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188B1 - 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188B1
KR101715188B1 KR1020160029472A KR20160029472A KR101715188B1 KR 101715188 B1 KR101715188 B1 KR 101715188B1 KR 1020160029472 A KR1020160029472 A KR 1020160029472A KR 20160029472 A KR20160029472 A KR 20160029472A KR 101715188 B1 KR101715188 B1 KR 10171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ze
unit
sensor
main body
ga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창
Original Assignee
김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창 filed Critical 김재창
Priority to KR102016002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1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1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11Displa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6Game play aspects of gaming systems
    • G07F17/3262Player actions which determine the course of the game, e.g. selecting a prize to be won, outcome to be achieved, game to be play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lette arcade game machine with a free gift supply apparatus. The roulette arcade game machine comprises: a case; a rotating apparatus; a free gift supply apparatus; a pendulum motion sensor; an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lette arcade game machine can create an interest of a user through a roulette type game and free gift supply for winning, and can solve a problem that a corresponding number is difficult to be checked since a free gift number display unit is hidden by a free gift like before by installing the free gift display unit in a terminal of an installation rod to be exposed so as to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of the user.

Description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cade game machine,

본 발명은 룰렛방식의 게임과 당첨시의 경품배출을 통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해당번호가 경품에 가려 식별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한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lette-style arcade game machine having a prize dispensing device which induces a user's interest through a roulette-type game and a prize-winning prize at the time of winning, and eliminates the problem that the number is covered by a prize and is difficult to identify.

일반적으로 슬롯게임기는 카지노 등의 위락시설에 설치되어 게임을 위하여 소정의 게임매체(동전이나 지폐 등)를 투입하고, 조작수단(핸들이나 버튼)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패턴을 구비한 릴을 회전시킨 후 정지된 릴의 패턴의 조합에 대한 입상(당첨) 여부를 판단하여 입상(당첨) 시에는 사업소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배출하게 된다.In general, a slot game machine is installed in an amusement facility such as a casino and puts a predetermined game medium (a coin or a banknote) for a game, rotates a reel having a plurality of patterns by using operation means (handle or butto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prize is won for the combination of the pattern of the reel that is stopped afterwards, and the commodity provided by the establishment is discharged at the time of winning (winning).

이와 같은 종래의 슬롯게임기로는 등록특허 제10-1162765호(슬롯머신용 버튼장치)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7342호(탁상용 슬롯머신) 및 등록특허 제10-0700056호(다인용 동전투척 멀티게임기)가 있다.Such a conventional slot game machin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162765 (button device for slot machine), Patent Document 10-2003-0007342 (desktop slot machine) and Registration No. 10-0700056 Throwing multi-game machine).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게임 시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만 이루어지므로 단순한 게임방식에 식상하기 쉽고, 이로 인해 게임의 흥미도를 떨어뜨려 사용자의 기대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흥미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lated art, since the game is performed on only one display at the time of game, it is easy to play with a simple game method, which reduces the interest of the game and does not satisfy a user's expectation desire.

한편, 종래의 게임기의 경우 경품지급장치를 함께 구비한 것들도 존재하는데, 이 경품지급장치의 이송스크류에 끈을 매개로 매달린 경품이 해당 경품지급장치의 번호를 가리고 있어 번호의 식별이 상당히 어려웠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번호선택에 큰 불편함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ame machine, there are also those which are provided with a prizeword providing device, and the prizes suspended by a string on the conveying screw of the prizewater dispensing device obscure the number of the prize awarding device, The user has a great inconvenience in selecting the number.

본 발명은 룰렛방식의 게임과 당첨시의 경품배출을 통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해당번호가 경품에 가려 식별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한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roulette-type arcade game machine having a prizes payment device which induces a user's interest through a roulette-type game and a prize-winning prize when the prize is won,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회전체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 회전체와 구동유닛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와, 회전체가 1회전될 때마다 이를 감지해 출력하는 회전감지센서를 갖춘 회전장치;An electric clutch for interrupting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ing unit, and a rotation detecting sensor for sensing and outputting the electric power each time the rotating body rotates, Equipped rotating device;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경품을 이송하는 경품이송유닛과, 본체의 좌우에 설치되어 경품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경품을 가이드하는 경품가이더유닛과, 본체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경품번호표시부와, 본체에 설치되며 경품이송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경품을 감지하여 경품이송유닛의 동작을 멈추도록 배출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품배출감지센서와, 본체에 설치되며 경품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경품을 감지하여 경품이송유닛의 동작을 멈추도록 경품확인신호를 출력하는 경품확인센서를 갖춘 경품지급장치;A swing guide unit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for guiding the swing guided by the swing guide unit; A prize discharge detecting sens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etecting a prize discharged by the prize transfer unit and outputting a discharge detection signal so a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prize transfer unit; A prize supply device provided with a prize confirmation sensor for outputting a prize confirmation signal for sensing a prize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rize transfer unit;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원하는 당첨숫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입력부;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case to set a desired winning number;

상기 회전감지센서로부터의 출력 값을 카운팅하고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당첨숫자와 상호 비교하여 당첨여부를 결정하며, 당첨인 경우 해당 숫자가 표시된 경품지급장치의 이송유닛을 동작제어하여 경품을 배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fer unit of the prize dispensing apparatus, in which the number is display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prize.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회전체의 진자운동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진자운동감지센서와;A pendulum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endulum motion of the rotary body and outputting the detected pendulum motion to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회전체를 제동하는 제동기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braking mechanism tha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brake the rotating body.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샤프트의 내부 양단에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각각 구비되어 제어부의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aft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th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의 선단부와 말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를 따라 이송하는 경품이송유닛이 한계거리까지 이동시 이를 감지하여 경품이송유닛의 동작을 멈추도록 한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2 이송한계센서;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rst and a second feed limit sensor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dist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main body and detect a movement of the prizegransport unit along the main body to a limit distance and output a limit detection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prizegransport unit; And is reinforced.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케이스본체와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가 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고정되는 가이드바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guide bar disposed between the cas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is movably insta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urther reinforced.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경품가이더유닛은 폭 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ize guider un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djustable in width or height.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경품가이더유닛에는 경품을 가압하는 탄성체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ze guider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for pressing the prize.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경품번호표시부의 내부에 조명등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illumination lamp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prize number display s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에는 경품이송유닛의 이송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수동조작스위치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nual operation switch that can manually manipulate the feeding of the prizegood transfer unit.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룰렛방식의 게임과 당첨시의 경품배출을 통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장착대의 말단에 경품번호 표시부가 노출되게 설치해 줌으로서 종래와 같이 경품에 경품번호 표시부가 가려져 해당 번호의 확인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s interest through the game of the roulette type and the discharge of the prize at the time of winning, and the prize number display portion is exposed at the end of the mounting table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rize number display portion is covered and the confi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umber is difficult.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앵글은 장공에 의해 수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해지고, 가이드판은 앵글의 장공을 매개로 좌우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경품의 크기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폭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범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can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long hole, and the guide plate can be moved right and left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angle, so that the width and height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riz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rsatility in use is improved.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체가 경품의 측면을 가압해 줌에 따라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불법적으로 경품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유용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as the elastic body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priz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rize is released to the outside illegally, which is useful.

게다가, 본 실시 에에 의하면, 본체의 양단부에 제1·2 이송한계센서를 설치해 줌으로서 관리자는 쉽고 간편하게 부족한 경품을 다시 적재하면 되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구동수단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제품 간에 충돌로 인한 손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and second feed limit sensor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the manager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and easy to reload the deficient prize.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amage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더욱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제품 자체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동조작스위치에 의해 구동수단을 쉽고 간편하게 조작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product itself,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operate the driving means by the manual operation switch, You can exp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회전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경품지급장치에서 경품이송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front view of an arcade game machine of a roulette type having a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arcade game machine of a roulette type having a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roulette type arcade game machine having a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xtracted from a rotating device separately.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izewinning device for a game machine in a roulette-style arcade game machine equipped with a prizes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izewinning device for a game machine in a roulette-style arcade game machine equipped with a prizewi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izewinning apparatus for a game machine in a roulette-style arcade game machine provided with a prizewi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rizewinning device for a game machine in a roulette-style arcade game machine provided with a prizes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zegransport unit in the prizewinner of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izewinning device for a game machine in a roulette-style arcade game machine equipped with a prizewi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A to 11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 prize supply device for a game machine in a roulette-style arcade game machine having a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회전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roulette type arcade game machine having a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roulette type arcade game machine having a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roulette-type arcade game machine having a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는, 케이스(100)와 회전장치(200), 경품지급장치(300), 입력부(400) 및 제어부(5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입력부(400)를 매개로 당첨숫자를 선택한 상태에서 회전장치(200)를 돌려 선택한 숫자가 나오면 선택한 숫자가 표시된 경품지급장치(300)의 경품(g)을 배출하는 장치이다.
1 to 4, a roulette arcade game machine having a priz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00, a rotating device 200, a prize dispensing device 300, an input unit 400, When the user selects the winning number via the input unit 400 and rotates the rotary device 200, the prize g of the prize supplying device 300 is displayed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본체(110)와 투시창(120), 스피커(130) 및 화폐투입구(140)로 구성된다.
1 and 2, the case 100 includes a case body 110, a see-through window 120, a speaker 130, and a money input port 140.

상기 케이스본체(110)는 전면과 양 측면이 개방된 전체적으로 박스형태를 이루되, 전면 하부에는 경품(g)이 배출되는 배출구(111)가 형성되며, 배출구(111)에는 배출구(111)를 개폐할 수 있는 배출커버가 설치된다.The case body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having a front and both sides opened and a discharge port 111 through which a prize g is discharged is formed in a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A discharge cover is provided.

또한, 개방된 전면과 양 측면에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12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 viewing window 12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opened front and both sides so that the inside can be seen.

그리고, 상기 전면 중간 부분에는 레버(221)를 기준으로 좌측에 입력부(400)가 설치되고, 우측에 화폐투입구(140)가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음향이 방출되는 스피커(130)가 설치된다.An input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lever 221, a money input slot 14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a speaker 13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ever.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케이스본체(110)의 내부 상면에는 회전판(212)의 회전수가 표시되는 빌보드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a billboard on which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ry plate 212 is displaye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장치(200)는 회전체(210)와 구동유닛(220), 전자클러치(230) 및 회전감지센서(240)로 구성되며, 여기에 진자운동감지센서(250)와 제동기구(260), 레버정위치센서(270) 및 전자클러치동작센서(280)가 더 보강 구비된다.
1 to 4, the rotating device 200 includes a rotating body 210, a driving unit 220, an electromagnetic clutch 230, and a rotation detecting sensor 240, The lever 250 and the brake mechanism 260, the lever positive position sensor 270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action sensor 280 are further reinforced.

상기 회전체(210)는 샤프트(211)와 회전판(212), 휠(213) 및 감지편(214)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본체(110)에 샤프트(211)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유닛(220)에 의해 회전된다.The rotating body 210 includes a shaft 211, a rotating plate 212, a wheel 213 and a sensing piece 214. In this embodiment, the case body 110 is rotatable via a shaft 211, And is rotated by the drive unit 220.

상기 샤프트(211)는 내부가 관통된 축으로 분할된 2개의 축이 전자클러치(23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일단에는 회전판(212)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종동스프로킷(223)이 설치된다.The shaft 211 is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shaft via an electromagnetic clutch 230. The rotary shaft 212 is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driven sprocket 223 is connected at the other end. Respectively.

상기 회전판(212)은 샤프트(211)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이에 의하면 회전판(212)이 샤프트(211)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회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자중에 의해 항시 6시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rotation plate 212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end of the shaft 211. The rotation plate 212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end of the shaft 211. After the rotation is completed, 6 o'clock.

상기 휠(213)은 전자클러치(230)에 설치되어 전자클러치(230)와 함께 회전한다.The wheel 213 is mounted on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상기 감지편(214)은 휠(213)의 후면에 설치된다.
The sensing piece 214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heel 213.

일 예로서, 상기 휠(213)이 회전함에 따라 감지편(214)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회전감지센서(240)가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500)는 회전감지센서(240)로부터 전달받은 출력 값을 빌보드(예:전광판-미도시)를 통해 회전판(212)의 회전수를 실시간으로 카운트해준다.As the wheel 213 rotates, the detection piece 214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sensor 240. The rotation sensor 240 detects the rotation of the wheel 213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500. The control unit 500 detects the rotation The output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240 is counted in real time by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ry plate 212 through a billboard (for example, an electric signboard-not shown).

참고로, 상기 휠(213)은 샤프트(211)에 전자클러치(230)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휠(213)이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211)의 일단에 고정된 회전판(212)이 회전하게 되므로 휠(213)의 회전수가 곧 회전판(212)의 회전수가 된다.Since the wheel 213 is fixed to the shaft 211 via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when the wheel 213 rotates, the rotating plate 212 fixed to one end of the shaft 211 rotat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wheel 213 soon becom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evolving plate 212.

따라서, 게임이용자는 실시간으로 카운트되는 빌보드(미도시)를 통해 직감적으로 회전판(212)의 회전수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흥미를 더욱더 유발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gam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ry plate 212 through the billboard (not shown) counted in real time, thereby further inducing interest.

상기 구동유닛(220)은 레버(221)와 구동스프로킷(222), 종동스프로킷(223), 체인(224), 연동스프로킷(225) 및 스프링(226)으로 구성되어 회전체(21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drive unit 220 includes a lever 221 and a drive sprocket 222, a driven sprocket 223, a chain 224, an interlocking sprocket 225 and a spring 226 to rotate the rotating body 210 Function.

상기 레버(221)는 케이스(100)에 내설된 축지지부(221a)에 축(S)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말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lever 221 is rotatably mounted on a shaft support portion 221a provided in the case 100 via an axis S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lever 22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be gripped by a user.

상기 구동스프로킷(222)은 레버(221)의 축(S)에 고정되어 레버(221)에 의해 회전된다.The drive sprocket 222 is fixed to the axis S of the lever 221 and is rotated by the lever 221.

상기 종동스프로킷(223)은 샤프트(211)의 말단부에 고정되며 구동스프로킷(2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체(21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driven sprocket 223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shaft 211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sprocket 222 to rotate the rotating body 210.

특히, 상기 샤프트(211)와 종동스프로킷(223) 사이에는 일방향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종동스프로킷(223)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a one-way bearing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211 and the driven sprocket 223 so that the driven sprocket 223 can be rotated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체인(224)은 구동스프로킷(222)과 종동스프로킷(223)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222)의 회전력을 종동스프로킷(223)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The chain 224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drive sprocket 222 and the driven sprocket 223 an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procket 222 to the driven sprocket 223. [

상기 연동스프로킷(225)은 구동스프로킷(222)과 종동스프로킷(223)을 상호 연결시켜주기 위한 매개체로서, 통상의 베벨기어이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interlocking sprocket 225 is a medium for connecting the drive sprocket 222 and the driven sprocket 223 to each other, and is a conventional bevel gear and is constituted by a pair.

일 예로서, 한 쌍의 연동스프로킷(225) 중 어느 하나는 구동스프로킷(222)과 체인(224)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종동스프로킷(223)과 체인(224)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One of the pair of interlocking sprockets 225 is interconnected via a drive sprocket 222 and a chain 224 and the other is interlocked via a follower sprocket 223 and a chain 224, .

따라서, 상기 구동스프로킷(222)이 회전하게 되면 이와 체인(224)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연동스프로킷(225)이 회전하게 되고, 연동스프로킷(225)이 회전에 의해 체인(224)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종동스프로킷(223)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e sprocket 222 rotates, the interlocking sprockets 225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hain 224 are rotated, and the interlocking sprockets 22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chain 224 by rotation The driven sprocket 223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상기 스프링(226)은 일단이 구동스프로킷(2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스본체(110)에 설치되어 축(S)을 중심으로 회전된 구동스프로킷(222)을 초기상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spring 226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sprocket 222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 the case body 110 to restore the driving sprocket 222 rotated about the axis S to an initial state .

상기 전자클러치(230)는 회전체(210)의 샤프트(211)와 종동스프로킷(223)의 축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유닛(22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회전체(210)로 전달 및 차단하는 기능 즉, 단속기능을 한다.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shaft 211 of the rotating body 210 and the driven sprocket 223 so as to transmit and block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unit 220 to the rotating body 210 , Intermittent function.

참고로, 상기 전자클러치(230)에는 회전체(210)의 휠(213)이 고정된다.
For reference, the wheel 213 of the rotating body 210 is fixed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한편, 상기 회전체(210)의 회전판(212)과 휠(213)은 회전력이 소진될 때까지 회전을 하다가 어느 순간부터는 진자운동(시계추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진자운동(시계추운동)이 멈출 때까지 사용자는 기다려야 함은 물론 다음 게임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Meanwhile, the rotating plate 212 and the wheel 213 of the rotating body 210 rotate until the rotational force is exhausted, and then, the pendulum movement (watch movement) is performed from a certain moment, The user has to wait until the game is stopped, and the next game can not be performed quickly.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진자운동(시계추운동)감지 시 이를 제어부(500)로 출력하는 진자운동감지센서(250)와,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휠(213)을 제동하는 제동기구(260)를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endulum movement detection sensor 250 outputs a pendulum motion sensed by the controller 500 to the controller 500, and a braking mechanism (not shown) that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500 to brake the wheel 213 260) is further reinforced so that the inconvenience described above is solv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자운동감지센서(250)는 샤프트(211)에 고정되는 엔코더(251)와 엔코더(252)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엔코터감지부(252)로 구성된다.3 and 4, the pendulum motion sensor 250 includes an encoder 251 fixed to the shaft 211 and an encoder detection unit 252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encoder 252 .

상기 제동기구(260)는 솔레노이드(261)와 브라켓(262) 및 롤러(263)로 구성되어 진자운동(시계추운동)하는 휠(213)에 제동을 걸어주는 기능을 한다.The braking mechanism 260 includes a solenoid 261, a bracket 262, and a roller 263 to brake the wheel 213 that is pivotally moved.

상기 솔레노이드(261)는 케이스(100)에 설치되며, 명확하게는 휠(2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The solenoid 261 is installed in the case 100, and is clearly positioned above the wheel 213,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상기 브라켓(262)은 케이스(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솔레노이드(261)에 의해 회동된다.The bracket 26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100 and is rotated by a solenoid 261.

상기 롤러(263)는 브라켓(26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솔레노이드(261)에 의해 하강하여 진자운동(시계추운동)하는 휠(213)의 둘레면을 가해 제동을 걸어주는 기능을 한다.The roller 26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 262 and functions to apply a braking force by apply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3 which is lowered by the solenoid 261 to perform a pendulum movement (watch movement).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휠(213)의 진자운동(시계추운동)을 진자운동감지센서(250)가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261)를 동작제어하며, 솔레노이드(261)는 브라켓(262)과 롤러(263)를 하강시켜 휠(213)의 둘레면을 가압해 진자운동(시계추운동)을 멈추도록 유도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ndulum motion sensor 250 detects the pendulum motion of the wheel 213 and outputs the motion to the controller 500.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solenoid 261 , The solenoid 261 lowers the bracket 262 and the roller 263 to press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213 to induce stopping the pendulum movement (watch movement).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게임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게임이용자의 게임흥미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 game waiting time can be shortened by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game interest of the game user can be solved.

한편, 상기 회전판(212)에는 복수의 LED(212a)가 설치되며 게임대기중이나 게임동작시 다채로운 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호객행위를 하거나 게임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LEDs 212a are installed on the rotary plate 212 so that colorful light can be emitted during a game waiting or a game operation, thereby enhancing the interest of a game or a game.

이때, 상기 회전판(212)에 설치된 LED(212a)의 다채로운 조명연출은 제어부(500)에서 통제할 수 있는데, 이때 전선을 매개로 제어부(500)의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회전하는 샤프트(211)에 의해 전선이 꼬여버리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the LEDs 212a provided on the rotary plate 212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At this time, when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s are twisted.

이에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샤프트(211)의 양단에 RF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송신부(RF1)와 수신부(RF2)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RF1 and the receiver RF2 are provided to both ends of the shaft 211 to transmit and receive RF signals, thereby solving the above problems.

그리고, 상기 전선을 매개로 LED(212a)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이 역시 회전하는 샤프트(211)로 인해 전선이 꼬여버리는 문제가 있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212a through the electric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wire is twisted due to the rotating shaft 211 also.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샤프트(211)에 고정권선링(215)을 설치하여 샤프트(211)의 회전시 전원이 LED(212a)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으며, 여기서 고정권선링(215)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4685호(빛을 발하는 방향지시자를 갖춘 타격게임기)에서 식별번호[67]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winding ring 215 is installed on the shaft 211 to smoothly supply the power to the LED 212a when the shaft 211 rotates. Thus, Here, the fixed winding ring 215 is already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94685 (a batting game machine equipped with a shining direction indicator)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67], so that fur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레버(221)를 축(S)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이후에는 스프링(226)에 의해 복원되는데,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스프링(226)이 늘어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레버(221)가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레버(221)를 매개로 구동스프로킷(2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충분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회전체(210)가 원활하게 돌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게임의 흥미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lever 221 is rotated about the axis S, the spring 226 is restored by the spring 226. The spring 226 may be extended by repeated use, Is not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is state, if the driving sprocket 220 is rotated through the lever 221, it is not possible to transmit a sufficient rotational force. Therefore, the rotating body 210 does not rotate smoothly, Can be.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레버(221)의 정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레버정위치센서(270)를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r position sensor 270 capable of sensing the correct position of the lever 221 is reinforc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상기 레버정위치센서(270)는 리밋스위치(limit switch),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등과 같은 접촉식 센서 또는 광센서(optical sensor) 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중에서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고 센싱기능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축지지부(221a)에 설치해 주었다.The lever position sensor 270 may be a contactless sensor such as a limit switch or a micro switch or a non-contact sensor such as an optical sensor. In this embodiment, A micro switch having a relatively low cost and easily obtained and having a good sensing function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221a.

참고로, 상기 레버(211)가 레버정위치센서(270)에 접촉하게 되면, 레버정위치센서(27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된다.
When the lever 2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ever positive position sensor 270, the lever positive position sensor 270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500.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레버정위치센서(270)를 보강해 줌에 따라 항상 레버(221)가 정위치된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운영이 보다 원활해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lever positive position sensor 270 is reinforced as described above, the game can be progressed in a state where the lever 221 is always positively position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ame operation becomes smooth.

한편,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 사용자가 레버(221)를 잡고 게임을 진행해야함에도 불구하고, 타격(예:발로 차는 경우)으로 레버(221)를 조작하여 기계에 무리는 줌으로서 게임기가 손상되는 문제가 종종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urse of the game, although the user has to advance the game by holding the lever 221,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lever 221 in case of hitting (e.g. kicking) .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레버(211)의 손잡이 부분에 사용자가 직접 파지했을 때에만 게임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전자클러치동작센서(280)를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clutch operation sensor 280 is reinforced so that the game can proceed only when the user directly grasps the handle portion of the lever 211, thereby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상기 전자클러치동작센서(280)는 리밋스위치(limit switch),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등과 같은 접촉식 센서 또는 광센서(optical sensor) 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중에서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고 센싱기능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레버(221)의 손잡이 내에 설치해 주었다.The electromagnetic clutch operation sensor 280 may be a contactless sensor such as a limit switch or a micro switch or a non-contact sensor such as an optical sensor. In this embodiment, A micro switch having a relatively low cost and easily obtained and having a good sensing function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lever 221 so as to be installed in the handle of the lever 221.

참고로, 상기 레버(211)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면, 손잡이에 내설된 전자클러치동작센서(280)가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전자클러치(230)를 동작제어하여 종동스프로킷(223)과 회전체(210)의 샤프트(211)를 연결시키게 된다.
When the handle of the lever 211 is grasped by the user, the electromagnetic clutch operation sensor 280 installed in the handle senses it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500.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So that the driven sprocket 223 and the shaft 211 of the rotating body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레버(211)의 손잡이 내에 전자클러치동작센서(280)를 설치해 줌에 따라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게임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illegally proceeding with the game by installing the electromagnetic clutch movement sensor 280 in the handle of the lever 211 as described above, and to prevent the game machine from being damaged in advan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한편, 상기 케이스(100)에는 경품(g)을 지급하는 복수의 경품지급장치(300)가 다열종대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100, a plurality of prizes dispensing devices 300 for dispensing prizes g are provided in multiple row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경품지급장치에서 경품이송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game device payout device in a roulette type arcade game device having a payo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roulette type arcade game device having a payo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game device payout device in a roulette-style arcade game device provided with a payo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 FIG. 9 is a side eleva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zegood transfer unit in the prizegood dispenser of FIG. 8; and FIG. 9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prizegood transfer unit of FIG. ,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izewinning game for a game machine in a roulette-type arcade game machine equipped with a prizes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ther embodiment, Figure 11a to Figure 11d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rize dispensing device for game machine in the arcade game of roulette manner with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상기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300)는 본체(310)와 경품이송유닛(320), 경품가이더유닛(330), 경품번호표시부(340), 경품배출감지센서(350) 및 경품확인센서(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에 제1·2 이송한계센서(370,380)와 수동조작센서(390) 및 가이드바(100')가 더 보강된다.
5 to 11D, the game device awarding apparatus 300 includes a main body 310, a prizegood transfer unit 320, a prize guider unit 330, a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a prize discharge detection sensor 350 and a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imit sensors 370 and 380 and the manual operation sensor 390 and the guide bar 100 'are further reinforced.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310)는 베이스부(311)와 장착부(312) 및 거치부(313)로 구성된 조립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본체(110:도 1 참조)에 내설된다.
5 to 8, the main body 310 is an assembly composed of a base portion 311, a mounting portion 312 and a mounting portion 313. In this embodiment, the case body 110 (see FIG. 1) It is spoken.

상기 베이스부(311)는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타입의 프레임으로서, 양 측면 내부에는 체결편(311a)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이 체결편(311a)에는 앵글(331)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볼트(도 6 참조), 장착부(312)와 거치부(313)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볼트(도 6 참조)가 각각 체결된다.The base portion 311 is a bar type fram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 fastening piece 311a is movably received in both side surfaces thereof. The fastening piece 311a is provided with screws Bolts (see Fig. 6), and screw bolts (see Fig. 6) for fixing the mounting portion 312 and the mounting portion 313 are respectively fastened.

또한, 상기 베이스부(311)에는 경품이송유닛(320)의 벨트(324)가 길이방향으로 내설되어 보호되는데, 이 벨트(324)에는 밀대(325)가 고정되며, 여기서 밀대(325)는 베이스부(311)의 상면 내부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A belt 324 of the prizegransport unit 320 is secured to the base portion 311 by inserting the belt 32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nger 325 is fixed to the platen 324, Is slidably coupled to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31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장착부(312)와 거치부(313)는 박스타입의 프레임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부(311)의 양단부 즉, 선단부(도 7 기준으로 좌측)와 말단부(도 7 기준으로 우측)에 각각 끼워져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고정된다.The mounting portion 312 and the mounting portion 313 are box-type frames which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3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at the distal end portion (left side in FIG. 7) And is fastened through fastening means (screw bolts).

여기서, 상기 장착부(312)는 베이스부(311)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경품이송유닛(320)의 구동수단(321)과 구동풀리(322) 및 제2이송한계센서(38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mounting portion 312 is fix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11 to protect the drive means 321 of the prizm transfer unit 320 and the drive pulley 322 and the second transfer limit sensor 380 do.

또한, 상기 장착부(312)에는 수동조작스위치(390)가 설치된다.
Further, a manual operation switch 39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312.

상기 거치부(313)는 베이스부(311)의 말단부에 고정되어 경품이송유닛(320)의 종동풀리(323)와 경품배출감지센서(350), 경품확인센서(360) 및 제1이송한계센서(37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stationary part 313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base part 311 and includes a driven pulley 323 and a prize discharge detection sensor 350, a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370).

또한, 상기 거치부(313)에는 경품번호표시부(34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313. [

일 예로서, 상기 장착부(312)는 케이스본체(110)에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직접 설치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100')를 매개로 케이스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장착부(312)와 가이드바(100') 간의 연관관계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0, the mounting portion 312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case body 110 via fastening means (screw bolts), or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body 110 'through the guide bar 100' ,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312 and the guide bar 1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 경품이송유닛(320,320')은 크게 풀리방식과 스크류방식으로 나뉘며, 먼저 풀리방식을 설명한 다음 이어서 스크류방식을 설명하다록 한다.The prize transfer units 320 and 320 'are largely divided into a pulley system and a screw system. First, a pulley system will be described, followed by a screw system.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경품이송유닛(320)은 구동수단(321)과 구동풀리(322), 종동풀리(323), 벨트(324) 및 밀대(325)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310)에 설치되어 적재된 경품(g)을 밀어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5 to 8, the prizegood transfer unit 320 includes drive means 321, a drive pulley 322, a driven pulley 323, a belt 324, and a plunger 325, In the case of the example, it functions to push out the prized product (g)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310) and loaded.

상기 구동수단(321)은 정역 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부(312)에 내설되어 구동풀리(322)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driving means 321 is a servomotor capable of normal / reverse rotation.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321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312 to rotate the driving pulley 322.

상기 구동풀리(322)는 장착부(312)에 내설되어 구동수단(32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The driving pulley 322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312 and is rotatably fixed to the driving means 321.

상기 종동풀리(323)는 거치부(313)의 내부에 배치되어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driven pulley 323 is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313 and is rotatably installed via a shaft.

상기 벨트(324)는 베이스부(311)에 내설되어 구동풀리(322)의 동력이 종동풀리(323)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이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The belt 324 is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311 and functions to connect the driving pulley 322 so that the power of the driving pulley 322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en pulley 323.

상기 밀대(325)는 벨트(324)에 고정되어 경품(g)을 밀어주는 부재이다.The plunger 325 is a member that is fixed to the belt 324 and pushes the prize g.

일 예로서, 상기 밀대(325)는 벨트(324)를 중심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고정대(325a)가 각각 배치되며 나사볼트를 매개로 상호 조립되어 샌드위치방식으로 벨트(324)에 고정된다.
As an example, the plunger 325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lt 32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lunger 325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lunger 325, and is fixed to the belt 324 in a sandwich manner.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경품이송유닛(320')은 구동수단(326)과 리드스크류(327) 및 이송블록(328)으로 구성된다.9, the prizegood transfer unit 320 'is composed of a driving means 326, a lead screw 327 and a transfer block 328.

상기 구동수단(26)은 정역 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부(312)에 내설되어 축(326a)을 매개로 리드스크류(327)와 연결되어 리드스크류(327)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driving means 26 is a servomotor capable of normal / reverse rot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26 is connected to the lead screw 327 via a shaft 326a in the mounting portion 312 to move the lead screw 327 forward As shown in FIG.

상기 리드스크류(327)는 본체(310)의 베이스부(311)에 길이방향으로 내설되어 이송블록(328)을 전/후진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lead screw 327 is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311 of the main body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ward / backward the transport block 328.

일 예로서, 상기 리드스크류(327)의 일단은 구동수단(26)의 축(326a)에 고정되고 타단은 베이스(311)의 내측 단부에 설치된 베어링(B)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One end of the lead screw 327 is fixed to a shaft 326a of the drive means 26 and the other end of the lead screw 327 is rotatably fixed to a bearing B provided at an inner end of the base 311. [

상기 이송블록(328)은 리드스크류(327)에 결합되어 리드스크류(327)에 의해 전/후진되며, 이에 의해 밀대(325)가 전/후진하게 된다.The transport block 328 is coupled to the lead screw 327 and forward / backward by the lead screw 327, thereby causing the plunger 325 to move back and forth.

그리고, 상기 이송블록(328)의 상면에는 밀대(325)가 설치된다.
A plunger 325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block 328.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경품가이더유닛(330)은 앵글(331)과 가이드판(332)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310)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설치되어 경품(g)을 거치하기 위한 공간 형성 및 경품(g)의 이송시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5 to 8, the prize guider unit 330 includes an angle 331 and a guide plate 332. In this embodiment, the prize guider unit 330 is install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10, And guiding it so that it does not fall out when the prized product (g) is fed.

상기 앵글(331)은 대략‘ㄱ’자 모양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부(311)의 측면에 배치되어 체결편(311a)에 체결되는 나사볼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The angle 331 is a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A' shape, a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3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ough a screw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piece 311a.

상기 가이드판(332)은 대략‘ㄴ’자 모양을 갖는 부재로서, 앵글(331)의 상면에 안착되어 나사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장착부(332a)와, 장착부(332a)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332b)로 구성된다.
The guide plate 332 is a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b" -shaped shape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32a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331 and fixed via a threaded bolt, And a guide portion 332b.

한편, 상기 경품가이더유닛(330)은 경품(g)의 크기에 따라 폭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좋다.Meanwhile, the prize guider unit 330 may adjust the widt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ze g.

일 예로서, 상기 앵글(331)에는 베이스부(311)의 측면에 맞대어지는 면과, 장착부(332a)가 얹혀지는 면에 각각 장공(331a)이 일체로 형성된다.As an example, the angle 33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ong hole 331a on a surface abutting against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1 and a surface abutting the mounting portion 332a.

이에 따라, 상기 앵글(331)은 장공(331a)에 의해 수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해지고, 가이드판(332)은 앵글(331)의 장공(331a)을 매개로 좌우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경품(g)의 크기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폭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범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angle 331 can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long hole 331a and the guide plate 332 can move left and right through the long hole 331a of the angle 331. Therefore, The width and height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ly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use.

한편, 상기 경품가이더유닛(330)에 경품(g)이 적재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자칫 경품(g)이 거치부(323)를 통해 낙하될 우려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판(332)의 가이드부(332b)에 탄성체(332c)를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In the meantime, when the prize g is loaded on the prize guider unit 330, when the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prize g may fall through the receiving part 323.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332c is further reinforced to the guide portion 332b of the plate 332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여기서, 상기 탄성체(332c)는 통상의 판 스프링이다.Here, the elastic body 332c is a conventional leaf spring.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체(332c)가 경품(g)의 측면을 가압해 줌에 따라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불법적으로 경품(g)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유용하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as the elastic body 332c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prize 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illegally releasing the prize g to the outside, which is useful.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경품번호표시부(340)는 본체(341)와 커버(342) 및 조명등(343)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거치대(313)의 말단에 설치되어 해당 경품지급장치의 번호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품(g)의 유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겸한다.5 to 8,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ncludes a main body 341, a cover 342, and an illumination lamp 343. In this embodiment,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radle 313, And also displays the number of the payment apparatus and visually display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ize (g).

참고로, 상기 경품번호표시부(340)는 거치대(313)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cradle 313 o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일 예로서, 이후에 설명될 경품확인센서(360)의 경품확인신호가 제어부(500)로 출력되면 제어부(500)는 경품번호표시부(340)의 조명등(343)을 켜게 되고, 반대로 제어부(500)는 경품확인센서(360)로부터 경품확인신호를 전달받지 못하게 되면 경품번호 표시부(340)의 조명등(343)을 끄게 된다.As an example, when a prize confirmation signal of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to be described later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500, the control unit 500 turns on the illumination lamp 343 of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f the priz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the illumination lamp 343 of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turned off.

따라서, 관리자나 사용자는 경품번호 표시부(340)의 점등유무를 통해 경품(g)의 유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manager or the user can intuitive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prize (g) exists by checking whether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turned on or off.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대(313)의 단부에 경품번호표시부(34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경품(g)에 경품번호표시부(340)가 가려져 있어 해당 번호의 확인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radle 313 and is expos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as a pipe,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hidden in the prize g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number is difficult.

한편, 상기 경품(g)이 경품이송유닛(320)의 밀대(325)에 의해 배출되면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여 필요 이상의 경품(g)이 무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ized product g is discharged by the pusher 325 of the prizegood transfer unit 320, it is necessary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to block the unauthorized discharge of the prized product g more than necessary .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본체(310)의 거치부(313)의 말단을 통해 배출되는 경품(g)이 감지되면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즉시 멈추도록 배출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품배출감지센서(350)를 보강하여 이를 해소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prize g discharged through the end of the stationary part 313 of the main body 310 is sensed, a prize discharge detection signal for outputting a discharge sensation signal to immediately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nsor 350 is reinforced and solved.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경품배출감지센서(350)는 리밋스위치(limit switch),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등과 같은 접촉식 센서 또는 광센서(optical sensor) 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중에서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고 센싱기능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거치부(313)의 내부에 설치해 주었다.
5 to 8, the prize discharge sensor 350 may be any one of a contactless sensor such as a limit switch, a micro switch, etc., or a non-contact sensor such as an optical sensor In this embodiment, the micro switch,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but easily obtainable and has excellent sensing function,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part 313.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321)에 의해 구동풀리(322)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풀리(322)의 회전에 의해 벨트(324)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종동풀리(323)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벨트(324)에 고정된 밀대(325)가 함께 이동되면서 경품(g)을 밀어 배출하게 된다.The driving pulley 322 is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321 and the driven pulley 323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belt 32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pulley 322 At this time, the pusher 325 fixed to the belt 324 is moved together to push out the prizes g.

그리고, 상기 경품(g)은 배출되는 과정에 경품배출감지센서(350)를 건드린 후에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경품배출감지센서(350)가 경품(g)을 감지하게 되면 배출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즉시 멈추도록 제어하게 됨에 따라 더 이상 밀대(325)에 의해 경품(g)의 이송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rize discharge sensor 350 senses the prize g, the prize g is dropped by touching the prize discharge sensor 350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21 to be stopped immediately so that the transfer of the prize g is no longer carried out by the plunger 325. [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필요 이상의 경품(g)이 무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Therefore, it is very useful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authorized discharge of the prized product g more than necessary by the above-described action.

한편, 상기 경품가이더유닛(330)에 적재된 경품(g)이 모두 소진된 경우 해당 경품지급장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하여 당첨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품(g)이 없어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ize goods g loaded on the prize guider unit 330 is exhausted, the user can not select the prize payment device,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prize can not be acquired due to the absence of the prize g There is a need.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경품(g)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경품확인센서(360)를 보강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problem is solved by reinforcing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which can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ize g.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경품확인센서(360)는 리밋스위치(limit switch),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등과 같은 접촉식 센서 또는 광센서(optical sensor) 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중에서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고 센싱기능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본체(310)의 거치부(313) 내부에 설치해 주었다.
5 to 8,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may be any one of a contact-type sensor such as a limit switch, a micro switch, or a non-contact type sensor such as an optical sensor In this embodiment, a micro switch having a relatively low price,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and is excellent in sensing function, is selectively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313 of the main body 310.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경품배출감지센서(350)에 의해 구동수단(321)이 동작을 멈추게 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를 동작시켜 구동풀리(322)와 종동풀리(323) 및 벨트(324)를 매개로 밀대(325)를 이송시키게 되며, 밀대(325)에 의해 경품가이드유닛(30)에 적재된 경품(g)이 자연스럽게 이송하게 되면서 이 과정에 경품(g)이 경품확인센서(360)를 건드리게 되면 경품확인센서(360)는 이송되는 경품(g)을 감지하여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멈추도록 경품확인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즉시 멈추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is stopped by the prize discharge detection sensor 350, and 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driving means 321 according to a program se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o that the swing g is loaded naturally on the swing guide unit 30 by the plunger 325. The plunger 325 moves the plunger 325 via the drive pulley 322, the driven pulley 323 and the belt 324, When the prize g is touched by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in this process,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senses the prize g to be transferred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To the control unit 500, so that the control unit 500 immediate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21.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경품번호표시부(340)에 실장된 조명등(343)을 켜게 되고, 관리자와 사용자는 점등되어 있는 경품번호표시부(340)를 보고 경품(g)의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turns on the illumination lamp 343 mounted on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so that the manager and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ize g by checking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

반대로, 일정시간 동안 경품확인센서(360)가 경품(g)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500)는 경품(g)이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품번호표시부(340)에 실장된 조명등(343)을 점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당 경품지급장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하여 당첨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품(g)이 없어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면서 사용자에게 게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관리자는 불이 꺼져있는 경품번호표시부(340)를 보고 경품(g)을 채워넣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can not detect the prize g (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that the prize g is exhausted and displays the prize lamp 343 mounted on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t is possible not only to not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prize payment apparatus but also to reliably solve the problem that the prize can not be acquired due to the absence of the prize g despite the winning prize, Can be filled with the prize g (g) by looking at the prize number display part 340 where the light is off.

한편, 경품(g)이 모두 소진된 경우 구동수단(321)에 의해 밀대(325)는 계속해서 전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칫 거치부(313)에 걸리게 되면서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ll the prizes g are exhausted, the plunger 325 is continuously moved by the driving means 321, which may cause the product to be damaged by being caught by the mounting portion 313.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31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제1·2 이송한계센서(370,380)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imit sensors 370 and 380 are dispos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310, respectively.

상기 제1·2 이송한계센서(370,380)는 리밋스위치(limit switch),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등과 같은 접촉식 센서 또는 광센서(optical sensor) 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중에서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고 센싱기능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본체(310)의 거치부(313)와 장착부(312)의 내부에 각각 설치해 주었다.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imit sensors 370 and 380 may be any one of contactless sensors such as a limit switch, a micro switch and the like or a non-contact sensor such as an optical sensor. In this example, a micro switch having a relatively low price but easily obtained and having a good sensing function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mounting portion 313 and the mounting portion 312 of the main body 310, respectively.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경품가이더유닛(330) 상에 적재(정렬)된 경품(g)이 밀대(325)에 의해 배출되어 모두 소진되더라도 밀대(325)는 구동수단(321)에 의해 계속해서 전진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prize g placed on the prize guider unit 330 is discharged and exhausted by the plunger 325, the plunger 325 is continuously advanced by the driving means 321 .

이때, 밀대(325)와 나사볼트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고정대(325a)의 선단부가 거치부(313)에 내설된 제1 이송한계센서(370)와 접촉되면, 제1이송한계센서(370)는 즉시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멈추도록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즉시 멈추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leading end of the fixing table 325a interconnected by the plunger 325 and the screw bol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ransfer limit sensor 370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313, the first transfer limit sensor 370 The control unit 500 outputs a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immediately so that the control unit 5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immediately.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밀대(325)가 장착부(312)가 있는 곳까지 반송되도록 구동수단(321)을 동작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구동수단(321)에 의해 반송된 밀대(325)의 고정대(325a)가 장착부(312)에 내설된 제2 이송한계센서(380)와 접촉되면 제2 이송한계센서(38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멈추도록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즉시 멈추게 된다.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21 so that the plunger 325 is transferred to the place where the mounting unit 312 is located. At this time, the fixing unit 325 of the plunger 325, which is carried by the driving unit 321, The second conveyance limit sensor 380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when the second conveyance limit sensor 325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nveyance limit sensor 380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312 So that the control unit 500 immediate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관리자는 쉽고 간편하게 부족한 경품(g)을 다시 적재하면 되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구동수단(321)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제품 간에 손상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 administrator has the advantage of reloading the deficient prize g easily and easily. In particular,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cisely control the driving means 321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damage between the products .

한편,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밀대(325)의 이송을 방해하는 경우 수동으로 구동수단(321)을 조작하여 밀대(325)를 이송 또는 반송시켜 줄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적재되는 경품(g)의 사이즈에 따라 구동수단(321)을 매개로 밀대(325)를 조작해 줄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oreign matter flowing from the outside and obstructing the feeding of the plunger 325, it is necessary to manually feed or transport the plunger 325 by operating the driving means 321,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lunger 325 via the driving means 321 depending on the size.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부(312)에 수동조작스위치(390)를 설치하여 수동으로 구동수단(321)을 조작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manual operation switch 390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312 so that the driving means 321 can be manually operated.

일 예로서, 상기 수동조작스위치(390)를 눌러주게 되면 구동수단(321)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눌러주게 되며 구동수단(321)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밀대(325)는 전진(이송) 또는 후진(반송)을 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manual operation switch 390 is pressed, the driving means 32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vice versa, and the driving means 32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Forward) or backward (return).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31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제품 자체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동조작스위치(390)에 의해 구동수단(321)을 쉽고 간편하게 조작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main body 310 or when a malfunction occurs in the product itself, the manual operation switch 390 can easily and easily operate the driving means 321,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expected to be further improved.

한편, 케이스본체(110)에 장착되는 경품지급장치(300)의 경우 필요에 따라 사이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ize dispenser 300 to be mounted on the case body 110,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pacing as necessary.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본체(110)와 장착부(312) 사이에 가이드바(100')를 설치하여 경품지급장치가 가이드바(100')를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 guide bar 100 'is provided between the case body 110 and the mounting portion 312 so that the prize supply device can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guide bar 100'.

상기 가이드바(100')는 일정한 폭과 두께는 갖는 플레이트로서, 상면에는 장착부(312)에 형성된 걸부(312a)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The guide bar 100 'i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On the upper surface, a guide groove 1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hook 312a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312 can be movably coupled .

일 예로서, 상기 가이드바(100')를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케이스본체(110)에 장착한 상태에서 걸부(312a)를 매개로 장착부(312)를 가이드바(100')에 설치한다.The guide bar 100 'may be attached to the guide bar 100' through the guide part 312a while the guide bar 100 'is mounted on the case body 110 via fastening means (screw bolts) Install it.

그리고, 상기 장착부(312)를 가이드바(100')를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경품지급장치(300) 간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체결수단(나사볼트)를 매개로 가이드바(100')에 고정하면 된다.
Then, the gap between the prize dispensers 300 is adjusted by moving the mounting portion 312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guide bar 100 ', and then the guide bar 100' It can be fix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바(100')를 이용하여 경품지급장치(300)들 간의 간격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ap between the prize dispensers 300 can be easily and easily adjusted using the guide bar 100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400)는 입력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경품지급장치(300)의 번호를 선택하고 해당번호가 입력되도록 해준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input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100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selects the number of the award awarding apparatus 300 and inputs the corresponding number.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케이스(100)에 내설되는 컨트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회전감지센서(240)로부터의 출력 값을 카운팅하고 입력부(500)로부터 입력된 당첨숫자와 상호 비교하여 당첨여부를 결정하며, 당첨인 경우 해당 숫자가 표시된 경품지급장치(300)의 경품이송유닛(320)을 동작제어하여 경품(g)을 배출토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The control unit 500 is a controller installed in the case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500 counts the output value from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240 and compares the output value with the winning number input from the input unit 5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rizm transfer unit 320 of the prizeter dispenser 300 whose number is indicated when the prizes are won, thereby controlling the prizes g to be discharg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게임기는 크게 회전장치(200)의 동작과정과 경품지급장치(300)의 동작과정으로 나뉘며, 우선 회전장치(200)를 먼저 설명하고 이어서 경품지급장치(300)를 후술하기로 한다.
The roulette-type game machine having the priz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pinning device 200 and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rize dispensing device 300. First, the spinning device 200 is described firs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화폐투입구(140)에 화폐를 투입하게 되면 룰렛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부(500)에 의해 전자클러치(230)가 동작하게 되면서 샤프트(211)와 종동스프로킷(223)이 상호 연결되며, 이에 따라 레버(221)에 의한 구동유닛(220)의 동력이 회전체(21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1, when the money is inserted into the money input port 140 of the case 100,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500 so that the roulette machine 200 can operate, And the driven sprocket 2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220 by the lever 221 can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body 210.

또한, 다음 예로서, 회전장치(200)를 구성하는 레버(221)의 손잡이에 전자클러치동작센서(280)가 내설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레버(221)의 손잡이를 파지하게 되면 레버(221)의 손잡이에 내설된 전자클러치동작센서(28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전자클러치(230)를 동작제어해 샤프트(211)와 종동스프로킷(223)이 상호 연결되게 한다.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21 of the lever 221 when the electromagnetic clutch action sensor 280 is placed on the handle of the lever 221 constituting the rotating device 200 as shown in the following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so that the shaft 211 and the driven sprocket 223 are op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clutch operation sensor 280, To be interconnected.

한편, 상기 룰렛장치(200)의 동작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력부(400;도 1 참조)의 방향버튼과 선택버튼(일 예로, 한번 누르면 선택되고 두 번 누르면 취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용하여 각기 번호가 부여된 경품지급장치(300)를 택일해 선택하고, 선택된 번호가 예상당첨번호로서 제어부(500)에 저장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pa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roulette machine 200 is completed, the user can use a direction button and a selection button of the input unit 400 (see FIG. 1) (for example, The selected prize giving device 300 is selected and selected, and the selected number is stored in the control unit 500 as the expected winning number.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준비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레버(221)를 잡아당겨 축(S)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레버(221)의 축(S)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구동스프로킷(222)이 회전하게 되고, 구동스프로킷(222)과 체인(224) 및 연동스프로킷(225;베벨기어)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종동스프로킷(223)이 회전하게 되며, 종동스프로킷(223)과 축(미도시)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전자클러치(230)가 회전하게 된다.3 to 4, when the user completes the prepa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ulls the lever 221 and rotates the shaft S around the axis S, The coupled drive sprocket 222 is rotated and the driven sprocket 223 interconnected with the drive sprocket 222 via the chain 224 and the associated sprocket 225 is rotated and the driven sprocket 223 is rotated,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axis (not shown).

또한, 상기 전자클러치(230)가 회전함에 따라 전자클러치(230)에 연결된 샤프트(211)가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21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212)과 감지편(214)이 부착된 휠(213)이 회전하게 되며, 특히 샤프트(211)에 설치되어 있던 고정권선링(215)을 통해 전기를 회전판(21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됨에 따라 회전판(212)에 설치된 LED(212a)가 발광하게 된다.As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rotates, the shaft 211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rotates. As the shaft 211 rotates, the rotation plate 212 and the sensing piece 214,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rotary plate 212 through the fixed winding ring 215 provided on the shaft 211, the LED 212a provided on the rotary plate 212 emits light .

그리고, 상기 회전판(212)의 회전은 함께 회전하는 휠(213)를 통해 회전수를 체크할 수 있는데, 이를 좀 더 명확하게 설명하면, 휠(213)이 회전될 때에 휠(213)에 부착된 감지편(214)을 회전감지센서(240)가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회전감지센서(24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회전수를 카운트하게 되며, 회전판(212)의 회전수는 빌보드(예:전광판)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된다.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212 can be checked through the wheel 213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212.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sensing sensor 240 senses the sensing piece 214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500. 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rotation sensing sensor 240 to count the number of rotation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isplay unit 212 is visually expressed through a billboard (e.g., a billboard).

참고로, 상기 회전감지센서(240)가 감지편(214)을 한번 감지한 이후에는 전자클러치(230)의 동작이 해제되면서 샤프트(211)만 회전하게 된다.
For reference, after the rotation sensor 240 senses the sensing piece 214,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230 is released and only the shaft 211 rotates.

한편, 상기 샤프트(211)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회전판(212)과 휠(213)은 회전력이 소진될 때까지 회전을 하다가 어느 순간부터는 진자운동(시계추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엔코더(251)와 엔코더감지센서(252)로 구성된 진자운동감지센서(250)가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된다.The rotating plate 212 and the wheel 213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haft 211 rotate until the rotational force is consumed and then pendulum movement is performed from the moment of rotation. The pendulum movement detection sensor 250 composed of the encoder detection sensor 252 detects it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500.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진자운동감지센서(2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제동기구(260)를 동작제어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261)를 동작제어하며, 솔레노이드(261)는 브라켓(262)과 롤러(263)를 하강시켜 휠(213)의 둘레면을 가압해 진자운동(시계추운동)을 멈추도록 유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게임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게임이용자의 게임흥미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pendulum motion sensor 25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echanism 26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olenoid 261 And the solenoid 261 lowers the bracket 262 and the roller 263 to urg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3 to stop the pendulum movement (watch movement), thereby shortening the game waiting tim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lowering the game interest of the game user.

상기 회전판(212)이 완전히 멈추게 되면 제어부(500)는 회전판(212)의 회전수와 입력부(400)를 통해 입력된 당첨번호 즉, 경품지급장치(300)의 번호와 상호 비교하여 숫자가 일치하면 당첨으로 판단하고, 경품지급장치(300)의 모터(330)를 동작제어하여 경품(g)을 배출시키게 되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hen the rotation plate 212 is completely stopped, the controller 500 compares the rotation number of the rotation plate 212 with the winning number entered through the input unit 400, that is, the number of the award awarding apparatus 300, And the motor 330 of the prizewater dispenser 300 is operated and controlled to discharge the prize g,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1A to 11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award apparatus for a gam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이용자)가 원하는 경품(g)이 적재된 해당 경품지급장치의 번호를 선택한 상태에서 게임을 통해 경품 획득이 결정되면,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을 동작하여 밀대(325)를 전진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경품가이더유닛(330) 내에 적재된 경품(g)은 거치부(313)의 말단으로 이송된다.11A and 11B, when the prize acquisi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game in a state where the number of the prize giving device to which the desired prize g is loaded is selected by the user (user) The prizes g carried in the prize guider unit 330 are conveyed to the end of the stationary part 313. In this way,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경품(g)이 거치부(313)의 말단으로부터 낙하되면 거치부(313)에 설치된 경품배출감지센서(350)를 경품(g)이 건드리면서 낙하하게 된다.11C, when the prize g drops from the distal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3 as described above, the prize discharge sensor 350 installed on the mounting portion 313 falls while touching the prize g.

이때, 상기 경품배출감지센서(350)는 배출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게 되므로 필요 이상의 경품(g)이 무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ize discharge detection sensor 350 outputs a discharg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haust gas from being discharged.

도 11c를 참조하면,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을 동작시켜 밀대(325)를 전진시키게 되는데, 이에 의해 적재된 경품(g)이 자연스럽게 이송되고, 이 과정에 경품(g)이 경품확인센서(360)를 건드리게 되면 경품확인센서(360)는 이송되는 경품(g)을 감지하여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멈추도록 경품확인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즉시 멈춤과 동시에 경품번호 표시부(340)의 조명등(343;도 6 참조)을 켜게 경품(g)의 유무를 표시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1C,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21 to advance the pusher 325 according to the set program. As a result, the loaded prize g is naturally conveyed If the prize g is touched by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in this process, the prize confirmation sensor 360 senses the prize g to be transferred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The control unit 500 immediate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and simultaneously turns on the illumination lamp 343 of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displayed.

한편,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품(g)이 모두 소진된 경우 밀대(325)가 전진하게 하게 되는데, 이때 밀대(325)의 고정대(325a)가 거치부(313)에 내설된 제1 이송한계센서(370)를 접촉하게 되면, 제1이송한계센서(370)는 즉시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멈추도록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즉시 멈추게 된다.11D, the plunger 325 is moved forward when the prize g is exhausted. At this time, the plunger 325a of the plunger 325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transfer limit sensor 370 immediately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0 so a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means 321 is immediately stopped.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밀대(325)가 장착부(312)가 있는 곳까지 반송되도록 구동수단(321)을 동작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구동수단(321)에 의해 반송된 밀대(325)의 고정대(325a)가 장착부(312)에 내설된 제2 이송한계센서(380)와 접촉되면 제2 이송한계센서(38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멈추도록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구동수단(321)의 동작을 즉시 멈추게 된다.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21 so that the plunger 325 is transferred to the place where the mounting unit 312 is located. At this time, the fixing unit 325 of the plunger 325, which is carried by the driving unit 321, The second conveyance limit sensor 380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when the second conveyance limit sensor 325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nveyance limit sensor 380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312 So that the control unit 500 immediate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21.

그 다음 경품가이더유닛(330) 내에 경품(g)을 거치해 주면 된다.
Then, the prize g (g) is placed in the prize guider unit 330.

한편,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밀대(325)의 이송을 방해하는 경우 관리자가 수동조작스위치(390)를 눌러주게 되면 구동수단(321)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눌러주게 되며 구동수단(321)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밀대(325)는 전진(이송) 또는 후진(반송)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foreign substance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obstructs the transportation of the plunger 325,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manual operation switch 390, the driving means 32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vice versa,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plunger 325 is caused to advance (forward) or reverse (return).

이를 통해 관리자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As a result, the administrator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insid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대(313)의 단부에 경품번호표시부(34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경품(g)에 경품번호표시부(340)가 가려져 있어 해당 번호의 확인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radle 313 and is expos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as a pipe,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340 is hidden in the prize g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number is difficult.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앵글(331)은 장공(331a)에 의해 수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해지고, 가이드판(332)은 앵글(331)의 장공(331a)을 매개로 좌우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경품(g)의 크기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폭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범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331 can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long hole 331a, and the guide plate 332 can move left and right via the long hole 331a of the angle 331 So that the width and height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rize (g),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use.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체(332c)가 경품(g)의 측면을 가압해 줌에 따라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불법적으로 경품(g)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유용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as the elastic body 332c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prize 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rize g is released to the outside illegally, which is useful .

게다가, 본 실시 에에 의하면, 상기 본체(310)의 양단부에 제1·2 이송한계센서(370,380)를 설치해 줌으로서 관리자는 쉽고 간편하게 부족한 경품(g)을 다시 적재하면 되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구동수단(321)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제품 간에 충돌로 인한 손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limit sensors 370 and 38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310, the manager can easily and easily reload the deficient prize 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amage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products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더욱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31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제품 자체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동조작스위치(390)에 의해 구동수단(321)을 쉽고 간편하게 조작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main body 310 or when a malfunction occurs in the product itself, the manual operation switch 390 can easily and easily operate the driving means 321,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expected to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케이스 110: 케이스본체 120: 투시창
130: 스피커 140: 화폐투입구 200: 회전장치
210: 회전체 211: 샤프트 212: 회전판
212a: LED 213: 휠 214: 감지편
215: 고정권선링 220: 구동유닛 221: 레버
221a: 축지지부 222: 구동스프로킷 223: 종동스프로킷
224: 체인 225: 연동스프로킷 226: 스프링
230: 전자클러치 240: 회전감지센서 250: 진자운동감지센서
251: 엔코더 252: 엔코더감지부 260: 제동기구
261: 솔레노이드 262: 브라켓 263: 롤러
270: 레버정위치센서 280: 전자클러치동작센서
RF1: 송신부 RF2: 수신부
310: 본체 311: 베이스부 312: 장착부
313: 거치부 320,320': 경품이송유닛 321: 구동수단
322: 구동풀리 323: 종동풀리 324: 벨트
325: 밀대 325a: 고정대 330: 경품가이더유닛
331: 앵글 331a: 장공 332: 가이드판
332a: 장착부 332b: 가이드부 332c: 탄성체
340: 경품번호표시부 341: 바디 342: 커버
343: 조명등 350: 경품배출감지센서 360: 경품확인센서
370: 제1 이송한계센서 380: 제2 이송한계센서 390: 수동조작스위치
100': 가이드바 400: 입력부 500: 제어부
100: Case 110: Case body 120:
130: Speaker 140: Money input port 200: Rotating device
210: rotating body 211: shaft 212: spindle
212a: LED 213: wheel 214: detection piece
215: fixed winding ring 220: drive unit 221: lever
221a: a shaft support portion 222: a drive sprocket 223: a driven sprocket
224: chain 225: interlocking sprocket 226: spring
230: electromagnetic clutch 240: rotation detection sensor 250: pendulum motion detection sensor
251: Encoder 252: Encoder detection unit 260: Brake mechanism
261: Solenoid 262: Bracket 263: Roller
270: lever positive position sensor 280: electromagnetic clutch operation sensor
RF1: Transmitter RF2: Receiver
310: main body 311: base portion 312: mounting portion
313: mounting portion 320, 320 ': prizet conveying unit 321: driving means
322: drive pulley 323: driven pulley 324: belt
325: pin 325a: fixed base 330: prize guider unit
331: angle 331a: elongated hole 332: guide plate
332a: mounting portion 332b: guide portion 332c: elastic member
340: Prize number display section 341: Body 342: Cover
343: illumination light 350: prize discharge detection sensor 360: prize confirmation sensor
370: first feed limit sensor 380: second feed limit sensor 390: manual operation switch
100 ': guide bar 400: input unit 500: control unit

Claims (9)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회전체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 회전체와 구동유닛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와, 회전체가 1회전될 때마다 이를 감지해 출력하는 회전감지센서를 갖춘 회전장치;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경품을 이송하는 경품이송유닛과, 본체의 좌우에 설치되어 경품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경품을 가이드하는 경품가이더유닛과, 본체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경품번호표시부와, 본체에 설치되며 경품이송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경품을 감지하여 경품이송유닛의 동작을 멈추도록 배출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품배출감지센서와, 본체에 설치되며 경품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경품을 감지하여 경품이송유닛의 동작을 멈추도록 경품확인신호를 출력하는 경품확인센서를 갖춘 경품지급장치;
상기 회전체의 진자운동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진자운동감지센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원하는 당첨숫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입력부;
상기 회전감지센서로부터의 출력 값을 카운팅하고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당첨숫자와 상호 비교하여 당첨여부를 결정하며, 당첨인 경우 해당 숫자가 표시된 경품지급장치의 이송유닛을 동작제어하여 경품을 배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회전체를 제동하는 제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
case;
An electric clutch for interrupting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ing unit, and a rotation detecting sensor for sensing and outputting the electric power each time the rotating body rotates, Equipped rotating device;
A swing guide unit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for guiding the swing guided by the swing guide unit; A prize discharge detecting sens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etecting a prize discharged by the prize transfer unit and outputting a discharge detection signal so a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prize transfer unit; A prize supply device provided with a prize confirmation sensor for outputting a prize confirmation signal for sensing a prize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rize transfer unit;
A pendulum mo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a pendulum mo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outputting the detected pendulum motion to a controller;
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case to set a desired winning numb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fer unit of the prize dispensing apparatus, in which the number is display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prize. A control unit;
And a braking mechanism that is opera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brake the rot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각각 구비되어 제어부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transmitting unit and a receiving unit so as to be able to exchange signals of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선단부와 말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를 따라 이송하는 경품이송유닛이 한계거리까지 이동시 이를 감지하여 경품이송유닛의 동작을 멈추도록 한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2 이송한계센서;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and a second feed limit sensor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dist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main body and detect a movement of the prizegransport unit along the main body to a limit distance and output a limit detection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prizegransport unit; Wherein the game device is equipped with a prizewin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며 본체가 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고정되는 가이드바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bar inserted in the case and being installed and fixed so that the main body is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urther reinfor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가이더유닛은 폭 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rize guider unit is adjustable in width or height. ≪ RTI ID = 0.0 > 1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가이더유닛에는 경품을 가압하는 탄성체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ze guider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for pressing the pr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번호표시부의 내부에 조명등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llumination lamp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prize number display unit.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경품이송유닛의 이송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수동조작스위치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지급장치를 갖춘 룰렛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nual operation switch that is capable of manually manipulating the feeding of the prizegood transfer unit.
삭제delete
KR1020160029472A 2016-03-11 2016-03-11 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KR101715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72A KR101715188B1 (en) 2016-03-11 2016-03-11 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72A KR101715188B1 (en) 2016-03-11 2016-03-11 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188B1 true KR101715188B1 (en) 2017-03-10

Family

ID=5841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472A KR101715188B1 (en) 2016-03-11 2016-03-11 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1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96Y1 (en) * 2002-06-07 2002-08-27 이선경 amusement apparatus
JP3508903B2 (en) * 1997-03-06 2004-03-22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device
KR20080070430A (en) * 2007-01-26 2008-07-30 차전호 Game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8903B2 (en) * 1997-03-06 2004-03-22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device
KR200287096Y1 (en) * 2002-06-07 2002-08-27 이선경 amusement apparatus
KR20080070430A (en) * 2007-01-26 2008-07-30 차전호 Game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1200B2 (en) Slot machine
JP2006000369A (en) Mechanism for collectively feeding game token for device between game machines
KR101604784B1 (en) Punching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JP2006255144A (en) Interposed machine for game machine
KR101715188B1 (en) 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KR101736859B1 (en) Gift providing device for game machine
JP2007236577A (en) System for collectively loading game tokens
US5024350A (en) Dispensing apparatus
JP2000107346A (en) Game machine
EP2755189B1 (en) Disk sorting device
JP2011177359A (en) Token sorting device
JP2006000368A (en) Mechanism for collectively feeding game token for device between game machines
KR101604786B1 (en) Roulette game machine with gift furnishing apparatus
JP4597074B2 (en) Collective entry system for game medals
JP2548952B2 (en) Ball game machine
JP2005177448A (en) Game machine
JP4693716B2 (en) Medals lending machine
JP4608449B2 (en) Medals lending machine
AU644228B2 (en) Coin supply device for coin-operated gaming machine
JP6758334B2 (en) Game machine
JP4804180B2 (en) Medals lending machine
KR101755542B1 (en) a mission game machine using running ball
JP2005296244A (en) Game medium conveying, storing and feeding devices and game medium dispenser
JP4444903B2 (en) Medals lending machine
JP4693717B2 (en) Medals l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