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182B1 - 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 - Google Patents

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182B1
KR101719182B1 KR1020140078809A KR20140078809A KR101719182B1 KR 101719182 B1 KR101719182 B1 KR 101719182B1 KR 1020140078809 A KR1020140078809 A KR 1020140078809A KR 20140078809 A KR20140078809 A KR 20140078809A KR 101719182 B1 KR101719182 B1 KR 10171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document
information
interface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1073A (en
Inventor
김승관
류재규
이재경
조윤상
김성수
박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센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센,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센
Priority to KR102014007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182B1/en
Publication of KR2016000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트의 생성, 운영, 수정, 점검 및 완료에 이르는 생애주기를 포괄하는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열람에 제공하는 프로젝트 편집수단; 프로젝트 문서의 문서해석코드를 기반으로 문서 수발을 수행하는 문서수발수단; 및 프로젝트 문서의 문서해석 코드를 식별하여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젝트 관리수단; 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that covers the life cycle from creation, operation, modification, inspection and completion of a project.
Project editing means for receiving project information, storing the project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viewer; A document retrieving means for retrieving the document based on the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of the project document; And project management means for identifying the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of the project document and updating the project information for the process; .

Description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handling function,

본 발명은 프로젝트의 생성, 운영, 수정, 점검 및 완료에 이르는 생애주기를 포괄하는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that covers the life cycle from creation, operation, modification, inspection and completion of a project.

프로젝트는 어느 특정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사업 내지는 과정계획을 일컫는데, 대체로 복잡·광범하고 장기간을 요하는 기획을 말한다. A project is a business or process pla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goal, usually a complex, broad and long-term project.

따라서 이 과정에서의 관리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은 방대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종래에는 트렐로나 레드마인 같은 시판되는 전용 프로젝트 관리 툴이나, WBS(Work Breakdown Structure) 및 간트챠트 저작툴 등을 다양한 편집도구가 이용되었다.Therefore, the amount of data to be managed in this process is vast, and conventionally, a variety of editing tools such as a dedicated project management tool such as Trelone or RedMine, a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and a Gantt Chart authoring tool are used .

종래 프로젝트 관리 툴은 다양한 기능이 들어가면서 시스템의 크기가 방대해지며, 사용 방법이 복잡하여 업무에 부담이 되고, 다중의 작업공간이 제공되어 수정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완성도를 높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 project management tools have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system becomes wide due to various functions, the burden of the work is complicated due to the complex usage method, and the multiple work space is provided and the modification work is not easy, there was.

본 발명은 프로젝트 생애주기에 대한 협업 시스템을 위하여 일원화된 협업공간인 인터페이스와 통합된 관리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트 생성 및 수정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ument handling function that facilitates project creation and modification, and facilitates project management and management by providing an interface and integrated management means that are unified as a collaborative space for a project life cycl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provide a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수의 단계로 프로세스가 구조화된 프로젝트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정보의 게시 및 입력기능을 구비한 제1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열람에 제공하는 프로젝트 편집수단; 상기 프로젝트 정보의 각 프로세스에 대하여 프로세스 코드, 발신자 코드, 수신자 코드, 및 결정코드를 포함한 문서해석 코드를 기반으로 정형화된 프로젝트 문서를 프로젝트 참여자 간에 교환할 수 있는 제2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입력되는 프로젝트 문서의 문서해석코드를 기반으로 문서 수발을 수행하는 문서수발수단; 및 상기 문서수발수단에 의해 수발되는 프로젝트 문서의 문서해석 코드를 식별하여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젝트 관리수단; 을 포함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interface having a function of posting and inputting projec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project information structured by a process in a plurality of steps, a project editing unit ; Providing a second interface for exchanging formalized project documents between project members based on a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including a process code, a sender code, a receiver code, and a decision code for each process of the project information, A document retrieving means for retrieving document based on the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of the project document; And project management means for identifying the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of the project document brought about by the document processing means and updating the projec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process; And a project collaborative system using the document care function.

상기 프로젝트 편집수단은, 상기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페이즈(Phase), 스텝(Step), 및 액티비티(Activity)의 3단계로 분류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입력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테이블 형태의 입력화면일 수 있다.The project editing means may provide an input screen capable of classifying and inputting the process of the project into three stages of phase, step, and activity, Type input screen.

상기 문서수발수단은, 결재수단을 더 포함하여, 문서해석코드를 기반으로 결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하고, 상기 프로젝트 관리수단은, 상기 결재수단 실행 결과를 포함하여 프로젝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The document guidance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ettlement means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settlement process based on the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and the project management means may update the project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ult of the settlement means execu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트 생성 및 수정을 위해서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편집수단과,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협업공간인 협업 게시판을 제공하는 문서수발수단에 의해 프로젝트 참여자는 손쉽게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 editing mean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interface for creating and modifying a project and document handling means for providing a collaboration bulletin board for collaborative space for project management can easily set and execute a project have.

또한 프로젝트 정보와 문서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판단하는 프로젝트 관리수단에 의하여 참여자는 정확한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프로젝트에 대한 완벽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oject management means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the project information and the documen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progress of the project enables the participant to confirm the exact project progress in real time, thereby enabling the complete management of the project.

즉, 일원화되고 간소한 협업공간이 제공되어, 프로젝트 참여자 간의 협업이 활성화되고 데이터 통합이 용이한바, 프로젝트 기획 및 설계 단계를 줄일 수 있으며, 참여자들간의 가장 효율적이고 빠른 업무 프로세스를 찾아 프로젝트를 생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roject planning and design stages by providing a unified and simple collaborative space, facilitating collaboration among project participants, and facilitating data integration. Also,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most efficient and quick work process among the participants, Can be modified.

업무효율화와 돌발상황 대처를 위한 하위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생성, 수정, 및 종료할 수가 있어 신뢰성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Efficiently create, modify, and terminate subproject management processes to streamline workflows and unexpected situations, enabling more efficient projects to be managed on projects where reliability is import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생애주기 정보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 정보를 생성하는 다자간 협업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서 편집기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문서를 수발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다자간 협업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roject life cyc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arty collaborative relationship for generating project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text editor for inputting pro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ultilateral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 which a document is generated and a project is condu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llustration of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서버상에서 구현되는 것이며, 서버에 의해 제공된 통합된 협업공간에서 프로젝트 참여자에 의한 문서 수발을 통해 프로젝트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진행 및 관리되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on a computer server connected to a network, and a project is simple and efficiently managed and managed through document handling by a project participant in an integrated collaborative space provided by a serv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프로젝트 편집수단(10), 문서수발수단(20), 프로젝트 관리수단(30)을 포함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using a document hand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ject editing unit 10, a document handling unit 20, and a project management unit 30.

-프로젝트 편집수단(10)-- Project editing means (10) -

프로젝트 편집수단(10)은 프로젝트 정보를 게시한 입력화면을 제공하여, 프로젝트 참여자가 프로젝트 정보를 생성 또는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며, 입력된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한다.The project editing means 10 provides an input screen on which project information is posted, allowing the project participant to create or modify the project information, and stores the inputted project information.

이를 위해, 프로젝트 편집수단(10)은 제1인터페이스(101)를 제공하여 프로젝트 참여자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다.To this end, the project editing means 10 provides the first interface 101 to receive project information from a project participant.

프로젝트는 수행하는 인력 및 조직의 규모에 따라 총괄 프로젝트, 세부 프로젝트, 및 하위 프로젝트로 나뉠 수 있는바, 그 중 총괄 프로젝트와 세부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설계 및 기획 단계에서 생성되고, 하위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협업에 의해서 생성,수정, 또는 종료될 수 있다.Projects can be divided into general projects, detailed projects, and sub-projects, depending on the workforce and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Among them, the overall project and the detailed project are generally generated at the project design and planning stage, It can be created, modified, or terminated by collaboration in the process.

상기 하위 프로젝트는 해당 총괄 프로젝트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프로젝트가 될 수도 있고, 업무 효율화를 위해서 임의로 생성하는 프로젝트일 수도 있으며, 돌발상황이 발생하여 거기에 대처하기 위한 프로젝트일 수도 있다.The sub-project may be a project that occurs repeatedly until the corresponding overall project is completed, a project that is arbitrarily generated for efficiency of work, or a project for coping with an unexpected situation.

프로젝트 참여자는 상기 프로젝트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인력을 가리키며, 프로젝트 참여자를 역할별로 세분한다면 프로젝트 관리자와 프로젝트 수행자로 나뉠 수 있다.The project participant refers to the manpower to create and manage the above projects. If the project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the roles, the project manager and the project performer can be divided.

단, 본 발명에서 인력의 역할에 따라 그 명칭을 프로젝트 관리자, 프로젝트 수행자 등으로 구분하는 것은 각 수단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기술의 범위가 그에 국한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인력을 지칭하는 것은 변동가능하고 한정적인 기재가 아님을 분명히 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sion of the name into a project manager, a project performer, etc. according to the role of a workforce is intended only to help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means, and does not mean that the scope of the technology is limited thereto. Quot; is not a variable and definite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 정보를 생성하는 다자간 협업관계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제1인터페이스(101)에 프로젝트 관리자 및 프로젝트 수행자 각각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 다발적으로 접속하여 주어진 접근 권한에 따라 프로젝트 생성 및 수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arty collaborative relationship for generating project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 manager and the project performer simultaneously access the first interface 101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Generation and modification operations can be performed.

대체적으로 프로젝트 관리자는 제1인터페이스(101)를 통해 프로젝트 생성에 관여하며, 프로젝트 수정은 프로젝트 참여자가 접근권한을 인가받아 제1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프로젝트 편집이 하나의 통합된 협업공간에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In general, the project manager is involved in project creation through the first interface 101, and the project modif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interface 101 by the project member who is granted access authority, In a collaborative space.

프로젝트는 다수의 단계로 프로세스가 구조화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스들은 페이즈(Phase), 스텝(Step), 및 액티비티(Activity)의 3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A project is structured in a number of stages, and the process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a phase, a step, and an activity.

도 3은 제1인터페이스(101)의 실시예로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엑셀이나 플로챠트 편집기 등을 이용하여 간단한 테이블 형태의 편집화면을 나타낸다.FIG. 3 shows an editing screen in the form of a simple table using an easily accessible Excel or flowchart editor as an embodiment of the first interface 101. FIG.

상기 테이블 형태의 편집화면은 페이즈(Phase), 스텝(Step), 및 액티비티(Activity)의 3단계로 프로세스를 구분하여, 각 액티비티(Activity) 별로 제출되어야 하는 문서를 포함한 각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게시되는바, 페이즈(Phase), 스텝(Step), 액티비티(Activity) 단위로 점검 포인트와 문서수발신목록, 보고 및 결재 체제가 정의되어 있다.The tabular editing screen is divided into three steps of phase, step, and activity, and information about each process including a document to be submitted for each activity is included The check point, document list, and reporting and payment system are defined in units of phase, step, and activity.

이와 같이, 프로젝트는 페이즈(Phase), 스텝(Step), 및 액티비티(Activity)의 3단계로 구조화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가 제1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입력됨으로써 생성된다.In this way, the project is created by inputting the project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cess structured in three stages of Phase, Step, and Activity through the first interface 101.

프로젝트 참여자는 접근권한을 인가받아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제1인터페이스(101)를 이용하여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수정 및 추가를 할 수 있는데, 구조화된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제공되어 각 프로세스의 단계별로 수정 및 추가가 용이하다.The project member can obtain the access right and modify / add the project based on the integrated database using the first interface 101. The project information on the structured process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able, It is easy to modify and add step by step.

이와 같이 프로세스를 다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액티비티 단위의 프로젝트 정보를 생성하므로, 액티비티의 수정이나 추가가 매우 용이한바, 이와 같은 추후 변경의 용이성은 프로젝트 수립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바로 반영하여 프로젝트 정보를 수정할 수 있어 프로젝트의 효율적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Since the process is divided into a number of steps and the project information of the activity unit is generated, it is very easy to modify or add the activity. Therefore, the ease of later change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establishing the project, The project information can be corrected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roject information.

-문서수발수단(20)-- Document handling means (20) -

프로젝트 편집수단(10)에서 생성된 프로젝트 정보는 문서수발수단(20)의 제2인터페이스(201)를 통해 프로젝트 참여자에게 제공된다.The pro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ject editing means 10 is provided to the project participant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201 of the document handling means 20. [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2인터페이스(201)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다자간 협업관계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문서수발수단(20)이 제공하는 단일화된 협업공간에서 각자 할당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프로젝트 문서를 교환한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arty collaborative relationship in which a project is operated based on the second interface 2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llaborative space provided by the document managing means 20, Exchange documents.

도 5는 제2인터페이스(201)의 실시예로서, 접근권한을 인증받아 각 프로세스에 대한 문서 송수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게시판 형태의 다자간 협업 공간이다.FIG. 5 is an example of the second interface 201, which is a board-like multi-party collaborative space capable of authenticating access rights and performing document transmission / reception for each process.

프로젝트 운영조직에서 상기 협업공간을 중심으로 총괄 프로젝트 관리자, 세부 프로젝트 관리자, 프로젝트 운영자, 프로젝트 참여자 및 프로젝트 참여기관이 협업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In the project management organization, the overall project manager, the detailed project manager, the project manager, the project participant, and the project participating organization execute the project through the collaboration centered on the collaboration space.

프로젝트 수행자는 계획, 생산, 납품 등의 페이즈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할 스텝 및 액티비티에 대하여 프로젝트 문서를 입력하고, 프로젝트 관리자 또는 프로젝트 수행자는 프로젝트 문서를 수신하여 결재하거나 회신한다.The project performer selects one of the phases of planning, production, delivery, etc., inputs the project document for the step and activity to be worked on, and the project manager or the project performer receives the project document,

상기 프로젝트 문서는 프로세스, 발신자, 수신자 등의 정보가 문서해석코드와 함께 정형화된 문서로서, 완성된 문서를 제2인터페이스(201)에 입력하거나, 문서작성수단(202)을 사용하여 제2인터페이스(201)상에서 직접 작성될 수 있다.The project document is a document in which information such as a process, a sender, a receiver is formatted together with a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a completed document is input to the second interface 201, 201).

프로젝트 문서는 프로세스, 발신자, 수신자, 및 문서 종류에 대하여 각각 프로세스 코드, 발신자코드, 수신자드, 결정코드 등의 문서해석코드를 포함한다.The project document includes document interpretation codes for the process, sender, recipient, and document type, such as process code, sender code, recipient code, and decision code.

상기 결정코드는, 요청, 건의, 제안, 거절, 승인, 확인 등과 같은 프로젝트 문서 내용에 따라 프로젝트 진행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이다The decision code is information that can grasp the progress of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roject document such as request, suggestion, suggestion, rejection, approval, confirmation,

문서수발수단(20)은 프로젝트 문서의 상기 문서해석코드를 인식하여 문서를 수발한다.The document handling means 20 recognizes the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of the project document and takes care of the document.

또한, 문서수발수단(20)은 결재수단(204)을 더 포함하여, 결재자 코드가 인식되는 경우와 같이, 문서 결재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결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한다.The document managing means 20 further includes a settlement means 204 to automatically perform a settlement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document settlement is necessary, such as when a settlement person code is recognized.

결재 프로세스는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나, 정형화 문서가 게시판 형태의 협업공간에 입력되면 우선 문서해석코드를 이용하여 결재자가 누구인지 판단하여 해당 결재자에게 해당 문서의 열람을 인가하고, 해당 결재자의 결재를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However, if the formalized document is input into the collaborative space of the bulletin board type, the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is used to judge who the contractor is, and the user is allowed to view the document and the approval of the contractor The receiving process is performed.

따라서, 결재프로세스를 위해서는, 결재자 및/또는 합의자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결재 프로세스에 의해서 결재, 반려, 합의 등의 절차가 이루어진다.Therefore, for the approval proces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ontractor and / or consensus code, and a settlement process, a settlement process, a reconciliation process, and the like are performed.

문서수발수단(20)은 커뮤니케이션수단(203)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프로젝트 참여자 간에 업무상의 문의, 답변, 지시, 임시보고 등의 정형화되지 아니한 인스턴트 메시징을 지원한다. The document handling means 20 may further comprise a communication means 203 that supports unformatted instant messaging between the project participants, such as business inquiries, responses, instructions, ad hoc reports and the like.

커뮤니케이션수단(203)은 프로세스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메시징 뿐만 아니라, 특정한 프로세스를 지정하지 않는 자유로운 형식의 메시징을 지원한다.The communication means 203 supports free-form messaging that does not specify specific processes as well as messaging that affects process progress.

커뮤니케이션수단(203)은 참고자 및 전달자 코드를 더 포함하며, 프로젝트 정보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요청, 건의, 제안, 거절, 승인, 확인 등의 결정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ans 203 further includes a reference code and a forwarder code, and may include a determination code such as a request, suggestion, proposal, rejection, approval, and confirmation in order to be reflected in the project information.

도면상에는 각 수단들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물리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상의 구분인바, 각 수단이 하나의 프로세스 모듈에 통합 구성되거나 한 수단의 여러 기능이 다른 프로세스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Although the respective means are shown separately in the drawings, it is not meant to be a physical location, but a functional division, and each means may be integrated into one process module or various functions of one means may be included in another process module.

-프로젝트 관리수단(30)-- project management means (30) -

프로젝트 관리수단(30)은 문서수발수단(20)이 수행하는 문서 수발, 및/또는 결재수단(204)의 결재 프로세스에 따라 프로젝트 정보를 갱신하는바, 프로세스별로 프로젝트 문서 각각의 수발, 결재 여부, 및/또는 문서 내용의 문맥을 판단하여 프로젝트 정보를 갱신한다.The project management means 30 updates the pro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ocumen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document processing means 20 and / or the approval process of the approval means 204, and the project management means 30 updates the project information, And / or the context of the document content to update the project information.

도 3의 실시예를 보면, 프로젝트 정보는 프로세스 별로 수신, 합의, 결재 등의 결정정보가 포함되며, 프로젝트 관리수단(30)은 문서수발수단(20)의 수행결과에 따라 프로젝트 정보의 해당 칼럼에 대하여 진행상황을 갱신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project information includes determination information such as reception, consensus, approval, and so on for each process. The project management means 30 stores the project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column of the project information Update your progress with

프로젝트 관리수단(30)은 결재 프로세스 결과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수단(203)의 메시징 결과에 대해서도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이 있는 메시지에 대해서는 이를 프로젝트 정보에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다.The project management means 30 can update not only the result of the approval process but also the messaging result of the communication means 203 by reflecting the message relating to the project progress in the project information.

또한, 프로젝트 관리수단(30)은 보고서 생성수단(301)을 더 포함하여,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저장된 프로젝트 문서 및 메시지를 통합하여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여 제공한다.The project management means 30 further includes a report generation means 301. When the project is completed, the project management means 30 integrates the stored project documents and messages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nd provides a report.

보고서 자동 생성은 문서수발수단(20)에 의해 프로젝트 문서 및 메시지의 수발이 일원화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서, 보고서 생성수단(301)은 프로젝트 관리수단(30)에 의해 프로젝트 완료가 판단되는 시점에, 설정된 보고서 양식에 따라 저장된 문서를 정렬하여 보고서를 자동 생성한다.The automatic generation of the report is possible because the handling of the project document and the message is unified by the document managing means 20, and the report generating means 301 generates the report automatically when the project completion is judged by the project managing means 30 Automatically generate reports by sorting the saved documents according to the form.

상기 보고서 양식은 프로젝트 정보 생성시 함께 입력되거나, 보고서 생성 시점에 설정될 수 있다.The report form may be entered together with the project information, or may be set at the time of report generation.

상기 갱신된 프로젝트 정보는 제1인터페이스(101)에 의해 프로젝트 참여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프로젝트 관리수단(30)은 프로젝트 점검수단(302)을 더 포함하여, 프로젝트 정보를 WBS 형태의 프로세스 챠트 등과 같은 도표로 도식화할 수 있다.The updated projec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project participant by the first interface 101. The project management means 30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 checking means 302 for collecting the projec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WBS- The same diagram can be drawn.

각 프로세스별 진행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작업자, 일정, 문서 수발자, 납기, 체크리스트 등의 요구되는 인덱스를 설정하여 도표로 제공하는 것은 프로젝트 점검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이 되며, 도식화된 결과는 프로젝트 관리수단(30)이 별도의 열람수단을 이용하여 프로젝트 참여자에게 제공하거나, 제1인터페이스(101)에 제공하여 프로젝트 정보 편집 기능이용시 프로젝트 정보 게시 기능과 통합 또는 연계하여 구현할 수 있다.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check the project to set up required indexes such as worker, schedule, document caregiver, deadline, and checklist so that the progress of each process can be grasped at a glance. The management means 30 may be provided to the project participant using a separate browsing means or provided to the first interface 101 and integrated or linked with the project information posting function when the project information editing function is used.

이상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도면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수단은 기능상의 구분이어서 실제 구현시에는 별도의 프로세스 모듈이나 통합 프로세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interface and the second interface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drawings, and each means is a functional division. A process module or an integrated process module.

10 : 프로젝트 편집수단 20 : 문서수발수단
30 : 프로젝트 관리수단 101 : 제1인터페이스
201 : 제2인터페이스 202 : 문서작성수단
203 : 커뮤니케이션 수단 204 : 결재수단
301 : 보고서 생성수단 302 : 프로젝트 점검수단
10: Project Editing Means 20: Document Handling Means
30: Project management means 101: First interface
201: second interface 202: document creation means
203: Communication means 204: Payment means
301: report generating means 302: project checking means

Claims (12)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서버로서,
다수의 단계로 프로세스가 구조화된 프로젝트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된 협업공간으로서 프로젝트 정보의 게시 및 입력기능을 구비한 제1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열람에 제공하는 프로젝트 편집수단;
상기 프로젝트 정보의 각 프로세스에 대하여 프로세스 코드, 발신자 코드, 수신자 코드, 및 결정코드를 포함한 문서해석 코드를 기반으로 정형화된 프로젝트 문서를 프로젝트 참여자 간에 교환할 수 있는 제2인터페이스, 상기 문서해석 코드를 기반으로 결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재수단, 프로젝트 참여자 간의 정형화되지 않은 인스턴트 메시징을 처리하는 커뮤니케이션수단을 포함하고, 입력되는 프로젝트 문서의 문서해석 코드에 기초해서 제 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단일화된 협업공간에서 프로젝트 진행상황에 따른 문서 수발을 수행하는 문서수발수단; 및
상기 문서수발수단에 의해 수발되는 프로젝트 문서의 문서해석 코드를 식별하여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젝트 관리수단; 을 포함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As a computer server on a network,
A project that provides a first interface having a function of posting and inputting project information as an integrated collaborative space on the basis of project information structured by processes at a plurality of stages, receives project information from the first interface, Editing means;
A second interface for exchanging formalized project documents between project members based on document interpretation codes including process codes, sender codes, receiver codes, and decision codes for each process of the project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means for processing the unstructured instant messaging among the project participants. The project progr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nified collaboration space using the second interface based on the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of the input project document A document retrieval means for retrieving the document according to the retrieval result; And
Project management means for identifying a document interpretation code of a project document generated by the document processing means and updating project information for the process;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Using Document Handling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편집수단은,
상기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페이즈(Phase), 스텝(Step), 및 액티비티(Activity)의 3단계로 분류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 collaborative system using the document care function to provide an input screen in which the process of the projec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of Phase, Step, and Acti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테이블 형태의 입력화면을 포함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2. The apparatus of claim 1,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Using Document Handling Function, Including Tabular Input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편집수단은,
각 프로젝트 또는 각 프로세스 별 접근권한을 설정하여 프로젝트 정보 입력시 인증받지 못한 접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using the document care function configured to prevent unauthorized access to project information by setting access rights for each project or each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수단은, 상기 결재수단 실행 결과를 포함하여 프로젝트 정보를 갱신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ject management means updates the project information including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ettlement mea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게시판 형태의 입력화면을 포함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2. The apparatus of claim 1,
A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using a document handling function, including a bulletin board type input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수발수단은,
상기 구조화된 프로세스별 접근권한을 설정하여 프로젝트 문서 입력시 인증받지 못한 접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 collaborative system is configured to prevent unauthorized access when inputting project documents by setting the structured process-specific access r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수발수단은,
참여자가 인터페이스에서 정형화된 프로젝트 문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서작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document creation means for supporting a participant to create a formalized project document in an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수단은,
보고서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해당 프로젝트의 각 프로세스별로 송수신 된 문서를 통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using a document care function that further includes a report generation means and generates a report by integrating documents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each process of the project when the project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수단은,
프로젝트 점검수단을 더 포함하여, 프로젝트 정보를 각 프로세스의 단계별 진행상황을 도식화하여 열람에 제공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roject collaborative system using a document care function that schematically shows the progress of each process step by step, and further provides a project check mea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점검수단은,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도식화된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열람에 제공하는,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12.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And provides the project progress status graphically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nterface to the browsing function.

KR1020140078809A 2014-06-26 2014-06-26 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 KR101719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809A KR101719182B1 (en) 2014-06-26 2014-06-26 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809A KR101719182B1 (en) 2014-06-26 2014-06-26 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73A KR20160001073A (en) 2016-01-06
KR101719182B1 true KR101719182B1 (en) 2017-03-23

Family

ID=5516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809A KR101719182B1 (en) 2014-06-26 2014-06-26 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182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643A (en) * 2001-07-23 2003-02-05 주식회사 노엘정보테크 Project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KR101356191B1 (en) * 2011-12-23 2014-01-27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Collaboration project performing system and method using network
KR20140066966A (en) * 2012-10-23 2014-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ooperation system using open public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73A (en)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8019B2 (en) Collaboration tool
US907612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group chats among team members
US20060085245A1 (en) Team collaboration system with business process management and records management
US20120116836A1 (en) Consolidating business process workflows through the use of semantic analysis
WO2016090010A1 (en) Workflow definition, orchestration and enforcement via a collaborative interface according to a hierarchical checklist
EP2776990A2 (en) System for collaboration and meeting management
US20150154526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nd Improving Organizational and Operational Performance
US11062249B2 (en) Electronic message management program coordinating defined activity and controlled recipient/respondents through a unique ID
WO2014013551A1 (en) Workflow management device and workflow management method
Sahara et al. Real-time data integration of an internet-of-things-based smart warehouse: a case study
CN102473249A (en) Workflow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workflow processing method
US10332046B2 (en) Social workflow engine
CN111507686A (en) Automatic budget system and method for engineering design change
KR20120122392A (en) BOM management method of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BOM management system
US20210304272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based platform supporting request for x (rfx) creation and management and response compliance checking
US8504412B1 (en) Audit automation with survey and test plan
Kim et al. Stringing construction planning and execution tasks together for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KR101719182B1 (en) Project cooperation system using document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
WO2022016093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KR102298777B1 (en) Integrated system including user interface
US118420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interactive roadmap portal
Cho et al. Chatbot-engaged construction daily work report using mobile messenger
Ghorbani et al. Evaluating Facility Asset Information Needs in a Common Data Environment to Support Maintenance Workers
Sihombing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for Document Management in Construction Companies Using Prototyping Method
WO2021195196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based platform supporting request for x (rfx) creation and management, rfx response management and compliance checking or verification, price analysis visualization and control, and/or bill of materials (bom) charact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