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680B1 -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680B1
KR101724680B1 KR1020150090697A KR20150090697A KR101724680B1 KR 101724680 B1 KR101724680 B1 KR 101724680B1 KR 1020150090697 A KR1020150090697 A KR 1020150090697A KR 20150090697 A KR20150090697 A KR 20150090697A KR 101724680 B1 KR101724680 B1 KR 10172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earch result
searcher
ta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135A (ko
Inventor
김소연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6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864
    • G06F17/30876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검색자 추출부;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검색자 판별부;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제1 검색 결과 제공부; 및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제2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함께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색 서비스는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키워드에 부합하는 자료를 찾아 주는 서비스이다. 검색 엔진이 고도화되고 정교해지면서, 보다 공신력 있는 정보 혹은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검색 결과의 상위에 노출시킬 수 있는 검색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웹상에서 작성하는 블로그, SNS 등의 문서에는, 다른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태그(Tag)란 어떤 소스정보(검색의 객체가 되는 정보)에 메타 데이터로서 부여된 키워드 또는 분류 정보를 말한다. 각 소스정보에는 하나 이상의 태그가 설정될 수 있으며, 태그는 해당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쉽게 해주기 때문에 그 소스정보에 대한 검색, 노출, 분류 등을 용이하게 해준다.
예를 들자면, 각 사용자는 어느 인터넷 사이트의 블로그에 올릴 게시물을 작성하면서 하나 이상의 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게시물의 제목과 본문이 소스정보가 되고, 태그는 이 소스정보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그리고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해당 게시판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태그를 선택하여 해당 게시물에 접근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KR 2011-0022805 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함께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태그 검색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따라서 사용자의 태그 검색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검색자 추출부;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검색자 판별부;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제1 검색 결과 제공부; 및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제2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검색자 추출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단계; 검색자 판별부에 의해,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제1 검색 결과 제공부에 의해,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2 검색 결과 제공부에 의해,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함께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태그 검색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따라서 사용자의 태그 검색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300)들과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또는 그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검색 결과 및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서버를 디스플레이하였지만,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서비스 외에도 이메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과 같은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3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3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3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4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300)들과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사용자 단말(300)들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1), 메모리(113), 프로그램 저장부(115), 제어부(117), 데이터베이스(1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자 추출부(120), 검색자 판별부(130),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 제2 검색 결과 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통신부(111)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300) 간의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부(111)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3)는 제어부(117)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13)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15)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작업,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작업,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작업, 상기 검색어 또는 그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17)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을 수신하여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고,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 및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추출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17)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19)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일반 검색 결과 및 태그 검색 결과를 저장하는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검색 데이터베이스에는, 특정 검색어를 태그로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서, 그 특정 검색어와 함께 태그로 저장된 단어들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연관 태그로써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특정 검색어 및 그 연관 태그가 포함된 문서에 대한 검색 결과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119)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데이터베이스는 가계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출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자 추출부(120), 검색자 판별부(130),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 제2 검색 결과 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검색어의 연관 태그 포함)인 제1 검색 결과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또는 그 연관 태그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색자 추출부(120)는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로부터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검색자는 태그 검색의 검색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일반 검색을 하고자 하는지, 혹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검색을 수행하려는 것인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검색자 추출부(120)는 일반 문자가 아닌 특수 문자 및 문장 부호를 검색자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검색자 추출부(12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를 제외한 나머지를 검색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을 태그 검색의 검색자로 설정할 수 있다.
검색자 판별부(130)는 검색자 추출부(120)가 구분한 검색자가 본 발명의 태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검색자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검색자가 태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자가 아닌 경우, 후술할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가 검색자까지 합친 어구로 일반 검색을 실행한다.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에서는 검색의 질을 높이기 위해 검색자, 즉 검색 연산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검색 연산자 중 '&'는 and 연산, '+'는 or 연산을 의미한다. 따라서, 검색자를 추출하더라도 이것이 일반적인 검색을 위한 검색 연산자인지, 본 발명의 태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검색자 판별부(130)는 추출된 입력 데이터의 검색자가 태그 검색으로 지정된 검색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이용하여 일반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일반 검색 결과는 입력한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관 태그는, 상기 검색어를 태그로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서, 상기 검색어와 함께 태그로 저장된 단어들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를 일반 검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구 중 검색자를 제외한 나머지 검색어에 관한 일반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이때,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일반 검색 데이터베이스(119)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직접 웹 정보 수집을 통해 획득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300) 상에서 제1 검색 결과 중 연관 태그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검색 결과 제공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 제2 검색 결과 제공부(150)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를 태그 검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검색 결과는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 대한 검색 결과일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를 붙이지 않고 검색을 수행했을 경우의 제1 검색 결과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 상에는 검색어 입력부(510) 및 제1 검색 결과 표시부가 디스플레이되고, 제1 검색 결과 표시부는 연관 태그 표시부(530)와 일반 검색 결과 표시부(520)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연관 태그 표시부(530) 및 일반 검색 결과 표시부(520)는 각각 복수 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각의 연관 태그 표시부(530)는 이미지 표시부(531) 및 태그 표시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관 태그 표시부(530)를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제2 검색 결과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일반 검색 결과 표시부(520)는 제목 표시부(521), 작성 시간 표시부(522) 및 출처 표시부(5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검색 결과 표시부(520)를 선택하면 해당 문서의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부(510)를 통해 태그 검색을 위한 검색자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 검색어를 입력하고 이를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추출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 상에는 하나 이상의 연관 태그 표시부(530) 및 일반 검색 결과 표시부(520)가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강아지" 일 경우, "강아지"를 태그로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서 "강아지"와 함께 태그로 저장된 단어들 중 일부인 연관 태그들, 예를 들어, "반려견", "비글", "그레이트 피레니즈" 등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연관 태그 표시부(530)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를 붙여서 검색을 수행했을 경우, 또는 도 3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연관 태그 표시부를 선택했을 경우의 검색 결과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 상에는 검색어 입력부(510) 및 제2 검색 결과 표시부(540)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제2 검색 결과 표시부(540)는 복수 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 검색 결과 표시부(540)는 제목 표시부(541), 이미지 표시부(543), 요약 표시부(542), 태그 표시부(544), 출처 표시부(545), 작성 시각 표시부(54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부(510)를 통해 태그 검색을 위한 검색자와 검색어를 입력하고 이를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검색어 또는 그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추출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 상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검색 결과 표시부(540)가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며, 각각의 제2 검색 결과 표시부(540)는 태그 검색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즉, 제목 표시부(541), 요약 표시부(542), 이미지 표시부(543), 태그 표시부(544), 출처 표시부(545), 작성 시각 표시부(546)에는 각각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블로그와 같은 정보 제공 형태의 웹 문서 페이지의 제목, 요약, 이미지, 해당 문서에 부가된 태그들, 해당 문서의 출처(블로그 이름 또는 작성자 이름 등), 작성 시각 등이 표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말티즈" 일 경우, "말티즈" 또는 "말티즈"의 연관 태그인 "마르티즈", "몰티즈", "티컵강아지", "시츄"에 대한 검색 결과들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어로 입력한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뿐 아니라, 그 단어를 태그로 사용한 사용자들이 함께 태그로 사용한 단어들에 대한 검색 결과(즉, 태그 검색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페이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태그 검색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따라서 사용자의 태그 검색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에 대해 설명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부(310), 메모리(320), 입/출력부(330), 프로그램 저장부(340), 제어부(350),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60)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부(310)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부 또는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제어부(35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메모리(3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부(330)는 표시부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검색 결과 또는 제2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가 제1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연재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스크롤 입력, 방향키 입력, 소정의 방향을 가지는 움직임이 있는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340)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작업,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1 검색 결과 또는 제2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작업, 입/출력부(330)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35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사용자 단말(300)에 가계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50)는 프로그램 저장부(34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60)를 제어하여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60)는 제어부(350)의 제어 하에 사용자 단말(300)의 입/출력부(330),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에 제1 검색 결과 또는 제2 검색 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300)에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0 단계), 사용자 단말(300)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20 단계), 검색자 추출부(120)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단계(S130 단계), 검색자 판별부(130)에 의해,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140 단계),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에 의해,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S150 단계), 제2 검색 결과 제공부(150)에 의해,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S160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단계(S170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300)에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후(S110 단계), 사용자 단말(300)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전송(S120 단계)한다.
다음으로, 검색자 추출부(120)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S130 단계)한다. 상세히, 검색자 추출부(120)는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로부터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검색자는 태그 검색의 검색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일반 검색을 하고자 하는지, 혹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검색을 수행하려는 것인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다음으로, 검색자 판별부(130)에 의해,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S140 단계)한다. 즉, 검색자 판별부(130)는 검색자 추출부(120)가 구분한 검색자가 본 발명의 태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을 태그 검색의 검색자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에 의해,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추출(S150 단계)한다. 여기서, 연관 태그는, 상기 검색어를 태그로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서, 상기 검색어와 함께 태그로 저장된 단어들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를 일반 검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구 중 검색자를 제외한 나머지 검색어에 관한 일반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2 검색 결과 제공부(150)에 의해,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추출(S160 단계)한다. 제2 검색 결과 제공부(150)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태그 검색 결과를 태그 검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검색 결과는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 대한 검색 결과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S170 단계)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어로 입력한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뿐 아니라, 그 단어를 태그로 사용한 사용자들이 함께 태그로 사용한 단어들에 대한 검색 결과(즉, 태그 검색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페이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태그 검색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따라서 사용자의 태그 검색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300: 사용자 단말
400: 통신망

Claims (15)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검색자 추출부;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검색자 판별부;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제1 검색 결과 제공부; 및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제2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태그는, 상기 검색어를 태그로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서, 상기 검색어와 함께 태그로 저장된 단어들 중 적어도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색 결과는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 대한 검색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추출한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검색 결과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추출한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가 아닐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검색 결과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연관 태그를 제1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상위에 노출시키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첫부분에 위치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8. 검색자 추출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검색자와 검색어를 분리하는 단계;
    검색자 판별부에 의해,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제1 검색 결과 제공부에 의해,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일반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2 검색 결과 제공부에 의해,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태그는. 상기 검색어를 태그로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서, 상기 검색어와 함께 태그로 저장된 단어들 중 적어도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색 결과는 상기 검색어 또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 대한 검색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추출한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검색 결과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추출한 상기 검색자가 태그 검색의 검색자가 아닐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검색 결과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연관 태그를 제1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상위에 노출시키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첫부분에 위치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8 항 내지 제 14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90697A 2015-06-25 2015-06-25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697A KR101724680B1 (ko) 2015-06-25 2015-06-25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697A KR101724680B1 (ko) 2015-06-25 2015-06-25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35A KR20170001135A (ko) 2017-01-04
KR101724680B1 true KR101724680B1 (ko) 2017-04-07

Family

ID=5783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697A KR101724680B1 (ko) 2015-06-25 2015-06-25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130B1 (ko) * 2007-09-10 2009-08-27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통합검색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및 태그를 통한통합 검색 방법
KR20110022805A (ko) 2009-08-28 2011-03-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태그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35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0883B2 (en) Multi-prefix query optimization
CN106663109B (zh) 针对移动屏上内容提供自动动作
US9916139B2 (en) Leveraging collaborative cloud services to build and share apps
US107890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S9619109B2 (en) User interface elements for identifying electronic content significant to a user
US8255382B2 (en) Dynamic menus for multi-prefix interactive mobile searches
US10122839B1 (en) Techniques for enhancing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20180239827A1 (en) Identifying relevant apps in response to queries
US20110289015A1 (en) Mobile device recommendations
US20150100562A1 (en) Contextual insights and exploration
US201300315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semantic entities included in a page of content
WO2011049727A2 (en) Leveraging collaborative cloud services to build and share apps
CN104919522A (zh) 分布式nlu/nlp
US201600047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n electronic device
CN108984073A (zh) 一种搜索页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5094603B (zh) 一种关联输入的方法与装置
CN105095253B (zh) 网页显示方法及装置
CN101777067B (zh) 一种用于移动通讯设备终端的网页内容识别管理系统
KR101505673B1 (ko) 단어의 의미를 기반으로 하는 다국어 검색 시스템, 다국어 검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
US20130179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uggestions to a user of a software application
KR101724680B1 (ko)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127653B (zh) 信息显示方法、装置
KR20160092758A (ko) 광고 웹 페이지 내 연락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연락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51507B1 (ko) 웹 브라우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CN112380410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