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327B1 -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327B1
KR101721327B1 KR1020150121150A KR20150121150A KR101721327B1 KR 101721327 B1 KR101721327 B1 KR 101721327B1 KR 1020150121150 A KR1020150121150 A KR 1020150121150A KR 20150121150 A KR20150121150 A KR 20150121150A KR 101721327 B1 KR101721327 B1 KR 10172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ilter
main body
indoo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152A (ko
Inventor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정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진 filed Critical 정혜진
Priority to KR102015012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3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실내용 텐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텐트 중앙 상부의 환기구 부근에 교체 가능한 필터를 설치하여 내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는 외기로부터 차단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부분적으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붕면에 환기구를 구비한 텐트 본체; 상기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 표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조립된 폴대;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환기구 하부에 설치된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Indoor tent having functions of air cleaning and control of humidity}
본 발명은 실내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중앙 상부의 환기구 부근에 교체 가능한 필터를 설치하여 내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활동 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하여 개발된 제품이다. 텐트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이동성과 편의성을 조절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텐트는 이동성을 강조하여 설계하게 되면 부피가 줄고 무게가 가벼워져 소지하고 이동하기가 좋은 점은 있으나, 텐트 설치 후, 여러 가지 편의성이나 보온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텐트는 편의성을 강조하여 설계하는 경우에는 텐트를 치고 사용하기 매우 편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많은 보호를 받을 수 있으나 그 만큼의 기능이 포함되기 때문에 텐트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여 이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텐트의 단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열재를 포함하게 하는 경우에는 텐트의 부피와 무게가 동시에 증가한다. 더불어 가을이나 겨울에는 단열만으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볼 수 없고, 텐트 내부에 히터와 같은 열원을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히터는 히터대로 설치하고 단열재도 설치하여 이중으로 하는 것보다는 단열재를 생략하고 히터만을 적용하는 것이 상식적이기 때문에 통상 텐트에는 단열재가 적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텐트는 일반적으로 캠핑 등의 실외활동을 전제로 제작되었으나, 실내에서도 사용하는 실내용 텐트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실내용 텐트는 특히 겨울철에 난방비 절감에 크게 기여한다.
실내용 텐트는 일반 텐트처럼 외기를 차단하기 위한 직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뼈대를 이루게 되는 복수개의 폴대로 구성된다. 특히 실내용 텐트는 가혹한 조건의 실외용과 달리 실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바닥면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고, 아주 간단하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외용 텐트가 하루나 이틀 정도의 단기간 설치한 다음 접어 수납하게 되는 것에 대하여, 실내용 텐트는 겨울철 내내, 즉 장기간 펼쳐 설치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취침 시에는 대부분 실내용 텐트 내부에서 취침을 취하기 때문에 사람의 구취와 체취가 실내용 텐트 본체 직물에 배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환기구를 두는 경우에는 조금 더 나을 뿐 구취와 체취가 배기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특히 노인의 경우에는 구취와 체취가 더욱 심하게 배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41595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텐트 중앙 상부 환기구에 필터를 설치하여 텐트 내부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구취, 체취가 텐트에 배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외기로부터 차단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부분적으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붕면에 환기구를 구비한 텐트 본체; 상기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 표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조립된 폴대;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환기구 하부에 설치된 필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기구에는 망사형 창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기구 하부에 상기 필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탄력 밴드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된 필터 포켓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포켓은 두 장의 망사형 직물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일면에 출입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입구에는 지퍼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력 밴드 끝단에는 일자형의 체결봉이 고정되고, 상기 체결봉이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리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력 밴드 끝단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자석이 붙을 수 있도록 스틸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네 개의 측면과 지붕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대가 상기 지붕면 중앙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상기 슬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는 망사형 직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는 필터에 의해 텐트 내부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쾌적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는 사람의 구취와 체취에 의한 냄새가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되기 때문에 냄새가 텐트에 배기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텐트의 일부구성요소인 필터가 설치된 환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텐트의 일부구성요소인 필터와 필터 포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텐트의 일부구성요소인 필터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텐트의 일부구성요소인 필터 포켓의 다른 실시예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텐트의 일부구성요소인 필터 일체형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텐트(1)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텐트 본체(10), 폴대(20), 필터(50), 필터 포켓(40)을 포함한다.
상기 텐트 본체(10)는 외기로부터 차단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부분적으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붕면에 환기구(14)를 구비한다. 상기 환기구(14)에는 망사형 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텐트 본체(1)는 소위 캐노피(canopy) 스타일의 텐트로서, 사각형의 지붕면(10b)과 상기 지붕면(10b)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져 지면까지 연장된 네 개의 측면(10a)으로 이루어진다. 바닥은 실내용 텐트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물론 바닥면을 만들고 단열재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측면(10a) 중에 한 측면(10a)에는 반 타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지퍼(30)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붕면(10b)은 폴대(20)에 의해 거의 수평에서 위로 약간 솟아 오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중앙에는 일정한 면적의 망사형 창이 상기 환기구(14)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텐트 본체(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환기구(14)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통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지붕면(10b)에는 대각선 방향을 따라 X자 형태로 폴대(20)가 삽입되는 슬리브(12,1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2,13)는 일반적인 직물이 아닌 망사형 직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리브(12,13)가 망사형 직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탄력도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 면에도 매우 유리하다.
상기 측면(10a)에는 각 측면(10a) 사이 연결부위인 각진 변마다 긴 슬리브(11)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변의 하단에는 폴대(20)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단 슬리브(16)가 상기 본체(10)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폴대(20)는 상기 본체(1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0) 표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11-13)를 관통하여 조립된다. 상기 폴대(20)는 커넥팅 파이프(21)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길이를 연장하게 된다. 상기 폴대(20)는 측면(10a)의 변에서는 일직선의 커넥팅 파이프(21)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측면(10a)과 지붕면(10b)의 경계에서는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절곡 커넥팅 파이프(22)가 적용된다.
상기 폴대(20)는 상기 하단 슬리브(16)로부터 측면(10a)의 슬리브(11)를 거친 다음, 상기 지붕면(10b)의 슬리브(12,13)를 통과하고 다시 측면 슬리브(11)를 거쳐 대각선 반대쪽의 하단 슬리브(16)에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는 폴대(20)도 조립되어 평면상 X자를 이루도록 폴대(20)들이 조립된다.
상기 폴대(20)가 도 1과 같이 조립되면, 상기 폴대(20)는 그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텐트 본체(10)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측면(10a)과 지붕면(10b)에 설치된 슬리브들(11-13)은 망사형 직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약간의 탄성을 더 가지고 있게 되어, 상기 폴대(20)와 함께 더 많은 탄성력을 제공하여 견고하게 세워질 수 있고, 특히 상기 텐트 본체(10)를 평면상 일자가 되도록 접어 보관한 다음 다시 펼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 1과 같은 상태로 되도록 탄성력에 조력하게 된다.
상기 필터(50)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환기구(14)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 포켓(40)은 상기 환기구(14) 하부에 상기 필터(5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탄력 밴드(43)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필터(50)는 상기 필터 포켓(40)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필터 포켓(40)은 두 장의 망사형 직물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5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일면에 출입구를 구비한다. 상기 출입구에는 지퍼(4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텐트 본체(10) 내부공간에 상기 필터 포켓(40)이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필터 포켓(40)은 상기 환기구(14)의 바로 아래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기구(14) 부근은 상기 텐트 본체(10)의 내부 공간 중에서 가장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고 많은 부분으로 필터(50)를 설치하기에는 가장 적당한 위치라 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필터 포켓(40)은 두 장의 망사형 직물(41)이 적층되고, 출입구는 지퍼(42)로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필터 포켓(40)의 모서리마다 탄력성을 갖는 상기 밴드(43)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밴드(43)의 타단에는 체결봉(44)이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탄력 밴드(43) 끝단에는 일자형의 체결봉(44)이 고정되고, 상기 체결봉(44)이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고리(15)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50)는 역시 망사지로 된 플렉시블한 케이스(51) 내부에 필터재료(52)가 들어가 형태로 제작된다. 필터재료(52)는 숯과 같이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필터재료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50)는 상기 필터 포켓(40)에 수납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필터 포켓(40)으로부터 빼내어 태양광에 노출시켜 재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습기를 품고 있다가 습도가 낮은 경우 이를 텐트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효과도 발휘한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필터 포켓(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필터 포켓(40')은 전번 실시예와 구성은 동일하고, 다른 점은 체결봉 대신에 스냅단추(44')를 적용하는 점이다. 즉 소위 똑딱단추라 불리는 스냅단추(44')의 소켓 원반과 볼 원반 중 하나를 밴드(43')의 끝단에 설치하고, 나머지 원반을 본체(10)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 포켓(40')은 스냅단추(44')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착탈이 가능해 진다. 물론 망사형 직물(41')이 적층된 것은 전번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 포켓(4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터 포켓(40")은 특징은 망사형 필터지(41")의 상기 탄력 밴드(43") 끝단에 자석(44")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자석(44")이 붙을 수 있도록 스틸부재가 설치된 점이다. 따라서 자석(44")을 각각의 스틸부재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착탈이 가능해 진다. 이 경우는 가장 착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필터 포켓과 필터를 합친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망사형의 필터 케이스(141)에 밴드(142)와 체결봉(143)을 설치하여 제작하고, 필터 케이스(141) 내부에는 필터재료인 숯(144)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체결봉(143)을 사용하여 본체(10)에 체결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텐트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140)를 분리한 다음 태양광 등으로 재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텐트
10 : 본체 11, 12, 13 : 슬리브
14 : 환기구 15 : 고리
16 : 하단 슬리브 20 : 폴대
21 : 커넥팅 파이프 22 : 절곡 커넥팅 파이프
30 : 지퍼 40 : 필터 포켓
41 : 망사형 직물 42 : 지퍼
43 : 밴드 44 : 체결봉
50 : 필터 51 : 필터 케이스
52 : 필터 재료 44' : 스냅 단추
44" : 자석

Claims (8)

  1. 외기로부터 차단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부분적으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붕면에 환기구를 구비한 텐트 본체;
    상기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 표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조립된 폴대;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환기구 하부에 설치된 필터;
    상기 환기구 하부에 상기 필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탄력 밴드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된 필터 포켓;
    상기 필터 포켓은 두 장의 망사형 직물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일면에 출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출입구에는 지퍼가 설치되고, 상기 탄력 밴드 끝단에는 일자형의 체결봉이 고정되고, 상기 체결봉이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리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탄력 밴드 끝단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자석이 붙을 수 있도록 스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는 네 개의 측면과 지붕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대가 상기 지붕면 중앙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상기 슬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는 망사형 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에는 망사형 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21150A 2015-08-27 2015-08-27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KR10172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50A KR101721327B1 (ko) 2015-08-27 2015-08-27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50A KR101721327B1 (ko) 2015-08-27 2015-08-27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52A KR20170025152A (ko) 2017-03-08
KR101721327B1 true KR101721327B1 (ko) 2017-03-30

Family

ID=5840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150A KR101721327B1 (ko) 2015-08-27 2015-08-27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3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77B1 (ko) * 2014-06-03 2015-02-23 길종진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595B1 (ko) 1988-10-12 1998-07-15 이우에 사또시 고세도 컬러 영상 신호를 광학적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기록된 고세도 컬러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KR20120004626U (ko) * 2010-12-17 2012-06-27 고영신 방풍겸용 목욕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77B1 (ko) * 2014-06-03 2015-02-23 길종진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52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1849C (en) Thermally insulated cover for baby stroller
US6644329B2 (en) Tent adapted for attachment to a cot
US4996733A (en) Air mattress reinforced sleeping bag with head covering
US20050045221A1 (en) Canopy for co-sleeper, crib or play yard
WO2008137911A1 (en) Sleeping bag with mesh panel
CN204421192U (zh) 具有收容空间的空气净化装置
KR101606847B1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KR101721327B1 (ko)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실내용 텐트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KR200470393Y1 (ko) 탈 부착형 전실 텐트
KR101951350B1 (ko) 레저 및 구난용 텐트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20170031524A (ko) 이중 보온 실내용 난방텐트
KR200400927Y1 (ko) 천막이 구비된 침대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GB2460391A (en) Self erecting tent with integral canopy
KR101625336B1 (ko) 흡착판을 구비한 실내용 난방텐트
JP2013249731A (ja) ダブルウォールテント
CN215603534U (zh) 一种具有排汗抑臭的鞋底
KR200167041Y1 (ko) 자동공기주입 모기장
KR200289420Y1 (ko) 통풍성이 우수한 텐트
KR200491483Y1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20190000256U (ko) 썬텐텐트
KR101331534B1 (ko) 다기능 아기 침구
CN201497051U (zh) 带风门的侧吸下排式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