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732B1 -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732B1
KR101715732B1 KR1020150040888A KR20150040888A KR101715732B1 KR 101715732 B1 KR101715732 B1 KR 101715732B1 KR 1020150040888 A KR1020150040888 A KR 1020150040888A KR 20150040888 A KR20150040888 A KR 20150040888A KR 101715732 B1 KR101715732 B1 KR 10171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moving
gear
block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410A (ko
Inventor
김경환
최성광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주) 주안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주안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주안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4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73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6Bench 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1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에 설치되며, 복수의 공작물을 한번의 조작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장치는 다량의 공작물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어 공작물의 가공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공작물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Workpie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에 설치되며, 복수의 공작물을 한번의 조작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가공을 위한 선반 등 공작기계는 고정장치를 통해 공작물을 고정한다. 이러한 공작물의 고정은 상호 이격거리의 조정이 가능하고 공작물의 일측과 타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턱(Jaw)으로 구성되는 바이스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바이스의 두 개의 턱은 수동식, 전동식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며, 양쪽이 상호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공작물을 고정시킨다.
한편,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공작물을 두 개의 턱 사이에 안착하고 두 개의 턱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공작물을 고정하며, 선반작업이 종료한 뒤에는 다시 두 개의 턱의 이격거리를 다시 조정하여 공작물의 고정을 해제하므로, 공작물의 고정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따라서 전체적인 공작물의 가공시간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량의 공작물에 대하여 선반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공작물의 고정 및 고정해제에 매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제품 생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고정부재를 통해 복수의 공작물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작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프레임을 가지는 베이스지지대; 상기 베이스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블럭;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상에서 상기 베이스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럭과 상호작용하여 복수의 공작물을 고정하는 이동블럭;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이동블럭 각각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공작물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턱(Fixed Jaw)과 이동턱(Movable Jaw);
상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고정턱과 상기 이동턱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일측부는 상기 이동턱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작물 중 하나를 가압 고정하는 일측부와, 상기 고정턱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작물 중 다른 하나를 가압 고정하는 반대측부를 가지는 센터턱; 및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럭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키는 이동블럭이송부;를 포함하는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정턱, 상기 이동턱 및 상기 센터턱은 각각 모서리 부분에 상기 공작물이 안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홈부에 공작물이 안착되도록 하여 더욱 정밀한 공작물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고정턱, 상기 이동턱 및 상기 센터턱은 각각 상기 이동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럭의 상기 측부에는 상기 고정턱이 설치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상기 측부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턱이 설치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일측은 상기 이동블럭이송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센터턱과 결합하며, 상기 이동블럭이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센터턱과 상기 고정턱 간에 형성되는 제1간격과 상기 센터턱과 상기 이동턱 간에 형성되는 제2간격이 동일함을 유지하면서 상기 센터턱이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센터턱이송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럭이송부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센터턱이송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와 설정된 기어비로 치합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서브 샤프트와, 상기 센터턱의 밑면에 마련되고 상기 서브 샤프트와 결합하여 상기 센터턱을 이동시키는 결합부를 포함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서브 샤프트와 상기 결합부는 한 쌍이되, 상기 한 쌍의 서브 샤프트는 각각 상기 메인 사프트의 양 측방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부에는 상기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장치는 다량의 공작물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어 공작물의 가공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공작물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장치에서 이동턱과 센터턱이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작물 고정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공작물 고정장치가 축회전하여 공작물의 측면이 상부에 위치한 공작용 머신이 배치된 방향으로 향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는 선반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바이스 조립체로서 공작물을 고정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장치에서 이동턱과 센터턱이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100)는 베이스바디(110), 고정블럭(120), 이동블럭(130), 고정턱(140), 이동턱(150), 센터턱(160) 및 이동블럭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바디(110)는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을 가질 수 있다.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은 베이스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럭(120)은 베이스바디(11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바디(110)의 일단부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럭(120)은 베이스바디(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럭(120)은 실시예에 따라서 직사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블럭(130)은 고정블럭(120)과 상호작용하여 공작물(4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동블럭(130)은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 상에서 베이스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블럭(130)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윗면은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고, 밑면에는 후술할 메인 샤프트(170)와 결합하는 제1돌출결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작물(400)은 주로 자동차금형, 주강, 주물, 인서트와 같은 것들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블럭(130)과 고정블럭(120)이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이동블럭(130)과 고정블럭(120)은 상호 이격된 거리를 좁혀 공작물(400)을 압축하여 고정하거나, 상호 이격된 거리를 넓혀 공작물(4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턱(1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블럭(130)이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 상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여 상호 이격된 거리를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100)의 위에서 내려다 본 이동블럭(130)의 면적은 고정블럭(120)의 면적의 두 배 이상으로 클 수 있다. 즉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블럭(130)의 길이는 고정블럭(120)의 길이보다 두 배 이상으로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럭(120)은 베이스바디(110)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작물(400)을 고정시 큰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이동블럭(130)은 베이스바디(1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큰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동블럭(130)의 면적을 고정블럭(120)보다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블럭(130)이 이동하여 공작물(400)을 고정할 때 큰 압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턱(140)은 고정블럭(120)의 측부에 설치되어 공작물(400)을 가압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턱(150)은 이동블럭(130)의 측부에 설치되어 이동블럭(130)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여 공작물(400)을 가압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턱(140)과 이동턱(150)의 고정을 위해서 고정블럭(120) 및 이동블럭(130) 각각의 측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턱(140)과 이동턱(150) 각각에는 상기 결합홀과 대응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과 체결부는 나사, 볼트 등에 의하여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고정턱(140)과 이동턱(150)은 각각 고정블럭(120)과 이동블럭(13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공작물(400)의 싸이즈, 형상 등에 대응하는 고정턱(140)과 이동턱(150)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턱(140)와 이동턱(150)은 이동블럭(130)과 고정블럭(120)의 재질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턱(160)은 고정턱(140) 또는 이동턱(150)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터턱(160)은 고정턱(140)과 이동턱(150)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사각형인 로드의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턱(160)의 밑면에는 후술할 센터턱이송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2돌출결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턱(160)과 제2돌출결합부(211)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턱(160)과 제2돌출결합부(211)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센터턱(160)은 고정턱(140)과 이동턱(150) 사이에 배치된다. 센터턱(160)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센턴턱은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턱(140)과 센터턱(160) 사이에 배열할 수 있다.
센터턱(160)의 일측부는 이동턱(150)과 상호작용하여 복수의 공작물(400) 중 하나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센터턱(160)의 일측부에 반대측부는 고정턱(140)과 상호작용하여 복수의 공작물(400) 중 다른 하나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센터턱(160)과 고정턱(140) 또는 센터턱(160)과 이동턱(150)이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면서 공작물(400)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턱(140), 이동턱(150) 및 센터턱(160)은 각각 이동블럭(130) 및 고정블럭(120)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턱(140), 이동턱(150) 및 센터턱(160)은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작물(400)의 부피가 큰 경우 안정되게 공작물(4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블럭이송부는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럭이송부는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디(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메인 결합공(17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샤프트(170)는 이 메인 결합공(170a)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블럭(130)의 밑면에는 전술한 제1돌출결합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사프트의 외주면과 제1돌출결합부(131)의 내주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될 있으며, 이들은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 제1돌출결합부(131)는 메인 샤프트(170)와 나사결합하여 메인 샤프트(17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블럭(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블럭이송부는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메인 결합공(170a)과 메인 샤프트(170)와 이동블럭(130)의 밑면에 구비된 제1돌출결합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100)는 센터턱이송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센터턱이송부 역시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터턱이송부는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서브 샤프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디(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브 결합공(21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브 샤프트(210)는 이 서브 결합공(210a)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센터턱(160)의 밑면에는 전술한 제2돌출결합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제2돌출결합부(211)는 서브 샤프트(210)와 나사결합하여 서브 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블럭(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센터턱이송부는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서브 결합공(210a)과 서브 샤프트(210)와 이동블럭(130)의 밑면에 구비된 제2돌출결합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샤프트(170)와 서브 샤프트(210)는 서로 설정된 기어비로 치압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샤프트(170)가 회전하면 메인 샤프트(170)의 회전에 의하여 서브 샤프트(2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메인 샤프트(170)의 외주면에는 제1기어(2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서브 샤프트(210)의 외주면에는 제2기어(2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서브 샤프트(210)는 한 쌍일 수 있으며, 서브 샤프트(210)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2기어는(230)는 제1서브 샤프트(210')에 설치되는 제2-1기어(230a) 및 제2서브 샤프트(210")에 설치되는 제2-2기어(230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돌출결합부(211) 또한 제1서브 샤프트(210')와 센터턱(160)을 연결하는 제2-1돌출결합부(211a) 및 제2서브 샤프트(210")와 센터턱(160)을 연결하는 제2-2돌출결합부로(211b)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기어(220)와 제2-1기어(230a) 또는 제1기어(220)와 제2-2기어(230b)는 서로 치합하여 메인 샤프트(170)의 회전력을 각 서브 샤프트(210a, 210b)로 전달할 수 있다.
제1기어(220)와 제2-1기어(230a) 기어비 또는 제1기어(220)와 제2-2기어(230b)의 기어비는 센터턱(160)과 고정턱(140) 간에 형성되는 제1간격(A)과 상기 센터턱(160)과 상기 이동턱(150) 간에 형성되는 제2간격(B)이 동일함을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블럭(130) 및 센터턱(160)이 이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샤프트(170)가 2회전할 때 한 쌍의 서브 샤프트(210', 210")가 1.5회전하도록 기어비를 설정하여 이동블럭(130)이 이동하는 거리보다 센터턱(160)이 이동하는 거리를 더욱 작게 제작할 수 있다.
메인 샤프트(170)에 의하여 이동블럭(130)이 이동하는 거리보다 한 쌍의 서브 샤프트(210'. 210")에 의하여 센터턱(160)이 이동하는 거리가 작게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제1간격(A)과 제2간격(B)이 동일함을 유지하면서 이격 거리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센터턱(160)과 고정턱(140) 사이에서 고정되는 공작물(400)과 센터턱(160)과 이동턱(150) 사이에 고정되는 공작물(400)을 한번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공작물(400)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어 공작물(400)의 가공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공작물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샤프트(210', 210")는 각각 상기 메인 사프트의 양 측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턱(160)의 한 쌍의 제2돌출결합부(211 a, 211b)와 한 쌍의 서브 샤프트(210', 210")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결합 부분은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메인 샤프트(170)와 제1기어(220) 및 한 쌍의 제2기어(230a, 230b)에 의하여 한 쌍의 서브 샤프트(210', 210")가 각각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모두 센터턱(160)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공작물 고정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턱(140), 이동턱(150) 및 센터턱(160)은 각각 모서리 부분에 상기 공작물(400)이 안착되기 위한 홈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홈부(250)는 고정턱(140), 이동턱(150) 및 센터턱(16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홈부(250) 구조를 통하여 공작물(400)을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정밀도 높은 선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공작물 고정장치가 축회전하여 공작물의 측면이 상부에 위치한 공작용 머신이 배치된 방향으로 향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공작물 고정장치가 P 방향으로 축회전한 모습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라서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는 공작물(400)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베이스바디(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회전부는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는 베이스바디(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디(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회전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샤프트(300)는 이 회전 결합공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회전 샤프트(300)는 메인 샤프트(17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샤프트(300)를 중심축으로 한 베이스바디(110)의 회전에 의하여 공작물(400)의 측면이 공작용 머신(50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조를 통하여 공작물(400)을 한 번 고정함으로써 공작물(400)의 측면까지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정장치 110: 베이스바디
120: 고정블럭 130: 이동블럭
131: 제1돌출결합부 140: 고정턱
150: 이동턱 160: 센터턱
170: 메인 샤프트 170a: 메인 결합공
210: 서브 샤프트 211: 제2돌출결합부
210a: 서브 결합공 220: 제1기어
230: 제2기어 250: 홈부
300: 회전 샤프트 400: 공작물
500: 공작용 머신

Claims (8)

  1.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프레임을 가지는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블럭;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상에서 상기 베이스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럭과 상호작용하여 복수의 공작물을 고정하는 이동블럭;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이동블럭 각각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공작물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턱(Fixed Jaw)과 이동턱(Movable Jaw);
    상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고정턱과 상기 이동턱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턱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작물 중 하나를 가압 고정하는 일측부와, 상기 고정턱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작물 중 다른 하나를 가압 고정하는 반대측부를 가지는 센터턱;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럭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키는 이동블럭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일측은 상기 이동블럭이송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센터턱과 결합하며, 상기 이동블럭이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센터턱과 상기 고정턱 간에 형성되는 제1간격과 상기 센터턱과 상기 이동턱 간에 형성되는 제2간격이 동일함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기 이동블럭 및 센터턱이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센터턱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블럭이송부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턱이송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와 설정된 기어비로 치합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서브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서브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와, 상기 센터턱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서브 샤프트와 결합하여 상기 센터턱을 이동시키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샤프트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각각 치합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와 동시에 회전하는 제1서브 샤프트 및 제2서브 샤프트로 형성되며,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서브 샤프트에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1기어 및 상기 제2서브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2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제1서브 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서브 샤프트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센터턱을 이동시키는 제1돌출결합부 및 상기 제2서브 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서브 샤프트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센터턱을 이동시키는 제2돌출결합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와 제2-1기어의 기어비 또는 제1기어와 제2-2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센터턱과 상기 고정턱 간에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 상기 센터턱과 상기 이동턱간에 형성되는 상기 제2간격이 동일함을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블럭 및 상기 센터턱이 이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 상기 이동턱 및 상기 센터턱은 각각 모서리 부분에 상기 공작물이 안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 상기 이동턱 및 상기 센터턱은 각각 상기 이동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의 상기 측부에는 상기 고정턱이 설치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상기 측부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턱이 설치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샤프트와 상기 돌출결합부는 한 쌍이되, 상기 한 쌍의 서브 샤프트는 각각 상기 메인 사프트의 양 측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부에는 상기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KR1020150040888A 2015-03-24 2015-03-24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KR10171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88A KR101715732B1 (ko) 2015-03-24 2015-03-24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88A KR101715732B1 (ko) 2015-03-24 2015-03-24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10A KR20160114410A (ko) 2016-10-05
KR101715732B1 true KR101715732B1 (ko) 2017-03-27

Family

ID=5715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888A KR101715732B1 (ko) 2015-03-24 2015-03-24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5686A (zh) * 2017-10-18 2018-05-11 苏州利耀纳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多个装夹工位的虎钳
CN110756635A (zh) * 2019-11-22 2020-02-07 娄底市宝丰传动设备有限公司 一种数控转台式拉弯机用的固定装置
CN111761531B (zh) * 2020-07-10 2021-08-10 三变科技股份有限公司 铜排斜切割防变形定位装置及定位方法
CN112621793A (zh) * 2020-12-17 2021-04-09 刘卫华 一种自带感应式多工位生产精密夹具
JP6957780B1 (ja) * 2021-06-09 2021-11-02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異形棒材の把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273Y1 (ko) * 2002-10-25 2003-02-06 임순택 열쇠복제기의 바이스구조
JP2003225871A (ja) * 2002-02-04 2003-08-12 Tani Tec:Kk バイス
US20120217692A1 (en) * 2011-02-28 2012-08-3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bile measuring platform for precision measu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6863B2 (ja) * 1993-11-30 2002-11-18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印鑑材料用バイ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871A (ja) * 2002-02-04 2003-08-12 Tani Tec:Kk バイス
KR200303273Y1 (ko) * 2002-10-25 2003-02-06 임순택 열쇠복제기의 바이스구조
US20120217692A1 (en) * 2011-02-28 2012-08-3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bile measuring platform for precision measu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10A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732B1 (ko) 선반용 공작물 고정장치
EP2505302B1 (de) Lünette
EP3360633B1 (de) Vorrichtung und spann-gehäuse
EP3760352A1 (de) Ausgleichsspannfutter zum spannen von werkstücken für bearbeitungszentren
KR20170091205A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CN109605084B (zh) 一种型材的加工工装
KR101475188B1 (ko) 공작물 고정용 지그
EP2505303B1 (de) Lünette
EP1857239B1 (en) Machining centre for machining workpieces made of wood or the like.
EP2559507A1 (de) Manuell betätigbares Spannfutter
KR200482686Y1 (ko) 5축 가공용 바이스
KR101475187B1 (ko) 공작물 고정용 지그
KR101599513B1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EP3191376B1 (de) Flexibler werkstückträger
KR20170127676A (ko) 공작물의 내외경 가공용 툴스핀들장치
KR20130008260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링머신용 바이스
CN112025584A (zh) 一种用于机械制造的多功能夹具
EP2958694B1 (de) Schwenk-spannfutter
EP2260974B1 (de) Werkstückhalter für eine Planschleifmaschine
CN110893482B (zh) 一种型材通用钻模
US9272319B2 (en) Machining tool for machining sheet metal
DE102006015079B4 (de) Werkzeugmaschine
US8424428B2 (en) Tool head for a pipe cutting machine
US5460389A (en) Jaw assembly
TWM520424U (zh) 冲鋸複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