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342B1 -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342B1
KR101718342B1 KR1020160054941A KR20160054941A KR101718342B1 KR 101718342 B1 KR101718342 B1 KR 101718342B1 KR 1020160054941 A KR1020160054941 A KR 1020160054941A KR 20160054941 A KR20160054941 A KR 20160054941A KR 101718342 B1 KR101718342 B1 KR 10171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ir passage
upper plate
bad smell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해란
Original Assignee
신해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해란 filed Critical 신해란
Priority to KR102016005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악취흡입판과 상기 악취흡입판 일측에 연결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제거부로 이루어지는 탈취좌변기용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취흡입판은 결합구에 의해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 역시 결합구에 의해 맞대어 결합되는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격벽에 의해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 상판과 후방 상판의 일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통로와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통로가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기통로와 서로 맞닿아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비데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여 제거 또는 배출하기 위한 탈취장치의 악취흡입판을 양분하되 전방부의 악취흡입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좌변기를 세척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고, 또 사용자들의 부주의로 악취흡입판을 들어올렸을 때 자연스럽게 꺾이도록 하여 악취흡입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DEODORIZATION APPARATUS FOR SEATING TOILET BOWL}
본 발명은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의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여 제거 또는 배출하기 위한 탈취장치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파손방지와 좌변기의 청소시 방해가 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이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 일정량의 물을 배출함으로써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좌변기는 용변을 보는 용도이고, 조금은 비위생적 도구이며, 화장실이나 욕실같은 좁고 밀폐된 공간에 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도 많은 악취가 발생하는 곳일 뿐만 아니라 특히 사용자가 대변을 볼 때에는 심한 악취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다음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왕왕 있다.
따라서 변기 사용중에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비데와 함께 사용하도록 하는 변기 탈취장치에 대해서는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비데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여 제거 또는 배출하기 위한 탈취장치를 개발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장치의 악취흡입판은 비데의 좌판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 예를 들면 타원형이거나 일측이 개방된 반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바, 이는 위로 젖혀지도록 힌지부를 구비하는 비데의 좌판 구조와는 달리 악취흡입통로가 악취흡입판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여서 이때문에 당연히 꺾여서는 안된다는 고정관점에 때문에 편평하게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탈취장치는 악취흡입판을 들어올릴 수 없게 됨으로 인해 좌변기의 청소시 오히려 방해가 되고, 특히 남자 사용자들의 경우 소변을 보기 위해 비데의 좌판을 들어올리다가 부러뜨리는 경우가 왕왕 있어 이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특허공보 : 10-2010-0107642호
2. 미합중국 특허 제4,317,242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데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여 제거 또는 배출하기 위한 탈취장치의 악취흡입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좌변기를 세척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또 사용자들의 부주의로 악취흡입판을 들어올렸을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비데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악취흡입판과 상기 악취흡입판 일측에 연결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제거부로 이루어지는 탈취좌변기용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취흡입판은 결합구에 의해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 역시 결합구에 의해 맞대어 결합되는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격벽에 의해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 상판과 후방 상판의 일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통로와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통로가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기통로와 서로 맞닿아 연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통로의 악취흡입구는 변기 내부를 향하도록 하고, 악취배출구는 모두 악취제거부를 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상판 또는 전방 하판, 후방 상판 또는 후방 하판 일측에 형성된 격벽은 서로 결합되는 타측판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비데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여 제거 또는 배출하기 위한 탈취장치의 악취흡입판을 양분하되 전방부의 악취흡입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좌변기를 세척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고, 또 사용자들의 부주의로 악취흡입판을 들어올렸을 때 자연스럽게 꺾이도록 하여 악취흡입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로써 악취흡입판의 전방부를 들어올린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격벽에 의한 공기통로와 이들의 연통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이 비데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로써 악취흡입판의 전방부를 들어올린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격벽에 의한 공기통로와 이들의 연통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비데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100)는, 비데(B)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B)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악취흡입판(101)과 상기 악취흡입판(101) 일측에 연결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제거부(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악취흡입판(101)은 결합구(112,122)에 의해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전방 상판(110)과 전방 하판(120), 역시 결합구(132,142)에 의해 맞대어 결합되는 후방 상판(130)과 후방 하판(1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상판(110)과 전방 하판(120), 후방 상판(130)과 후방 하판(1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격벽(121)에 의해 공기통로(A)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 상판(110)과 후방 상판(130)의 일단에는 힌지부(113,133)가 형성되도록 하여 축(15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전방 상판(110)과 전방 하판(120)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통로(A)가 후방 상판(130)과 후방 하판(140)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통로(A)와 서로 맞닿아 연통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통로(A)의 악취흡입구(170)는 변기 내부를 향하도록 하고, 악취배출구(180)는 모두 악취제거부(160)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상판(110) 또는 전방 하판(120), 후방 상판(130) 또는 후방 하판(140) 일측에 형성된 격벽(121)은 서로 결합되는 타측판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격벽(121)와 타측판 사이의 틈을 통해 바람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판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격벽(121)이 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방 상판(110)과 전방 하판(120), 후방 상판(130)과 후방 하판(140)을 결합하는 결합구(112,122,132,142)는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상판(110)과 후방 상판(130), 전방 하판(120)과 후방 하판(140)에 서로 대응하는 돌기와 오목홈을 형성하여 이들이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물론 상기한 결합구(112,122,132,142)는 공지의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 및 핀 결합방식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전방 상판(110)과 전방 하판(120), 후방 상판(130)과 후방 하판(1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격벽(121)에 의해 공기통로(A)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격벽(121)은 전방 상판(110) 또는 전방 하판(120), 후방 상판(130) 또는 후방 하판(140) 어느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방 상판(110) 또는 전방 하판(120), 후방 상판(130) 또는 후방 하판(140)에 각각 형성하여 이들의 양단을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공기통로(A)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처럼 본원발명은 공기통로(A)를 형성함에 있어 격벽(121)에 의해 구성하였으나, 관이나 호스 등을 이용하여 공기통로(A)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 상기 전방 상판(110)과 후방 상판(130)의 일단에는 힌지부(113,133)가 형성되도록 하였는 바, 상기 전방 상판(110)과 후방 상판(130) 어느 일측에 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숫 힌지부가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힌지부(113,133)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에 축(150)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방 상판(110)이 후방 상판(130)으로 부터 회전되면서 위로 들릴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전방 상판(110)이 후방 상판(130)의 저면에는 전방 하판(120) 및 후방 하판(140)이 결합되어진 상태임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상기 힌지부(113,133)에 의해 악취흡입판(101)의 전방부와 악취흡입판(101)의 후방부가 힌지부(113,133)와 축(1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하더라도 악취흡입구(170)와 악취배출구(180)의 중간부가 끊기거나 공기가 새서는 곤란할 것이다.
따라서 악취흡입판(101)의 전방부와 악취흡입판(101)의 후방부가 편평한 상태, 즉 악취흡입판(101)의 전방부가 들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악취흡입판(101)의 전방부와 악취흡입판(101)의 후방부의 공기통로(A)는 서로 연통되어져야 할 것이고, 가급적 공기가 새지 않도록 긴밀한 밀착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 상기 악취흡입판(101)의 전방부의 끝단과 인접하는 악취흡입판(101)의 후방부의 끝단에 고무캡(미도시)을 씌워 밀폐력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악취흡입판(101)의 전방부를 들어올렸다가 내릴 때 충격과 소음을 완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고무캡을 악취흡입판(101)의 전방부의 공기통로(A) 끝단과 인접하는 악취흡입판(101)의 후방부의 공기통로(A) 끝단에 씌우게 되면 보다 우수한 공기밀폐력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좌변기용 탈취장치
101: 악취흡입판 110: 전방 상판
113: 힌지부 120: 전방 하판
130: 후방 상판 133: 힌지부
140: 후방 하판 150: 축
160: 악취제거부 170: 악취흡입구
180: 악취배출구
A: 공기통로 B: 비데
C: 좌변기

Claims (3)

  1. 비데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어 비데 사용시 용변에 의한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악취흡입판과 상기 악취흡입판 일측에 연결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제거부로 이루어지는 탈취좌변기용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취흡입판은 결합구에 의해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 역시 결합구에 의해 맞대어 결합되는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격벽에 의해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 상판과 후방 상판의 일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전방 상판과 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통로와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통로가 후방 상판과 후방 하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기통로와 서로 맞닿아 연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의 악취흡입구는 변기 내부를 향하도록 하고, 악취배출구는 모두 악취제거부를 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판 또는 전방 하판, 후방 상판 또는 후방 하판 일측에 형성된 격벽은 서로 결합되는 타측판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KR1020160054941A 2016-05-03 2016-05-03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KR10171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941A KR101718342B1 (ko) 2016-05-03 2016-05-03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941A KR101718342B1 (ko) 2016-05-03 2016-05-03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342B1 true KR101718342B1 (ko) 2017-03-21

Family

ID=5850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941A KR101718342B1 (ko) 2016-05-03 2016-05-03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3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903B2 (ja) 1991-06-03 2001-07-16 富士通株式会社 ケーパビリティの退避・復元機構を持つ装置
KR200286778Y1 (ko) * 2002-01-22 2002-08-23 이광우 시트를 겸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JP2007260029A (ja) * 2006-03-28 2007-10-11 Sankoo:Kk 幼児用便座および幼児用便器
KR20090009037A (ko) * 2007-07-19 2009-01-22 신경남 흡입수단을 갖는 변기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903B2 (ja) 1991-06-03 2001-07-16 富士通株式会社 ケーパビリティの退避・復元機構を持つ装置
KR200286778Y1 (ko) * 2002-01-22 2002-08-23 이광우 시트를 겸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JP2007260029A (ja) * 2006-03-28 2007-10-11 Sankoo:Kk 幼児用便座および幼児用便器
KR20090009037A (ko) * 2007-07-19 2009-01-22 신경남 흡입수단을 갖는 변기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0386A1 (en) Sanitary toilet
KR101718342B1 (ko)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
KR100776253B1 (ko) 맞춤형 변기 어댑터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102248021B1 (ko) 좌변기용 보조커버
KR200442285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US11193266B2 (en) Flush toilet
KR200421784Y1 (ko)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EP1803858A1 (en) Ventilated toilet bowl
KR200394894Y1 (ko) 보조커버가 장착된 변기 구조
KR200286778Y1 (ko) 시트를 겸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0254690Y1 (ko)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KR200217576Y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0229684Y1 (ko) 양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US11641987B1 (en) Toilet seat having suction assembly
KR20110103043A (ko) 좌대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좌변기
KR200381138Y1 (ko) 좌변기 악취제거 장치
KR200345819Y1 (ko) 악취제거설비를 갖는 좌변기
KR200210867Y1 (ko) 변기용 탈취장치
KR200347196Y1 (ko) 악취제거 좌변기
KR200375570Y1 (ko) 재래식 겸용 양변기
KR200176342Y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CN101451373A (zh) 有除臭味功能的马桶
KR200175338Y1 (ko)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271567Y1 (ko) 좌변기 악취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