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605B1 -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605B1
KR101725605B1 KR1020140184878A KR20140184878A KR101725605B1 KR 101725605 B1 KR101725605 B1 KR 101725605B1 KR 1020140184878 A KR1020140184878 A KR 1020140184878A KR 20140184878 A KR20140184878 A KR 20140184878A KR 101725605 B1 KR101725605 B1 KR 10172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group
continuous
defec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992A (ko
Inventor
이현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6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flatness or profile of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상기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은 외부에서 제공된 강판의 표면결함정보로부터 상기 강판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 종류별 개수, 강종그룹을 추출하는 a) 단계; 상기 강종그룹에 따라 상기 표면결함의 종류별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는 b) 단계; 상기 강판에 발생한 상기 표면결함의 종류별 개수와 상기 종류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한 후, 비교결과값에 따라 상기 강판의 연속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 및 상기 강판이 연속결함으로 판정될 경우, 연속결함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Method for detecting continuous defects using surface defect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압연 공정에서 강판의 표면검사 시 표면결함 검출기(SDD)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검사를 실시한다.
표면결함 검출기의 경우 검사원이 육안으로 검출할 수 없는 미세한 결함까지도 검출해낼 수 있고, 고속으로 진행하는 강판에 대해서도 결함 검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압연 공정에 많이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 표면결함 검출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강판 내 표면 결함 정보를 분석하여 표면품질을 자동판정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 중이다.
표면결함 검출기가 처리하는 과정은 크게 검출단계와 분류단계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검출 (Detection) 단계는 고속으로 진행하는 강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결함을 검출하여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두번째 분류 (Classifying) 단계는 결함 영상에 대해서 각종 영상 처리를 통해 특징값을 추출하고, 기존에 입력된 결함 종류별 특징값에 따라 결함을 분류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분류된 결함은 결함의 종류, 위치, 등급 등의 정보와 함께 자동판정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현재 강판에 대한 품질 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압연 공정에서는 강판이 고속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Roll 표면 이상 등으로 여러 강판에 연속해서 표면결함이 발생할 경우 대량의 품질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어 큰 손실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결함을 연속결함 (Continuous Defect)이라 정의하며, 연속결함은 다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반복해서 발생하는 주기성 (Periodic) 연속결함과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비주기성 (Aperiodic) 연속결함으로 분류된다.
주기성 연속결함은 대표적인 예로 Roll 표면의 이물질 혼입 등으로 발생하는 Roll Mark가 있으며, 고속으로 Roll이 회전함에 따라 많은 수의 강판의 표면에 주기적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므로 대량의 품질 결함으로 나타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표면결함 검출기에서 검출하도록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다양한 발생 조건으로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비주기성 연속결함은 특정한 주기가 없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거나 강판의 형상에 따라 영향을 받아 연속해서 대량으로 발생한다. 특정한 규칙이 없으므로 표면결함 검출기에서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비주기적 연속결함 발생시 검출 불가로 대량의 품질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속결함 발생 사례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강판의 재료번호 ABC1006까지는 Dirt 결함이 5개 미만으로 발생하다가, ABC1007 강판부터 급격히 대량의 결함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많은 수의 강판에 장 시간동안 대량의 Dirt 결함이 발생된다. 이러한 Dirt 결함을 검사자가 발견하지 못하고 출하될 경우, 품질 불량으로 인하여 매출액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8723호 (발명의 명칭: 스트립표면 결함부의 검출 및 평점산출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표면결함 검출기(SDD)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한 강판의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하여 강판의 연속결함을 조기에 검출하고 이 정보를 검사자에 제공하여 대량의 품질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은 연속공정으로 생산된 복수 개의 강판들 각각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 종류별 개수, 강종그룹, 재료번호, 일련번호순으로 추출하는 a) 단계; 상기 강종그룹에 따라 상기 표면결함의 종류별 허용 기준치 또는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는 b) 단계; 표면결함의 종류별 개수와 상기 종류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 하거나 또는 강종그룹별 개수와 강종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강판의 연속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 및 상기 강판이 연속결함으로 판정될 경우, 연속결함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 이후, 기 설정된 개수로 연속된 이전 강판들의 강종그룹과 상기 현재 강판의 강종그룹의 동일성 연속여부를 판별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강종그룹 동일성 연속여부 판단단계 이후, 이전 강판들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별 또는 강종 그룹별 평균개수를 산출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종류별 허용기준치는, (이전 강판들의 결함 종류별 평균 개수)*(결함 종류별 허용 증가율(%))/100이다.
상기 강종 그룹별 평균개수 허용기준치는 (이전 강판들의 결함 강종그룹별 평균 개수)*(결함 강종 그룹별 허용증가율(%))/100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에 의하면 표면결함 검출기에서 검출한 결함 정보들의 추이 분석 및 결함 발생 개수 분석을 통해 연속결함 발생의 조기 검출이 가능하므로 대량의 품질 불량 발생을 차단하고,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검사자의 품질 판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불량제품의 출하를 방지하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속결함 발생 사례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적용되는 표면결함의 종류별 허용개수 및 그룹별 허용개수의 기준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 및 제 4 실시 예에 적용되는 강판의 연속성 판단 기준, 표면결함의 종류별 개수 및 평균 개수 계산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 및 제4 실시 예에 적용되는 표면결함 종류별, 그룹별 허용 증가율 기준 조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를 통해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S100)는 a) 단계(S110) 내지 d)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S110)는 연속공정으로 생산된 복수 개의 강판들 각각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 종류별 개수, 강종그룹, 재료번호, 일련번호순으로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S120)는 상기 강종그룹에 따라 상기 표면결함의 종류별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표면결함의 종류별 허용 기준치는 작업자에 따라 임의의 값으로 설정된다(도 4 참조).
상기 c) 단계(S130)는 상기 강판에 발생한 상기 표면결함의 종류별 개수와 상기 종류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강판의 연속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S140)는 상기 강판이 연속결함으로 판정될 경우, 연속결함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속결함 검출방법(S200)은 a) 단계(S210) 내지 d) 단계(S240)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S210)는 외부에서 제공된 강판의 표면결함정보로부터 상기 강판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 종류별 개수, 강종그룹을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S220)는 상기 강종그룹에 따라 상기 표면결함의 결함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표면결함의 결함 그룹별 허용 기준치는 작업자에 따라 임의의 값으로 설정된다(도 4 참조).
상기 c) 단계(S230)는 상기 강판에 발생한 상기 표면결함의 결함 그룹별 개수와 상기 결함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강판의 연속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S240)는 상기 강판이 연속결함으로 판정될 경우, 연속결함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은 강판의 표면결함정보들의 추이 분석 및 결함 발생 개수 분석을 통해 연속결함 발생의 조기 검출이 가능하므로 대량의 품질 불량 발생을 차단하고,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검사자의 품질 판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불량제품의 출하를 방지하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S300)은 a) 단계(S310) 내지 d) 단계(S360)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S310)는 연속공정으로 생산된 복수 개의 강판들 각각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 종류별 개수, 강종그룹, 재료번호, 일련번호순으로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S340)는 상기 강종그룹에 따라 상기 표면결함의 종류별 허용 기준치 또는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S350)는 표면결함의 종류별 개수와 상기 종류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 하거나 또는 강종그룹별 개수와 강종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강판의 연속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S360)는 상기 강판이 연속결함으로 판정될 경우, 연속결함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S300)은 상기 a) 단계 이후, 기 설정된 개수로 연속된 이전 강판들의 강종그룹과 상기 현재 강판의 강종그룹의 동일성 연속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320) 및 상기 이전 강판들의 강종그룹과 상기 현재 강판의 강종그룹이 연속될 경우, 상기 이전 강판들에서 발생된 표면결함의 종류별 평균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S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20은 기 설정된 개수로 연속된 이전 강판들의 강종그룹과 상기 현재 강판의 강종그룹의 연속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S320은 도 7을 참조, 기 설정된 강판의 단위 개수와 비교하여 연속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강판의 단위 개수가 3개로 설정되면, 재료번호 ABC1000부터 ABC1001까지는 연속으로 판정되나, 재료번호 ABC1002부터 강종그룹이 변경되므로 연속 여부의 조건에 불일치하게 된다.
이후, 재료번호 ABC1004부터는 상기 강판의 강종그룹이 이전 3개의 강판의 강종그룹과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연속으로 판정한다.
한편, 상기 b) 단계(S340)는 상기 표면결함의 종류별 허용기준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아래의 식 1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식 1]
종류별 허용기준치 = (이전 강판들의 결함 종류별 평균 개수)*(결함 종류별 허용 증가율(%))/100
예를 들어, 도 7의 재료번호 ABC1005 강판의 경우, A1 (Hole 결함)의 이전 강판들(3개)의 평균 개수는 12개이다. 이 평균 개수에 도 8의 A1 (Hole 결함)의 "결함 종류별 허용 증가율(%)"인 400%를 곱하고 100을 나눠주면 기준치는 48개로 구해진다(연속결함 판정 기준치 = 12개 *400(%)를 곱하고 100을 나눠주면 기준치는 48개로 구해진다(연속결함 판정 기준치 = 12개 x 400 (%) / 100 = 48개).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강판에서 발생하는 결함 종류별로 연속결함 판정 기준치를 계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을 이용하며, 이전 강판들에서는 결함 개수가 평균을 상회하며 발생하다가, 현재 강판에서 여려가지 요인들에 의해 특정 결함의 개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과 같은 대량의 연속결함을 한번에 감지하여 대량의 품질 결함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S400)는 a) 단계(S410) 내지 d) 단계(S460)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S410)는 연속공정으로 생산된 복수 개의 강판들 각각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 종류별 개수, 강종그룹, 재료번호, 일련번호순으로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S440)는 상기 강종그룹에 따라 상기 표면결함의 결함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S450)는 표면결함의 결함 강종그룹별 개수와 결함 강종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강판의 연속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S460)는 상기 강판이 연속결함으로 판정될 경우, 연속결함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S400)은 상기 a) 단계 이후, 기 설정된 개수로 연속된 이전 강판들의 강종그룹과 상기 현재 강판의 강종그룹의 동일성 연속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420) 및 상기 이전 강판들의 강종그룹과 상기 현재 강판의 강종그룹이 연속될 경우, 상기 이전 강판들에서 발생된 표면결함의 결함 그룹별 평균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S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420은, 도 7을 참조, 기 설정된 강판의 단위 개수와 비교하여 연속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강판의 단위 개수가 3개로 설정되면, 재료번호 ABC1000부터 ABC1001까지는 연속으로 판정되나, 재료번호 ABC1002부터 강종그룹이 변경되므로 연속 여부의 조건에 불일치하게 된다.
이후, 재료번호 ABC1004부터는 상기 강판의 강종그룹이 이전 3개의 강판의 강종그룹과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연속으로 판정한다.
상기 S430는 상기 이전 강판들의 강종그룹과 상기 현재 강판의 강종그룹이 연속될 경우, 상기 이전 강판들에서 발생된 표면결함의 결함 그룹별 평균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결함 그룹별 개수는 A1 결함의 개수 + B1 결함의 개수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S440)는 상기 표면결함의 그룹별 허용기준치를 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면결함의 그룹별 허용기준치는 아래의 식 2를 이용하여 산정된다.
[식 2]
(이전 강판들의 결함 그룹별 평균 개수)*(표면결함 허용증가율(%))/100
예를 들어, 도 7의 재료번호 ABC1005 강판의 경우, A1 (Hole 결함)과 B1 (Crack 결함)의 이전 강판들(3개)의 평균 개수 = (36+38+40) / 3 = 114개이다. 이 평균 개수에 도 4에서 A1 (Hole 결함)과 B1 (Crack 결함)이 속해있는 그룹의 "결함 그룹별 허용 증가율(%)"인 400%를 곱하고 100을 나눠주면 기준치는 152개로 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은 연속결함이 1~2개의 특정 결함으로 나타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의 그룹 결함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검출하지 못하는 연속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서 제시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의 제1 실시 예
S200: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의 제2 실시 예
S300: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의 제3 실시 예
S400: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의 제4 실시 예

Claims (6)

  1. 연속공정으로 생산된 복수 개의 강판들 각각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 종류별 개수, 강종그룹, 재료번호, 일련번호순으로 추출하는 a) 단계;
    상기 강종그룹에 따라 상기 표면결함의 종류별 허용 기준치 또는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는 b) 단계;
    표면결함의 종류별 개수와 상기 종류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 하거나 또는 강종그룹별 개수와 강종 그룹별 허용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강판의 연속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 및
    상기 강판이 연속결함으로 판정될 경우, 연속결함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기 설정된 개수로 연속된 이전 강판들의 강종그룹과 현재 강판의 강종그룹의 동일성 연속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종그룹 동일성 연속여부 판단단계 이후, 이전 강판들에서 발생한 표면결함의 종류별 또는 강종 그룹별 평균개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별 허용기준치는,
    (이전 강판들의 결함 종류별 평균 개수)*(결함 종류별 허용 증가율(%))/100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종 그룹별 평균개수 허용기준치는,
    (이전 강판들의 결함 강종그룹별 평균 개수)*(결함 강종 그룹별 허용증가율(%))/100인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6.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184878A 2014-12-19 2014-12-19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 KR10172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78A KR101725605B1 (ko) 2014-12-19 2014-12-19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78A KR101725605B1 (ko) 2014-12-19 2014-12-19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92A KR20160075992A (ko) 2016-06-30
KR101725605B1 true KR101725605B1 (ko) 2017-04-11

Family

ID=5635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878A KR101725605B1 (ko) 2014-12-19 2014-12-19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1217B2 (en) 2020-12-29 2024-04-16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image data for surface defect detection scan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9447B2 (ja) * 2018-01-18 2020-10-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の疵検査装置及び疵検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0926A (ja) 2012-07-18 2014-02-03 Jfe Steel Corp 表面欠陥検査装置及び表面欠陥検査方法
JP2014199244A (ja) * 2013-03-15 2014-10-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システム及び画像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23B1 (ko) 2001-12-05 2008-06-1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표면 결함부의 검출 및 평점산출장치
KR20030049331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강판의 표면 결함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070113032A (ko) * 2006-05-24 2007-11-28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결함정보를 이용한 강판 표면품질등급 판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0926A (ja) 2012-07-18 2014-02-03 Jfe Steel Corp 表面欠陥検査装置及び表面欠陥検査方法
JP2014199244A (ja) * 2013-03-15 2014-10-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システム及び画像検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1217B2 (en) 2020-12-29 2024-04-16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image data for surface defect detection sca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92A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6653B2 (en) Detection of defects embedded in noise for inspection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N109946303A (zh) 检查装置和方法
JP2009009299A (ja) 異常要因特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上記異常要因特定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上記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10124090A (ko) 편광 필름 원반의 품질 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3032A (ko) 표면결함정보를 이용한 강판 표면품질등급 판정방법
JP5206697B2 (ja) 連続欠陥判定方法、連続欠陥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516085B (zh) 一种基于文档图像自动去除黑边的方法
KR101725605B1 (ko) 표면결함 정보를 이용한 강판의 연속결함 검출방법 및 기록매체
KR20230039873A (ko) 이상 감지 방법
WO2019159853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10248888B2 (en) Classifying method, storage medium,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JP2005032925A (ja) 製造装置の異常検出システム、製造装置の異常検出方法及び製造装置の異常検出プログラム
CN104568956A (zh) 基于机器视觉的带钢表面缺陷的检测方法
JP6244260B2 (ja) 欠陥分析装置及び欠陥分析方法
JP2011258113A (ja) 金属帯材料の製造条件決定システム
US20170291343A1 (en) Molding system
CN115100188A (zh) 一种层次化缺陷分析的钢板表面质量自动分级与判定方法
CN113469293B (zh) 面板阵列短路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37562B1 (ko) 강판의 표면 품질 판정 방법
US9959482B2 (en) Classifying method, storage medium,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KR101929669B1 (ko)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472772B (zh) 图像污点检测方法、装置和设备
KR100838723B1 (ko) 스트립표면 결함부의 검출 및 평점산출장치
CN109767430B (zh) 有价票据的质量检测方法及质量检测系统
JP2007329329A (ja) 不良要因抽出装置、不良要因抽出方法、不良要因抽出用プログラム、および不良要因抽出用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