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979B1 - Low power segment - Google Patents
Low power seg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3979B1 KR101713979B1 KR1020150040202A KR20150040202A KR101713979B1 KR 101713979 B1 KR101713979 B1 KR 101713979B1 KR 1020150040202 A KR1020150040202 A KR 1020150040202A KR 20150040202 A KR20150040202 A KR 20150040202A KR 101713979 B1 KR101713979 B1 KR 1017139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rmanent magnet
- magnetic body
- coil
- coupling hol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LLVVZDKBSYMCG-UHFFFAOYSA-N 1,3,5-trichloro-2-(2-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l)=CC(Cl)=C1C1=CC=CC=C1Cl VLLVVZDKBSYM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력 세그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이격된 지지대를 구비하는 본체와;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의 상단에 홈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로 구성된 본체; 전·후방에 형성된 축을 매개로 상기 지지대의 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N극과 S극으로 나뉘며, 상면과 하면이 식별수단에 의해 구분되는 영구자석;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얹혀져 영구자석의 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자성체; 상기 지지대가 끼워지는 제1결합공과, 자성체가 끼워지는 제2결합공과, 제2결합공의 둘레를 감싸도록 표면에 인쇄회로형성되는 코일과, 코일로 인가받은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로 구성되어 영구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배치되는 PCB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영구자석과 자성 및 코일을 이용하여 숫자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만 전류를 공급하고 표현된 숫자를 유지하는데에는 전류공급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표현된 숫자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해야만 했던 불편함을 해소함과 더불어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power segment comprising: a body having mutually spaced supports; A main body comprising a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supports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edge of the base plate, the grooves being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oppos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Permanent magnets rotatably installed in the grooves of the support through axe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permanent magnets being divided into N poles and S poles on the basis of an axi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eing distinguished by identification means; A magnetic bod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xis of the permanent magnet, respectively; A first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support is inserted, a second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magnetic material is inserted, a coi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to surround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urrent applied to the coil, And a PCB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magnet and the magne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current supply is not required to supply the current and maintain the expressed number only when the number is changed by using the permanent magnet, the magnetic coil, and the coil, So that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can be reduced, which is very useful.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소모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한 저전력 세그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power segment that can dramatically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is easy to manufacture.
일반적으로 막대모양의 발광다이오드 하나 하나를 세그먼트(Segment)라고 하며,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7개를 사용하여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치를 7 세그먼트 표시기라 한다.Each rod-shaped light emitting diod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segment, and a device made to display numbers from 0 to 9 using seven light emitting diodes is referred to as a 7-segment display.
상기 7 세그먼트 표시기는 통상 막대모양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7개를 8자 모양으로 배열시키고 각 막대형 발광다이오드에 불을 점등시켜 10진 숫자를 표시하며, 배열된 형태에 따라 문자 등의 표현도 가능하다.The seven-segment display device has seven light-emitting diodes (LEDs) arranged in a regular eight-letter shape, lighting a light on each of the rod-shaped light-emitting diodes to display decimal numbers, And so on.
이러한 종래의 7 세그먼트는 내부에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또는 LCD(Lyquid Crystal Display)를 각각 내장하여 전류가 인가되어 발광된 세드먼트들을 통해 숫자(또는 문자)를 표시하게 되며, 7 세그먼트는 통상 BCD(Binary Coded Decimal)-to-7 세그먼트 디코더에 의해 제어된다.In this conventional 7-segment, a bar-shaped light emitting diode or a LCD (Lyquid Crystal Display) is built in, and a numeral (or character) Coded Decimal) is controlled by the -to-7 segment decoder.
그런데, 종래의 7 세그먼트의 경우 전류를 발광다이오드(또는 LCD)에 공급하여 숫자(또는 문자)를 변경하게 되는데, 이때 변경된 숫자(또는 문자)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전류를 계속 공급해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7-segment, current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or LCD) to change the number (or character). At this time, since the current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so that the changed number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본 발명은 제조가 쉽고 간편하게 조립해 사용할 수 있는 저전력 세그먼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w power segment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be easily assembled and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의 상단에 홈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로 구성된 본체;
전·후방에 형성된 축을 매개로 상기 지지대의 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N극과 S극으로 나뉘며, 상면과 하면이 식별수단에 의해 구분되는 영구자석;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얹혀져 영구자석의 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자성체;
상기 지지대가 끼워지는 제1결합공과, 자성체가 끼워지는 제2결합공과, 제2결합공의 둘레를 감싸도록 표면에 인쇄회로형성되는 코일과, 코일로 인가받은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로 구성되어 영구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배치되는 PCB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수단은 기호, 색 또는 발광물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comprising a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supports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edge of the base plate, the grooves being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oppos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Permanent magnets rotatably installed in the grooves of the support through axe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permanent magnets being divided into N poles and S poles on the basis of an axi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eing distinguished by identification means;
A magnetic bod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xis of the permanent magnet, respectively;
A first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support is inserted, a second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magnetic material is inserted, a coi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to surround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urrent applied to the coil, And a PCB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magnet and the magnetic body.
Here, the identification means may be any one of a symbol, a color, and a luminescent material.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와 영구자석, 자성체 및 PCB기판이 내측으로 수용되어 보호되며, 영구자석의 상면 또는 하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casing having the main body, the permanent magnet, the magnetic body, and the PCB substrate received and protected inward, and an exposed portion for exposing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permanent magn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영구자석과 자성 및 코일을 이용하여 숫자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만 전류를 공급하고 표현된 숫자를 유지하는데에는 전류공급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표현된 숫자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해야만 했던 불편함을 해소함과 더불어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current supply is not required to supply the current and maintain the expressed number only when the number is changed by using the permanent magnet, the magnetic coil, and the coil, So that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can be reduced, which is very useful.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영구자석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식별수단을 발광(야광)물질로 형성(도포)해 줌으로서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구분할 수 있어 식별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permanent magnet is formed (applied) with a luminescent (luminous) material,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even in a dark place, thereby improving the discrimination power.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세그먼트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4는 제1실시 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세그먼트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제2실시 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low power seg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first embodiment;
5 to 7 are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w power seg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세그먼트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제1실시 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3 are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low power seg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세그먼트는, 본체(10)와 영구자석(20), 자성체(30) 및 코일(40)로 구성되며, 여기에 본체(10)와 영구자석(20), 자성체(30) 및 코일(40)을 내측에 수용해 보호하는 케이스(60;도 5, 6, 7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low-power seg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실시 예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세그먼트들을 상호 조합하고, 조합된 각각의 세그먼트에 전력을 공급해 숫자, 문자 등을 표현하는 용도로 이용하며, 이하에는 그 중에서도 숫자를 표현하는 7 - 세그먼트 표시기를 하나의 실시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 power seg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power is supplied to each of the combined segments to represent numbers, characters, etc. Hereinafter, a 7-segment indica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mbodiment.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를 이루는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대(12)로 구성되고, 이 지지대(12)에는 영구자석(20)의 축(21)이 삽입되는 홈(12a)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질의 부재이다.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본체(10)는 영구자석(20)을 떠받쳐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지지대(12)는 본체(10) 제작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체결수단(예를 들면: 나사, 접착제 등)을 매개로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다.The
상기 영구자석(2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양단에 축(21)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은 S극이고 나머지 절반은 N극을 갖는 부재(도 1 참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대(12)의 홈(12a)에 축(2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성체(30) 및 코일(40)에 의해 회전된다.The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20)의 경우 자성체(30) 및 코일(40)에 의해 회전되어 뒤집어졌을 때, 사용자가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양면 즉, 상면(이면)과 하면(타면)에는 서로 대비될 수 있는 식별수단(22)이 형성되며, 여기서 식별수단(22)이라 함은 기호(네모, 세모 등), 색, 발광물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을 조합한 형태일 수 있다.That is,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영구자석(20)의 상면(이면)과 하면(타면)이 서로 대비될 수 있도록 색상(예를 들면:상면(이면)-흰색, 하면(타면)-검은색)을 적용하였으며, 이때 케이스(40;도 8d 참조)의 외부 바탕색상을 영구자석(20)의 양면 색상(예를 들면:상면(이면)-흰색, 하면(타면)-검은색)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통일시킨다면 더욱더 식별력은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lor (for example, a top surface (back surface) -whit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back surface) -black color) are applied so that the top surface (back surface) The external background color of the case 40 (see FIG. 8D) is set to be the same as any one of the two-sided color of the permanent magnet 20 (for example, top surface (back surface) - white surface and bottom surface If we unify it, the discrimination power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영구자석(20)의 상면과 하면은 밝은 곳에서는 충분히 색상만으로 구분이 가능 하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색상만으로는 잘 보이지도 않고 실질적인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식별수단(22)에 발광(야광)물질을 형성(도포)하여 이를 해소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자성체(30) 및 코일(40)은 영구자석(20)의 양측에 배치되어 인가받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에 의해 극성이 변화되며, 이를 매개로 영구자석(20)의 상·하면을 뒤집는 기능을 한다.The
상기 자성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본체(10)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예를 들면: 나사, 접착제 등)을 매개로 본체(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3, one end of the
상기 코일(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30)의 둘레에 권선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받아 자성체(30)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기능(도 4 참조)을 한다.
3, the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종래기술에 비해 전력소모가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extremely small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ology whil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prior art, and the life span is long, so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전류공급이 없을 시에는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서로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N-S-N-S)을 띠므로 영구자석(20)은 자력에 의해 안정적인 억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4 (a), when there is no initial current supply, the
한편, 상기 영구자석(20)을 회전시켜 숫자, 문자 등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성체(30)의 권선된 코일(40)로 전류를 공급하면 자성체(30)는 자화되어 극성을 띠게 되고,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서로 척력(repuls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S-S-N-N)을 띠게 됨에 따라,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20)은 자연스럽게 180도로 회전하게 되면서 식별수단(22)이 상부를 향하게 되며, 만약 식별수단(22)이 복수 개라면 이에 의해 특정한 숫자나 문자가 표현된다.When the
특히, 복수의 식별수단(22)에 의해 특정한 숫자나 문자가 완성된 상태에서, 전류공급이 차단되면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다시 서로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S-N-S-N)을 띠게 되므로 별도의 전류공급 없이도 도 4(d)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current supply is interrupted while a specific number or letter is completed by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means 22, a polarity (SNSN) in which an attractive force acts again between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및 코일(40)을 이용하여 숫자나 문자 등을 표현하고자 할 때에만 전류를 공급하고, 표현된 숫자나 문자 등을 유지시키는데에는 전류공급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표현된 숫자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해야만 했던 불편함 및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ly when the
상기 케이스(60;도 5 내지 7 참조)는 본체(10)와 영구자석(20), 자성체(30) 및 코일(40)이 각각 내측으로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case 60 (see Figs. 5 to 7) functions to receive and protect the
특히, 상기 케이스(60)의 상면에는 영구자석(20)의 면이 노출되는 노출부(61)가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노출부(61)는 구멍이다.
Particularly,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세그먼트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제2실시 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5 to 7 are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w power seg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to 8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econd embodiment.
한편, 앞선 제1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본체(10)에 자성체(30)의 일단부를 매립하거나 또는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한 다음, 자성체(30)의 둘레를 코일(40)로 권선해야 하므로 제작이 쉽지 않고, 손상시 불필요한 부분까지도 전부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end of the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본체(10)와 자성체(30) 및 표면에 코일(53)이 인쇄회로형성된 PCB기판(50)을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In this embodiment, the PCB 50 having the
참고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세그먼트는, 앞선 제1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일부 구조에 차이가 있어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or reference, the low power seg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some parts.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7 - 세그먼트 표시기에 제2실시 예를 적용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렇다고 해서 본 기술이 7 - 세그먼트 표시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s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7-segment indicator, and this technique is not limited to the 7-segment indicator.
상기 본체(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상을 이루는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11)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대(12)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지지대(12)의 대향면 상단에는 홈(12a)이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PCB기판(50)의 제1결합공(51)에 결합되며 영구자석(2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6 and 7, the
여기서, 상기 지지대(12) 사이에는 영구자석(20)이 각각 배치되고, 지지대(12)의 홈(12a)에는 영구자석(20)의 축(2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The
상기 영구자석(2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양단에 축(21)이 형성되며, 축(21)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의 절반은 S극이고 나머지 절반은 N극을 갖는 자석(도 8a 참조)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0)에 8자 형태로 배열되어 각각이 지지대(12)의 홈(12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성체(30)와 PCB기판(50)의 코일(53)에 의해 회전되어 케이스(60)를 통해 숫자(0∼9)를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The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20)의 경우 자성체(30)와 PCB기판(50)의 코일(53)에 의해 회전되어 뒤집어졌을 때, 사용자가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양면 즉, 상면(이면)과 하면(타면)은 서로 대비될 수 있는 식별수단(22)이 형성되며, 여기서 식별수단(22)이라 함은 기호, 색, 발광물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을 조합한 형태일 수 있다.That is, when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영구자석(20)의 상면(이면)과 하면(타면)이 서로 대비될 수 있도록 색상(예를 들면;상면(이면)-흰색, 하면(타면)-검은색)을 적용하였으며, 이때 케이스(60)의 외부 바탕색상을 영구자석(20)의 양면 색상(예를 들면: 상면(이면)-흰색, 하면(타면)-검은색)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통일시킨다면 더욱더 식별력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color (for example, upper surface (back surface) -white surface and lower surface (other surface) -black color) are applied so that the upper surface (back surface) At this time, if the external background color of the
또한, 상기 영구자석(20)의 상면과 하면은 밝은 곳에서는 충분히 색상만으로 구분이 가능 하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색상만으로는 잘 보이지도 않고 실질적인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적어도 식별수단(22)에 발광(야광)물질을 형성(도포)하여 이를 해소함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자성체(30)와 PCB기판(50)은 본체(10)와 영구자석(20) 사이에 배치되어 전류를 인가받아 영구자석(20)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상기 자성체(30)는 각 영구자석(20)의 양측에 배치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PCB기판(50)의 제2결합공(52)에 결합된다.The
상기 PCB기판(50)은 제1·2결합공(51,52)과 코일(53) 및 단자(54)가 구비된 기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단자(54)를 통해 전류를 인가받아 제2결합공(52)에 끼워진 자성체(30)를 코일(53)을 매개로 극성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상기 제1·2결합공(51,52)은 PCB기판(50)에 형성된 구멍이고, 코일(53)은 제2결합공(52)의 둘레를 감싸도록 PCB기판(50)의 표면에 회로형성되며, 단자(54)는 PCB기판(50)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전류를 인가받는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51 and 52 are holes formed in the
특히, 상기 PCB기판(50)의 표면에 코일(53)이 회로형성되므로 제1실시 예와 같이 코일(53)을 자성체(30)에 권선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이 상당히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부피 역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종래기술에 비해 전력소모가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extremely small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whil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prior art, but also semi-permanently usable.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서로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N-S-N-S)을 띠고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20)은 자력에 의해 안정적인 억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A, since the
한편, 상기 영구자석(20)을 회전시켜 숫자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PCB기판(50)의 단자(54)를 통해 코일(53)로 전류를 공급하면 제2결합공(52)에 끼워진 자성체(30)는 자화되어 극성을 띠게 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서로 척력(repuls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S-S-N-N)을 띠게 됨에 따라,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20)은 자연스럽게 180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20)들은 각각 회전되어 숫자 3을 표현하게 된다.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특히,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공급을 차단할 경우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다시 서로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S-N-S-N)을 띠게 되므로 별도의 전류공급 없이도 도 8d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8C, when the current supply is interrupted,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와 PCB기판(50)의 코일(53)을 이용하여 숫자(또는 문자)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만 전류를 공급하고 표현된 숫자(또는 문자)를 유지하는데에는 전류공급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표현된 숫자(또는 문자)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해야만 했던 불편함 및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only the number (or character) is to be changed by using the
또한, 상기 본체(10)와 영구자석(20), 자성체(30) 및 PCB기판(50)이 상호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손상시 해당부품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케이스(60)는 본체(10)와 영구자석(20) 및 자성체(30)와 PCB기판(50)이 각각 내측으로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특히, 상기 케이스(60)의 상면에는 영구자석(20)의 면이 노출되는 노출부(61)가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노출부(61)는 구멍이다.
Particularly,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a 내지 도 8d는 제2실시 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A to 8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8a를 참조하면, 초기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서로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N-S-N-S)을 띠고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20)은 안정적인 억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8A, since the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영구자석(20)을 회전시켜 숫자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PCB기판(50)의 단자(54)를 통해 코일(53)로 전류를 공급하면 제2결합공(52)에 끼워진 자성체(30)는 자화되어 극성을 띠게 되고,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서로 척력(repuls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S-S-N-N)을 띠게 된다.8B, when the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 척력(repulsive force)에 의해 영구자석(20)은 자연스럽게 180도로 회전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C, the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영구자석(20)들은 각각 회전되어 숫자 3을 표현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D, the
특히,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공급을 차단할 경우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간에는 다시 서로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하는 극성(S-N-S-N)을 띠게 되므로 별도의 전류공급 없이도 도 8c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8C, when the current supply is interrupted, the
한편, 상기 회전된 영구자석(20)을 다시 뒤집고자 할 경우에는 역방향의 전류를 PCB기판(50)의 단자(54)를 통해 코일(53)에 인가해 주면 자성체(30)의 극성이 변하게 되면서 영구자석(20)은 회전되어 뒤집어진다.
In the case where the rotated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영구자석(20)과 자성체(30) 및 PCB기판(50)의 코일(53)을 이용하여 숫자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만 전류를 공급하고 표현된 숫자를 유지하는데에는 전류공급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표현된 숫자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해야만 했던 불편함 및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supply the current only when the number is to be changed by using the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영구자석(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식별수단(22)을 발광(야광)물질로 형성(도포)해 줌으로서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구분할 수 있어 식별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dentification means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11: 베이스판 12: 지지대
12a: 홈 20: 영구자석 21: 축
22: 식별수단 30: 자성체 40: 코일
50: PCB기판 51: 제1결합공 52: 제2결합공
53: 코일 54: 단자 60: 케이스
61: 노출부10: main body 11: base plate 12: support
12a: groove 20: permanent magnet 21: shaft
22: Identification means 30: Magnetic body 40: Coil
50: PCB substrate 51: first coupling hole 52: second coupling hole
53: coil 54: terminal 60: case
61: Exposed portion
Claims (4)
전·후방에 형성된 축을 매개로 상기 지지대의 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N극과 S극으로 나뉘며, 상면과 하면이 식별수단에 의해 구분되는 영구자석;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얹혀져 영구자석의 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자성체;
상기 지지대가 끼워지는 제1결합공과, 자성체가 끼워지는 제2결합공과, 제2결합공의 둘레를 감싸도록 표면에 인쇄회로형성되는 코일과, 코일로 인가받은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로 구성되어 영구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배치되는 PCB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세그먼트.
A main body comprising a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supports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edge of the base plate, the grooves being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oppos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Permanent magnets rotatably installed in the grooves of the support through axe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permanent magnets being divided into N poles and S poles on the basis of an axi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eing distinguished by identification means;
A magnetic bod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xis of the permanent magnet, respectively;
A first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support is inserted, a second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magnetic material is inserted, a coi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to surround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urrent applied to the coil, And a PCB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magnet and the magnetic body.
상기 식별수단은 기호, 색 또는 발광물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세그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dentifying means is any one of a symbol, a color, or a light emitting material.
상기 본체와 영구자석, 자성체 및 PCB기판이 내측으로 수용되어 보호되며, 영구자석의 상면 또는 하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세그먼트.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case having the main body, the permanent magnet, the magnetic body, and the PCB substrate received and protected inward, and an exposed portion for exposing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permanent magn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202A KR101713979B1 (en) | 2015-03-23 | 2015-03-23 | Low power seg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202A KR101713979B1 (en) | 2015-03-23 | 2015-03-23 | Low power seg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4237A KR20160114237A (en) | 2016-10-05 |
KR101713979B1 true KR101713979B1 (en) | 2017-03-23 |
Family
ID=5715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02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3979B1 (en) | 2015-03-23 | 2015-03-23 | Low power seg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3979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842Y1 (en) | 2001-10-20 | 2002-01-17 | 백승택 | Private luminous apparatus |
KR200260823Y1 (en) | 2001-10-16 | 2002-01-17 | 백승택 | Private luminous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4234A (en) | 2002-06-11 | 2002-08-07 | 홍경범 | 7-segment negative pattern display apparatus for back light liquid crystal display |
KR100512200B1 (en) | 2003-03-13 | 2005-09-13 | 최주현 | 7 segment display |
KR100633470B1 (en) * | 2004-05-03 | 2006-10-16 |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 Magnetic display device |
KR101208607B1 (en) * | 2009-10-16 | 2012-12-06 | 승덕남 | Rope Skipping Device Which Emits Light By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
-
2015
- 2015-03-23 KR KR1020150040202A patent/KR10171397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823Y1 (en) | 2001-10-16 | 2002-01-17 | 백승택 | Private luminous apparatus |
KR200260842Y1 (en) | 2001-10-20 | 2002-01-17 | 백승택 | Private luminous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4237A (en) | 2016-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04059B (en) | Light-emitting diode assembly and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101710785B1 (en) | Set of luminous display hands for a portable object such as a watch or a measuring instrument | |
WO2007075221A3 (en) | Display having self-orienting mounting area | |
US9443454B1 (en) | Real-estate sign support assembly | |
JP2008261834A (en) | Indicator device | |
WO2006007224A3 (en) | Changeable message display system | |
KR101713979B1 (en) | Low power segment | |
ES2437495T3 (en) | Refrigerator with function representation unit | |
US20250012415A1 (en) | Elongated Hexagonal Decorative Light System | |
JP6014716B2 (en) | Luminescent display hands for portable items such as watches or measuring instruments | |
KR20120006859A (en) | Assembly Light Block | |
US20190324409A1 (en) | Clock using bright dot display | |
US20090109701A1 (en) | Illuminant business card | |
KR100780431B1 (en) | Flip module including an electromagne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WO2010010975A1 (en) | Image lighting system with an art sense | |
KR100911236B1 (en) | Block type LED lighting | |
KR20090000426A (en) | Rotating LED Module String | |
JP3195324U (en) | LED signboard | |
KR20090000435A (en) | LED module string | |
CN216849230U (en) | Luminous advertising vertical board | |
TWM453840U (en) | Intelligent light-emitting prompt directional compass | |
KR20170013035A (en) | A disply module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using the same | |
CN222417264U (en) | A seamless neon light strip with no dark areas | |
KR200263141Y1 (en) | a luminous melody card using electroluminescene | |
KR100890330B1 (en) | LED module st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3 |