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079B1 - Apparatus for moor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079B1
KR101722079B1 KR1020140153152A KR20140153152A KR101722079B1 KR 101722079 B1 KR101722079 B1 KR 101722079B1 KR 1020140153152 A KR1020140153152 A KR 1020140153152A KR 20140153152 A KR20140153152 A KR 20140153152A KR 101722079 B1 KR101722079 B1 KR 10172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ooring
unit
files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3699A (en
Inventor
여정환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079B1/en
Publication of KR2016005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을 계류시키기 위한 무어링(moor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부 및 상기 파일이 낙하되는 시작점에서, 상기 파일이 삽입되는 해저지반을 향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device for mooring an offshore structure, the mooring device including a pile portion including a pile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toward a bottom of the pile into which the pile is inserted, The file moves along the guide portion.

Description

무어링장치{APPARATUS FOR MOORING}[0001] APPARATUS FOR MOORING [0002]

본 발명은 무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구조물의 무어링을 위해 해저지반에 파일을 목적하는 위치에 보다 정확히 설치할 수 있는 무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oring device capable of more accurately positioning a file in a desired location on a submarine ground for mooring of an offshore structure.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해양구조물을 설치하여 그 위치를 고정할 때, 무어링 기술이 많이 이용된다.In general, when mooring structures are installed and their positions are fixed at sea, mooring technology is widely used.

이러한 무어링을 위한 계류케이블을 해저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그 중 드롭 파일 방식은 해저로 계류케이블이 연결된 파일을 자유낙하시켜 파일(10)을 해저지반 내부에 삽입시키는 방법(도 6 참조)이다.Various methods for fixing the mooring cable for the mooring to the bottom of the sea bed have been used. Among them, the drop file method is a method of inserting the pile 10 into the bottom of the sea bed by freely dropping the file to which the mooring cable is connected (See Fig. 6).

드롭 파일 방식은 그 시공에 있어서 비용 및 에너지가 적게 소모되는 장점이 있어 각광받고 있으나, 해양구조물의 크기가 커질 수록, 무어링을 위한 파일(10)의 크기도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drop file system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it has advantages in cost and energy consumption in construction. However, as the size of the offshore structure increases, the size of the file 10 for mooring needs to be increased.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해양구조물의 무어링을 위해 파일(10) 직경 및 길이가 커질 수록, 파일(10)의 자유낙하에 의한 힘으로는 해저지반 내부로 파일이 삽입되기 힘들어 지기 때문이다.The larger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pile 10 for mooring of relatively large offshore structure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insert the pile into the seabed with the force of the free fall of the pile 10.

따라서, 대형 해양구조물에 대한 무어링 적용에 있어서 드롭 파일 방식은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고, 무어링에 소모되는 시공 비용이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application of mooring for large-scale offshore structures, the drop-file method is excluded from consideration and the construction cost consumed in mooring is increased.

또한, 드롭 파일 방식은 파일의 정확한 삽입위치를 지정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drop file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pecify an accurate insertion position of a file.

파일을 낙하시키는 시점에서는 목적하는 위치에서 파일을 낙하시킬 수 있으나, 파일이 낙하하는 동안 해양 내부의 유체 흐름 등에 의해 그 위치가 크게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e time of dropping a file, a file can be dropped at a desired position, but the position of the file can be largely changed due to fluid flow inside the ocean while the file is falling.

한국공개특허, 특2003-0068347, 2003년08월21일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68347, August 21, 200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구조물의 무어링을 위해 해저지반에 파일을 목적하는 위치에 보다 정확히 설치할 수 있는 무어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oring device capable of more precisely installing a file in a desired position on a seabed sole for mooring an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는 해양구조물을 계류시키기 위한 무어링(mooring)장치로서,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부 및 상기 파일이 낙하되는 시작점에서, 상기 파일이 삽입되는 해저지반을 향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oring apparatus for mooring an offshore structure, the mooring apparatus including a file unit including a file and a start point at which the file is inserted,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toward the seabed ground, wherein the file can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여기서, 상기 파일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le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portion passes.

또한, 상기 파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ion unit coupled to the fil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through.

여기서, 상기 파일은 상기 유도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파일을 상기 유도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portion, and a restraining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plurality of files to the guide portion.

이때, 상기 구속부의 일단면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파일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해제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straint release cable connected to one end surface of the restraining unit to release restraint of the plurality of files.

한편, 상기 복수 개의 파일 간의 간격이 하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유도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les becomes larger toward the bottom.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저지반에 고정된 별도의 파일과 연결되어 있는 계류케이블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may be a mooring cable connected to a separate file fixed to the seabed ground.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파일을 낙하시켜 파일을 해저지반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it has the effect of dropping the file at a relatively accurate position and inserting the file into the seabed.

둘째, 보다 대형 해양구조물에 대한 무어링에 있어서도 드롭 파일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dropping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mooring of larger offshore structures.

셋째, 무어링의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it has the effect of saving the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ooring.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가이드부가 별도의 계류케이블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무어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mo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u 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part of the mo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mooring cable.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oring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Moreo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dicating a direction such as forward / rearward or upward / downward are described in order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rections indicate relative directions, It is not limited.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각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onstruc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mo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가이드부가 별도의 계류케이블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uir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guiding section of the muir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a separate mooring cable.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1 실시예는 파일부(1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ile portion 100 and a guide portion 300.

파일부(100)는 파일(110)이 포함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파일(11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해저지반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체 중량을 통해 하강하여 해저지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철제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 file unit 100 includes a file 110. In this embodiment, the file 11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narrow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abed ground And may be advantageously formed of iron so that it can descend through its own weight and be inserted into the seabed.

이러한 파일(110)은 해저지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소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shape and the material of the file 110 may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file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seabed.

가이드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가 낙하되는 위치로부터, 후술하는 파일부(100)가 삽입되는 해저지반을 향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별도의 케이블이나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guiding portion 3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eparate cable or rod from a position where the mo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opped toward a seabed ground where the pile portion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

또한, 가이드부(300)는 파일부(100)를 자유낙하 시키는 수면 근처의 위치로부터 후술하는 파일부(100)가 삽입되는 해저지반까지 연결되거나, 그 인근의 위치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 300 may be connected to a bottom near the water surface for free dropping the pile part 100 to a bottom of the sea where the pile part 100 is inserted, or may be connected to a nearby place.

또는, 가이드부(300)는 파일부(100)가 자유낙하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가속을 가질 때까지 후술하는 파일부(100)의 진행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guide unit 300 may be formed so as to guid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ile uni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ntil the pile unit 100 is accelerated to some extent in the course of free fall.

한편, 전술한 파일부(100)의 파일(110)은 전술한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le 110 of the file unit 100 described above can move along the guide unit 300 described above.

또한, 파일(110)은 파일부(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파일(110)을 관통하는 관통홀(110H)이 형성되며, 전술한 가이드부(300)가 관통홀(110H)을 통해 파일(110)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le 11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0H passing through the file 110 along the proceeding direction of the file unit 100 and the guide unit 300 described above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0H into the file 110, respectively.

한편, 파일(110)의 일측에는 파일(110)과 해양구조물을 연결하는 계류케이블이 포함되는 계류케이블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mooring cable unit 200 including a mooring cable connecting the file 110 and an offshore structur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le 110.

이러한 구성을 통해, 파일부(100)를 해저지반에 삽입할 때, 파일(110)이 가이드부(300)를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파일부(100)를 삽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le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seabed ground, the file 110 is lowered along the guide unit 300, so that the effect of inserting the file unit 100 at a relatively accurate position Can be obtain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2 실시예는 유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ion unit 400. [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부(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guide part 300 in this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파일부(100)는 전술한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파일(110)을 포함하는 구성은 동일하나, 파일(110)에 별도의 관통홀이 형성되지는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ile unit 100 including the file 110 moving along the guide unit 300 is the same, but a separate through hole may not be formed in the file 110.

본 실시예에서의 파일부(100)는 별도로 구비된 유도부(400)를 통하여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file unit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move along the guide unit 300 through the guide unit 400 separately provided.

이러한 유도부(400)는 파일부(100)와 결합되며, 가이드부(300)가 관통하는 관통홀(400H)이 형성될 수 있다.The guiding part 400 is coupled to the pile part 100 and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400H through which the guide part 300 passes.

즉,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유도부(400)에 파일부(100)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le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unit 400 moving along the guide unit 300, and may be configured to move together.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파일(1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기존 파일(110)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can maintain the form of the existing file 110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xisting file 110 as well.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의 제3 실시예는 복수개의 파일(110)을 포함하고, 구속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es 110, and may further include a restraining unit 500.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부(300) 및 유도부(40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guide unit 300 and the guide unit 400 in this embodiment have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파일부(100)는 복수개의 파일(110)이 구비되어 유도부(4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e file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es 110 and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unit 400.

이때, 유도부(400)는 파일의 접촉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면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guiding part 400 ha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pile.

또한, 파일부(100)는 각각의 파일(110)의 일측에 별도의 계류케이블이 연결되는 계류케이블부(200)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e unit 100 may include a mooring cable unit 200 in which a mooring cabl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each file 110.

이러한 구성은 파일부(100)와 해저지반의 접촉면적을 늘려 해양구조물의 무어링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ile section 100 and the seabed sol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mooring efficiency of the offshore structure.

한편, 구속부(500)는 구속부(500)는 전술한 복수개의 파일(110)을 전술한 유도부(400)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구속유닛(510) 및 고정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tricting unit 500 may include a restricting unit 510 and a fixing unit 520. The restricting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plurality of files 110 to the guide unit 400, have.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구속유닛(510)은 파일부(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restraint unit 51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ile portion 100 and partially open.

구속유닛(510)은 천과 같이 자유롭게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어느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강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일부가 힌지를 통해 회전하며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straint unit 5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freely deformed, such as cloth,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rong strength, .

이러한 구속유닛(510)의 구성은 전술한 파일부(100)의 둘레를 감싸며 복수개의 파일(11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 및 재질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restraint unit 510 may be such that the plurality of files 110 can be fixed around the file unit 100 and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restraint unit 510 may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

또한, 고정유닛(520)은 구속유닛(510)의 개방 부위를 결합시키도록 구속유닛(510)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5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straining unit 510 to engage the opening portion of the restraining unit 510.

이러한 고정유닛(520)이 구속유닛(5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약한 강도의 용접 또는 핀을 통해 고정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구속유닛(510)과 마찬가지로 그 형태 및 재질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5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straining unit 51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with a weak strength or fixing with a pin. In the same manner as the restraint unit 510 described above, And materials may be varied without limitation.

즉, 구속유닛(510) 및 고정유닛(520)의 결합을 통해 복수개의 파일(110)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고정되었다가, 고정유닛(520)이 구속유닛(510)과 분리되면서 구속유닛(510)이 개방되며 복수개의 파일(110)이 분리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files 11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restraint unit 510 and the fixed unit 520, and the fixed unit 520 is separated from the restraint unit 510, 510 are opened and a plurality of files 110 can be separ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는 구속부(500)를 해제하려는 수심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별도의 구속해제케이블(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restraining cable 60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restraint part 500 to be released.

본 실시예에서 구속해제케이블(600)은 고정유닛(520)과 파일 드롭 작업현장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straint cable 60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fixed unit 520 and the file drop operation site.

즉,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를 해저에 투입할 때, 구속부(500)를 해제하고자 하는 수심까지 무어링장치가 도달하면 전술한 구속해제케이블(600)이 당겨지게 되고, 구속해제케이블(530)의 장력에 의해 고정유닛(520)이 구속유닛(5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구속유닛(510)이 해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o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aches the depth required to release the restraint part 500, the above-described restraint release cable 600 is pulled, The restraint unit 510 can be released while the fixed unit 520 is separated from the restraint unit 510 by the tension of the restraining release cable 530. [

전술한 모든 구성을 통해 해저지반에 복수개의 파일(110)을 삽입하고자 할 때, 상대적으로 밀집된 형태로 파일(110)을 배치하여 삽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files 110 are to be inserted into the seabed ground through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 files 110 can be arranged and inserted in a relatively dense form.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는 복수개의 파일(110) 간의 간격이 하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유도부(400)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4, the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o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ch that the guide portion 400 is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les 110 increases toward the bottom.

본 실시예에서 전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overall configuration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in the thir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유도부(400)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파일(110)이 둘레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guide portion 400 may have a larger sectional area as it goes downward, and a plurality of piles 110 may be formed around the guide portion 400.

즉, 유도부(400)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파일(110)이 유도부(40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구속부(500)가 결합되어 해저로 투입되다가 일정 수심에서 구속부(500)가 해제되면 하부로 갈수록 파일(110)간의 간격이 커지도록 배치된 파일(110)이 퍼지면서 하강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files 110 are arranged around the guide portion 400 with the guide portion 400 as a center, the restraint portion 500 is coupled to the underside of the guide portion 400, The file 110 arrange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les 110 becomes larger as it goes downward can be spread and lowered.

전술한 제3 실시예 및 제3 실시예 변형예의 구성은 모두 복수개의 파일(110)을 상호 이격시켜 해저지반에 삽입하기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configurations of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all constitutions for inserting a plurality of files 110 into the seabed.

만약 밀집되어 있던 복수개의 파일(110)이 구속부(500)가 해제되어도 서로 퍼지지 않고 뭉쳐서 해저지반에 삽입되면, 전체적으로 큰 파일을 삽입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파일(110)의 삽입이 어려울 수 있으며, 파일(110) 및 해저지반의 접촉면적이 늘어나는 효과도 낮아질 수 있다.If the plurality of densely packed files 110 are released from the restraining part 500 but are not spread to each other but are piled up and inserted into the seabed ground,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inserting a large file as a whole,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pile 110 and the seabed ground can also be lowered.

따라서, 전술한 구성을 통해 어느정도 파일(110)을 퍼트려서 삽입하여 파일(1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파일(110)과 해저지반의 접촉면적을 늘려 무어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file 110 by spreading and inserting the file 110 to a certain exte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to improve the moor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le 110 and the seabed ground Effect can be obtaine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00)는 해저지반(G)에 고정된 별도의 파일(P)과 연결되어 있는 계류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5, the guide unit 300 may be formed of a mooring cable connected to a separate file P fixed to the seabed ground G. As shown in FIG.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장치는 해저지반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파일(P)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기존의 파일(P)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되거나, 또는 유도부(400)의 관통홀(400H)이 기존의 파일(P)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existing file P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xisting file P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sea floor,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through hole 400H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xisting pile P.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파일(P)을 먼저 시공하고, 그 위치나 고정능력 등에 대한 확인 후에 추가적으로 복수개의 파일(110)을 더 삽입할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a separate file P may be installed first, and a plurality of files 110 may be additionally inserted after confirming the position, fixing capability, and the like.

이러한 경우, 해저지반(G)에 추가로 삽입되는 파일(110)이 기존의 파일(P)과 동떨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파일(P)에 연결되어 있는 계류케이블을 가이드부(300)로 활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file 110, which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seabed ground G, from being installed far away from the existing file P, the mooring cable connected to the existing file P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300 ).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해양구조물 규모가 확장되는 경우에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계류케이블과 인접하게 추가의 계류케이블을 설치하거나, 또는 계류케이블을 연결하고자 하는 위치를 보다 정확히 설정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is effective in that, when the size of an existing offshore structure is expanded, an additional mooring cable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existing mooring cable, or a position where the mooring cable is to be connected may be more accurately set Can be obtained.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파일부
110 : 파일
200 : 계류케이블부
300 : 가이드부
400 : 유도부
500 : 구속부
510 : 구속유닛 520 : 고정유닛
600 : 구속해제케이블
100: File section
110: File
200: mooring cable section
300: guide portion
400:
500:
510: constraint unit 520: fixed unit
600: Restraint cable

Claims (7)

해양구조물을 계류시키기 위한 무어링(mooring)장치에 있어서,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부; 및
상기 파일이 낙하되는 시작점에서, 상기 파일이 삽입되는 해저지반을 향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파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도부;
를 포함하여,
상기 파일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무어링 장치.
A mooring device for mooring an offshore structure,
A file portion containing the file;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at a starting point where the file falls, toward a seabed ground where the file is inserted; And
An induction part coupled to the fil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through;
Including,
Wherein the file moves along the guid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상기 유도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파일을 상기 유도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무어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file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portion,
And a restraining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plurality of files to the guid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의 일단면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파일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해제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무어링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restraint releasing cable connected to one end face of the restraining portion to release restraint of the plurality of fi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파일 간의 간격이 하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유도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무어링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ing portion is inclined so that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files becomes larger toward the bott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저지반에 고정된 별도의 파일과 연결되어 있는 계류케이블인 무어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And a mooring cable connected to a separate file fixed to the seabed ground.

KR1020140153152A 2014-11-05 2014-11-05 Apparatus for mooring KR101722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52A KR101722079B1 (en) 2014-11-05 2014-11-05 Apparatus for mo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52A KR101722079B1 (en) 2014-11-05 2014-11-05 Apparatus for mo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99A KR20160053699A (en) 2016-05-13
KR101722079B1 true KR101722079B1 (en) 2017-03-31

Family

ID=5602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152A KR101722079B1 (en) 2014-11-05 2014-11-05 Apparatus for mo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07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5449A1 (en) * 1996-10-09 1998-04-16 Coflexip Stena Offshore Limited Marine mooring system
JP2004169503A (en) * 2002-11-22 2004-06-17 Sekisui House Ltd Verticality checking device for steel pipe pi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863A (en) * 1993-12-08 1995-06-20 Meika Gomme Kogyo Kk Anchor
JPH10175589A (en) * 1996-12-20 1998-06-30 Hitachi Zosen Corp Sinker and separation valve
KR100450309B1 (en) 2002-02-15 2004-09-30 (주)대우건설 Breakwater using pile found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5449A1 (en) * 1996-10-09 1998-04-16 Coflexip Stena Offshore Limited Marine mooring system
JP2004169503A (en) * 2002-11-22 2004-06-17 Sekisui House Ltd Verticality checking device for steel pipe p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99A (en)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63B1 (en) Undersea anchoring system and method
US9150285B2 (en) Anchor assembly
KR101403455B1 (en) Underwater base structure for wind turbine tow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50077559A (en) pile input plate type anchor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101722079B1 (en) Apparatus for mooring
KR101722198B1 (en) Anchoring apparatus
KR101523735B1 (en) Pile for mooring
KR101690983B1 (en) Apparatus for mooring
KR101652422B1 (en) Floating structure
JP6586873B2 (en) Ground stabilization structure and ground stabilization method
KR101722176B1 (en) Anchoring apparatus
KR101672017B1 (en) Apparatus for mooring
US20150197907A1 (en) Method of forming a mudline cellar for offshore arctic drilling
JP2012215338A (en) Method of burying pipe in pile hole
KR20160025179A (en) Micropile with reinforced tip
KR102213826B1 (en) Spider module and measurement apparatus of ground subsidence having the same
KR101722166B1 (en) Anchoring apparatus
KR101722185B1 (en) Anchoring apparatus
AU2014259119B2 (en) A method of installing pin piles into a seabed
KR101652378B1 (en) Fixed offshore-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722170B1 (en) Anchoring apparatus
US11001344B2 (en) Mooring apparatus
KR101722192B1 (en) Anchoring apparatus
KR101859613B1 (en) Mooring apparatus
KR101414074B1 (en) Buoyancy anchor assembly including extendable blad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