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891B1 - Skateboard with handle - Google Patents

Skateboard with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891B1
KR101724891B1 KR1020150117016A KR20150117016A KR101724891B1 KR 101724891 B1 KR101724891 B1 KR 101724891B1 KR 1020150117016 A KR1020150117016 A KR 1020150117016A KR 20150117016 A KR20150117016 A KR 20150117016A KR 101724891 B1 KR101724891 B1 KR 10172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eck
fixing
handl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2254A (en
Inventor
장병택
Original Assignee
장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택 filed Critical 장병택
Priority to KR102015011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891B1/en
Publication of KR2017002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63C17/012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with a truck, i.e. with steering mechanism comprising an inclined geometrical axis to convert lateral tilting of the board in steering of the wheel axi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핸들스틱을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을 얹는 데크, 지면에서 주행 가능한 휠을 축받이 하며 동시에 조향작용을 담당하는 트럭 및 사용자가 파지하여 몸을 의지하거나 좌우로 기울임을 주어 조향작용을 돕는 핸들스틱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핸들스틱을 자유롭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탈착유닛을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ateboard having a detachable handle stick, and more particularly,
A deck that mounts the user's foot, a bearing truck that is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 truck that performs a steering operation, and a handle stick that grasps the user and tilts the body or tilts to the left and right, To a skateboard having a detachable unit so as to be freely detachable.

Description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SKATEBOARD WITH HANDLE}Handle stick removable skateboard {SKATEBOARD WITH HANDLE}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케이트보드는 사용자의 발을 얹도록 구비되는 평판의 데크와, 상기 데크의 저면 앞뒤로 구비되는 한 쌍의 주행 바퀴 즉, 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ateboard, wherein the skateboard comprises a flat deck mounted on a foot of a user, and a pair of traveling wheels, i.e., wheels, provid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deck.

사용자는 한 쪽 발을 상기 스케이트보드의 데크 위에 탑승시키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진행하거나, 내리막 길에서 양 발을 상기 보드에 모두 탑승 시킨 후 주행을 즐기게 된다.The user can ride one foot on the deck of the skateboard and the other foot while rolling the ground, or ride both feet on the board on the downhill road and enjoy driving.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스케이트보드에 탈부착이 가능한 손잡이 즉, 핸들스틱(handle stick)을 제공하여 상기 핸들스틱을 파지한 채로 초심자도 안정되게 라이딩을 즐길 수 있도록 하거나, 킥보드(킥스쿠터)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의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le capable of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skateboard, that is, a handle stick, so that a beginner can enjoy stable riding while holding the handle stick, or as a substitute for a kickboard (kick scooter) To a skateboard of means usable.

상기 핸들스틱과 관련하는 조향작용에 있어서는 상기 핸들스틱을 좌우로 기울이면 상기 스케이트보드의 데크가 좌우로 기울여지면서 그 저면의 트럭에 방향전환을 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steering operation related to the handle stick, when the handle stick is tilted to the left and right, the deck of the skateboard is tilted to the left and right so as to change direction to the truck on the bottom.

본 발명과 관련하는 종래기술로는 도 1의 예시와 같은 스케이트보드가 제공되어 있는바,In the relate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skateboar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 is provided,

사용자의 발을 얹는 데크(10); 주행용 휠과 상기 휠을 축받이 하며 상기 데크의 기울임을 따라 조향작용을 하는 트럭(20); 기립된 상태로 상기 데크의 전방 상면에 그 저면을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핸들스틱(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 deck 10 for placing the user's feet; A truck (20) bearing a running wheel and the wheel, and steering acting along the tilt of the deck; And a handle stick (30) provided so as to fix the bottom surface thereof to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deck in an upright state.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33897호(2001.05.31)가 제공되어 있는 바,In addition, 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33897 (May 31, 2001) is provided,

손잡이는 지지대1의 상부에 고정 조립되며; 지지대1은 지지대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돌리기 쉬운 손잡이가 있는 볼트1로 너트기능을 가지는 구멍을 통해 조립되며; 지지대2는 결합체1의 지지대 고정돌기사이에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1 와샤로 조립되며; 결합체1과 결합체2의 아랫면 내측에 스케이트보드발판을 두고 결합체1과 결합체2를 결합체 고정돌기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체 연결구멍을 통해 돌리기 쉬운 손잡이가 있는 볼트2와 너트2로 조여 스케이트보드발판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전용 손잡이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handle is fixedly assemb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1; The support 1 is assembled through a hole with a nut function into a bolt 1 which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2 and has a handle that is easy to turn; The support 2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assembly 1 and assembled with the bolt and nut 1 washers; A skateboard footboard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joint body 1 and the joint body 2 and the joint body 1 and the joint body 2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kateboard scaffold by tightening the bolts 2 and the nut 2 which are easy to turn through the joint body connection holes formed in the joint body fixing projections Can; To a skateboard exclusive handle set capable of being detached and attached.

도 1 또는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예시와 같이 제공되는 스케이트보드는 핸들스틱을 탈부착함에 있어서, 데크의 상면에 바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핸들스틱은 상기 트럭과는 직접 고정되지 않고 상기 데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좌우로 데크를 심하게 기울여 급속 턴을 시도하거나 장기간 사용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이나 휨 현상으로 상기 핸들스틱의 좌우 기울임 조향 작용이 충분히 상기 트럭에 전달되지 않을 수가 있다.The skateboard provided as shown in Fig. 1 or an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is adapted to be direct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when the handle stick is detached. In this case, the handle stick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deck without being directly fixed to the truck. Therefore, when the deck is severely tilted to the left or right to attempt a quick turn, The tilting steering action of the handle stick may not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truck.

또한, 종래에는 상기 트럭 구조에 직접 핸들스틱의 저부를 고정시키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유격없이 완전하게 고정시키기에 용이하지 않거나, 고정구조가 너무 번잡하여 실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왔다.In addition, although a method of fix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handle stick directly to the truck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the past, it is not easy to completely fix the handle stick without clearance, or the fixing structure is too complicated and practicality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어떠한 경우라도 사용자의 핸들스틱을 좌우로 기울이는 조향작용이 직접적으로 트럭에 유격없이 작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데크의 기울임 및 트럭의 조향이 유효한 스케이트보드의 핸들스틱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teering stick means of a skateboard in which the steering action of tilting the handle stick of the user left and right without any play directly acts on the truck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deck and the steering of the truck are effectiv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전술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handle stick detachable skate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상면에 사용자의 발을 얹도록, 수평으로 놓이는 장방형 판 형태의 데크와,A rectangular plate-shaped deck which is placed horizontally so as to place a user's foo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지면에서 구름운동하는 휠 한 쌍; 상기 휠을 각각 좌우로 병렬로 배치하여 축받이하는 휠샤프트; 상기 휠샤프트를 조향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경사진 형태의 조향뭉치가 형성되어 상기 데크의 저면에 고정되는 트럭고정뭉치;로 구성되어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 전후방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트럭과,A pair of wheels moving from the ground to the clouds; A wheel shaf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eft and right wheels; A truck fixed to the underside of the deck and having an inclined shape for fixing the wheel shaft so as to be able to steer the truck,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 상단에 상기 핸들을 고정하여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는 스틱;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틱의 저부가 상기 데크의 전방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스틱을 포함하되,A handle that the user grasps by hand; And a handle for holding the handle in an upright position and supporting the handle in an upright position, the handle stick being detachably fixed to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deck,

상기 핸들스틱의 탈부착은 탈착유닛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착유닛은,Wherein the handle stick is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andle stick through the detachment unit,

상기 데크의 전방에 수직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고정공과,A fixing hole form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deck,

상기 고정공과 동일 수직선상에서 동일한 직경으로, 상기 트럭고정뭉치의 중심 상단으로부터 하향하는 원통형의 홈이 패이고, 상기 원통형 홈의 좌우측 아래의 외부는 상기 조향뭉치의 좌우측에 호 형태의 쉘로 형성되는 고정어셉터와,Wherein a cylindrical groove which is the same diameter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fixed hole and downward from the center top of the truck fixing bundle is formed in a groove and the outer side of the cylindrical groove is formed by a shell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ering bundle, The receptors,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되 외주변이 상기 고정어셉터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는 고정브라킷과,A fixed bracket which has a cylindrical shape whos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and whose outer periphery corresponds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xed receptor,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되 외주변이 상기 고정브라킷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는 끼움소켓과,A fitting socket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having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y of the fixing bracket,

상기 핸들스틱의 저부로부터 아래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외주변이 상기 끼움소켓의 내주변에 대응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fitting protrusion protrude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handle stick and having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y of the fitting socket.

더하여,add,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되, 외주변이 상기 고정브라킷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는 캡이 구비되어,A cap having an upper end closed and a lower end opened and having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y of the fixed bracket,

상기 탈착유닛으로부터 상기 끼움소켓을 분리시킨 후에 상기 캡으로 상기 고정공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And to close the fixing hole with the cap after detaching the fitting socket from the detachment unit.

본 발명의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handlebar detachable skate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핸들스틱이 트럭에 직접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핸들스틱을 좌우로 기울이는 조향작용이 유격없이 직접적으로 트럭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의도대로 정확한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steering wheel sticks directly to the truck, the steering action of tilting the steering wheel of the user to the right and lef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truck without any clearance, and accurate steering can be achiev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또, 상기 핸들스틱을 탈부착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어서, 제작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In addition, in providing the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handle stick,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oper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사용 및 보관에 있어서도, 핸들스틱의 탈부착을 보다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handle stick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even in use and storage.

도 1은 종래기술을 예시한 것으로서, 도 1 A는 핸들스틱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의 측면도; 도 1 B는 종래에 통용되고 있는 트럭의 예시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사시도로서, 도 2 A는 핸들스틱을 제거하고 캡을 장착한 상태의 예시도; 도 2 B는 핸들스틱을 부착한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분해사시도.
도 4는 가운데에 고정어셉터가 함몰 형성된 트럭고정뭉치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고정브라킷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6은 끼움소켓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캡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8는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조립된 측면도 및 상기 조립된 측면도의 B-B선을 따라 보인 정단면도.
FIG. 1 is a side view of a skateboard having a handle stick; FIG.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ruck in different directions; FIG.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ig. 2A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handle stick is removed and a cap is attached; Fig. Fig. 2B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handle stick is attach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ck fixing bundle in which a fixed susceptor is embedded in the center in a different direc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brackets in different directions.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tting socket in different directions; Fi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p shown in different directions;
Fig. 8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ed state, and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line of the assembled side view and the assembled side view.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의 예시와 함께 본 발명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kateboard structure of a handle stick attachable and detachabl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n exampl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B 및 도 3의 예시에서, 상기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는,In the example of FIG. 2B and FIG. 3, the handle stick detachable skateboard is a so-

먼저, 상면에 사용자의 발을 얹도록, 수평으로 놓이는 장방형 판 형태의 데크(100)가 구비되고, 상기 데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트럭(200)이 구비되는데 상기 트럭(200)은,First, a truck 200 having a rectangular plate-shaped deck 100 to be placed horizontally so as to place a user's foot on an upper surface of the deck 100 is fixed to front and rear bottom surfac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100, The truck 200,

지면에서 구름운동하는 휠(210) 한 쌍이 좌우로 병렬로 배치되어 휠샤프트(220)에 의해 각각 축받이를 받고, 상기 휠샤프트(220)는 조향뭉치(231) 저면의 경사면에 캐스터(caster) 방법으로 장착되어 스케이트보드 또는 데크(100)의 기울임을 따라 방향전환하는 조향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조향뭉치(231)는 트럭고정뭉치(230)의 저면에 아래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트럭고정뭉치(230)는 장방형상의 판 형태를 취한다. A pair of wheels 210 rolling on the ground surface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receive bearings by a wheel shaft 220. The wheel shaft 220 is supported by a caster on a slo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ering wheel 231 So that the steering wheel 231 can be steered along the tilt of the skateboard or deck 100. The steering wheel 231 is projected downward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ck fixing bolt 230, (230) takes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보통은 상기 데크(100)와 상기 트럭(200)의 트럭고정뭉치(230)에 서로 대응하는 나사홈(n1)을 형성하여 나사 또는 볼트로 체결하여 단단히 고정한다.Normally, screw grooves n1 corresponding to the deck 100 and the truck fixing bundle 230 of the truck 200 are formed and fastened with screws or bolts to be firmly fixed.

또한, 사용자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의지하거나 스케이트보드 또는 데크(100)를 좌우로 기울일 수 있는 핸들스틱(300)이 구비되는데 상기 핸들스틱(300)은,The handle stick 300 is provided with a handle stick 300 on which the user can rely on the balance or tilt the skateboard or deck 100 to the left or right.

상기 데크(100)의 전방 상면에 세워지게 기립된 상태로 배치되어 저단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틱(320)과, 상기 스틱(320)의 상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핸들(310)을 포함한다.A stick 320 which is disposed in a state of standing upright on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deck 100 so as to be detachable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handle 320 which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tick 320, 310).

여기에서, 상기 스틱(320)은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들(310)이 도면의 예시처럼 타원형으로 구비되면 키가 큰 사용자는 상기 타원형의 상단을 파지하고, 반대의 경우는 상기 타원형의 하단을 파지하여 스틱(320)의 길이조절을 실시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장점이 있다.If the handle 310 is provided in an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 user with a large height grasps the top of the elliptical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ick 320 by gripping the lower end of the ellipse.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상기 핸들스틱(300)의 탈부착상의 견고함과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탈착유닛(400)을 더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achable unit 400 is further provided to provide firmness and convenienc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andle stick 300.

상기 탈착유닛(400)은, 고정공(410); 고정어셉터(420); 끼움돌기(430); 끼움소켓(440); 및 고정브라킷(450);을 포함하는 바,The detachable unit 400 includes a fixing hole 410; A fixed acceptor 420; A fitting protrusion 430; Fit socket (440); And a fixing bracket 450,

상기 고정공(410)은 도 2 및 도 3의 예시에서, 상기 데크(100)의 전방에 수직으로 구멍을 뚫어 형성한다.In the example of FIGS. 2 and 3, the fixing hole 410 is formed by vertically bored in front of the deck 100.

상기 고정어셉터(420)는 도 3, 도 4 및 도 8의 예시에서, 상기 트럭고정뭉치(230)의 중심 상단으로부터 하향하는 원통형의 홈이 패여 형성되되, 상기 고정공(410)과 동일한 직경의 원주를 가지고 상기 고정공(410)의 수직선상 아래에 놓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홈의 하단 좌우측은 상기 조향뭉치(231)의 좌우측에 각각 호 형태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쉘(shell)로 제공된다.3, 4, and 8, the stationary susceptor 420 is formed by cutting a cylindrical groove downwar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truck fixing bundle 230, and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fixing hole 410 And is positioned below the vertical line of the fixing hole 410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fixing hole 410.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ylindrical groove are provided as shells protruding in the form of arc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teering wheel bundle 231, respectively.

상기 고정브라킷(450)은 도 3, 도 5 및 도 8의 예시에서, 원통형의 드럼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하로 개구된 형태를 취하되, 그 외주변이 상기 고정어셉터(420)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여, 상기 고정브라킷(450)을 상기 고정어셉터(420)에 수직으로 삽입,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3, 5, and 8, the fixing bracket 450 has a cylindrical drum vertically penetrating and vertically opened,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stationary receptacle 420 So that the fixing bracket 450 can b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ixed receptacle 420 and can be fixedly attached thereto.

이때, 상기 고정어셉터(420)의 쉘 형태 저면 및 상기 고정브라킷(450)의 외주변 저면에는 나사 또는 볼트 체결할 나사홈(n2)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체결하면, 상기 고정어셉터(420)로부터 상기 고정브라킷(450)이 빠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threaded hole (n2) to be screwed or bolted is formed corresponding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ll-shaped bottom surface of the fixed acceptor 4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bracket 450, So that the fixing bracket 450 can be fixed without being pulled out.

도 3, 도 6 및 도 8의 예시에서, 상기 끼움소켓(440)도 마찬가지로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되 그 외주변이 상기 고정브라킷(450)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고정브라킷(450)에 상기 끼움소켓(440)을 삽입하여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example of FIGS. 3, 6 and 8, the fitting socket 440 is also provided so as to have a cylindrical shape opening upward and downward, with its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xed bracket 450 And the fitting socket 44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450 so that the fitting socket 440 can be closely contacted and fixed.

상기 끼움돌기(430)는 도 2 B, 도 3 및 도 8의 예시에서, 상기 핸들스틱(300)의 저부로부터 아래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그 외주변이 상기 끼움소켓(440)의 내주변에 대응하도록 되어서, 상기 끼움돌기(430)를 상기 끼움소켓(440)에 삽입하여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The fitting protrusion 43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handle stick 300 in the example of FIGS. 2B, 3 and 8,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tting protrusion 430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tting socket 440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430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socket 440 and fixedly attached thereto.

이때, 상기 끼움돌기(430) 및 상기 끼움소켓(440)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수평으로 관통시킨 나사홈(n3)을 형성하여서 나사/볼트 체결로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끼움돌기(430)와 상기 끼움소켓(440)이 결합된 일체의 상태로 제공될 수 있어서 보관 및 사용상 편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430 and the fitting socket 440 are formed with screw grooves n3 horizontally penetrating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as to be firmly fixed by screws / bolts, and the fitting protrusions 430, Can be provided in an integrated state in which the fitting socket 440 is combin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 to store and use.

그리고 도 6의 예시처럼, 상기 끼움소켓(440)은 상기 데크(100)보다 위로 돌출하는 높이를 가지는 끼움돌기인입구(441)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돌기(430)를 삽입시에 보다 용이하고 깊게 수용하여 잘 밀착할 수 있도록 하여서,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유격이 없이 지탱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6, the fitting socket 440 may have a fitting protrusion inlet 441 having a height that protrudes above the deck 100, and the fitting protrusion 430 may be extended when the fitting protrusion 430 is inserted It can be easily and deeply accommodated so that it can be closely adhered to, so that even if a strong force acts, it can help to sustain without play.

한편, 도 2 A 및 도 7의 예시에서, 상단이 폐쇄(441cap)되고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되, 외주변이 상기 고정브라킷(450)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는 캡(440cap)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탈착유닛(400)으로부터 상기 끼움소켓(440)과 함께 핸들스틱(300)을 분리시킨 후에 상기 캡(440cap)을 활용하여 상기 고정공(410)을 폐쇄할 수 있다.2A and FIG. 7, a cap 440cap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end closed and a lower end opened and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y of the fixed bracket 450, And the fixing hole 410 may be closed using the cap 440cap after the handle stick 300 is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unit 400 together with the fitting socket 440. [

즉, 핸들스틱(300)이 없는 상태의 순수한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캡(440cap)을 상기 끼움소켓(440)을 소거한 고정공 및 고정브라킷(450)에 삽입하여 끼우는 방법으로 상기 고정공(410)을 가려서 안전 및 미관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kateboard is to be used as a pure skateboard without the handle stick 300, the cap 440cap is inserted into the fixed hole and the fixed bracket 450 of the fitting socket 440, It is possible to cover the fixing hole 410 to secure safety and aesthetics.

도 8은 탈착유닛(400)이 결합된 상태의 B-B 절단면을 예시하여 보인 것이다. 단, 데크(100)에 천공된 고정공(410)의 도시는 생략하였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the state where the desorption unit 400 is coupled. However, the illustration of the fixing hole 410 perforated in the deck 100 is omitted.

이상에 있어서, 상기 고정어셉터(420); 상기 고정브라킷(450); 상기 끼움소켓(440); 및 상기 캡(440cap);의 측면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동시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탈부착 체결공(nn)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소켓(440) 또는 상기 캡(440cap)이 상기 고정브라킷(450)에 삽입되어 끼워진 후 빠지지 않도록 체결 나사/볼트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체결을 위한 상기 나사/볼트는 널리 통용되고 있는 수단이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xed acceptor 420; The fixing bracket 450; The fitting socket 440; And a detachable fastening hole nn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p 440cap so as to penetrate horizontally while being assembled. The fitting socket 440 or the cap 440cap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450 with a fastening screw / bolt to prevent the fitting socket 440 or the cap 440cap from being insert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450.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crew / bolt for fastening is widely used, the illustration is omitted.

덧붙여, 이상에서 살펴본 도 4 예시의 본 발명의 트럭(200) 구조는 도 1 B에 예시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종래의 트럭(20) 구조에 대비하여 매우 상이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of the truck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4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truck 20 structure shown in FIG. 1B.

100 : 데크
200 : 트럭 210 : 휠 220 : 휠샤프트 230 : 트럭고정뭉치
300 : 핸들스틱 310 : 핸들 320 : 스틱
400 : 탈착유닛 410 : 고정공 420 : 고정어셉터 430 : 끼움돌기
440 : 끼움소켓 440cap : 캡 450 : 고정브라킷
100: Deck
200: Truck 210: Wheel 220: Wheel shaft 230: Truck fixing bundle
300: handle stick 310: handle 320: stick
400: Desorption unit 410: Fixing hole 420: Fixed receptor 430:
440: Fitting socket 440cap: Cap 450: Fixing bracket

Claims (2)

상면에 사용자의 발을 얹도록, 수평으로 놓이는 장방형 판 형태의 데크와,
지면에서 구름운동하는 휠 한 쌍; 상기 휠을 각각 좌우로 병렬로 배치하여 축받이하는 휠샤프트; 상기 휠샤프트를 조향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경사진 형태의 조향뭉치가 형성되어 상기 데크의 저면에 고정되는 트럭고정뭉치;로 구성되어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 전후방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트럭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 상단에 상기 핸들을 고정하여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는 스틱;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틱의 저부가 상기 데크의 전방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스틱을 포함하는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스틱의 탈부착은 탈착유닛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데크의 전방에 수직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과 동일 수직선상에서 동일한 직경으로, 상기 트럭고정뭉치의 중심 상단으로부터 하향하는 원통형의 홈이 패이고, 상기 원통형 홈의 좌우측 아래의 외부는 상기 조향뭉치의 좌우측에 호 형태의 쉘로 형성되는 고정어셉터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되 외주변이 상기 고정어셉터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는 고정브라킷과,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되 외주변이 상기 고정브라킷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는 끼움소켓과,
상기 핸들스틱의 저부로부터 아래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외주변이 상기 끼움소켓의 내주변에 대응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어셉터의 쉘 형태 저면 및 상기 고정브라킷의 외주변 저면에는 나사홈(n2)이 대응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브라킷이 상기 고정어셉터에 삽입된 후 빠지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끼움돌기 및 상기 끼움소켓에는 대응되게 수평으로 관통된 나사홈(n3)이 형성되어서,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소켓에 삽입된 후 고정되되,
상기 끼움소켓에는 상기 데크보다 위로 돌출하는 높이를 가지는 끼움돌기인입구(441)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를 삽입 고정시에 보다 깊게 수용하고 잘 밀착 하여서 강한 힘에도 유격 없이 지탱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끼움소켓이 상기 고정브라킷에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어셉터; 상기 고정브라킷; 및 상기 끼움소켓;의 측면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동시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탈부착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
A rectangular plate-shaped deck which is placed horizontally so as to place a user's foo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pair of wheels moving from the ground to the clouds; A wheel shaf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eft and right wheels; A truck fixed to the underside of the deck and having an inclined shape for fixing the wheel shaft so as to be able to steer the truck,
A handle that the user grasps by hand; And a handle stick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so that the bottom of the stick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the handle stick detachable skateboard comprising:
Wherein the handle stick is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andle stick through the detachment unit,
A fixing hole form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deck,
Wherein a cylindrical groove which is the same diameter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fixed hole and downward from the center top of the truck fixing bundle is formed in a groove and the outer side of the cylindrical groove is formed by a shell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ering bundle, The receptors,
A fixed bracket which has a cylindrical shape whos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and whose outer periphery corresponds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xed receptor,
A fitting socket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having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y of the fixing bracket,
And a fitting protrusion protruded downward from a bottom of the handle stick, the fitting protrusion having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y of the fitting socket,
A threaded groove (n2) is formed correspond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shell of the fixed receptor and an outer peripheral bottom surface of the fixed bracket so that the fixed bracket is fixed so as not to fall out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xed receptor,
Wherein the fitting protrusion and the fitting socket are formed with threaded holes (n3) horizontally penetrating therethrough, the fit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socket and fixed,
The fitting socket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inlet 441 having a height protruding above the deck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is received deeper when inserted and fixed,
And the fixing socke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The fixing bracket; And a detachable fastening hole formed horizontally in the assembled state at the side of the fitting socket,
A handle stick detachable skate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되, 외주변이 상기 고정브라킷의 내주변과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는 캡이 구비되어,
상기 탈착유닛으로부터 상기 끼움소켓을 분리시킨 후에 상기 캡으로 상기 고정공을 폐쇄하되,
상기 고정어셉터; 상기 고정브라킷; 및 상기 캡;의 측면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동시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탈부착 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스틱 탈부착식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p having an upper end closed and a lower end opened and having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y of the fixed bracket,
Closing the fixing hole with the cap after detaching the fitting socket from the detachment unit,
The fixed acceptor; The fixing bracket; And a detachable fastening hole penetrating horizontally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is formed and fasten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p,
A handle stick detachable skateboard.
KR1020150117016A 2015-08-20 2015-08-20 Skateboard with handle KR101724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016A KR101724891B1 (en) 2015-08-20 2015-08-20 Skateboard with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016A KR101724891B1 (en) 2015-08-20 2015-08-20 Skateboard with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254A KR20170022254A (en) 2017-03-02
KR101724891B1 true KR101724891B1 (en) 2017-04-10

Family

ID=5842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016A KR101724891B1 (en) 2015-08-20 2015-08-20 Skateboard with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8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1111A (en) 1991-03-06 1993-06-22 Younger Roger L Skateboard accessory to assist in airborne maneuvers
US7954831B1 (en) 2010-03-02 2011-06-07 Ching-Ho Yeh Scooter having a collapsible structure
WO2012050578A1 (en) * 2010-10-14 2012-04-19 Albert Bordas, P.A. Skateboard with sail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1111A (en) 1991-03-06 1993-06-22 Younger Roger L Skateboard accessory to assist in airborne maneuvers
US7954831B1 (en) 2010-03-02 2011-06-07 Ching-Ho Yeh Scooter having a collapsible structure
WO2012050578A1 (en) * 2010-10-14 2012-04-19 Albert Bordas, P.A. Skateboard with sai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254A (en)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669B2 (en) Skateboard
TWI576272B (en) User propelled ride-on vehicle
US4732400A (en) Scooter board
US6808188B1 (en) Steerable scooter
US20200215420A1 (en) Personal transport apparatus
US8684376B2 (en) Three wheel lean-steer skateboard
JP2006224960A (en) Assembly type runner
US9296404B1 (en) Wheelbarrow conversion kit and cart
JP2003246290A (en) Extensible and contractible bicycle
US20010033069A1 (en) Infant/child stroller board attachment
US10252740B2 (en) Ski bike systems and devices
TW201627041A (en) Steering mechanism for scooter
US6149177A (en) Bicycle wheel fork with removable peg boss
KR101724891B1 (en) Skateboard with handle
KR102484843B1 (en) Electric kickboard with auxiliary wheels
JP3173452U (en) Riding toys
US5930986A (en) Stirrup with a moveable foot plate
KR101444299B1 (en) One wheel board
US20200031418A1 (en) Foot-controlled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US6726226B2 (en) Wheel stop device of a golf cart
US8746716B1 (en) Three wheel lean-steer skateboard
KR960000205Y1 (en) Unicycle
WO2013088107A1 (en) A swivel wheel mounting for a scooter
JP3117321U (en) Versatile roller skates
JP3179393U (en) Sk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