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473B1 -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 Google Patents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473B1
KR101717473B1 KR1020150074943A KR20150074943A KR101717473B1 KR 101717473 B1 KR101717473 B1 KR 101717473B1 KR 1020150074943 A KR1020150074943 A KR 1020150074943A KR 20150074943 A KR20150074943 A KR 20150074943A KR 101717473 B1 KR101717473 B1 KR 101717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ttress
cushion layer
bed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658A (ko
Inventor
진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침대
Priority to KR102015007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4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립형 매트리스는, 하중 인가시 탄성 변형하는 쿠션층; 쿠션층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쿠션층과 프레임을 함께 둘러싸는 커버; 및 지면으로부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발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더라도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전체 제작비용에서 실제로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고 잠자리의 편안함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쿠션 재료의 가격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며, 침대용 프레임을 따로 구매하지 않고 사용하더라도 방바닥의 먼지나 엎질러진 음료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SELF-STANDING MATTRESS AND BE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적으로 방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구비하여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더라도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전체 제작비용에서 실제로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고 잠자리의 편안함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쿠션 재료의 가격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도록 이루어지는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침대(bed, 寢臺)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구로서, 보통 가정용 침대는 프레임, 헤드 보드, 풋 보드, 바닥판 및 매트리스의 4개 부분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은 침대 전체의 형을 구성하는 부분인데, 표준적인 형은 틀의 전후에 헤드 보드나 풋 보드를 붙인다. 헤드 보드만을 붙인 것을 할리웃형이라고 하여 미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형식이다. 유럽에서는 침구를 사용하는 일이 많아 풋 보드를 붙인 것이 많다. 바닥판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부분인데 대나 판자를 발식으로 붙인 것, 네트식 및 스프링식 등의 종류가 있다.
매트리스에는 스프링을 주체로 한 스프링매트리스, 합성수지의 스펀지를 사용한 스펀지매트리스, 천연섬유나 짚 등을 사용한 것, 천연라텍스 등이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스프링 형식의 것이지만 천연라텍스의 사용이 늘어가는 추세다. 스프링매트리스의 구조는 대별하여 연결식과 중대식(中袋式)으로 나눌 수 있으나 생산가공이 쉬운 연결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침대에서 매트리스는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바닥판 위에 놓여지며, 이에 따라 사람이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게 되면 매트리스와 바닥판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이나 바닥판은 인체와 직접 접촉 없이 방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임에 반해, 침대의 가격에서 매트리스 이외의 구성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여 가격 문제로 인해 침대의 구매를 어렵게 만들거나, 침대를 구매하더라도 가격을 맞추기 위해 실제로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여 인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매트리스의 품질은 하향하여 구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부 사용자들은 상술한 소음문제 또는 가격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프레임 없이 매트리스를 방바닥 위에 놓고 사용하기도 하는데, 값비싼 매트리스를 구매하여 사용하더라도 매트리스가 방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일반 침대와 비교하면 구조가 어색하여 방안 내부의 심미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방바닥의 먼지나 엎질러진 음료에 의해 매트리스가 쉽게 더러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더라도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전체 제작비용에서 실제로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고 잠자리의 편안함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쿠션 재료의 가격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며, 침대용 프레임을 따로 구매하지 않고 사용하더라도 방바닥의 먼지나 엎질러진 음료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독립적으로 방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침대용 프레임 위에 얹혀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중 인가시 탄성 변형하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쿠션층과 상기 프레임을 함께 둘러싸는 커버; 및 지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발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매트리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쿠션층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발통이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에는 상기 발통이 상방으로 인입되거나 하방으로 인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통의 상방 인입시 상기 프레임이 지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발통이 상방으로 인입되도록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인입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단부와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보강프레임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쿠션층에는, 상기 바디가 상방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쿠션층의 수평방향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쿠션층의 내부에는 모퉁이에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는, 외력에 의한 상기 삽입홈의 형태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삽입홈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중 인가시 탄성 변형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쿠션층과 상기 프레임을 함께 둘러싸는 커버와, 지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발통을 구비하는 자립형 매트리스; 및 상기 자립형 매트리스의 하측 둘레에 배치되는 외장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립형 매트리스는 상기 외장패널에 체결수단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가 쿠션층과 프레임을 함께 둘러싸고 발통이 지면으로부터 프레임을 지지함으로써,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더라도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전체 제작비용에서 실제로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고 잠자리의 편안함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쿠션 재료의 가격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며, 침대용 프레임을 따로 구매하지 않고 사용하더라도 방바닥의 먼지나 엎질러진 음료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프레임에 발통이 상방으로 인입되거나 하방으로 인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됨에 따라, 독립적으로 방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침대용 프레임 위에 얹혀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립형 매트리스의 하측 둘레를 따라 외장패널을 배치함으로써, 일반 침대와의 디자인적 어색함을 제거하면서도, 소비자가 침대를 구매하는데에 중요한 요소인 우수한 심미감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는,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더라도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전체 제작비용에서 실제로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고 잠자리의 편안함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쿠션 재료의 가격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며, 침대용 프레임을 따로 구매하지 않고 사용하더라도 방바닥의 먼지나 엎질러진 음료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독립적으로 방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침대용 프레임 위에 얹혀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매트리스(1)는, 독립적으로 방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구비하여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더라도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전체 제작비용에서 실제로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고 잠자리의 편안함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쿠션 재료의 가격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도록 이루어지며, 쿠션층(10), 프레임(20), 커버(30) 및 발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층(10)은 인체 등의 하중 인가시 탄성 탄형하는 구성으로서, 위에서부터 제1 쿠션부(11), 제2 쿠션부(12) 및 저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쿠션부(11)는 인체의 굴곡을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가 세로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 일 예로서, 제1 쿠션부(11)는 화이버패딩과 압축견면이 적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쿠션부(12)는 제1 쿠션부(11)를 통해 전달된 인체 각 부분의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스프링 층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스프링은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척추를 지지하는 척추보호바 등이 스프링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13)는 제2 쿠션부(12)와 프레임(20)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프레임(20)과 제2 쿠션부(12)는 저면부(13)에 의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서로 격리된다.
저면부(13)는 제1 쿠션부(11)보다 경질의 합성섬유로 구비되며, 매트리스의 상면으로부터 인가된 인체의 하중은 커버(30), 제1 쿠션부(11), 제2 쿠션부(12) 및 저면부(13)를 통해 프레임(20)으로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층(10)의 내부에는 모퉁이에 지지대(14)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은 쿠션층(10) 저면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쿠션층(10)에서 전달된 인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프레임(21) 및 보강프레임(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은 쿠션층(10)의 하단부와 직접 접촉되는 구성으로서, 매트리스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매트리스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바(bar) 형태로로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의 상면은 수평면상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의 어느 한 부분에만 인체의 하중이 인가되어 제1 쿠션층(10)과 제2 쿠션층(10)의 일부에 인체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지지프레임(21)의 상면과 직접 접촉되는 저면부(13)는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지지프레임(21)이 서로 이격된 간격은 지지프레임(21)의 폭과 스프링의 제원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22)은 복수의 지지프레임(21)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매트리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매트리스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바(bar) 형태로로 구비된다.
보강프레임(22)의 길이 및 개수는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된다. 보강프레임(22)의 개수에 대한 일 예로서, 싱글 매트리스의 경우 한 쌍의 보강프레임(22)이 지지프레임(21)의 양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더블, 킹과 같이 싱글보다 폭이 큰 매트리스의 경우 지지프레임(21)의 양단부 사이에도 보강프레임(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과 보강프레임(22)은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경질의 목재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21)과 보강프레임(22)이 목재로 형성되면, 매트리스 제조시 지지프레임(21)과 보강프레임(22)의 결합이 용이하고, 나사홀(22h)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쿠션층(10), 프레임(20), 커버(30) 및 발통(40)의 조립 및 매트리스의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는 쿠션층(10)과 프레임(20)을 함께 둘러싸는 구성으로서, 부드럽고 질긴 섬유재질로 구비된다.
커버(30)가 쿠션층(10)과 프레임(20)을 함께 둘러쌈에 따라, 쿠션층(10)과 프레임(20)은 커버(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종래의 매트리스와 동일한 형태로 관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의 지지프레임(21) 아래에는, 커버(30)의 코너 부위에 형성되는 장력이 매트리스의 폭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형성되도록 각각 코너프레임(21A)이 결합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통(40)은 지면(F)으로부터 프레임(2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복수로 구비되어 보강프레임(22)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통(40)은 지지프레임(21)의 양단부에 결합된 보강프레임(2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인체 및 매트리스의 하중을 지지한다. 물론, 보강프레임(22)이 지지프레임(21)의 양단부 사이에 더 구비되는 경우 발통(40)은 양단부 사이에 구비된 보강프레임(22)에 더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22)과 발통(40)은 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22)에는 복수의 나사홀(22h)이 형성되며,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30)에는 나사홀(22h)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나사홀(22h)이 노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의 하단부는 발통(40)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삽입되며, 커버(30)로 쿠션층(10)과 프레임(20)을 둘러싼 후에 볼트(B)를 나사홀(22h)에 삽입하여 발통(40)을 회전시켜서 보강프레임(22)과 발통(40)이 결합된다.
종래 가정용 침대에서 매트리스는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바닥판 위에 놓여지며, 이에 따라 사람이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게 되면 매트리스와 바닥판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프레임이나 바닥판은 인체와 직접 접촉 없이 방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임에 반해, 침대의 가격에서 매트리스 이외의 구성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여 가격 문제로 인해 침대의 구매를 어렵게 만들거나, 침대를 구매하더라도 가격을 맞추기 위해 실제로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여 인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매트리스의 품질은 하향하여 구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부 사용자들은 상술한 소음문제 또는 가격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프레임 없이 매트리스를 방바닥 위에 놓고 사용하기도 하는데, 값비싼 매트리스를 구매하여 사용하더라도 매트리스가 방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일반 침대와 비교하면 구조가 어색하여 방안 내부의 심미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방바닥의 먼지나 엎질러진 음료에 의해 매트리스가 쉽게 더러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자립형 매트리스(1)는 발통(40)에 의해 매트리스 자체가 방바닥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대(100)는 자립형 매트리스(1) 및 외장패널(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립형 매트리스(1)가 침대 대용으로 사용되면, 질 좋은 매트리스를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여 침대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측면으로 협이 노출된 일반 침대와 비교하면 디자인적인 어색함을 느낄 수 있으며, 혼자 사는 주거형태가 아닌 가족단위의 주거형태에서는 다른 침대와의 디자인적인 이질감에 의해 사용을 꺼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침대(100)는 자립형 매트리스(1)의 하측 둘레를 따라 외장패널(D)을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일반 침대와의 디자인적인 어색함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패널(D)은 자립형 매트리스(1)의 하측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며, 자립형 매트리스(1)와 체결수단(P)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체결수단(P)은 피스나 볼트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레임(20)과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외장패널(D)은 다양한 형태 및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30)의 측면을 따라 부착됨으로써 소비자가 침대를 구매하는데에 중요한 요소인 침대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외장패널(D)은 커버(30) 측면의 하단부를 덮음으로써 발이나 신발과의 접촉에 의한 커버(30) 하단부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매트리스(1)는, 발통(40)이 매트리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지면(F) 쪽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발통(4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22)에는 발통(40)이 상방으로 인입되거나 하방으로 인출되는 결합부(U)가 형성된다. 결합부(U)는 바디(U1) 및 지지부(U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U1)는 발통(40)이 상방으로 인입되도록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인입공간(S)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보강프레임(22)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방으로 삽입된다. 바디(U1)는 상단이 막히고 하단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인입공간(S)의 높이는 발통(40)이 완전히 삽입되도록 발통(40)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U2)는 바디(U1)를 보강프레임(22)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디(U1)의 하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부(U2)는 볼트에 의해 보강프레임(22)에 결합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강프레임(22)의 하단부에는 지지부(U2)가 보강프레임(22)의 밑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지지부(U2)가 삽입되는 단차홈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U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발통(40)의 외주면에는 바디(U1)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발통(40)을 회전시키면 회전방향에 따라 발통(40)은 바디(U1)의 인입공간(S)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며, 인입공간(S)의 높이가 발통(40)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발통(40)은 필요시 프레임(20)이 지면(F)과 직접 접촉하도록 바디(U1)의 인입공간(S)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립형 매트리스(1)는 발통(40)을 바디(U1)의 인입공간(S) 내로 완전히 삽입시킨 상태에서 종래의 평상형 침대 프레임 위에 올려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U1)는 보강프레임(2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며, 쿠션층(10)에는 바디(U1)가 상방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0h)이 형성된다.
바디(U1)가 보강프레임(2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쿠션층(10)에 바디(U1)가 상방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0h)이 형성되면, 바디(U1)가 삽입홈(10h)을 통해 쿠션층(10)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매트리스(1)는, 지지대(14)에 삽입홈(10h)을 감싸는 연장부(14e)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4e)는 지지대(14)와 일체로 구성되어 지지대(14)에 의해 외력에 의한 수평방향 유동이 방지되며, 매트리스(1)에 수평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장부(14e)가 삽입홈(10h)을 감쌈으로써 외력에 의한 삽입홈(10h)의 형태 변형이 방지되어 쿠션층(10)의 수평방향 유동이 보다 견고하게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30)가 쿠션층(10)과 프레임(20)을 함께 둘러싸고 발통(40)이 지면(F)으로부터 프레임(20)을 지지함으로써, 매트리스에 누워서 뒤척이거나 위에서 이동하더라도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전체 제작비용에서 실제로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고 잠자리의 편안함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쿠션 재료의 가격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며, 침대용 프레임(20)을 따로 구매하지 않고 사용하더라도 방바닥의 먼지나 엎질러진 음료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립형 매트리스(1)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프레임(22)에 발통(40)이 상방으로 인입되거나 하방으로 인출되는 결합부(U)가 형성됨에 따라, 독립적으로 방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침대용 프레임(20) 위에 얹혀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자립형 매트리스(1)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립형 매트리스(1)의 하측 둘레를 따라 외장패널(D)을 배치함으로써, 일반 침대와의 디자인적 어색함을 제거하면서도, 소비자가 침대를 구매하는데에 중요한 요소인 우수한 심미감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침대(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자립형 매트리스 100 : 침대
10 : 쿠션층 20 : 프레임
10h : 삽입홈 21 : 지지프레임
11 : 제1 쿠션부 22 : 보강프레임
12 : 제2 쿠션부 U : 결합부
13 : 저면부 U1 : 바디
14 : 지지대 U2 : 지지부
14e : 연장부 S : 인입공간
30 : 커버 22h : 나사홀
40 : 발통 21A : 코너프레임
B : 볼트 D : 외장패널
P : 체결수단

Claims (7)

  1. 하중 인가시 탄성 변형하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쿠션층과 상기 프레임을 함께 둘러싸는 커버; 및 지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발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쿠션층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발통이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에는 상기 발통이 상방으로 인입되거나 하방으로 인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통의 상방 인입시 상기 프레임이 지면과 직접 접촉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발통이 상방으로 인입되도록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인입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단부와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매트리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보강프레임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쿠션층에는, 상기 바디가 상방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쿠션층의 수평방향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쿠션층의 내부에는 모퉁이에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는, 외력에 의한 상기 삽입홈의 형태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삽입홈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매트리스.
  7. 삭제
KR1020150074943A 2015-05-28 2015-05-28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KR101717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43A KR101717473B1 (ko) 2015-05-28 2015-05-28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43A KR101717473B1 (ko) 2015-05-28 2015-05-28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58A KR20160139658A (ko) 2016-12-07
KR101717473B1 true KR101717473B1 (ko) 2017-03-20

Family

ID=5757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943A KR101717473B1 (ko) 2015-05-28 2015-05-28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71B1 (ko) 2017-01-17 2023-12-18 코웨이 주식회사 매트리스 프레임용 발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90Y1 (ko) * 2002-09-10 2002-12-20 이주아 가구용 캐스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522B1 (ko) * 2002-10-04 2005-11-21 한철우 침대
KR20120002613U (ko) * 2010-10-07 2012-04-17 이영우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90Y1 (ko) * 2002-09-10 2002-12-20 이주아 가구용 캐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58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746B2 (en) Self-adjusting mattress with balancing bars and an integrated movement mechanism
US6519798B2 (en) Mattress and bed assembly providing an enlarged sleeping surface area
US8661588B1 (en) Slip cover for crib mattress
US20160100697A1 (en) Field adjustable mattress system and method
US10702072B2 (en) Bedding assembly
CN105578929A (zh) 床-沙发转换框架
US20120073059A1 (en) Cover for a self-adjusting mattress that secures a fitted sheet
US6557198B1 (en) Mattress and bed assembly providing an enlarged sleeping surface area
US5319814A (en) Bedding structure with enhanced postural support
KR101717473B1 (ko) 자립형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US6588035B2 (en) Mattress support system
WO2021011180A1 (en) Mattress topper with integrally connected layers of varying firmness
KR101046760B1 (ko) 4면지퍼로 탈부착 가능한 필로우탑
US20150047124A1 (en) Bed Sheet with Compartment for Feet
KR102099536B1 (ko) 가구 다리용 조립식 쿠션장치
US20140196208A1 (en) Couch Trundle Bed Combination
CN201067223Y (zh) 家具的可调式骨架
KR101398476B1 (ko) 침대
WO2012175811A1 (en) Pillow
KR200457948Y1 (ko) 심재커버가 구비된 원목침대
NO20150291A1 (en) Endboard system for a bed
US20130117937A1 (en) System for inclining a surface
KR20130045668A (ko) 쿠션이 구비된 조립식 침대 프레임
AU2007101047A4 (en) Attachment arrangement
KR20190115955A (ko) 입체직조매트와 폼 쿠션을 분리 적층한 매트리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