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489B1 - movable water park - Google Patents

movable water pa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489B1
KR101723489B1 KR1020160119803A KR20160119803A KR101723489B1 KR 101723489 B1 KR101723489 B1 KR 101723489B1 KR 1020160119803 A KR1020160119803 A KR 1020160119803A KR 20160119803 A KR20160119803 A KR 20160119803A KR 101723489 B1 KR101723489 B1 KR 10172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piston
tapered surfa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Priority to KR102016011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4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4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200/00Means for transporting or storing public 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ovab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water park comprises: a plurality of air tubes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therein and having a communicating path to provide air in order; an inlet valve being open to provide air when an air entrance is arranged in one of the air tubes, the inlet valve is installed at the air entrance, and a nozzle is connected; a middle valve being open to provide air in order through a next air tube when the middle valve i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ng path and an air tube has a certain pressure via the inlet valve; and an outlet valve being open to discharge air provided through the middle valve when the outlet valve is installed in an air tube for a last supply and a nozzle is connected.

Description

이동식 워터 파크 {movable water park}Movable water park

본 발명은 이동식 워터 파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지면서 다양한 모양의 튜브 조립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튜브가 배열되며 각 튜브가 밸브로 연결되어 하나의 튜브가 터지더라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전한 이동식 워터 파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ater pa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water park having a solid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tube assemblies of various shapes, arranged in various shapes, each tube being connected by a val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 portable water park capable of maintaining a shape.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물놀이는 여름철 계곡이나 바다 등지에서 링 형태의 튜브를 사용하여 수상에 떠서 더위를 식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Generally, in the past, it has been common to use a ring-shaped tube in a summer valley or a sea to dip in water and cool the heat.

그러나 현재에는 다양한 이동식 워터 파크들이 도입 및 개발되었는 바, 다양한 수상 레포츠 장비들이 도입되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various mobile water parks have been introduced and developed, a variety of water sports equipment has been introduced and popularized.

여기서는 성인들이 사용하는 윈드 서핑, 서핑과 같은 수상 레포츠 장비가 아닌,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튜브를 사용하여 구조된 이동식 워터 파크에 관련된다.This is related to a mobile water park constructed by adults using tubes that can be safely enjoyed by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water, rather than water sports equipment such as windsurfing and surfing.

이러한 종래 이동식 워터 파크로는 공개특허 제10-2001-0088576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여 평면적인 모형의 모양을 가진 이동식 워터 파크의 각도 및 위치를 변경하여 놀이공원 등의 구조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공되는 놀이시설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mobile water park i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88576. However, this technique is a very general techniqu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y facilities provided are limited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amusement park is formed by changing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mobile water park having the shape of the planar model.

더불어,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는 아무리 깊지 않은 물에 설치되고, 안전요원이나 보호자가 항시 대기 하고 있더라도 튜브에 문제가 생겨 바람이 빠지게 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in a deep water, and even if the safety personnel or the guardian are always wait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if the wind is released due to a problem in the tube.

이러한 안전사고의 결과는 생명에 관련된 것을 매우 중요하고 철저하게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The result of such a safety accident must be very important and thoroughly verified in relation to life.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해 이동식 워터 파크의 경우에는 튜브 구조물이 여러 개의 나누어지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이러한 경우에도 한두개의 튜브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전체 구조물이 부력을 상실하여 안전사고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waterpar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tube structure is divided into several parts. However, in such a case, if a problem occurs in one or two tubes, the entire structure may lose its buoyancy, .

공개특허공보 2001-0088576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1-0088576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식 워터 파크를 구성하는 튜브 부재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조립하는 기술과 튜브 부재 하나마다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동식 워터 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assembling a tube member constituting a mobile water park in a simple and robust manner and a mobile water park having improved safety for each tube memb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고 에어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연통로를 구비한 복수개의 에어튜브; 상기 에어튜브 중에 어느 하나의 에어튜브에 에어 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노즐이 연결되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인렛 밸브; 상기 연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인렛 밸브를 통하여 에어튜브가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다음 에어튜브로 에어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미들 밸브; 및 상기 미들 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가 마지막으로 공급되는 에어튜브에 설치되어 노즐이 연결되면 에어가 토출되도록 개방되는 아웃렛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tube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 tube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and having a communication passage for sequentially supplying air; An inlet valve provided in an air tube of any one of the air tubes and opened to supply air when the nozzle is connected to the inlet; A middle valve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path and opened to sequentially supply air to the next air tube when the air tube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through the inlet valve; And an outlet valve installed in the air tube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middle valve is finally supplied and opened to discharge the air when the nozzle is conne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튜브는 오각형의 에어튜브에 육각형의 에어튜브가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tube may be arranged such that a hexagonal air tube surrounds the pentagonal air tub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렛 밸브는, 전후방에 에어통로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에어통로의 입구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통로의 입구에는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몸통 전방에도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의 테이퍼면에는 제1절개홈이, 상기 몸통에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밀려 상기 테이퍼면들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을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let valve includes: a case having an air passage at front and rear sides; A piston communicating with and disengaging the air passage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case; And a spring for providing a force for pushing the piston toward an inlet of the air passage, wherein an inlet of the air passage has a tapered surface enlarged in diameter, and a tapered surface is formed in front of the body of the piston, A first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iston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torso so that when the piston is pushed to separate the tapered surfaces,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Can pass through.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들 밸브는, 전후방에 에어통로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에어통로의 입구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통로의 입구에는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몸통 전방에도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의 테이퍼면의 후방 몸통에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밀려 상기 테이퍼면들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을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iddle valve includes: a case having an air passage in front and rear; A piston communicating with and disengaging the air passage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case; And a spring for providing a force to push the piston toward the inlet of the air passage; Wherein a tapered surface having an enlarged diameter is formed in the inlet of the air passage and a tapered surface is formed in front of the body of the piston so that the tapered surface of the pist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when the piston is pushed and the tapered surfaces are spaced apart, air can be opened to pass through the first incision gro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렛 밸브는, 전후방에 에어통로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에어통로의 출구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통로의 출구에는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몸통 후방에도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의 테이퍼면에는 제1절개홈이, 상기 몸통에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밀려 상기 테이퍼면들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을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let valve includes: a case having an air passage in front and rear; A piston communicating with and disengaging the air passage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case; And a spring for providing a force for pushing the piston toward the outlet of the air passage, wherein an outlet of the air passage is formed with a tapered surface whose diameter is reduced, and a tapered surface is also formed behind the body of the piston, A first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iston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torso so that when the piston is pushed to separate the tapered surfaces,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Can pass through.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패드 형태를 유지하는 패드형 튜브; 상기 패드형 튜브 내측에 평행하게 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형 프레임; 상기 패널형 프레임이 상기 패드형 튜브와 함께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패널형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dded tube is filled with air to maintain a pad shape. At least one panel-shaped frame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padded tube; And a hinge connecting between the panel-type frames so that the panel-type frames can be folded together with the pad-type tubes.

바람직하게는, 에어가 주입되면 기둥 형태를 이루게 되는 기둥형 튜브; 상기 기둥형 튜브 내측에 180도 각도마다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된 기둥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lumnar tube is in the form of a column when air is injected; And a column frame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angle of 180 degrees to the inside of the columnar tube.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패드 형태를 유지하는 패드형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형 튜브에는 조립홈이, 상기 기둥형 튜브 끝단에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조립구가 구비되되, 상기 조립홈과 상기 조립구의 단면은 조립 후 빠지지 않도록 입구의 직경이 감소되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padded tube in which air is injected to maintain a pad shape, wherein the padded tube has an assembly groove, and an end of the column tube has an assembly hole to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assembly groove and the assembly hole may have a spher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inlet is reduced so as not to be removed after assembl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에어튜브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이 필요 없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1)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to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air tub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frame can be omitted, and a lightweight structure can be obtained with a very simple structure.

(2) 본 발명은 이동식 워터 파크를 이루는 복수개의 에어튜브가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에어튜브가 터지더라도 그 주변의 다른 에어튜브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형상과 부력을 함께 유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air tubes constituting a mobile water park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if one of the air tubes is blown, they are supported by other air tubes around the same,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에어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에어튜브에 에어를 넣기 전의 일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인렛 밸브의 단면도로서, 도 4는 노즐을 끼우기 전을, 도 5는 노즐을 끼운 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미들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웃렛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에서 일부의 에어튜브가 파손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인렛 밸브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미들 밸브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아웃렛 밸브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패드형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패드형 튜브를 접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기둥형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기둥형 튜브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의 일부 구성요소인 패드형 튜브와 기둥형 튜브가 조립된 상태인 도 15의 A부의 단면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tube which is a component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part of the air tube, which is a part of the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tube.
4 and 5 are sectional views of an inlet valve which is a component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state before the nozzle is fitted, and Fig. 5 shows a state after the nozzle is fitt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ddle valve which is a component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an outlet valve which is a component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air tube is broken in the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inlet valve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middle valve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valve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dded tube which is a component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a folded padded tube, which is a component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a columnar tube, which is a component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of a columnar tube, which is a component of a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5 in a state in which a padded tube and a pillar tube, which are a part of the mobile water p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where a section such as a layer, a film, an area, a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section,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On the contrary, where a section such as a layer, a film, an area, a plate, etc. is referred to as being "under" another sec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section is "directly underneath"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1)가 수상(200)에 설치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re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a mobile water par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quarium 2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이동식 워터 파크(1)는 에어튜브들(10), 인렛 밸브(20), 미들 밸브(30), 아웃렛 밸브(40)를 포함한다.A water mobile water park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ir tubes 10, an inlet valve 20, a middle valve 30 and an outlet valve 40.

상기 에어튜브(10)는 내부에 사람이나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고 에어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연통로를 구비한다.The air tube 1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ir tube 10 so that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erson or an object is formed therein, and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ath so that air is sequentially supplied.

상기 에어튜브(10)는 내부에 에어가 충진될 수 있도록 밀폐형으로 제작되고, 에어가 충진되는 경우 그 형태는 일정한 두께의 패널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에어튜브(10)는 그 평면도가 오각형 형태의 에어튜브에 각 변마다 육각형의 에어튜브를 면접하도록 연결하여 마치 축구공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 밖에도 패드형, 기둥형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ir tube 10 is formed in a hermetically sealed manner so that the air can be filled therein. When the air tube 10 is filled with air, the air tube 10 is formed to have a panel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Referring to FIG. 3, the air tube 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occer ball by connecting a hexagonal air tube in each side to an air tube of a pentagonal shape in plan view.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y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ad type and a column type.

상기 에어튜브(10)는 서로 면접하는 경계면을 봉제하여 완성하고, 물론 그 부분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플렉서블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와 같은 반구형의 형태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air tube 10 is completed by sewing an interface to be interfaced with each other. Of course, since the air tube 10 is formed to be flexible so as to be slightly rotated around its center, a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2 can be realized.

상기 에어튜브(10) 중에는 마무리를 위하여 하부에는 오각형 육각형이 아닌 형태로 제작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ir tube 10 may have a portion that is formed in a shape not having a pentagonal hexagonal shape in its lower portion for finishing.

상기 에어튜브(10) 중에는 도어(14)를 가지도록 튜브 형태를 제작하여 봉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워터 파크에 소요되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ir tube 10, a tubular shape having a door 14 may be formed and sew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mobile water park as shown in FIG.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에어튜브(10)들은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이웃하는 에어튜브(10)에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그 연통로에는 밸브(20,30,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3, the air tubes 10 are formed with communication paths communicating with the neighboring air tubes 10 so that the air tubes 10 can be successively communicated sequentially, and valves 20, 30, Respectively.

상기 에어튜브(10)는 처음으로 에어가 채워지는 노즐 입구(21a)가 구비된 스타팅 에어튜브(11)와, 마지막으로 에어가 채워지는 노즐 출구(41a)가 구비된 엔딩 에어튜브(13)와, 그 중간에 연결된 미들 에어튜브(12)들로 구성된다.The air tube 10 includes a starting air tube 11 having a nozzle inlet 21a filled with air for the first time and an ending air tube 13 having a nozzle outlet 41a filled with air, And intermediate air tubes 12 connected in the middle thereof.

상기 스타팅 에어튜브(11) 입구에 인렛 밸브(20)가 설치되고, 상기 스타팅 에어튜브(11) 다음으로 에어가 공급되는 미들 에어튜브(12) 사이의 연통로에는 미들 밸브(30)가 설치된다.An inlet valve 20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starting air tube 11 and a middle valve 30 is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starting air tube 11 and the middle air tube 12 to which air is supplied next .

그 다음, 상기 미들 에어튜브(12)를 연통하는 연통로에는 미들 밸브(20)가 설치되어 있고, 마지막으로 엔딩 에어튜브(12)의 출구에는 아웃렛 에어튜브(13)가 설치된다.Next, a middle valve 20 is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path for communicating the middle air tube 12, and finally, an outlet air tube 13 is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ending air tube 12.

상기 인렛 밸브(20)는 상기 스타팅 에어튜브(11) 입구에 설치되어 노즐(100)이 연결되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The inlet valve 20 is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starting air tube 11 and is opened to supply air when the nozzle 100 is connected.

상기 미들 밸브(30)는 상기 인렛 밸브(20)를 통하여 스타팅 에어튜브(11)가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다음 미들 에어튜브(12)로 에어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개방된다.The middle valve 30 is opened to sequentially supply air to the next middle air tube 12 when the starting air tube 11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through the inlet valve 20.

상기 아웃렛 밸브(40)는 상기 미들 밸브(3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가 마지막으로 공급되는 엔딩 에어튜브(13)에 설치되어 노즐(100)이 연결되면 에어가 토출되도록 개방된다.The outlet valve 40 is installed in the ending air tube 13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middle valve 30 is finally supplied and is opened to discharge the air when the nozzle 100 is connected.

상기 인렛 밸브(20)는, 도 4, 5, 9를 참고하면, 전후방에 에어통로(21a,21d)를 구비한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21a,21d)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23)과, 상기 피스톤(23)을 상기 에어통로(21a,21d)의 입구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22)으로 구성된다.4, 5, and 9, the inlet valve 20 includes a case 21 having front and rear air passages 21a and 21d, 21a and 21d and a spring 22 for providing a force to push the piston 23 toward the inlet of the air passages 21a and 21d.

여기서, 상기 에어통로(21a,21d)의 입구에는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면(21b)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23)의 몸통(23d) 전방에도 테이퍼면(23b)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23)의 테이퍼면(23b)에는 제1절개홈(23a)이, 상기 몸통(23d)에는 제2절개홈(23c)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3)이 밀려 상기 테이퍼면(21b,23b)들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23a)과, 제2절개홈(23c)을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된다.A tapered surface 21b having an increased diameter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air passages 21a and 21d and a tapered surface 23b is formed in front of the body 23d of the piston 23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cutout groove 23a is formed in the tapered surface 23b of the piston 23 and a second cutout groove 23c is formed in the body 23d so that the piston 23 is pushed to the tapered surface 21b 23b are open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 grooves 23a, 23c.

상기 미들 밸브(30)는, 도 6과 도 10을 참고하면, 전후방에 에어통로(31a,31d)를 구비한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31a,31d)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30)과, 상기 피스톤(33)을 상기 에어통로(31a,31d)의 입구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32)으로 구성된다.6 and 10, the middle valve 30 includes a case 31 having front and rear air passages 31a and 31d and a case 31 having front and rear air passages 31a and 31d, 31a and 31d and a spring 32 for providing a force to push the piston 33 toward the inlet of the air passages 31a and 31d.

여기서, 상기 에어통로(31a,31d)의 입구에는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면(31b)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3)의 몸통(33c) 전방에도 테이퍼면(33a)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33)의 테이퍼면(33a)의 후방 몸통(33c)에는 제1절개홈(33b)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33)이 밀려 상기 테이퍼면들(31b,33a)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33b)을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된다.A tapered surface 31b having an increased diameter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air passages 31a and 31d and a tapered surface 33a is formed in front of the body 33c of the piston 33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cutting groove 33b is formed in the rear body 33c of the tapered surface 33a of the piston 33. When the piston 33 is pushed to separate the tapered surfaces 31b and 33a from each other, And is open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first incision groove 33b.

상기 아웃렛 밸브(40)는, 도 7과 도 11을 참고하면, 전후방에 에어통로(41d,41a)를 구비한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41d,41a)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43)과, 상기 피스톤(43)을 상기 에어통로(41a,41d)의 출구(41a)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된다.7 and 11, the outlet valve 40 includes a case 41 having front and rear air passages 41d and 41a and an air passage 41d And a spring 42 for providing a force to push the piston 43 toward the outlet 41a of the air passages 41a and 41d.

여기서, 상기 에어통로(41a,41d)의 출구(41a)에는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41b)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43)의 몸통(43d) 후방에도 테이퍼면(43b)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43)의 테이퍼면(43b)에는 제1절개홈(43a)이, 상기 몸통(43d)에는 제2절개홈(43c)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43)이 밀려 상기 테이퍼면들(41b,43b)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43a)과, 제2절개홈(43c)을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된다.A tapered surface 41b whose diameter is reduced is formed at the outlet 41a of the air passages 41a and 41d and a tapered surface 43b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43d of the piston 43, A first incision groove 43a is formed in the tapered surface 43b of the piston 43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43c is formed in the body 43d so that the piston 43 is pushed, When the surfaces 41b and 43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ir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first cutout groove 43a and the second cutout groove 43c.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에어튜브(10)는 스타팅 에어튜브(11) 입구의 인렛 밸브(20)에 노즐(100)을 끼우고 에어를 펌프 등의 장비를 통하여 공급하게 되면, 에어는 상기 스타팅 에어튜브(11)를 채우게 된다.When the nozzle 100 is inserted into the inlet valve 20 at the inlet of the starting air tube 11 and the air is supplied through equipment such as a pump, the air tub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The air tube 11 is filled.

상기 스타팅 에어튜브(11)의 내부가 채워져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미들 밸브(30)가 개방되면서 에어가 미들 튜브(12)를 순차적으로 채우기 시작한다.When the inside of the starting air tube 11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he middle valve 30 is opened and air starts to fill the middle tube 12 sequentially.

상기 미들 튜브(12)에 에어가 채워져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그 다음 미들 튜브(12)와 연결하는 미들 밸브(30)가 개방되어 에어가 다음 미들 튜브(12)에 채워지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엔딩 에어튜브(13)까지 에어를 충진한다.When the middle tube 12 is filled with air and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he middle valve 30 connected to the next middle tube 12 is opened, and the air begins to be filled in the next middle tube 12. In this manner, the air is filled up to the ending air tube 13.

모든 에어튜브(10)에 에어가 충진되면 이동식 워터 파크(1)를 수상 또는 지면에 고정하여 설치를 마감하게 된다.When all of the air tubes 10 are filled with air, the mobile water park 1 is fixed to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surfac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반대로, 에어튜브(10)에서 에어를 빼내는 경우에는 상기 엔딩 에어튜브(13)의 아웃렛 밸브(40)에 노즐(100)을 끼우고 진공압을 가하여 공기를 빼내게 된다. 에어를 채우는 경우와 반대로 순차적으로 에어가 빠지면서 에어튜브(10)들이 쪼그라들게 되고, 이를 접어 수납하여 이동하면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air is taken out from the air tube 10, the nozzle 10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valve 40 of the ending air tube 13, and air pressure is applied by applying a vacuum pressure. Contrary to the case of filling the air, the air tubes 10 are shrunk as the air is sequentially discharged, and the air tubes 10 are folded and stored.

물론, 에어를 빼내는 경우, 진공압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노즐(100)을 끼우고 사람이 힘을 가하여 공기를 빼낼 수도 있다.Of course, when the air is taken out, a pump may be used as a means for providing the vacuum pressure, but the nozzle 100 may be inserted and a person may apply force to draw air out.

도 2를 참고하면, 에어가 모든 에어튜브(10)에 공급되어 이동식 워터 파크(1)의 일부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어(14)를 이루는 에어튜브도 구비되어 있고, 스타팅 에어튜브(11)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엔딩 에어튜브(13)에 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ir is supplied to all the air tubes 10 to show that a part of the mobile water park 1 is completed. It is also seen that an air tube constituting the door 14 is also provided, an inlet is formed in the starting air tube 11, and an outlet is provided in the ending air tube 13.

도 3을 참고하면, 에어튜브들(10)이 밸브들(20,30,40)에 의해 연결된 일례를 볼 수 있다.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순차적으로 에어튜브들(10)이 에어로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air tubes 10 are connected by valves 20, 30, and 40. The air tubes 10 are sequentially filled with air as indicated by arrows.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스타팅 에어튜브(11)의 에어 입구에 구비된 인렛 밸브(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인렛 밸브(2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에어통로(21a,21d)의 테이퍼면(21b)에 피스톤(23)의 테이퍼면(23b)이 밀착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타팅 에어튜브(11) 내부는 밀폐된 상태이다.Referring to FIGS. 4 and 5, an inlet valve 20 provided at an air inlet of the starting air tube 11 is shown.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let valve 20 is closed. Since the tapered surface 23b of the piston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pered surface 21b of the air passages 21a and 21d, the inside of the starting air tube 11 is in a sealed state.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스타팅 에어튜브(11)에 노즐(100)이 끼워져 인렛 밸브(20)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피스톤(23)이 노즐(100)에 밀리고, 에어는 제1, 2절개홈(23a,23c)을 통과하여 내부로 공급된다.5, the nozzle 100 is inserted into the starting air tube 11, and the inlet valve 20 is opened. The piston 23 is pushed by the nozzle 100 and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 grooves 23a and 23c.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미들 에어튜브(12)에 설치되는 미들 밸브(30)의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앞쪽의 에어튜브(11,12)에 에어가 채워져 일정 이상 압력에 도달하면 압력에 의해 피스톤(30)이 후방으로 스프링(3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테이퍼면(31b,33a)이 서로 이격되어 결국 에어가 제1절개홈(33b)을 따라 공급되게 된다.6, an operation state of the middle valve 30 installed in the middle air tube 12 is shown. When the front air tubes 11 and 12 are filled with air and reach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he piston 30 moves backward over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2 by the pressure and the tapered surfaces 31b and 33a move So that air is supplied along the first incision groove 33b.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엔딩 에어튜브(13)의 아웃렛 밸브(40)의 동작을 볼 수 있다. 공기를 빼내기 위한 노즐(100)이 연결된 상태로서, 피스톤(43)이 밀려 있고, 에어는 제1,2절개홈(43b,43a)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7, the operation of the outlet valve 40 of the ending air tube 13 can be seen. The piston 43 is pushed and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 grooves 43b and 43a while the nozzle 100 for discharging air is connected.

도 8을 참고하면, 중간의 어느 한 에어튜브가 파손된 경우를 보여준다. 한 개의 에어튜브가 파손되더라도 주변의 에어튜브들에 의해 이동식 워터 파크 구조물이 지지되기 때문에 구조물로서의 역할을 계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is shown that one of the middle air tubes is broken. Even if one air tube is broken, the mobile water park structure can be supported by the surrounding air tubes,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continu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워터 파크(1)는 도 1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패드 형태를 유지하는 패드형 튜브(10)와, 상기 패드형 튜브(110) 내측에 평행하게 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형 프레임(115)과, 상기 패널형 프레임(115)이 상기 패드형 튜브(110)와 함께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패널형 프레임(115)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12 to 16, the mobile water par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type tube 10 in which air is injected to maintain a pad shape, A hinge 116 connecting between the panel type frame 115 and the panel type frame 115 so that the panel type frame 115 can be folded together with the pad type tube 11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패널형 프레임(115)과 힌지(116)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anel frame 115 and the hinge 116 are preferably made of aluminum.

또한, 도 14를 참고하면, 에어가 주입되면 기둥 형태를 이루게 되는 기둥형 튜브(120)와, 상기 기둥형 튜브(120) 내측에 180도 각도마다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된 기둥 프레임(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 프레임(125)에 의해 상기 기둥형 튜브(120)가 세워진 채로 가해지는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한다.14, a columnar tube 120 having a column shape when air is injected and a column frame 125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angle of 180 degrees inside the columnar tube 120 . The column frame 125 allows the columnar tube 120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standing up.

여기서, 상기 기둥 프레임(125)도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lumn frame 125 is also preferably made of aluminum.

이때, 도 15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패드형 튜브(110)에는 구형 홈부(111)가, 상기 기둥형 튜브(120) 끝단에는 상기 구형 홈부(111)에 삽입되는 구형 돌출부(121)가 구비되되, 상기 구형 홈부(111)와 상기 구형 돌출부(121)의 단면은 조립 후 빠지지 않도록 입구의 직경이 감소되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먼저 구형 돌출부(121)를 상기 구형 홈부(111)에 삽입하고, 상기 패드형 튜브(110)와 상기 기둥형 튜브(120)에 에어를 공급하면 도 16과 같은 상태로 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물론 그 반대로 공기를 배출시키면 쉽게 분리된다.15 and 16, a spherical groove 111 is formed in the pad-shaped tube 110 and a spherical protrusion 121 inserted in the spherical groove 111 at the end of the columnar tube 120 The cross section of the spherical groove 111 and the spherical projection 121 may have a spherical shape whose diameter of the inlet is reduced so as not to fall out after assembly. Therefore, when the spherical protrusion 121 is inserted into the spherical groove 111 and air is supplied to the padded tube 110 and the columnar tube 120, the state shown in Fig. 16 is not achieved. Of course, the air can easily be separated if it is discharg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이동식 워터 파크
10 : 에어튜브 11 : 스타팅 에어튜브
12 : 엔딩 에어튜브 13 : 미들 에어튜브
14 : 도어 20 : 인렛 밸브
30 : 미들 밸브 40 : 아웃렛 밸브
23, 33, 43 : 피스톤 100 : 노즐
110 : 패드형 튜브 111 : 구형 홈부
120 : 기둥형 튜브 121 : 구형 돌출부
1: Mobile water park
10: air tube 11: starting air tube
12: ending air tube 13: middle air tube
14: Door 20: Inlet valve
30: Middle valve 40: Outlet valve
23, 33, 43: piston 100: nozzle
110: pad-shaped tube 111: spherical groove
120: columnar tube 121: spherical protrusion

Claims (8)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고 에어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연통로를 구비한 복수개의 에어튜브;
상기 에어튜브 중에 어느 하나의 에어튜브에 에어 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노즐이 연결되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인렛 밸브;
상기 연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인렛 밸브를 통하여 에어튜브가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다음 에어튜브로 에어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미들 밸브; 및
상기 미들 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가 마지막으로 공급되는 에어튜브에 설치되어 노즐이 연결되면 에어가 토출되도록 개방되는 아웃렛 밸브;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패드 형태를 유지하는 패드형 튜브;
상기 패드형 튜브 내측에 평행하게 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형 프레임;
상기 패널형 프레임이 상기 패드형 튜브와 함께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패널형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
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 밸브는, 전후방에 에어통로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에어통로의 입구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통로의 입구에는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몸통 전방에도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의 테이퍼면에는 제1절개홈이, 상기 몸통에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노즐에 밀려 상기 테이퍼면들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노즐 내부와 상기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을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되며,
상기 미들 밸브는, 전후방에 에어통로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에어통로의 입구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통로의 입구에는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몸통 전방에도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의 테이퍼면의 후방 몸통에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밀려 상기 테이퍼면들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을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되며,
상기 아웃렛 밸브는, 전후방에 에어통로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에어통로를 연통 및 해제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에어통로의 출구 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통로의 출구에는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몸통 후방에도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며, 상기 피스톤의 테이퍼면에는 제1절개홈이, 상기 몸통에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이 노즐에 밀려 상기 테이퍼면들이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과 상기 노즐 내부를 통하여 에어가 통과되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터 파크.
A plurality of air tube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 space therein and having communication paths for supplying air sequentially;
An inlet valve provided in an air tube of any one of the air tubes and opened to supply air when the nozzle is connected to the inlet;
A middle valve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path and opened to sequentially supply air to the next air tube when the air tube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through the inlet valve; And
An outlet valve installed in an air tube to which air supplied through the middle valve is supplied lastly and is opened to discharge air when the nozzle is connected;
A pad type tube in which an air is injected into the inside to maintain a pad shape;
At least one panel-shaped frame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padded tube;
A hinge connecting between the panel-shaped frames such that the panel-shaped frame folds together with the padded tubes;
Lt; / RTI >
The inlet valve includes a case having an air passage at front and rear sides; A piston communicating with and disengaging the air passage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case; And a spring for providing a force for pushing the piston toward an inlet of the air passage, wherein an inlet of the air passage has a tapered surface enlarged in diameter, and a tapered surface is formed in front of the body of the piston, A first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iston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torso so that when the piston is pushed by the nozzle and the tapered surfaces are spaced apart, 2 is opened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The middle valve includes a case having an air passage at front and rear sides; A piston communicating with and disengaging the air passage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case; And a spring for providing a force for pushing the piston toward an inlet of the air passage, wherein an inlet of the air passage has a tapered surface enlarged in diameter, and a tapered surface is formed in front of the body of the piston, Wherein a first cutout groove is formed in a rear body of the tapered surface of the piston so a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first cutout groove when the piston is pushed to separate the tapered surfaces,
The outlet valve includes a case having an air passage at front and rear sides; A piston communicating with and disengaging the air passage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case; And a spring for providing a force for pushing the piston toward the outlet of the air passage, wherein an outlet of the air passage is formed with a tapered surface whose diameter is reduced, and a tapered surface is also formed behind the body of the piston, A first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tapered surface of the piston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torso so that when the piston is pushed by the nozzle to separate the tapered surfaces, And the air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는 오각형의 에어튜브에 육각형의 에어튜브가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터 파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tube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a hexagonal air tube in a pentagonal air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에어가 주입되면 기둥 형태를 이루게 되는 기둥형 튜브;
상기 기둥형 튜브 내측에 180도 각도마다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된 기둥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터 파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lumnar tube in the form of a column when air is injected;
A column frame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angle of 180 degrees inside the columnar tube;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7항에 있어서,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패드 형태를 유지하는 패드형 튜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형 튜브에는 조립홈이, 상기 기둥형 튜브 끝단에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조립구가 구비되되, 상기 조립홈과 상기 조립구의 단면은 조립 후 빠지지 않도록 입구의 직경이 감소되는 구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터 파크.
8. The method of claim 7,
A pad type tube in which an air is injected into the inside to maintain a pad shap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padded tube has an assembling groove and the end of the column tube has an assembling hole to be inserted into the assembling groov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assembling groove and the assembling hole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Features a removable water park.
KR1020160119803A 2016-09-20 2016-09-20 movable water park KR1017234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03A KR101723489B1 (en) 2016-09-20 2016-09-20 movable water pa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03A KR101723489B1 (en) 2016-09-20 2016-09-20 movable water pa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489B1 true KR101723489B1 (en) 2017-04-06

Family

ID=5858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803A KR101723489B1 (en) 2016-09-20 2016-09-20 movable water pa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48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849Y1 (en) * 2000-10-23 2001-04-02 전홍수 An apparatus for playing in the water
KR20010088576A (en) 2001-08-08 2001-09-28 이희재 Aqua leisure park using for inflatable apparatus
US7322309B2 (en) * 2006-03-30 2008-01-29 Nautic & Art Inc. Inflatable structure
KR20150124220A (en) * 2014-04-28 2015-11-05 (주)에어박스 amusement park on the water
KR101625946B1 (en) * 2015-11-10 2016-05-31 세세건설 주식회사 Dome type playing facilities having air inje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849Y1 (en) * 2000-10-23 2001-04-02 전홍수 An apparatus for playing in the water
KR20010088576A (en) 2001-08-08 2001-09-28 이희재 Aqua leisure park using for inflatable apparatus
US7322309B2 (en) * 2006-03-30 2008-01-29 Nautic & Art Inc. Inflatable structure
KR20150124220A (en) * 2014-04-28 2015-11-05 (주)에어박스 amusement park on the water
KR101625946B1 (en) * 2015-11-10 2016-05-31 세세건설 주식회사 Dome type playing facilities having air injec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983A (en) Combination water slide and pool
US11498010B2 (en) Inflatable surfing apparatus
ES2272574T3 (en) FOAM FORMATION UNIT.
EP3566223B1 (en) A training manikin
US7703696B2 (en) Sprinkler toy with geyser-like burst of water
US6312341B1 (en) Water slide with cushioning
WO2018003375A1 (en) Foam discharge container
KR101723489B1 (en) movable water park
EP3736028B1 (en) Slide, inflatable water slide and pool
JP7182032B2 (en) Aerial balloon-splitting toy, amusement flying object, balloon-splitting toy, and balloon-splitting method
CN110857736A (en) One-way valve and massage water pool air supply system
DE20214808U1 (en) Soft candy unit
KR100904117B1 (en) Play apparatus
US20110212664A1 (en) Inflatable Recreational Device
WO2017186169A1 (en) Wearable inflatable
KR101706984B1 (en) Transformable Swimming Tube Assembly
TW201447218A (en) Water toy with bellows
US20070077855A1 (en) Inflatable self-sealing toy
KR20130140521A (en) Utensil for leisure of sphere forms
KR102618043B1 (en) Omnidirectional treadmill
CN211536513U (en) Wet-free water gun inflating fort
KR200424910Y1 (en) A rocket driven by water
US10935341B2 (en) Liquid jet ejection device
KR200475433Y1 (en) Adballoon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gas leak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using the same adballoon
CN112774213A (en) Wet-free water gun inflating f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