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563B1 - 계단 조립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계단 조립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563B1
KR101718563B1 KR1020117030482A KR20117030482A KR101718563B1 KR 101718563 B1 KR101718563 B1 KR 101718563B1 KR 1020117030482 A KR1020117030482 A KR 1020117030482A KR 20117030482 A KR20117030482 A KR 20117030482A KR 101718563 B1 KR101718563 B1 KR 10171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stair
platform
stair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040A (ko
Inventor
줄리안 디. 고든
Original Assignee
줄리안 디. 고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줄리안 디. 고든 filed Critical 줄리안 디. 고든
Publication of KR2012001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12Treads of metal or with an upper layer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정상인이 주 플랫폼에 도달하기 위해서 램프의 전체 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도록 램프의 상단에서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쉽게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고, 인접한 계단들에 부착되는 많은 레그들을 갖는다. 레그들은 각각의 레그의 어느 한 측면 상의 두 개의 계단들을 위해 두 개의 부착 영역들을 가질 수 있고, 계단들 중 하나는 나머지 계단보다 더 높은 높이에서 위치된다. 계단 시스템의 상단에서 주 플랫폼의 원하는 높이는 사용되어질 대응 계단들 및 레그들의 개수를 결정할 것이다.

Description

계단 조립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 STAIR ASSEMBLY}
계단 시스템의 조립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일반적으로 개시된다.
재사용가능한 계단 조립체들을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될 수 있는 다른 모듈들 및 구성요소들을 갖는 계단 시스템들은 다양한 용례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미리 제작한 계단 조립체들은 단일 용례 또는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계단 조립체들은 새로운 주택, 트레일러 주택, 핸디캡 램프(handicap ramps) 등을 위해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계단 조립체들은 전형적으로 시멘트 또는 다른 무거운 재료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적소에 그들을 이송하고 위치시키고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계단 조립체들의 제거는 상당량의 노동을 필요로 하고 흔히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한다.
램프 시스템들은 절벽(steep), 얼음으로 덮힌 주행길(icy driveways), 계단 등과 같은 어려운 지역을 일반 대중뿐만 아니라 신체 장애자가 횡단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휠체어 램프의 대략 45%가 임대되었고, 약 5-6개월 지속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램프의 사용은 전형적으로 일시적인 본질의 손상(injuries of a temporary nature)으로부터 기인한다. 나무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영구적인 램프들은, 예를 들어, 값비싸고, 건설 허가를 필요로 하며, 재판매시에 주거의 가치를 감소시킨다. 때때로, 영구적인 램프들은 병원 퇴원 스케쥴(hospital discharge schedules)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쉽게 이용될 수 없다. 미국 특허 제5,740,575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램프들은 고려된 임의의 용례들에 부합하도록 많은 램프 섹션들을 단부 대 단부로 연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구조에서 모듈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램프가 플랫폼에 이르게 설정될 때, 휠체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예를 들어, 주택 또는 트레일러로 진입하기 위해서) 플랫폼에 이르는 램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램프의 위치는 통상 주택 내로 직접 안내될 수 있는 기존 계단들의 사용을 방해한다. 결과적으로, 램프의 사용은 사람들이 구조물 내로 진입하기 위해 상당히 더 많은 여분의 계단들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램프의 상단에서 주 플랫폼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므로, 정상인이 주 플랫폼에 도달하기 위해서 램프의 전체 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다.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쉽게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고, 시스템은 단순한 방식으로 인접한 계단들에 부착되는 다수의 레그들을 포함한다. 계단 시스템의 상단에서 주 플랫폼의 원하는 높이는 사용될 수 있는 레그들 및 대응 계단들의 개수를 결정할 것이다. 계단들은 레그의 부착 영역들에서 레그들에 부착될 것이다. 레그들은 두 개의 계단을 위한 두 개의 부착 영역들을 가질 수 있고, 계단들 중 하나는 나머지 계단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최상부 레그는 계단 시스템 내로 통합될 때 플랫폼에 대한 부착물과 플랫폼보다 낮게 위치설정되는 계단에 부착하기에 적절한 부착물을 위해 적절한 부착 영역을 가질 것이다. 최상부 레그는 계단 시스템 내로 통합될 때 최하부 계단에 대한 부착을 위해 적절한 부착 영역을 가질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랫폼과 사용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이 제공된다.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제1 세트의 레그들의 상부 부착물 영역에서 플랫폼에 부착된 제1 세트의 레그들로서, 플랫폼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계단 시스템이 조립되는 표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각각 갖는 제1 세트의 레그들과;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제1 계단으로서, 플랫폼에 의해 한정된 평면 아래의 제1 거리에서 제1 세트의 레그들의 하부 부착 영역에 대해 후방 에지에서 부착되는 제1 계단과; 제1 계단의 전방 에지에 제2 세트의 레그들의 제2 상부 부착 영역에서 부착된 제2 세트의 레그들로서, 제1 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계단 시스템이 조립되는 표면상에 또한 배치된 베이스를 각각 갖는 제2 세트의 레그들과;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제2 계단으로서, 제1 계단에 의해 한정된 평면 아래의 제2 거리에서 제2 세트의 레그들의 하부 부착 영역에 후방 에지에서 부착되는 제2 계단과; 제2 계단의 전방 에지에 대해 제3 세트의 레그들의 제3 상부 부착 영역에서 부착되는 제3 세트의 레그들로서, 제2 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계단 시스템이 조립되는 표면 상에 또한 배치되는 베이스를 각각 포함하는 제3 세트의 레그들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재사용가능한 계단 조립체가 제공된다. 재사용가능한 계단 조립체는 계단 조립체에 의한 접근을 위한 표면을 갖는 플랫폼과; 계단 조립체에 의한 접근을 위한 플랫폼의 측면에 그 상부 부착 영역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고 접근되는 지면 표면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세트의 레그들로서, 지면 표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제1 세트의 레그들과;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제1 계단으로서, 제1 계단의 후방 에지가 플랫폼 아래의 소정 거리에서 제1 세트의 레그들의 하부 부착 영역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계단과; 위의 제1 계단과 연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추가 계단의 전방 에지에 부착된 상부 부착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그 세트들을 포함하며, 추가 계단은 지면 표면의 계단식 접근부 내에 배치된 최하부 계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수반하는 도면들 및 청구범위와 연관하여 고려될 때 다양한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들의 이하의 상세한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수반하는 도면들은 크기 축척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들에서, 다양한 도면들에서 예시된 각각의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는 같은 숫자로 표현된다. 명료함을 목적으로, 모든 구성요소들이 모든 도면에서 병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계단 시스템을 위한 선택적인 위치들을 갖는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플랫폼 및 계단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계단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장착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양한 길이를 갖는 네 개의 다리들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레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양한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천공된 관형 다리들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L"자형 레그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사각형 형상인 관형 레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플랫폼에 부착되는 레그 및 장착 브래킷의 단편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레그에 부착되는 베이스들의, 아래로부터 도시된, 단편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계단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한 쌍의 레그들까지 부착되는 계단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계단의 전방 측면에 부착되는 천공된 레그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계단에 부착되는 두 개의 천공된 레그들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플랫폼에 부착된 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플랫폼에 각각 그 좌측면 및 우측면 상에 부착된 게이트의 측면도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게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게이트 장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게이트 레일 포스트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플랫폼에 부착되는 게이트 장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게이트 장착 브래킷에 부착되는 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게이트 장착 브래킷에 부착되는 게이트 레일 포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게이트 힌지의 단편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에서 개시되거나 도면들에서 예시된 상세한 구조 및 구성요소들의 배치에 대해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또는 용어는 기술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또는 "갖는", "함유하는", "내포하는"의 사용과 본 명세서에서의 변형들은 이후에 열거된 항목들과 추가적인 항목들뿐만 아니라 그 등가물들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정상인이 주 플랫폼에 도달하기 위해서 램프의 전체 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도록, 예를 들어, 램프의 상단에서 위치된 주 플랫폼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상단 플랫폼의 원하는 높이에 따라 쉽게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다. 많은 레그들이 레그들의 어느 한 측면 상의 인접한 계단들의 근사 높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레그의 길이에 의해 효과적인 방식으로 인접한 계단들에 부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그들은 하나의 계단을 위한 상부 부착 영역과 다른 계단을 위한 하부 부착 영역을 갖고, 전자의 계단은 후자의 계단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에서 위치된다. 몇몇 경우에, 계단 시스템의 최상부 레그는 플랫폼에 대해 적절한 부착 영역과 플랫폼 아래의 소정의 스텝핑(stepping) 거리에 위치되는 계단에 부착에 대해 적절한 부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최하부 레그는 계단 시스템 내로 통합될 때 최하부 계단에 대한 부착을 위해 적절한 부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단의 후방 에지는 더 큰 레그의 상단 아래의 부착 영역에 부착될 수 있고, 계단의 전방 에지는 더 짧은 레그의 상단에서 또는 거의 인접하여 더 낮은 부착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레그들은 임의의 개수의 부착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들은 그들의 전체 길이를 통해 또는 단지 그들의 길이의 선택된 일부분에서만 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레그들은 지면과 접촉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들을 갖는 베이스들에 별개로 부착가능하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레그들은 미리 베이스들을 통합하여, 추가 부착물 없이 레그들이 직립하여 위치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장착 브래킷들은 레일들이 계단 시스템 내에 통합되게 할 수 있다. 레일들은 사람들이 계단 시스템 위로 이동하면서 어느 한 측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레일들은 계단 시스템 위로 이동할 때 사용자에 의한 지지를 위해 붙잡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장착 브래킷은 플랫폼에 부착될 수 있고, 장착 브래킷은 장착 브래킷에 대해 그들의 단부에서 적합하게 부착되는 레일들을 갖는 최하부 계단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시스템은 주 플랫폼 레벨 및/또는 최하부 계단에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 시스템은, 설치될 때,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어서, 계단 시스템으로 진입하고 계단시스템으로부터 진출을 허용한다. 만일, 게이트 시스템이 제공된다면, 적절한 장착 브래킷들은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에 의해 게이트 조립체에 적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하나의 물품이 다른 물품에 "부착"될 때, "부착물"이 두 개의 물품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물품들이 견고하게 고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서로 부착된 물품들은 물품들이 서로 영구히 고정되지 않을 때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조립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을 갖는 레일은 레일 및 포스트 양쪽에서의 구멍들을 통해 볼트 및 너트 장치의 사용에 의해 구멍을 갖는 포스트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나사결합식 나사 장치가 두 개의 물품들을 함께 부착하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서로 부착된 물품들은, 예를 들어, 용접, 융합 및/또는 단일 형성을 통해 영구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플랫폼 레그(22)들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20)을 갖는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랫폼(20)까지 이르는 계단들은 계단들(30a, 30b, 30c, 30d 및 30e)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계단들은 대응하는 베이스들(70)을 포함하는 레그들(60)에 의해 지지되거나, 그리고/또는 계단들은 천공된 레그들(80)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20) 및 계단들(30a, 30b, 30c, 30d 및 30e)은 높이에서 연속적으로 더 낮게 배치된다. 레그들(60) 및 천공된 레그들(80)은 레그들(60 및 80)이 부착되는 계단들(30a, 30b, 30c, 30d 및 30e)로부터 지면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한다. 예시된 실시예들은 플랫폼, 5개의 계단들, 및 6개의 레그 세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레그 세트들은 대응하는 계단을 위해 적절한 높이를 갖는다. 장착 브래킷(40a)은 플랫폼(20)에 부착되고, 장착 브래킷(40b)은 최하부 계단(30e)에 부착된다. 레일들(50)은 장착 브래킷들(40a 및 40b)에 부착되어, 지지부 또는 장벽(barrier)을 제공한다.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지면 위의 높이(h)로 되어 있는 플랫폼(20)을 도시하는 도 2에서의 측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는 플랫폼, 5개의 계단들 및 6개의 레그 세트들을 포함한다. 플랫폼의 높이(h)가 원하는 높이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을 때, 적절한 개수의 계단들 및 레그들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레그들은 레그 세트들을 칭한다. 이에 관하여, 예를 들어, 레그(60a)는 플랫폼(20) 또는 계단(30a)이 적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제공된 추가적인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세트들은 레그 쌍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개수의 레그들(즉, 하나 이상)이 한 세트의 레그들에서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60a)는 레그(60a)의 상부 부착 영역(64a)에서 플랫폼(20)에 부착되고, 레그(60a)의 하부 부착 영역(66a)에서 계단(30a)에 또한 부착된다. 또한, 레그(60b)는 레그(60b)의 상부 부착 영역에서 계단(30a)에 부착되고, 레그(60b)의 하부 부착 영역에서 계단(30b)에 또한 부착된다. 레그(60c)는 계단(30b) 및 계단(30c) 양쪽 모두에 유사하게 부착되며, 레그(60d)는 계단(30c) 및 계단(30d) 양쪽 모두에 부착된다. 천공된 레그(80a)는 천공된 레그(80a)의 상부 부착 영역에서 계단(30d)에 부착되고, 천공된 레그(80a)의 하부 부착 영역에서 계단(30e)에 또한 부착된다. 유사하게, 천공된 레그(80b)는 계단(30e)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들 및 천공된 레그들은 계단(30a)에 레그(60a)를 부착하도록 기능하는 부착 방법(90)에 의해서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에 의해 플랫폼 및 계단들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방법(90)은 너트 및 볼트 장치이다. 임의의 적합한 장치는 부착물 방법(90)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10)이 (점선으로 도시된) 플랫폼(20)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에 의한 플랫폼(2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시스템은 플랫폼(20)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 예를 들어, 플랫폼의 코너에서 부착되는 스텝(step)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20)은 측면 에지(24) 및 플랫폼 부착 영역(26)을 포함하고, 이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이 적합하게 조립되도록 제공된다.
도 4는 계단(30)의 폭(w30)이 플랫폼(20)의 폭(w20)보다 작은 계단(30)에 부착된 플랫폼(2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계단(30)의 폭(w30)이 플랫폼의 폭(w20)보다 작을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도시되지 않은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계단(30)의 폭(w30)은 플랫폼의 폭(w20)과 동일하거나 혹은 더 크다. 임의의 적합한 표면이 플랫폼(20) 및/또는 계단(30)의 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플랫폼(20) 및/또는 계단(30)의 상단 표면이 적절한 트레드(tread)를 포함할 수 있거나, 혹은 비교적 평활할 수 있고, 천공되거나 중실형(solid)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랫폼(20) 및/또는 계단(30)의 상단 표면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20) 및 계단들(30)은 유사하거나 상이한 재료 및/또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강철 또는 알루미늄 또는 양쪽 모두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들의 프레임들은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들의 지지부는 다른 것을 표면화한다.
계단(30)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계단(30)은 계단 부착 영역들(34 및 36)과 함께 전방 에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계단 부착 영역들(34 및 36)은 임의의 적합한 부착 장치가 적합한 물품, 예를 들어 레그 또는 장착 브래킷에 계단(30)을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계단 부착 영역들이 명시적으로 라벨링되지 않았지만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계단(30)은 전방 에지(32)에 더하여 각각의 계단 부착 영역들을 갖는 후방 에지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장착 브래킷(40)과 장착 브래킷(40)에 대한 부착을 위한 레일(5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40)은 측면 브래킷 부분들(48a 및 48b)을 함께 연결하는 주 브래킷 부분(42)을 포함한다. 브래킷 부착 영역(44)은 명시적으로 병기되지 않은 다른 부착 영역들과 함께 주 브래킷 부분(42)에서 또한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영역들이 브래킷 베이스(42)에서 구멍이 형성된다. 장착 브래킷(40)은 플랫폼(20) 및/또는 적절한 계단(30), 예를 들어, 하부 또는 최하부 계단에 부착될 수 있다. 장착 브래킷(40)의 상이한 부분들이 상이한 재료 및/또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브래킷 부분(42)은 단일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브래킷 측면들(48a 및 48b)로 형성될 수 있거나 혹은 주 브래킷 부분(42)은 측면들(48a 및 48b)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브래킷 측면들(48a 및 48b)은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레일(50)의 부착물을 허용할 수 있다. 레일(50)은 예를 들어 브래킷 측면(48)에 대한 부착을 위해 레일 본체(52) 및 부착 영역들(5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0)들을 따른 장착 브래킷들(40a 및 40b)의 선택적인 조합은 조립된 계단 시스템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적합한 지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길이의 4개의 레그들(60a, 60b, 60c 및 60d)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레그들은 원하는 대응 계단들의 높이에 따라 그리고 레그 및 계단들이 부착되는 높이에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60a)는 계단 또는 플랫폼의 부착을 위한 상부 부착 영역(64a) 및 하부 부착 영역(66a)과 함께 레그 본체(62a)를 포함한다. 레그(60a)는 하부 부착 영역(66a)보다 낮은 베이스 부착 영역(68a)을 또한 포함한다. 상부, 하부 및 베이스 부착 영역들은 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고려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레그들이 역전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부착 영역들이 상부 및 하부 부착 영역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60a)가 뒤집어지면, 병기되지 않은 부착 영역이 상부 부착 영역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향의 역전을 지지하는 이러한 구성이 필요한 형상은 아니다. 도 8은 또한 상부, 하부 및 베이스 부착 영역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레그(60a)와 유사한 레그들(60b, 60c 및 60d)을 또한 도시한다. 그러나, 레그들(60b, 60c 및 60d)은 전체 길이에서 상이하고, 대응하는 레그에 부착되는 원하는 계단 높이에 기초하여 사용될 수 있다. 레그가 단일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혹은 적절한 길이의 레그로 함께 일편화될 수 있는 별개의 요소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레그 삽입 슬리브(71), 베이스 본체(72), 부착 영역(74) 및 베이스 플레이트(76)를 포함하는 베이스(7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임의의 레그들(60)은 레그(60)가 직립 위치에서 놓일 수 있도록 베이스(70)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60)는 베이스(70)의 슬리브(71) 내로 느슨하게 놓일 수 있고 이어서 적합하게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6)는 지면과 접촉하고 위에서 조립된 계단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적합한 표면을 제공한다. 레그들이 대응하는 베이스를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레그들은 베이스에 대한 별개의 부착물이 필요하지 않도록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단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레그(60)의 높이가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을 때, 베이스(70)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레그들(60) 및 베이스들(70)은 다수의 부착 영역들(68 및 74)을 각각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베이스(70) 내의 레그(60)의 조정은 예를 들어, 특정한 계단에 부착되는 레그(60)가 적합한 대응 높이에 있지 않은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계단 시스템 하부의 지면은 매끄럽거나 균일하지 않을 수 있어서 높이 조정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0은 두 개의 천공된 레그들(80a 및 80b)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천공된 레그들(80a 및 80b)은 천공된 레그 본체들(82a 및 82b)을 포함하며, 천공들이 레그 부착 영역들(84a 및 84b)과 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86a 및 86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천공된 레그들(80a 및 80b)은 계단들(30)이 천공된 레그들(80)에 부착될 수 있는 높이에 기초하여 길이가 상이하다. 도 8 및 도 9에 의해 도시된 레그들(60)과 대조적으로, 천공된 레그들(80)은 레그 본체들의 길이를 따른 구멍들에 의해 도시된 상당히 많은 부착 영역들을 포함하고, 이는 계단들(30)이 천공된 레그들(80)에 얼마나 높이 부착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증가된 조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천공된 레그들(80)은 각각의 레그(60)에 부착된 개별 베이스(76)를 도시하는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천공된 레그 베이스 플레이트들(86)을 갖는 베이스를 이미 포함한다. 도 10에서, 천공된 레그 베이스 플레이트들(86)을 갖는 베이스들은 천공된 레그들(80)과 단일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별개의 베이스 부분을 부착하지 않으면서 적합한 직립 위치에서 천공된 레그들(80)이 놓이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천공된 레그들(80)은 도 8 및 도 9에서의 레그들(60)에 대응하는 베이스들(70)과 유사하게, 각각의 천공된 레그에 대응하는 별개의 베이스들을 포함하기 위해서 제작될 수 있다. 레그들(80a 및 80b)은 단면이 관형 및 사각형이고, 전형적으로 연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들은 다양한 적절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1a에서 도시된 몇몇 실시예들에서, 레그 본체(62)는 단면이 L자형일 수 있다. 부착 영역들(64)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레그들(60)은 또한 L자형 단면이다. 도 11b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그 본체(82)는 관형이고 사각형 단면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연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그 본체(82)에 대응하는 부착 영역들(84)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임의의 적합한 형상 단면이 레그 본체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 본체들의 단면 형상들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V"자형, 만곡형, 윤곽형, 불규칙 형상 및/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세트들의 천공된 레그들(80) 및 4개의 레그 세트들(60)은 5개의 계단들(30)과 하나의 플랫폼(20)에 사용되어 있다.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10)을 위하여, 레그들(60) 및 천공된 레그들(80)의 임의의 개수 및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계단 시스템의 조립 동안, 도시되었지만, 예를 들어, 최하부 계단들에 부착되는 천공된 레그들(80)과 최상부 계단들(및 플랫폼)에 부착되는 레그들(60)이 요구되지 않는다. 추가로, 레그들(60) 또는 천공된 레그들(80)의 임의의 조합은 특정한 높이에서 특정한 계단에 대응하는 한 세트의 레그들에서 포함될 수 있다. 실제로, 레그들(60) 및 천공된 레그들(80)은 계단들이 받을 수 있는 예상된 하중과 레그들의 상이한 형태의 비용에 따라 적절하게 상호교환할 수 있다.
계단들 및 플랫폼의 높이 및 크기는 (예를 들어, 천공된 레그들 뿐만 아니라 베이스들을 갖는 레그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레그 세트들의 개수와 사용된 계단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스텝들은 서로 대략 17.78cm(7인치)일 수 있다. 플랫폼이 하나의 계단을 포함하는 경우에, 플랫폼 높이는 지면 위로 대략 35.56cm(14인치)일 수 있다. 각각의 추가된 계단에 의해, 플랫폼 높이는 이에 따라 상승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10)이 조립될 수 있는 스텝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아래로부터의 사시도에서 계단 조립체의 제1 스텝을 도시하고, 계단 시스템(10)의 상단에서 플랫폼(20)과 함께 시작한다. 플랫폼(20)은, 예를 들어, 램프 조립체에서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레그(22)에 의해 이미 조립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40) 및 가장 큰 레그(60a)는 볼트(92), 볼트 와셔(94), 너트 와셔(96) 및 너트(98)를 포함하는 부착 방법(90)의 사용을 통해 플랫폼(20)에 부착된다. 볼트(92)는 장착 브래킷(40)의 부착 영역(44)과 가장 큰 레그(60a)의 상부 부착 영역(64a)을 통해 활주하고 플랫폼(20)에 부착을 위하여 너트(98)에 의해 결합된다. 볼트 와셔(94) 및 너트 와셔(96)는 또한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주 브래킷 부분(42)은 일단 장착 브래킷(40), 가장 큰 레그(60a) 및 플랫폼(20)이 적절하게 부착되면 플랫폼(20)의 전방 측면(24)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13은 레그(60a)에 인접하여 배치된 플랫폼 레그(22)를 도시하는 부착물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60a)가 플랫폼(20) 및 장착 브래킷(40)에 대해 상부 부착 영역(64a)에서 부착되어 있지만, 레그(60a)는 하부 부착 영역(66a)에서 대응 계단(30)에 또한 부착되지는 않는다.
플랫폼(20)에 부착되는 제1 세트의 레그들(60a)은 도 14에 도시된 레그들(60a1 및 60a2)를 포함한다. 일단 장착 브래킷(40) 및 레그들(60a1 및 60a2)이 도 14에 또한 도시된 플랫폼(20)에 적합하게 부착되면, 베이스들(70a1 및 70a2)은 부착 영역들(74a1 및 74a2) 및 기부 부착 영역들(68a1 및 68a2)에서 각각 적합한 부착 방법(90)을 이용하여 레그들(60a1 및 60a2)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들(70a1 및 70a2)은 레그들(60a1 및 60a2)이 서있는 지면 또는 다른 표면과 맞물리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들(76a1 및 76a2)을 포함한다.
도 15는 레그들의 하부 부착 영역들(66a1 및 66a2)에서의 계단(30a)의 후방 에지(38a)에서 부착 방법(90)을 이용하여 레그들(60a1 및 60a2)에 각각 부착된 계단(30a)을 도시한다. 또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레그들(60a1 및 60a2)은 레그들의 상부 부착 영역들(64a1 및 64a2)에서 플랫폼(20)의 에지(24)에서 플랫폼(20)에 각각 부착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계단들(30b, 30c 및 30d)뿐만 아니라 레그들(60b, 60c 및 60d)은 도 12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시스템의 조립체 내에 유사하게 포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들(60b)의 상부 부착 영역들은 계단(30a)의 전방 에지에 부착되는 반면에, 레그들(60b)의 하부 부착 영역들은 계단(30b)의 후방 에지에 부착된다. 유사하게, 레그들(60c)의 상부 부착 영역들은 계단(30b)의 전방 에지에 부착되는 반면에, 레그들(60c)의 하부 부착 영역들은 계단(30c)의 후방 에지에 부착된다. 또한, 레그들(60d)의 상부 부착 영역들은 계단(30c)의 전방 에지에 부착되는 반면에, 레그들(60d)의 하부 부착 영역들은 계단(30c)의 후방 에지에 부착된다.
도 16은 레그들(60d1 및 60d2)의 하부 부착 영역들에 부착되는 계단(30d)의 후방 에지(38d)를 도시한다. 추가로, 계단(30d)의 전방 에지(32d)는 천공된 레그 부착 영역들(84a1 및 84a2)의 적절한 상부 영역들에서 부착 방법(90)을 이용하여 천공된 레그들(80a1 및 80a2)에 부착된다. 천공된 레그 본체들(82a1 및 82a2) 및 레그 베이스들(86a1 및 86a2)은 천공된 레그들(80a1 및 80a2)이 계단 시스템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직립 위치에서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구조를 제공한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레그는 결합된 계단들에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기술된 레그들(60) 및/또는 천공된 레그들(80)을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은 천공된 레그 부착 영역들의 적절한 하부 영역들에서 레그들(80a1 및 80a2)에 부착된 계단(30e)의 후방 에지(38e)를 도시한다. 계단(30e)의 전방 에지(32e)는 부착 방법(90)을 이용하여 천공된 레그들(80b1 및 80b2)에 부착된다. 천공된 레그 본체들(82b1 및 82b2) 및 천공된 레그 베이스 플레이트들(86b1 및 86b2)은 천공된 레그들(80b1 및 80b2)이 계단 조립체를 지지하는데 적합한 직립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제공한다.
일단 조립되면,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원하는 기간이 언제이든지 간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램프와 함께 조립되어 동일한 주 플랫폼을 공유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은 램프와 독립적으로 조립된다.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이 적소에 있는 것을 더 이상 원하지 않는 경우에, 계단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들이 쉽게 분해될 수 있다. 레그들 및 계단들이 예를 들어 부품들을 함께 조립하도록 사용되는 부착 장치들을 해제함으로써 서로 분해될 수 있다.
플랫폼을 위해 게이트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단 계단 시스템이 플랫폼과 연관하여 조립되면,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는 추가된 게이팅(gating) 특징부가 계단 시스템과 플랫폼 사이에서의 접근이 일시적으로 제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 시스템은 계단 시스템의 조립 이전에, 조립 이후에 또는 조립과 동시에 조립될 수 있다.
도 18은 플랫폼(20)과 관련된 게이트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게이트 시스템(100)은 게이트(110), 게이트 장착 브래킷(120) 및 게이트 레일 포스트(130)를 포함한다. 브레이스(140)가 도시되어 있고 선택적은 추가 지지를 제공한다. 도시된 게이트 시스템(100)에서, 게이트(110)는 게이트를 개방하거나 그리고/또는 폐쇄하도록 힌지들(115)을 중심으로 피봇팅 될 수 있다. 게이트 시스템은 플랫폼에 대하여 게이트(110)가 내향으로 또는 외향으로 스윙(swing)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실시예에서, 게이트 시스템은 주 플랫폼보다는, 또는 주 플랫폼에 더하여, 최하부 계단에서 위치될 수 있다.
게이트 시스템(100)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게이트 시스템(100)은 플랫폼의 인접한 에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게이트(110)를 정렬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게이트(110) 및/또는 게이트 레일 포스트(130)는 필요하다면 바람직하게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임의의 적합한 래치, 멈춤부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래칭 장치는 게이트를 개방하도록 물리적으로 해제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게이트(110)는 본래 폐쇄되도록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게이트 본체(110)는 주파수, 무선 전송 또는 그와 같은 것을 통해 전기기계적으로 원격 제어된다.
게이트 시스템들은 게이트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서 힌지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좌측 게이트 시스템(100a) 및 우측 게이트 시스템(100b)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각각의 게이트 시스템은 게이트[110a(110b)], 게이트 장착 브래킷[120a(120b)], 게이트 부착 힌지[115a(115b)] 및 게이트 레일 포스트([130a(130b)]를 갖는다.
도 21은 게이트(1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게이트는 게이트 시스템(100)의 입구/출구가 배리어를 제공하는 구조의 많은 부분을 포함하는 게이트 메쉬(mesh)(111) 및 게이트 림(rim)(112)을 포함한다. 게이트 메쉬(111) 및 게이트 림(112)에 의해 차지된 영역들은 임의의 적합한 설계 또는 구조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영역들은 메쉬 설계를 가질 필요는 없다. 실제로, 게이트 메쉬(111) 및 게이트 림(112) 영역들은, 예를 들어, 중실형일 수 있거나, 혹은 수평으로, 대각선으로 및/또는 수직으로 주행하는 패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110)는 힌지들(115) 및 게이트 부착 영역들(116)을 갖는 부착 포스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본체(110)는 또한 선택적인 게이트 멈춤 탭(118)을 포함할 수 있어서, 게이트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게이트를 적절하게 멈추게 하도록 기능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른 적합한 장치들이 게이트(110)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2는 플랫폼(20)에 게이트(110)를 부착하기 위한 게이트 장착 브래킷(120)을 도시한다. 게이트 장착 브래킷(120)은 플랫폼(20) 상에 브래킷(120)을 장착하는 것을 촉진하는 부착 영역들(124)을 갖는 주 부분(122)을 포함한다. 게이트 장착 브래킷(120)은 게이트를 장착 브래킷(120)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 영역들(126a 및 126b)을 각각 갖는 측면 부분들(128a 및 128b)을 또한 포함한다. 모든 측면 부착 영역들이 병기되지 않았지만, 게이트 본체(110) 및 게이트 레일 포스트(130)가 측면 브래킷 부분들(128a 및 128b)을 따른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서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한다.
도 23은 게이트 레일 포스트(130)를 도시한다. 게이트 레일 포스트(130)는 본체(132) 및 포스트 부착 영역들(134)을 포함하고, 게이트(110)의 부착 포스트(114)의 대향 측면 상의 상보적인 지지부를 제공한다. 레일 포스트(130)는 기술된 바와 같이 측면 부착 영역(126) 및 레일 포스트 부착 영역(134)에서 장착 브래킷(120)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24는 플랫폼에 부착되는 게이트 장착 브래킷(12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주 브래킷 부분(122)은 예를 들어 플랫폼(20)의 전방 에지(24)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고, 부착 방법(90)이 플랫폼(20)에 장착 브래킷(120)을 부착하도록 사용된다.
일단 장착 브래킷(120)이 플랫폼(20)에 부착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110)는 장착 브래킷(120)에 부착될 수 있다. 게이트(110)의 부착 포스트(114)는 게이트 본체(110)의 게이트 부착 영역(116)이 게이트 장착 브래킷(120)의 측면 부착 영역(126a)과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측면 게이트 브래킷 부분(128a)에 대하여 위치설정된다. 이어서, 부착 방법(90)이 장착 브래킷(120)에 게이트(110)를 부착하도록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레일 포스트(130)는 레일 포스트 부착 영역(134)이 장착 브래킷(120)의 측면 부착 영역(126b)과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측면 브래킷 부분(128b)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부착 방법(90)이 장착 브래킷(120)에 게이트 레일 포스트(130)를 부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힌지 또는 피봇 메카니즘은 게이트 시스템(100)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게이트 부착 힌지(115)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예시된 실시예에서, 게이트 부착 힌지(115)는 적합한 헥스 공구(hex tool)에 의해 조여지거나 느슨해질 수 있는 힌지 볼트(117)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힌지 볼트(117)는 적합한 나사드라이버와 같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조여지거나 느슨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들의 여러 개의 태양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 수정 및 개선점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예를 들어 플라스틱, 목재 및/또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수정 및 개선점들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로서 의도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의도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기술 및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이다.

Claims (18)

  1. 플랫폼과 사용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계단 시스템이며,
    플랫폼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상부 부착물 영역을 갖는 제1 세트의 레그들로서, 플랫폼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계단 시스템이 조립되는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들을 갖는 제1 세트의 레그들과;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제1 계단으로서, 제1 계단의 후방 에지는 플랫폼 아래의 제1 거리에서 제1 세트의 레그들의 하부 부착 영역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계단;
    제1 계단의 전방 에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부착 영역을 갖는 제2 세트의 레그들로서, 제1 계단에 의해 제1 세트의 레그들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계단 시스템이 조립되는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제2 세트의 레그들과;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제2 계단으로서, 제2 계단의 후방 에지는 제1 계단 아래의 거리에서 제2 세트의 레그들의 하부 부착 영역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계단;
    제2 계단의 전방 에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부착 영역을 갖는 제3 세트의 레그들로서, 제2 계단에 의해 제2 세트의 레그들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제2 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계단 시스템이 조립되는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제3 세트의 레그들을 포함하는
    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또는 제3 세트의 레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천공된 레그를 포함하는
    계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또는 제3 세트의 레그들 중 적어도 하나는 레그에 별개로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를 포함하는
    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또는 제3 세트의 레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한 쌍의 레그들을 포함하는
    계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레그 세트들의 적어도 일부는 연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단면에서 관형 또는 "L"자형으로 되어 있는
    계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2 계단은 최하부 계단을 포함하는
    계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계단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의 후방 에지는 이전 계단 아래의 거리에서 이전 레그 세트들의 하부 부착 영역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과;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의 전방 에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부착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그 세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계단 시스템이 조립되는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그 세트를 더 포함하는
    계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계단 시스템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계단 시스템.
  10. 재사용가능한 계단 조립체이며,
    계단 조립체에 의한 접근을 위한 표면을 갖는 플랫폼과;
    계단 조립체에 의한 접근을 위해 그리고 접근되는 지면 표면으로 하방으로 연장하기 위해 플랫폼의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부착 영역을 갖는 제1 세트의 레그들로서, 지면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베이스들을 포함하는 제1 세트의 레그들과;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제1 계단으로서, 제1 계단의 후방 에지는 플랫폼 아래의 소정 거리에서 제1 세트의 레그들의 하부 부착 영역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계단과;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과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의 전방 에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부착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그 세트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그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에 의해 인접한 레그 세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단은 지면 표면의 계단식 접근부 내에 배치되는 최하부 계단을 포함하는
    계단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직사각형 단면의 관형 금속인
    계단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L"자형 단면인
    계단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는 개별로 형성되고 레그들에 부착되는
    계단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한 쌍의 레그들을 포함하는
    계단 조립체.
  15. 제11항에 있어서,
    레그들 및 계단들은 알루미늄 또는 강철로 이루어지는
    계단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레그들은 관형이나 L자형인
    계단 조립체.
  17. 제10항에 있어서,
    인접한 레그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그 세트와 제1 세트의 레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계단 조립체.
  18. 삭제
KR1020117030482A 2009-05-21 2010-05-21 계단 조립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18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69,781 US8627926B2 (en) 2009-05-21 2009-05-21 Method and apparatus for a stair assembly
US12/469,781 2009-05-21
PCT/US2010/001506 WO2010134998A1 (en) 2009-05-21 2010-05-21 Method and apparatus for a stai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040A KR20120014040A (ko) 2012-02-15
KR101718563B1 true KR101718563B1 (ko) 2017-03-22

Family

ID=4312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482A KR101718563B1 (ko) 2009-05-21 2010-05-21 계단 조립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27926B2 (ko)
EP (1) EP2432962B1 (ko)
JP (1) JP5728001B2 (ko)
KR (1) KR101718563B1 (ko)
CN (1) CN102459800B (ko)
CA (1) CA2762965C (ko)
ES (1) ES2703790T3 (ko)
WO (1) WO2010134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4738A1 (de) * 2009-06-12 2010-12-16 Adensis Gmbh Traggerüst für eine Photovoltaikfreiflächenanlage
US20130015016A1 (en) 2011-07-16 2013-01-17 Safe Rack Llc Platform system
WO2014019054A1 (en) * 2012-07-31 2014-02-06 Diamond Stairs Inc. Stair systems and wall assemblies comprising same
US9308869B1 (en) * 2013-09-19 2016-04-12 James W. Owens, Jr. Portable porch with integral stairs
US9816275B2 (en) * 2016-02-16 2017-11-14 William H. Smith Modular precast concrete steps
US9856653B1 (en) * 2016-02-16 2018-01-02 William H Smith Modular precast concrete steps
US10640983B2 (en) 2016-03-23 2020-05-05 Safe Rack Llc Platform system
US10309120B1 (en) * 2016-09-30 2019-06-04 II Phares Azarael Noel Portable elevated platform assembly for mounting on a pickup truck
USD838384S1 (en) * 2017-09-01 2019-01-15 True Edge Inc. Loading dock stairs
US11268276B2 (en) 2019-03-20 2022-03-08 Oliver Technologies, Inc. Modular deck apparatus
US11613898B2 (en) * 2019-04-26 2023-03-28 WIFCO Steel Products, Inc. Stairs to walkway system and method
US11591802B1 (en) 2020-02-28 2023-02-28 Material Control, Inc. Modular access system
US20230151621A1 (en) * 2020-03-31 2023-05-18 SafTDek, LLC System for accessing and/or allowing safe movement on a unit mounted on a structural support
CA197278S (en) * 2020-07-30 2022-09-28 Nsafe Eng Inc Ladder port with stairs
CN112854633A (zh) * 2021-02-04 2021-05-28 佛山市爱拼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拼装的楼梯架
CN113445468A (zh) * 2021-07-05 2021-09-28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基于劲性结构的外海码头水上逃生通道
USD990070S1 (en) * 2021-08-12 2023-06-20 GuangDong Peng Pet climbing ladder
USD1011655S1 (en) * 2022-05-30 2024-01-16 Xiyong Han Pet stairs
USD979162S1 (en) * 2022-11-17 2023-02-21 Jiyun Wang Pet step
USD978460S1 (en) * 2022-11-17 2023-02-14 Jiyun Wang Pet step
USD978461S1 (en) * 2022-11-17 2023-02-14 Jiyun Wang Pet step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8866A (en) 1921-07-28 1923-06-12 Charles H Wetzel Portable structure
US2936863A (en) * 1954-04-22 1960-05-17 Frederick L Holzer Stair construction
US3092383A (en) * 1960-04-04 1963-06-04 Bernard J Dunn Adjustable platform for diving board
US3529695A (en) * 1968-07-02 1970-09-22 Max L Rowley Portable,adjustable porch
US3593821A (en) * 1969-12-22 1971-07-20 Unit Step Farm Co Inc Adjustable stairstep unit
BE764156A (fr) 1971-03-12 1971-08-02 Alexandre Marie Escalier metallique demontable, chaque marche posant, en son centre, sur un montant vertical scelle au sol.
US3693754A (en) * 1971-03-16 1972-09-26 Le Roy O Butler Portable folding steps and landing for a mobile home and the like
US3788016A (en) * 1972-05-17 1974-01-29 J Richardson Portable porch unit for mobile homes
US3808757A (en) * 1972-08-04 1974-05-07 G Greenwood Dismantleable porch installation
US3909997A (en) * 1974-01-09 1975-10-07 John K Eickhof Stair construction
US3974894A (en) * 1975-08-18 1976-08-17 Wenger Corporation Portable riser
JPS5647864Y2 (ko) * 1977-02-18 1981-11-09
US4185716A (en) * 1977-05-12 1980-01-29 Ladder Towers, Inc. Self closing gate
US4359793A (en) * 1980-04-28 1982-11-23 Tsugimori Hosono Infant crib and staircase
US4571895A (en) * 1984-02-08 1986-02-25 Lyman Jr Hugh M Telescoping seating assembly
US4759162A (en) * 1987-04-16 1988-07-26 Wyse Steven J Modular platform assembly
US4747243A (en) * 1987-05-01 1988-05-31 Anstead Kenneth L Collapsible porch
DE3879955T2 (de) * 1987-07-31 1993-07-08 Sico Inc Mobiles zusammenklappbares chorpodest.
US4984619A (en) * 1989-07-19 1991-01-15 Ellis Larry R Free standing baby gate
US5014475A (en) 1989-12-21 1991-05-14 Anderson Industries, Inc. Step module for use in constructing stairways
DE9002731U1 (ko) * 1990-03-08 1991-04-04 Ernst, Sebastian, 8388 Mamming, De
US5517708A (en) * 1992-01-27 1996-05-21 Baranowski; Edwin M. Community pathway access system for wheelchair users
US5189854A (en) 1992-09-14 1993-03-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justable height stairway
US5740575A (en) * 1995-09-29 1998-04-21 Gordon; Julian D. Ramp systems
US5913508A (en) * 1997-09-29 1999-06-22 Sure Step Gaurdrail Assembly, L. P. Multipurpose reusable safety rail assembly
US6539672B1 (en) * 1999-09-25 2003-04-01 Colin C. Frost Telescopic seating system tier catch and method
US6345475B1 (en) * 2000-04-04 2002-02-12 Kevin Darnell Flory Stair guard
US6698142B2 (en) * 2000-11-03 2004-03-02 Sinco, Inc. Netting system for use with bleachers and grandstands
US6810995B2 (en) * 2001-03-18 2004-11-02 Larry Warford Portable stairs with adjustable landing platform height
US6763912B2 (en) * 2002-08-29 2004-07-20 Century Group, L.L.C. Modular stair assembly
US7047698B2 (en) * 2002-09-04 2006-05-23 Torch Joseph J Exterior step system made from masonry units attached via a metal frame
US7546705B1 (en) * 2003-02-26 2009-06-16 Midwest Folding Products Portable riser apparatus having a lifting and locking assembly
US20060272230A1 (en) * 2005-04-20 2006-12-07 Rob Elwood Portable, modular stairway system and device
US20070051934A1 (en) * 2005-09-04 2007-03-08 Fabenco, Inc. Adjustable Safety Gate
US7309051B2 (en) * 2005-10-14 2007-12-18 Mcneill Donald Height adjustable supports for table tops and like fixtures
US20080035424A1 (en) 2006-08-14 2008-02-14 Alan Klockler Portable stair platform
US7621236B2 (en) * 2007-06-06 2009-11-24 Petedge Folding pet ramp and steps
US20090056245A1 (en) 2007-08-28 2009-03-05 Miller Joseph S Modular staircase system and kit for erecting a stair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2962A1 (en) 2012-03-28
CA2762965A1 (en) 2010-11-25
ES2703790T3 (es) 2019-03-12
CN102459800B (zh) 2016-01-06
JP2012527550A (ja) 2012-11-08
EP2432962A4 (en) 2016-04-27
JP5728001B2 (ja) 2015-06-03
US8627926B2 (en) 2014-01-14
KR20120014040A (ko) 2012-02-15
WO2010134998A1 (en) 2010-11-25
CN102459800A (zh) 2012-05-16
CA2762965C (en) 2017-07-18
US20100294593A1 (en) 2010-11-25
EP2432962B1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563B1 (ko) 계단 조립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A2921445C (en) Modular system for assembling ramps, decks, and other raised structures
US7240388B2 (en) Adjustable quick disconnect portable wheel chair ramp
US7568449B2 (en) Freestanding pet barrier
EP0160843A2 (en) Staging structure
US20060059636A1 (en) Modular platform, walkway or ramp
MX2007007838A (es) Sistema de escalinata de acceso publico.
US6932194B1 (en) Safety rail for scaffolding
US5214817A (en) Modular ramp and landing walkway assembly
US6484450B1 (en) Demountable indoor/outdoor seating system components
US20080190049A1 (en) Portable construction staircase
AU2021215192B2 (en) Temporary Stairway with Void Cover
CN211037737U (zh) 一种墩身防护平台
EP1365087B1 (en) Safety barrier apparatus
SE504589C2 (sv) Entréanordning för provisoriska byggnader
AU769379B2 (en) Temporary hoarding and fencing system
AU2004100561A4 (en) Demountable Fence
GB2356409A (en) Decking structure
AU2003236559B2 (en) Modular platform, walkway or ramp
NZ194823A (en) Demountable adjustable staircase: paired stringer seg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