gap and structurally simpler, and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The space for forming the electrode structure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external touch action can be more sensitively recognized and the air layer held inside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can be minimized, And the cause of destroying the structure can be solved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since the inner air layer is minimized, the feeling of pressing or shrinking the film is eliminated, and the touch sensi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연결전극(210), 제1전극(110), 제2전극(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된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기재층(100)의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형성되고, 제2기재층(200)의 제1기재층(100)을 향하는 면에 연결전극(210)이 형성된다. 연결전극(210)은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의 인접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과 동시에 중첩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의 사이에 제1전극(110), 제2전극(120), 연결전극(210)이 배열된 구조로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The connecting electrode 210,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stacked on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 A first electrode 110 and a second electrode 120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of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connected to a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200 facing the first base layer 100 An electrode 210 is formed.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poin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overlapped with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t the same time. This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connecting electrode 210 are arrang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즉, 도 4에는 제1기재층(100)이 하부에 위치하고 제2기재층(200)이 상부에 위치하는 정렬상태가 예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의 적용상태, 부착상태, 사용상태 등에 대응하여 이러한 위치는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다. 즉, 제1기재층(100)과 제2기재층(200)이 서로 적층 형성되고, 제1기재층(100)의 제2기재층(200)을 향하는 면에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형성되고, 제2기재층(200)의 제1기재층(100)을 향하는 면에 연결전극(210)이 형성되어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연결전극(210) 접하는 구조는 위치나 정렬상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4 shows an alignment state in which the first base layer 10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Such a position can be relatively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tate, the attachment state, the use state, and the like. That is, the first base layer 10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are lamina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base layer 200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100 facing the second base layer 200, And a connection electrode 210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200 facing the first base layer 100 to form a first electrode 110 and a second electrode 120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in contact can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r alignment state.

이러한 구조의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가능하다. 즉, 도 5에 (a)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터치 행위가 없는 경우 외력이 없으므로 연결전극(210)과 제1전극(110), 제2전극(120)은 서로 자연스럽게 접하여 중첩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전극(210), 제1전극(110), 제2전극(120) 등이 서로 접하더라도 접촉면의 불균일성 등에 의해 각 전극 사이로 통전 가능한 영역이 제한되며 미량의 전하만이 유동된다. 이러한 상태는 정전용량의 변화도 미미하므로 터치신호로 인식되지 않는다.The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of this structure is operable as shown in Fig. That is, as shown in FIG. 5A, since there is no external force in the absence of an external touch action,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and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in natural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overlap state. In this case, even if the connecting electrode 210,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region that can be energized between the electrodes is limited due to non-uniformity of the contact surface, do. This state is not recognized as a touch signal since the change in capacitance is small.

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터치행위에 의해 외력(화살표 참조)이 전달된 경우 연결전극(210)과,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서로 밀착되며 접촉상태가 변화된다. 특히, 전극간 접촉면의 불균일한 부분도 외력에 의해 상호 변형되어 효과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연결전극(210), 제1전극(110), 제2전극(120) 상호간의 통전 가능한 영역이 확장되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전하가 전극 사이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변화된 전극의 전하분포를 정전용량의 변화로 감지할 수 있다.5 (b), when the external force (see arrow) is transmitted by the external touch action,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tact state is changed. Particularly, uneven portions of the contact surfaces between the electrodes are mutually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and are eff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nductive region between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is extended, an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harge is transferred between the electrodes. As a result, the charge distribution of the changed electrode can be detected as a change in capacitance.

특히,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제1전극(110)의 전하분포 변화를 정전용량의 변화로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재층(100)에 터치스크린이 밀착된 경우,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제1전극(110)의 전하분포 변화는 제1기재층(100)을 사이에 두고 제1전극(110)과 터치스크린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의 플럭스 변화를 충분히 유도한다. 따라서, 이를 정전용량의 변화로써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극(1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터치신호가 결정되고 제1전극(110)의 배치에 대응하는 다양한 지점을 터치하여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연결전극(210) 및 제2전극(120) 내에서도 전하분포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 내 국한된 변화로 적절한 터치신호로 인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류를 피하고 보다 정확하게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change in charge distribu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0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change in capacitance. For example, when the touch screen is closely attached to the first substrate layer 100, the change in the charge distribu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0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may be caused by the first electrode layer 100 110 < / RTI > and the touch screen. Therefore, it can be easily measured by changing the capacitance. Accordingly, the touch signal is determi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touch screen can be operated by touching various points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electrode 110. At this time, although the charge distribution may vary within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it is not recognized as an appropriate touch signal due to a localized change in a relatively small area. Therefore, the error can be avoided and the touch signal can be input more accurately.

또한,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전극이 이미 접촉되어 있는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보호필름의 특정 지점의 전극 접촉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미세한 터치로도 효과적으로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는 전기 전도체 또는 전기 비전도체 등 어느 것으로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물체를 가볍게 터치하여 보다 높은 감도로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신호를 입력하고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lectrode is already in contact even if the touch is not performed, the touch signal can be effectively input even with a fine touch for changing the electrode contact state at a specific point of the protective film. Such a touch can be an electric conductor or an electric nonconductor, so that a touch signal can be input with a higher sensitivity by lightly touching various objects. In this way, the touch screen can be easily operated by inputting the touch signal to the capacitive touch screen while the protective film is attached.

제1전극(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하게 배열된 다각형 형상의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전극(120)은 제1전극(110)의 사이로 배치된 격자 형상의 전극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여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서로 이격되되 연결전극(210)을 매개로 서로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효과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를 통해 한정된 면적 내 보다 많은 제1전극(110)을 배열하고 제1전극(110)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원활한 터치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3, the first electrode 110 is formed of a polygonal shape,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is formed of a lattice-shape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110 do.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be effectively structured to easily contact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 In addition, through this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first electrodes 110 more than the limited area, and sufficiently secure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0, so that a smooth touch signal can be inputted.

또한, 연결전극(210)은 복수 개의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에 동시에 중첩되어 연결전극(210)과 접촉된 하나 이상의 제1전극(110)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전극(210)은 복수 개의 제1전극(110)의 모서리 부분에 동시에 중첩될 수 있다. 다각형 형상의 제1전극(110) 모서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제1전극(110)의 모서리가 모인 부분에 연결전극(210)을 배열하고 복수 개의 제1전극(110)과 보다 용이하게 중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극들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극들의 배치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고,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의 사용례 등에 대해서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nection electrode 210 may be more effectively overlapped with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by using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1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Can be input. The connection electrodes 210 may be simultaneously superimposed on the corner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0. The connection electrodes 210 may be arranged at the corners of the different first electrodes 110 using the polygonal first electrode 110 and may be more easily overlapp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0. [ have. The arrangement of such electrodes can be suitably modified in various forms as needed. 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nd examples of the use of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도 1의 보호필름의 전극배열 및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보호필름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arrangement and a modification example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1,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도 6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10)은 서로 일정하게 배열된 다각형 형상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형상은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육각형 형상의 제1전극(110)을 분산 배치하여 꼭지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보다 많은 수의 연결전극(210)을 배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터치신호의 정확성, 선형성(linearity)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꼭지점(모서리)의 개수가 이보다 많은 육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제1전극(110)을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6A, 6B, and 6C,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formed of a polygonal electrode uniformly arrang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shape of the polyg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to a rectangle, a square, or a polygon having a square or more as shown in Fig. In particular, the hexagonal first electrodes 110 as shown in FIG. 6 (c) can be dispersed and disposed, so that a greater number of connecting electrodes 21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ertexes can be arranged, Accuracy, linearity,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rst electrode 110 in a polygonal shape having a larger number of vertexes (hexagonal) than the number of the vertexes (edges) as needed.

연결전극(210)은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과 동시에 중첩된다. 이러한 한도 내에서 연결전극(210)의 형상이나 배열상태를 다각형이나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연결전극(210)은 터치신호의 압력이 전달되어 제1전극(110)의 전하분포를 변경시키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전극(210)의 개수나 배치를 변화시켜 터치신호의 정확성, 성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전극(210)은 도 6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에 동시에 중첩하도록 배치하여 하나 이상의 제1전극(110)을 동시에 활용하여 터치신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10)과 일대일로 매칭시켜 입력위치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각 전극들의 배치를 변경하고 조정하여 터치신호가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입력되는 전극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electrode 210 overlaps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t the same time. The shape and arrangement state of the connecting electrode 210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 polygonal shape or a circular shape within such a limit. Since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is a kind of switch that changes the charge distribu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0 by transferring the pressure of the touch signal,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 electrodes 210 are changed as described above, Accuracy, formability,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6A and 6C,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0 and the second electrodes 120 at the same time to form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110, May be simultaneously used to input a touch signal. As shown in FIG. 6B,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matched with the first electrode 110 in a one-to-one mann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nput position. Thus,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in various forms can be changed and adjusted to realize an electrode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signal is inputted more accurately and effectively.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거나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의 제1기재층(100)을 터치스크린(A)에 밀착시켜 부착하고 보호필름에 압력을 가하여 터치스크린(A)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A)이 장착된 기기 외측의 터치스크린(A)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행위로 인해 터치위치의 전극간 접촉상태가 변화되고 이로 인해 유발된 제1전극(110) 전하분포 변화를 터치스크린(A)이 정전용량의 변화로써 인식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or applied to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7A, the first base layer 100 of the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is closely attached to the touch screen A, an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film so that the touch screen A Can be easily operated. That is, a protectiv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A on the outside of the device on which the touch screen A is mount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electrodes at the touch position is changed due to the touch action, and the change in the charge distribu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0 caused by the touch change can be recognized as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screen A .

또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은 도 7의 (b)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를 바꾸어 터치스크린(A)에 다른 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필름은 터치스크린(A)이 장착된 기기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보호필름은 기기 내측에서 터치스크린(A)에 가해진 터치압력을 전달받아 터치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보호필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내측에서 제1기재층(100)이 터치스크린(A)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2기재층(200)이 터치스크린(A)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may be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 in a different manner by changing the arrangement as shown in FIG. 7 (b). In this case, the protective film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touch screen A, and the protective film can receive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and convert it into a touch signal. The protective film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base layer 100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A on the inside of the apparatus as shown in the figure but the second base layer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A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it.

즉,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A)에 전도체로 직접 터치신호를 입력하거나, 비전도체로 터치스크린(A)에 가한 터치신호를 터치스크린(A)과 접촉된 보호필름을 통해 정전용량 변화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다시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전극(210), 제1전극(110), 제2전극(120)이 이미 접촉되어 있고 전극의 접촉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미세한 터치행위로 충분하므로, 터치스크린(A)의 미묘한 굴절도 터치압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A)을 통해 압력이 전달되면 전술한 과정을 통해 해당 위치의 제1전극(110)의 전하분포가 변경되고 이를 정전용량의 변화로 측정하여 터치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a touch signal directly to the touch screen A as a conductor, or transmits a touch signal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 by a nonconductive body through a protective film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A, It can be converted back into a recognizable form.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alread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fine touch action for changing the contact state of the electrode is sufficient, A) can be recognized as the touch pressure. When the pressure is transmi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A, the charge distribu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chang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 charge distribution can be measured as a change in capacitance to be recognized as a touch sig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을 다양한 형태로 기기에 적용하거나 터치스크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비전도체로 터치하더라도 정전용량 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는 터치신호로 변환시켜 주는바, 비전도체로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evices or attached to a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1 capabl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converts the touch signal into a touch signal that can be detected by a capacitive method even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through the nonconductive body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can be easily operated and used.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ake of brevity and clarity, por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explanations of the remaining portions will be replaced by the above descrip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of FI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1-1)은 제3기재층(300) 및 제3기재층(300)에 형성된 제3전극(310)을 포함한다. 제3기재층(300)은 제1기재층(100) 또는 제2기재층(200)의 제1전극(110), 제2전극(120), 연결전극(210)이 형성되지 않은 면 상에 적층되며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3전극(31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되 제3기재층(300)의 제1기재층(100) 또는 제2기재층(200)을 향하는 면 상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전극(310)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고 절연되어 분산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황에 따라 제3전극(310)은 단일 전극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분산 배열된 복수 개의 제3전극(310)이 형성된 예로써 설명을 진행한다.8 and 9, a protective film 1-1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base layer 300 and a third base layer 300 formed on the third base layer 300. [ Electrode 310 as shown in FIG. The third base layer 30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100 or the second base layer 2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210 are not formed Stacked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third electrode 31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base layer 300 facing the first base layer 100 or the second base layer 200. As illustrated,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may be isolated and disper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rd electrode 310 may be formed as a single electrode according to circumstances.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310 arranged in a dispersed manner are formed.

제3기재층(3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전극(210)이 형성되지 않은 제2기재층(200)의 면(도 8 및 도 9의 제2기재층 상면) 상에 적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제1전극(110), 제2전극(120)이 형성되지 않은 제1기재층(100)의 면(도 8 및 도 9의 제1기재층 하면) 상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보호필름의 상하를 바꾸어 정렬상태를 변경시켜 사용하는 경우, 도면과 반대로 제2기재층(200) 상방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100) 위에 제3기재층(300)을 다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기재층(300)이 제2기재층(200)에 적층된 예로써 설명을 진행한다. 즉, 제3기재층(300)은 전술한 전극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적층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base layer 30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200 on which the connecting electrode 210 is not forme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in Figs. 8 and 9) Respectively.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this, and if necessary,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not forme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in Figs. 8 and 9)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protective film shown in the figure is used to change the alignment state by chang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rotective film, the third bas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100 located above the second base layer 200, Can be laminated agai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base layer 300 is stacked on the second base layer 2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third base layer 300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above-described electrode structure is not formed. Therefore, a cross section can be formed in a shape as shown in FIG.

제3전극(310)은 이러한 제3기재층(300)의 제2기재층(20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제3전극(3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제3기재층(300) 상에 서로 이격되고 절연되어 분산 배열될 수 있다. 제3전극(310)은 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크기나 너비 등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전극(310)을 제3기재층(300)에 형성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재층(200)과 제3기재층(300) 사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제3전극(310)을 구현할 수 있다.The third electrode 31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base layer 300 facing the second base layer 200.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the third electrodes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the third base layer 300 and may be dispersed and arranged. The third electrode 310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the size, width,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310 may be formed on the third base layer 300 to form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310 located between the second base layer 200 and the third base layer 300, 310).

이와 같이 제3전극(310)이 형성되면, 제3기재층(300)에 물 등의 도전성 물질이 부착되더라도 이로 인한 비정상적 터치신호의 입력을 막을 수 있다. 즉, 제3기재층(300) 위에 물 등의 도전성 물질이 넓게 부착되는 경우 이로 인한 전하분포를 터치스크린 등이 직접 인식하여 비정상적 터치신호가 입력될 우려가 있다. 복수 개로 분산 배치된 제3전극(31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어 물 등의 도전성 물질이 넓게 부착되더라도 이로 인한 영향을 차단하고 분산시켜 터치스크린에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필름에 제3기재층(300)과 제3전극(310)을 형성하여 외부 상황에 구애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third electrode 31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water is adhered to the third base layer 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bnormal touch signal from being input. That is, when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water is widely adhered on the third base layer 300, the charge distribution due to this may be directly recognized by a touch screen or the like, and an abnormal touch signal may be inputted. The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310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even i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water is widely adhered thereto, the third electrode 310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input a touch signal on the touch screen. The third substrate layer 300 and the third electrode 310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mounted on the protective film without any external circumstanc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1-1: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
100: 제1기재층 110: 제1전극
120: 제2전극 200: 제2기재층
210: 연결전극 300: 제3기재층
310: 제3전극
A: 터치스크린
1, 1-1: Protective film for touch screen operation
100: first base layer 110: first electrode
120: second electrode 200: second substrate layer
210: connecting electrode 300: third substrate layer
310: third electrode
A: Touch screen

Claims (8)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서로 이격되고 서로 절연되어 분산 배치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전극;
상기 제1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의 사이에 상기 제1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극;
상기 제1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된 면에 적층되고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기재층; 및
상기 제2기재층의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동시에 중첩되는 연결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력에 의해 접하는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
A first base layer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disperse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base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A second bas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nd a connection electrod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opposite to the first base layer,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ping at the same time,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s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y gravity.
삭제delete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서로 이격되고 서로 절연되어 분산 배치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전극;
상기 제1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의 사이에 상기 제1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극;
상기 제1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된 면에 적층되고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기재층; 및
상기 제2기재층의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동시에 중첩되는 연결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전극은 서로 일정하게 배열된 다각형 형상의 전극이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 사이로 배치된 격자 형상의 전극인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
A first base layer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disperse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base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A second bas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nd a connection electrod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opposite to the first base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 at the same tim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a polygonal electrode that is regularly arrang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lattice-shape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은 복수 개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에 동시에 중첩되는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s capable of operating a touch screen simultaneously superimposed o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second electro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은 복수 개의 상기 제1전극의 모서리 부분에 동시에 중첩되는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s are simultaneously superimposed on the corn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 상에 서로 이격되고 서로 절연되어 분산 배치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전극;
상기 제1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의 사이에 상기 제1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극;
상기 제1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된 면에 적층되고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기재층;
상기 제2기재층의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동시에 중첩되는 연결전극;
상기 제1기재층 또는 상기 제2기재층의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상기 연결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면 상에 적층되며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3기재층; 및
상기 제3기재층의 상기 제1기재층 또는 상기 제2기재층을 향하는 면 상에 배치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3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
A first base layer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disperse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base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A second bas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connection electrod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opposite to the first base layer,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ping at the same time;
A third base layer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base layer being laminated on a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or the second base layer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are not formed; And
And a third electrod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third base layer facing the first base layer or the second base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고 절연되어 분산 배열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insulated and arranged in a dispersed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연결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are transparent electrodes.
KR1020160103311A 2016-08-12 2016-08-12 Protective film available for touch screen operation KR101728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311A KR101728073B1 (en) 2016-08-12 2016-08-12 Protective film available for touch screen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311A KR101728073B1 (en) 2016-08-12 2016-08-12 Protective film available for touch screen op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073B1 true KR101728073B1 (en) 2017-04-20

Family

ID=5870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311A KR101728073B1 (en) 2016-08-12 2016-08-12 Protective film available for touch screen op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07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668B1 (en)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KR101452302B1 (en) Touch sensor panel
US10591993B2 (en) Haptic structure for providing localized haptic output
US9148142B2 (en) Capacitive touch keyboard
JP5748274B2 (en) Position detection sensor,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KR101506511B1 (en) Capacitive location and pressure touch sensing device
US9638731B2 (en) Capacitive touch keyboard
KR20180023789A (en) Touch input device
WO2014137103A1 (en) Haptic feedback screen using piezoelectric polymer
US10289210B1 (en) Enabling touch on a tactile keyboard
TW201317869A (en) Touch panel
CN109739382B (en) Touch device and display equipment
JP2018112854A (en) Capacitance type sensor device
KR20140107996A (en) Resistive type touch film for capacitive touch panel
JP6199541B2 (en) Touch input device
KR20140051005A (en) Touch screen panel
KR101728073B1 (en) Protective film available for touch screen operation
JP2012003522A (en) Touch panel
US20130206568A1 (en) Touch panel
US8274490B2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59203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10087058A (en) Capacitance touch screen
KR101191145B1 (en) Touch film for capacitive type touchscreen, touchscreen comprising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200401265A1 (en) Absorption correction for fabric touch sensing layer
KR101927795B1 (en) Touch input device for sensing a position and a pressure magnitude of t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