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997B1 -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997B1
KR101719997B1 KR1020127030435A KR20127030435A KR101719997B1 KR 101719997 B1 KR101719997 B1 KR 101719997B1 KR 1020127030435 A KR1020127030435 A KR 1020127030435A KR 20127030435 A KR20127030435 A KR 20127030435A KR 101719997 B1 KR101719997 B1 KR 101719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sta
locations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906A (ko
Inventor
이지현
김은선
석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에서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하 “STA”)이 채널 질의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는 제 1 STA이 해당 채널 질의 절차를 지원하며, 이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는 제 2 STA에 채널 가용성 질의용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제 2 STA으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경우, 수신된 채널 가용성 정보는 상기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보도록 한다.

Description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CHANNEL AVAILABILITY QUERY FOR A PLURALITY OF LOCATIONS}
이하의 설명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에서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및 b는 2.4. GHz 또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고, IEEE 802.11b는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IEEE 802.11a는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4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는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현재, TV 화이트스페이스(TV whitespace, TVWS) 대역에서 비면허 기기(unlicensed device)의 동작을 규정하기 위한 IEEE 802.11af 표준이 개발되고 있다.
TV White Space는 broadcast TV 에 할당된 VHF대역(54~60, 76~88, 174~216MHz)과 UHF대역(470~698MHz)을 포함하며,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라이슨스 기기(licensed device; TV방송 및 무선 마이크 등)의 통신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서 비면허 기기(unlicensed device)에 대해 사용이 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512~608MHz, 614~698MHz에서는 특수한 몇 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비면허 기기들에게 동작이 허용되어 있으나, 54~60MHz, 76~88MHz, 174~216MHz, 470~512MHz 대역은 고정형 기기(fixed device)간의 통신에만 허용되었다. 고정형 기기란 정해진 위치에서만 전송을 수행하는 device를 말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은 상술한 TV 화이트 스페이스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을 사용하기 원하는 비면허 기기는 면허 기기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면허 기기가 해당 대역을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비면허 기기는 인터넷 혹은 전용망을 통해 geo-location database에 접속하여 해당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 리스트 정보를 얻어 와야 한다. Geo-location database는 자신에게 등록된 면허 기기의 정보와 면서 기기들의 지리적 위치 및 사용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채널 사용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STA은 주파수 센싱 메커니즘(spectrum sensing mechanism)을 수행할 수 있다. 주파수 센싱 메커니즘으로 Energy Detection 방식, Feature Detection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의 강도가 일정 값 이상이면, 면허 기기 또는 incumbent user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DTV 프리엠블(Preamble) 이 검출 되면 incumbent user 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사용 중인 채널과 바로 인접해 있는 채널에서 incumbent user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STA과 AP는 전송 전력을 낮추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STA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 내 가용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WLAN 동작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STA이 채널 가용성 질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STA의 이동 상황을 고려하는 경우, 매번 가용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보다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한번에 수행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위한 신호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하 "STA")이 채널 질의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는 제 1 STA이 상기 채널 질의 절차를 지원하며,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는 제 2 STA에 상기 채널 가용성 질의용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2 STA으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는 상기 특정 영역 내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채널 가용성 정보는 등록 위치 서버(registered location server)로부터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STA은 등록 위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기 위치 정보는 적어도 위도, 경도 및 반경 정보를 가지는 지리적 지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경 정보는 상기 위도 및 경도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지점으로부터 수평면에서의 반경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기기 위치 정보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는 제 1 타입 및 제 2 타입 중 하나 이상의 타입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 타입은 적어도 위도, 경도 및 반경 정보를 가지는 지리적 지점 정보에 기반하여 규정되며, 상기 제 2 타입은 복수의 기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지만, 상기 특정 영역에 공통적으로 가용인 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첫번째 위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널 질의 절차는 GAS(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STA는 RLQP(Registered Location Query Protocol)를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제 1 메시지가 채널 가용성 질의 요청을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원인 결과 코드; 및 상기 채널 가용성 질의 요청 STA 및 상기 채널 가용성 질의 응답 STA의 주소를 위한 STA 식별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메시지는 제 1 값 또는 제 2 값을 나타내는 원인 결과 코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 1 값은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값은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가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첫번째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질의 절차의 제 1 스테이션(이하 "STA")으로 동작 가능한 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를 지원하며,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는 제 2 STA에 상기 채널 가용성 질의용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2 STA으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STA이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스테이션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하 “STA”)이 채널 질의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는 제 1 STA으로부터 상기 채널 질의 절차를 지원하며,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는 제 2 STA에서 상기 채널 가용성 질의용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1 STA에 전송하되,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는 상기 특정 영역 내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질의 절차를 수행하는 제 2 스테이션(이하 "STA")으로서 동작 가능한 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는 제 1 STA으로부터 상기 채널 가용성 질의용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1 STA에 전송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채널 질의 절차를 지원하며,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는 상기 특정 영역 내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스테이션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를 경우,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WLAN 동작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STA이 채널 가용성 질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STA의 이동하는 경우에도 매번 가용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 하지 않고 복수의 위치에 대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WSM 정보 요소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WSM 중 채널 맵 필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등록 위치 필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캠퍼스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White Space Zone이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White Space Zone 내 WSM의 활용 제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Dependent AP가 Enabling STA에게 WSM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White Space Zone을 규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채널 가용성 질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Channel Availability Query frame format을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 질의 정보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 위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개인용/이동형 기기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보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는 ST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동작하려는 STA는 해당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가용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가용 채널 정보는 종종 WSM (White Space Map)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WSM 정보 요소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WSM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란 특정 STA(예를 들어, enabling STA 혹은 dependent STA를 enable한 dependent AP)이 다른 STA(예를 들어, dependent STA)에게 어떤 채널에서 전송을 허용하는 지를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beacon, probe response, WSM announcement와 같은 관리 작용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TV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의 WSM은 TV 신호의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게 되는데, 특정 시점에서 unlicensed device들이 사용 가능한 채널의 번호와 해당 채널에서 허용되는 최대 전력 값이 list의 형태로 지시될 수 있다.
Enabling STA는 dependent STA에게 WSM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Enabling STA로부터 enable된 dependent AP는 dependent STA에게 WSM을 전송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화이트 스페이스에서 동작하는 dependent STA들의 스캐닝(scanning) 과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즉, dependent STA는 수신한 WSM에서 가용인 것으로 지시되는 채널 내에만 규정된 WLAN 채널에 대해서만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Country code field는 해당 필드 이후에 오는 채널 맵(channel map)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TV화이트 스페이스의 예를 들면, TV 대역의 범위와 TV 채널의 대역폭은 각 국가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regulatory domain도 다양하게 된다. 따라서 country code field는 채널 맵 필드와 함께 WSM을 수신하는 STA이 사용 가능한 TV 채널의 물리적 위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Country code field는 3 octet의 country string값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즉, 처음 2 octet은 ISO/IEC 3166-1에 정의된 country code를 나타내며 마지막 octet은 environment를 의미할 수 있다. 확장적으로 해당 필드는 국가 정보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국가 내의 지역 코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의 가용 여부를 시그널링해주는 채널 맵의 기본 단위는 반드시 TV channel 대역폭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해당 regulatory domain의 database가 제공하는 가장 작은 기본 단위의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채널 맵 필드는 사용 가능한 채널 번호(예를 들어, TV 채널 번호)와 FCC regulation에 따른 각 사용 가능 채널(TV 채널)에 해당하는 최대 전송 전력 값이 포함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WSM 중 채널 맵 필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SM의 채널 맵 필드는 기기 타입(device typ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Enabling STA 또는 채널 맵 정보를 전송하는 Dependent AP 가 채널 맵을 전송할 때, 자신이 서비스 하고자 하는 기기 타입을 함께 시그널링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기기 타입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채널과 허용 가능 최대 전력 값이 상이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정형 기기의 경우, incumbent user 가 사용 중인 TV channel 에 대해서, 인접 채널을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개인용/이동형 기기(personal/portable device)의 경우, 허용 가능 최대 전력 값을 100mW 에서 40mW로 줄이는 조건으로 incumbent user 가 사용 중인 TV channel 에 대해 인접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맵에는 사용 가능한 채널 번호(예를 들어, TV 채널 번호)와 FCC regulation에 따른 각 사용 가능 채널에 해당하는 최대 전송 전력 필드와 함께 기기 타입 필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기 타입은 해당 WSM 을 전송하는 기기 타입을 시그널링하기 보다, 해당 WSM 을 사용할 수 있는 자신이 서비스 중인 기기의 타입을 시그널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기 타입에는 고정형 기기, 개인용/이동형 기기와 같은 정보와 해당 WSM 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STA의 주파수 마스크(spectrum mask) 값이 더불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고정형 기기는 기기 타입이 개인용/이동형 기기로 되어 있는 WSM 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WSM 에 기기 타입 필드가 개인용/이동형 기기로 되어있는 경우, 고정형 기기에 의해 사용될 수 없는 채널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채널 맵은 등록 위치(registered location) 정보를 포함한다. 등록 위치 필드는 3차원 좌표 (latitude, longitude, altitude)로 표현되는 geo-location 정보이다. 이는 바람직하게 latitude, longitude, altitude 값과 각각의 resolution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위치 정보가 enabling STA 에 해당하는지 dependent STA 에 해당하는지 여부도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등록 위치 필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형태는 IEEE 802.11y 표준에 정의된 DSE Registered Location element body field 에 기반하며, Dependent Enablement Identifier, Regulatory Class, Channel Number 는 reserved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WSM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위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특정 위치에서 가용 채널 리스트를 알려줄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WSM을 수신한 STA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해당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해당 STA은 다시 WSM을 수신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채널 가용성 질의를 또 다시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가용 채널 정보를 질의하고, 이에 따른 WSM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예를 들어, Enabling STA 은 자신의 위치뿐만 아니라, 다수의 주변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한 사용 가능 채널 정보들을 조합하여 Enabling STA 은 사용 가능 채널이 동일한 geographical area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geographical area는 특정 좌표 셋으로 정의되는 boundary를 가지게 된다. 해당 boundary 안에서는 STA이 이동을 하더라도 사용 가능 채널이 여전히 유효하게 되어 새롭게 사용 가능 채널을 업데이트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복수의 위치(지점)에 기반한 geographical area를 white space zone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Dependent STA는 enabling STA로부터 enabling signal을 수신함으로써 동작이 시작될 수 있는데, 이 때, 특정 enabling STA로부터 enable되는 다수의 dependent STA가 지역적으로 특정 범위 안에 존재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캠퍼스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은 캠퍼스 환경에는 enabling STA가 있고 해당 enabling STA로부터 enable되는 다수의 dependent STA가 캠퍼스 곳곳에 분산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이 dependent STA는 필요에 따라 캠퍼스 내에서 다른 건물, 다른 강의실, 다른 층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캠퍼스 혹은 office/apartment와 같이 지역적으로 분리되는 서비스 환경에서는 해당 지역 내에서 사용 가능한 공통의 채널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히 rural 지역에서는 위치에 따른 사용 가능 채널의 변화 정도가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역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White Space Zone Range 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위치의 geo-location 좌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 안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나, 등록 위치 정보와 조합하여 White Space Zone 의 물리적 위치가 계산될 수 있어야 한다.
간단한 예를 들면 등록 위치가 (x1, y1, z1) 의 3차원 좌표로 등록되어 있고 White Space Range는 반경(radius)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x1, y1, z1)을 구의 중심으로 하고 반경 radius를 가지는 구형의 white space zone 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개인용/이동형 기기에 대한 등록 정보로서 고도 값이 생략되는 경우, 위도와 경로로 특정되는 지점으로부터 평면상에 특정 반경 내 영역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캠퍼스/rural 지역에서 특정 지역 범위 안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채널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캠퍼스 나 rural 지역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동일 화이트 스페이스 영역(white space zone)에 존재하는 모든 STA들에게 유효한 공통 채널을 계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WSM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특정 지역 범위에 위치한 dependent STA들은 enabling STA로부터 enable 되어 동작을 시작한다. 이 때, enabling STA는 enabling signal 및 WSM 을 전송하게 되는데, WSM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채널의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널 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Enabling STA로부터 WSM 을 수신하게 되는 dependent STA들은, 채널 맵 필드를 통해 전달된 사용 가능한 TV 채널 번호와 최대 전송 전력 값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dependent STA 들간에 통신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Enabling STA는 다양한 위치에서의 사용 가능 채널 정보를 통해 자신이 설정한 White Space Zone Range안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채널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획득한 다수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 집합을 AND operation 함으로써 그들 간의 교집합을 계산함으로써 가능하다.
해당 계산에 필요한 최적의 위치 정보와 사용 가능 채널 정보 및 이를 도출하는 과정은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White Space Zone range 내에서 선택한 임의의 위치에서 최종적으로 계산된 공통의 사용 가능 채널이 적용 되지 않는 경우는 없어야 한다.
White Space Zone 을 먼저 설정하고, 해당 Zone을 cover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를 계산하여 선택할 수도 있고, 자신이 서비스하는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dependent STA들의 위치나 특정 위치 정보들로부터 적합한 White Space Zone 을 계산할 수도 있다. 위치와 White Space Zone 의 선후 관계는 어떠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들을 도출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White Space Zone이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Enabling STA가 설정한 White Space Zone Range로 인해 도 5와 같이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White Space Zone 내에 위치한다는 것은 boundary 안에 해당 좌표가 위치함을 의미한다. Enabling STA가 복수 위치상에서 가용인 채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또는 등록 위치 서버(RLS)로부터 획득하여 White Space Zone 안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계산하면, 이를 White Space Zone 내에 위치한 dependent STA 에게 알릴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Enabling signal, WSM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WSM의 등록 위치는 Enabling STA 의 geo-location 정보에 해당할 것이며, White Space Zone range 는 등록 위치 로부터의 radius 혹은 위치 벡터 등의 형태를 가질 것이다. WSM을 수신한 dependent STA는 이 2개의 field 을 조합하며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White Space Zone 을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White Space Zone 내 WSM의 활용 제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ependent STA는 계산된 White Space Zone 안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동일한 사용 가능 채널을 사용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 단, dependent STA가 enabling STA가 설정한 White Space Zone을 벗어나도록 이동하는 경우에는 enabling STA로부터 획득하였던 채널 맵 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White Space Zone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STA는 채널 맵 정보를 업데이트 해주어야 한다.
채널 맵의 업데이트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Dependent STA가 White Space Zone을 벗어났으나 enabling STA와 계속해서 통신하면서 enable상태를 유지 할 수 있는 경우에는, WSM을 요청해서 새로운 WSM을 획득할 수 있다. 만약 enabling STA가 White Space Zone만을 서비스 하는 경우에는 STA이 White Space Zone을 벗어남으로써 deenable되고, 새로이 다른 enabling STA을 통해 enable되어야 할 수 있다.
Dependent STA는 자신의 geo-location 정보를 등록하지 않고 도 6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AP(Access Point)와 같이 Master Device로 동작하기 원하는 Dependent STA 는, 자신의 geo-location 정보를 enabling STA 을 통해 위치 서버(location server) 또는 데이터 베이스(database) 에 등록해야 한다.
Dependent STA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 다음 자신의 좌표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질의(query)하고 해당 좌표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WSM 등의 형태로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의 채널 맵에서 등록 위치(Registered Location) 과 White Space Zone Range 는 NULL값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등록한 좌표에서 일정 거리 (예, 100m) 이상 이동하게 되는 경우, 사용 가능 채널 리스트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Dependent STA는 White Space Zone을 설정하여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면서 Zone 안에서 이동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ependent STA는 WSM 요청 프레임을 enabling STA에게 보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Dependent AP가 Enabling STA에게 WSM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WSM Request를 수신한 enabling STA는 도 2와 같은 형태의 채널 맵을 포함하는 WSM을 WSM Response frame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 때, WSM Response frame 의 등록 위치 필드는 dependent STA(AP) 의 geo-location에 해당된다. 그리고 WSM Response frame 의 White Space Zone range는 Registered location으로부터의 radius 혹은 복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벡터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경우에 등록 위치는 enabling STA의 위치인 것을 가정하였다. 다만, 도 7의 경우 이동하는 dependent STA가 WSM을 요청하는 시점에서 등록된 위치 정보가 등록 위치로 사용되는 것을 가정한다.
Enabling STA는 dependent AP 의 등록된 geo-location 정보와 그 주변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White Space Zone 내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사용 가능 채널 정보를 database 에 요청하여 획득하고,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 집합을 AND operation 함으로써 그들 간의 교집합을 계산하는 것이다.
해당 계산에 필요한 최적의 위치 정보와 사용 가능 채널 정보 및 이를 도출하는 과정은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White Space Zone range 내에서 선택한 임의의 위치에서 최종적으로 계산된 공통의 사용 가능 채널이 적용 되지 않는 경우는 없어야 한다.
Dependent AP 는 계산된 White Space Zone 안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동일한 사용 가능 채널을 사용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이 이동하면서 동작을 할 때, geo-location 이 일정 거리 (예, 100m) 이상 변경될 때 마다 반복해서 사용 가능 채널을 새로이 얻어오지 않아도 된다.
단, dependent AP가 enabling STA가 설정한 White Space Zone을 벗어나는 경우 enabling STA로부터 획득하였던 Channel Map 정보가 더 이상 valid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WSM 을 update 해 주어야 한다.
WSM 요청 프레임에는 등록 위치와 반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ependent AP 가 자발적으로 White Space Zone을 설정하는 것이며, 이를 수신한 enabling STA 는 요청한 등록 위치와 반경 정보를 바탕으로 White Space Zone 을 계산하게 된다. Enabling STA 는 계산된 White Space Zone 안에 포함되는 적합한 혹은 최적의 복수 위치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들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또는 등록 위치 서버)로부터 획득해 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시나리오에서와 유사하게 enabling STA는 획득한 사용 가능 채널 정보들로부터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계산할 수 있다. Enabling STA는 계산된 White Space Zone 안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채널 정보로 채널 맵을 구성하고 WSM Response frame 의 WSM 에 포함하여 dependent AP 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는 공통의 WSM을 구성하여 운용하기 위한 White Space Zone을 위도와 경도로 규정되는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에 따가 규정하는 방식(제 1 타입)과, 복수의 지점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벡터에 따라 규정하는 방식(제 2 타입)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2가지 타입 모두를 이용하여 White Space Zone을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White Space Zone을 규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위치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WSM을 운용하기 위한 영역 정보는 위도/경도에 따라 규정되는 특정 지점(p1)과 그로부터의 평면상 반경(r1)으로 규정될 수도, 복수의 지점(p1, p2)으로 규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8에서 복수의 지점(p1, p2) 각각에서 특정 반경(r1, r2) 이내의 범위를 White Space Zone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 정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STA이 사용 가능한 채널 목록을 획득하기 위해 Channel Availability Query(CAQ)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치에 기반한 가용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TA가 화이트 스페이스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incumbent user 에 대한 보호를 고려 해야 한다. 따라서 STA는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 데이터 베이스 또는 위치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 가능한 채널 목록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사용 가능한 채널 목록을 획득하는 과정을 CAQ(channel availability query) 과정이라 한다.
도 9는 채널 가용성 질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RLQP (Registered Location Query Protocol)을 이용한 채널 가용성 질의 과정은 가용 채널 리스트를 획득하기 위해 등록 위치 보안 서버(Registered Location Secure Server: RLSS) 또는 등록 위치 서버(RLS)를 이용한다. 여기서, RLSS 또는 RLS는 반드시 WLAN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지는 않으나, 유선 또는 무선 등 임의의 연결 수단을 통해 RLQP를 Advertise한 STA(예를 들어, 도 9의 STA 2)와 연결된 기능적 엔터티를 의미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STA2 자체를 RLSS 또는 RLS와 동일한 엔터티로 볼 수도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단계 S1210에서 STA 1은 STA 2이 RLQP를 지원하는 것을 나타내는 Advertisement Protocol Element를 수신할 수 있다. 즉, STA 1은 Advertisement protocol ID가 RLQP를 나타내는 관리 프레임을 STA 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 내 동작을 원하는 STA 1은 CAQ 요청 STA로서 STA 2에게 CAQ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22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Channel Availability Query frame format을 보여준다.
채널 가용성 질의 동작 필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클래스, 기기 식별자 정보, 기기 위치 정보, WSM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기 위치 정보 필드는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STA는 기기 위치 정보를 반복함으로써 하나의 프레임에 여러 위치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질의가 복수 위치에 대한 것임을 지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Channel Query Info field format을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 질의 정보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수의 위치에 대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하는 경우, 기기 위치 정보 존재(Device Location Information present) 필드를 1로 설정해서 위치 정보가 존재함을 지시하여 주며, 기기 위치 정보 필드의 수는 질의하는 위치의 수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 위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기기 위치 정보가 위도, 경도, 고도 정보에 추가적으로 Vicinity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반경(radius)에 대한 다른 표현일 수 있다. 도 12에서는 vicinity정보가 존재하는지 지시해주는 vicinity present 필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후속하는 32 bit는 vicinity정보를 나타내었다.
만일 Vicinity present가 0(off) 인 경우는 해당 특정 지점에 대한 질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vicinity가 radius인 경우, 1km와 같은 광범위한 WSZ 영역을 구성하여 한 개의 point에 대해서 WSZ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resolution distance(50m)에 해당하는 거리 이내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point location에 대한 query로도 WSZ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기기 위치 정보의 수가 복수인 경우, vicinity 정보 (또는 radius 정보)를 포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점이 지시되는 경우, 각 지점에서 resolution distance에 해당하는 영역이 설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vicinity (radius) 정보의 지시는 불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3은 개인용/이동형 기기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보여준다. 기기 위치 정보는 개인용/이동형 기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고도(altitude) 값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Vicinity 정보를 각 latitude-longitude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상에서 규정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기기 위치 정보를 TLV 형태로 나타낸 예이다.
Figure 112012095817344-pct00001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질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TA 2는 RLSS 또는 RLS에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Database/RLS는 복수 위치에 대한 질의를 수신한 경우, 각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White Space Zone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채널을 계산하여 Channel Availability Query frame 으로 응답한다. 이는 STA 2를 거쳐 STA 1까지 전달되게 된다(S1240 및 S1250). 만일, STA2가 RLSS 또는 RLS 자체로 구현되는 경우, RLSS 또는 RLS 자신이 STA1의 복수 위치에 대한 질의에 응답하게 된다(S1240 및 S1250 생략).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위치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채널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이와 같이 복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공통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WSM을 채널 가용성 질의 응답 메시지로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위치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채널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채널 가용성 질의 응답 메시지에서 아무런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대신, 복수의 위치 중 가장 첫번째 위치에서의 가용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White Space Zone에서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채널 리스트를 확보하여 STA이 이동하더라도 매번 WSM을 갱신하지 않아도 되게 할 수는 없지만, CAQ 요청을 한 STA의 현재 위치에서 가용 채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선 현 위치에서 WLAN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CAQ 요청/응답의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원인 결과 코드를 제안한다,
Figure 112012095817344-pct00002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도 9와 같이 CAQ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원인 결과 코드 1을 통해 해당 프레임이 CAQ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CAQ 응답 메시지에서 원인 결과 코드 8을 나타내는 경우, CAQ 요청에서 복수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영역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가용인 채널 정보를 포함함을 나타내고, 원인 결과 코드 3을 나타내는 경우, 공통 가용 채널을 제공하지는 않으나, 복수의 위치 중 첫 번째 위치에서의 가용 채널 정보를 제공함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는 ST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기기(100)는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RF(Radio Frequency) 유닛(103), 디스플레이 유닛(1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5)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 등 각 계층의 기능은 프로세서(101)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102)는 프로세서(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및 일반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디바이스(600)가 사용자 기기라면, 디스플레이 유닛(104)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공지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5)은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공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유닛(103)은 프로세서(101)과 전기적/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RF 유닛(103)은 전송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유닛(103)은 송수신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전송 모듈은 프로세서로(101)부터 스케쥴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에 전달할 수 있다.
수신 모듈은 외부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여 원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프로세서(101)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STA(100)의 송수신기는 채널 질의 절차를 지원하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는 peer STA에 채널 가용성 질의용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RLS 또는 RLSS 로부터 획득된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peer STA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경우, 채널 가용성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IEEE 802.11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비면허 기기가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하 "STA")이 채널 질의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는 제 1 STA이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는 제 2 STA에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2 STA으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채널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첫번째 위치에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는 등록 위치 서버(registered location server)로부터 획득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STA은 등록 위치 서버(registered location server)를 포함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위치 정보는 적어도 위도, 경도 및 반경 정보를 가지는 지리적 지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반경 정보는 상기 위도 및 경도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지점으로부터 수평면에서의 반경을 나타내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기기 위치 정보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는 제 1 타입 및 제 2 타입 중 하나 이상의 타입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제 1 타입은 적어도 위도, 경도 및 반경 정보를 가지는 지리적 지점 정보에 기반하여 규정되며,
    상기 제 2 타입은 복수의 기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규정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는 GAS(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STA는 RLQP(Registered Location Query Protocol)를 지원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제 1 메시지가 채널 가용성 질의 요청을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원인 결과 코드; 및
    상기 채널 가용성 질의 요청 STA 및 상기 채널 가용성 질의 응답 STA의 주소를 위한 STA 식별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제 1 값 또는 제 2 값을 나타내는 원인 결과 코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값은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값은 상기 채널 가용성 정보가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첫번째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것을 나타내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질의 절차의 제 1 스테이션(이하 "STA")으로 동작 가능한 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를 지원하며,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는 제 2 STA에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2 STA으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STA이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채널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첫번째 위치에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스테이션 장치.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하 "STA")이 채널 질의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는 제 1 STA으로부터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는 제 2 STA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1 STA에 전송하되,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채널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첫번째 위치에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질의 절차 수행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질의 절차를 수행하는 제 2 스테이션(이하 "STA")으로서 동작 가능한 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질의 STA에 해당하는 제 1 STA으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채널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1 STA에 전송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채널 질의 절차를 지원하며, 상기 채널 질의 절차의 채널 가용성 응답 STA에 해당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채널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기기 위치 정보가 상기 특정 영역 내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첫번째 위치에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스테이션 장치.
KR1020127030435A 2011-03-17 2011-10-20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19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53558P 2011-03-17 2011-03-17
US61/453,558 2011-03-17
PCT/KR2011/007829 WO2012124872A1 (ko) 2011-03-17 2011-10-20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906A KR20140009906A (ko) 2014-01-23
KR101719997B1 true KR101719997B1 (ko) 2017-03-27

Family

ID=4683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435A KR101719997B1 (ko) 2011-03-17 2011-10-20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071933B2 (ko)
EP (1) EP2688225B1 (ko)
JP (2) JP5628417B2 (ko)
KR (1) KR101719997B1 (ko)
CN (2) CN102986149B (ko)
WO (1) WO2012124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840B (en) * 2011-06-13 2015-09-16 Neul Ltd Inter-device communication
GB201114079D0 (en) 2011-06-13 2011-09-28 Neul Ltd Mobile base station
CA3015064A1 (en) * 2016-03-11 2017-09-14 Sony Corporation Serv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10123309B2 (en) * 2016-12-06 2018-11-0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y and acquisition of a control channel using guard ban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0773A (ja) 2008-02-21 2009-09-03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0117998A2 (en) 2009-04-06 2010-10-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Television band (tvbd) channel quieting across diverse radio access technologi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68681T1 (de) 2005-03-14 2010-06-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system zur bekanntgabe von zugangspunkt-kandidaten in einem drahtlosen netzwerk
US7882238B2 (en) * 2005-07-08 2011-02-01 Qualcomm Incorporated Using bluetooth to establish ad-hoc connections between non-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N101779417B (zh) 2007-07-04 2013-02-0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lan中与外部网络的交互过程及其消息格式
US8068454B2 (en) * 2007-11-07 2011-11-29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for enabling mobile coverage extension and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an ad hoc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JP5080406B2 (ja) 2008-09-05 2012-11-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配信装置、端末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8160599B2 (en) * 2009-04-14 2012-04-17 Spectrum Bridg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pectrum allocation
US8589359B2 (en) * 2009-10-12 2013-11-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nsuring consistency among multiple spectrum databases
US8644851B2 (en) * 2009-10-20 2014-02-04 Nokia Corporation Channel availability for white-space devices,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8472461B2 (en) * 2010-01-04 2013-06-25 Wsdb Llc Channel allocation system for protected service areas
WO2011122763A2 (en) * 2010-03-28 2011-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 white space map inform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20120093092A1 (en) * 2010-10-19 2012-04-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channel management
US8452302B2 (en) * 2010-11-04 2013-05-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bandwidth and access mana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0773A (ja) 2008-02-21 2009-09-03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0117998A2 (en) 2009-04-06 2010-10-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Television band (tvbd) channel quieting across diverse radio access technologi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hannes D. et al. "Enhanced Channel Availability Query to support database query for multiple locations", IEEE 802.11af-11/0259r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906A (ko) 2014-01-23
CN102986149B (zh) 2015-11-25
EP2688225A4 (en) 2015-03-04
EP2688225B1 (en) 2020-12-02
JP5864692B2 (ja) 2016-02-17
CN102986149A (zh) 2013-03-20
US20150257157A1 (en) 2015-09-10
JP2015035819A (ja) 2015-02-19
US10104663B2 (en) 2018-10-16
JP5628417B2 (ja) 2014-11-19
US20130072232A1 (en) 2013-03-21
WO2012124872A1 (ko) 2012-09-20
JP2013528333A (ja) 2013-07-08
US9071933B2 (en) 2015-06-30
CN105188033A (zh) 2015-12-23
EP2688225A1 (en) 2014-01-22
CN105188033B (zh)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1353B2 (ja) 無線lanシステムでのホワイトスペースマップ情報伝送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082041B2 (ja) TVWS(TVWhiteSpace)で存在するネットワークをスキャ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624675B2 (ja) Wlanシステム内でのステーションの動作方法及び装置
JP5518251B2 (ja) 無線lanシステムでホワイトスペースマップ情報を伝送及び受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AU2011292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within White Space band using message indicating whether available channel information is valid in wireless system
US98201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a contact verification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424592B (zh) 利用现有基础设施进行被动资产追踪
US94082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19997B1 (ko)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01935B1 (ko) Tdls를 통한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으로의 채널 스위칭
US11622234B2 (en) Passive asset tracking using observations of Wi-Fi access points
CN102714796A (zh) 用于在无线lan系统中禁用非法装置的方法和设备
US10470175B2 (en) Mesh network configuration in a white space band
KR101946820B1 (ko) 듀얼 주파수 대역에서 트리플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운용 방법
KR10135166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p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40118500A (ko) 듀얼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