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710B1 - 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710B1
KR101719710B1 KR1020160120675A KR20160120675A KR101719710B1 KR 101719710 B1 KR101719710 B1 KR 101719710B1 KR 1020160120675 A KR1020160120675 A KR 1020160120675A KR 20160120675 A KR20160120675 A KR 20160120675A KR 101719710 B1 KR101719710 B1 KR 101719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rear block
width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곤성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Priority to KR102016012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7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assembly for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in multiple rows, so as to form a surface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assembly comprises: a front block (100) having an insertion groove (100) in a rear side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a rear block (200) inserting a front head part (210)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to prevent front/rear directional separation. In order to form a soil filling part between the rear block (200) and the other rear block (200) installed adjacent to the same, a width of the rear block (20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ront block (100). In order to support the rear block (200) by background soil, a length of the rear block (20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ront block (100). In order to prevent the rear block (200) from being damaged during tamping work of the soil constructed in an upper part of the rear block (200), a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ront block (100). Thus, the rear bl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stres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on a combination part between the front and rear blocks.

Description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BLOCK ASSEMBLY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 assembly and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상호 구조가 상이한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조립체에 의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A technique for forming a surface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by an assembly of a front block and a rear block having mutually different structures has been studied.

도 1 내지 5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195호(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1 to 5 relate to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7195 (retaining wall block having a self supporting structure).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은, 옹벽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블럭(100) 및 이 전방블럭(100)을 지지하도록 전방블럭(100)의 후방에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앵커블럭(200)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의 높이는 동일하다.1 and 2, the retaining wall block having a self supporting structure includes a front block 100 forming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a separate rear wall 100 for supporting the front block 100, And an anchor block 200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engaging means.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have the same height.

상기 전방블럭(100)은 전방에서부터 옹벽의 앞면을 형성하는 전방벽부(110), 전방속채움공(120), 격벽(130), 후방속채움공(140) 및 후방벽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블럭(100)은 식생기반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방벽부(110)가 다공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머지 부분(12,130,140,15)은 강도 유지를 위한 무공극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녹화용 옹벽블럭일 수 있다.The front block 100 includes a front wall portion 110, a front filling hole 120, a partition wall 130, a rear filling hole 140, and a rear wall portion 150 which form a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from the front Respectively. The front block 100 may be made of porous concrete to provide a vegetation base and the remaining portions 12, 130, 140 and 15 may be a recording-use retaining wall block made of non- have.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에는 서로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앵커블럭(200)은 전방에서부터 결합부(210), 연결부(220) 및 지지부(230)가 대략 "T" 형태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는 연결부(220)보다 좌우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전방블럭(100)에는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삽입부(160)가 구비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결합부(160)는 후방벽부(150)에 후방속채움공(140)과 연통되는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벽부(150)의 내부에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의 형상을 따라 후방으로 개구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160)는 앵커블럭(200)의 연결부(220)가 삽입될 수 있으면서 결합부(210)가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The retaining wall block having the self supporting structure can connect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without using any separate fastening means. For this purpose,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s formed. For example, the anchor block 2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ortion 210, the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supporting portion 230 in a substantially "T" shape from the front.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anchor block 200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coupling portion 220. The front block 10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60 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anchor block 200 is fitted. 1, the engaging portion 160 may be formed in the rear wall portion 150 in the form of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ar filling hole 14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ar wall portion 150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that opens rearward along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anchor block 200. [ The insertion portion 160 is formed to have a width such that the coupling portion 220 of the anchor block 200 can be inserted and the coupling portion 210 does not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앵커블럭(200)이 보강토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는 앵커블럭(200)의 다른 부분보다 좌우로 길게 돌출된다. 또한, 이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 길이는 전방블럭(100)의 전방벽부(110)의 길이보다 짧아야만 한다. 그 이유는,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의 길이가 전방블럭(100)의 길이보다 같거나 길면, 예컨대 옹벽을 곡선형으로 축조할 경우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들끼리 간섭되므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supporting part 230 of the anchor block 200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other part of the anchor block 200 so that the anchor block 200 can have a high resistance to the reinforcing soil.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230 of the anchor block 200 should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wall part 110 of the front block 100.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f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230 of the anchor block 200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block 100, for example, when the retaining wall is curved, the support parts 230 of the anchor block 200 This is because a curved retaining wall can not be constructed because it is interfered.

도면 중 미설명부호 170은 전방블럭(100)들이 다단으로 쌓일 때 겹쳐지는 전방블럭들이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앵커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170 are anchors for allowing front blocks overlapping when the front blocks 100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가 전방블럭(100)의 후방벽부(150)에 걸려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이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에 의해 옹벽블럭에 수평토압이 작용하여도 옹벽블럭이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는다.The coupling part 210 of the anchor block 200 is hooked to the rear wall part 150 of the front block 100 so that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can be held in a connected state without separate fastening means, Even if horizontal earth pressure acts on the retaining wall block by the support portion 230 of the anchor block 200, the retaining wall block is not forwarded.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에 대하여 설명한다.3 and 4, a retaining wall block having a self support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옹벽블럭은,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 사이에 이들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블럭(30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 중계블럭(300)의 높이는 전방블럭(100) 및 앵커블럭(200)의 높이와 각각 동일하다.The retaining wall block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relay block 300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between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The height of the relay block 300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respectively.

상기 중계블럭(300)을 전방블럭(100)에 결합하기 위하여, 중계블럭(300)은 전방블럭(100)의 삽입부(160)에 삽입되는 결합부(310)를 가지는데, 이 결합부(310)는 전방블럭(100)의 삽입부(160)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이루어진다.The relay block 30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3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60 of the front block 100. The coupling portion 31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310 are formed to have a width such that they do not come off from the insertion portion 160 of the front block 100.

또한, 중계블럭(300)을 앵커블럭(200)에 결합하기 위하여, 중계블럭(300)은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가 삽입되는 삽입부(320)가 구비된다.In order to connect the relay block 300 to the anchor block 200, the relay block 30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320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anchor block 200 is inserted.

중계블럭(300)은 결합부(310)와 삽입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갖는다. 중계블럭(300)은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의 사이에 다수개가 개재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계블럭(300)들은 서로 연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중계블럭(300)의 결합부(310)와 삽입부(320)는 인터록킹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lay block 300 has a connection part 330 connecting the coupling part 310 and the insertion part 320. A plurality of relay blocks 3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relay blocks 3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ascade manner. For this purpose, the coupling unit 310 and the insertion unit 320 of the relay block 300 may be interlocked ≪ / RTI >

또한, 축조되는 옹벽블럭의 열들 중 하부쪽 열로 갈수록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과의 사이에 더 많은 수의 중계블럭(300)이 개재되고, 위쪽 열로 갈수록 적은 수의 중계블럭(300)이 개재되면,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옹벽과 유사한 자중식 앵커구조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앵커수단이 없이 옹벽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A greater number of the relay blocks 300 are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block 100 and the anchor block 200 as the lower row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are formed and a smaller number of relay blocks 300 300 are interposed, a self-supporting anchor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thick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is formed as it goes downward, so that the retaining wall can be firmly supported without any anchor means.

이와 같은 중계블럭(300)이 채용되면 실시예 1에 의한 옹벽블럭에 비하여 수평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하므로 옹벽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When such a relay block 300 is employed, the resistance against horizontal earth pressure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 retaining wall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도 6 내지 9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4766호(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6 to 9 relate to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4766 (retaining wall block).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록은 전방에서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블록본체(1)와 상기 블록본체(1)의 뒤쪽에 결속된 상태로 옹벽 배후에 성토되는 토사에 매립되는 지지블록(2)으로 구성된다.6 and 7,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es a block body 1 forming a wall surface of a retaining wall at the front, and a support body 1 which is embedded in the gravel covered with the rear wall of the retaining wall, Block (2).

상기 블록본체(1)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그 내부에 흙이 충전되는 채움부(1a)를 형성하면서 일체화되어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전,후방벽(11,12)과 좌,우측벽(13,14), 상기 전,후방벽(11,12) 사이에서 좌,우측벽(13,14)을 연결하여 상기 전방벽(11) 및 좌,우측벽(13,14)과 함께 채움부(1a)을 형성하는 중간벽(15), 그리고, 상기 후방벽(12)의 좌,우 측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형성된 지지부(1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방벽(11)은 대략 원호형으로 만곡된 벽체로서 곡선 시공이 가능하도록 지지부(15)가 포함된 후방벽(12)에 비해 더 큰 좌우방향의 폭을 갖도록 성형된다. 좌,우측벽(13,14)은 전방벽(11) 양 끝단에서 연장되어 후방벽(12)에 연결되는 벽체로, 블록본체(1)를 곡선형으로 축조할 있도록 후방벽(12)측으로 가면서 안쪽으로 10∼45도 범위 내에서 비스듬히 성형된다. 그리고, 그 상면에는 중간쯤 위치에서 후방벽(12)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서 돌출하여 그 위단의 좌,우측에 나란히 뒤물림 적층되는 두 블록본체의 중간벽을 지지할 수 있는 앵커(17)가 성형된다. 중간벽(15)은 그 하단부가 아래 단에 축조된 블록본체의 앵커에 걸쳐져 블록본체(1)가 그 아랫단에 축조된 블록본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벽체로서, 상기 좌,우측벽(13,14)을 연결하여 블록본체(1)의 전체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겸한다.The block body 1 has front and rear walls 11 and 12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filling portion 1a filled with soil therein, The left and right walls 13 and 14 are connected between the walls 13 and 14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11 and 12 so as to be filled with the front wall 11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13 and 14. [ An intermediate wall 15 forming a portion 1a and a support portion 16 formed laterally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wall 12 and the like. The front wall 1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rcuately curved wall so as to have a greater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n the rear wall 12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 15 so as to be able to be curved. The left and right walls 13 and 14 are wall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ront wall 11 and connected to the rear wall 12. The left and right walls 13 and 14 extend toward the rear wall 12 so as to form the block body 1 in a curved shape It is formed obliquely in the range of 10 to 45 degrees inward. An anchor 17, which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intermediate wall of the two block bodies, which protrudes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to a position slightly offset from the rear wall 12 and overlaps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end, do. The intermediate wall 15 is a supporting wall whose lower end is laid over an anchor of the block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block body 1 is supported by the block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14) to reinforce the overall support strength of the block body (1).

위 구성 중 위단에 적층되는 블록본체의 중간벽을 지지하는 상기 앵커(17)의 경우에는 도 2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후단부가 중간벽(15)의 전면 보다 뒤쪽에 위치하도록 성형되어 위단에 적층된 블록본체(1)를 중간벽(15) 전면과 앵커(17) 후단부 사이 거리(D) 만큼 뒤물림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6)는 상기 후방벽(12)에서 좌우측으로 연장 성형된 것으로서, 여기에는 이웃하고 다른 블록본체(1) 지지부(16)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블록(2) 선단의 결속부(21)가 걸치게 된다. 이에, 블록본체(1)를 지지부(16)에 대하여 결속하는 기능을 하며, 더불어 축조되기 전에는 운반할 때 손으로 잡고 들 수 있는 손잡이로 이용되기도 한다. 특히 이 지지부(16)에는 곡률이 큰 곡선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그 선단 일부를 파단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파단홈(16a)이 상하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anchor 17 supporting the intermediate wall of the block main body stacked on the upper end of the above structure, the rear end thereof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front face of the intermediate wall 15 as shown in Figs. 2 and 4,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tacked block body 1 in a backward position by a distance 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wall 15 and the rear end of the anchor 17. [ The support portion 16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rear wall 12 to the left and right and includes a binding portion 21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block 2 sandwiched between the neighboring block body 1 and the support portion 16 ). The block body 1 has a function of binding the block body 1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16, and is also used as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hand when it is transported before being built. Particularly, in the support portion 16, a breaking groove 16a is formed so as to cross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so that a part of the tip of the curved retaining wall can be broken and removed.

지지블록(2)은 선단에 좌,우측으로 연장된 결속부(21)와 상기 결속부(21) 중앙에서 정후방으로 곧게 연장된 몸체(20)가 일체로 성형된 대략 T 자형 구조를 갖는 보강블록으로서, 상기 결속부(21)는 전방에 나란히 축조된 두 블록본체(1) 사이에 끼워져 그 두 블록본체(1)의 지지부(16)에 걸쳐지고 몸체(20)가 그 위에 성토되는 토사에 매립되어 토사로부터 받는 토압에 지지되면서 결속부(21) 좌,우에 지지부(16)가 걸친 두 블록본체(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지부(16)의 몸체(20) 선단 좌,우측에는 그 선단의 결속부(21)가 상기 두 옹벽블록의 지지부(16)에 걸칠 때 상기 두 옹벽블록의 지지부 선단을 수용하여 두 용벽블록과 몸체(20)가 전후방향으로 상대유동하지 못하게 유동방지홈(20a)이 형성되며, 후단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압의 작용면적을 넓혀 토압에 의한 지지력을 증강할 수 있는 지지턱(22)이나, 또는, 토압 작용면적을 확대할 필요가 있거나 성토 면적인 넓은 경우에 다른 지지블록(2)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요철구조의 이음돌기(20b)가 선택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선단의 결속부(21) 중앙에는 다른 지지블록의 후단에 결속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그 후단의 이음돌기(20b)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진 이음홈(21a)이 형성된다.The support block 2 has a reinforcing portion 21 having a substantially T-shaped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a body 20 extending straight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center of the binding portion 21, As a block, the binding portion 21 is sandwiched between two block bodies 1 formed side by side on a front side, and is wound on the support portion 16 of the two block bodies 1, and the body 20 is sandwiched And supports the two block bodies 1 on which the support portions 16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binding portion 21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earth pressure received from the soil. The front end of the body 20 of the support part 16 receives the tip of the support part of the two retaining wall blocks when the binding part 21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art 16 spans the support part 16 of the two retaining wall blocks, A flow restricting groove 20a is formed so that the body 20 can not relatively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supporting wall 22 is formed at the rear end to enlarge the working area of the earth pressure and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by the earth pressure, Or the joint protrusions 20b hav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other support blocks 2 in series when the earth pressure operating area needs to be enlarged or in the case of a wide cover area is selectively formed. A coupling groove 21a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20b at the rear end thereof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inding portion 21 at the front e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another supporting block.

전방에 블록본체(1)들을 그들의 지지부(16)들이 간격을 둔 상태에서 전방벽(11)의 측면이 서로 맞닿게 하면서 옹벽 선의 곡선 여부와 관계없이 사전 설계된 옹벽의 선을 따라 횡으로 일렬로 배열한 다음, 그 위에서, 블록본체(1)들 사이사이에 각 블록본체(1)들의 지지부(16)에 결속부(21)가 걸치도록 지지블록(2)들을 끼워 가조립한다. 이 때 옹벽 배후의 성토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도 7,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본체(1)에 대하여 2 개 이상의 지지블록(2)을 연결할 수 있다. 이어 블록본체(1)의 배후에 지지블록(2)들이 매립되도록 토사를 성토하면 블록본체(1)들이 토압을 받는 지지블록(2)들에 의해 이웃한 블록본체(1)들끼리 서로 연계되어 지지되는 1 단(段)의 블록옹벽이 구축된다. 블록옹벽 1 단의 구축이 완료되면, 그 위에 다시 블록옹벽 1 단을 같은 방식으로 구축하게 되는데, 이 때는 블록본체(1)들을 뒤로 물려 그 중간벽(15)이 앞서 구축된 아랫단 블록본체(1)의 앵커(17)에 걸쳐지게 쌓음으로써 옹벽블록들이 윗단으로 가면서 윗단 옹벽블록이 그 아랫단 옹벽블록의 블록본체(1)에 대하여 상기 앵커(17)와 중간벽(15) 사이의 거리(D) 만큼씩 간격을 두고 뒷물림되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The block bodies 1 are arranged transversely in a line along a line of a pre-designed retaining wall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retaining wall curves, while the side walls of the front wall 11 abut against each other with their supporting portions 16 spaced therebetween The support blocks 2 are assembled by interposing the binding portions 21 on the support portions 16 of the respective block bodies 1 between the block bodies 1 thereabove. At this time, when the embankment area behind the retaining wall is wide, two or more support blocks 2 can be connected to the block body 1 as shown in FIGS. The block bodie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upport blocks 2 receiving the earth pressure so that the block bodies 1 are covered with the earth blocks so that the support blocks 2 are buried behind the block body 1 A single retaining block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block retaining wall 1 is completed, the block retaining wall 1 is constructed again in the same manner. At this time, the block bodies 1 are backwardly moved so that the intermediate wall 15 is moved to the lower block body 1 So that the upper end retaining wall block is spaced apart from the block body 1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by a distance D between the anchor 17 and the intermediate wall 15,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which is interpos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옹벽블록은, 블록본체(1)의 전방벽(11)의 폭이 후방벽(12) 폭 보다 크고 또 좌,우측벽(13,14)이 뒤쪽으로 가면서 중심측으로 비스듬히 성형되어 대략 꼭지 짤린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아울러 지지블록(2)들이 블록본체(1) 사이에서 블록본체(1)의 지지부(16)에 여유를 가지고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걸쳐짐에 따라, 곡선 시공이 가능하여, 만곡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block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front wall 11 of the block body 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wall 12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13 and 14 are formed obliquely toward the center side backward, And the support blocks 2 are spread between the block bodies 1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e support portions 16 of the block body 1 so that curved constructions can be made so that curved retaining walls Can be constructed.

도 10 내지 13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43141호(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10 to 13 relate to Korean Patent No. 10-0443141 (block set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앞면부 블록(block)(100)과 앵커 바(anchor bar)(200)와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옹벽(擁壁)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이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과는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연속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에는, 횡단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즉,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그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중심(中心)(11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의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100-1-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 측(100-2)에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서, 횡단면이 안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공간부(111)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며[즉, 상기 원호(圓弧) 공간부(111)가 그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중심(中心)(111-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의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100-2-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1개의 관통구멍(120)에 상응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 및 제2 조절핀(132) 중 하나의 조절핀이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방(上方)으로 적층(積層)으로 쌓여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그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이며 아울러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0-c)과 상기 원호(圓弧) 공간부(111)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1-c) 사이의 중심(中心)인, 중심(中心)(100-c)으로부터 앞쪽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0-c)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1-c) 사이의 소정의 거리(L)와 같은 거리의 위치(P) 및, 이 위치(P)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100-3) 사이에는 앞뒤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이 관통구멍들(120)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구멍들(120)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들(120-c) 사이의 간격을, 이 간격에 따라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거리(S)로 하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제1 관통구멍(120-1)은 그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20-1-c)이 상기 위치(P)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된다.A front side block 100, an anchor bar 200 and an anchor joint 300 are provided in the front side block 100. The front side block 100 includes a front side block 100,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ront side sub-block 100 is connected at an arbitrary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separate front side sub-block 100 ' A circular arc portion 110 having an arc-shaped transverse cross section in an outward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100-1 of the front side sub block 100 so that the front side sub block 100 (That is, the center (center) 110-c of the circular arc in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arc columnar section 110 is loc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center of the one side 100-1 of the front side (Located at the center 100-1-c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one side 100-1 of the block 100) and is vertic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100-2 of the front side sub- ), A separate (separate) Shaped circular pillars 110 'of the front side sub-blocks 100' are correspondingly fitted so as to be connectable in a rotatable state at an arbitrary angle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wherein the cross- An arc space portion 111 having an arc shape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other side 100-2 of the front side sub block 100 (that is, The center part 111-c of the circular arc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pace part 111 is located at the center 100-2-c of the other side 100-2 of the front side sub- And a plurality of separate front side blocks 100 (which ar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block 100) perpendicular to the front side block 100 and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block 100, Corresponding to one through hole 120 of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0 of the separate front side sub-block 100 "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pins 131 and 132 of the adjustment pin member 130 of the base front sub block 100 is fitted and installed, The center of the fore and aft side block 1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center of the arc column portion 110 of the front side sub block 100 are set so that they can be stacked and piled up, (Center) 110-c of the circular arc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center (center) 111-c of the circular arc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rc space section 111 (Center) 130-c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regulating fin member 130 and the regulating fin member 130, from the center 100-c, A position P at the same distance as a predetermined distance L between the center (center) 131-c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first adjustment pin 131 of the first adjustment pin 131, In front of the front side block 100 The predetermined plural number of through holes 120 are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betwee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surface 100-3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wo through holes 120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through holes 120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120-c is set to be a predetermined distance S so that the inclination of an arbitrary angle as the predetermined angle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The first through hole 120-1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0 is formed vertically with the center 120-1-c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positioned at the position P .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전방블록은 표면구조물을 형성하고, 후방블록은 배후토사에 매몰되어 지지구조를 형성하는데,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배후토사의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이 손상된다.First, the front block forms the surface structure and the rear block is buried in the rear soil so as to form the supporting structure. The height of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are the same, so that the rear block is damaged during compaction of the rear soil.

둘째,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구조가 힌지결합구조를 취하지 않으므로, 횡방향 유해응력의 발생 시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파손이 발생한다는 점, 옹벽의 절곡부와 같이 블록조립체가 만곡진 구조로 배열되는 경우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각도의 변화가 불가능하여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Second, since the joint structure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does not have a hinge-coupled structure, stress concentration occurs at the joining portion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when the transverse harmful stress is generated and breakage occurs. When the block assembly is arranged in a curved structur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which results in poor work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prior art are intended to be limited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195호(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7195 (retaining wall block having self supporting structur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4766호(옹벽블럭)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4766 (retaining wall block) 한국등록특허 제10-0443141호(옹벽축조용 블록 세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443141 (block set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의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ock assembly for preventing damages of a rear block during compaction and preventing stress concentration at a joint portion between a front block and a rear block, The purpose of that is to do.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가 열지어 축조되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홈(110)이 형성된 전방블록(100); 전방두부(210)가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전후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후방블록(200);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블록(2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200)의 사이에 토사충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폭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이 배후토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길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의 상부에 성토된 토사의 다짐작업 시, 상기 후방블록(2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높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for a retaining wall which is formed by a plurality of openings to form a surface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the front block 100 having an insertion groove 110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And a rear block 200 formed with a front head 2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to prevent the front head 2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other rear block 200, which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ear block 200, The width of the rear block 200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block 100 so that the rear block 200 is supported by the rear soil, 100, the length of the rear block 2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rear block 200.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rear block 200 during compaction of the clay, And a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lower than a height of the block (100).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는 상기 전방블록(100)의 높이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preferably half the height of the front block 100.

상기 전방블록(100)에 대한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10) 및 전방두부(210)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 front head 210 are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so that the hinge driving of the rear block 200 with respect to the front block 100 can be performed.

상기 전방블록(100)은, 후방에 트임부(111)가 형성된 원형 단면 구조의 상기 삽입홈(110); 내면이 상기 트임부(11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상기 트임부(111)의 양측에 형성된 제한벽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블록(200)은, 상기 삽입홈(110)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상기 전방두부(210); 상기 전방두부(2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두부(21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몸통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두부(210)가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 시, 상기 몸통부(220)의 양측면이 상기 제한벽부(12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block 100 includes the insertion groove 110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a rear stop portion 111 is formed. And a limiting wall portion 1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wisting portion 111 so that an inner surface thereof extends rearward from the twisting portion 111. The rear block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Said front head portion 210 formed in a corresponding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a body 220 formed to extend rearward of the front head 210 and to be narrower than a width of the front head 210. The front head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The hinge driving range of the rear block 200 is restricted because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220 contact the limiting wall 120 when the hinge of the rear block 200 is inserted, .

상기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후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후단날개부(23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a rear end wing 23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dy 220 of the rear block 200 may be formed.

옹벽의 절곡부 시공 시, 상기 후방블록(200)과 타 후방블록(200)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을 절개하기 쉽도록, 상기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에는 절개부(23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rear block 200 from interfering with the rear block 200 when the bent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out portion 231 is formed.

상기 절개부(231)는, 상기 후단날개부(2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절개용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tout portion 231 may include a cutout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wing portion 230.

상기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하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마찰돌기(221) 다수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221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20 of the rear block 200.

본 발명은 상기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으로서,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블록(100)은 상하방향을 따라 축조된 상층 전방블록(100a)과 하층 전방블록(100b)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 전방블록(100a)의 하면 핀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상부돌기(310)와, 상기 하층 전방블록(100b)의 상면 핀삽입홈(121)에 삽입되는 하부돌기(320)를 구비한 핀부재(300)를 포함하고, 옹벽 전면의 경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돌기(320)는 상기 상부돌기(310)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제시한다.The front block 100 includes a top pin insertion groove 121 and a bottom pin insertion groove 1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block 100, An upper protrusion 310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2 of the upper upper block 100a and including an upper upper block 100a and a lower lower block 100b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protrusion 320 includes a pin member 300 having a lower protrusion 320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1 of the lower layer front block 100b. In order to form the inclination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d protrudes forward relative to the upper protrusion (310).

상기 핀부재(300)는, 완경사용 핀부재(300a); 상기 완경사용 핀부재(300a)에 비해, 상기 하부돌기(320)의 전방돌출정도가 큰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포함하고, 옹벽 전면의 완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완경사용 핀부재(300a)를 설치하고, 옹벽 전면의 급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n member (300) includes a soft part (300a); And a sharpening pin member 300b having a greater degree of forward protrusion of the lower protrusion 320 than the soft pin member 300a. In the case of forming a mild slope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large-diameter use pin members 300a are provided for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slot 121 and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slot 122 of the front block 100 and the steep slope of the entire retaining wall is to be achieve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steep pinning pins 300b are provided for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slot 121 and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slot 122 of the front block 100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핀부재(300)는, 상기 상부돌기(310); 상기 상부돌기(3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330); 상기 연결부(330)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하부돌기(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n member 300 includes the upper protrusion 310; A connection part 330 extending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upper protrusion 310; And the lower protrusion 3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art 330.

본 발명은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의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lock assembly and a retaining wall using the block assembly to prevent damage to the rear block during compaction and to prevent stress concentration at the joint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도 1 내지 5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195호의 도면.
도 6 내지 9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4766호의 도면.
도 10 내지 13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43141호의 도면.
도 14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4는 전방블록의 사시도.
도 15는 후방블록의 사시도.
도 16은 블록 조립체의 사시도.
도 17은 옹벽의 사시도.
도 18은 전방블록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19는 블록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20은 블록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21은 옹벽의 평면도.
도 22는 후방블록의 저면도.
도 23은 핀부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4는 핀부재가 설치된 옹벽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5는 핀부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26은 핀부재가 설치된 옹벽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27은 핀부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28은 핀부재가 설치된 옹벽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29는 전방블록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1 to 5 are views of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7195.
Figures 6 to 9 are views of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4766.
10 to 13 are views of Korean Patent No. 10-0443141.
14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block;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block;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assembly;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18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front block;
19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block assembly.
20 is a plan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lock assembly.
21 is a plan view of a retaining wall.
22 is a bottom view of the rear block.
23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in member;
24 is a 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pin member;
25 is a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in member;
26 is a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pin member;
27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in member;
28 is a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pin member;
29 is a plan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front block;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4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가 열지어 축조되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홈(110)이 형성된 전방블록(100); 전방두부(210)가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전후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후방블록(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4,15).As shown in FIG. 14 and subsequent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relates to a block assembly for a retaining wall which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openings to form a surface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and includes a front block (100); And a rear block 200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to prevent the front head 2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Figs. 14 and 15).

여기서, 후방블록(2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200)의 사이에 토사충전부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옹벽의 절곡부(코너부)의 시공 시 양 후방블록(200)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블록(100)의 폭에 비해 후방블록(200)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후방블록(200)이 배후토사에 의해 지지되도록, 전방블록(100)의 길이에 비해 후방블록(20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후방블록(200)의 상부에 성토된 토사의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2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전방블록(100)의 높이에 비해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도 16,17,24).
구체적으로, 후방블록(200)은 저면이 전방블록(10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oil-filled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rear block 200 and the other rear block 200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block 200, and that the both rear blocks 200 are prevented from com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ent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The width of the rear block 200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block 100 and the length of the rear block 2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block 100 so that the rear block 200 is supported by the rear soil. The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block 100 so as to prevent breakage of the rear block 200 during compaction of the clay soi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block 200. [ (Figs. 16, 17, and 24).
Specifically, the rear block 200 is install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block 100. [

따라서, 전방블록은 표면구조물을 형성하고, 후방블록은 배후토사에 매몰되어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전방블록(100)의 높이에 비해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므로, 후방블록(200)의 상면이 토사에 매몰된 상태에서 배후토사의 다짐작업을 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은 후방블록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block 100 in the block assembly in which the front block forms the surface structure and the rear block is buried in the rear soil,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mpaction work of the rear soil gravel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block 200 is buried in the gravel so that the damage of the rear block as in the prior art can be prevented.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여전히 다짐작업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있고, 그 높이가 너무 낮으면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기 어려우므로, 후방블록(200)의 높이는 전방블록(100)의 높이의 절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too high, the rear block 200 may still be damaged by the compaction operation. If the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too low, Is preferably about half.

전방블록(100)에 대한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10) 및 전방두부(210)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18,19).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 front head 210 are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so that hinge driving of the rear block 200 with respect to the front block 100 is possible.

이는,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구조가 힌지결합구조를 취하므로, 횡방향 유해응력의 발생 시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아 파손이 방지된다는 점, 옹벽의 절곡부와 같이 블록조립체가 만곡진 구조로 배열되는 경우라도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각도의 변화가 가능하여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다.This is because the joint structure of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has a hinge-coupled structure, stress concentration is not generated at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lateral harmful stress, Even when the block assembly is arranged in a curved structure as shown in FIG. 3B,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can be changed,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work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구체적으로 전방블록(100)은, 후방에 트임부(111)가 형성된 원형 단면 구조의 상기 삽입홈(110); 내면이 트임부(11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트임부(111)의 양측에 형성된 제한벽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한다(도 18).Specifically, the front block 100 includes the insertion groove 110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a rear stop portion 111 is formed; And a limiting wall portion 1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wisting portion 111 so that the inner surface extends from the twisting portion 111 toward the rear side (Fig. 18).

후방블록(200)은, 삽입홈(110)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전방두부(210); 전방두부(2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전방두부(21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몸통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ar block 200 includes a front head 210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a body 220 formed to extend rearward of the front head 210 and to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head 210.

이 경우, 전방두부(210)가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 시, 몸통부(220)의 양측면이 제한벽부(120)에 접촉함으로써,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의 범위가 제한되므로,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의 힌지구동을 허용할 수 있다(도 19).In this case, when the front head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when the hinge of the rear block 200 is drive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220 contact the limiting wall 120, The range of the hinge driving of the hinge 200 is limited, so that the hinge driving within a stable range can be allowed (Fig. 19).

전방블록(100)의 양측의 제한벽부(120) 내측에 양측의 고정벽부(130)가 형성되고, 양측의 고정벽부(130)의 내면 사이의 폭은 상기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폭과 일치하고, 제한벽부(120)와 고정벽부(130)는 일체로 형성되되, 현장에서 고정벽부(130)를 절개하여 제거하기 쉽도록, 제한벽부(120)와 고정벽부(130)의 경계부에는 홈 등의 구조를 취하는 절개허용부(131)가 허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29).The fixed block 1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miting block 120 on both sides of the front block 100 and the width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ed blocks 130 on both sides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trunk 220 of the rear block 200 The limiting wall portion 120 and the fixed wall portion 130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imiting wall portion 120 and the fixed wall portion 130 can be easily removed by cutting the fixed wall portion 130 in the field, A cut-off allowing portion 131 having a groove or the like is allowed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FIG. 29).

이는 현장상황에 맞추어,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고정벽부(130)가 형성된 상태의 전방블록(100)을 사용할 수 있고,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벽부(130)가 제거된 상태의 전방블록(100)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후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후단날개부(230)가 형성되고, 몸통부(220)의 중앙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중앙날개부(240)가 형성되는 경우, 배후토사에 의한 블록 조립체의 지지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If the hinge driving of the rear block 200 is not required, the front block 100 with the fixed wall 130 formed thereon can be used. In the case where the hinge driving of the rear block 200 is requir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ront block 100 with the fixed wall portion 130 removed can be used.
A rear end wing portion 230 protruding to both sides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220 of the rear block 200 and a central wing portion 240 protruding to both sides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20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pport effect of the block assembly by the aftergl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만, 옹벽의 절곡부 시공 시, 후방블록(200)의 후단날개부(230)와 타 후방블록(200)의 후단날개부(230)의 저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을 절개하기 쉽도록,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에 절개부(2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0,21).However, the rear end wing portion 230 of the rear block 200 and the rear end wing portion 230 of the other rear block 200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the bending of the retaining wall.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outs 2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end wing portion 230 (FIGS. 20 and 21) so that both sides of the rear-end wing portion 230 can be easily cut.

위 절개부(231)는, 후단날개부(2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절개용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게 절개작업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의 절개부(231)의 전단 사이의 폭은 몸통부(220)의 후단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양측의 절개부(231)의 후단 사이의 폭은 양측의 절개부(231)의 전단 사이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므로, 후단날개부(230)의 절개 후 잔여부분에 의해 배후토사에 의한 지지효과를 일부 얻을 수 있고, 상술한 타 후방블록(200)의 후단날개부(230)와의 저촉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도 21,22).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incision part 231 has a structure that can easily perform the incision operation in the field by forming the incision groove part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tage wing part 230. [
The width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cutouts 231 on both sides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ends of the body 220 and the width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cutouts 231 on both sides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ends of the cutouts 231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wing portion 230 is partially narrowed by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ar wing portion 230 and the rear wing portion 230 of the other rear block 200 It is possible to stably prevent the interference (Figs. 21 and 22).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하면에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마찰돌기(221) 다수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블록 조립체가 전방을 향하여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도 22).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block assembly is pushed forward when a large number of ridges 22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20 of the rear block 200 ar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Fig. 22).

이하, 도 23 내지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using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위 옹벽은, 전방블록(1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전방블록(100)은 상하방향을 따라 축조된 상층 전방블록(100a)과 하층 전방블록(1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4).The upper retaining wall is formed with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s 121 and low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s 122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block 100 and the upper block 100 is provided with an upper upper block 100a and a lower-layer front block 100b (Fig. 24).

상하 전방블록(100a,100b)의 위치 확보를 위하여, 상층 전방블록(100a)의 하면 핀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상부돌기(310)와, 하층 전방블록(100b)의 상면 핀삽입홈(121)에 삽입되는 하부돌기(320)를 구비한 핀부재(300)를 사용한다(도 23).The upper protrusion 310 inserted into the lower pin insertion groove 122 of the upper front block 100a and the upper pin insertion groove 120b of the lower front block 100b A pin member 300 having a lower protrusion 320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protrusion 121 is used (FIG. 23).

옹벽 전면의 경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핀부재(300)의 하부돌기(320)는 상부돌기(310)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도 23).The lower protrusion 320 of the pin member 300 protrudes forward as compared with the upper protrusion 310 in order to form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FIG. 23).

이러한 구조의 핀부재(300)는, 하부돌기(320)를 하층 전방블록(100b)의 상면 핀삽입홈(121)에 삽입하고, 상부돌기(310)를 상층 전방블록(100a)의 하면 핀삽입홈(122)에 삽입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정해진 옹벽 전면의 경사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in member 3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formed by inserting the lower protrusion 320 into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1 of the lower layer front block 100b and inserting the upper protrusion 310 into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1 of the upper layer front block 100a,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clination of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easily formed by the simple operation of inserting into the groove 122.

나아가, 하부돌기(320)의 전방돌출정도가 다양한 종류의 핀부재(300a,300b,300c)를 사용하는 경우, 위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여 얻을 수 있다.Further, when the lower projection 320 has a forward projecting degree using various kinds of pin members 300a, 300b and 300c, the above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즉, 다수의 완경사용 핀부재(300a)와, 그 완경사용 핀부재(300a)에 비해, 하부돌기(320)의 전방돌출정도가 큰 다수의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미리 준비한다(도 23,25).That is, a number of the steerable pin members 300a and the plurality of steerable pin members 300b having a greater degree of forward protrusion of the lower protrusions 320 are prepared in advance 23,25).

옹벽 전면의 완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완경사용 핀부재(300a)를 설치한다(도 23,24).A large number of easy-to-use pin members 300a are provided for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s 121 and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s 122 of the plurality of front blocks 100 to be constructed 23 and 24).

옹벽 전면의 급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설치한다(도 25,26).A plurality of sharpening pin members 300b are provided for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1 and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2 of the plurality of front blocks 100 to be formed 25 and 26).

옹벽 전면의 더욱 급격한 급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급경사용 핀부재(300c)를 설치한다(도 27,28).A plurality of steep pinion members 300c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1 and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2 of the plurality of front blocks 100 to be formed (Figs. 27 and 28).

완경사용 핀부재(300a)의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급경사용 핀부재(300b,300c)의 경우에는 상부돌기(310)와 하부돌기(320)의 이격 거리가 상당히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rotrusion 310 and the lower protrusion 320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pin member 300b or 300c.

이 경우 핀부재(300)는, 상부돌기(310); 상부돌기(3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330); 연결부(330)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하부돌기(3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In this case, the pin member 300 includes an upper protrusion 310; A connection part 330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projection 310; And a lower protrusion 3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0050] As shown in FIG.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00a,100b : 전방블록 110 : 삽입홈
111 : 트임부 120 : 제한벽부
121 : 상면 핀삽입홈 122 : 하면 핀삽입홈
130 : 고정벽부 131 : 절개허용부
200 : 후방블록 210 : 전방두부
220 : 몸통부 221 : 마찰돌기
230 : 후단날개부 231 : 절개부
240 : 중앙날개부 300,300a,300b,300c : 핀부재
310 : 상부돌기 320 : 하부돌기
330 : 연결부
100, 100a, 100b: front block 110: insertion groove
111: trimming portion 120: limiting wall portion
121: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2: lower pin insertion groove
130: fixed wall portion 131: incision allowing portion
200: rear block 210: front head
220: body portion 221: friction protrusion
230: rear end wing portion 231:
240: central wing portion 300, 300a, 300b, 300c: pin member
310: upper protrusion 320: lower protrusion
330: Connection

Claims (11)

다수가 열지어 축조되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홈(110)이 형성된 전방블록(100);
전방두부(210)가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전후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후방블록(200);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블록(2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200)의 사이에 토사충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폭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이 배후토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길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의 상부에 성토된 토사의 다짐작업 시, 상기 후방블록(2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높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은 저면이 상기 전방블록(10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후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후단날개부(230)가 형성되고,
옹벽의 절곡부 시공 시, 상기 후방블록(200)과 타 후방블록(200)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을 절개하기 쉽도록, 상기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에는 절개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절개부(231)의 전단 사이의 폭은 상기 몸통부(220)의 후단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절개부(231)의 후단 사이의 폭은 상기 양측의 절개부(231)의 전단 사이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A block assembly for a retaining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to form a surface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A front block (100) having an insertion groove (110)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And a rear block (200)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to prevent forward and backward departure from the front head (210)
The width of the rear block 200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block 100 so that the soil-filled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rear block 200 adjacent to the rear block 200,
The length of the rear block 2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block 100 so that the rear block 200 is supported by the rear soil,
The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block 100 so as to prevent the rear block 200 from being broken at the time of compaction of the gravel- And,
The rear block 200 is installed so that its bottom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block 100,
A rear end wing portion 230 protruding from both sides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220 of the rear block 200,
In order to prevent the rear block 200 from interfering with the rear block 200 when the bending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oth sides of the rear end wing portion 230 A cutout portion 231 is formed,
The width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cutouts 231 on both sides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ends of the body 220 and the width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cutouts 231 on both sides is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cutouts on both sides 231) is narrow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retaining walls (231, 2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는 상기 전방블록(100)의 높이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rear block (200) is half the height of the front block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100)에 대한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10) 및 전방두부(210)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 front head (210) are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so that the hinge of the rear block (200) can be driven with respect to the front block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100)은,
후방에 트임부(111)가 형성된 원형 단면 구조의 상기 삽입홈(110);
내면이 상기 트임부(11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상기 트임부(111)의 양측에 형성된 제한벽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블록(200)은,
상기 삽입홈(110)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상기 전방두부(210);
상기 전방두부(2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두부(21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몸통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두부(210)가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 시, 상기 몸통부(220)의 양측면이 상기 제한벽부(12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front block (100)
The insertion groove 110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a rear stop portion 111 is formed;
(1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wisting portion (111) so that an inner surface thereof extends rearward from the twisting portion (111)
The rear block (200)
The front head portion 210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a body 220 formed to extend rearward of the front head 210 an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front head 210,
Both sides of the body 220 contact the limiting wall 120 when the hinge of the rear block 200 is driven in a state where the front head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Wherein a range of the hinge driving of the rear block (200) is limi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31)는, 상기 후단날개부(2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절개용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cision part (231) includes a cutting groove p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wing part (2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하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마찰돌기(221) 다수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221)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0) of the rear block (200).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으로서,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블록(100)은 상하방향을 따라 축조된 상층 전방블록(100a)과 하층 전방블록(100b)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 전방블록(100a)의 하면 핀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상부돌기(310)와, 상기 하층 전방블록(100b)의 상면 핀삽입홈(121)에 삽입되는 하부돌기(320)를 구비한 핀부재(300)를 포함하고,
옹벽 전면의 경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돌기(320)는 상기 상부돌기(310)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A retaining wall using the block assembly for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7, and 8,
Upper face pin insertion grooves 121 and lower face pin insertion grooves 1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block 100,
The front block 100 includes an upper front block 100a and a lower front block 100b, which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 upper protrusion 310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2 of the upper front block 100a and a lower protrusion 320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 121 of the lower front block 100b A pin member 300,
Wherein the lower protrusion (320) protrudes forward relative to the upper protrusion (310) to form an inclina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300)는,
완경사용 핀부재(300a);
상기 완경사용 핀부재(300a)에 비해, 상기 하부돌기(320)의 전방돌출정도가 큰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포함하고,
옹벽 전면의 완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완경사용 핀부재(300a)를 설치하고,
옹벽 전면의 급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in member (300)
A use-easy pin member 300a;
And a sharpening pin member 300b having a greater degree of forward protrusion of the lower protrusion 320 than the easy-to-use pin member 300a,
In order to achieve a mild slo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large-diameter use pin members 300a ar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s 121 and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grooves 122 of a plurality of the front blocks 100 and,
A plurality of the steep pinion members 300b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pin insertion slot 121 and the lower surface pin insertion slot 122 of the plurality of the front blocks 100 to be formed, Wherein the retaining wall is made of a met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300)는,
상기 상부돌기(310);
상기 상부돌기(3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330);
상기 연결부(330)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하부돌기(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in member (300)
The upper protrusion 310;
A connection part 330 extending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upper protrusion 310;
The lower protrusion 3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art 330;
Wherein the retaining wall comprises:
KR1020160120675A 2016-09-21 2016-09-21 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KR101719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75A KR101719710B1 (en) 2016-09-21 2016-09-21 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75A KR101719710B1 (en) 2016-09-21 2016-09-21 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710B1 true KR101719710B1 (en) 2017-03-24

Family

ID=5850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675A KR101719710B1 (en) 2016-09-21 2016-09-21 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71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63B1 (en) * 2020-01-22 2020-06-16 이현우 Block assembly for retaing wall
KR102608223B1 (en) * 2023-07-13 2023-11-30 (주)삼화케익블럭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nchor block
KR102666680B1 (en) 2023-12-29 2024-05-17 (주)88콘크리트 self standing gravity retaining wall block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358Y1 (en) * 1998-03-28 2000-08-16 오성훈 A support block of connection type for revetment support
KR200307195Y1 (en) 2002-12-09 2003-03-12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Retaining wall block having self-supported structure
KR200354126Y1 (en) * 2004-02-19 2004-06-23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KR200354766Y1 (en) 2004-03-16 2004-06-3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Retaining wall block
KR100443141B1 (en) 2001-12-28 2004-08-09 주식회사 한설그린 Block set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KR20060082388A (en) * 2005-06-24 2006-07-18 강연익 Fabricate block for constructing breast wall
KR20070004417A (en) * 2005-07-04 2007-01-09 이정수 A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358Y1 (en) * 1998-03-28 2000-08-16 오성훈 A support block of connection type for revetment support
KR100443141B1 (en) 2001-12-28 2004-08-09 주식회사 한설그린 Block set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KR200307195Y1 (en) 2002-12-09 2003-03-12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Retaining wall block having self-supported structure
KR200354126Y1 (en) * 2004-02-19 2004-06-23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KR200354766Y1 (en) 2004-03-16 2004-06-3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Retaining wall block
KR20060082388A (en) * 2005-06-24 2006-07-18 강연익 Fabricate block for constructing breast wall
KR20070004417A (en) * 2005-07-04 2007-01-09 이정수 A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63B1 (en) * 2020-01-22 2020-06-16 이현우 Block assembly for retaing wall
KR102608223B1 (en) * 2023-07-13 2023-11-30 (주)삼화케익블럭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nchor block
KR102666680B1 (en) 2023-12-29 2024-05-17 (주)88콘크리트 self standing gravity retaining wall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1130A (en) Building block
US5505034A (en) Retaining wall block
US5984589A (en) Wall construction block with retaining pin inserts
BRPI0409899B1 (en) “Wear element and wear assembly for attachment to one edge of a digging bucket”
KR101719710B1 (en) 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KR102135476B1 (en) retaining wall block with stopper
KR100683972B1 (en) Block type retaining wall
US20230332373A1 (en) Excavator bucket
WO2006092019A1 (en) Wall assembly
KR100617970B1 (en) A block assembly for constructing a breast wall
KR20070022413A (en) Joint cap of concrete pile
JPH10299013A (en) Wall construction with concrete block laid, and wall surface block and foundation block to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0354766Y1 (en) Retaining wall block
KR200238747Y1 (en) Anchor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1697938B1 (en) Drainage canal assembly
KR20060026098A (en)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JP7300841B2 (en) JOINT STRUCTURE OF DIAMON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DIAMOND WALL
KR20120049603A (en)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truss type pile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35475B1 (en) retaining wall block with stopp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KR20210112069A (en) 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KR20210001908U (en) Assembled retaining wall structure
JP7456686B1 (en) How to join concrete parts
KR20030049997A (en) Anchor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block
JPS6228245B2 (en)
KR100593181B1 (en) A terrace-revetment unit and a process of construction un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