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465B1 -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465B1
KR101714465B1 KR1020150077846A KR20150077846A KR101714465B1 KR 101714465 B1 KR101714465 B1 KR 101714465B1 KR 1020150077846 A KR1020150077846 A KR 1020150077846A KR 20150077846 A KR20150077846 A KR 20150077846A KR 101714465 B1 KR101714465 B1 KR 10171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transmission beam
beam direction
sequence
dir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041A (ko
Inventor
신지선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6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5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lurality of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을 구현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에서,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송신 장치에서, 생성한 패스워드를 생성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 및송신 장치에서,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제1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METHOD FOR AUTHENTICATING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증 기술과 관련된다.
원타임패스워드(OTP: One-Time Password)는 네트워크 보안 기술 중 하나로서, 사용자가 인증을 받고자 할 때 매번 새로운 패스워드를 사용하여야 하는 보안 시스템이다. 이는 일반적인 아이디/패스워드 기반의 보안 시스템에서 고정된 패스워드의 누출 시 보안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들어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기업 또는 금융 기관 등에서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OTP(One-Time Password) 인증 방식은 새로 생성된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키패드, 터치패드,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직접 입력하여 인증을 받는 방식이다. 이 경우,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와 인접한 거리의 타인에 의해 상기 패스워드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직접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패스워드를 입력하는데 따른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49119호(2015.05.08)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고, 패스워드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을 구현할 수 있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패스워드 생성부;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송신 빔 방향 및/또는 2개 이상의 송신 빔 방향의 조합은 상기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엘리먼트들과 각각 매핑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를 해당 엘리먼트와 매핑되는 송신 빔 방향 정보로 각각 변환하고, 변환된 각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서 대응되는 엘리먼트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서 송신 빔 방향 정보들의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복수 개의 접속 패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패스워드 생성부;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접속 패드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상기 복수 개의 접속 패드와 접촉되는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접속 패드의 전압 레벨 및/또는 2개 이상의 접속 패드의 전압 레벨의 조합은 상기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엘리먼트들과 각각 매핑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를 해당 엘리먼트와 매핑되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로 각각 변환하고, 변환된 각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서 대응되는 엘리먼트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에서 접속 전압 레벨 정보들의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접속 패드의 전압 레벨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을 구현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에서,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각 송신 빔 방향 및/또는 2개 이상의 송신 빔 방향의 조합은 상기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엘리먼트들과 각각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를 해당 엘리먼트와 매핑되는 송신 빔 방향 정보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서, 변환된 각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서 대응되는 엘리먼트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빔을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서 송신 빔 방향 정보들의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빔을 송출하는 단계 이후에,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을 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른 송신 빔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빔의 시퀀스의 송신 빔 방향을 이용하여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장치에서, 생성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와 대응되는 패스워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복수 개의 접속 패드로 구성되는 제1 접속 패드 어레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에서,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접속 패드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상기 복수 개의 접속 패드와 접촉되는 수신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각 접속 패드의 전압 레벨 및/또는 2개 이상의 접속 패드의 전압 레벨의 조합은 상기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엘리먼트들과 각각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를 해당 엘리먼트와 매핑되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서, 변환된 각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서 대응되는 엘리먼트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에서 접속 전압 레벨 정보들의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접속 패드의 전압 레벨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패드 어레이의 복수 개의 접속 패드와 각각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속 패드로 구성되는 제2 접속 패드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신 장치에서,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와 대응되는 패스워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및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을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 빔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송신 빔의 시퀀스의 송신 빔 방향을 이용하여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생성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와 대응되는 패스워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및 다른 장치의 제1 접속 패드 어레이의 복수 개의 접속 패드와 각각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접속 패드로 구성되는 제2 접속 패드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접속 패드 어레이를 통해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동작; 및 수신한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상기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와 대응되는 패스워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빔 포밍 기술 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비접촉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접속 패드 어레이를 통해 패스워드를 접촉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스워드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패스워드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안 인증 시스템(100)은 송신 장치(102) 및 수신 장치(10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장치(102)와 수신 장치(10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송신 장치(102)는 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안 인증 시스템(100)은 OTP(One-Time Password) 인증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다양한 인증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송신 장치(102)는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스워드를 수신 장치(104)로 전송한다. 송신 장치(102)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빔 포밍(Beam Forming)을 이용하여 생성된 패스워드를 수신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장치(102)는 패스워드 생성부(111), 변환부(113), 및 송신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115)는 제1 안테나 어레이(115-1)를 포함한다.
패스워드 생성부(111)는 패스워드 생성 요청에 따라 새로운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워드는 OTP(One-Time Password) 인증을 위해 생성되는 숫자열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스워드는 문자열로 이루어지거나 숫자 및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열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패스워드가 0 ~ 9로 이루어지는 4자리의 숫자열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변환부(113)는 패스워드 생성부(111)가 생성한 패스워드를 해당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 어레이(115-1)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은 하나의 송신 빔 방향 또는 적어도 2개가 조합된 송신 빔 방향이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숫자들(즉, 0 ~ 9)중 어느 하나와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장치(102)는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숫자들(즉, 0 ~ 9)별로 그와 대응되는 송신 빔 방향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가 4자리의 숫자열로 이루어진 경우, 변환부(113)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각 자리수의 숫자 엘리먼트들을 그와 대응하여 매핑된 송신 빔 방향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각 송신 빔 방향 정보를 해당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숫자 엘리먼트들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제1 안테나 어레이(115-1)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송신 빔 방향이 4개(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 및 제4 방향)이고, 그 중에서 2개의 송신 빔 방향을 조합하여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숫자들(즉, 0 ~ 9)중 어느 하나와 매핑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4개의 송신 빔 방향 중 2개의 송신 빔 방향을 조합하여 나오는 경우의 수는 16개이므로, 16개 중 10개를 선택하여 숫자 0 ~ 9와 각각 매핑시켰다.
도 2를 참조하면, 숫자 0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조합과 매핑되고, 숫자 1은 제1 방향 및 제3 방향의 조합과 매핑되며, 숫자 2는 제1 방향 및 제4 방향의 조합과 매핑될 수 있다. 숫자 3은 제2 방향 및 제1 방향의 조합과 매핑되고, 숫자 4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조합과 매핑되며, 숫자 5는 제2 방향 및 제4 방향의 조합과 매핑될 수 있다. 숫자 6은 제3 방향 및 제1 방향의 조합과 매핑되고, 숫자 7은 제3 방향 및 제2 방향의 조합과 매핑되며, 숫자 8은 제3 방향 및 제 4 방향의 조합과 매핑되고, 숫자 9는 제4 방향 및 제1 방향의 조합과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조합되어 숫자 0과 매핑된다는 것은 송신부(115)가 제1 안테나 어레이(115-1)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하는 경우를 숫자 0과 매핑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송신부(115)가 제1 안테나 어레이(115-1)를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방향의 송신 빔 및 제2 방향의 송신 빔을 순차적으로 송출하는 경우를 숫자 0과 매핑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신 장치(102)와 수신 장치(104)는 타이머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 생성부(111)에서 생성한 패스워드가 2468인 경우, 변환부(113)는 숫자 2는 제1 방향과 제4 방향이 조합된 제1 송신 빔 방향 정보로 변환하고, 숫자 4는 제2 방향과 제3 방향이 조합된 제2 송신 빔 방향 정보로 변환하며, 숫자 6은 제3 방향과 제1 방향이 조합된 제3 송신 빔 방향 정보로 변환하고, 숫자 8은 제3 방향과 제4 방향이 조합된 제4 송신 빔 방향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환부(113)는 제1 송신 빔 방향 정보 내지 제4 송신 빔 방향 정보를 그와 대응하는 상기 패스워드(즉, 2468)를 구성하는 숫자 엘리먼트들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송신부(115)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제1 안테나 어레이(115-1)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송신부(115)는 빔 포밍 기술을 통해 제1 안테나 어레이(115-1)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빔 포밍(Beam Forming)에는 밀리미터파 또는 수십 ~ 수백 GHz의 주파수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송신부(115)는 제1 안테나 어레이(115-1)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들로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여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송신부(115)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서 각 송신 빔 방향 정보의 배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가 상기 제1 송신 빔 방향 정보, 제2 송신 빔 방향 정보, 제3 송신 빔 방향 정보, 및 제4 송신 빔 방향 정보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인 경우, 송신부(115)는 제1 송신 빔 방향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제1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4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하여 숫자 2라는 정보를 수신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부(115)는 제2 송신 빔 방향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제2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3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하여 숫자 4라는 정보를 수신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부(115)는 제3 송신 빔 방향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제3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1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하여 숫자 6이라는 정보를 수신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부(115)는 제4 송신 빔 방향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제3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4 방향으로 송신 빔을 송출하여 숫자 8이라는 정보를 수신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115)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송신 빔을 송출할 때, 기 설정된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각 송신 빔을 송출할 수 있다.
수신 장치(104)는 수신부(121) 및 패스워드 복원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121)는 제2 안테나 어레이(121-1)를 포함한다. 수신 장치(104)는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수신부(121)는 송신부(115)가 송출하는 송신 빔을 수신한다. 수신부(121)는 제2 안테나 어레이(121-1)를 통해 제1 안테나 어레이(115-1)가 송출하는 송신 빔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21)는 송신 장치(102)에서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송출되는 송신 빔의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어레이(121-1)는 제1 안테나 어레이(115-1)가 송출하는 제1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하는 안테나, 제1 안테나 어레이(115-1)가 송출하는 제2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하는 안테나, 제1 안테나 어레이(115-1)가 송출하는 제3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하는 안테나, 및 제1 안테나 어레이(115-1)가 송출하는 제4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패스워드 복원부(123)는 수신부(121)가 수신한 송신 빔의 시퀀스를 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의 엘리먼트들로 변환하여 패스워드를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장치(104)는 송신 장치(102)에 구비되는 매핑 테이블과 동일한 매핑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패스워드 복원부(123)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신부(121)가 수신한 송신 빔의 시퀀스를 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의 엘리먼트들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 복원부(123)는 수신부(121)가 일정 시간 동안 제1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4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제1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매핑 테이블을 통해 제1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숫자 2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스워드 복원부(123)는 수신부(121)가 일정 시간 동안 제2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3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제2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매핑 테이블을 통해 제2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숫자 4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스워드 복원부(123)는 수신부(121)가 일정 시간 동안 제3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1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제3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매핑 테이블을 통해 제3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숫자 6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스워드 복원부(123)는 수신부(121)가 일정 시간 동안 제3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4 방향의 송신 빔을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제4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매핑 테이블을 통해 제4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숫자 8로 변환할 수 있다. 패스워드 복원부(123)는 시간 순서에 따라 변환된 숫자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2468이라는 패스워드를 복원할 수 있다. 수신 장치(104)는 복원한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부(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빔 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스워드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패스워드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안 인증 시스템(200)은 패스워드 송신 장치(202) 및 패스워드 수신 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스워드 송신 장치(202)는 접촉 방식에 의해 패스워드를 패스워드 수신 장치(204)로 전달할 수 있다.
패스워드 송신 장치(202)는 패스워드 생성부(211), 변환부(213), 및 송신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215)는 제1 접속 패드 어레이(215-1)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접속 패드 어레이(215-1)는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를 포함할 수 있다.
패스워드 생성부(211)는 패스워드 생성 요청에 따라 새로운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워드는 OTP(One-Time Password) 인증을 위해 생성되는 숫자열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스워드는 문자열로 이루어지거나 숫자 및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열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패스워드가 0 ~ 9로 이루어지는 4자리의 숫자열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변환부(213)는 패스워드 생성부(211)가 생성한 패스워드를 해당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속 패드 어레이(215-1)를 구성하는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들의 조합이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숫자들(즉, 0 ~ 9)중 어느 하나와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장치(202)는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숫자들(즉, 0 ~ 9)별로 그와 대응되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가 4자리의 숫자열로 이루어진 경우, 변환부(213)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각 자리수의 숫자 엘리먼트들을 그와 대응하여 매핑된 접속 전압 레벨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각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해당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숫자 엘리먼트들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을 0(Off) 또는 1(On)의 2진수로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들을 조합하면 4자리수의 2진수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1 접속 패드(251)의 전압 레벨이 23 자리의 값을 나타내고, 제1-2 접속 패드(253)의 전압 레벨이 22 자리의 값을 나타내고, 제1-3 접속 패드(255)의 전압 레벨이 21 자리의 값을 나타내고,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이 20 자리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들의 조합으로 숫자 0 ~ 9를 매핑시킬 수 있게 된다.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들의 조합하여 나오는 경우의 수는 16개이므로, 16개 중 10개를 선택하여 숫자 0 ~ 9와 각각 매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환부(213)는 4자리의 10진수로 이루어지는 패스워드의 각 자리수의 숫자 엘리먼트들을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4자리의 2진수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가 2468인 경우, 변환부(213)는 숫자 2를 4자리의 2진수인 0000과 매핑하여 제1 접속 전압 레벨 정보로 변환하고, 숫자 4를 4자리의 2진수인 0010과 매핑하여 제2 접속 전압 레벨 정보로 변환하며, 숫자 6을 4자리의 2진수인 0110과 매핑하여 제3 접속 전압 레벨 정보로 변환하고, 숫자 8을 4자리의 2진수인 1000과 매핑하여 제4 접속 전압 레벨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환부(213)는 제1 접속 전압 레벨 정보 내지 제4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그와 대응하는 상기 패스워드(즉, 2468)를 구성하는 숫자 엘리먼트들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을 0(Off) 또는 1(On)의 2진수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다양한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송신부(215)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제1 접속 패드 어레이(215-1)(즉,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수신 장치(204)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가 상기 제1 접속 전압 레벨 정보, 제2 접속 전압 레벨 정보, 제3 접속 전압 레벨 정보, 및 제4 접속 전압 레벨 정보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인 경우, 송신부(215)는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은 0으로 하고, 제1-3 접속 패드(255)의 전압 레벨은 1로 하여 숫자 2라는 정보를 수신 장치(104)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부(215)는 제1-1 접속 패드(251),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은 0으로 하고, 제1-2 접속 패드(253)의 전압 레벨은 1로 하여 숫자 4라는 정보를 수신 장치(104)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부(215)는 제1-1 접속 패드(251)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은 0으로 하고, 제1-2 접속 패드(253) 및 제1-3 접속 패드(255)의 전압 레벨은 1로 하여 숫자 6이라는 정보를 수신 장치(104)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부(215)는 제1-1 접속 패드(251)의 전압 레벨은 1로 하고,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의 전압 레벨은 0으로 하여 숫자 8이라는 정보를 수신 장치(104)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215)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각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전달할 때, 기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각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4)는 수신부(221) 및 패스워드 복원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4)는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수신부(221)는 제2 접속 패드 어레이(221-1)를 포함한다. 제2 접속 패드 어레이(221-1)는 제2-1 접속 패드(261), 제2-2 접속 패드(263), 제2-3 접속 패드(265), 및 제2-4 접속 패드(2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접속 패드(261)는 제1-1 접속 패드(251)와 접촉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2 접속 패드(263)는 제1-2 접속 패드(253)와 접촉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3 접속 패드(265)는 제1-3 접속 패드(255)와 접촉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4 접속 패드(267)는 제1-4 접속 패드(257)와 접촉되어 마련될 수 있다.
수신부(221)는 송신부(215)가 전달하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부(221)는 송신부(215)가 제1-1 접속 패드(251), 제1-2 접속 패드(253), 제1-3 접속 패드(255), 및 제1-4 접속 패드(257)를 통해 전달하는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제2-1 접속 패드(261), 제2-2 접속 패드(263), 제2-3 접속 패드(265), 및 제2-4 접속 패드(267)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패스워드 복원부(223)는 수신부(221)가 수신한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의 엘리먼트들로 변환하여 패스워드를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장치(204)는 송신 장치(202)에 구비되는 매핑 테이블과 동일한 매핑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패스워드 복원부(223)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신부(221)가 수신한 접속 전압 레벨 정보의 시퀀스를 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의 엘리먼트들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 복원부(223)는 수신부(221)가 4자리의 2진수인 0000의 제1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제2-1 접속 패드(261), 제2-2 접속 패드(263), 제2-3 접속 패드(265), 및 제2-4 접속 패드(267)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이를 숫자 2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스워드 복원부(223)는 수신부(221)가 4자리의 2진수인 0010의 제2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제2-1 접속 패드(261), 제2-2 접속 패드(263), 제2-3 접속 패드(265), 및 제2-4 접속 패드(267)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이를 숫자 4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스워드 복원부(223)는 수신부(221)가 4자리의 2진수인 0110의 제3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제2-1 접속 패드(261), 제2-2 접속 패드(263), 제2-3 접속 패드(265), 및 제2-4 접속 패드(267)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이를 숫자 6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스워드 복원부(223)는 수신부(221)가 4자리의 2진수인 1000의 제4 접속 전압 레벨 정보를 제2-1 접속 패드(261), 제2-2 접속 패드(263), 제2-3 접속 패드(265), 및 제2-4 접속 패드(267)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이를 숫자 8로 변환할 수 있다. 패스워드 복원부(223)는 시간 순서에 따라 변환된 숫자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2468이라는 패스워드를 복원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4)는 복원한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부(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접속 패드 어레이를 통해 패스워드를 수신 장치로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스워드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패스워드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300)은 컴퓨팅 장치(31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310)는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송신 장치(예를 들어, 송신 장치(102, 202))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310)는 패스워드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예를 들어, 수신 장치(104, 204))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 및 버스(3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2)는 버스(360)와 연결되고, 버스(36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3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312)에 연결한다.
프로세서(312)는 컴퓨팅 장치(31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12)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310)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330)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33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330)은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메모리(316) 및 저장 장치(318)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의 예이다. 메모리(316)에는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6)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31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318)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318)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컴퓨팅 장치(3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3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37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20)는 버스(3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37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컴퓨팅 장치(3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370)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 보안 인증 시스템
102, 202 : 송신 장치
104, 204 : 수신 장치
111, 211 : 패스워드 생성부
113, 213 : 변환부
115, 215 : 송신부
115-1 : 제1 안테나 어레이
215-1 : 제1 접속 패드 어레이
121, 221 : 수신부
121-1 : 제2 안테나 어레이
221-1 : 제2 접속 패드 어레이
123, 223 : 패스워드 복원부

Claims (20)

  1.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을 구현할 수 있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패스워드 생성부;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를 해당 엘리먼트와 매핑되는 송신 빔 방향 정보로 각각 변환하고, 변환된 각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서 대응되는 엘리먼트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빔 방향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 중 2개 이상의 조합은 상기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엘리먼트들과 각각 매핑되는,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서 송신 빔 방향 정보들의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하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을 구현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에서,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를 해당 엘리먼트와 매핑되는 송신 빔 방향 정보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서, 변환된 각 송신 빔 방향 정보를 상기 생성한 패스워드에서 대응되는 엘리먼트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빔 방향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 중 2개 이상의 조합은 상기 패스워드를 구성하게 되는 엘리먼트들과 각각 매핑되는, 인증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신 빔을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서 송신 빔 방향 정보들의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의한 송신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송신 빔을 송출하는, 인증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신 빔을 송출하는 단계 이후에,
    복수 개의 송신 빔 방향을 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에 따른 송신 빔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빔의 시퀀스의 송신 빔 방향을 이용하여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장치에서, 생성한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를 상기 송신 빔 방향 정보의 시퀀스와 대응되는 패스워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077846A 2015-06-02 2015-06-02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71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46A KR101714465B1 (ko) 2015-06-02 2015-06-02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46A KR101714465B1 (ko) 2015-06-02 2015-06-02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41A KR20160142041A (ko) 2016-12-12
KR101714465B1 true KR101714465B1 (ko) 2017-03-09

Family

ID=5757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846A KR101714465B1 (ko) 2015-06-02 2015-06-02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4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7258A (ja) 2007-10-02 2009-04-23 Canon Electronics Inc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32517B1 (ko) 2012-08-21 2013-11-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증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60B1 (ko) * 2007-08-09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1977593B1 (ko) * 2012-06-25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한 mimo 다중화에 기반하여 전송단에서 시크릿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수신단에서 시크릿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KR20150049119A (ko) 2013-10-29 2015-05-08 모지도코화이어코리아 유한회사 Otp 생성수단 발급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7258A (ja) 2007-10-02 2009-04-23 Canon Electronics Inc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32517B1 (ko) 2012-08-21 2013-11-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증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41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8448B2 (en) User authentication with self-signed certificate and identity verification and migration
EP39166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ivacy data of block chain,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684898B2 (en) Secur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for mobile payment applications by combining with random components
US20160180338A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ryptocurrencies Between a User Account and a Receiving Account
NZ721223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advanced storage key in a mobile device without secure elements
WO2013179094A1 (en) Secured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402235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nfc peer-to-peer authentication and secure data transfer
US10541994B2 (en) Time based local authentication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tilizing asymmetric cryptography
KR20210130825A (ko) 분산 원장 시스템으로의 데이터 기록의 카피의 잘못된 전송 방지
CN104065674A (zh) 终端设备以及信息处理方法
CN109474418A (zh) 文档加密方法、文档解密方法、装置、介质和计算设备
KR101714465B1 (ko)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922965B1 (ko) 키 확장 방식을 적용한 묵시적 인증서 발급 방법 및 시스템
JP6646189B2 (ja) 長距離ワイヤレス通信インタフェースを用いて近接オペレーションを可能にすること
CN113609156B (zh) 数据的查询与写入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1514442B2 (en) Secure input using tokens
CN113934554A (zh) Rpc跨语言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9030339B2 (en)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JP5882637B2 (ja) シンクライアント型の読書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5437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14024666B (zh) 一种量子密钥分发方法及系统
US20100279640A1 (en) Configuring radios
US9625939B2 (en) Clock forwarding over optics
KR101737782B1 (ko) 복수의 양자 통신 클라이언트로 공통키를 분배하는 방법 및 장치
JP7494205B2 (ja) データレコードのコピーの分散型台帳システムへの誤伝送の防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