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268B1 -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268B1
KR101723268B1 KR1020140134541A KR20140134541A KR101723268B1 KR 101723268 B1 KR101723268 B1 KR 101723268B1 KR 1020140134541 A KR1020140134541 A KR 1020140134541A KR 20140134541 A KR20140134541 A KR 20140134541A KR 101723268 B1 KR101723268 B1 KR 10172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downlink control
duplex mode
primary cel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630A (ko
Inventor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480046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474561B/zh
Priority to US14/910,060 priority patent/US10200983B2/en
Priority to PCT/KR2014/009922 priority patent/WO2015060631A1/ko
Publication of KR2015004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hybrid frequency-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8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서빙 셀 간의 캐리어 병합 상황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포맷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단계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서빙 셀 간의 캐리어 병합 상황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포맷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병합하여 단말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기술과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캐리어 병합 기술과 이중 연결 기술에서 단말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의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서빙 셀들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정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단말이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서빙 셀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서빙 셀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정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단계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셀 간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되는 단계 및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고, 복수의 셀 간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되는 제어부 및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서빙셀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서빙 셀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정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FDD 듀플렉스 모드의 프레임 구조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TDD 듀플렉스 모드의 프레임 구조 타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TDD 프레임 구조에서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 노드 무선자원 병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FDD 상향링크 밴드가 TDD 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내에서의 제어채널(control channel)을 전송하기 위한 제어영역(control region) 전송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중 캐리어(Multiple carrier)상으로 PDSCH의 전송 시, 매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전송되는 제어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PDSCH의 전송에 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이 전송방법 및 사용처에 따라서 구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 여부를 전송하는 정보요소를 예시적으로 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CI 포맷을 지정하는 정보 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3GPP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로 2가지 타입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가 정의되었다.
도 1은 FDD 듀플렉스 모드의 프레임 구조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프레임 구조 타입(Frame structure type) 각각 10ms의 라디오 프레임 간격(radio frame interval) 동안 10개의 1ms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10개의 1ms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구조이다. 도 1의 프레임 구조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이다.
예를 들어, FDD 모드의 프레임 구조는 상향링크 주파수 밴드와 하향링크 주파수 밴드의 페어(pair)를 갖는다. 단말은 상향링크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기지국으로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FDD 및 TDD 각각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FDD 프레임 구조 및 TDD 프레임 구조라고 표현한다. 또는, 프레임 구조가 TDD인 경우라고 기재하는 경우에 TDD 듀플렉스 모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프레임 구조가 FDD인 경우라고 기재하는 경우에 이는 FDD 듀플렉스 모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의미한다.
도 2는 TDD 듀플렉스 모드의 프레임 구조 타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는 달리 도 2의 프레임 구조 타입(Frame structure type)은 10ms의 무선 프레임 간격(Radio frame interval) 동안 각각 1ms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 축에서 듀플렉싱(duplexing)이 이루어지는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이다.
단, TDD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에서의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은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의 전환을 위한 단말에서의 GP(Guard Period) 확보를 위한 서브프레임이다. 현재의 LTE/LTE-Advanced TDD 시스템에서는 도 3과 같이 총 7개의 TDD UL-DL 구성(configurations)을 지원하고 있다.
도 3은 TDD 프레임 구조에서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configuration)은 0에서 6까지 총 7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 축 상 배열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한 구성 0의 경우에 0번째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이후 순서대로 스페셜 서브프레임과 3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배치된다. 이후 동일한 순서로 5개의 서브프레임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TDD 에서는 서브프레임의 배치에 따른 구성(configuration)이 정의되어 있다. 한편, D로 표시된 것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이며, U로 표시된 것은 업링크 서브프레임(uplink subframe)이며, S로 표시된 것은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 노드 무선자원 병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 및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이 중첩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은 F1 주파수를 사용하며, 스몰 셀은 F2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듀플렉스 모드도 매크로 셀은 FDD 모드를 스몰 셀은 TDD 모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매크로 셀이 TDD 모드, 스몰 셀이 FDD 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동일한 듀플렉싱 모드일 수도 있다.
현재 3GPP에서 정의된 LTE/LTE-Advanced 시스템 표준에 따르면 LTE Release-8/9 시스템에서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해 각각의 이동통신 사업자 별로 단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FDD 혹은 TDD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했다.
하지만 3GPP LTE/LTE-Advanced Release-10부터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병합하여 단말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이 도입되었다. 하지만 해당 캐리어 병합 기술은 동일한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간에만 그 병합이 지원되었다. 즉, FDD 듀플렉스 모드로 단말을 지원하는 사업자들은 FDD 주파수 대역 간의 캐리어 병합만 가능하고, 마차자기로 TDD 듀플렉스 모드 기반으로 단말을 지원하는 사업자들은 TDD 주파수 대역 간의 캐리어 병합만 지원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FDD 주파수 대역과 TDD 주파수 대역을 모두 확보한 LTE/LTE-Advanced 사업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할당된 FDD 주파수 대역과 TDD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joint TDD-FDD operation 방안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캐리어 병합 시나리오 1~4 기반의 FDD+TDD 캐리어 병합 지원 방안 및 매크로 셀(macro cell) 기지국과 스몰 셀(small cell) 기지국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지원 시, 동일한 듀플렉스 모드 기반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뿐 아니라, FDD 셀과 TDD 셀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지원 방안 등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도 5는 FDD 상향링크 밴드가 TDD 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joint TDD-FDD operation의 다른 시나리오로서, 전형적인 하향링크 트래픽 집중(DL-centric traffic asymmetry) 환경에서 FDD 하향링크 채널 자원(DL channel resource)의 부족 및 FDD 상향링크 채널 자원(UL channel resource)의 낭비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FDD의 상향링크 밴드의 서브프레임 중 일부를 하향링크를 위해서 사용하는 시나리오가 제시되고 있다. 즉, 도 4와 같이 FDD UL-DL 페어(pair)에서 UL 밴드(주파수 대역)의 UL 서브프레임(subframe) 중 일부를 하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DL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당 FDD UL 채널을 TDD로 동작시키는 시나리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속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캐리어 병합, 이중 연결 및 상향링크 밴드를 TDD로 동작시키는 시나리오와 같은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 경우에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캐리어 또는 서빙셀이 병합되어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이 단말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해당 캐리어 또는 서빙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이 변동되므로 전술한 상황에서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호성의 방지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하향링크 PDCCH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format)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도 6은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내에서의 제어채널(control channel)을 전송하기 위한 제어영역(control region) 전송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해당 제어 영역(control region)(610)에는 PHICH, PCFICH, PDCCH의 전송이 포함된다. 상기 제어 영역은 1 내지 3 OFDM 심볼(1~3 OFDM symbol)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여기서 PDCCH는 PCFICH에 의해 지시된 PDCCH가 전송되는 OFDM 심볼의 수에 PHICH와 PCFICH가 사용된 리소스를 제외한 영역에 고루 퍼져서 할당되며 전송된다. 제어 시그널링(control signaling)과 셀 특이적 참조 심볼(Cell-Specific Reference symbol)이 서브프레임 내에 분포되어 있다.
도 7은 다중 캐리어(Multiple carrier)상으로 PDSCH의 전송시 매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전송되는 제어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PDSCH의 전송에 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710 및 720은 다중 캐리어 상으로 PDSCH의 전송 시 매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제어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PDSCH의 전송의 예시이다. 710, 720의 CC #1, #2, #3은 각각 제 1 요소 반송파, 제 2 요소 반송파, 제 3 요소 반송파를 의미한다. 도 7은 다중 캐리어(Multiple carrier)상으로 PDSCH의 전송 시 매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제어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PDSCH의 전송에 관한 도면으로, 710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없는 실시예(No cross-carrier scheduling)으로 캐리어 지시자(carrier indicator)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되지 않는다. 710은 다중 캐리어 상에서 셀프 캐리어 스케줄링(self-carrier scheduling)으로 각각의 캐리어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캐리어에 별도로 PDCCH가 존재하여 해당 PDSCH를 스케줄링한다. 이는 1ms 서브프레임 내에서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는 제어채널에 의해 각각의 캐리어에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720은 다중 캐리어 상에서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을 나타내며 DCI 내에 캐리어 지시자가 포함된다. 하나의 캐리어에서 여러 개의 캐리어에 PDSCH를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캐리어에 존재하는 PDCCH가 여러 개의 캐리어상으로 전송이 가능한 PDSCH를 스케줄링한다. 720의 실시예 역시 710과 같이 1ms 서브프레임 내에서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는 제어채널에 의해 다중 캐리어에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이 전송방법 및 사용처에 따라서 구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하향링크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grant)를 의미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이다. 각각의 상/하향링크 전송방법과 사용처에 따라 DCI 포맷들이 각각 구분되어 전송하게 된다.
단, 도 8에서 동일한 DCI 포맷(format)이라고 할지라도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에 따라서, 즉 FDD 시스템인지 혹은 TDD 시스템인지에 따라서 해당 DCI 포맷을 구성하는 정보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동일한 DCI 포맷이라고 하더라도 캐리어 또는 서빙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DCI 포맷을 구성하는 정보 영역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일 예로, DAI(Downlink Assignment Index) 정보 영역의 존재여부 또는 HARQ(Hybrid-ARQ) 프로세스 넘버 할당을 위한 정보 영역의 사이즈 등에서 차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FDD 시스템 및 TDD 시스템에서 각각의 DCI 포맷(format)에 포함된 PUSCH/PDSCH 자원 할당을 위한 정보 영역은 3GPP TS 36.212 문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종래의 3GPP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캐리어 병합 방법에 의하면, 동일한 프레임 구조 또는 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혹은 서빙셀(serving cell) 간의 캐리어 병합만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새롭게 서로 다른 TDD 캐리어(carrier)와 FDD 캐리어(carrier) 간의 캐리어 병합이 적용될 경우, 데이터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컴포넌트 캐리어 혹은 서빙셀(serving cell)의 프레임 구조에 따라 해당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DCI 포맷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적용될 경우, TDD 타입 DCI 포맷과 FDD 타입 DCI 포맷 중 어떤 DCI 포맷을 이용해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것인지, 시나리오 별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TDD와 FDD 캐리어 간에 캐리어 병합이 적용될 경우,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할 DCI 포맷을 정의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특히,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적용될 경우, 해당 서빙셀(serving cell)에 대한 스케줄링 DCI(scheduling DCI)가 전송되는 서빙셀의 프레임 구조에 따라 스케줄링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DCI 포맷을 정의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도록 한다.
캐리어 병합이 적용된 임의의 단말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한 서빙셀(serving cell)에서의 PDSCH 또는 PUSCH 등 데이터 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가 해당 서빙셀(serving cell)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을 통해 전송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 혹은 EPDCCH)을 통해 시그널링(signaling)되는 셀프 스케줄링(self-scheduling) 방법이 있다.
또한, 임의의 한 서빙셀(serving cell)에서의 PDSCH 또는 PUSCH 등 데이터 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가 다른 서빙셀(serving cell)의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시그널링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방법이 있다.
캐리어 병합이 적용된 임의의 단말에 대해 임의의 서빙셀(serving cell) 혹은 컴포넌트 캐리어에서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설정 여부는 다음과 같이 기지국의 상위계층 시그널링(일 예로, RRC signaling)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 여부를 전송하는 정보요소를 예시적으로 제시한 도면이다.
도 9의 크로스캐리어스케줄링구성(CrossCarrierSchedulingConfig) 정보 요소는 특정 셀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사용되로 때 해당 구성을 지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The IE CrossCarrierSchedulingConfig is used to specify the configuration when the cross carrier scheduling is used in a cell).
도 9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되는 각 필드는 표 1에 개시된 역할을 수행한다.
Figure 112014095241347-pat00001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임의의 한 서빙 셀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되는 경우, 해당 서빙 셀에 대한 DL 할당(allocations)과 UL 그랜트(grants)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스케줄링 셀의 정보가 설정되어 전송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된 서빙 셀(serving cell)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스케줄드 셀(scheduled cell)이라 지칭하고, 해당 스케줄드 셀(scheduled cell)의 PDSCH 또는 PUSCH 자원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한 전송이 이루어지는 서빙 셀을 스케줄링 셀(scheduling cell)이라 지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스케줄링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스케줄드 셀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즉, PCell에서 SCell의 PDSCH 또는 PUSCH 자원 할당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FDD 타입 DCI 포맷은 임의의 한 DCI 포맷에 대해 해당 DCI 포맷을 구성하는 정보 영역이 FDD 시스템을 위해 정의된 정보 영역을 따르는 경우를 의미하고, TDD 타입 DCI 포맷은 동일한 DCI 포맷이라도 해당 DCI 포맷을 구성하는 정보 영역이 TDD 시스템을 위해 정의된 정보 영역을 따르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같은 DCI 포맷 1A라고 할지라도, HARQ 프로세스 넘버(HARQ process number) 할당을 위한 정보 영역이 구성됨에 있어서, FDD 시스템의 경우 3비트(bits)로 구성되고, TDD의 경우 4비트(bits)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2비트로 구성된 DAI(Downlink Assignment Index)와 같은 정보 영역은 TDD의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동일한 DCI 포맷이라고 하더라도 정보 영역을 구성함에 있어서, 정보 영역의 종류나 정보 영역의 사이즈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처럼 같은 DCI 포맷 1A라고 할지라도 FDD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정보 영역들로 구성된 DCI 포맷 1A를 FDD 타입 DCI 포맷 1A라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TDD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정보 영역들로 구성된 DCI 포맷 1A를 TDD 타입 DCI 포맷 1A로 지칭한다. 그 외에 다른 DCI 포맷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TDD 타입 DCI 포맷과 FDD 타입 DCI 포맷으로 구분하여 기재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동일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서빙셀(serving cell)들 간의 캐리어 병합만이 허용되었을 때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의 설정 여부와 관계없이 FDD 서빙 셀들에서의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을 위해서는 FDD 타입 DCI 포맷이 이용되었고, TDD 서빙 셀들에서의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을 위해서는 TDD 타입 DCI 포맷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TDD와 FDD 서빙 셀(serving cell)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 간의 캐리어 병합이 적용될 때, 서로 다른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를 지원하는 서빙 셀(serving cell)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 간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적용되는 경우, 어떤 DCI 포맷을 사용해야 할 지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즉, F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할지 또는 T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할지에 대한 정의가 모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서빙 셀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 간에 크로스 스케줄링이 지원될 때,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DCI 포맷의 타입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제시한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기재되는 스케줄링 셀은 전술한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스케줄드 셀은 SCell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서빙 셀로 기재한 부분도 전술한 바와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 scheduling cell frame structure 기반의 DCI format 사용
본 방법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된 스케줄드 셀(scheduled cell)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에 관계없이, 해당 스케줄드 셀(scheduled cell)에 대한 DCI가 전송되는 스케줄링 셀(scheduling cell) 또는 PCell의 프레임 구조에 따라 DCI 포맷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일 예를 들어, FDD 서빙 셀에서의 데이터 채널(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제어 정보(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가 TDD 서빙 셀을 통해 전송될 경우, 해당 FDD 서빙 셀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에 대한 전송이라 할지라도 T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TDD 서빙 셀에서의 데이터 채널(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제어 정보(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가 FDD 서빙 셀을 통해 전송될 경우, 해당 TDD 서빙 셀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역시 FDD 타입 DCI 포맷을 통해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본 제 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단계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은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단말에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10).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로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스케줄드 셀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PCell 또는 스케줄링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 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PCell과 TDD 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SCell이 단말에 구성된 상황에서 SCell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정보를 PCell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SCell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정보를 PCell인 FDD 서빙 셀의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으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단말의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TDD SCell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도 FDD 타입 DCI 포맷으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TDD가 PCell인 경우에 FDD SCell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TDD 타입 DCI 포맷으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의 캐리어 병합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스케줄링 셀(또는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스케줄드 셀(또는 SCell)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이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결정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20).
이 경우에,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듀플렉스 모드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Cell이 FDD인 경우에 TDD SCell(또는 TDD 스케줄드 셀)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도 FDD 타입 DCI 포맷으로 구성되어,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지 않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3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PCell이 TDD인 경우에 FDD SCell(또는 FDD 스케줄드 셀)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도 TDD 타입 DCI 포맷으로 구성되어, 2비트의 DAI를 포함하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4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스케줄드 셀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의 정보 영역을 구성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전술한 캐리어 병합 상황 또는 이중 연결 상황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의 모호성을 해결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셀 간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되는 단계 및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할 수 있다(S1110). 마찬가지로, 단말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단말은 캐리어 병합 또는 이중 연결을 형성한 복수의 셀 간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될 수 있다(S1120). 전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스케줄링 셀이 스케줄드 셀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PCell이 SCell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30). 예를 들어, 단말은 복수의 셀 중 프라이머리 셀(PCell)로 설정된 서빙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구분되어 구성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PCell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인 경우에 TDD SCell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FDD 타입 DCI 포맷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PCell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인 경우에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지 않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3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PCell의 듀플렉스 모드가 TDD인 경우에 2비트의 DAI를 포함하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4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DCI 포맷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지국은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SCell 또는 스케줄드 셀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 스케줄드 셀의 프레임 구조 기반의 DCI 포맷 사용
본 방법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는 반대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된 스케줄드 셀(scheduled cell)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에 따라 해당 스케줄링 셀(scheduling cell)의 DCI 포맷 타입이 결정되도록 정의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FDD 서빙 셀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되어 해당 FDD 서빙 셀에서의 데이터 채널(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제어 정보(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가 TDD 서빙 셀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도 해당 FDD 서빙 셀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정보는 F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반대로 임의의 TDD 서빙 셀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되어 해당 TDD 서빙 셀에서의 데이터 채널(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제어 정보(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가 FDD 서빙 셀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당 TDD 서빙 셀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는 T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 Definition of prioritized DCI format type
제 3 실시예는 DCI 포맷 타입에 우선권(priority)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셀과 스케줄드 셀의 프레임 구조에 따라 사용하는 DCI 포맷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한 예로서 FDD 타입 DCI 포맷에 우선 순위를 두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의의 FDD 서빙 셀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되어 해당 FDD 서빙 셀에서의 데이터 채널(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제어 정보(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가 TDD 서빙 셀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해당 FDD 서빙 셀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는 F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의의 TDD 서빙 셀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되어 해당 TDD 서빙 셀에서의 데이터 채널(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제어 정보(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가 FDD 서빙 셀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라도 TDD 서빙 셀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는 F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또 다른 예로서 TDD 타입 DCI 포맷에 우선 순위를 두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의의 FDD 서빙 셀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되어 해당 FDD 서빙 셀에서의 데이터 채널(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제어 정보(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가 TDD 서빙 셀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해당 FDD 서빙 셀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는 T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의의 TDD 서빙 셀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되어 해당 TDD 서빙 셀에서의 데이터 채널(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제어 정보(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가 FDD 서빙 셀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라도 TDD 서빙 셀을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는 TDD 타입 DCI 포맷을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 RRC signaling 을 통한 DCI 포맷 타입 설정
FDD 서빙 셀과 TDD 서빙 셀 간의 CA 상황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된 경우, 사용할 DCI 포맷 타입을 정의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해당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설정 시, 사용할 DCI 포맷 타입을 함께 설정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signaling)해주도록 정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CI 포맷을 지정하는 정보 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전술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설정을 위한 RRC 시그널링(signaling)에 DCI 포맷 타입 설정 파라미터를 정의하여 도 12와 같이 RRC 시그널링에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RRC 시그널링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일 예로 설명한 것으로 다른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해당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구성 정보에 DCIformatType 인포메이션 엘리먼트가 추가될 수 있다. DCIformatType 인포메이션 엘리먼트는 FDD 또는 TDD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DCIformatType으로 정의된 RRC 파라미터의 설정 여부에 따라 해당 스케줄링 셀에서 해당 스케줄드 셀의 PDSCH 혹은 PUSCH 자원 할당을 위해 사용할 DCI 포맷 타입이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300)은 제어부(1310), 송신부(1320) 및 수신부(133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1300)은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제어부(1310)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로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할 DCI 포맷을 정의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1310)는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단말의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구분되어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10)는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인 경우에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지 않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3비트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10)는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TDD인 경우에 2비트의 DAI를 포함하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4비트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320)는 전술한 방법으로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송신부(1320)와 수신부(13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제어부(1310)는 전술한 제 2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400)은 수신부(1430), 제어부(1410) 및 송신부(1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400)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고, 복수의 셀 간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되는 제어부(1410) 및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10)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거나, 이중 연결을 구성하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430)는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추가적으로 데이터 및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수신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의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인 경우에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지 않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3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TDD인 경우에 2비트의 DAI를 포함하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4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부(142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과 세컨더리 셀(Secodary Cell, SCell)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리 셀과 상기 세컨더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인 경우에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지 않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3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TDD인 경우에 2비트의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4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 간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과 세컨더리 셀(Secodary Cell, SCell)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리 셀과 상기 세컨더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인 경우에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지 않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3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TDD인 경우에 2비트의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4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과 세컨더리 셀(Secodary Cell, SCell)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리 셀과 상기 세컨더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인 경우에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지 않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3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TDD인 경우에 2비트의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4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모드를 갖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셀 간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과 세컨더리 셀(Secodary Cell, SCell)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리 셀과 상기 세컨더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을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인 경우에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지 않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3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포맷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듀플렉스 모드가 TDD인 경우에 2비트의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포함하고, HARQ 프로세스 넘버를 지시하는 정보 영역이 4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134541A 2013-10-25 2014-10-06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723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6410.8A CN105474561B (zh) 2013-10-25 2014-10-22 用于发送和接收下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US14/910,060 US10200983B2 (en) 2013-10-25 2014-10-22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PCT/KR2014/009922 WO2015060631A1 (ko) 2013-10-25 2014-10-22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916 2013-10-25
KR1020130127916 2013-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630A KR20150048630A (ko) 2015-05-07
KR101723268B1 true KR101723268B1 (ko) 2017-04-06

Family

ID=5338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541A KR101723268B1 (ko) 2013-10-25 2014-10-06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00983B2 (ko)
KR (1) KR101723268B1 (ko)
CN (1) CN105474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4564B2 (en) * 2015-01-30 2019-04-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assive carrier aggregation
US10631331B2 (en) * 2016-04-22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Frame structure signaling for multefire
US10616916B2 (en) * 2017-05-31 2020-04-07 Kt Corporation Methods for multiplexing scheduling request information and HARQ ACK/NACK information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UCCH and apparatuses thereof
US20190313385A1 (en) * 2018-04-05 2019-10-10 Qualcomm Incorporated Compact dci for urllc
CN110958094B (zh) * 2018-09-27 2023-03-2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物理下行控制信道的配置方法、检测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4892B (zh) 2009-11-02 2014-12-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系统
US9124406B2 (en) 2009-12-29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Fallback operation for cross-carrier signaling in multi-carrier operation
US8855053B2 (en) 2010-06-18 2014-10-07 Mediatek Inc. Sounding mechanism and configuration under carrier aggregation
TWI462622B (zh) 2010-06-18 2014-11-21 Mediatek Inc 載波聚合下之探測方法以及使用者設備
US9106419B2 (en) 2010-08-16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ACK/NACK transmiss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with downlink assignment index
ES2595411T3 (es) * 2011-09-23 2016-12-29 Lg Electronics Inc. Método y aparato para transmitir información de control
EP3937570B1 (en) 2011-12-22 2024-01-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source grant cancellation
US9258741B2 (en) * 2012-08-03 2016-02-09 Blackberry Limited Carrier aggregation acknowledgement bits
WO2014157993A1 (en) 2013-03-28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ggregation of fdd and tdd cells
US9538503B2 (en) * 2013-03-28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ggregation of FDD and TDD cells
EP2975795B1 (en) * 2013-09-16 2020-03-25 NEC Corporation Lte fdd-tdd carrier aggreg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표준문서(3GPP TS 36.212 V11.3.0, 2013.06.17.)*
표준문서(3GPP TS 36.331 V10.11.0, 2013.09.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74561B (zh) 2019-03-29
US10200983B2 (en) 2019-02-05
CN105474561A (zh) 2016-04-06
KR20150048630A (ko) 2015-05-07
US20160183223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278B2 (en) Adjusting blind decoding of downlink control channel
US10181931B2 (en) Method for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allocation of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CN109328481B (zh) 在下一代无线接入网络中发送或接收数据的方法和设备
KR101587508B1 (ko)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방법 및 그 단말
US111151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US110447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US10531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channel on basis of sub-physical resource block for MTC terminal
KR101723268B1 (ko)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15855B1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2673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134211A (ko) 하향링크에 대한 상향링크로의 응답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90773B1 (ko) Mtc 단말을 위한 부분 물리 자원 블록 기반의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31793A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73536A (ko)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2121009B1 (ko) 짧은 전송 시간 간격의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36909A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90429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23136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83708A (ko) NB-IoT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11419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프레임 구조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29510A (ko)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20249A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전송 및 수신 방법과 그 장치
KR20180023137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80049423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70083707A (ko) NB-IoT 단말을 위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