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458B1 -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458B1
KR101727458B1 KR1020150117145A KR20150117145A KR101727458B1 KR 101727458 B1 KR101727458 B1 KR 101727458B1 KR 1020150117145 A KR1020150117145 A KR 1020150117145A KR 20150117145 A KR20150117145 A KR 20150117145A KR 101727458 B1 KR101727458 B1 KR 101727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a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328A (ko
Inventor
송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엔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엔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엔에프씨
Priority to KR102015011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4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7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and transaction part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뱅킹 시스템의 계좌 이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물의 금융카드의 터치에 의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과 금융카드의 가결제 및 가결제에 대한 사용자의 카드 출금계좌에서 카드결제대금 출금을 통한 즉시 이체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출금계좌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계좌 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Account transfer system and method through real near field communication card and withdrawal account in mobile banking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뱅킹 시스템의 계좌 이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물의 금융카드의 터치에 의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과 금융카드의 가결제 및 가결제(假決濟)에 대한 사용자의 금융카드에 연계된 출금계좌를 통한 즉시 출금을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출금계좌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계좌 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무선통신 기술의 발달과, 언제 어디서나 유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기들의 발달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었다.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오프라인상에서 수행되던 무수히 많은 일들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들로는 은행의 인터넷뱅킹, 모바일 뱅킹, 공공기관의 주민등록등본 발급, 쇼핑몰 등의 온라인 결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온라인상에서 어떠한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를 하는 주체가 그 행위의 정당한 주체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러한 주체, 즉 사용자 본인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본인인증이 필요하게 되어 다양한 방식의 본인인증 방식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본인인증 방식으로는 지식기반 인증 방식, 생체기반 인증 방식, 소지기반 인증 방식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식기반 인증 방식으로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인증 방식, 개인식별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인증 방식, 아이핀 인증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생체기반 인증 방식으로는 지문, 음성, 홍채, 정맥 인식 등을 이용한 인증 방식들이 있다.
상기 소지기반 인증 방식으로는 일회용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 인증 방식, 노트패드, 태블릿 PC, 휴대폰 및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SMS 승인번호 인증 방식, ARS 인증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보안성이 높은 소지기반 인증 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ARS 인증 방식의 경우 인증 시점에서 사용자의 소지로 간주되는 유무선 전화기가 도용될 가능성이 있고, OTP 인증 방식은 분실 시 도용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SMS 인증 또한, 메모리 해킹을 통해 승인번호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더 강력한 보안성이 있으면서도 간편하게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인증 방식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43787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물의 금융카드의 터치에 의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과 금융카드의 가결제 및 가결제에 대한 사용자의 계좌를 통한 즉시 이체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출금계좌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계좌 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은: 계좌 이체를 수행하되, 이체정보의 수신에 의한 이체요청 발생 시 상기 이체요청에 대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수신받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이체 요청에 대한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출금계좌 인증 성공 시 상기 이체정보에 대응하는 이체를 수행하는 이체 은행 서버부;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에 의해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출력하고,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카드결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결제 금액에 대한 가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가결제의 결제금액에 대해 즉시 출금을 요청하는 결제사 시스템; 실물 금융카드로부터 NFC 리더기에 의해 획득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 및 결제정보를 획득하고, 간편 출금 이체 서비스 등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상기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카드결제를 요청하고, 이체 은행 서버부로부터 즉시출금 요청 시 사용자로부터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고,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정보를 전송하여 이체를 요청한 후 실물카드 터치를 요청하여 획득된 상기 실물금융카드 본인인증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성공 시 이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받아 결제사 시스템으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카드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즉시출금 요청을 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상기 결제사 시스템의 결제사 수신자 계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부터 이체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정상적으로 이체되었으면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체요청에 의한 이체정보 수신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결제사 시스템을 통해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을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 후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상기 가결제에 의해 결제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취소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사 시스템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의 결제취소 요청을 받아 상기 결제금액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를 통해 실물 금융카드의 출금계좌로 이체하여 결제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이체비밀번호의 전송 후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에 기반한 인증확인번호를 생성한 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확인번호의 수신 시 상기 인증확인번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의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고, 단말기 인증 성공 시 상기 결제 취소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이체비밀번호의 전송 후 실행 중인 간편 계좌 이체 앱에 대한 고유한 단말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본인인증 성공을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 후 상기 단말 앱 ID에 대응하는 서버 앱 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단말 앱ID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앱ID 인증 결과가 수신되고 앱ID 인증 성공이면 획득된 이체정보를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 앱ID와 미리 저장하고 있는 서버 앱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앱ID 인증을 수행하고, 앱ID 인증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체정보의 수신 시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앱ID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름, 은행정보,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송금 수신자정보에 대한 송금 수신자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송금 수신자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송금 수신자가 선택되면 선택된 송금 수신자의 송금 수신자정보를 로드하고, 로드된 송금 수신자정보 및 입력된 송금금액을 포함하는 이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앱ID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름, 은행정보,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송금 수신자정보에 대한 송금 수신자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송금 수신자 목록에 송금할 해당 송금 수신자의 송금 수신자 정보가 없으면 송금 수신자 정보를 직접 입력받고, 입력된 송금 수신자정보 및 입력된 송금금액을 포함하는 이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은: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받아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카드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부터 즉시출금 요청을 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상기 결제사 시스템의 결제사 수신자 계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부터 이체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정상적으로 이체되었으면 출금계좌 본인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는 등록과정;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체요청에 의한 이체정보 수신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체요청에 의해 상기 결제사 시스템을 통해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여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대해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체 은행 서버부간 이체를 수행하도록 하는 이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과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간편 출금 이체 서비스 등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단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받아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요청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와 미리 가지고 있는 해당 금융카드의 카드정보를 비교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그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수행 단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카드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즉시출금 요청을 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상기 결제사 시스템의 결제사 수신자 계좌정보를 요청하는 즉시 출금 요청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결제사 수신자 계좌 정보의 요청에 따라 이체 은행 서버부로부터 결제사 수신자 계좌정보의 수신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체 비밀번호를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체비밀번호 제공 단계; 상기 이체 은행 서버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즉시 출금 요청 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금융카드의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체를 수행하고, 이체 결과를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여 가결제를 수행하는 이체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체 결과가 정상이체로 판단되면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하는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 통지 단계; 및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를 상기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에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본인인증 성공을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 후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상기 가결제에 의해 결제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취소를 요청하는 결제 취소 요청 단계; 및 상기 결제사 시스템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의 결제취소 요청을 받아 상기 결제금액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를 통해 실물 금융카드의 출금계좌로 이체하여 결제를 취소하는 결제 취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 결과 수신 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에 기반한 인증확인번호를 생성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인증 확인 요청 단계; 및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인증확인번호의 수신 시 상기 인증확인번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의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단말기 인증 성공 시 상기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이체비밀번호 제공 단계 후 실행 중인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앱에 대한 고유의 단말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말 앱ID 등록 단계; 및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결제계좌 본인인증 성공 시 상기 단말 앱ID에 대응하는 서버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서버 앱ID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체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이체정보를 획득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여 이체를 요청하는 이체 요청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체요청에 의한 이체정보 수신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를 요청하는 은행 이체 요청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 요청 후, 결제사 시스템으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받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수신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 통지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수신되고, 상기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사용자로부터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체비밀번호 제공 단계; 및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수신되고 그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체를 수행하는 이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체 과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단말 앱 ID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앱ID 전송 단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수신된 단말 앱ID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서버 앱 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는 앱ID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ID 인증 성공 시 상기 이체 요청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체 요청 단계는, 상기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송금 수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은행 및 계좌정보를 포함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송금 수신자정보를 포함하는 송금 수신자 목록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송금 수신자 목록 리스트에서 임의의 송금 수신자를 선택받아 송금 수신자 정보를 획득하는 송금 수신자 정보 획득 단계; 및 송금할 이체 금액을 입력받아 상기 송금 수신자정보 및 송금금액을 포함하는 이체정보를 획득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체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물 금융카드의 터치에 의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뿐만 아니라 상기 실물 금융카드를 통한 가결제 및 즉시 출금을 유도하여 즉시 출금에 따른 계좌 이체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계좌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수행된 이체의 정상 여부에 따라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출금계좌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본인인증을 강화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앱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자를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체 시 등록된 수신자들 중 해당 수신자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이체 수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비밀번호와 계좌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터치된 금융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은행의 출금계좌에서 이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체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법인폰 등과 같은 공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한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방법의 정보 수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방법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 후, 상기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0),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 결제사 시스템(300) 및 이체 은행 서버부(40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 결제사 시스템(300) 및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은 3세대(3G)망, 4세대(4G=LTE)망, 5세대(5G)망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파이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와이브로망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은 금융 공동망을 포함할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iOS, 안드로이드, 모바일 윈도우 등의 모바일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OS) 하에서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이하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이라 함)이 설치될 수 있으며, 터치되는 실물 금융카드(또는 줄여서 "실물 카드"라 함)(1)로부터 카드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및 상기 금융카드(1)의 출금 계좌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출금 계좌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계좌이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앱이 설치되며, 상기 서비스 앱의 구동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본인인증을 통한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물 금융카드(1)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를 지원하는 카드로서, 카드번호, 카드 유효기간 등의 카드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태깅 시 상기 카드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앱) 서버(210), 뱅킹서버(220) 및 송금인증서버(230)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앱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본인인증을 통한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를 제공한다.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210)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뱅킹서버(220)는 상기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210)의 제어를 받아 이체 은행 서버부(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은행 서비스와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한다.
송금인증서버(230)는 상기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210)의 제어를 받아 결제사 시스템(3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물카드 본인인증 및 출금계좌 본인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상기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가입자를 등록받고, 등록 요청한 가입자(또는 "사용자"라 함)에 대한 등록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등록된 가입자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를 제공한다.
결제사 시스템(300)은 전자지불대행사인 PG사의 서버부,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사의 서버부, 카드사의 서버부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의 요청을 받아 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제공한다.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임의의 은행에 구성되는 서버부로, 웹서버, 이체서버 등과 같은 서버들을 포함하여 오프라인 은행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부터 즉시 출금 요청에 대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계좌 이체 비밀번호를 수신받아 상기 금융카드(1)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계좌로 즉시 출금(또는 "송금", "이체"라 함)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입력부(130) 및 무선통신부(140), NFC 리더기(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며, 실행된 앱에 대응하는 앱 전용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앱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의 다양한 서브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 키보드 등과 같은 공용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인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 등을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텍스트, 그래픽,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13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전원, 볼륨, 홈키 등과 같은 버튼들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출력하는 버튼 입력 장치, 다수의 숫자키 및 문자키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눌린 키에 대한 키데이터를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 상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부분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과 연동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무선통신부(14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에 접속한 다른 장치, 즉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 결제사 시스템(300), 이체 은행 서버부(40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NFC 리더기(15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NFC 카드인 실물 금융카드(1)로부터 카드정보를 읽어 들이고, 읽혀진 카드정보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등록부(10) 및 서비스 처리부(20)를 포함한다.
등록부(1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는 서비스 등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서비스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및 입력부(130)를 통해 서비스 가입정보를 입력받고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및 출금 계좌 본인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 및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전송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및 출금 계좌 본인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단말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등록을 완료한다.
상기 등록부(10)는 정보 처리부(30), 실물카드 본인인증부(40), 계좌 본인인증부(50), 인증확인번호 생성부(60) 및 후 처리부(70)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부(30)는 인증 구매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인증구매정보 획득부(31), NFC 리더기(150)를 통해 실물 금융카드(1)로부터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실물카드정보 획득부(32),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메모리, 유심(USIM)(미도시) 등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등의 단말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기정보 획득부(33), 상기 획득된 인증 구매정보 및 카드정보, 단말기정보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 및 출금 계좌 본인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정보 생성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기기번호, 모델, 시리얼번호, 국제모바일 기기식별코드(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물카드 본인인증부(40)는 상기 인증정보 생성부(34)로부터 실물카드 본인 인증 정보를 입력받고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처리한다.
계좌 본인인증부(50)는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의 전송 후 또는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부터 인증 결과 수신 시 카드 결제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여 상기 실물 금융카드(1)의 출금 계좌를 통한 출금 계좌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출금 계좌 본인인증을 위한 계좌 이체 비밀번호의 입력 요청 시 사용자로부터 계좌 이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전송하고, 출금 계좌 본인인증 성공 시 인증 확인번호 생성부(60)를 활성화시킨다.
인증 확인번호 생성부(60)는 활성화 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반영하여 고유한 인증확인번호를 생성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확인번호 수신측은 상기 인증확인번호를 디코딩하여 단말기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처리부(70)는 상기 인증확인번호 생성부(60)에서 생성된 인증확인번호가 전송된 후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출금 계좌 본인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가결제된 결제에 대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결제 취소를 요청하여 결제를 취소한다.
서비스 처리부(20)는 앱ID 인증부(80) 및 이체 처리부(90)를 포함하여 등록 후 송금요청에 대한 이체 처리를 수행한다.
앱ID 인증부(80)는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등록부(10)의 서비스 등록과정에서 생성되어 저장된 단말 앱ID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하여 앱ID 인증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부터 수신받아 이체 처리부(90)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이체 처리부(90)는 이체정보 획득부(91), 이체정보 제공부(92), 실물카드 본인인증부(93), 이체 검증부(94) 및 이체 요청부(95)를 포함하여 요청된 수신자에게 요청된 송금금액을 이체한다. 상기 수신자는 등록 시 결제의 즉시출금을 요청하는 카드사(이하 "결제사 수신자"라 함)가 될 수 있고, 송금(이체) 서비스 시 송금을 수신받는 일반인(이하 "송금 수신자"라 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체 정보 획득부(91)는 이체 정보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상기 이체 정보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이체 정보를 입력받아 획득하고,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상기 이체정보는 송금자(=이체자) 정보, 송금(이체)금액, 수신자 정보, 실물 금융카드정보 등을 포함할 것이다. 송금자 정보는 송금자의 이름, 전화번호, 카드정보, 카드비밀번호 등만 포함하고 송금계좌번호 등의 계좌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 계좌 은행, 계좌 번호 및 수신자 이름, 전화번호(일예: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이체정보 제공부(92)는 상기 이체정보 획득부(91)를 통해 이체정보가 획득되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하여 이체를 요청한다.
실물카드 본인인증부(93)는 상기 이체정보의 전송 후 상기 획득된 실물 금융카드정보의 카드에 대한 카드비밀번호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카드비밀번호(앞 2자리 이상)를 입력받고, 카드비밀번호 및 실물 금융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부터 수신하고, 본인인증 성공 시 이체 검증부(94)를 활성화한다. 상기 카드비밀번호 입력 시, 유효성 검증값(CVC, CVV 등)을 더 입력받고 상기 유효성 검증값을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결제사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실물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결제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체 검증부(94)는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이체내용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표시된 이체 내용을 확인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이체 내용 확인 및 이체 승인 명령이 발생하는지를 검사하여 이체를 검증한다. 상기 이체 검증부(94)는 이체 승인 명령이 발생하여 검증에 성공하면 이체 요청부(95)를 활성화시킨다.
이체 요청부(95)는 이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이체 비밀번호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이체 비밀번호의 입력 시 이체 비밀번호를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전송하여 이체를 요청하고, 이체 요청에 대한 이체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한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방법의 정보 수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방법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상기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이벤트는 본 발명에 따른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앱의 설치 시 발생될 수도 있고,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앱의 설치 및 실행 후 사용자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등록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실물카드이체 인증정보를 획득한다(S113).
실물 금융카드 이체 인증정보 획득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등록부(10)의 정보 처리부(30)의 인증구매정보 획득부(31)를 통해 도 6의 (가)와 같은 인증구매정보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표시하고, 상기 인증구매정보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인증구매정보를 획득한다(S211). 상기 인증구매정보는 도 6의 (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서비스 가입자의 이름, 구매 결제 금액, 약관동의정보, 일시불 결제 여부 정보, 카드결제 후 계좌 측시 출금 동의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일시불 결제 여부 정보는 실결제를 통해 결제승인, 본인확인, 즉시출금으로 계좌인증까지 수행하여야 하므로 일시불 결제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할부 결제 선택에 관한 여부를 판단하거나 할부 결제 여부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인증구매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10)는 실물카드정보 획득부(32)를 활성화하고(S213), 도 6의 (나)와 같이 실물 금융카드(1)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터치할 것을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한다(S215).
실물 금융카드(1)의 터치 요청 후 제어부(110)는 실물카드정보 획득부(32)를 통해 NFC 리더기(150)를 구동하고 NFC 리더기(150)로부터 실물카드정보가 입력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217).
실물카드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10)의 실물카드정보 획득부(32)는 입력된 실물카드정보를 저장하고(S218), 도 6의 (다)와 같이 터치된 실물 금융카드(1)의 카드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카드비밀번호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표시한다(S219).
상기 카드비밀번호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의 표시 후, 실물카드정보 획득부(32)는 상기 카드비밀번호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카드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S221), 카드비밀번호의 입력 후 확인 버튼이 클릭되면 입력된 카드비밀번호를 저장한다(S222).
카드비밀번호가 저장되면 신물카드정보 획득부(32)는 단말기정보 획득부(33)를 활성화한다(S223).
활성화된 단말기정보 획득부(33)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유심 등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S225).
상기 인증구매정보, 실물카드정보, 단말기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10)는 인증정보 생성부(34)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포함하는 실물카드이체 인증정보를 생성한다(S227).
상술한 바와 같이 실물카드이체 인증정보가 획득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한다(S115). 상기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는 상기 획득된 실물카드이체 인증정보 중 가입자 정보, 실물카드정보, 비밀번호 및 단말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이름, 생년월일, 개인식별고유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한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상기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본인인증 인증전문을 생성한(S117) 후, 결제사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실물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한다(S119).
결제사 시스템(300)은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부터 실물카드 본인인증 인증전문이 수신되면 포함된 실물카드 본인인증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실물카드 정보, 카드비밀번호 및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한다(S121). 이때, 상기 단말기 정보는 본인인증에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결제사 시스템(300)은 실물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한 후 그 결과인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 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제공한다(S123).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수신한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저장한다(S125). 상기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제공될 수도 있고(S127),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실물카드 인증정보의 전송(S115) 후, 또는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부터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획득된 실물카드이체 인증정보 중 결제금액 등의 거래정보, 실물카드정보 및 카드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카드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를 통해 결제사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S129).
결제사 시스템(300)은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부터 카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인증 구매 결제 전문을 생성하여(S131) 결제를 수행한다(S133).
상기 인증구매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사 시스템(300)은 인증구매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즉시 출금 요청 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한다(S135).
인증구매 결제정보를 수신한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인증구매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S137), 상기 저장된 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고 인증 구매 결제 정보에 의해 결제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S139).
만일,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인증실패이거나 결제가 유효하지 않다면 인증 실패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통지할 것이다(S141).
반면, 실물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하고 결제가 유효하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인증 구매 결제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고(S143), 계좌정보 요청 정보를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제공하여 상기 실물 금융카드(1) 사용자에 대한 계좌정보를 요청한다(S145). 상기 계좌정보 요청 정보는 카드정보 및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실물카드에 대한 실물카드 정보에 출금계좌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 및 관리되므로 계좌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포함된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출금계좌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47).
만일, 상기 계좌정보 요청 정보에 이동통신단말기 접속정보가 없는 경우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상기 출금계좌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출금계좌정보를 수신받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도 6의 (라)와 같이 결제내용 및 계좌 이체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계좌 이체비밀번호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S149). 도 5의 (라)에서는 계좌 이체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OTP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6자리 이상의 계좌 이체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계좌 이체비밀번호는 보안카드의 비밀번호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계좌 이체비밀번호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의 표시 후 제어부(110)는 계좌 본인인증부(50)를 통해 계좌 이체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S151), 계좌 이체비밀번호가 입력되면 계좌 이체비밀번호를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153).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상기 계좌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 후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계좌 이체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모니터링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계좌 이체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계좌 이체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거나, OTP 인증 서버(미도시)를 통해 계좌 이체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하여 인증을 수행한다(S155).
계좌 이체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에 성공하면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금융(은행 및 비은행(보험사 등)) 공동망을 통해 카드결제대금 즉시 이체를 수행하여 결제사 시스템(300)의 해당 결제사 수신자(카드사 등)에게 카드결제대금을 이체한다(S159).
이체가 수행되면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카드결제대금 출금 결과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한다(S161).
카드결제대금 출금 결과를 수신받은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출금, 즉 이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163).
판단결과, 정상적으로 이체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인증 실패를 통지한다(S165).
반면, 이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본인인증 성공으로 판단하고, 본인인증 성공 결과를 저장한다(S167). 상기 본인인증 성공 결과의 저장이란 상기 실물카드인증정보 및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가입정보 중 하나로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본인인증 성공 결과가 저장되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본인인증 성공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통지한다(S169).
본인인증 성공 결과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도 6의 (마)와 같이 카드결제 출금 완료 화면을 표시한 후, 인증확인번호 생성부(6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에 기반한 인증확인번호를 생성하여 후처리부(70)로 출력한다(S171). 상기 후처리부(70)는 도 6의 (바)와 같이 실물카드 본인인증 및 출금계좌 본인인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인증확인번호 또한 도 6의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또한, 후처리부(70)는 생성된 인증확인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구매 카드결제 취소 요청 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하여 카드결제의 취소를 요청한다(S173).
상기 취소 요청 후 후처리부(70)는 단말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72).
상기 인증구매 카드결제 취소 요청 정보를 수신한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상기 인증구매 카드결제 취소 요청 정보에 포함된 인증확인번호를 디코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복원하고 상기 취소할 카드결제대금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인증을 수행한다(S175). 이렇게 함으로써 카드결제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상기 카드결제를 취소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동일 이동통신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인증에 실패했으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인증 실패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77). 이때, 틀린 단말기 식별정보를 가지를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0)들로 인증 실패를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생성된 앱ID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인증에 성공하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결제취소 전문을 생성한(S179) 후, 결제사 시스템(300)으로 결제 취소를 요청한다(S181). 상기 결제 취소 요청 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처리부(70)에서 생성된 단말 앱ID에 대응하는 서버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82). 상기 단말 앱ID 및 서버 앱ID는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한 쌍(Pair)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 앱ID 및 서버 앱ID는 동일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되어 동일한 값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제 취소 요청을 받은 결제사 시스템(300)은 해당 카드결제를 취소하고 이체 은행 서버부(400)를 통해 해당 수신자(실물 금융카드 사용자: 이하 "등록 수신자"라 함)의 계좌로 상기 결제대금을 이체한다(S183). 즉 결제사 시스템은 상기 가결제된 이체금액을 등록 수신자에게 반환한다.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상기 결제 취소에 따른 결제금액 반환 후 그 이체 결과를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부터 수신받고 도 6의 (사)와 같이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메시지 등과 같은 이동통신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송금(이체)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311).
송금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서비스 처리부(20)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서비스 처리부(20)는 앱ID 인증부(80)를 통해 저장되어 있는 단말 앱ID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한다(S313).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 앱ID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서버 앱ID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15).
단말 앱ID와 서버 앱ID가 일치하지 않으면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앱ID 인증 실패 통지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고(S317), 단말 앱ID와 서버 앱ID가 일치하면 앱ID 인증 성공 통지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19).
상기 앱ID 인증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 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뱅킹서버(220)를 활성화시킨다(S321). 활성화된 뱅킹서버(220)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에 요청에 따른 이체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이체정보가 수신되면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제공한다.
앱ID 인증 성공 통지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체 처리부(90)의 이체정보 획득부(91)를 통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송금 수신자 목록을 로드하고, 상기 송금 수신자 목록을 표시하고 임의의 송금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는 송금 수신자 선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여 송금 수신자를 선택할 것을 요청한다(S323).
상기 송금 수신자 선택 GUI 수단이 표시되면 이체정보 획득부(80)는 송금 수신자가 선택되는지(S325), 사용자의 송금 수신자 추가 요청에 의해 해당 송금 수신자가 목록에 없는지를 판단한다(S327).
사용자가 찾는 송금 수신자가 송금 수신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체정보 획득부(91)는 송금 수신자 등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송금 수신자를 등록할 것인지(S328) 직접 입력할 것인지(S329)를 판단한다.
등록이 선택되면(S328) 이체정보 획득부(91)는 송금 수신자 등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송금 수신자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다(S330).
반면, 직접 입력이 선택되면(S329) 이체정보 획득부(91)는 송금 수신자 직접 입력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여 송금 수신자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다.(S331)
상기 송금 수신자정보는 송금 수신자 이름, 송금 수신자 단말기 정보(전화번호), 송금 수신자의 은행정보, 상기 은행의 계좌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송금 수신자가 선택되거나, 새롭게 등록되거나, 직접 입력되면 이체정보 획득부(80)는 이체정보를 로드하여 획득한 후, 도 8의 (가)와 같이 디스플레부(120)에 표시한다(S332). 상기 이체정보는 송금 수신자 이름, 송금 수신자 단말기 정보(전화번호), 송금 수신자의 은행정보, 상기 은행의 계좌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체정보가 획득되면 이체정보 획득부(91)는 송금 수신자 선택 GUI 수단을 통해 이체(송금)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고(S333), 이체요청이 발생되면 이체정보 제공부(92)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면 이체정보 제공부(92)는 이체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를 통해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335).
상기 이체정보 제공부(92)로부터 이체정보를 수신받은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송신인증서버(220)를 활성화시킨다(S337).
그리고 이체정보 획득부(91)는 이체정보의 전송 후 실물카드 본인인증부(93)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실물카드 본인인증부(93)는 NFC 리더기(150)를 활성화시킨다(S339).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이체정보가 수신되면, 즉 이체 요청이 발생되면 송금 수신자 단말기 정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결과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S357).
상기 활성화된 이체 처리부(90)의 실물카드 본인인증부(93)는 도 8의 (나)와 같이 NFC카드인 실물 금융카드(1)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터치할 것을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한 후, 상기 구동된 NFC 리더기(150)를 통해 실물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341).
NFC 리더기(150)에 실물 금융카드(1)가 터치되면 NFC 리더기(150)는 실물 금융카드(1)로부터 실물 카드 정보를 읽어 출력할 것이다.
이를 입력받은 실물카드 본인인증부(93)는 도 8의 (다)와 같은 카드비밀번호 입력 GUI 수단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여 카드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343).
상기 카드비밀번호의 요청 후 실물카드 본인인증부(93)는 카드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S345), 카드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NFC 리더기(150)를 통해 획득된 이름, 카드정보 및 카드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실물카드 인증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하고(S347), 이체 검증부(94)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실물카드 인증정보를 수신한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의 송금인증서버(230)는 실물카드 인증정보를 결제사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한다(S349).
인증을 요청받은 결제사 시스템(300)은 수신된 실물카드 인증정보에 포함된 카드정보 및 카드비밀번호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카드정보 및 카드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S351), 그 인증 결과인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 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의 송금인증서버(230)로 전송한다(S353).
상기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한 송금인증서버(230)는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355, S356).
본인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한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본인인증 결과 정보가 인증 성공이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이체비밀번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도 7에서는 본인인증 결과 정보가 성공인 경우만을 나타내었음).
그 결과가 인증 성공인 실물카드 본인인증 결과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이체 처리부(90)의 이체 검증부(94)는 도 8의 (라)와 같이 본인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한 후 (마)와 같이 이체내용을 표시하고, (바)와 같이 이체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359). 이체비밀번호는 도 8의 (바)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OTP 번호가 될 수도 있고, 보안카드의 번호가 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에 미리 등록해 놓은 일정 자릿수 이상의 비밀번호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체 비밀번호의 입력 요청 후, 이체 검증부(94)는 이체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S539), 이체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이체 요청부(95)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이체 요청부(95)는 입력된 이체 비밀번호를 이체 은행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363).
이체 비밀번호를 수신한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이체비밀번호와 미리 등록되어 있거나, OTP 서버(미도시)에 의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했는지를 판단한다(S367).
인증에 실패하면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인증 실패를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한다(S369).
반면, 인증에 성공하면 이체 은행 서버부(400)는 상기 터치된 실물 금융카드(1)의 출금계좌에서 상기 송금 수신자의 은행 계좌로 이체처리를 수행한(S371) 후, 이체 결과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로 전송한다.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상기 이체 결과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할 때 도 8의 (사)와 같이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앱을 통한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도 있고, SMS 메시지 등과 같은 이동통신메시지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200)는 도 8의 (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금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도 송금내용을 포함하는 송금정보를 푸시메시지 또는 이동통신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실물카드 10: 등록부
20: 서비스 처리부 30: 정보 처리부
31: 인증구매정보 획득부 32: 실물카드정보 획득부
33: 단말기정보 획득부 34: 인증정보 생성부
40: 실물카드 본인인증부 50: 계좌 본인인증부
60: 인증확인번호 생성부 70: 후처리부
80: 앱ID 인증부 90: 이체 처리부
91: 이체정보 획득부 92: 이체정보 제공부
93: 실물카드 본인인증부 94: 이체 검증부
95: 이체 요청부 100: 이동통신단말기
200: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
210: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앱) 서버
220: 뱅킹서버 230: 송금인증서버부
300: 결제사 시스템 400: 이체 은행 서버부

Claims (15)

  1. 계좌 이체를 수행하되, 이체정보의 수신에 의한 이체요청 발생 시 상기 이체요청에 대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수신받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이체 요청에 대한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출금계좌 인증 성공 시 상기 이체정보에 대응하는 이체를 수행하는 이체 은행 서버부;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에 의해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출력하고,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카드결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결제 금액에 대한 가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가결제의 결제금액에 대해 즉시 출금을 요청하는 결제사 시스템;
    실물 금융카드로부터 NFC 리더기에 의해 획득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 및 결제정보를 획득하고, 간편 출금 이체 서비스 등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상기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카드결제를 요청하고, 이체 은행 서버부로부터 즉시출금 요청 시 사용자로부터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고,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정보를 전송하여 이체를 요청한 후 실물카드 터치를 요청하여 획득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성공 시 이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받아 결제사 시스템으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카드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즉시출금 요청을 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상기 결제사 시스템의 결제사 수신자 계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부터 이체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정상적으로 이체되었으면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체요청에 의한 이체정보 수신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결제사 시스템을 통해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을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 후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상기 가결제에 의해 결제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의 취소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사 시스템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의 결제취소 요청을 받아 상기 결제금액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를 통해 실물 금융카드의 출금계좌로 이체하여 상기 가결제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이체비밀번호의 전송 후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에 기반한 인증확인번호를 생성한 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확인번호의 수신 시 상기 인증확인번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의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고, 단말기 인증 성공 시 상기 결제 취소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이체비밀번호의 전송 후 실행 중인 간편 계좌 이체 앱에 대한 고유한 단말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본인인증 성공을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 후 상기 단말 앱ID에 대응하는 서버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단말 앱ID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앱ID 인증 결과가 수신되고 앱ID 인증 성공이면 획득된 이체정보를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 앱ID와 미리 저장하고 있는 서버 앱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앱ID 인증을 수행하고, 앱ID 인증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체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앱ID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름, 은행정보,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송금 수신자정보에 대한 송금 수신자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송금 수신자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송금 수신자가 선택되면 선택된 송금 수신자의 송금 수신자정보를 로드하고, 로드된 송금 수신자정보 및 입력된 송금금액을 포함하는 이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앱ID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름, 은행정보,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송금 수신자정보에 대한 송금 수신자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송금 수신자 목록에 송금할 해당 송금 수신자의 송금 수신자 정보가 없으면 송금 수신자 정보를 직접 입력받고, 입력된 송금 수신자정보 및 입력된 송금금액을 포함하는 이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8.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받아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카드결제정보에 의해 결제금액에 대한 가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부터 즉시출금 요청을 받아 이체 은행 서버부로 상기 결제사 시스템의 결제사 수신자 계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부터 이체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정상적으로 이체되었으면 출금계좌 본인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는 등록과정;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체요청에 의한 이체정보 수신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상기 가결제의 결제금액에 대해 이체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체요청에 의해 상기 결제사 시스템을 통해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여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대해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체 은행 서버부간 이체를 수행하도록 하는 이체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등록과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간편 출금 이체 서비스 등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단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수신받아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요청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와 미리 가지고 있는 해당 금융카드의 카드정보를 비교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그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를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수행 단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가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즉시출금 요청을 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상기 결제사 시스템의 결제사 수신자 계좌정보를 요청하는 즉시 출금 요청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결제사 수신자 계좌 정보의 요청에 따라 이체 은행 서버부로부터 결제사 수신자 계좌정보의 수신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체 비밀번호를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체비밀번호 제공 단계;
    상기 이체 은행 서버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즉시 출금 요청 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금융카드의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체를 수행하고, 이체 결과를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체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체 결과가 정상이체로 판단되면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하는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 통지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본인인증 성공을 이동통신단말기로 통지 후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상기 가결제에 의해 결제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취소를 요청하는 결제 취소 요청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의 결제취소 요청을 받아 상기 결제금액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를 통해 실물 금융카드의 출금계좌로 이체하여 상기 가결제를 취소하는 가결제 취소 단계; 및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를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에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출금계좌 본인인증 성공 결과 수신 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에 기반한 인증확인번호를 생성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인증 확인 요청 단계; 및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인증확인번호의 수신 시 상기 인증확인번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상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의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는 단말기 인증 성공 시 상기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이체비밀번호 제공 단계 후 실행 중인 간편 계좌 이체 서비스 앱에 대한 고유의 단말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말 앱ID 등록 단계; 및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결제계좌 본인인증 성공 시 상기 단말 앱ID에 대응하는 서버 앱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서버 앱ID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이체정보를 획득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여 이체를 요청하는 이체 요청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체요청에 의한 이체정보 수신 시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를 요청하는 은행 이체 요청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이체 요청 후, 결제사 시스템으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받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단계;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수신된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 통지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수신되고, 상기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사용자로부터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체비밀번호 제공 단계; 및
    상기 이체 은행 서버부가 상기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부터 실물 금융카드 본인인증 결과가 수신되고 그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체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체를 수행하는 이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과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단말 앱 ID를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앱ID 전송 단계;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가 상기 수신된 단말 앱ID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서버 앱 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는 앱ID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ID 인증 성공 시 상기 이체 요청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요청 단계는,
    상기 송금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송금 수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은행 및 계좌정보를 포함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송금 수신자정보를 포함하는 송금 수신자 목록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송금 수신자 목록 리스트에서 임의의 송금 수신자를 선택받아 송금 수신자 정보를 획득하는 송금 수신자 정보 획득 단계; 및
    송금할 이체 금액을 입력받아 상기 송금 수신자정보 및 송금금액을 포함하는 이체정보를 획득하여 카드뱅킹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이체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방법.
KR1020150117145A 2015-08-20 2015-08-20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7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45A KR101727458B1 (ko) 2015-08-20 2015-08-20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45A KR101727458B1 (ko) 2015-08-20 2015-08-20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328A KR20170022328A (ko) 2017-03-02
KR101727458B1 true KR101727458B1 (ko) 2017-04-19

Family

ID=5842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145A KR101727458B1 (ko) 2015-08-20 2015-08-20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9437B (zh) * 2018-09-28 2024-04-16 京东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获得虚拟银行卡支付权限的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CN113611058B (zh) * 2021-07-27 2023-07-14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公共交通的便捷支付方法、相关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01B1 (ko) * 2014-10-08 2015-04-14 주식회사 한국엔에프씨 이동통신단말기 및 실물 금융카드를 이용한 간편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878B1 (ko) 2012-10-29 2014-09-04 주식회사 인피니소프트 에이알에스를 이용한 결제 인증 및 결제 요청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01B1 (ko) * 2014-10-08 2015-04-14 주식회사 한국엔에프씨 이동통신단말기 및 실물 금융카드를 이용한 간편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328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12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card biometric enrollment
KR101512001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실물 금융카드를 이용한 간편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85868A1 (en) Transaction authentication platform
KR101814079B1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간편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인증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인증 서비스 장치
JP6284088B2 (ja) 1回限りのランダムキーを用いた本人確認及び盗用防止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JP2019504384A (ja) 移動通信端末に格納された金融カード情報を用いた生体情報本人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39920A (ko)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본인 인증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TW201544983A (zh) 資料通訊方法和系統及客戶端和伺服器
KR101727458B1 (ko) 실물 금융카드 및 출금계좌 인증을 통한 모바일 뱅킹 계좌 이체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640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지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523494B1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겸용 모바일 지불 결제 중계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8600A (ko) 모바일 교차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189B1 (ko) 앱의 실행을 지문으로 인증하는 지문 인증 시스템 및 지문 인증 방법
KR20150050280A (ko) 지문 정보 및 인증번호를 이용한 인증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금융사 서버
TWM605343U (zh) 身分認證系統
JP2019191627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729987B1 (ko) 온·오프라인 모바일 지불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5443A (ko) 일회용 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JP2023538860A (ja) 短距離トランシーバを介した検証済みメッセージ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951749A1 (en) Registering a mobile user
KR102221827B1 (ko) 모바일 교차 인증 시스템 및 방법
TWM535366U (zh) 網路轉帳系統
KR20140014046A (ko) 일회용 코드를 이용한 결제 중계 시스템
KR20160006653A (ko) 일회용 코드를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TWI545512B (zh) 採用個人化裝置驗證之交易方法、交易安全系統與電腦可讀取儲存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