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426B1 - 카울 브라켓 - Google Patents

카울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426B1
KR101718426B1 KR1020150154793A KR20150154793A KR101718426B1 KR 101718426 B1 KR101718426 B1 KR 101718426B1 KR 1020150154793 A KR1020150154793 A KR 1020150154793A KR 20150154793 A KR20150154793 A KR 20150154793A KR 101718426 B1 KR101718426 B1 KR 10171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teering column
sliding
vehicle
c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문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카울 브라켓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울 브라켓은,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작동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과,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을 고정하는 카울 브라켓으로서, 스티어링휠 쪽에서 카울크로스바와 결합하고, 스티어링 칼럼의 상단부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도록 마운팅브라켓과 슬라이딩 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가 구비된 어퍼브라켓; 및 어퍼브라켓과 대향되는 쪽에서 카울크로스바와 결합하고, 스티어링 칼럼의 하단부가 하향경사지게 이동하도록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와 슬라이딩 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딩부가 구비된 로우어브라켓을 포함하고,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서로 연동하여 스티어링 칼럼을 이동시키며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서로 연동하여 스티어링 칼럼을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충격을 흡수(1차)한 후, 스티어링 칼럼 자체에 의한 충격흡수(2차)가 연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충격에 의한 상해치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카울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카울 브라켓{Brackets mounted to the cowl cross bar}
본 발명은 카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작동하는 스티어링 칼럼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과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을 고정함과 동시에 충격에 대하여 스티어링 칼럼이 차량의 전방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조화된 카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조향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스티어링휠과, 이와 직결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와 연결되는 어퍼칼럼과 어퍼칼럼에 삽입되어 신축되는 로우어칼럼으로 이루어져 차체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칼럼이 장착된다.
이때, 스티어링 칼럼은 어퍼칼럼에 결합된 마운팅브라켓과 카울크로스바의 사이에 개재되는 카울 브라켓을 통해 고정되며, 이러한 스티어링 칼럼에는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차량 충돌에 따른 관성에 의해 운전자가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휠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 내지 완화하여 운전자의 상해치(傷害値)를 최소화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가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4-0073844호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는 카울 브라켓(카울 어셈블리) 하단에 캡슐 및 컬링플레이트가 각각 고정되고, 캡슐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워지는 마운팅브라켓이 컬링플레이트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채 플라스틱 핀 등에 의해 임시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충격흡수장치가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티어링휠에 일정수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마운팅브라켓과 캡슐 간을 고정한 플라스틱 핀 등이 파손되면서 카울 브라켓에 고정된 캡슐로부터 마운팅브라켓이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마운팅브라켓이 차량 전방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어퍼칼럼 내부로 로우어칼럼이 삽입되고 컬링플레이트의 말린 부분이 마운팅브라켓의 단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결국, 운전자는 스티어링 칼럼의 수축작용에 의해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휠로부터 반사적으로 받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는 제작 당시부터 임의로 설정된 충격흡수 하중(설정된 탄성 하중 또는 찢기는 파단 하중)만을 허용하므로,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이 기설정된 충격흡수 하중보다 약한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으며,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이 강한 경우에는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항상 동일한 충격하중만을 흡수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강도가 다른 충돌상황에서 그 상황에 적합한 충격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 해 운전자의 안전도 향상을 도모하는 데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6-0101626호는 조향장치의 가변형 충격에너지 흡수구조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조향장치의 가변형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는,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그 충돌 관성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튜브의 변위와, 상기 스티어링 칼럼튜브를 자체에 지지고정하는 마운팅브라켓의 차체로부터 이탈에 의한 저항력에 의해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조향장치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에 있어서, 말단부에는 이를 차제에 고정토록 볼팅공이 천공되며 중앙부에는 폭방향 양단 일부가 내향 절곡된 변형유도홈이 형성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변형유도홈으로 부터 시작된 변형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밴딩플레이트; 마운팅브라켓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서포터로서 지지되어 상기 밴딩 플레이트의 변형을 유도하는 U형 가동핀; 차량의 각종 센서들의 수집정보를 기준으로 한 ECU의 동작명령에 따라 작동로드가 인출되어 상기 U형 가동핀의 승강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액츄에이터 및 이와 연계된 U형 가동핀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의 충돌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작동되어 상황에 맞는 최적의 충격에너지 흡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별도로 전자 제어되는 액추에이터 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생산비용이 증대됨은 물론, 부품의 단순화를 통한 조립시간 단축 및 조립의 편의성에 역행하며, 유지보수의 편의성 내지 용이성을 도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앞서 살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에 전자제어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액추에이터와 같은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서도 단순한 물리 기계적 구조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강도가 다른 충돌상황에서 단계적으로 충돌에 대응하여 운전자의 안전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4-0073844호(공개일: 2014.06.17)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6-0101626호(공개일: 2006.09.26)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상황에 따라 스티어링휠에 다르게 가해지는 충격을 스티어링 칼럼과 함께 단계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단순한 기계적 구조의 유기적 결합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울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작동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과,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을 고정하는 카울 브라켓으로서, 상기 스티어링휠 쪽에서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결합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상단부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슬라이딩 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가 구비된 어퍼브라켓; 및 상기 어퍼브라켓과 대향되는 쪽에서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결합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하단부가 하향경사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와 슬라이딩 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딩부가 구비된 로우어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서로 연동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이동시키며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브라켓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어퍼브라켓은, 상기 카울크로스바 일면과 결합하는 어퍼브라켓상판; 상기 어퍼브라켓상판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울크로스바의 하부 외주면 일부와 결합하는 어퍼브라켓하판; 및 상기 어퍼브라켓상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1 슬라이딩홀과, 상기 어퍼브라켓하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2 슬라이딩홀과, 상기 제1-1 슬라이딩홀 및 상기 제1-2 슬라이딩홀을 관통하여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상기 어퍼브라켓에 체결하는 제1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상기 제1 체결수단이 상기 제1-1 슬라이딩홀 및 제1-2 슬라이딩홀의 안내에 따라 차량의 전방 쪽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 상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체결수단은, 나사부보다 외측으로 확장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볼트와, 상기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되 하단부의 폭이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큰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퍼브라켓상판과 상기 어퍼브라켓하판 사이에 개재되고,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나사부가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인서트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1 슬라이딩홀은 차량의 전방 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폭이 커지되, 상기 스티어링휠 쪽의 제1-1 위치에서는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차량의 전방 쪽의 제1-2 위치에서는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2 슬라이딩홀은 차량의 전방 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폭이 커지되, 상기 제1-1 위치 및 상기 제1-2 위치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2-1 위치 및 제2-2 위치에서는 상기 인서트부재 하단부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연장형성된 제2-3 위치에서는 상기 인서트부재 하단부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상기 볼트 및 상기 인서트부재는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면서 하향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우어브라켓은, 상기 어퍼브라켓과 대향되는 쪽에서 상기 카울크로스바 일면과 결합하는 로우어브라켓상판; 상기 로우어브라켓상판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결합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를 슬라이딩 되게 고정하는 로우어브라켓하판; 상기 로우어브라켓하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좌우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홀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홀 사이에 개재된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와 상기 제2 슬라이딩홀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2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상기 제2 체결수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홀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재는, 상기 제2-3 위치에서의 상기 인서트부재의 하향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단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재는, 상기 제2 슬라이딩부에 의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의 원활한 하향경사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인서트부재 하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휠에 가해진 충격이 연쇄적으로 흡수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에 의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 후, 상기 스티어링 칼럼은 길이가 수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서로 연동하여 스티어링 칼럼을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충격을 흡수(1차)한 후, 스티어링 칼럼 자체에 의한 충격흡수(2차)가 연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충격에 의한 상해치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카울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복잡한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 기존의 스티어링 칼럼에도 적용될 수 있는 단순하지만 유기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카울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조립시간의 단축, 조립의 편의성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이 도모될 수 있는 카울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울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는 스티어링휠에 충격이 가해지기 전후로 전개되는 카울 브라켓 및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과정을 각각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울 브라켓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 후, 스티어링 칼럼 자체가 충격을 흡수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울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울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는 스티어링휠에 충격이 가해지기 전후로 전개되는 카울 브라켓 및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과정을 각각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카울 브라켓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 후, 스티어링 칼럼 자체가 충격을 흡수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의 화살표 방향은 차량의 전방 쪽을 의미하며, X축의 화살표 반대방향은 스티어링휠이 장착되는 쪽의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위쪽), 하(아래쪽)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울 브라켓(100)은 차량 충돌시 스티어링휠(미도시) 쪽(X축 화살표 반대방향)에서 가해지는 운전자에 의한 충격에 대하여 제1 슬라이딩부(130) 및 제2 슬라이딩부(140)가 서로 연동하여 스티어링 칼럼(10)을 대략 차량의 전방 쪽(X축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1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스티어링 칼럼(10) 자체에 의한 2차 충격흡수가 연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충격에 의한 상해치(傷害値)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카울 브라켓(100)과 스티어링 칼럼(10) 자체에 의한 충격흡수의 선후는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티어링 칼럼(10) 자체의 충격흡수는, 배경기술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장치는 카울 브라켓(100)(어퍼브라켓(110))의 하단에 캡슐(15) 및 컬링플레이트(17)가 후술할 제1 체결수단(134)에 의해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캡슐(15)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워지는 마운팅브라켓(12)이 컬링플레이트(17)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채 플라스틱 핀(16)에 의해 임시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상태의 충격흡수장치는 스티어링휠에 일정수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마운팅브라켓(12)과 캡슐(15) 간을 고정한 플라스틱 핀(16)이 파손되면서 카울 브라켓(100)에 고정된 캡슐(15)로부터 마운팅브라켓(12)이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마운팅브라켓(12)이 차량 전방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어퍼칼럼(10A, 스티어링 칼럼(10) 상단부) 내부로 로우어칼럼(10B,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이 삽입되고 컬링플레이트(17)의 말린 부분이 마운팅브라켓(12)의 단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결국, 운전자는 스티어링 칼럼(10)의 수축작용에 의해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휠로부터 반사적으로 받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디 카울 브라켓(100)은,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작동하는 스티어링 칼럼(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12)과, 차량의 카울크로스바(14)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을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카울 브라켓(100)은 양측의 고정 기능과 함께 스티어링 칼럼(10)의 상단부를 차량의 전방 쪽(X축 화살표 방향)으로, 스티어링 칼럼(10)의 하단부를 대략 하향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1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울 브라켓(100)은 대략 제1 슬라이딩부(130)가 구비된 어퍼브라켓(110) 및 제2 슬라이딩부(140)가 구비된 로우어브라켓(1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퍼브라켓(110)은, 스티어링휠 쪽에서 카울크로스바(14)와 결합함과 동시에 스티어링 칼럼(10)의 상단부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스티어링 칼럼(10) 상단부의 전방 쪽 이동은, 스티어링 칼럼(1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12)과 슬라이딩 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13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의 마운팅브라켓(12)은 캡슐(15) 및 컬링플레이트(17)가 후술할 제1 체결수단(134)에 의해 어퍼브라켓(110) 아래쪽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캡슐(15)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워진다. 그리고 캡슐(15)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워진 마운팅브라켓(12)은 컬링플레이트(17)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채 컬링플레이트(17)(또는 캡슐(15))와 마운팅브라켓(12)을 관통하는 플라스틱 핀(16)에 의해 임시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임시적이란 의미는 플라스틱 핀(16)의 파단하중 이상의 충격이 작용되어 플라스틱 핀(16)이 파단되기 전까지를 의미한다.
즉, 마운팅브라켓(12)은 제1 체결수단(134)을 통해 어퍼프라켓(110)의 제1 슬라이딩부(130)와 직결된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핀(16)이 파단되기 전까지는 제1 슬라이딩부(130)에 직결된 것처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마운팅브라켓(12)이 제1 슬라이딩부(130)와 간접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마운팅브라켓(12)에 결합된 스티어링 칼럼(10) 상단부도 차량 전방 쪽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어퍼브라켓(110)은 어퍼브라켓상판(112), 어퍼브라켓하판(114) 및 제1 슬라이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어퍼브라켓상판(112)은 스티어링휠 쪽에서 카울크로스바(14) 일면과 결합하는 판재로 된 구성요소로서, 카울크로스바(14) 일면과 접하는 단부는 카울크로스바(14)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카울크로스바(14)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타단부는 스티어링휠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아래쪽에 위치한 마운팅브라켓(12)과 연결된다.
어퍼브라켓하판(114)은 어퍼브라켓상판(112) 하부에 위치하여 카울크로스바(14)의 하부 외주면 일부와 결합하는 판재로 된 구성요소로, 카울크로스바(14) 하부와 접하는 중앙은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차량 전방 쪽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단부는 후술할 로우어브라켓하판(124)과 결합되며, 스티어링휠 쪽으로 연장형성되는 타단부는 어퍼브라켓상판(112)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슬라이딩부(130)는 제1-1 슬라이딩홀(132A), 제1-2 슬라이딩홀(132B) 및 제1 체결수단(1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1 슬라이딩홀(132A)은 어퍼브라켓상판(112)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1-2 슬라이딩홀(132B)은 어퍼브라켓하판(114)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 슬라이딩홀(132A) 및 제1-2 슬라이딩홀(132B)은 후술할 제1 체결수단(134)이 끼워져 관통될 수 있게 위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체결수단(134)은 제1-1 슬라이딩홀(132A) 및 제1-2 슬라이딩홀(132B)을 관통하여 아래쪽에 위치한 마운팅브라켓(12)을 어퍼브라켓(110)에 체결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리벳이나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수단(134)을 통해 어퍼브라켓(110)과 마운팅브라켓(12) 간의 체결강도를 조절하는 것은, 스티어링휠에 가해진 충격에 저항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수단의 경우 조임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어퍼브라켓(110)과 마운팅브라켓(12) 간의 체결강도를 증대하면,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이 큰 경우에만 스티어링 칼럼(1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이 작은 경우에는 그 체결력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10)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강도의 증감을 통해, 카울 브라켓(100)와 스티어링 칼럼(10) 자체에 의한 충격흡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어퍼브라켓(110)과 마운팅브라켓(12) 간의 체결강도가 플라스틱 핀의 파단강도와 동일할 때), 또는 카울 브라켓(100)보다 스티어링 칼럼(10) 자체가 먼저 스티어링휠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도 있다.(어퍼브라켓(110)과 마운팅브라켓(12) 간의 체결강도가 플라스틱 핀의 파단강도 보다 클 때)
다만, 스티어링 칼럼(10) 자체가 먼저 충격을 흡수하도록 어퍼브라켓(110)과 마운팅브라켓(12) 간의 체결강도를 증대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플라스틱 핀(16)의 파손과 컬링플레이트(17)의 변형 등에 따른 부품교체의 문제가 있으므로, 카울 브라켓(100)이 먼저, 충격에 반응하여 스티어링 칼럼(10)을 전방 쪽으로 이동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슬라이딩부(130)를 통해 제1 체결수단(134)이 서로 위아래로 위치한 제1-1 슬라이딩홀(132A) 및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안내에 따라 차량의 전방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마운팅브라켓(12)과 결합한 스티어링 칼럼(10)의 상단부가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수단(134)은 나사부(134B)보다 외측으로 확장형성된 헤드부(134A)를 갖는 볼트와 이러한 나사부(134B)와 나사결합하는 너트(134C)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 슬라이딩부(130)에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되 하단부의 폭이 볼트 헤드부(134A)의 폭보다 큰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어퍼브라켓상판(112)과 어퍼브라켓하판(114) 사이에 개재되고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볼트 나사부(134B)가 관통하는 중공(136B)이 형성된 인서트부재(136)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인서트부재(136)가 어퍼브라켓상판(112)과 어퍼브라켓하판(114)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이 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스티어링 칼럼(10)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1 슬라이딩홀(132A)은 차량의 전방 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폭이 커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스티어링휠 쪽의 제1-1 위치(A1)에서의 제1-1 슬라이딩홀(132A)은 헤드부(134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반면에 차량의 전방 쪽의 제1-2 위치(A2)에서의 제1-1 슬라이딩홀(132A)은 헤드부(134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1 슬라이딩홀(132A)의 제1-1 위치(A1)에서는 볼트의 하향이동이 저지되며, 제1-1 슬라이딩홀(132A)의 제1-2 위치(A2)에서는 볼트 헤드부(134A)가 하향이동되어 어퍼브라켓상판(112) 및 어퍼브라켓하판(114) 사이 공간에 위치함과 동시에 볼트 헤드부(134A) 하단면이 인서트부재(136) 상면과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제1-2 슬라이딩홀(132B)은 차량의 전방 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폭이 커지되, 제1-1 위치(A1) 및 제1-2 위치(A2)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2-1 위치(B1) 및 제2-2 위치(B2)에서는 인서트부재(136) 하단부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연장형성된 제2-3 위치(B3)에서는 인서트부재(136) 하단부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제2-1 위치(B1) 및 제2-2 위치(B2)에서는 인서트부재(136) 및 볼트의 하향이동이 저지되고,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제2-3 위치(B3)에서는 인서트부재(136) 및 볼트의 하향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 슬라이딩홀(132A), 제1-2 슬라이딩홀(132B),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130)의 유기적 결합으로 인해 스티어링휠에 충격이 가해지기 전에는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가 제1-1 슬라이딩홀(132A)의 제1-1 위치(A1) 및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제2-1 위치(B1)에 있게 됨에 따라 스티어링 칼럼(10)이 어퍼브라켓(1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스티어링휠에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량에 따라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는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1 위치(A1) 및 제2-1 위치(B1)를 벗어나게 되고, 제1-2 및 제2-2 위치(B2)에 도달하게 되면 볼트 헤드부(134A)보다 관통공의 폭이 넓어져 헤드부(134A)만이 하향이동하여 인서트부재(136)와 밀착하게 됨에 따라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는 어퍼브라켓상판(112) 및 어퍼브라켓하판(114)의 사이 공간에서 자유롭게 차량 전방 쪽으로 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관통공의 폭이 인서트부재(136)의 하단부 폭보다 넓어짐에 따라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는 하향이동하게 되고, 제2-3 위치(B3)에 도달하게 되면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는 최대로 하향이동하게 되면서 차량 전방 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렇게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의 하향이동이 단계별로 이루어지도록 한 이유는, 후술할 제2 슬라이딩부(140)를 통한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의 하향경사 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스티어링 칼럼(10) 전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연동되어 이동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인서트부재(136)는, 상단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확장부(136A)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슬라이딩부(140)의 제2-3 위치(B3)에서 인서트부재(136)가 더는 하향이동을 하지 못하게 저지하여 안정적인 스티어링 칼럼(10)의 이동을 담보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인서트부재(136)는, 인서트부재(136)의 하단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곡면처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제2 슬라이딩부(140)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의 원활한 하향경사 방향 이동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로우어브라켓(120)은 상술한 어퍼브라켓(110)의 대향되는 쪽에서 카울크로스바(14)와 결합함과 동시에 스티어링 칼럼(10)의 하단부가 하향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칼럼(10)의 하단부를 고정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의 하향경사 방향 이동은 스티어링 칼럼(10)의 하단부와 슬라이딩 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딩부(14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어브라켓(120)은 대략 로우어브라켓상판(122), 로우어브라켓하판(124) 및 제2 슬라이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로우어브라켓상판(122)은 어퍼브라켓(110)과 대향되는 쪽에서 카울크로스바(14) 일면과 결합하는 판재로 된 구성요소로서, 카울크로스바(14) 일면과 접하는 단부는 카울크로스바(14)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카울크로스바(14)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타단부는 차량 전방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아래쪽에 위치한 로우어브라켓하판(124)과 결합된다.
그리고 로우어브라켓하판(124)은 로우어브라켓상판(122) 하부에 위치하여 카울크로스바(14) 및 로우어브라켓상판(122)과 결합하고,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를 슬라이딩 되게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로우어브라켓하판(124)은 상하방향 및 카울크로스바(14) 쪽이 개방된 구조의 개방형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하향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와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제2 슬라이딩부(140)는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가 하향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2 슬라이딩홀(142) 및 제2 체결수단(1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슬라이딩홀(142)은 로우어브라켓하판(124)의 좌우측에서 각각 좌우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슬라이딩홀(142)의 길이는 상술한 제1-2 슬라이딩홀(132B)을 따라 이동하는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의 이동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한다.
이는 스티어링 칼럼(10) 전, 후단부의 이동이나 이동저지가 제1,2 체결수단을 통해 제1-2 슬라이딩홀(132B) 및 제2 슬라이딩홀(142)의 양쪽 끝단에서 각각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아울러 스티어링 칼럼(10)의 전단부나 후단부 중 어느 한쪽에 충격이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딩홀(142)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하여 하향경사 이동에 여유 공간을 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체결수단(144)은 제2 슬라이딩홀(142) 사이에 개재된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와 제2 슬라이딩홀(142)을 관통하여 체결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1 체결수단(134)과 마찬가지로 리벳이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도, 제2 체결수단(144)을 통해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와 제2 슬라이딩홀(142) 간의 체결강도를 조절하는 것은, 스티어링휠에 가해진 충격에 저항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수단의 경우 조임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와 제2 슬라이딩홀(142) 간의 체결강도를 증대하면,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이 큰 경우에만 스티어링 칼럼(10)의 하향경사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이 작은 경우에는 그 체결력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10)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제1 체결수단(134)과 제2 체결수단(144) 각각의 체결강도는 차량의 종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취급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글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카울 브라켓(100)은 충격흡수장치가 마련된 기존의 스티어링 칼럼(10)에 대한 별도의 변형 없이 손쉽게 상호 간을 결합하여 연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계를 통해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각기 다른 충격에 대하여 적절한 충격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의 안전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울 브라켓(100) 및 스티어링 칼럼(10)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에 충격이 가해지기 전에는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가 제1-1 슬라이딩홀(132A)의 제1-1 위치(A1) 및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제2-1 위치(B1)에 있게 됨에 따라 스티어링 칼럼(10)이 어퍼브라켓(1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에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량에 따라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는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1 위치(A1) 및 제2-1 위치(B1)를 벗어나게 되고, 제1-2 위치(A2) 및 제2-2 위치(B2)에 도달하게 되면 볼트 헤드부(134A)보다 제1-1 슬라이딩홀(132A)의 폭이 넓어져 헤드부(134A)만이 하향이동하여 인서트부재(136)와 밀착하게 됨에 따라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는 어퍼브라켓상판(112) 및 어퍼브라켓하판(114)의 사이 공간에서 자유롭게 차량 전방 쪽으로 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폭이 인서트부재(136)의 하단부 폭보다 넓어짐에 따라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는 하향이동하게 되고, 제2-3 위치(B3)에 도달하게 되면 볼트 및 인서트부재(136)는 최대로 하향이동하게 되면서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끝단에 걸려 차량 전방 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딩홀(142)의 아래쪽 끝단까지 스티어링 칼럼(10)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제2 슬라이딩홀(142)의 이동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1-2 슬라이딩홀(132B)의 길이를 차량의 전방 쪽으로, 도 3의 경우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하는 등의 변형이 발명의 목적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 브라켓(100)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10)의 이동이 모두 이루어진 후, 스티어링 칼럼(10) 자체는 나머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그 길이가 수축되는 형태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나머지 충격에 의해 마운팅브라켓(12)과 컬링플레이트(17)(또는 캡슐(15)) 간을 고정한 플라스틱 핀(16)이 파손되면서 어퍼브라켓(110)에 고정된 컬링플레이트(17)(또는 캡슐(15))로부터 마운팅브라켓(12)이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마운팅브라켓(12)이 차량 전방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어퍼칼럼(10A, 스티어링 칼럼(10) 상단부) 내부로 로우어칼럼(10B, 스티어링 칼럼(10) 하단부)이 삽입되고 컬링플레이트(17)의 말린 부분이 마운팅브라켓(12)의 단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나머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스티어링 칼럼 12: 마운팅브라켓
14: 카울크로스바 15: 캡슐
16: 플라스틱 핀 17: 컬링플레이트
100: 본 발명에 따른 카울 브라켓
110: 어퍼브라켓 112: 어퍼브라켓상판
114: 어퍼브라켓하판 120: 로우어브라켓
122: 로우어브라켓상판 124: 로우어브라켓하판
130: 제1 슬라이딩부 132A: 제1-1 슬라이딩홀
132B: 제1-2 슬라이딩홀 134: 제1 체결수단
136: 인서트부재 140: 제2 슬라이딩부
142: 제2 슬라이딩홀 144: 제2 체결수단

Claims (7)

  1.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작동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과,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을 고정하는 카울 브라켓으로서,
    상기 스티어링휠 쪽에서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결합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상단부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슬라이딩 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가 구비된 어퍼브라켓; 및
    상기 어퍼브라켓과 대향되는 쪽에서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결합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하단부가 하향경사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와 슬라이딩 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딩부가 구비된 로우어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가 서로 연동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이동시키며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어퍼브라켓은,
    상기 카울크로스바 일면과 결합하는 어퍼브라켓상판; 상기 어퍼브라켓상판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울크로스바의 하부 외주면 일부와 결합하는 어퍼브라켓하판; 및 상기 어퍼브라켓상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1 슬라이딩홀과, 상기 어퍼브라켓하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2 슬라이딩홀과, 상기 제1-1 슬라이딩홀 및 상기 제1-2 슬라이딩홀을 관통하여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상기 어퍼브라켓에 체결하는 제1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상기 제1 체결수단이 상기 제1-1 슬라이딩홀 및 제1-2 슬라이딩홀의 안내에 따라 차량의 전방 쪽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 상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브라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수단은, 나사부보다 외측으로 확장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볼트와, 상기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되 하단부의 폭이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큰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퍼브라켓상판과 상기 어퍼브라켓하판 사이에 개재되고,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나사부가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인서트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1 슬라이딩홀은 차량의 전방 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폭이 커지되, 상기 스티어링휠 쪽의 제1-1 위치에서는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차량의 전방 쪽의 제1-2 위치에서는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2 슬라이딩홀은 차량의 전방 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폭이 커지되, 상기 제1-1 위치 및 상기 제1-2 위치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2-1 위치 및 제2-2 위치에서는 상기 인서트부재 하단부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연장형성된 제2-3 위치에서는 상기 인서트부재 하단부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상기 볼트 및 상기 인서트부재는 차량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면서 하향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브라켓은,
    상기 어퍼브라켓과 대향되는 쪽에서 상기 카울크로스바 일면과 결합하는 로우어브라켓상판;
    상기 로우어브라켓상판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결합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를 슬라이딩되게 고정하는 로우어브라켓하판;
    상기 로우어브라켓하판의 좌우측에서 각각 좌우로 관통형성되되 차량의 전방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홀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홀 사이에 개재된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와 상기 제2 슬라이딩홀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2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티어링휠에 충격시 상기 제2 체결수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홀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브라켓.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는,
    상기 제2-3 위치에서의 상기 인서트부재의 하향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단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는,
    상기 제2 슬라이딩부에 의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 하단부의 원활한 하향경사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인서트부재 하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휠에 가해진 충격이 연쇄적으로 흡수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에 의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 후, 상기 스티어링 칼럼은 길이가 수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브라켓.
KR1020150154793A 2015-11-04 2015-11-04 카울 브라켓 KR10171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93A KR101718426B1 (ko) 2015-11-04 2015-11-04 카울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93A KR101718426B1 (ko) 2015-11-04 2015-11-04 카울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426B1 true KR101718426B1 (ko) 2017-03-23

Family

ID=5849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793A KR101718426B1 (ko) 2015-11-04 2015-11-04 카울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4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760A (zh) * 2019-09-02 2019-12-2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安装支架结构及车辆
CN112810444A (zh) * 2021-01-20 2021-05-18 万丰镁瑞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汽车仪表盘支架
US20210354763A1 (en) * 2020-05-15 2021-11-18 Hyundai Mobis Co., Ltd. Cowl cross bar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486U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용 스티어링 어셈블리
KR20050122312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20060101626A (ko)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가변형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70005827A (ko) * 2005-07-06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지지구조
KR20140073844A (ko) 2012-12-07 2014-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486U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용 스티어링 어셈블리
KR20050122312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20060101626A (ko)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가변형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70005827A (ko) * 2005-07-06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지지구조
KR20140073844A (ko) 2012-12-07 2014-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760A (zh) * 2019-09-02 2019-12-2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安装支架结构及车辆
US20210354763A1 (en) * 2020-05-15 2021-11-18 Hyundai Mobis Co., Ltd. Cowl cross bar assembly
CN112810444A (zh) * 2021-01-20 2021-05-18 万丰镁瑞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汽车仪表盘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6313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用の案内された下方領域
KR101718426B1 (ko) 카울 브라켓
US9988011B2 (en) Vehicle having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EP2025576A2 (en) Steering wheel position adjustment device
US8033574B2 (en)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7648168B2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of vehicle equipped with wire block assembly
US20140150595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improved energy absorption
JP3476799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US8167076B2 (en) Motor vehicle
CN113518742B (zh) 带有通过可熔联接件闭合的环的转向柱碰撞能量吸收器
JP4431500B2 (ja) 歩行者の衝撃を緩和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自動車のボンネット用ロック装置
JP2017019299A (ja) 車体前部構造
KR100996125B1 (ko) 조향장치의 가변형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JP4645133B2 (ja) 自動車のフードストッパ構造
KR101027033B1 (ko) 조향장치의 가변형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0261221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110109297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시스템
ES2642773A1 (es) Sistema de ensamblaje entre conjuntos de una carrocería de un vehículo
KR20160111617A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
KR100764199B1 (ko) 충격에너지 흡수 조향컬럼
KR101020937B1 (ko) 스티어링컬럼의 로워쉬라우드패널 구조
JP2009196581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0920163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초기충격 흡수장치
KR100646423B1 (ko) 핀과 와이어를 이용한 충격에너지 가변 흡수 구조 조향장치
KR200276435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