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228B1 -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228B1
KR101722228B1 KR1020140148635A KR20140148635A KR101722228B1 KR 101722228 B1 KR101722228 B1 KR 101722228B1 KR 1020140148635 A KR1020140148635 A KR 1020140148635A KR 20140148635 A KR20140148635 A KR 20140148635A KR 101722228 B1 KR101722228 B1 KR 101722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compressed air
pipe
container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472A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102014014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2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세정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공기 용기;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되는 세척액 용기;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 토출 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기 용기와 상기 세척액 용기를 연통시키는 제 1 분배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액 용기와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2 분배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 용기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를 유동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동부; 상기 공기 공급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압축공기 용기의 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 용기를 연통시키는 제 1 압축공기 배관; 상기 압축공기 용기로부터 상기 제 1 분배배관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공기 용기와 상기 제 1 분배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2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 1 분배배관으로부터 상기 세척액 용기로 연장되어 상기 세척액 용기와 상기 제 1 분배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3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세척액 용기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2 분배배관과 결합되어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 토출 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정장치{A washer}
본 발명은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비전기식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정장치는 물통, 펌프 장치, 상기 펌프 장치에서 상기 물통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관, 상기 물통에서 외부로 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펌프 장치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펌프 장치는 전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장치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기 세정장치는 물을 일정 시간 계속적으로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펌프 장치의 구동을 위해 비교적 대용량의 전원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게 되어 경량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터리가 모두 방전된 경우에는 상기 세정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세정장치에는 세척액(물)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함께 구비된 전기장치에 물이 흘러들어 누전 및 감전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세정장치에는 세척액(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므로, 다수의 인원이 세정을 원할 경우 세척액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조작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정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공기 용기;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되는 제 1 세척액 용기;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 토출 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기 용기와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를 연통시키는 제 1 분배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2 분배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 용기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를 유동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동부; 상기 공기 공급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압축공기 용기의 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 용기를 연통시키는 제 1 압축공기 배관; 상기 압축공기 용기로부터 상기 제 1 분배배관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공기 용기와 상기 제 1 분배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2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 1 분배배관으로부터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상기 제 1 분배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3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2 분배배관과 결합되어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 배관;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 쪽으로 세척액을 보충해주는 제 2 세척액 용기;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상기 제 2 세척액 용기를 연결하는 제 1 배관;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상기 제 2 세척액 용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배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배관; 및 상기 제 2 배관과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의 연결 부위에 장착되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의 세척수를 토출하기 위한 전기적 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누수 방지를 위한 전기적 안전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단순화,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수동조작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세정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세척액이 수용된 세척액 용기와 세척 유닛을 연결시키는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을 통해 부족한 세척액을 신속하게 보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정장치의 내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정장치에 대용량 세척액 용기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정장치의 내부 단면도 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5)에 구비되어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공기 용기(21)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5)에 구비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액 용기(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위치 또는 기능에 따라 상면부(11), 저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공기 용기(21) 및 세척액 용기(70)가 수용된다.
상기 상면부(11)의 대략 중앙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공기 공급관(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관(31)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공기 용기(21)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36)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36)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즉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손잡이(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6)의 타단은 상기 공기 공급관(31)의 내부, 즉 유동 공간(32)의 단면과 대응하도록 단면이 형성되는 가압부(37)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 공간(32)의 대략 중앙부 내측에는 상기 내주면에서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걸림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37)가 상기 공기 공급관(3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걸림부(34)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 용기(21)는 중앙에 홀이 구비되는 도우넛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공기 용기(21)의 중앙홀(25)에 상기 공기 공급관(31)이 끼워진다.
상기 공기 공급관(31)의 하단에는 제 1 압축공기 배관(38)과 연통하도록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압축공기 배관(38)은 일단이 상기 공기 공급관(31)의 홀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압축공기 용기(21)의 저면에 일측에 형성된 홀(22)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관(31)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제 1 압축공기 배관(38)을 통해 압축 공기 저장공간(2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용기(21)의 저면 타측은 제 2 압축공기 배관(26)이 끼워지도록 홀(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압축공기 배관(38)을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압축 공기 저장공간(20)에서 압력에 의해 상기 제 2 압축공기 배관(26)으로 토출된다.
상기 제 2 압축공기 배관(26)은 일단이 상기 압축공기 용기(21)의 저면에 형성된 홀(24)과 연통되고, 타단이 후술할 제 1 분배배관(40)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분배배관(40)은 하단에 홀이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1 몸체부(42)와, 상기 제 1 몸체부(42)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몸체부(42)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1 연장부(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부(42)의 하면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제 2 압축공기 배관(26)이 연통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압축공기 배관(26)으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 1 몸체부(42)의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 1 연장부(44)로 이동 된다.
한편, 상기 제 1 연장부(44)에는, 상기 제 1 연장부(44)에 흐르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압축공기 조절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재(50)는 상기 제 1 연장부(44)의 내경의 형상 및 면적에 대응하는 원판형으로 제공되는 차폐부(52)와, 상기 차폐부(52)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2)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상면부(11)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중 일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재(50)는 별도의 힘을 제공받지 않고도 소정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접한 다른 구성요소와 형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상기 상면부(11), 제 1 연장부(44)의 내부 또는 외부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재(50)가 별도의 힘을 제공받지 않고도 소정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5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재(5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 1 연장부(44)가 연통됨으로써 상기 압축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재(50)를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제 1 연장부(44)가 상기 차폐부(52)에 의해 막힘으로써 압축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재(50)의 형태는 상기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관 상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각종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연장부(44)의 단부는 제 3 압축공기 배관(46)이 연통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46)이 결합된다.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46)은 일단이 상기 연장부(44)에 연통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상면에 구비되는 압축공기 공급부(60)와 연통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60)가 결합되도록 결합홀(71)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60)는 일단이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46)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내부에 형성된 세척액 저장공간(30)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46)을 통해 유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60)의 하단에 형성된 토출홀(62)을 통하여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46)에는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46)을 유동하는 압축공기가 일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역류방지밸브(63)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 상에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는 제 3 압축공기 배관(46)으로 세척액이 유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역류방지밸브(63)를 통해 세척액이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46)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에는 세척수가 저장된다.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상면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저장하도록 보충홀(107)이 형성되고, 세척액 보충 배관(108)의 일단은 상기 보충홀(107)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세척액 보충 배관(108)의 타단에는 마개(110)가 구비되어 상기 마개(110)를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액 보충 배관(108)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액 보충시 상기 마개(110)를 열어 세척액을 보충하고, 보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마개(110)를 잠금으로써 내부에 세척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의 세척수는 세척액 토출부(80)를 통해 배출된다. 상세히,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상면에는 상기 세척액 토출부(80)가 끼워지는 홀(72)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액 토출부(80)는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단은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외부, 하단은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세척액 토출부(80)의 하단은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저면을 향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세척액 토출부(80)의 하단에는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의 세척액이 유입되도록 세척액 유입단(8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액 유입단(81)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로부터 상기 유입단(81) 일측(83)의 높이(a1)와, 상기 저면로부터 상기 유입단(81) 타측(82)의 높이(b1)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세척액 유입단(81)의 단면은 상기 저면의 단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1)만큼 기울어진 형상(사선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θ1는 약 45°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입단(81)이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경우, 상기 유입단(81)이 상기 저면에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세척액 용기(7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결합홀(71, 72)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압축공기 공급부(60) 및 세척액 토출부(80)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와 접하는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외주면에 나사산 및 돌기를 통해 결합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세척액 토출부(80)의 상단은 세척액 배관(84)과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세척액 배관(84)의 일단은 상기 세척액 토출부(80)의 상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세척액 조절부재(90)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분배배관(87)는 하단에 홀이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부(85)와, 상기 제 2 몸체부(85)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몸체부(85)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연장부(8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몸체부(85)의 하면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세척액 배관(84)이 연통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액 배관(84)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액은 상기 제 2 몸체부(85)의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 2 연장부(86)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 2 연장부(86)에는, 상기 제 2 연장부(86)에 흐르는 세척액의 흐름을 조절하는 세척액 조절부재(90)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액 조절부재(90)는 상기 제 2 연장부(86)의 내경의 형상 및 면적에 대응하는 원판형으로 제공되는 차폐부(91)와, 상기 차폐부(9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부(92)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92)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일 예로 상면부(11)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된 상기 조작부(92)의 상단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액 조절부재(9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 2 연장부(86)가 연통됨으로써 상기 세척액이 토출되고, 상기 세척액 조절부재(90)를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제 2 연장부(86)가 상기 차폐부(91)에 의해 막힘으로써 세척액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부(91)의 차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세척액의 유동량을 조절하여 토출되는 세척액의 세기를 조절할 수있다.
한편, 상기 세척액 조절부재(90)의 형태는 상기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관 상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각종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연장부(86)의 단부에는 세척액 토출 배관(100)이 결합된다. 즉, 상기 제 2 분배배관(87)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액이 제 2 몸체부(85) 및 제 2 연장부(86)를 통과하여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1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100)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일측, 일 예로 상면부(11)를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100)은 외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플레서블(Flexible)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편의를 위해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100)의 한쪽 끝 부분에 구비되는 세척액 토출단(101)은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토출단(101)은 끝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단(101)의 직경을 충분히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토출단(101)을 통하여 미세 분무형태의 세척액이 토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100)의 단부에 노즐을 장치시킴으로써 상기 세척액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용기(21)의 측면에는 상기 압축 공기 저장공간(20)과 연통되도록 연통홀(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통홀(120)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측면에도 보충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120)과 상기 보충홀(121)은 연결 배관(12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보충홀(121)은 평상시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되다가, 압축 공기 보충 유닛(미도시)이 끼워지면 상기 보충홀(121) 및 연통홀(120)을 통해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연통된 연결 배관(122) 및 연통홀(120)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압축 공기 저장공간(20)으로 압축공기를 보충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홀(120)을 상기 압축공기 용기(21)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보충하는 공기 충전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손잡이(35)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압부(37)를 통해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관(3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압축공기 배관(38)을 통해 압축공기 용기(21)의 내부 인 압축 공기 저장공간(20)으로 충전, 압축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관(31)의 하단과 상기 제 1 압축공기 배관(38) 사이에는 역류방지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상기 공기 공급관(31)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 공기 저장공간(20)으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는 내부 압력에 의해 제 2 압축공기 배관(26)을 따라 제 1 분배배관(40)으로 이동 된다. 상기 제 1 분배배관(40)으로 유동된 압축 공기는 상기 제 1 몸체부(40)와 제 1 연장부(44)를 거치며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46)을 따라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상면에 구비된 압축공기 공급부(60)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60)를 통해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에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 토출부(80)로 토출된다.
그리고, 세척액 토출부(80)로 토출된 세척액은 상기 세척액 배관(84)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2 분배배관(87)을 거쳐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100)의 토출단(101)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정장치에 대용량 세척액 용기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세정장치(1)는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액 공간(30) 상에 세척액(물)을 보충하기 위한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액 용기(70)와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는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재는 압축공기가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로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제 1 배관(310) 및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로부터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 공간(30) 상으로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제 2 배관(320)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는 내부에 대용량의 물을 수용한 드럼통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의 물을 상기 세척액 공간(30)으로 유입시킴으로써 부족한 세척액을 보충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일측에는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와 연통되기 위한 제 1 배관(310)이 결합되는 제 1 홀이 상기 세척액 용기(70) 및 케이스 본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세척액 용기(70)의 타측에는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와 연통되기 위한 제 2 배관(320)이 결합되는 제 2 홀이 상기 세척액 용기(70) 및 케이스 본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용기(70)에 형성된 홀만으로도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와 상기 제 1 및 2 배관(310, 320)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의 케이스 상에도 상기 제 1 배관(310) 및 제 2 배관(320)이 형성되는 홀(315, 32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세척액 용기(70)로 보충되기 위한 세척액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의 상면에는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 내부의 수분 또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커버(301)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01)는 상기 세척액 용기(300)의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1)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에 세척액을 보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홀 상에는 상기 제 1 배관(310)이 상기 제 1 홀이 연결되었을 때에 유체가 유동하도록 스톱 휘팅 밸브(3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배관(310)이 상기 제 1 홀에 연결 시에만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의 공기 또는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 상의 세척액이 상기 제 1 홀을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톱 휘팅 구조는 홀에 호스 또는 밸브를 꽂아 넣었을 때에만 공기 또는 물이 유동되기 위한 구조로서, 공지된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스톱 휘팅 구조외에도, 단순히 상기 제 1 및 2 홀에 마개를 개폐하는 동작으로써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과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의 내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의 케이스 상에 형성되는 홀(315, 323)에도 각각 스톱 휘팅 밸브(314,3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홀 상에는 역류 방지 밸브(330)가 구비된다. 상기 역류 방지 밸브(330)는 상기 제 2 배관(320)을 유동하는 세척액이 세척액 저장공간(30)을 향하여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 상에 세척액이 상기 제 2 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역류 방지 밸브(330)는 일방향으로만 세척액을 유동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에 세척액을 보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상에 세척액이 부족하거나, 세척을 원하는 인원이 많을 경우, 상기 제 1 배관(310)과 제 2 배관(320)의 일단을 상기 세척액 유닛(10)과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에 결합한다. 상기 세척액 유닛(10)과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 상에 형성되는 홀 상에는 스톱 휘팅 장치가 구비되는 바, 상기 제 1 배관(310) 및 제 2 배관(320)의 결합에 따라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공기가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 상으로 토출됨에 따라 공기가 상기 제 1 배관(310)을 통하여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 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 상에는 역류 방지 밸브(330)가 구비되므로, 공기는 상기 제 2 배관(320)을 통하여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 상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 내부의 저장된 세척액을 밀어낸다. 따라서, 압력에 의해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 상의 세척액은 상기 하부 홀(323)을 통해 상기 제 2 배관(320) 상으로 유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배관(320)을 통해 상기 세척액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상에는 상기 대용량 세척액 용기(300)에 수용되어있던 세척액이 보충된다.
즉, 상기 제 1 배관(310)은 상기 압축용기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액 용기(300)로 유동되는 공기 배관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배관(320)은 상기 압축액 용기(300)에 수용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 유닛(10)으로 유입되기 위해 유동하는 세척액 배관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배관(310)은 상기 제 2 배관(320)에 비하여 상기 세척액 유닛(1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배관(320)은 상대적으로 상기 세척액 유닛(10)의 하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압력 및 높이차에 의해 보다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의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 상으로 유입되어 상기 세척액이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배관(310)에는 압축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그 예로 하였으나, 상기 제 1 배관(310) 자체에서도 높이차 또는 압력 차이를 통해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 저장공간(30) 상으로 유입될 수 있다.
통계적으로 개인이 손을 한 번 씻기 위해서는 보통 성인 기준 약 2-3L의 물이 소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단순히 수량이 많아야 손이 잘 닦이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손의 피부에 붙어있는 각종 이물질, 병원균 등을 얼마나 많이 마찰시켜 피부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다. 세제를 쓰는 이유도 이와 같은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적정량의 물과 세제로 마찰을 일으키면 일으킬수록 그만큼 손은 깨끗해진다.
일반적으로, 손을 씻기 위한 수전의 압력은 3kgf/㎠ 이하로 손의 표면을 문지르지 않고 깨끗이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다만 세제 거품이 빠르게 씻겨 내려가는 시각효과로 그런 착각을 일으키는 것뿐이다. 세면대에 물을 받아놓고 씻는 경우도 세제 거품이 퍼져 탁하게 변하는 것을 보고 그런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으로 손을 씻는 방법은, 처음에는 손의 표면을 적시는 정도의 물만으로 손 전체를 적시고, 그 다음 세제를 이용하여 골고루 손의 피부를 마찰시키며 세정하는 동안 수전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흘러내릴 수 있는 정도의 물만 공급돼도 목적한 손 씻기 작업은 충분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 3kgf/㎠ 이상의 압력이 존재하는 물을, 초당 약 1cc정도 고압 미세 분무형태로 토출함으로써 결국 극소량의 물만으로도 충분히 손을 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결국, 성인 한 명이 30초 동안 손을 씻는다고 가정하면 (1cc/sec X 30초) 즉, 30cc정도의 물이면 충분한 세정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성인 기준 1회 2000cc ~ 3000cc 소비량 대비 99% ~ 98.5% 의 물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세정장치는 미세 분무방식을 채택하여 일반적으로 쓰이는 수전에 비해 극소량의 물만으로도 충분한 세정작업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목적하는 세정작업에 필요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압조절펌프 및 이를 가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 전기장치를 부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른 각종 안전설계 및 부수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거나, 수동으로 본 장치에 마련된 펌프를 작동시켜 필요한 압축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공기 용기;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되는 제 1 세척액 용기;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 토출 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기 용기와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를 연통시키는 제 1 분배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2 분배배관;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공기 용기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를 유동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동부;
    상기 공기 공급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압축공기 용기의 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 용기를 연통시키는 제 1 압축공기 배관;
    상기 압축공기 용기로부터 상기 제 1 분배배관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공기 용기와 상기 제 1 분배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2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 1 분배배관으로부터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상기 제 1 분배배관을 연통시키는 제 3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2 분배배관과 결합되어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세척액 배관;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 쪽으로 세척액을 보충해주는 제 2 세척액 용기;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상기 제 2 세척액 용기를 연결하는 제 1 배관;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와 상기 제 2 세척액 용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배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배관; 및
    상기 제 2 배관과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의 연결 부위에 장착되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배배관은,
    하단에 홀이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1 몸체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몸체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압축공기 배관은 상기 제 1 몸체부의 하면에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3 압축공기 배관은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세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에는
    상기 제 1 연장부를 유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압축공기 조절부재가 구비되는 세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배배관은,
    하단에 홀이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부; 및
    상기 제 2 몸체부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몸체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액 배관은 상기 제 2 몸체부의 하면에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세척액 토출 배관은 상기 제 2 연장부의 단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세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에는
    상기 제 2 연장부를 유동하는 세척액의 흐름을 조절하는 세척액 조절부재가 구비되는 세정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측면에는,
    상기 압축공기 용기와 연통되며, 상기 압축공기 용기의 내부로 공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공기 충전부가 형성되는 세정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척액 용기는 상기 케이스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KR1020140148635A 2014-10-29 2014-10-29 세정장치 KR101722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35A KR101722228B1 (ko) 2014-10-29 2014-10-29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35A KR101722228B1 (ko) 2014-10-29 2014-10-29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472A KR20160050472A (ko) 2016-05-11
KR101722228B1 true KR101722228B1 (ko) 2017-04-11

Family

ID=5602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635A KR101722228B1 (ko) 2014-10-29 2014-10-29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2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34B1 (ko) * 2005-04-02 2005-10-04 (주)진공플랜트 진공세척 건조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925B1 (ko) * 2012-08-24 2014-11-03 김성민 휴대용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34B1 (ko) * 2005-04-02 2005-10-04 (주)진공플랜트 진공세척 건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472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5103A (zh) 洗衣机、微泡沫发生器和供给包含微泡沫的洗涤水的方法
CN108625097A (zh) 洗衣机和用于供给包括微泡沫的洗涤水的方法
WO2020063494A1 (zh) 储液盒、转接装置及洗衣机
KR101832848B1 (ko)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PH12019502887A1 (en) Washing machine
CN112779734B (zh) 一种洗衣机
KR200417522Y1 (ko) 손 소독기
US11096551B2 (en) Foam dispensing cleaning tool
KR101722228B1 (ko) 세정장치
KR101949327B1 (ko) 물과 물비누의 자동배출이 가능한 수전
KR101445925B1 (ko) 휴대용 세정장치
KR101470040B1 (ko)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JP2016043227A (ja) 泡ソープ自動ディスペンサー
KR101528463B1 (ko) 휴대용 안경 세척기
KR100945653B1 (ko) 거품 발생용 펌프
KR101217019B1 (ko) 붓 세척장치
KR200464781Y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101544760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949333B1 (ko) 물비누 보충이 용이한 수전
KR101470333B1 (ko) 전동식 물티슈 공급장치
KR101501372B1 (ko) 세정제 분사장치
KR20080088197A (ko) 휴대용 샤워식 차량 세척기
JP2016198456A (ja) 泡ソープ自動ディスペンサー
KR20190001367U (ko) 코 세정기
CN111334968B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