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691B1 - 태양 전지 가로등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691B1
KR101724691B1 KR1020160092906A KR20160092906A KR101724691B1 KR 101724691 B1 KR101724691 B1 KR 101724691B1 KR 1020160092906 A KR1020160092906 A KR 1020160092906A KR 20160092906 A KR20160092906 A KR 20160092906A KR 101724691 B1 KR101724691 B1 KR 10172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streetlight
unit
sensor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문
Original Assignee
(주)맵시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맵시전자 filed Critical (주)맵시전자
Priority to KR102016009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로등 본체부;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 전지부;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발광하는 조명부; 및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홈이 이격 형성되어, 인체 감지 센서의 선택적인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체 감지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가로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가로등{SOLAR CELL STREET LAMP}
본 발명은 태양 전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감지 센서가 구비된 태양 전지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자원고갈에 대처하기 위해 풍력, 수력, 태양 등의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의 경우 해당 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지역의 제한도 상대적으로 적어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다.
이러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 에너지 발전은 주로 일조량이 많은 곳이면 도심지의 빌딩 옥상, 주택의 지붕 등과 같이 지역 및 지형에 제한 없이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가로등, 보안등, 유도등 등의 전력공급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로, 일반적인 가로등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동력원으로 이용하고 있어, 관리비용 및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태양 전지 가로등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65704호 (선행문헌 1)에는 태양전지 패널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인체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태양 전지 가로등 주변의 사람 존재 여부에 따라 조명부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태양 전지 가로등에 대한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165704호(2012.07.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체 감지 센서가 구비된 태양 전지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로등 본체부;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 전지부;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발광하는 조명부; 및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홈이 이격 형성되어, 인체 감지 센서의 선택적인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체 감지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가로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가로등 주변의 사람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삽입 고정되는 센서 고정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홈이 이격 형성된 센서 하우징; 상기 센서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각도 조절홈, 제2 각도 조절홈, 제3 각도 조절홈 및 제4 각도 조절홈이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되되, 상기 제1 각도 조절홈을 기준으로 제2 각도 조절홈에서 상기 제4 각도 조절홈으로 갈수록 각도가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를 지지 고정하며,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센서 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센서 하우징이 고정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는 복수개의 상기 각도 조절홈 중 어느 하나의 각도 조절홈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체결홀은 연통되되, 상기 삽입홀의 폭은 상기 체결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의해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태양 전지부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 전지 가로등에는 인체 감지부가 구비되어 태양 전지 가로등 주변의 사람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태양 전지 가로등 주변에 사람이 인지된 경우, 조명부는 최대 밝기로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로, 인체 감지부가 태양 전지 가로등 주변의 사람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조명부는 최소 밝기로 유지하게 되고, 인체 감지부가 태양 전지 가로등 주변으로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조명부는 최대 밝기로 조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태양 전지 가로등으로부터 사람이 멀어지면 다시 조명부는 최소 밝기로 조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태양 전지 가로등의 에너지 절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감지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하우징에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홈이 형성되어, 인체 감지부의 경사각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각도 조절홈은 센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인체 감지부의 다양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감지부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에는 삽입홀과 체결홀이 형성되어, 인체 감지부의 경사각은 손쉽게 조정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인체 감지부보다 크게 형성된 삽입홀에서 인체 감지부의 경사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해당 각도 조절홈을 고정돌기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 감지부의 경사각 조절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을 하부에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의 조명부를 하부에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 센서와 센서 하우징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에 지지 플레이트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에 지지 플레이트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는 인체 감지부의 다양한 결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부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을 하부에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가로등의 조명부를 하부에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 가로등(1000)은 지주(100), 가로등 본체부(200), 태양 전지부(300), 배터리부(400), 조명부(500), 제어부(600) 및 인체 감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100)는 태양 전지부(300), 배터리부(400), 조명부(500) 및 제어부(600)가 결합된 가로등 본체부(20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주(100)의 하단부는 지면에 설치되고, 지주(100)의 상단부에는 가로등 본체부(20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지주(100)의 상단부에는 제1 결합부재(110)가 구비되고, 가로등 본체부(200)에는 제2 결합부재(210)가 구비되어 제1 결합부재(110)와 제2 결합부재(210)는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10)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로등 본체부(200)는 지주(100)의 상단부와 지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로등 본체부(200)에는 태양 전지부(300), 배터리부(400), 조명부(500) 및 제어부(600)가 설치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로등 본체부(200)는 지주(100)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다양한 각 구성을 지지고정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각 구성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태양 전지부(300)는 가로등 본체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태양 전지부(300)에는 복수개의 태양 전지판(310)이 구비된다. 여기서 태양 전지판(310)은 단결정실리콘, 다결정실리콘, 비정질실리콘, 화합물반도체 등의 반도체 물질로 제조되며, 최종적으로는 소정 프레임에 다수 개를 탑재한 후에 서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모듈화한 형태로 제조된다.
태양 전지부(300)는 태양 에너지의 집광이 용이하도록 가로등 본체부(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태양 전지부(300)의 하면에는 경사 조절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경사 조절부의 하부는 가로등 본체부(200)에 지지 고정되고, 경사 조절부의 상부는 태양 전지부(300)를 지지한 상태에서 태양 전지부(300)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즉, 경사 조절부는 모듈 형태의 태양 전지부(300)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계절에 따른 태양의 이동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로 태양 전지부(300)가 태양광을 최대한으로 조사받을 수 있도록 계절 및 시간에 따른 경사 조절부의 경사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또는, 제어부(600)는 실시간 태양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경사 조절부의 경사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사 조절부는 유압 또는 공압 방식으로 태양 전지부(300)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배터리부(400)는 가로등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빗물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부(400)는 태양 전지부(300)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터리부(400)는 조명부(500)와 연결되어 있어, 조명부(50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배터리부(400)는 낮에는 태양 전지부(300)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밤에는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조명부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배터리부(400)는 낮에 4~5 시간 동안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밤에는 10~12 시간 동안 조명부(50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며 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배터리부(400)는 태양이 떠 있는 낮 동안에 지속적으로 태양 에너지를 충전하지 않고, 약 4~5시간 동안 태양 에너지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태양 에너지로 고전압이 발생되는 시간대에 배터리부(400)를 충전시킴으로써, 배터리부(400)의 충전시간을 짧게 함은 물론 배터리부(400)의 수명을 늘리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배터리부(400)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방전되었을 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이차 전지(secondary 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부(400)는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리튬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부(400)는 전지관리시스템 기판을 내장하고 있어, 과충전 및 과방전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조명부(500)는 가로등 본체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이루어진다.
조명부(500)는 조명 몸체부(510), 발광 소자(520), 방열부(530) 및 엣지 조명(54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몸체부(510)는 발광 소자(520)와 방열부(530)의 구성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발광 소자(520)는 조명 몸체부(510)에 지지되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빛을 내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광 소자(520)는 일정 간격을 이루며 각각의 모듈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적인 모듈로 이루어진 발광 소자(520) 중 어느 하나의 발광 소자(520)에 불량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해당 발광 소자(520)만을 교체하면 되기에 작업이 간편하고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방열부(530)는 조명 몸체부(510)의 외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며, 발광 소자(5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열부(530)는 발광 소자(520)로부터 조명 몸체부(510)로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함에 있어, 열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방열부(530)는 조명 몸체부(510)와의 결합 면적을 넓힘으로써, 열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방열부(530)에는 복수개의 방열핀(531)이 구비된다. 이러한 방열핀(531)은 조명 몸체부(5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발광 소자(5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방열핀(531)을 통해 효과적인 열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엣지 조명(540)은 가로등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등 본체부(200)의 양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발광 소자(520)와 엣지 조명(540)은 RGB LED(Red-Green-Blue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져, 가로등의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예로, 태양 전지 가로등(1000)은 계절에 따라 발광 소자(5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여름의 경우에는 발광 소자(520)와 엣지 조명(540)은 차가운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고, 겨울의 경우에는 발광 소자(520)와 엣지 조명(540)은 따듯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또는, 발광 소자(520)와 엣지 조명(540)은 다양한 색상을 연속적으로 발광하며 길거리의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고, 경관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RGB LED로 이루어진 발광 소자(520)와 엣지 조명(540)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가로등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배터리부(400)와 이웃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태양 전지 가로등(1000)에 구비되는 각 구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로, 제어부(600)는 조명부(5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600)는 조명부(500)의 작동 시간 또는 조명부(500)의 색상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경사 조절부의 경사각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가로등 주변에 사람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700)의 센싱값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제어부(600)는 배터리부(400)로부터 조명부(500)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는 등 태양 전지 가로등(1000)에 구비되는 각 구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외부기기(미도시)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태블릿 PC(Table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기기는 통신망을 통해 제어부(600)와 연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통신망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이 될 수 있다.
즉,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600)는 외부기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태양 전지 가로등(1000)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휴대 단말기에 태양 전지 가로등(1000)을 제어하는 앱(App)을 설치한 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가로등(1000)의 조명 밝기, 조명 발광 색상 등의 다양한 설정을 간편히 조정할 수도 있다.
인체 감지부(700)는 가로등 본체부(200)의 하부에 결합된다.
가로등 주변의 사람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인체 감지부(700)는 고정 프레임(750)에 의해 가로등 본체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태양 전지 가로등(1000) 주변의 사람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750)에는 삽입홀(752)과 체결홀(753, 도 6참조)이 형성되어 인체 감지부(700)는 고정 프레임(7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체 감지부(700)에 구비된 인체 감지 센서(710, 도 5참조)는 PIR(Passive Infrared Ray)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인체 감지 센서(710)는 피사체에서 발산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 가로등(1000)의 주변의 사람 존재 여부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체 감지 센서(710)는 제어부(600)와 연계되어 인체 감지 센서(710)로부터 사람 존재 여부의 파악에 따라 조명부(500)의 밝기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로, 날이 어두운 저녁에 인체 감지 센서(710)가 태양 전지 가로등(1000) 주변의 사람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600)는 조명부(500)의 밝기를 최소 밝기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인체 감지 센서(710)가 태양 전지 가로등(1000) 주변으로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조명부(500)는 10~15초 동안 최대 밝기로 조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태양 전지 가로등(1000)으로부터 사람이 멀어지면 다시 조명부(500)는 최소 밝기로 조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인체 감지부(700)의 센싱 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600)는 조명부(500)의 밝기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인체 감지 센서(710)를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750)에는 제3 결합부재(751)가 구비되어, 제1 결합부재(110)와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10)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 센서와 센서 하우징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에 지지 플레이트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에 지지 플레이트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6은 가이드 부재(74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지지 플레이트(730)가 삽입홀(752)을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6에서는 센서 하우징(720)과 인체 감지 센서(710)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도면이다. 도 7은 가이드 부재(74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지지 플레이트(730)가 삽입홀(752)을 닫으며 체결홀(753)에 삽입된 센서 하우징(72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인체 감지부(7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체 감지부(700)는 인체 감지 센서(710), 센서 하우징(720), 지지 플레이트(730), 가이드 부재(7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710)는 센서 하우징(72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센서 하우징(720)에는 센서 고정홈(726)이 형성되어 인체 감지 센서(710)는 센서 고정홈(726)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인체 감지 센서(710)는 센서 하우징(720)과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체 감지 센서(710)의 불량 및 파손 시, 사용자는 손쉽게 인체 감지 센서(710)를 교체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720)은 인체 감지 센서(710)를 지지 고정하며, 인체 감지 센서(7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인체 감지 센서(710)는 센서 하우징(720)의 센서 고정홈(726)에 삽입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하우징(720)의 양측면에는 인체 감지 센서(71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각도 조절홈(725)의 형성된다. 즉, 각도 조절홈(725)은 센서 하우징(7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되, 각각의 각도 조절홈(725)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인체 감지 센서(710)는 다양한 경사각을 이루며 고정 프레임(75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 하우징(720)에 형성된 복수개의 각도 조절홈(725)은 센서 하우징(720)의 양측면에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센서 하우징(720)의 양측면에는 센서 하우징(7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각도 조절홈(721), 제2 각도 조절홈(722), 제3 각도 조절홈(723) 및 제4 각도 조절홈(724)이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각도 조절홈(721) 내지 제4 각도 조절홈(724)이 센서 하우징(7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되되, 각각의 각도 조절홈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각도 조절홈(721)을 기준으로 제2 각도 조절홈(722), 제3 각도 조절홈(723) 및 제4 각도 조절홈(724)으로 갈수록 각도는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 하우징(720)의 양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각도 조절홈은 제1 각도 조절홈(721) 내지 제4 각도 조절홈(724)을 한정되지 않으며, 각도 조절홈(725)의 개수는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 플레이트(730)는 센서 하우징(720)을 선택적으로 지지 고정하게 된다. 즉, 지지 플레이트(730)는 체결홀(753)에 삽입된 센서 하우징(720)이 체결홀(75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센서 하우징(720)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 하우징(720)은 지지 플레이트(730)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어, 인체 감지 센서(710)는 정확한 센싱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730)는 가이드 부재(740)와 결합되며, 가이드 부재(740)에 의해 선택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740)는 머리부(741)와 나사 결합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 결합부(742)는 지지 플레이트(730)에 형성된 나사 결합홀(731)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나사 결합부(742)는 고정 프레임(750)에 형성된 가이드 홀(754)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730)에 형성된 나사 결합홀(731)과 결합될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머리부(74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지지 플레이트(730)와 가이드 부재(740) 간에는 쪼임이 발생될 수 있고, 사용자가 머리부(74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지지 플레이트(730)와 가이드 부재(740) 간에는 풀림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740)의 회전을 통해 지지 플레이트(730)와 가이드 부재(740) 간에는 쪼임 또는 풀림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홀(753)에 결합된 인체 감지 센서(7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머리부(741)의 회전을 통해 쪼임 상태의 지지 플레이트(730)와 가이드 부재(740)를 풀림 상태로 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가이드 부재(740)를 가이드 홀(75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센서 하우징(720)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730)도 가이드 부재(74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730)의 이동을 통해 지지 플레이트(730)에 의해 차단되었던 삽입홀(752)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750)에는 가이드 부재(74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 거리를 구속하는 가이드 홀(754)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 플레이트(730)는 가이드 홀(754)에 의해 미리 정해진 이동 방향 및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체결홀(753)에 삽입 결합된 센서 하우징(720)을 개방된 삽입홀(752)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삽입홀(752)과 체결홀(753)은 연통 형성되되, 삽입홀(752)의 폭(w1)은 체결홀(753)의 폭(w2)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홀(753)에 삽입 고정된 센서 하우징(720)은 삽입홀(752)로 손쉽게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752)은 센서 하우징(72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센서 하우징(720)을 인체 감지부(700)의 외부로 꺼낸 상태에서 센서 하우징(720)의 경사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삽입홀(752) 내에서 센서 하우징(720)의 경사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센서각 조절이 이루어진 센서 하우징(720)을 체결홀(753)에 다시 결합하게 된다. 예로, 고정돌기(755)에 제2 각도 조절홈(722)이 결합된 센서 하우징(720)을 고정돌기(755)에 제3 각도 조절홈(723)이 결합되도록 센서 하우징(72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755)는 제1 각도 조절홈(721) 내지 제4 각도 조절홈(724)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어 제1 각도 조절홈(721) 내지 제4 각도 조절홈(724)은 고정돌기(755)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755)는 체결홀(753)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제1 각도 조절홈(721) 내지 제4 각도 조절홈(724) 중 어느 하나의 각도 조절홈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체결홀(753)에 결합된 센서 하우징(720)을 지지하도록 지지 플레이트(7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730)가 센서 하우징(720)을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이드 부재(740)를 회전시켜 지지 플레이트(730)를 쪼이게 된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730)는 센서 하우징(720)을 흔들림없이 견고히 지지 고정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는 인체 감지부의 다양한 결합 상태도로, 인체 감지부(700)는 지주(100)의 길이에 따라 인체 감지 센서(71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로, 도 8의 (a)는 지주(100)의 길이가 4~5m인 경우이고, 도 8의 (b)는 지주(100)의 길이가 6~8m인 경우이며, 도 8의 (c)는 지주(100)의 길이가 9~11m 인 경우로, 인체 감지부(700)는 지주(100)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체 감지부(700)는 지주(100)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인 각도 조절을 통해 지주(100)의 길이에 상관없이 지주(100)로부터 일정 거리의 감지 구역(S)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인체 감지부(700)는 감지 구역(S) 내에서 지주(100) 근처로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제어부(600)는 조명부(500)를 최대 밝기로 조정하게 되고, 지주(100)로부터 사람이 멀어지게 되면 제어부(600)는 다시 조명부(500)를 최소 밝기로 조정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태양 전지부(300)는 태양 전지판(310) 및 계전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 전지판(310)은 태양으로부터 발산되는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태양 전지판(310)은 일사량에 영향을 받으며, 발전 전압(Vg)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햇빛이 없는 야간에는 태양 전지판(310)의 발전량은 최소화되어 발전 전압(Vg)은 0V에 가깝고, 일출 후 일사량의 증가에 따라 태양 전지판(310)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전 전압(Vg)은 증가하게 된다.
계전기(320)는 태양 전지판(310)의 발전 상태에 따라 부하 연결 관계의 전환이 순간적으로 일어나며 부하에 대한 승압 전압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계전기(320)는 상시 폐접점(321), 공통 접점(322), 상시 개접점(323) 및 인덕터(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접점(322)은 인덕터(324)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상시 폐접점(321)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시 개접점(323)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태양 전지판(310)에서 발생된 발전 전압(Vg)이 일정 미만의 전압값으로 인덕터(324)로 흐르는 경우에는 인덕터(324)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 공통 접점(322)은 상시 폐접점(321)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태양 전지판(310)에서 발생된 발전 전압(Vg) 일정 이상의 전압값으로 인덕터(324)로 흐르는 경우에는 인덕터(324)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커지며 공통 접점(322)은 상시 개접점(323)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태양 전지판(310)으로부터 인덕터(324)로 흐르는 전류가 일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 상시 폐접점(321)과 연결되어 있던 공통 접점(322)은 상시 폐접점(321)과 떨어지며, 상시 개접점(323)으로 접점 전환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전기(320)의 상시 폐접점(321), 공통 접점(322) 및 상시 개접점(323)의 세 점점 간의 연결 상태가 전환되는 것을 '접점 전환' 이라 한다.
여기서 상시 폐접점(321)은 전력 설정 저항(Rp)(330)의 일단(N4)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시 폐접점(321)이 공통 접점(322)과 연결된 상태에서는 전력 설정 저항(Rp)(330)에 전류 I1이 흐르게 되며, 접점 전환에 의해 공통 접점(322)과의 연결이 끊어지면 전류 I1은 0이 된다.
즉, 접점 전환 전, 태양 전지판(310)에 흐르는 전류 I0 = I1 + I2 와 같고, 접점 전환 후, 태양 전지판(310)에 흐르는 전류 I0 = I2+ I3 와 같게 된다.
공통 접점(322)은 상시 폐접점(321) 또는 상시 개접점(323)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점으로, 공통 접점(322)은 태양 전지판(310)의 일단(N2)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시 개접점(323)은 계전기(320)의 접점 전환 전에는, 공통 접점(322)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열린 상태로 존재하다가 접점 전환을 통해 공통 접점(322)과 연결되며 닫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평상시에는 공통 접점(322)과 연결이 끊긴 상태로 존재하다가, 계전기(320)에 일정 이상의 전압이 도달하면 접점 전환이 일어나며, 공통 접점(322)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시 개접점(323)은 부하 저항(RL)(340)의 일단(N5)과 연결되어, 접점 전환 이후 상시 개접점(323)이 공통 접점(322)과 연결되면, 부하 저항(RL)(340)에 전류 I3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부하 저항(RL)(340)은 배터리부(400)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태양 전지판(310)으로부터 발전 전압(Vg)이 일정 이상의 전압값으로 발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태양 전지판(310)으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부(400)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배터리부(400)는 고전압이 발생되는 시간대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부(400)는 짧은 시간동안에 충전이 가능하며, 충방전에 따른 배터리부(400)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다.
인덕터(324)의 일단(N1)은 태양 전지판(310)과 연결되고, 타단(N3)은 인덕터 강압 저항(Rs)(350)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덕터 강압 저항(Rs)(350)은 계전기(320) 보호를 위해 인덕터(324)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덕터 강압 저항(Rs)(350)에 흐르는 전류 I2는 인덕터(324)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환류 다이오드(Free Wheeling Diode)(360)는 계전기(320)의 인덕터(324) 주변 소자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덕터(324) 내에 남아있는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환류 다이오드(360)는 인덕터(324)와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환류 다이오드(360)의 일단(N1)은 태양 전지판(310)과 연결되고, 타단(N3)은 인덕터 강압 저항(Rs)(350)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태양 전지 가로등(1000)에는 태양 전지부(300)가 구비되어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기를 발생시켜 조명부(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주 200: 가로등 본체부
300: 태양 전지부 400: 배터리부
500: 조명부 600: 제어부
700: 인체 감지부 710: 인체 감지 센서
720: 센서 하우징 721: 제1 각도 조절홈
722: 제2 각도 조절홈 723: 제3 각도 조절홈
724: 제4 각도 조절홈 730: 지지 플레이트
740: 가이드 부재 750: 고정 프레임
752: 삽입홀 753: 체결홀
754: 가이드 홀 755: 고정돌기
1000: 태양 전지 가로등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로등 본체부;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 전지부;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발광하는 조명부;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로등 주변의 사람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와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삽입 고정되는 센서 고정홈이 형성된 센서 하우징을 갖는 인체 감지부; 및
    상기 인체 감지부를 지지 고정하며,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각도 조절홈, 제2 각도 조절홈, 제3 각도 조절홈 및 제4 각도 조절홈이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되되, 상기 제1 각도 조절홈을 기준으로 제2 각도 조절홈에서 상기 제4 각도 조절홈으로 갈수록 각도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센서 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센서 하우징이 고정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홀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는 복수개의 상기 각도 조절홈 중 어느 하나의 각도 조절홈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인체 감지 센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인 태양 전지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상기 센서 하우징이 상기 체결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센서 하우징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가로등.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체결홀은 연통되되, 상기 삽입홀의 폭(w1)은 상기 체결홀의 폭(w2)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가로등.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가로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태양 전지부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가로등.
KR1020160092906A 2016-07-21 2016-07-21 태양 전지 가로등 KR10172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906A KR101724691B1 (ko) 2016-07-21 2016-07-21 태양 전지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906A KR101724691B1 (ko) 2016-07-21 2016-07-21 태양 전지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691B1 true KR101724691B1 (ko) 2017-04-10

Family

ID=5858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906A KR101724691B1 (ko) 2016-07-21 2016-07-21 태양 전지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6486A1 (en) * 2019-05-08 2020-11-11 ZG Lighting France S.A. Lighting device and system for variable street ligh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841A (ko) * 2006-06-16 2007-12-21 주식회사 대성 태양전지 가로등
KR101165704B1 (ko) 2011-11-10 2012-07-18 문상목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가로등장치
KR20150131415A (ko) * 2014-05-14 2015-11-25 (주)선광산업 조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841A (ko) * 2006-06-16 2007-12-21 주식회사 대성 태양전지 가로등
KR101165704B1 (ko) 2011-11-10 2012-07-18 문상목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가로등장치
KR20150131415A (ko) * 2014-05-14 2015-11-25 (주)선광산업 조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조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6486A1 (en) * 2019-05-08 2020-11-11 ZG Lighting France S.A. Lighting device and system for variable street ligh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399B2 (en) Solar energy street lamp structure with adjustable angle
TWI533561B (zh) 用於控制太陽能電池照明設備之系統及方法
KR100948695B1 (ko) 전원 일체형 등명기
CN102725864A (zh) 太阳能电池电源装置
CA3044482C (en) Led ligh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KR200460230Y1 (ko) 양면 수광 태양전지를 구비한 가로등
KR101690582B1 (ko) 태양 전지 가로등
KR101724691B1 (ko) 태양 전지 가로등
JP2013214463A (ja) 防犯街路灯
CN105491762A (zh) 一种太阳能路灯控制系统及装置
WO2009131622A2 (en) Solar-powered valance-mounted lighting system
KR20200129829A (ko) 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스마트 가로등
KR20160086588A (ko) 스마트 폰으로 원격 제어되는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
CN205491362U (zh) 一种太阳能路灯控制装置
KR101267973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장치
Oke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solar power-based lighting system
CN207740963U (zh) 一种扁平式太阳能路灯锂电池模组
Passago et a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Prototype of LED street lighting from solar energy
Taguchi et al. Application of white LED lighting to energy-saving-type street lamps
JP2006086313A (ja) 太陽電池発電システム
KR101267974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60005582A (ko) 태양광을 이용한 실내외 겸용 휴대 led 램프
ES2895708T3 (es) Mejoras en o relacionadas con luminarias
GB2440160A (en) Lighting apparatus
WO2011089287A1 (es) Dispositivo luminoso de doble aprovechamiento energetico diurno y noctur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