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73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738B1
KR101727738B1 KR1020100128264A KR20100128264A KR101727738B1 KR 101727738 B1 KR101727738 B1 KR 101727738B1 KR 1020100128264 A KR1020100128264 A KR 1020100128264A KR 20100128264 A KR20100128264 A KR 20100128264A KR 101727738 B1 KR101727738 B1 KR 10172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respons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930A (ko
Inventor
박현구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69,551 priority Critical patent/US8619580B2/en
Publication of KR2011006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장치가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한 경쟁 기반의 채널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장치가 전송해야할 패킷이 남아있는 상황에서도 응답 패킷을 빠르게 수신하지 못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전송 시간을 모두 사용하지 못함으로 인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대부분 하나의 기지국(100)이 하나 이상의 단말(110-1,...,110-n)과 통신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자신의 구역(zone) 내의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IEEE 802.11 무선랜(Wireless LAN)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가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station)과 통신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기지국과 하나 이상의 단말은 채널 점유를 위한 경쟁을 통해 채널에 접근하여 소정의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경쟁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함에 있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공정한 경쟁 기반의 채널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장치가 전송해야할 패킷이 남아있는 상황에서도 응답 패킷을 빠르게 수신하지 못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전송 시간을 모두 사용하지 못함으로 인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장치가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 분류부;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한 경쟁 기반의 채널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장치가 전송해야할 패킷이 남아있는 상황에서도 응답 패킷을 빠르게 수신하지 못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전송 시간을 모두 사용하지 못함으로 인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기지국(또는 액세스 포인트)(100)과 하나 이상의 단말(또는 스테이션)(110-1,...,110-n)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IEEE 802.11 무선 랜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및 스테이션(station) 등의 용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와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채널 점유를 위한 경쟁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IEEE 802.11 무선랜 표준에서는 Random Backoff 방식에 의한 경쟁을 제시하고 있다. Random Backoff 방식은, 생성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채널을 점유하기 전에 특정 범위(예: 정의된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값) 내에서 임의의 슬롯 타임(slot time)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슬롯 타임 동안 채널이 비어 있는 경우 패킷 전송을 시작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경쟁 기반으로 채널을 접근할 경우, 각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는 모두 같은 경쟁 윈도우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확률로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전송을 시작한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는 전송 당시 채널 상황에 따라서 전송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채널 상황이 좋지 않아 에러가 많이 날 경우에는 전송속도를 낮추어 전송하고 채널 상황이 좋은 경우에는 전송속도를 높여서 전송한다. 이는 낮은 전송속도에 사용되는 변조(modulation)는 낮은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필요로 하고 높은 전송 속도에 사용되는 변조는 높은 신호대잡음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모든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가 공정하게 채널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각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의 전송속도가 다를 경우에 전체적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1Mbps의 속도를 갖는 스테이션(STA1)과 11Mbps의 속도를 갖는 스테이션(STA2)이 있는 경우, 두 스테이션이 서로 번갈아 가면서(50%의 확률로 채널을 접근하는 것임) 11 Mega Bit의 패킷을 전송한다고 하면, STA1은 11초 동안 전송하게 되고 STA2는 1초 동안 전송하게 된다. 즉 채널에 접근하는 기회는 STA1과 STA2가 같으나, 채널을 사용하는 시간이 전송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시스템에서 전체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속도를 측정하면, 매 12초 마다 22 Mega Bit를 전송하게 되므로 전체 성능은 약 1.8 Mbps가 된다. 이처럼 높은 전송속도를 갖는 스테이션이 낮은 전송속도를 갖는 스테이션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Performance Anomaly"라고 한다.
만약 각 스테이션이 한번 전송 기회를 얻었을 때 전송하는 시간을 동일하게 만든다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이 11초 동안 전송하고 STA2가 11초 동안 전송하게 한다면, STA1는 매 전송 시 1개의 패킷을 보내게 되고 STA2는 11개의 패킷을 보내게 되므로, 시스템 전체의 측면에서는 22초동안 11*1+11*11=132 Mega Bit를 전송하게 된다. 이는 약 6Mbps에 해당하는 속도로 1.8 Mbps 에 비해 3.3 배의 성능 향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전송기회를 갖게 된 각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모두 동일한 시간 동안 전송할 수 있도록 했을 때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IEEE 802.11e에서는 TXOP(Transmit Opportunity)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채널을 점유하게 된 스테이션이나 액세스 포인트는 TXOP 시간 동안에는 경쟁하지 않고 패킷을 계속 보낼 수 있으므로, 전송 속도가 높은 스테이션이 더 많은 패킷을 보낼 수 있게 된다.
문제는 상위 계층에서 패킷을 전송한 후에 목적지로부터 특정 패킷이 수신되기를 기다렸다가, 그 특정 패킷을 수신한 후에만 다음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은 전송방식의 예는 현재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TCP/IP 가 있다. TCP 프로토콜은, 패킷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패킷을 전송하고, 전송한 패킷이 잘 도착했는지 확인한 후 다음 패킷을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전송된 패킷의 목적지가 보내는 응답 패킷(ACK)을 수신한 후에 다음 패킷을 보내게 된다. 따라서 응답 패킷을 받지 못하면 보낼 패킷이 있다 하더라도 아래 계층(layer)으로 패킷을 내려보내지 않게 된다.
UD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전송한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더라도 다음 패킷을 보내게 되므로 상기 전송방식에 해당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송 계층에서 UDP를 사용하더라도 그 위 계층인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위와 같은 전송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트래픽 측정 유틸리티 프로그램(예: IX Chariot)이 그 예이다. 트래픽 측정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에서 패킷을 생성함에 있어서, 패킷 전송 요구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만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즉 목적지로부터 특정 패킷이 온 경우에만 다음 패킷을 보내게 되는 위의 전송방식을 따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송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스테이션이 무선 채널을 점유하여 패킷을 전송할 기회가 생겼을 때 자신에게 주어진 TXOP 시간을 다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자신에게 주어진 TXOP 시간을 다 활용하지 못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Performance Anomaly 문제가 발생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스테이션이 자신에게 주어진 TXOP 시간을 다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테이션이 여러 개 있고 모두 TCP프로토콜을 사용한 경우, 각 스테이션은 전송한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인 ACK을 수신해야만 다음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나 스테이션 모두 동일한 채널 접근 기회를 갖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에게 바로 ACK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스테이션은 전송할 패킷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ACK을 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다음 패킷을 보내지 못하게 되므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TXOP를 모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응답 패킷에 대한 우선 순위를 높게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응답 패킷 지연에 의한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이로써, 스테이션이 전송 기회를 얻었을 때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와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동일한 전송 기회를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등에서 목적지로부터 응답 패킷을 받은 후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을 사용할 때, 높은 처리율을 제공할 수 있는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액세스 포인트와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동일한 전송 기회를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한 후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을 사용할 때, 액세스 포인트가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반대로,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으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한 후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을 사용할 때, 스테이션이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S202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전송할 패킷을 생성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00)는 스테이션1(110-1)에 전송할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00)는 다른 스테이션 또는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스테이션1(110-1)에 전송할 패킷을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S202 단계에서 생성되는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100)가 새로 생성한 패킷일 수도 있고, 다른 스테이션 또는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패킷일 수도 있으며, 상기 수신한 패킷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변경, 및/또는 삭제한 패킷일 수도 있다.
S204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응답 패킷은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패킷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패킷일 수도 있고,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패킷을 전송하도록 유도하는 패킷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응답 패킷은 TC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ACK일 수도 있고, 트래픽 측정 유틸리티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패킷 전송 요구 패킷일 수도 있다. 이하, S204 단계에서 패킷을 분류하여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스테이션1(110-1)로 전송될 패킷 내에 그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응답 패킷 여부 정보'라 함.)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는 응답 패킷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응답 패킷 여부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의해 S202 단계에서 포함될 수도 있고,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하여 스테이션1(110-1)로 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는 다른 스테이션 또는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에 의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응답 패킷 여부 정보는 각 프로토콜에 따라 패킷의 헤더의 특정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는 각 프로토콜에 따라 패킷의 헤더의 특정 필드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P 패킷의 헤더에 있는 TYPE 필드의 값이 "ACK"이면, 해당 패킷은 응답 패킷으로 판단된다.
다른 실시예로, 응답 패킷 여부 정보는 패킷 내의 사용되지 않는 필드(예: reserved 필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패킷을 분류하는 기준을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패킷 내의 사용되지 않는 필드에 응답 패킷 여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 프로토콜에 따라 패킷의 헤더의 어떠한 필드에 어떠한 값이 있으면 응답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패킷 내의 사용되지 않는 필드에 응답 패킷 여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는 패킷 내의 사용되지 않는 필드에 포함된 응답 패킷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두 번째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액세스 포인트(100)는 송수신되는 패킷의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를 확인하여, 소스와 목적지를 하나의 쌍(pair)으로 보고, 각 쌍에 대한 이력(history)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특정한 소스에서 특정한 목적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개수(X)와 상기 특정한 목적지에서 상기 특정한 소스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개수(Y)에 대한 이력 정보를 분석한다. 매 X개의 패킷마다 반대방향으로 Y개의 패킷이 나가게 된다면, 다음의 X개의 패킷 이후 나가게 되는 Y개의 패킷은 응답 패킷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P 192.168.0.1(이하 'A'라 함)에서 IP 192.168.0.100(이하 'B'라 함)으로 전송되는 패킷 10개마다 B에서 A로 하나의 패킷이 전송된다면, 다음의 A에서 B으로 전송되는 패킷 10개 후에 B에서 A로 전송되는 하나의 패킷은 응답 패킷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S204:예), 액세스 포인트(100)는 다른 스테이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전송을 시도한다(S206). 이때, 채널이 idle 하면 패킷이 전송된다. 스테이션이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100) 및 다른 스테이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전송을 시도하면 된다. 이하, S206단계에서 채널 접근 기회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IEEE 802.11 MAC(Media Access Control)에서는 경쟁 윈도우 값을 이용하여 채널 접근 기회를 조정할 수 있다. IEEE 802.11에서 사용되는 Random Backoff 절차는, 0에서 경쟁 윈도우 값 사이의 값을 랜덤하게 발생시켜 발생된 숫자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기다렸다가 전송을 시도하게 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00) 및 모든 스테이션은 동일한 경쟁 윈도우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확률로 전송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쟁 윈도우 값을 낮출 경우 랜덤하게 발생하는 숫자가 작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평균적으로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작아져 더 많은 전송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액세스 포인트(100)는 다른 스테이션보다 낮은 경쟁 윈도우 값을 사용하여 전송을 시도하면 된다.
만약 IEEE 802.11 MAC이 아닌 다른 MAC을 사용할 경우에는, 해당 MAC에서 채널 접근 확률을 높이는 파라미터를 찾아 조정하면 된다. 시스템에 사용된 MAC 프로토콜을 이해하면 직관적으로 어떠한 파라미터를 조정했을 때 채널 접근 기회가 높아지는지 알 수 있으므로, 액세스 포인트(100)는 이러한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전송을 시도하면 된다.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이 아닌 경우(S204:아니오)에는, 액세스 포인트(100)는 다른 스테이션과 동일한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전송을 시도한다(S208). 이때, 채널이 idle 하면 패킷이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스테이션이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100) 및 다른 스테이션과 동일한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전송을 시도하면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S302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전송할 패킷을 생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S202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패킷을 분류하여(S304),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6). 패킷을 분류하여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S204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S306:예), 액세스 포인트(100)는 전송할 패킷을 큐(이하, '응답 패킷 큐')에 저장한다(S308).
이후, 패킷 전송시에는, 응답 패킷 큐에 전송할 패킷이 있는지 판단한다(S310). 응답 패킷 큐에 전송할 패킷이 있는 경우(S310:예), 액세스 포인트(100)는 다른 스테이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응답 패킷 큐에 있는 패킷에 대한 전송을 시도한다(S312). 이에 대해서는 S206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응답 패킷 큐에 전송할 패킷이 없는 경우(S310:아니오)에는, 액세스 포인트(100)는 다른 스테이션과 동일한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전송을 시도한다(S314). 이에 대해서는 S208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일 실시예로, S302, S304, S306 및 S308 단계는 MAC 계층보다 높은 계층에서 수행되고, S310, S312 및 S314는 MAC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MAC 계층보다 상위인 계층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송 계층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및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전송 계층에서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MAC 계층에서 IEEE 802.11 MAC을 사용하는 경우, 도 3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10개의 스테이션(110-1,110-2,...,110-10)이 액세스 포인트(100)에 전송할 패킷이 있다고 가정한다. IEEE 802.11에 정의되어 있는 random backoff 절차에 의해 스테이션1(110-1)부터 스테이션10(110-10) 중 하나의 스테이션이 패킷을 전송한다. Random back off 절차에 의한 채널 접근 방식은 모든 스테이션이 같은 확률로 채널을 접근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결국 모든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모든 스테이션은 전송 계층에서 TCP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액세스 포인트(100)는 모든 스테이션이 전송한 패킷에 대해 ACK을 전송하여야 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00)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패킷 분류처리에 의해 ACK을 응답 패킷으로 분류하여 응답 패킷 큐에 저장한다. 그 후, 액세스 포인트(100)는 응답 패킷 큐에 저장된 ACK에 대해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전송 시도를 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장치를 설명한다. 패킷 전송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패킷 전송 장치(400)는 패킷 분류부(420), 제어부(430) 및 송신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분류부(420)는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패킷을 분류하여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S204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패킷 분류부(42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 전송할 패킷을 응답 패킷 큐에 저장할 수도 있다.
송신부(440)는 전송할 패킷을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제어부(430)는,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다른 스테이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전송을 시도하고, 전송할 패킷이 응답 패킷이 아닌 경우에는 다른 스테이션과 동일한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전송을 시도하도록, 송신부(440)를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는 S206, S208, S310, S312 및 S314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패킷 전송 장치(400)는 패킷 생성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킷 생성부(410)는 전송할 패킷을 생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S202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400 : 패킷 전송 장치 410 : 패킷 생성부
420 : 패킷 분류부 430 : 제어부
440 : 송신부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장치가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소스(source)에서 목적지(destination)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제1 개수와 상기 목적지에서 상기 소스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제2 개수의 이력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소스에서 상기 목적지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제1 개수의 패킷 이후, 상기 목적지에서 상기 소스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제2 개수의 패킷을 응답 패킷으로 판단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와 동일한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에 포함된 상기 필드를 통하여 판단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 상기 패킷을 큐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큐에 패킷이 존재하면 수행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낮은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값을 사용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와 동일한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와 동일한 경쟁 윈도우 값을 사용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 분류부;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 분류부는,
    소스(source)에서 목적지(destination)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제1 개수와 상기 목적지에서 상기 소스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제2 개수의 이력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소스에서 상기 목적지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제1 개수의 패킷 이후, 상기 목적지에서 상기 소스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제2 개수의 패킷을 응답 패킷으로 판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와 동일한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한 경우, 상기 패킷 분류부는, 상기 필드를 통하여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분류부는,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패킷을 큐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큐에 상기 패킷이 존재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높은 채널 접근 기회를 가지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보다 낮은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값을 사용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이 응답 패킷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패킷 전송 장치와 동일한 경쟁 윈도우 값을 사용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KR1020100128264A 2009-12-16 2010-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2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69,551 US8619580B2 (en) 2009-12-16 2010-12-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5490 2009-12-16
KR1020090125490 200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30A KR20110068930A (ko) 2011-06-22
KR101727738B1 true KR101727738B1 (ko) 2017-04-18

Family

ID=4440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264A KR101727738B1 (ko) 2009-12-16 2010-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7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6306A1 (en) 2008-01-31 2009-08-06 Infineon Technologies Ag Contention access to a communication medium in a 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6306A1 (en) 2008-01-31 2009-08-06 Infineon Technologies Ag Contention access to a communication medium in a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30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940B1 (ko) 경쟁 윈도우 크기를 조정하고 선택된 이동국을 연관해제하여 무선 매체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4799213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7787415B2 (en) Access points with selective communication rate and scheduling control and related method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7873049B2 (en) Multi-user MAC protocol for a local area network
US86703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y driven contention scheme for supporting enhanced Qo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612680B1 (ko) 무선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20060120339A1 (en) Method of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for a wireless LAN base station apparatus
US794069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7656899B2 (en) Access points with selective communication rate and scheduling control and related method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20030058886A1 (en)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lgorithms and protocols for optimizin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protocols in wireless networks
TWI478556B (zh) 擁塞控制
US20050141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wireless and wired networks
WO2010013410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KR100969980B1 (ko) 회선경쟁기반 매체 액세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서 무선링크를 적응시키는 방법
JP4179512B2 (ja) 無線基地局
KR20040047376A (ko) 무선랜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
KR1017277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094994B1 (ko) 무선 랜용 우선 순위 접근에 기반한 수락 제어 방법
US8619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2769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BARKAOUI et al. GLOBAL SOLUTION FOR THE SUPPORT OF QoS
KR20040073882A (ko) 무선 랜의 데이터 연속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