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279B1 - 전력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소비를 원격 계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소비를 원격 계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279B1
KR101726279B1 KR1020137011874A KR20137011874A KR101726279B1 KR 101726279 B1 KR101726279 B1 KR 101726279B1 KR 1020137011874 A KR1020137011874 A KR 1020137011874A KR 20137011874 A KR20137011874 A KR 20137011874A KR 101726279 B1 KR101726279 B1 KR 101726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t
concentrator
hour meter
li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307A (ko
Inventor
파비오 베로니
Original Assignee
에넬 디스트리부지오네 에스. 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넬 디스트리부지오네 에스. 피.에이. filed Critical 에넬 디스트리부지오네 에스. 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2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3Remote me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4Adapter and plu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8Monitor senso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에너지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electricity distribution network)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전망이 상기 배전망에 연결된 복수의 구역(A1, A2,…, B1, B2,…)과 하나 이상의 집중기(concentrator)(CA, CB)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집중기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배전망 구역에 연결된 전력량계(electricity meter)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집중기가, 상기 배전망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집중기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량계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포함하는 목록을 저장하며, 상기 장치는, 제1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제2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를 임포트(import)하는 저장부(4)로서, 상기 임포트된 정보가,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의 신원(identification)과, 각각의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저장부(4); 상기 장치를 상기 배전망의 조사 중인 구역에 일시적으로 연결하는데 적합한 인터페이스; 상기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한 인비테이션(invitation)을 보내고, 상기 배전망에 연결된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을 수신하는 전력선 통신부; 및 상기 인비테이션에 응답하는 전력량계가 각각 어느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고려하여, 수신된 응답을 평가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소비를 원격 계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ETERING THE CONSUMPTION OF ELECTRICITY OVER POWER LINE NETWORK}
본 발명은 에너지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electricity distribution network)에서의 통신 연계(communication association)를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망에서, 에너지 소비의 원격 계측은 바람직하고 이로운 특징이다. 원격 계측은 통신 설비가 아주 많은 고객의 에너지 소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통신 설비는 통상적으로 중앙 관리 설비가 다수의 집중기(concentrator)와 통신하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집중기는 고객 부지(customer premises)에 위치된 다수의 전력량계(electricity meter)와 통신한다. 집중기와 이 집중기에 연계된 전력량계 간의 통신은, 집중기와 고객 위치에 있는 전력량계 양자가 연결되는 저전압 네트워크 구역(low voltage network section)을 통한 전력선 통신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집중기는 이 집중기에 연계된 복수의 전력량계를 관리한다. 집중기는 집중기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량계의 목록을 저장한다. 자동 전력량계 판독 및/또는 자동 전력량계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집중기는 집중기와 전력량계 간에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집중기와 전력량계 간의 통신 경로를 따라서 중간 중계기를 이용하는 중의 하나에 의해 목록 상의 각각의 전력량계와의 통신을 구축하도록 시도한다. 집중기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량계의 목록은 사전 구성되거나 집중기의 설치 시에 편집되었을 수도 있고, 또는 중앙 관리 설비로부터 집중기에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 목록은 집중기에 의해 관리되는 배전망의 구역(section)에 대해 새로운 전력량계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마다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목록은 집중기 자체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예컨대 집중기가 필요할 때마다 이 목록을 액세스할 수 있는 중앙 관리 설비와 같은 그 밖의 곳에 저장될 수도 있다.
명백히, 전력량계와 그 집중기 간의 통신 능력의 어떠한 결여는 심각한 문제가 된다. 예컨대, 집중기가 이 집중기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목록의 전력량계(meter listed)를 갖지만, 그 전력량계와 집중기가 통신을 구축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것은 여러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 대한 정밀한 정보의 결여로 인해,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가 아닌 또 다른 집중기에 의해 관리되는 배전망의 구역에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가능성은,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에 연결된 원격 네트워크 구역에 접속되지만, 감쇄(attenuation) 및/또는 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로 인해, 집중기 및/또는 전력량계에 의해 이용되는 통신 신호의 레인지(range)가 불충분하고, 전력선을 따라 이용 가능한 중계기(relay)가 없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상황에서, 심지어는, 또 다른 집중기에 연결된 상이한 네트워크 구역이 원격 네트워크 구역과 기생 방식으로(parasitically) 결합되어, 통신 신호가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다른 구역으로 결합되고(크로스토크 현상), 다른 집중기가 그 전력량계와 통신할 수 있게 될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5,912,633호는 중간 전력량계를 통해 전력량계까지의 루트를 결정하기 위한 라우터를 개시하고 있다. 전력량계와의 통신이 그 전력량계에 대해 저장된 루트의 어떠한 것을 통해서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지면, 그 전력량계는 분실(lost)된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한 특허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추가의 조치가 제공되지 않는다.
미국 특허 공개 번호 US2006/0085346 A1은 자동화된 토폴로지 복구(automated topology discovery)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집중기는 자동으로 프록시를 통해 위임되지 않은 전력량계(non-commissioned meter)에 도달하려고 시도한다. 각각의 집중기는 전력량계의 목록 및 각각의 전력량계까지의 루트를 찾으려고 시도한다. 이에 따라, 도달 가능하지 않은 전력량계는 집중기에 알려지지 않는 상태로 남게 된다. 이 공개 특허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전력량계가 또 다른 집중기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될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WO95/01030호는 중앙국(central station)이 시스템의 맵을 점차적으로 구성하는 토폴로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공개 특허는, 전력량계와의 통신 연계에 있지 않은 하나의 집중기가 그 전력량계를 그 집중기에 속하는 것으로서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한편 모든 다른 집중기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그 전력량계가 어떠한 집중기에 의해 도달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없는 상황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집중기가 배전망의 어느 구역과 통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집중기와 배전망의 네트워크 구역 간의 통신 연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electricity distribution network)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배전망이 상기 배전망에 연결된 복수의 구역(A1, A2,…, B1, B2,…)과 하나 이상의 집중기(concentrator)(CA, CB)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집중기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배전망 구역에 연결된 전력량계(electricity meter)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집중기가, 상기 배전망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집중기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량계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포함하는 목록을 저장한다. 상기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는, 제1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제2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를 임포트(import)하는 저장부로서, 상기 임포트된 정보가,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의 신원(identification)과, 각각의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장치를 상기 배전망의 조사 중인 구역에 일시적으로 연결하는데 적합한 인터페이스; 상기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한 인비테이션(invitation)을 보내고, 상기 배전망에 연결된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을 수신하는 전력선 통신부; 및 상기 인비테이션에 응답하는 전력량계가 각각 어느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고려하여, 수신된 응답을 평가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수신된 응답의 평가는 각각의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응답하는 전력량계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로부터, 검사 하에 있는 구역이 어느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지가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는 응답하는 몇몇 전력량계가 어느 특정한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는지 또는 응답하는 모든 전력량계의 가장 큰 비율이 어느 특정한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는지를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사 중인 네트워크 구역이 그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포트된 정보는,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good)" 표시와,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하지 않음(bad)" 표시 중의 하나를 더 포함한다. "양호" 표시 및 "양호하지 않음" 표시는 예컨대 플래그 또는 전용 비트(dedicated bit)를 통해서와 같이 어떠한 적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비테이션에 응답하는 전력량계가 각각 어느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평가는 "양호" 표시를 갖는 전력량계를 이용하고, "양호하지 않음" 표시를 갖는 전력량계는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비테이션은 포인트 투 포인트 메시지(point to point message)이어도 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 및 제2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추가의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저장부 내의 정보가, 집중기 자체로부터, 중앙 관리 설비로부터, 또는 이 정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공급원으로부터 임포트될 수 있다. 포인트 투 포인트 메시지는 "양호"로 표시된 전력량계를 선택적으로 어드레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인비테이션을 "양호하지 않음"으로서 표시된 전력량계에 선택적으로 보내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이것은 추가의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이러한 방식으로, 검사 하에 있는 네트워크 구역에 연결되고 검사 하에 있는 네트워크 구역과 통신 연계에 있지 않은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의 아이덴티티를 찾을 수 있다.
상기 인비테이션은 또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응답하는 각각의 전력량계는 그 후 이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는 집중기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ID로 응답함으로써 저장부에 정보를 임포트할 수 있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임포트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처리부는, 각각의 집중기의 목록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양호"로서 표시된 응답하는 전력량계의 수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집중기 및 상기 제2 집중기 중의 어느 하나의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전력량계의 아이덴티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는 평가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또는 이와 달리, 상기 장치는 예컨대, 광학 포트, USB 포트, LAN 포트, 시리얼 포트, 패러렐 포트, 또는 상기 정보를 PC에 출력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포트와 같은 데이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포트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PC를 이용할 수 있도록 양방향 포트이어도 된다. 물론, 상기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는 자기 자신의 전용의 제어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집중기 및 상기 제2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추가의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를 임포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포트된 정보는,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해, 전력량계의 신원과, 각각의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에 대한 표시와,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양호/양호하지 않음" 표시를 포함한다.
전기 에너지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제2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임포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임포트된 정보가,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의 신원과, 각각의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임포트하는 단계;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한 인비테이션(invitation)을 전력량계에 보내고, 배전망에 연결된 전력량계로부터의 응답을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비테이션에 응답하는 전력량계가 각각 어느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고려하여, 수신된 응답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포트된 정보는,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 표시와,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하지 않음" 표시 중의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C 등의 컴퓨터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는 검사 하에 있는 네트워크 구역과의 연결을 위한 전용 장치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거나, 또는 원격 계측이 구비된 종래의 전력량계와 인터페이스하여 이러한 전력량계에 제공된 기존의 전력선 통신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여, 상기 코드가 상기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시에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아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전기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의 일부분에 대한 일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전기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의 일부분에 대한 일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A와 B는 각각 2차 변전소(secondary transformer station)를 나타낸다. 각각의 2차 변전소 A와 B는 각각 배전망의 저전압 구역에 급전한다. 도 1의 일례의 예시에서, 2차 변전소 A는 복수의 네트워크 구역 A1, A2, A3,…, An에 급전한다. 2차 변전소 B는 네트워크 구역 B1, B2, B3,…, Bm에 급전한다.
CA는 2차 변전소 A에 의해 급전되는 배전망부의 네트워크 구역 A1, A2, A3,…, An의 저전압 전력선을 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마스터로서 동작하기 위해 2차 변전소 A의 급전점(feed point)의 부근에 연결된 집중기를 나타낸다. M1, M2, M3, Mi는 각각의 저전압 네트워크 구역에 연결된 전력량계를 나타낸다. 전력량계는 전기 에너지의 다양한 소비자에 연계된다. 이들 전력량계의 각각은 원격 계측 능력을 가지며, 각각의 에너지 소비를 측정, 수집, 처리 및 전송함에 있어서 집중기와 통신한다. 도 1의 일례의 예시에서, 집중기 CA는 2차 변전소 A에 의해 제공되는 배전망의 구역에 연결된 전력량계의 목록을 갖는다. 유사하게, 집중기 CB는 2차 변전소 B에 의해 급전되는 네트워크 구역 B1, B2, B3,…, Bm의 저전압 전력선을 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마스터로서 동작하기 위해 2차 변전소 B에 연결된다. 집중기 CB는 집중기 CB가 다수의 소비자의 에너지 소비를 원격 계측하는 태스크의 수행 시에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전력량계의 목록을 갖는다. 물론, 집중기 CA와 CB는 각각 2차 변전소 A와 B에 근접하지 않고 상이한 지점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집중기 CA 및 CB에 저장된 전력량계의 목록은 각각의 집중기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각의 전력량계를 각각 식별한다. 전력량계는, 통상적으로,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네트워크 구역에 이러한 전력량계가 설치될 때에 목록에 추가된다. 목록은 또한 각각의 집중기가 집중기의 목록에 있는 각각의 전력량계와의 통신을 구축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한 표시(indicatio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록은 물론, 각각의 전력량계에 대해, 통상적으로는 다른 전력량계인 중계기의 체인을 나타내는 경로 정보와 같은 기타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특정 전력량계가 도달될 수 있다. 집중기는, 집중기가 각각의 전력량계와의 통신을 구축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하다면, 목록에 들어 있는 각각의 전력량계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한다.
도 1에 일례의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전력량계 또는 전력량계의 그룹이 특정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고, 특정 집중기가 이들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의 통신을 구축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예시하기 위해, 도 1은 M1으로 표시된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그룹 GA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전력량계들은 집중기 CA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 전력량계의 그룹 GA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역 B3는 2차 변전소 B에 의해 급전되고, 집중기 CB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전력량계 Mi가 집중기 CB의 목록에 포함되고, 집중기 CB에 연결된 네트워크 구역 B4에 연결되어 있다. 그룹 GA에 전력량계를 설치할 때에,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하여, 그룹 GA 내의 전력량계가 연결되는 구역이 변전소 A에 연결된 구역인 것으로 잘못 가정될 수도 있다. 그 결과, 그룹 GA 내의 전력량계는 집중기 CA의 목록에 추가된다. 집중기 CA는 이들 전력량계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집중기 CA와 그룹 GA 내의 전력량계 간의 통신 채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전력량계와 통신할 수 없다.
전력량계 M2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그룹 GB는 또 다른 가능한 시나리오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룹 GB 내의 전력량계는 모두 2차 변전소 A에 의해 급전되고 집중기 CA에 연결된 네트워크 구역에 연결된다. 그러나, 그룹 GB 내의 전력량계의 원격 위치 및 통신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중계기로서 동작할 수 있는 어떠한 중간 전력량계의 부재로 인해, 그룹 GB 내의 전력량계는 집중기 CA와의 통신 연계에 있지 않게 된다. 그 대신, 그룹 GB의 전력량계는 집중기 CB의 목록에 포함되고, 집중기 CB가 도 1의 네트워크 구역 B4와 도 1의 네트워크 구역 A2 간의 기생 커플링(parasitic coupling)을 통해 그룹 GB 내의 전력량계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 따라, 그룹 GB 내의 전력량계가 2차 변전소 A에 의해 급전되고 집중기 CA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역에 연결되어 있지만, 그룹 GB 내의 전력량계는 집중기 CB와 통신 연계에 있게 된다.
도 1의 일례의 예시에서의 전력량계 M3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그룹 G3는 전력량계가 집중기에 의해 전혀 도달될 수 없는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이 시나리오에 따라, 그룹 G3 내의 전력량계는 집중기 CB의 목록에 포함된다. 그러나, 그룹 G3 내의 전력량계의 원격 위치로 인해, 집중기 CB와 그룹 G3 내의 전력량계 간에는 신뢰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그룹 G3 내의 전력량계는 임의의 다른 집중기의 도달거리(reach) 내에 있지 않는다. 이에 따라, 그룹 G3 내의 전력량계는 집중기 CB의 목록에 "양호하지 않음(bad)"으로서 포함된다. 그룹 GB 내의 전력량계는 이 시나리오에서는 집중기 CB의 목록에 "양호(good)"로서 포함된다. 그룹 GA 내의 전력량계는 집중기 CB의 목록에 "양호하지 않음"으로서 포함된다. 전력량계 Mi는 집중기 CB와 통신할 수 있고, 집중기 CB의 목록에 "양호"로서 포함된다.
그룹 GA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나리오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불충분한 정보의 결과로 발생한다. 그룹 GB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시나리오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믿을만한 정보(sound knowledge) 조차도 전력량계와 집중기의 연계를 최적화하는데 항상 충분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대한 예이다. 그룹 G3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시나리오는 네트워크 설계에서의 결함으로부터 발생하며, 이 결함은 해소되기 전에 먼저 인지되어야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식적인 예가 제공되어 있는 전기 에너지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의 일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예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도면부호 1로 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전력선 통신부(5)와, 장치(1)를 배전망의 조사(investigation) 하에 있는 구역, 예컨대 그룹 GA 내의 전력량계에 인접해 있는 구역 B3에 일시적으로 연결하여, 그룹 GA 내의 전력량계에 인접해 있는 조사 중인 이 구역에서 어느 집중기가 통신 연계에 있는지를 찾아내기에 적합한 일부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2의 일례의 실시예에서, 이 인터페이스는 장치(1)가 조사 중인 네트워크 구역에 인접해 있는 메인 소켓에 연결될 수 있도록 메인 플러그(7)를 포함한다. 이 인터페이스는 장치를 조사 중인 구역에 일시적으로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이 인터페이스는 물론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선 통신부(5)는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한 인비테이션(invitation)을 인접해 있는 전력량계에 보내도록 작용하고, 또한 조사 중인 구역에 인접해 있는 전력량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도록 작용한다. 도면 부호 3은 처리부를 나타낸다. 처리부는 전력선 통신부(5)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부(3)는 전력선 통신부(5)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전력선 통신부(5)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는 조사 중인 네트워크 구역으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평가한다. 조사 하의 네트워크 구역으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처리부(3)는, 조사 중인 네트워크 구역이 어느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다면, 그 네트워크 구역이 그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인비테이션에 응답하는 전력량계가 각각 어느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도면 부호 4는 조사 중인 네트워크 구역 주위의 여러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를 임포트(import)하기 위한 저장부를 나타낸다. 저장부에 임포트된 정보는, 각각의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의 신원과, 각각의 전력량계가 어느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표시를 포함한다. 도 2의 특정한 예의 실시예에서, 저장부는 또한 각각의 전력량계에 대해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 표시 또는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하지 않음" 표시 중의 하나를 저장한다. 이 정보가 저장부(4)에서 이용할 수 있으면, 처리부(3)는 인비테이션에 응답하는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부는 조사 중인 네트워크 구역이 어느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양호하지 않음"으로 표시되어 있는 전력량계를 무시하기 위하여 이 정보를 이용한다.
도 2의 일례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또한 처리부(3)에 의해 수행된 평가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또한 평가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PC에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포트를 포함한다. 이 데이터 포트는 어떠한 적합한 종류의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포트는 광 포트(optical port), 무선 포트, 또는 USB 포트이다. 도면 부호 6은 인터페이스(7)를 통해 조사 중인 네트워크 구역으로부터 전력을 끌어오는 내부 전력 공급장치부를 나타낸다.

Claims (13)

  1. 전기 에너지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electricity distribution network)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1)로서,
    상기 배전망이 상기 배전망에 연결된 복수의 구역(A1, A2,…, B1, B2,…)과 하나 이상의 집중기(concentrator)(CA, CB)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집중기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배전망 구역에 연결된 전력량계(electricity meter)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집중기가, 상기 배전망에 연결되고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집중기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량계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포함하는 목록을 저장하며,
    상기 장치는,
    제1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제2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를 임포트(import)하는 저장부(4)로서, 상기 임포트된 정보가,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의 신원(identification)과, 각각의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저장부(4);
    상기 장치를 상기 배전망의 조사 중인 구역에 일시적으로 연결하는데 적합한 인터페이스;
    상기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한 인비테이션(invitation)을 보내고, 상기 배전망에 연결된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을 수신하는 전력선 통신부; 및
    상기 인비테이션에 응답하는 전력량계가 각각 어느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고려하여, 수신된 응답을 평가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응답의 평가는 각각의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응답하는 전력량계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포트된 정보는,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 표시와,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하지 않음" 표시 중의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비테이션은 "양호"로 표시된 전력량계를 선택적으로 어드레스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메시지(point to point message)인,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부는 상기 인비테이션을 "양호하지 않음"으로서 표시된 전력량계에 선택적으로 보내도록 구성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비테이션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각각의 집중기의 목록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양호"로서 표시된 응답하는 전력량계의 수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집중기 및 상기 제2 집중기 중의 어느 하나의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전력량계의 아이덴티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PC에 출력하는 데이터 포트를 더 포함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4)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를 임포트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임포트된 정보가,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해, 전력량계의 신원과, 각각의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에 대한 표시와,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양호/양호하지 않음" 표시를 포함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장치.
  11. 전기 에너지 소비의 원격 계측을 구현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전망이 상기 배전망에 연결된 복수의 구역(A1, A2,…, B1, B2,…)과 하나 이상의 집중기(CA, CB)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집중기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집중기와 통신 연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배전망 구역에 연결된 전력량계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집중기가, 상기 배전망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집중기와 통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량계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목록을 저장하며,
    상기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방법은,
    제1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제2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전력량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임포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임포트된 정보가,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의 신원과, 각각의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임포트하는 단계;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한 인비테이션(invitation)을 전력량계에 보내고, 상기 배전망에 연결된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조사 중인 구역에 걸쳐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비테이션에 응답하는 전력량계가 각각 어느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고려하여, 수신된 응답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응답의 평가는 각각의 집중기의 목록에 포함된 응답하는 전력량계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포트된 정보는, 각각의 상기 전력량계에 대하여,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 표시와, 전력량계가 그 전력량계를 목록에 포함하고 있는 집중기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호하지 않음" 표시 중의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방법.
  13.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코드가 내부에 저장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가 상기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시에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청구항 11과 청구항 12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배전망에서의 통신 연계를 검출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37011874A 2010-10-07 2010-10-07 전력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소비를 원격 계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26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65008 WO2012045357A1 (en) 2010-10-07 2010-10-07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etering the consumption of electricity over power line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307A KR20140025307A (ko) 2014-03-04
KR101726279B1 true KR101726279B1 (ko) 2017-04-12

Family

ID=4373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874A KR101726279B1 (ko) 2010-10-07 2010-10-07 전력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소비를 원격 계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2625794B1 (ko)
KR (1) KR101726279B1 (ko)
CN (1) CN103329453B (ko)
AR (1) AR083343A1 (ko)
BR (1) BR112013008381B1 (ko)
DK (1) DK2625794T3 (ko)
ES (1) ES2537851T3 (ko)
HR (1) HRP20150381T1 (ko)
ME (1) ME02108B (ko)
MX (1) MX2013003794A (ko)
PL (1) PL2625794T3 (ko)
PT (1) PT2625794E (ko)
RU (1) RU2548669C2 (ko)
SI (1) SI2625794T1 (ko)
WO (1) WO2012045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5228B1 (fr) 2013-04-30 2016-11-25 Electricite De France Interface de communication entre un equipement et un systeme de comptage de fluide
FR3069327B1 (fr) * 2017-07-19 2019-08-30 Sagemcom Energy & Telecom Sas Procede de releve d'informations d'un ensemble de compteurs electriques
KR101975176B1 (ko) 2018-04-30 2019-05-07 유효정 반려동물용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5346A1 (en) 2004-10-19 2006-04-20 Riley Glen M Automated topology discovery and management for electric meters
US20070194949A1 (en) 2005-11-23 2007-08-23 Quadlogic Control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ity metering
US20090256686A1 (en) 2003-12-16 2009-10-15 Stephen Allen Abbot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an intelligent me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3199D0 (en) 1993-06-25 1993-08-11 Remote Metering Systems Ltd Digital data transmission networks
GB9416688D0 (en) 1994-08-18 1994-10-12 Remote Metering Systems Ltd Mains signalling systems
RU2330294C2 (ru) * 2006-08-28 2008-07-27 ОО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Электронные информационные системы" СПОСОБ ОТПУСКА И УЧЕТ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В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СЕТЯХ 0,4 кВ С ЗАЩИТОЙ ОТ ХИЩЕНИ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6686A1 (en) 2003-12-16 2009-10-15 Stephen Allen Abbot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an intelligent meter
US20060085346A1 (en) 2004-10-19 2006-04-20 Riley Glen M Automated topology discovery and management for electric meters
US20070194949A1 (en) 2005-11-23 2007-08-23 Quadlogic Control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ity me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150381T1 (hr) 2015-06-05
MX2013003794A (es) 2013-06-24
RU2013120542A (ru) 2014-11-20
WO2012045357A1 (en) 2012-04-12
PT2625794E (pt) 2015-04-23
ES2537851T3 (es) 2015-06-12
AR083343A1 (es) 2013-02-21
EP2625794A1 (en) 2013-08-14
PL2625794T3 (pl) 2015-07-31
BR112013008381B1 (pt) 2021-06-29
SI2625794T1 (sl) 2015-06-30
RU2548669C2 (ru) 2015-04-20
CN103329453B (zh) 2015-01-07
EP2625794B1 (en) 2015-01-07
BR112013008381A2 (pt) 2016-06-14
CN103329453A (zh) 2013-09-25
DK2625794T3 (en) 2015-04-13
KR20140025307A (ko) 2014-03-04
ME02108B (me)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997B2 (en) Non-technical losses in a power distribution grid
AU200932249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load in a three-phase power supply
JP2011250301A (ja) 遠隔検針システム
KR101726279B1 (ko) 전력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소비를 원격 계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761856A (zh) 一种数据监测的采集器
KR100635700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과 인터넷 기능을 접목한시스템
JP2007282452A (ja) 配電線の断線検出システム
RU26051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чёт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потребляемой и рекуперированной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и параметров работы электрической 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сетей
KR101104319B1 (ko) 전력량계 배전인입 선로의 상구분 기능을 포함한 원격검침용 데이터 수집장치 및 전력량계 배전인입 선로의 상구분 방법
KR101809353B1 (ko) 무선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 원격검침 서버의 동작 방법
CN117330864A (zh) 一种分支线路线损智能测量方法及装置
CN110940873A (zh) 用户电表与变压器拓扑关系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1049260A (zh) 一种用于监测铁路客运车辆交直流信号的系统
CN112748391A (zh) 基于电力宽带载波通讯的电能表在线故障检测方法及系统
KR200476033Y1 (ko) 전력통신모뎀 전원공급 및 전자식 계량기용 분기 장치
KR20160017331A (ko) 원격 검침 장치
KR102222007B1 (ko) 다주택 세대별 배선정합 테스트 키트
KR101961406B1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JP6841593B2 (ja) 検針システム
KR20120133631A (ko) Qr 코드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 원격검침망 구성 방법
CN115021414A (zh) 一种低压配变台区的拓扑识别系统
JP2019161351A (ja) 表示装置
CN112147544A (zh) 一种无线串户排查方法及装置
BG65631B1 (bg) Система и метод за електроенергийно измерване и отчитане, засичане и оптимизация на енергийните загуби в електроразпределителни мрежи ниско напреж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