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318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318B1
KR101720318B1 KR1020100083235A KR20100083235A KR101720318B1 KR 101720318 B1 KR101720318 B1 KR 101720318B1 KR 1020100083235 A KR1020100083235 A KR 1020100083235A KR 20100083235 A KR20100083235 A KR 20100083235A KR 101720318 B1 KR101720318 B1 KR 10172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lb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793A (ko
Inventor
김은경
차재선
김주희
정수정
이현
임광재
윤철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870,323 priority Critical patent/US8494562B2/en
Publication of KR2011002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LBS(Location Based Service)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LBS 제어정보는 위치정보가 보고될 조건에 관한 정보임, LBS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LBS 측정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이 유휴상태인 경우에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위치정보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위치기반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위치기술을 보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을 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최근에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가 이동통신 분야의 주요 서비스로 급부상하고 있다. LBS는 무선 및 유선 통신을 통해 이동중인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IEEE 802.16m뿐만 아니라 위치 기반 서비스에 관련된 다양한 통신표준이 제정되고 있으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CS(LoCation Service)라 불리고,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는 MLS(Mobile Location Service)라 불린다. 이하에서는 용어를 LBS로 통일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LB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 위치 기술이 요구된다. 무선 위치 기술은 위치에 사용하는 신호에 따라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방법과, 이동통신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이들을 모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기법이 있다. 한편, 무선 위치 기술은 최종 위치를 결정하는 주체에 따라 최종 위치결정 또는 확인이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말 위치결정모드(Mobile-Based Mode)와 최종 위치결정 또는 확인이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단말 정보제공 모드(Mobile-Assisted Mode)로 구분된다.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기술로, 현재 상용화된 기술은 미국의 GPS 위성 네트워크를 이용한 GPS 위치기술을 들 수 있다.
이동통신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전파도달 시간(Timing of Arrival, TOA)을 측정하는 방식, 서로 다른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 도달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를 측정하는 방식, 단말에서 신호의 수신 방향(Direction of Arrival, DOA) 또는 방위각(Angle of Arrival, AOA)을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단말은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위치 기술에 따라 TDOA 정보, TOA 정보와 같은 위치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며,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보고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때, 단말이 위치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으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위치정보를 보고하는 방법과 기지국에서 위치정보를 요청할 때 위치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단말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나 단말이 유휴 상태(Idle mode)인 경우 오히려 불필요한 보고를 발생시킨다. 단말의 상태가 연결상태(connected state)이거나 유휴상태인 경우 모두 LBS를 제공하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말에 LBS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의 상태와 상관없이 LBS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특히, 단말이 유휴상태인 경우 LBS-REP메시지를 통해 보고되는 것을 페이징(paging)시 보고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LBS(Location Based Service)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LBS 제어정보는 위치정보가 보고될 조건에 관한 정보임, LBS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LBS 측정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의 결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LBS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LBS 제어정보는 위치정보가 보고될 조건에 관한 정보임,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LBS 측정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LBS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와 상관없이 LBS관련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이 유휴상태인 경우에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위치정보제공가 가능하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 및 위치 정보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 정보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위치 정보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기지국(10)은 일반적으로 단말(2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ABS(Advanced Base Station),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1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단말(2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10)에서 단말(2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20)에서 기지국(1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20)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2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0)의 일부일 수 있다. 기지국(10)은 하향링크 프레임(frame)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단말(20)과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20)은 상향링크 프레임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기지국(10)과 통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0)은 위치 모드로써 위치결정 모드와 정보제공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위치결정 모드는 최종 위치결정 또는 최종 위치 확인이 단말(20)에서 수행되는 모드이고, 정보제공 모드는 최종 위치결정 및 최종 위치 확인이 기지국(10)에서 수행되는 모드이다. 정보제공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20)은 수시로 변하는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10)으로 보고한다.
기지국(10)은 위치결정 장치(100)를 포함하고, 단말(20)은 위치 정보제공 장치(200)을 포함한다.
먼저, 위치결정 장치(100)는 무선 위치 방식을 결정한다. 결정된 무선 위치 방식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전파도달 시간(Timing of Arrival, TOA)을 측정하는 방식, 서로 다른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 도달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를 측정하는 방식, 단말에서 신호의 수신 방향(Direction of Arrival, DOA) 또는 방위각(Angle of Arrival, AOA)을 측정하는 방식등이 될 수 있다.
무선 위치 방식이 결정되면, 위치결정 장치(100)는 결정된 무선 위치 방식을 나타내는 지시자와 결정된 무선 위치 방식에 필요한 위치 측정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를 위치 정보제공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로써 위치결정 장치(100)가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위치 정보제공 장치(200)는 무선 위치 방식을 나타내는 지시자로부터 어떤 무선 위치 방식이 사용되는지 판단한다. 그 후, 위치 측정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예를들어, TDOA를 측정하는 방식의 경우 TODA 정보)를 수집하고, 위치 정보의 보고 조건이 만족할 때마다 수집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를 위치결정 장치(100)로 보고한다.
위치결정 장치(100)가 위치 정보제공 장치(200)로부터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20)의 최종 위치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 및 위치 정보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는 단말이 연결상태(connected state)인 경우에 적용되는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결정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결정부(120)를 포함한다. 무선 위치 방식에 따라 사용되는 파라미터가 다르므로, 제어부(110)는 GPS 기반의 위치 방식을 사용할지, 아니면 기지국 기반의 위치 방식을 사용할지, 기지국 기반의 위치 방식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 먼저 결정한다. 이러한 무선 위치 방식을 LBS 타입(type)이라 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결정된 LBS 타입 및 LBS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위치결정 장치(100)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위치 정보제공 장치(200)로 전송한다. LBS 제어정보는 위치정보의 보고시작/종료/변경 등을 알려주는 모드, 해당 모드에 따른 위치를 위한 메트릭(metric), 보고 주기(timer), 과거 시점과 현재 시점과의 정보의 차이에 따른 문턱값(threshold)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제공 장치(200)는 정보제공부(210), 조건 확인부(220) 및 조건 업데이트부(230)를 포함한다.
정보제공부(210)는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를 위치결정 장치(100)로 전송한다.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는 GPS 기반의 위치 방식인 경우 경도(longitude), 위도(latitude), 고도(altitude)를 포함하고, 기지국 기반의 위치 방식인 경우 CINR(Carrier to Interference Noise Rat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D(Relative Delay), RTD(Round Trip Delay), ToA(Time of Arrival), Ang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210)가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조건은 조건 확인부(220)가 결정하며, 조건 확인부(220)에 따라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정보제공부(210)가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조건 확인부(220)는 과거 시점의 위치와 현재 시점의 위치간의 차이값과 문턱값을 비교하고, 보고시작/종료/변경, 보고 주기등과 같은 위치 측정 파라미터에 따라 보고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차이가 상기 특정한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조건 확인부(220)는 정보제공부(210)로 하여금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차이가 상기 특정한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은 위치 정보가 상당히 변경되었으므로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이를 위치 결정장치(100)로 알려주어야 함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차이가 상기 특정한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조건 확인부(220)는 상기 차이가 상기 특정한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아질 때까지 비교를 반복한다. 또는 보고 주기에 의해 보고조건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건 확인부(220)는 보고 주기가 도달한 경우, 보고조건이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건 업데이트부(230)는 위치 측정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 기존 위치 측정 파라미터를 변경된 위치 측정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하고, 이에 기초하여 조건 확인부(220)가 위치 정보제공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의 형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MAC 헤더(header), 제어채널(control channel), MAC 관리 메시지(management message)의 형태로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의 상태가 연결상태(connected state)/유휴상태(idle state)상태에 상관없이 LBS을 제공하여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 상태별로 LBS관련 정보의 보고에 대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 단말의 상태가 연결상태인지, 또는 유휴상태인지에 따라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와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현재 단말의 상태가 연결상태인 경우,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는 LBS-REQ 메시지이고,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는 LBS-REP 메시지이며, 이는 LBS만을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다른 예로서, 현재 단말의 상태가 유휴상태(Idle State)인 경우,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는 페이징에 관련된 메시지인 페이징 광고 메시지(Paging Advertisement Message) 또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Ranging Response Message)이다. 그리고,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는 LBS-REP 메시지 또는 다른 페이징 관련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유휴상태인 경우, 위치정보의 요청을 위해 별도의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오버헤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와 위치 정보응답 메시지는 단말의 상태에 따라 달리 명명되므로, 이하에서는 각 단말의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용어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 정보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는 현재 단말의 상태가 연결상태인 경우이다. 따라서,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는 LBS-REQ 메시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10)은 LBS-REQ 메시지를 단말(20)로 전송한다(S100). LBS-REQ 메시지는 LBS 타입 지시자, 메트릭, 보고 주기, 문턱값과 같은 LBS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단말(20)은 LBS 측정(measurement)절차를 수행한다(S110). LBS 측정절차에 의해 위치정보가 수집되며, 수집된 위치정보는 TOA, TDOA, DOA, AOA, CINR, RSSI, RD, RTD등이 될 수 있다.
단말(20)은 수집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LBS-REP 메시지를 LBS-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기지국(10)으로 전송한다(S120). 이후에, 단말(20)은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과거 시점의 위치와 현재 시점의 위치간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이 차이값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보고조건이 만족되는지 자발적으로 판단한다(S130). 만약 차이값이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보고조건이 만족되므로, 단말(20)은 현재 시점의 위치에 따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LBS-REP 메시지를 자발적으로 기지국(10)으로 전송하고(S140), 기지국(10)은 LBS의 종료를 지시하는 LBS 종료 지시자(LBS off)를 포함하는 LBS-REQ 메시지를 단말(20)로 전송한다(S150). 그러면 단말은 LBS 측정을 종료한다.
만약, 차이값이 문턱값보다 작으면 보고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므로, 단말(20)은 일정한 조건에 따라 다시 새롭게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차이값과 문턱값을 비교한다(S130).
이와 같이 단말(20)은 기지국(10)의 LBS-REQ 메시지에 따라 LBS-REP 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가 변하면 단말(20) 스스로가 보고조건을 판단하여 새로운 LBS-REP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위치 정보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는 현재 단말의 상태가 유휴상태인 경우로서, 기지국은 페이징 관련 메시지(페이징 광고 메시지 또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요청을 수행한다. 즉, 별도의 위치 정보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고, LBS 제어정보를 페이징 관련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점이 특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10)은 위치정보의 요청을 위해 페이징 관련 메시지를 단말(20)로 전송한다(S200). 여기서, 페이징 관련 메시지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RNG-RSP) 또는 페이징 광고 메시지(PAG-ADV)일 수 있다. 단말(20)은 LBS 측정절차를 수행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한다(S210).
일 예로서, 단말(20)이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기지국(10)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레인징에 대한 응답 메시지뿐만 아니라 LBS 제어정보를 포함시킨다. 즉, 별도의 LBS 관련 메시지를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20)은 레인징 절차와 LBS 측정/보고절차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는 레인징 목적 지시자(ranging purpose indication)가 LBS 측정을 위한 목적임을 지시하도록 설정된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10)이 위치정보를 얻기 위해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단말(20)로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10)은 페이징 광고 메시지에 페이징 목적의 정보이외에도 LBS 제어정보를 포함시킨다. 따라서, 페이징 광고 메시지에 포함된 LBS 제어정보를 수신한 단말(20)은 페이징 절차뿐만 아니라 LBS 측정/보고절차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LBS 제어정보는 GPS 기반 위치방식인 경우 경도, 위도, 고도 정보이고, 기지국 기반 위치방식인 경우 CINR, RSSI, RD, RTD, ToA, Angle등이 될 수 있다. LBS 제어정보는 차기(next) 페이징 시점에 대한 선호시간(preferred time)도 포함할 수 있다. 선호시간은 기지국(10)이 계산하여 단말(20)로 알려주는 정보로서, 단말(20)은 선호시간을 기초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단말(20)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LBS 제어정보는 선호시간뿐만 아니라 문턱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10)으로부터 페이징 요청이 없더라도, 단말(20) 스스로 과거 시점의 위치정보와 현재 시점의 위치정보의 차이값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LBS 보고를 위한 페이징을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선호시간과 문턱값은 기지국(10)에서 전송해줄 수도 있고, 단말(20)이 스스로 정할 수 있다. 단말(20)이 정한 선호시간을 기지국(10)에 전송하면, 기지국(10)은 해당 선호시간을 기초로 차기 페이징할 시점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LBS 제어정보는 LBS 측정(measurement)을 위한 페이징을 지시하는 지시자 또는 수행코드(action code), 해당 LBS 측정을 위한 보고를 개시하라는 정보,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의 변경, 및 해당 보고를 종료하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페이징 관련 메시지에 이러한 LBS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먼저 판단한다(S220). 만약 페이징 관련 메시지에 LBS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집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LBS 제어정보에 따라 기지국(10)으로 전송하고, LBS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20)은 이전에 보고한 위치정보를 기지국(10)으로 전송한다(S230).
한편, 단말(20)은 LBS 제어정보에 따른 보고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40). 보고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예를 들어 과거 시점의 위치정보와 현재 시점의 위치정보의 차이값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이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20)은 새로운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10)으로 전송한다(S250). 다른 예로서, 선호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단말(20)은 새로운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10)으로 전송한다(S250). 만약, 보고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단말(20)은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보고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판단을 반복한다(S240).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LBS(Location Based Service)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LBS 제어정보는 위치정보가 보고될 조건에 관한 정보임;
    LBS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LBS 측정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상태에 따라 다른 형태의 메시지이되, 상기 단말의 상태가 연결상태(connected state)인 경우 LBS-REQ 메시지이고, 상기 단말의 상태가 유휴상태(idle state)인 경우 페이징에 관련된 메시지인 페이징 광고 메시지(paging advertisement message) 또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ranging response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의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BS 제어정보는 문턱값(threshold)을 포함하고, 상기 조건은 단말의 과거 시점의 위치정보와 현재 시점의 위치정보간의 차이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인, 위치정보의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BS 제어정보는 보고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은 보고주기가 도달한 경우인, 위치정보의 제공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는 전파 도달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수신 신호방향(Direction of Arrival; DOA), 방위각(Angle of Arrival; AOA),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 TOA) 중 어느 하나인, 위치정보의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는 CINR(Carrier to Interference Noise Rat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D(Relative Delay), RTD(Round Trip Delay) 중 어느 하나인, 위치정보의 제공방법.
  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의 결정방법에 있어서,
    LBS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LBS 제어정보는 위치정보가 보고될 조건에 관한 정보임;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LBS 측정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상태에 따라 다른 형태의 메시지이되, 상기 단말의 상태가 연결상태(connected state)인 경우 LBS-REQ 메시지이고, 상기 단말의 상태가 유휴상태(idle state)인 경우 페이징에 관련된 메시지인 페이징 광고 메시지(paging advertisement message) 또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ranging response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의 결정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LBS 제어정보는 상기 단말 위치를 결정하는 무선 위치 방식의 타입(type)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는 상기 타입에 따라 다른, 단말 위치의 결정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 위치의 결정방법은 페이징 또는 레인징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는 페이징 절차에서 사용되는 페이징 관련 메시지인, 단말 위치의 결정방법.
  13. 삭제
KR1020100083235A 2009-08-28 2010-08-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제공방법 KR10172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70,323 US8494562B2 (en) 2009-08-28 2010-08-27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0797 2009-08-28
KR1020090080797 2009-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793A KR20110023793A (ko) 2011-03-08
KR101720318B1 true KR101720318B1 (ko) 2017-03-28

Family

ID=4393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235A KR101720318B1 (ko) 2009-08-28 2010-08-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268B1 (ko) 2017-09-25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7116A1 (en) * 1999-03-18 2002-06-20 Theodore Havinis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the number and/or duration of positioning requests for terminal-based location calculation
US20080113672A1 (en) * 1996-09-09 2008-05-15 Tracbeam Llc Multiple location estimators for wireless location
US20090098857A1 (en) * 2007-10-10 2009-04-16 Dallas De Atley Securely Locating 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4810A1 (en) * 2006-12-05 2008-10-16 Kenny Fok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on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3672A1 (en) * 1996-09-09 2008-05-15 Tracbeam Llc Multiple location estimators for wireless location
US20020077116A1 (en) * 1999-03-18 2002-06-20 Theodore Havinis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the number and/or duration of positioning requests for terminal-based location calculation
US20090098857A1 (en) * 2007-10-10 2009-04-16 Dallas De Atley Securely Locating 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793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664B1 (ko) 단말의 위치 정보 보고 장치 및 방법
US20230179956A1 (en) Location server,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for the use of supplementary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CN113473370B (zh) 用于物联网的定位的支持的方法及系统
EP263624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network testing procedures
KR102535224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12534899B (zh) 用于移动通信网络的位置管理部件和方法
US20090104917A1 (en) Position-finding method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position finding system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13973260B (zh) 上行信号定位的方法、通信基站和测量基站及ue
EP3257290B1 (en) A wireless device and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reporting and logging an event
JP2012522418A (ja) 移動体端末の位置の推定を可能にする方法及び装置
CN114531642A (zh) 一种位置信息上报和获取方法、核心网设备及ue
US20160227370A1 (en) A Wireless Device, a Radio Network Nod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US8494562B2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2031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제공방법
CN111385817B (zh) 邻区上报方法、装置、e-smlc及终端
KR1012226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벤더 식별자를 이용한 적응적 위치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EP43193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terminal, device, and medium
CN109495864B (zh) 一种终端测速方法及基站
KR1012352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무선 헤드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14500691A (ja) ワイヤレス基地局においてシステム・タイミングを導き出す方法および装置
EP4325955A1 (en) Reference signal availability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8401499B (zh) 确定位置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CA3042591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determining a waveform to be used in an uplink transmission of a terminal device
WO2024033839A1 (en) Position reliability information for device position
CN117014799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