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029B1 -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029B1
KR101728029B1 KR1020150092672A KR20150092672A KR101728029B1 KR 101728029 B1 KR101728029 B1 KR 101728029B1 KR 1020150092672 A KR1020150092672 A KR 1020150092672A KR 20150092672 A KR20150092672 A KR 20150092672A KR 101728029 B1 KR101728029 B1 KR 101728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ion water
extraction
pressure vess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524A (ko
Inventor
임회규
Original Assignee
임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회규 filed Critical 임회규
Priority to KR102015009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0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combined with a vacuum, e.g. for moisture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대인의 주생활 공간인 주택과 아파트 및 학교, 관공서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은 건축용 거푸집의 내부에 시멘트와 골재 및 물이 혼합된 레미콘이 타설된 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이루어져, 거푸집을 해체한 건축 구조물의 거친 표면에 시멘트 몰타르를 이용하여 실내의 내측 벽면을 매끈하고 평탄하게 마감 미장을 함으로서 건축물의 내부 표면공사가 완성 단계에 이른다.
이로 인해 폐쇄적인 생활공간에 시멘트로 형성된 실내의 벽면에서 라돈(radon), 6가크롬(Cr+ 6 : Chromium), 암모니아(ammonia), 강알칼리(PH12)성 독성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침은 물론 쾌적한 실내 공기의 질을 떨어트리는 주요 원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방향성 식물의 생원목에서 수용성 피톤치드가 함유된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추출하여 실내 벽면의 미장용 몰타르 경화제 희석용으로 제공하여 기존의 경화제인 물을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서, 식물성 수성 경화제가 시멘트 입자와 결합되어 시멘트 독성이 중화되게 하고 실내 벽면의 내부에서 천연의 피톤치드와 방향목 고유의 향기가 뿜어지게 하여 환경유해물질의 방출을 지속적으로 저감시키는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방향성 식물의 원목을 채취하는 단계와;
상기 방향성 식물의 원목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원목의 껍질을 제거하는 박피 단계와;
상기 박피 완료된 원목의 목질부를 단판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단판목을 압력용기에 투입한 후에 물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1차 가열하여, 단판목에 수용성으로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 성분을 고온으로 1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가열된 압력용기 내부의 1차 추출수를 1차 추출수조로 이송하고, 단판목을 탈수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탈수하여 1차 추출수조로 추가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1차 추출수조에 저장된 1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2차 가열하여, 단판목에 수용성으로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 성분을 1차 추출수에 결합시켜 농도가 높은 2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2차 가열된 압력용기 내부의 2차 추출수를 2차 추출수조로 이송하고, 단판목을 탈수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탈수하여 2차 추출수조로 추가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2차 추출수조에 저장된 2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3차 가열하여, 단판목에 수용성으로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 성분을 2차 추출수에 결합시켜 농도가 높은 3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3차 가열된 압력용기 내부의 3차 추출수를 3차 추출수조로 이송하고, 단판목을 탈수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탈수하여 3차 추출수조로 추가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3차 추출수조에 저장된 3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최종적인 가열을 하여, 단판목에 수용성으로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 성분을 3차 추출수에 결합시켜 농도가 높은 최종적인 추출수인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종적으로 가열된 압력용기 내부의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저온 침전조로 이송하고, 단판목을 탈수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탈수하여 저온 침전조로 추가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저온으로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여과기에 통과시켜 잔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저장 탱크에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1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2차 추출수에 혼합되고, 2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3차 추출수에 혼합되고, 3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최종 추출수인 수성 경화제에 혼합되게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농도가 짙어지게 추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vegetability hardener extraction}
본 발명은 편백나무 및 소나무와 같은 방향성 식물의 생원목(100)에서 건조 전의 수분과 원목 목질부(140)에 존재하는 천연의 피톤치드 성분과 고유의 향이 포함된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성 식물의 생원목(100)에서 원목 껍질(130)이 박피된 원목 목질부(140)를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으로 가공하여 압력용기(300)를 이용하여 상기의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물(151)과 함께 가열하여 1차 추출수(501)를 추출한 후에 1차 추출수조(500)로 이송하고, 상기 1차 추출수조(500)에 저수된 1차 추출수(501)를 압력용기(300)로 이송한 후에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투입 가열하여 추출된 2차 추출수(511)를 2차 추출수조(510)로 이송하고, 상기 2차 추출수조(510)에 저수된 2차 추출수(511)를 압력용기(300)로 이송한 후에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투입 가열하여 추출된 3차 추출수(521)를 3차 추출수조(520)로 이송하고, 상기 3차 추출수조(520)에 저수된 3차 추출수(521)를 압력용기(300)로 이송한 후에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투입 가열하여 추출된 최종 추출수인 수성 경화제(900)를 저온 침전조(600)로 이송하여 슬러지(921)를 침전시킨 후, 여과기(700)에 통과시켜 잔여 슬러지(921)를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900)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등록된 균열저감형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방법(등록번호:10-0118578-0000 등록일자:1997. 07. 22)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KS L 5220 건조 시멘트 몰타르에 규정된 뿜칠 미장용, 일반 미장용, 조적용,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 등과 같은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는 수경성 시멘트에 모래나 이와 유사물인 미세한 골재를 건조하여 1.0~3.5의 비율로 혼합시킨 것으로, 작업성을 증가시키기위해 소석회나, 플라이 애쉬와 같은 충전재와 약간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을, 일반 소비자나 공사현장에서 단순히 물만 혼합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몰타르가 있으나, 이와 같은 몰타르는 시공 후 경화하면서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수축하는 건조수축 현상에 따른 균열발생이 큰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하 중략.
시멘트용 몰타르에는 필수적으로 물이 경화제로 사용되며 이때 목적에 따라 부수적인 첨가제를 희석하여 양생과정을 거치지만 시멘트의 독성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없었다.
[특허문헌]
(특허등록 1) 등록번호:10-0118578-0000 등록일자:1997. 07. 22
청구항 1
KS표시 허가된 바닥 미장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중에서 무기질 CaSO4·nH2O(n= 0~2.0)를 CaSO4기준으로 1.5~14중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형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방법.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KS표시 허가된 뿜칠 미장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중에 무기질 CaSO4·nH2O(n=0~2.0)를 CaSO4기준으로 1.5~14중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저감형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 방법.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KS표시 허가된 일반 미장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중에 무기질 CaSO 4·nH2O(n=0~2.0)를 CaSO4 기준으로 1.5~14중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형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 방법.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KS표시 허가된 조적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중에 무기질 CaSO4·nH2O(N=0~2.0)를 CaSO4 기준으로 1.5~14중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형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방법.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KS표시 허가되지 않은 뿜칠 미장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중에 무기질 CaSO4·nH2O(n=0~2.0)를 CaSO4 기준으로 1.5~14중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형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방법.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KS표시 허가되지 않은 일반 미장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중에 무기질 CaSO4·nH2O(n=0~2.0)를 CaSO4 기준으로 1.5~14중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형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방법.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KS표시 허가되지 않은 조적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중에 무기질 CaSO4·nH2O(n=0~2.0)를 CaSO4 기준으로 1.5~14중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형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방법.
청구항 8
제1항에 있어서, KS표시 허가되지 않은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몰타르중에 무기질 CaSO4·nH2 O(n=0~2.0)를 CaSO4기준으로 1.5~14중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형 건조 시멘트계 건조 몰타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생원목(100)으로부터 피톤치드와 방향목 고유의 향기가 함유된 수성 경화제(900)를 추출하기 위하여 원목 목질부(140)를 단판목(220)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으로 가공한 후 압력용기(300)와 수분 탈수기(400)를 이용하여 순차적인 이송과 가열로서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900)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방향성 식물의 원목을 채취하는 단계와;
상기 방향성 식물의 원목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원목의 껍질을 제거하는 박피 단계와;
상기 박피 완료된 원목의 목질부를 단판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단판목을 압력용기에 투입한 후에 물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1차 가열하여, 단판목에 수용성으로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 성분을 고온으로 1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가열된 압력용기 내부의 1차 추출수를 1차 추출수조로 이송하고, 단판목을 탈수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탈수하여 1차 추출수조로 추가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1차 추출수조에 저장된 1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2차 가열하여, 단판목에 수용성으로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 성분을 1차 추출수에 결합시켜 농도가 높은 2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2차 가열된 압력용기 내부의 2차 추출수를 2차 추출수조로 이송하고, 단판목을 탈수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탈수하여 2차 추출수조로 추가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2차 추출수조에 저장된 2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3차 가열하여, 단판목에 수용성으로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 성분을 2차 추출수에 결합시켜 농도가 높은 3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3차 가열된 압력용기 내부의 3차 추출수를 3차 추출수조로 이송하고, 단판목을 탈수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탈수하여 3차 추출수조로 추가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3차 추출수조에 저장된 3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용기에 최종적인 가열을 하여, 단판목에 수용성으로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 성분을 3차 추출수에 결합시켜 농도가 높은 최종적인 추출수인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종적으로 가열된 압력용기 내부의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저온 침전조로 이송하고, 단판목을 탈수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탈수하여 저온 침전조로 추가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저온으로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여과기에 통과시켜 잔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저장 탱크에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1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2차 추출수에 혼합되고, 2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3차 추출수에 혼합되고, 3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최종 추출수인 수성 경화제에 혼합되게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농도가 짙어지게 추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벽면의 미장용 몰타르 경화제 희석용으로 제공하여 기존의 경화제인 물을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서, 수용성 피톤치드 성분이 시멘트 입자와 결합되어 시멘트 독성을 저감시켜 실내 벽면의 내부에서 천연의 피톤치드와 향기를 뿜어내게 하여 환경유해물질의 방출을 지속적으로 저감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을 나타낸 처리계통도이며,
도 2는 도 1의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3은 실시예로서 저온 침전조(6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내 내측면에 본 발명인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이용하여 미장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001 : 방향성 식물의 원목 채취 단계
002 : 원목 절단 단계
003 : 껍질 박피 단계
004 : 목질부 단판(로터리식 또는 슬라이서식)가공 단계
005 : 압력용기 내부에 물과 단판목을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
006 : 압력용기에 1차 가열하는 단계
007 : 1차 추출수 수분 탈수 단계
008 : 압력용기 내부에 1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
009 : 압력용기에 2차 가열하는 단계
010 : 2차 추출수 수분 탈수 단계
011 : 압력용기 내부에 2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
012 : 압력용기에 3차 가열하는 단계
013 : 3차 추출수 수분 탈수 단계
014 : 압력용기 내부에 3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
015 : 압력용기에 최종 가열하는 단계
016 : 수성 경화제 수분 탈수 단계
017 : 수성 경화제 저온 침전 단계
018 : 잔여 슬러지 여과 단계
019 : 저장 탱크 이송 단계
100 : 생원목
110 : 방향목 생잎
120 : 방향목 파쇄칩
121 : 방향목 톱밥
130 : 원목 껍질
140 : 원목 목질부
150 : 급수 탱크
151 : 물
200 : 목재 절단기
210 : 원목 박피기
220 : 단판 가공기
221 : 단판목
222 : 탈수 단판목
300 : 압력용기
400 : 수분 탈수기
500 : 1차 추출수조
501 : 1차 추출수
510 : 2차 추출수조
511 : 2차 추출수
520 : 3차 추출수조
521 : 3차 추출수
600 : 저온 침전조
700 : 여과기
800 : 경화제 탱크
900 : 수성 경화제
910 : 재활용 호퍼
920 : 슬러지 호퍼
921 : 슬러지.
도 1은 본 발명인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을 나타낸 처리계통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절차도로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부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001은 편백나무 또는 소나무등과 같이 피톤치드의 함유량과 인체에 이로운 고유의 향이 존재하는 방향성 식물의 원목을 채취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002는 목재 절단기(200)를 이용하여 1미터 내지 3미터 길이의 규격으로 생원목(100)을 절단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003은 원목 박피기(210)를 이용하여 생원목(100)의 껍질(130)을 박피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원목 목질부(140)까지 껍질(130)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면부호 004는 목질부를 단판목으로 가공하는 단계로서, 단판가공기(220)는 로터리식 또는 슬라이서 방식으로 가공되며 원목 목질부(140)의 두께를 5mm 내지 15mm 이하의 판재로 가공하는 단계이며, 이때 원목 목질부(140)의 원주(나이테)를 따라 두루마리를 펴듯이 연속적으로 벗기는 로터리식 또는 원목 목질부(140)를 평면으로 자르는 슬라이서 방식이 이용된다. 또다른 방식으로는 원목 목질부(140)를 파쇄하여 방향목 파쇄칩(120)으로 가공하여, 압력용기(300)의 내부에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물(151)과 함께 가열하여 1차 추출수(501) 및 2차 추출수(511), 3차 추출수(521), 수성 경화제(900)추출 과정에서 원목 목질부(140)에 존재하는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의 추출이 용이한 규격으로 가공된다.
도면부호 005는 압력용기 내부에 물(151)과 단판목(221)을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압력용기(300)는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와 온도 제어장치가 설치된 용기로서 1차 추출수(501) 및 2차 추출수(511), 3차 추출수(521), 수성 경화제(900)를 가열 추출하는 과정의 혼합 단계이다.
도면부호 006은 압력용기에 1차 가열을 하는 단계로서, 물(151) 50 부피%에 단판목(221) 50 부피%를 압력용기(300)의 내부에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수(501)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도면부호 007은 1차 추출수 수분 탈수 단계로서, 상기 압력용기(300)에서 가열처리된 1차 추출수(501)를 1차 추출수조(500)로 이송하고 단판목(221)에 존재하는 수분을 수분 탈수기(400)를 이용하여 탈수된 1차 추출수(501)를 추가적으로 1차 추출수조(500)로 이송하고, 탈수 단판목(222)은 재활용 호퍼(910)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도면부호 008은 압력용기 내부에 1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1차 추출수(501) 50 부피%에 단판목(221) 50 부피%를 압력용기(300)의 내부에 투입하는 과정이다.
도면부호 009는 압력용기에 2차 가열하는 단계로서, 1차 추출수(501)와 단판목(221)을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추출수(511)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도면부호 010은 2차 추출수 수분 탈수 단계로서, 상기 압력용기(300)에서 가열처리된 2차 추출수(511)를 2차 추출수조(510)로 이송하고 단판목(221)에 존재하는 수분을 수분 탈수기(400)를 이용하여 탈수된 2차 추출수(511)를 추가적으로 2차 추출수조(510)로 이송하고, 탈수 단판목(222)은 재활용 호퍼(910)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도면부호 011은 압력용기 내부에 2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2차 추출수(511) 50 부피%에 단판목(221) 50 부피%를 압력용기(300)의 내부에 투입하는 과정이다.
도면부호 012는 압력용기에 3차 가열하는 단계로서, 2차 추출수(511)와 단판목(221)을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3차 추출수(521)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도면부호 013은 3차 추출수 수분 탈수 단계로서, 상기 압력용기(300)에서 가열처리된 3차 추출수(521)를 3차 추출수조(520)로 이송하고 단판목(221)에 존재하는 수분을 수분 탈수기(400)를 이용하여 탈수된 3차 추출수(521)를 추가적으로 3차 추출수조(520)로 이송하고, 탈수 단판목(222)은 재활용 호퍼(910)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도면부호 014는 압력용기 내부에 3차 추출수와 단판목을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3차 추출수(521) 50 부피%에 단판목(221) 50 부피%를 압력용기(300)의 내부에 투입하는 과정이다.
도면부호 015는 압력용기에 최종적인 가열을 하는 단계로서, 3차 추출수(521)와 단판목(221)을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최종 추출수인 수성 경화제(900)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도면부호 016은 수성 경화제 수분 탈수 단계로서, 상기 압력용기(300)에서 가열처리된 수성 경화제(900)를 저온 침전조(600)로 이송하고 단판목(221)에 존재하는 수분을 수분 탈수기(400)를 이용하여 탈수된 수성 경화제(900)를 추가적으로 저온 침전조(600)로 이송하고, 탈수 단판목(222)은 재활용 호퍼(910)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도면부호 017은 수성 경화제 저온 침전 단계로서, 순차적인 가열처리로 얻어진 수성 경화제(900)를 저온 침전조(600)에 유입시켜 슬러지(921)를 침전시키는 단계이다.
도면부호 018은 잔여 슬러지 여과 단계로서, 상기 저온 침전조(600)에서 침전 완료된 수성 경화제(900)를 여과기(700)에 통과시켜 잔여 슬러지(921)를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단계이다.
도면부호 019는 저장 탱크 이송 단계로서, 여과기(700)를 통과한 수성 경화제(900)를 경화제 탱크(800)로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100은 생원목을 나타낸 것으로서, 방향성 식물의 원목인 편백나무 또는 소나무등을 벌목하여 목재에 수분과 피톤치드가 함유된 상태의 원목이다.
도면부호 110은 방향목 생잎을 나타낸 것으로서, 건조전의 수분과 피톤치드를 함유하고 있는 잎이다.
도면부호 120은 방향목 파쇄칩을 나타낸 것으로서, 건조전의 수분과 피톤치드를 함유하고 있는 원목 목질부(140)를 파쇄 수단을 이용하여 길이80mm, 넓이20mm, 두께20mm 이하로 가공되어, 상기의 단판목(221)의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칩이다.
도면부호 121은 방향목 톱밥을 나타낸 것으로서, 건조전의 수분과 피톤치드를 함유하고 있는 방향목의 재제톱밥이다.
도면부호 131은 원목 껍질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140은 원목 목질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생원목의 껍질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150은 급수 탱크를 나타낸 것으로서, 1차 추출수(501)와 저온 침전조(600)의 급수 제공용 탱크시설이다.
도면부호 160은 물을 나타낸 것으로서, 1차 추출수(501)와 저온 침전조(600)의 급수에 사용된다.
도면부호 200은 목재 절단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생원목(100)을 1m 내지 3m의 규격으로 절단하는 전동공구이다.
도면부호 210은 원목 박피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목재 절단기(200)로 커팅된 생원목(100)의 원목 껍질(130)을 벗겨내는 전동공구이다.
도면부호 220은 단판 가공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로터리식 또는 슬라이서식으로 원목 목질부(140)의 원주(나이테)를 따라 두루마리를 펴듯이 연속적으로 벗기는 로터리식 또는 원목 목질부(140)를 평면으로 자르는 슬라이서 방식으로 가공하는 전동공구이다.
도면부호 221은 단판목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단판 가공기(220)를 이용하여 두께 5mm 내지 15mm 이하로 가공 절단된 판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222는 탈수 단판목을 나타낸 것으로서, 압력용기(300) 내부에서 가열 처리된 1차 추출수(501) 및 2차 추출수(511), 3차 추출수(521), 수성 경화제(900)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탈수된 단판목(221)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300은 압력용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1차 추출수(501) 및 2차 추출수(511), 3차 추출수(521), 수성 경화제(900)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투입된 단판목(221)을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단판목(221)에 존재하는 향기와 피톤치드를 추출하는 가열용기로서 가열장치와 온도제어장치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400은 수분 탈수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1차 추출수(501) 및 2차 추출수(511), 3차 추출수(521), 수성 경화제(900)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투입된 단판목(221)을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된 단판목(221)을 원심력으로 탈수하는 기기이다.
도면부호 500은 1차 추출수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1차 추출수(501)를 저장하는 탱크시설로 방향성 향기와 피톤치드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 저수시설이다.
도면부호 501은 1차 추출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압력용기(300)에 물(151) 50 부피%에 단판목(221) 50 부피%를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된 것이다.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에 존재하는 방향성 향기와 피톤치드 및 테르펜 성분등이 물(151)에 희석되게 하는 최초 단계이다.
도면부호 510은 2차 추출수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2차 추출수(511)를 저장하는 탱크시설로 방향성 향기와 피톤치드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 저수시설이다.
도면부호 511은 2차 추출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압력용기(300)에 1차 추출수(501) 50 부피%에 단판목(221) 50 부피%를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된 것이다.
도면부호 520은 3차 추출수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3차 추출수(521)를 저장하는 탱크시설로 방향성 향기와 피톤치드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 저수시설이다.
도면부호 521은 3차 추출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압력용기(300)에 2차 추출수(511) 50 부피%에 단판목(221) 50 부피%를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된 것이다.
도면부호 900은 수성 경화제를 나타낸 것으로서, 압력용기(300)에 3차 추출수(521) 50 부피%에 단판목(221) 50 부피%를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된 것이다.
도면부호 600은 저온 침전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철재로 형성된 침전조의 외부에 15도 이하의 냉수가 급수되도록 하여 침전조 내부 온도가 저온 상태가 유지되게 이루어진 실시예이다. 상기 저온 침전조(600)는 외부수조의 내부에 내부수조를 단일몸체로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의 외부수조와 내부수조 사이의 빈공간에 냉수(112)를 공급하여 침전물이 고온에 의해 수성 경화제가 변색 또는 향기가 변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도면부호 700은 여과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침전이 완료된 수성 경화제(900)의 잔여 슬러지(921)를 제거하는 정수필터가 부착된 여과장치이다.
도면부호 800은 경화제 탱크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여과기(700)의 필터를 통과한 수성 경화제(900)를 저장하는 탱크시설이다.
도면부호 910은 재활용 호퍼를 나타낸 것으로서, 원목 껍질(130) 및 탈수 단판목(221)을 처리하는 시설이다.
도면부호 920은 슬러지 호퍼를 나타낸 것으로서, 저온 침전과정 및 여과 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921)를 처리하는 시설이다.
도면부호 921은 슬러지를 나타낸 것으로서, 저온 침전과정 및 여과 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921)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도면부호에 의한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은, 아래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편백나무 또는 소나무등과 같은 방향성 식물의 생원목(100)에서 원목 껍질(130)이 박피된 원목 목질부(140)를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으로 가공하여 압력용기(300)를 이용하여 상기의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물(151)과 함께 가열하여 1차 추출수(501)를 추출한 후에 1차 추출수조(500)로 이송하고, 상기 1차 추출수조(500)에 저수된 1차 추출수(501)를 압력용기(300)로 이송한 후에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투입 가열하여 추출된 2차 추출수(511)를 2차 추출수조(510)로 이송하고, 상기 2차 추출수조(510)에 저수된 2차 추출수(511)를 압력용기(300)로 이송한 후에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투입 가열하여 추출된 3차 추출수(521)를 3차 추출수조(520)로 이송하고, 상기 3차 추출수조(520)에 저수된 3차 추출수(521)를 압력용기(300)로 이송한 후에 단판목(221) 또는 방향목 파쇄칩(120)을 투입 가열하여 추출된 최종 추출수인 수성 경화제(900)를 저온 침전조(600)로 이송하여 슬러지(921)를 침전시킨 후, 여과기(700)에 통과시켜 잔여 슬러지(921)를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최초 가열단계에서 최종 가열단계까지 점차적으로 농도가 짙게 추출되게 이루어진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는 도 4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실내 내측면에 본 발명인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를 이용하여 미장되고, 또한 황토몰타르 및 수성페인트 등의 다양한 첨가제로 제공되도록 발명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방향성 식물의 원목 껍질을 박피한 후, 단판목 또는 방향목 파쇄칩으로 가공하여 물 50 부피%에 단판목 또는 방향목 파쇄칩 50 부피%를 압력용기의 내부에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가열된 1차 추출수;
    상기 1차 추출수 50 부피%에 단판목 또는 방향목 파쇄칩 50 부피%를 압력용기의 내부에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가열된 2차 추출수;
    상기 2차 추출수 50 부피%에 단판목 또는 방향목 파쇄칩 50 부피%를 압력용기의 내부에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가열된 3차 추출수;
    상기 3차 추출수 50 부피%에 단판목 또는 방향목 파쇄칩 50 부피%를 압력용기의 내부에 투입하여 70도 내지 90도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가열하여 수성 경화제;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1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2차 추출수에 혼합되고, 2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3차 추출수에 혼합되고, 2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3차 추출수에 혼합되고, 3차 추출수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향기 성분이 최종 추출수인 수성 경화제에 혼합되게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농도가 짙어지게 추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50092672A 2015-06-26 2015-06-26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KR101728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72A KR101728029B1 (ko) 2015-06-26 2015-06-26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72A KR101728029B1 (ko) 2015-06-26 2015-06-26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24A KR20170001524A (ko) 2017-01-04
KR101728029B1 true KR101728029B1 (ko) 2017-04-20

Family

ID=5783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672A KR101728029B1 (ko) 2015-06-26 2015-06-26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396B1 (ko) * 2013-04-30 2014-08-06 임회규 식물의 수용성 방향액체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396B1 (ko) * 2013-04-30 2014-08-06 임회규 식물의 수용성 방향액체 추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24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7406B (zh) 利用园林绿化废弃物生产有机覆盖物的方法
Pantawee et al. Utilization of hemp concrete using hemp shiv as coarse aggregate with aluminium sulfate [Al2 (SO4) 3] and hydrated lime [Ca (OH) 2] treatment
CN105594603A (zh) 一种竹木屑宠物结团垫料及其制备方法
CN106380156A (zh) 一种免烧砖的制备方法
CN104488729A (zh) 一种植物纤维猫砂及其制备方法
CN106359038B (zh) 具有四层结构的有机肥料砖及其制备方法
KR102294033B1 (ko) 친환경 콘크리트 조성물
CN107265941A (zh) 一种园林景观栽培用砖及制备方法
CN105599528B (zh) 一种利用杉木树根制造仿岩柏佛珠的加工方法
KR101728029B1 (ko) 몰타르 양생용 식물성 수성 경화제의 추출방법
CN106386240B (zh) 利用芒果内壳制得的有机肥料砖及其制备方法
CN102188039B (zh) 复烤烟叶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6007627A (zh) 一种具有阻燃效果的隔音隔热砌块的制备方法
CN108300482A (zh) 一种用于镉污染土壤的修复剂及其制备方法
RU2006140089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шлама
CN104488731A (zh) 一种珊瑚礁为主料猫砂及其制备方法
CN104488734A (zh) 一种中草药废渣猫砂及其制备方法
CN105272013B (zh) 一种生活垃圾制成的保温隔音砌块
CN104016602A (zh) 工业废渣钛石膏用作水泥配料的制备方法
KR101326362B1 (ko)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한 골재 및 그 제조방법
CN106365579A (zh) 一种添加茶叶的防霉石膏板
CN103664109B (zh) 垃圾种植建筑砖及其制备方法
CN209579907U (zh) 一种无甲醛防霉人造板
KR20160020906A (ko) 굴 껍질 분말을 이용한 건축용 미장 조성물
CN106265463B (zh) 珍珠美容细胞液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