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639B1 -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639B1
KR101717639B1 KR1020100110191A KR20100110191A KR101717639B1 KR 101717639 B1 KR101717639 B1 KR 101717639B1 KR 1020100110191 A KR1020100110191 A KR 1020100110191A KR 20100110191 A KR20100110191 A KR 20100110191A KR 101717639 B1 KR101717639 B1 KR 10171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uminance
brightness
region
specific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815A (ko
Inventor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639B1/ko
Priority to CN201180033018.6A priority patent/CN102972020B/zh
Priority to US13/704,852 priority patent/US9241105B2/en
Priority to EP11801148.5A priority patent/EP2589216A4/en
Priority to PCT/KR2011/004784 priority patent/WO2012002742A2/en
Publication of KR2012004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1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2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특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역의 휘도와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가 설정된 기준 휘도만큼 증가 또는 감소한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한 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영상 광을,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나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에 의해 전기신호로 광전 변환한 후, 광전 변환된 영상 신호에 소정의 영상 처리를 실시하여,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의 이미지 밝기를 감지하여 그 밝기에 따라 출력 이미지의 밝기 정도를 조절하는 자동 노출(AE, auto exposure)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 노출 방법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전체의 밝기에 따라 출력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의 밝기만을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a)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1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복수의 영역 중 2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특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기준 영역의 휘도와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가 설정된 기준 휘도만큼 증가 또는 감소한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영역이 선택되는 회수에 비례하여 특정 영역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육안으로 영상 이미지(프리뷰 영상 이미지, 보정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특정 영역을 원하는 밝기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영역과 특정 영역의 선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예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영역과 특정 영역의 선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 이미지 센서(20), 이미지 신호 처리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한다.
렌즈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광 에너지를 입사하고 입사된 광 에너지를 집광시켜 이미지 센서(20)로 출력한다.
이미지 센서(20)는 렌즈부(10)를 통과하는 광 에너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복수의 픽셀에서 감지된 광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한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이미지 센서(20)에서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40)에 적합한 프리뷰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프리뷰 영상 이미지, 보정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터치 스크린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40)는 프리뷰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며, 프리뷰 영상 이미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부(40)의 복수의 영역 중 1차적으로 기준 영역(41)을 선택하고, 2차적으로 특정 영역(42)을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는 특정 영역(42)을 적어도 1회 이상 터치할 수 있으며, 특정 영역(42)이 터치될 때마다 "터치 신호"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특정 영역(42)의 터치 회수만큼 특정 영역(42)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한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부(40)에서 1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기준 영역(41)으로 설정하고, 2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특정 영역(42)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기준 영역(41)과 특정 영역(42)의 휘도를 비교하여, 기준 영역(41)의 휘도가 특정 영역(42)의 휘도보다 높은 경우 특정 영역(42)의 휘도를 설정된 기준 휘도만큼 증가시키고, 특정 영역(42)의 휘도가 기준 휘도만큼 증가한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이와 반대로,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기준 영역(41)과 특정 영역(42)의 휘도를 비교하여, 기준 영역(41)의 휘도가 특정 영역(42)의 휘도보다 낮은 경우 특정 영역(42)의 휘도를 설정된 기준 휘도만큼 감소시키고, 특정 영역(42)의 휘도가 기준 휘도만큼 감소한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기준 휘도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30)에 설정된 고정값일 수 있으며, 기준 영역(41)과 특정 영역(42)의 휘도 차이값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준 영역(41)의 휘도가 특정 영역(42)의 휘도보다 높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는 특정 영역(42)이 1번째 선택된 경우이고, 특정 영역은 연속하여 적어도 1회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영역이 2회째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부(40)로부터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1차 보정 영상 이미지 중 특정 영역(42)의 휘도가 기준 휘도만큼 증가한 2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2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2차 보정 영상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42)이 또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부(40)로부터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특정 영역이 3번째 선택된 경우),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2차 보정 영상 이미지 중 특정 영역의 휘도가 기준 휘도만큼 증가한 3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3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특정 영역이 선택되는 회수에 비례하여 특정 영역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육안으로 영상 이미지(프리뷰 영상 이미지, 보정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특정 영역을 원하는 밝기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프리뷰 영상 이미지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S401).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1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기준 영역(41)으로 설정하고(S402), 2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특정 영역(42)으로 설정한다(S403).
다음으로,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기준 영역(41)과 특정 영역(42)의 휘도를 비교한다(S404).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기준 영역(41)의 휘도가 특정 영역(42)의 휘도보다 높으면 특정 영역(42)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기준 영역(42)의 휘도가 특정 영역(42)의 휘도보다 낮으면 특정 영역(42)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S405).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 영역(41)의 휘도가 특정 영역(42)의 휘도보다 높으면,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42)의 휘도가 기준 휘도만큼 증가한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이와 반대로, 기준 영역(41)의 휘도가 특정 영역(42)의 휘도보다 낮으면,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42)의 휘도가 기준 휘도만큼 감소한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현재 보정 영상 이미지(1차 보정 영상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42)이 선택되는지 아닌지를 감지하여(S406), 특정 영역(42)이 선택되면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 터치 신호를 출력한다(S407).
터치 신호가 입력된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현재 보정 영상 이미지(1차 보정 영상 이미지) 중 특정 영역(42)의 휘도가 기준 휘도만큼 증가(또는 감소)한 보정 영상 이미지(2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보정된 보정 영상 이미지(2차 보정 영상 이미지)는 현재 보정 영상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다(S408).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단계(S406)~단계(S408)를 반복 수행하여 사용자가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회수에 비례하여 특정 영역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 보정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육안으로 현재 보정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특정 영역의 휘도를 원하는 휘도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렌즈부
20: 이미지 센서
30: 이미지 신호 처리부
40: 디스플레이부
41: 기준 영역
42: 특정 영역

Claims (5)

  1. (a)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1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복수의 영역 중 2차적으로 선택되는 영역을 특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기준 영역의 휘도와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가 설정된 기준 휘도만큼 증가 또는 감소한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g) 상기 1차 보정 영상 이미지 중 상기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1차 보정 영상 이미지 중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가 상기 기준 휘도만큼 증가 또는 감소한 2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h) 상기 2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i) 상기 2차 보정 영상 이미지 중 상기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2차 보정 영상 이미지 중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가 상기 기준 휘도만큼 증가 또는 감소한 3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j) 상기 3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기준 영역의 휘도가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보다 높으면,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가 설정된 기준 휘도만큼 증가한 상기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영역의 휘도가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보다 낮으면,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가 설정된 기준 휘도만큼 감소한 상기 1차 보정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휘도는 상기 기준 영역의 휘도와 상기 특정 영역의 휘도의 차이값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0100110191A 2010-06-30 2010-11-08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71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191A KR101717639B1 (ko) 2010-11-08 2010-11-08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CN201180033018.6A CN102972020B (zh) 2010-06-30 2011-06-30 相机模块和驱动相机模块的方法
US13/704,852 US9241105B2 (en) 2010-06-30 2011-06-30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EP11801148.5A EP2589216A4 (en) 2010-06-30 2011-06-30 CAMERA MODULE AND DRIVE PROCESS THEREFOR
PCT/KR2011/004784 WO2012002742A2 (en) 2010-06-30 2011-06-30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191A KR101717639B1 (ko) 2010-11-08 2010-11-08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815A KR20120048815A (ko) 2012-05-16
KR101717639B1 true KR101717639B1 (ko) 2017-03-20

Family

ID=4626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191A KR101717639B1 (ko) 2010-06-30 2010-11-08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6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3250A (ja) 2004-08-10 2006-02-2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7975B2 (ja) * 1992-01-14 2003-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オートアイリス回路
JPH08240833A (ja) * 1995-03-02 1996-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カメラの露光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3250A (ja) 2004-08-10 2006-02-2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815A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216B2 (en) Imaging device, defocus amount calculating method, and imaging optical system
US8243191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for focusing by determining a focusing position
US8767117B2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to correct the focus detection pixels using peripheral standard pixels and correcting defective peripheral standard pixels as well if found
CN101534395B (zh) 屏幕亮度调节系统和方法
JP5877277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CA3049704C (en) Camera assembly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60182794A1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WO2007055179A1 (ja) 周辺光量補正装置、周辺光量補正方法、電子情報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可読記録媒体
US9615017B2 (en) Focus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method of controlling focus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US1088752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50109515A1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ickup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2161938B1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executing the imaging method
KR20130057762A (ko)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063327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photographing image thereof
US20140192219A1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TW201722208A (zh) 照度取得裝置、照明控制系統及程式
KR101717639B1 (ko)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5062072B2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テーブル調整方法
CN105338264B (zh) 图像传感器和包括该图像传感器的图像拾取设备
KR10115338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노출 제어 방법
US8154618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he same
JP2008153848A (ja) 画像処理装置
KR101783410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노출 제어 방법
JP5906057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32703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