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925B1 - 부정행위 방지 및 심리검사 결과의 향상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부정행위 방지 및 심리검사 결과의 향상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925B1
KR101716925B1 KR1020130035406A KR20130035406A KR101716925B1 KR 101716925 B1 KR101716925 B1 KR 101716925B1 KR 1020130035406 A KR1020130035406 A KR 1020130035406A KR 20130035406 A KR20130035406 A KR 20130035406A KR 101716925 B1 KR101716925 B1 KR 101716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ychological
test
examina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564A (ko
Inventor
김영아
천정현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주)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노 filed Critical (주)휴노
Priority to KR102013003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9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동일한 피검자에 의해 사용되는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심리검사서버에서 수행되는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로 제1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1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로부터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연관된 제2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2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부터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참조하여 답변 일치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정행위 방지 및 심리검사 결과의 향상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The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psychological service based on the on-line network to prevent cheating and improve reliability of tested result}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기반의 제1차 심리검사를 실시하여 피검자 집단을 축소하고 축소된 피검자 집단에 대해 재검을 실시함으로써 제1차 심리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대량의 피검자 집단에 대해 직접 심리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발생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리검사(Psychological Test)란 인간의 지능이나 적성, 성격 등을 검사하여 검사결과를 체계적인 수치로 표현하는 측정방법을 의미한다. 심리검사는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능검사(Intelligence Test), 적성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성검사(Aptitude Test), 학업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학력검사(Achievement Test), 개인적인 특성이나 태도 또는 기질 등의 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성격검사(Personality Test) 등의 검사 목적에 따른 다양한 심리검사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심리검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개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정보는 그 활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고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심리검사를 통하여 사원의 적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사원의 적성에 가장 적합한 부서에 해당사원을 발령하거나, 개인이 자신의 적성을 파악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기업에서는 기업 문화에 맞는 신입사원 채용을 위해 학벌이나 외국어성적 외에 적성검사와 같은 심리검사가 활용되기도 한다. 이때, 심리검사 대상자(즉, 피검자)의 수가 많기 때문에 모든 피검자에 대해 심리검사를 회사 내에서 직접 실시하기에는 시간, 비용 및 공간 부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피검자가 소유하고 있는 단말(예를 들어,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 등을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심리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피검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문제점 역시 해결할 수 있지만, 심리검사 수행 시 감독관이 없기 때문에 부정행위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심리검사결과의 신뢰도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직접 심리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차 심리검사 수행 시 피검자의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심리검사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일한 피검자에 의해 사용되는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심리검사서버에서 수행되는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로 제1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1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로부터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연관된 제2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2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부터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참조하여 답변 일치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의 수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의 수 보다 적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심리검사문항은 심리검사문항을 구성하는 질문 또는 선택지 중 적어도 일부가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리검사는 적성검사, 성격검사, 학력검사, 기호검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심리검사서버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심리해석정보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차 심리검사정보는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재검(再檢) 알림 메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은 상기 재검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되 형식적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동일한 피검자에 의해 사용되는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심리검사서버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로 제1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1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로부터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차 심리검사부;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연관된 제2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2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부터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제2차 심리검사부; 및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참조하여 답변 일치도 정보를 생성하는 일치도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의 수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의 수 보다 적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심리검사문항은 심리검사문항을 구성하는 질문 또는 선택지 중 적어도 일부가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리검사는 적성검사, 지능검사, 성격검사, 학력검사, 기호검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리검사서버는 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심리검사서버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결과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심리해석정보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차 심리검사정보는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재검(再檢) 알림 메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은 상기 재검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되 형식적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직접 심리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차 심리검사 수행 시 피검자의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심리검사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문항이 동일하게 구성된 경우의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나타낸 테이블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시스템(100)은 심리검사서버(10), 제1차 심리검사단말(20), 제2차 심리검사단말(30) 및 운용자 단말(40)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심리검사서버(10)와 연결되는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단말(20, 30)이 단수로 도시 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명확한 이해와 간결한 설명을 위한 것이 뿐이며 실제 심리검사에서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단말(20, 30)은 복수일 것이다.
제1차 심리검사단말(20)과 심리검사서버(10)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통신망은 유선, 무선, 유무선 조합, 근거리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 상기한 장치(10, 20)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망이라면, 그 종류, 통신 방식, 조합 방식에 있어서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피검자의 지배하에 있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피검자가 소유하고 있는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피검자의 조작에 따라 심리검사서버(10)로 심리검사를 요청하고, 심리검사서버(10)로부터 심리검사정보가 수신되면 피검자가 심리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심리검사문항 정보 및 필요한 기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심리검사 수행에 따라 피검자가 입력한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심리검사서버(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 심리검사단말(20)는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심리검사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심리검사 앱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심리검사서버(10)로부터 제1차 심리검사단말(20)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는, 심리검사 앱은 유료 또는 무료로 앱을 판매하는 서버(또는 서버에 상응하는 웹페이지(예를 들어, 애플 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등)로부터 제1차 심리검사단말(20)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웹 브라우저(예를 들어, 인터넷 익스플로러, 구글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를 통해 심리검사서버(10)에 접속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심리검사 서비스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심리검사 서비스는 웹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에는 심리검사 앱이 설치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제2차 심리검사단말(30)과 심리검사서버(10)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심리검사 결과를 필요로 하는 심리검사 주체(예를 들어, 기업, 관공서 등)의 지배하에 있는 단말이다. 심리검사 주체가 기업인 경우 제2차 심리검사단말(30)과 심리검사서버(1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사내 통신망일 수 있다. 다만, 제2차 심리검사단말(30)과 심리검사서버(1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상기한 장치(20, 3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기 때문에 상기한 통신망은 유선, 무선, 유무선 조합, 근거리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 상기한 장치(10, 20)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망이라면, 그 종류, 통신 방식, 조합 방식에 있어서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 심리검사는 피검자의 영역에서 실시되고, 제2차 심리검사(재검)은 심리검사 주체의 지배 하에서 실시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심리검사가 기업의 신입사원 채용을 위한 적성검사인 경우, 피검자는 자신의 집에서 본인의 PC(20)를 사용하여 제1차 적성검사를 실시하고, 기업에서는 제1차 적성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합격자를 선별한다. 다만, 제1차 적성검사를 실시할 때 감독관이 없기 때문에 부정행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차 적성검사를 실시하여 제1차 적성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즉, 제2차 적성검사는 기업의 지배하에서 제1차 적성검사 합격자에 대해 실시된다. 이때, 피검자 집단이 합격자로 한정되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1차 적성검사의 피검자가 10000명이고 기업에서 필요한 인원이 100명인 경우, 10000명에 대한 적성검사가 피검자의 영역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기업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적성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은 합격한 100명의 피검자에 대해서만 재검을 실시하면 되기 때문에 시간, 비용 및 공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재검은 제1차 적성검사의 신뢰성만을 확보하면 되기 때문에 적성검사문항을 축소하여 재검을 실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간과 비용을 더욱 더 절약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재검 시 피검자가 이용하는 단말을 말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제1차 심리검사단말(20)과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의 사용자는 동일한 피검자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차 심리검사단말(20)과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이 반드시 다른 장치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피검자가 제1차 심리검사를 자신의 노트북(20)을 사용하여 자택에서 수행하고, 그 후 제2차 심리검사(재검)는 기업이 지정한 장소에서 자신의 노트북(30)을 그곳에 설치된 통신 케이블에 연결하여 실시하는 경우 제1차 심리검사단말(20)과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동일한 장치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차 심리검사 피검자 전체가 제2차 심리검사 대상자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제2차 심리검사는 제1차 심리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비용과 시간 절약을 위해 심시검사문항을 축소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피검자의 조작에 따라 심리검사서버(10)로 제2차 심리검사를 요청하고, 심리검사서버(10)로부터 제2차 심리검사정보가 수신되면 피검자가 제2차 심리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심리검사문항 정보 및 필요한 기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제2차 심리검사 수행에 따라 피검자가 입력한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심리검사서버(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 심리검사단말(30)는 제2차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심리검사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심리검사 앱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심리검사서버(10)로부터 제2차 심리검사단말(30)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는, 심리검사 앱은 유료 또는 무료로 앱을 판매하는 서버(또는 서버에 상응하는 웹페이지(예를 들어, 애플 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등)로부터 제2차 심리검사단말(30)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웹 브라우저(예를 들어, 인터넷 익스플로러, 구글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를 통해 심리검사서버(10)에 접속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심리검사 서비스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심리검사 서비스는 웹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에는 심리검사 앱이 설치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용자 단말(40)은 심리검사 결과를 필요로 하는 심리검사 주체의 지배하에 있는 단말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운용자 단말(40)은 심리검사 주체가 사용하는 단말을 말한다. 심리검사서버(10)는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와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답변 일치도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심리검사서버(10)는 생성된 답변 일치도 정보를 운용자 단말(40)로 전송하고, 운용자 단말(40)은 심리검사 주체가 시청할 수 있도록 답변 일치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용자 단말(40)은 제2차 심리검사단말(30)과 같이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심리검사서버(1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심리검사 주체가 기업인 경우 운용자 단말(40)과 심리검사서버(1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사내 통신망일 수 있다. 다만, 운용자 단말(40)과 심리검사서버(1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상기한 장치(10, 4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기 때문에 상기한 통신망은 유선, 무선, 유무선 조합, 근거리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 상기한 장치(10, 40)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망이라면, 그 종류, 통신 방식, 조합 방식에 있어서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운용자 단말(40)은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205에서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심리검사서버(10)로 제1차 심리검사 요청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리검사는 적성검사, 성격검사, 학력검사, 기호검사 등일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심리검사서버(10)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의 심리검사요청에 상응하여 제1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한다. 제1차 심리검사정보는 제1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한다. 제1차 심리검사문항은 복수의 문제로 구성된다. 제1차 심리검사문항은 질문과 선택지로 구성된 객관식 문제일 수도 있고, 주관식 문제일 수도 있다.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수신한 제1차 심리검사문항을 피검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고, 피검자는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을 조작하여 심리검사를 수행한다(S215). 즉, 제1차 심리검사문항이 복수의 객관식 문제로 이루어진 경우 피검자는 디스플레이 된 문제를 읽고 복수의 선택지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형식으로 심리검사를 수행한다.
제1차 심리검사정보는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재검(再檢) 알림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차 심리검사단말은 상기한 재검 알림 메시지를 피검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재검 알림 메시지는 제1차 심리검사가 감독관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피검자의 부정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제1차 심리검사가 기업문화에 부합하는 신입사원 채용을 위한 적성검사인 경우, 재검 알림 메시지는 “본 적성검사는 추후에 당사에서 다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현재의 적성검사의 결과와 당사에서 이루어진 재검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의 문구일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제1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피검자의답변 입력에 따른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심리검사서버(10)로 전송하고, 심리검사서버(10)는 수신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정보를 저장한다(S225). 심리검사서버(10)는 제1차 심리검사답변정보를 피검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는 제1차 심리검사문항 정보 및 피검자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며, 이에 따라 심리검사서버(10)는 제1차 심리검사에서 피검자에게 제공된 심리검사문항과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피검자의 답변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피검자의 조작에 따라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제2차 심리검사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S235에서 심리검사서버(10)는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연관된 제2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차 심리검사정보를 제2차 심리검사단말(30)로 전송한다. 이때, 제2차 심리검사문항의 수는 제1차 심리검사문항의 수 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제1차 심리검사문항 내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즉, 제1차 심리검사문항이 총 10문제로 구성된 경우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상기 10문제 중 5문제만을 선택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제2차 심리검사(재검)는 제1차 심리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중복된 일부의 문제에 대해서만 실시되더라도 충분히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검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와 달리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동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심리검사문항을 구성하는 질문 또는 선택지 중 적어도 일부가 가공되거나 문제의 순서가 변경된 것일 수 있다. 심리검사문항을 구성하는 질문 또는 선택지가 가공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의 가공은 실질적 내용은 동일하지만 질문의 형식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심리검사문항이 객관식 문제로 구성된 경우 선택지의 가공은 선택지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피검자가 제1차 심리검사문항을 암기한 후 제2차 심리검사를 실시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제1차 심리검사문항 외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심리검사문항이 다르더라도 심리검사에 따른 해석 결과는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차 심리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에 충분히 합리적인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피검자가 제1차 심리검사문항을 암기한 후 제2차 심리검사를 실시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되 형식적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차 심리검사문항의 질문이 “당신은 새로운 사람과 잘 사귑니까?”일 때, 이와 연관된 제2차 심리검사문항의 질문이 “당신은 새로운 사람하고 잘 얘기를 합니까”인 경우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심리검사문항의 형식적 내용은 다르지만 실질적 내용이 동일하기 때문에 피검자가 제1차 심리검사문항을 암기한 후 제2차 심리검사를 실시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수신한 제2차 심리검사문항을 피검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고, 피검자는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을 조작하여 심리검사를 수행한다(S240). 즉, 제2차 심리검사문항이 복수의 주관식 문제로 이루어진 경우 피검자는 디스플레이 된 문제를 읽고 키 입력을 통해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형식으로 심리검사를 수행한다.
단계 S245에서 제2차 심리검사단말(30)은 제2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피검자의답변 입력에 따른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심리검사서버(10)로 전송한다.
단계 S250에서 심리검사서버(10)는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와 피검자가 제1차 심리검사를 수행함에 따라 수신하여 저장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참조하여 답변 일치도 정보를 생성한다. 답변 일치도 정보는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제2차 심리검사문항이 동일한 문제로 구성된 경우 문제에 대한 답변이 일치하는 개수 정보 또는 일치하는 개수에 따른 백분율 정보일 수 있다. 또는, 답변 일치도 정보는 제1차 심리검사답변정보 및 제2차 심리검사답변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심리해석정보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검사서버(10)는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 해석에 따른 피검자의 심리유형을 각각 판별하고, 판별된 2개의 심리유형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답변 일치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문항이 동일하게 구성된 경우의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2지선다형의 10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피검자 “A”의 경우 제1차 심리검사답변과 제2차 심리검사답변은 9개가 일치하고 1개가 불일치 한다. 따라서 답변 일치도 정보는 “9” 또는 “90%”로 나타낼 수 있다. 피검자 “B”의 경우 제1차 심리검사답변과 제2차 심리검사답변은 모두 일치한다. 따라서 답변 일치도 정보는 “10” 또는 “100%”로 나타낼 수 있다. 피검자 “C”의 경우 제1차 심리검사답변과 제2차 심리검사답변은 7개가 일치하고 3개가 불일치 한다. 따라서 답변 일치도 정보는 “10” 또는 “100%”로 나타낼 수 있다.
단계 S255에서 심리검사서버(10)는 생성된 답변 일치도 정보를 운용자 단말(40)로 전송하고, 운용자 단말(40)은 심리검사 주체가 답변 일치도 정보를 시청할 수 있도록 표시부 상에 답변 일치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심리검사서버(1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3을 통해 이미 설명된 사항은 간략히 설명되거나 생략될 것이지만, 대응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리검사서버(10)는 제1차 심리검사부(11), 제2차 심리검사부(12), 답변 일치도 정보 생성부(13) 및 결과 전송부(14)를 포함한다.
제1차 심리검사부(11)는 제1차 심리검사단말(20)로 제1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1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제1차 심리검사단말(20)로부터 제1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차 심리검사정보는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재검(再檢) 알림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1차 심리검사단말(20)은 상기한 재검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리검사는 적성검사, 지능검사, 성격검사, 학력검사, 기호검사 등일 수 있다.
제2차 심리검사부(12)는 제2차 심리검사단말(20)로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연관된 제2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2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제2차 심리검사단말(30)로부터 제2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2차 심리검사문항의 수는 제1차 심리검사문항의 수 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제1차 심리검사문항 내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 내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심리검사문항은 심리검사문항을 구성하는 질문 또는 선택지 중 적어도 일부가 가공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제1차 심리검사문항 외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되 형식적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답변 일치도 정보 생성부(13)는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 및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참조하여 답변 일치도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답변 일치도 정보는 제1차 심리검사답변정보 및 제2차 심리검사답변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심리해석정보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결과 전송부(14)는 생성된 답변 일치도 정보를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심리검사서버(10)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심리검사서버
11 : 제1차 심리검사부
12 : 제2차 심리검사부
13 : 답변 일치도 정보 생성부
14 : 결과 전송부
20 : 제1차 심리검사단말
30 : 제2차 심리검사단말
40 : 운용자 단말

Claims (19)

  1. 동일한 피검자에 의해 사용되는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단말(상기 제1차 심리검사 단말은 피검자가 심리검사 주체와 무관하게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고, 상기 제2차 심리검사 단말은 심리검사 주체에 의해 관리되는 단말에 해당함)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심리검사서버에서 수행되는 심리검사 서비스(상기 심리검사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심리검사는 적성검사, 성격검사, 학력검사 및 기호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심리검사결과는 상기 심리검사 주체에 의해 상기 피검자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활용됨)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로 제1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1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은 제1차 심리검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정행위의 방지를 위한 재검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차 심리검사 진행 전에 디스플레이함)로부터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연관된 제2차 심리검사문항 정보(제2차 심리검사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정행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 중에서 일부가 선택되며, 상기 피검자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 중에서 선택된 일부를 암기하지 못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에 대해 심리검사문항을 구성하는 질문 또는 선택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도록 형식적으로 가공됨)를 포함하는 제2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부터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참조하여 답변 일치도 정보(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심리해석정보의 일치 정도를 나타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심리검사서버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 심리검사에서 상기 피검자에 의해 발생된 부정행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1. 동일한 피검자에 의해 사용되는 제1차 및 제2차 심리검사단말(상기 제1차 심리검사 단말은 피검자가 심리검사 주체와 무관하게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고, 상기 제2차 심리검사 단말은 심리검사 주체에 의해 관리되는 단말에 해당함)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상기 심리검사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심리검사는 적성검사, 성격검사, 학력검사 및 기호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심리검사결과는 상기 심리검사 주체에 의해 상기 피검자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활용됨)를 제공하는 심리검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로 제1차 심리검사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제1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상기 제1차 심리검사단말은 제1차 심리검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정행위의 방지를 위한 재검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차 심리검사 진행 전에 디스플레이함)로부터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차 심리검사부;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연관된 제2차 심리검사문항 정보(제2차 심리검사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정행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2차 심리검사문항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 중에서 일부가 선택되며, 상기 피검자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 중에서 선택된 일부를 암기하지 못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에 대해 심리검사문항을 구성하는 질문 또는 선택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차 심리검사문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도록 형식적으로 가공됨)를 포함하는 제2차 심리검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단말로부터 상기 제2차 심리검사문항에 대한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제2차 심리검사부; 및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 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 정보를 참조하여 답변 일치도 정보(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는 상기 제1차 심리검사답변정보 및 상기 제2차 심리검사답변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심리해석정보의 일치 정도를 나타냄)를 생성하고, 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심리검사서버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상기 운용자 단말은 상기 답변 일치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 심리검사에서 상기 피검자에 의해 발생된 부정행위를 검출함)로 전송하는 일치도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심리검사서버.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30035406A 2013-04-01 2013-04-01 부정행위 방지 및 심리검사 결과의 향상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71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06A KR101716925B1 (ko) 2013-04-01 2013-04-01 부정행위 방지 및 심리검사 결과의 향상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06A KR101716925B1 (ko) 2013-04-01 2013-04-01 부정행위 방지 및 심리검사 결과의 향상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564A KR20140119564A (ko) 2014-10-10
KR101716925B1 true KR101716925B1 (ko) 2017-03-15

Family

ID=5199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406A KR101716925B1 (ko) 2013-04-01 2013-04-01 부정행위 방지 및 심리검사 결과의 향상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9520A (zh) * 2017-11-02 2018-04-13 浙江工商大学 基于试题相关性的出卷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018B1 (ko) * 2017-12-11 2018-08-09 김정년 온라인 경영윤리 교육 시스템 및 그 교육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657A (ja) * 2005-03-31 2006-10-19 Ryozo Saito 心理検査システム及び心理検査方法
JP2008021211A (ja) * 2006-07-14 2008-01-31 Fuji Xerox Co Ltd 質問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99B1 (ko) * 2010-02-25 2012-08-20 송영선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657A (ja) * 2005-03-31 2006-10-19 Ryozo Saito 心理検査システム及び心理検査方法
JP2008021211A (ja) * 2006-07-14 2008-01-31 Fuji Xerox Co Ltd 質問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9520A (zh) * 2017-11-02 2018-04-13 浙江工商大学 基于试题相关性的出卷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564A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Kibben et al. Inattentive and 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Addressing subtle threats to validity in quantitative counseling research
Finch et al. Applied psychometrics using SPSS and AMOS
US8816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anomaly detection process in assessments
Anderson-Butcher et al. The development of the perceived school experiences scale
Ritchie et al. Proactive crisis planning: Lessons for the accommodation industry
Hogan et al. The effect of manual handling training on achieving training transfer, employee's behaviour change and subsequent reduc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sborne et al. Within the limits of civic training: Educ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and political attitudes
Williams Commentary: The construct validity of ‘camouflaging’in autism: Psychometric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reflection on Lai et al.(2020)
Park et al. Validity evidence for a patient note scoring rubric based on the new patient note format of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Grevenstein et al. Longitudinal 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sense of coherence and general self-efficacy in adolescence
Tonsing Instructor immediacy and statistics anxiety in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Zhang et al. Developing a psychometric instrument to measu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job demands and resources
Avdagic et al.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a Delphi study to reach consensus on definitions, measurement and interventions to build resilience
Ermakova et al. EXPLORING THE IMPACT OF READABILITY OF PRIVACY POLICIES ON USERS’TRUST
Larsen et al. Subjective job task analyses for physically demanding occupations: What is best practice?
Braun Performance-based assessment of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Shogren et al. Refining the supported decision making inventory
Olak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smart mobile technology, safety knowledge and propensity to follow safe practices at work
KR101716925B1 (ko) 부정행위 방지 및 심리검사 결과의 향상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e Mello et al. Investigating the social representations of code smell identification: a preliminary study
Fogarty et al. A demands–resources view of safety climate in military aviation
Phillips et al. Decisional styles and online study activity: efficient, inefficient, misdirected or avoidant
Miller et al. Conceptualizing a mobile app for foster youth transitioning to adulthood: A mixed-method approach
De Kock et al. A closer look at the measurement of dispositional reasoning: Dimensionality and invariance across assessor groups
Bricker et al. Developmental screening measures: Stretching the use of the ASQ for other assessment purpo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4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18

Effective date: 201611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